KR102044281B1 -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281B1
KR102044281B1 KR1020190091261A KR20190091261A KR102044281B1 KR 102044281 B1 KR102044281 B1 KR 102044281B1 KR 1020190091261 A KR1020190091261 A KR 1020190091261A KR 20190091261 A KR20190091261 A KR 20190091261A KR 102044281 B1 KR102044281 B1 KR 102044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unit
control
automatic
direction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772A (ko
Inventor
김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9009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2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change of driv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자동 미러 제어 여부를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 차량의 좌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 감지부; 차량의 좌우측에 구비된 미러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미러구동부; 및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고,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미러구동부 중 작동되는 방향지시등에 대응하는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MART MIRRO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차로 진입 시 사이드 미러가 자동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동하는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이드미러(Side Mirror)는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쪽 문에 달려 후방을 볼 수 있는 반사경으로, 도어미러(door mirror)라고도 한다. 차량 앞쪽의 펜더에 설치하는 펜더미러(fender mirror)에 비해 설계가 자유롭고 거울면이 커서 후방 시계가 넓다. 다만, 오른쪽 미러를 볼 때 시선을 오른쪽으로 크게 옮겨야 하므로 앞쪽의 상황을 놓칠 우려가 있다.
사이드미러는 거울의 반사 각도를 상하좌우로 조절하여 차량의 뒤쪽 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며, 과거에는 손으로 각도를 조절했으나 요즘은 대개 전동식 버튼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사이드미러의 각도 조절이 차량 내부의 ECU를 통하여 손쉽게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러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사용자 스위치 조작을 통하여 제어할 미러를 선택하고 상/하, 좌/우 버튼을 이용하여 미러 위치를 조절할 수 있고, 후진 기어 입력 시 자동으로 미러 위치가 하향하여 차량 주차 시 편리함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에 미러 위치를 기억시킨 후 저장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한편, 사이드미러는 일반적으로 주행 중 차선을 변경할 경우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차선 변경은 주행 중인 다른 차선으로 이동을 하는 상황이므로 사고 발생 위험이 대단히 높은 편이다. 따라서,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다. 즉, 자동차의 후방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측후방을 관측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거나 저장된 위치에 따른 미러 조절 기능만 제공하여 운전자가 주행 중 코너를 돌아서 새로운 차로에 진입하는 경우 미러를 통해 옆 차선에 오는 차량을 확인하기 어려우며, 몸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틀어서 직접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8026호(등록일 : 2017.05.15.등록)인 "주행중인 차량의 사각지대 감소를 위한 사이드미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새로운 차로 진입 시 진입 방향의 미러가 자동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동하는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는, 자동 미러 제어 여부를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 차량의 좌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 감지부; 상기 차량의 좌우측에 구비된 미러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미러구동부; 및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고,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상기 좌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면, 상기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미러구동부 중 상기 작동되는 방향지시등에 대응하는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미러의 기울어진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미러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좌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면, 상기 미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좌측 미러의 위치가 좌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좌측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이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었을 때, 우측 미러구동부가 구동 중인 경우에는 우측 미러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우측 미러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면, 상기 미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우측 미러의 위치가 우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우측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이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었을 때, 좌측 미러구동부가 구동 중인 경우에는 좌측 미러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좌측 미러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 작동이 각각 감지되지 않으면, 좌측 미러 및 우측 미러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미러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를 입력받고,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면, 차량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미러구동부 중 상기 작동되는 방향지시등에 대응하는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가 미러감지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좌우측에 구비된 미러의 기울어진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좌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면, 상기 미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좌측 미러의 위치가 좌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좌측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이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었을 때, 우측 미러구동부가 구동 중인 경우에는 우측 미러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우측 미러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면, 상기 미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우측 미러의 위치가 우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우측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이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었을 때, 좌측 미러구동부가 구동 중인 경우에는 좌측 미러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좌측 미러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 작동이 각각 감지되지 않으면, 좌측 미러 및 우측 미러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미러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새로운 차로 진입 시 진입 방향의 미러가 자동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동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차로 진입 시 몸을 틀어 미러를 확인할 필요가 없고 전방주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부주의에 의한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랑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는, 사용자입력부(100), 기어 감지부(200), 방향지시등 감지부(300), 제어부(400), 저장부(500), 미러감지부(600) 및 미러구동부(700)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100)는 사용자가 차량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설치된 사이드 미러를 조작하기 위해 입력하는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동 미러 제어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입력부(100)는 미러조작 스위치(110) 및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입력부(100)에 포함된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를 통해 자동 미러 제어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내용에서는 자동 미러 제어를 설명할 때는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로 기재하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자입력부(100)는 누름 버튼 스위치, 토글 스위치, 터치 스위치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그 형태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입력부(100)는 운전자가 사이드 미러를 조절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그 위치 역시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는 일반적인 방향지시등 스위치의 헤드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주행 중에 보다 용이하게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를 입력하여 자동 미러 제어 여부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미러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은 크게 미러 위치 조절 기능, 미러 자동 위치 하향 기능, 미러 위치 메모리 저장 및 저장된 위치로 이동 기능 및 스마트 미러 제어 기능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미러 위치 조절 기능은 미러조작 스위치(110)를 통해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어할 미러를 선택하고, 미러조작 스위치(110)에 구비된 상/하, 좌/우 버튼을 이용하여 미러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러 자동 위치 하향 기능은 후진 기어 입력 시 미러 위치가 자동으로 하향하여 차량 주차 시 편리함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어부(400)가 기어 감지부(200)로부터 후진 기어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미러구동부(700)를 통해 미러를 하향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미러 위치 메모리 저장 및 저장된 위치로 이동 기능은 메모리에 미러 위치를 기억시킨 후 기억된 위치로 제어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00)를 통해 미리 미러의 위치를 저장부(500)에 저장하거나 설계단계에서 미러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저장부(500)에 저장된 미러의 위치로 미러구동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미러 제어 기능은 코너를 돌아서 새로운 차로에 진입하는 경우 몸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틀어서 옆 차선에서 오는 차량을 직접 확인하지 않고 방향지시등의 방향과 스위치 입력 연동을 통하여 미러를 자동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것으로, 새로운 차로 진입 시, 제어부(400)는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상태를 입력받고,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의 온오프 상태를 입력받으며, 이에 기초하여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는 차량의 좌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감지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방향지시등 스위치(미도시)를 입력하여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 중 하나가 작동되면 작동된 방향지시등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할 수 있다.
미러감지부(600)는 차량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미러의 기울어진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것으로, 좌측 미러의 기울어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좌측 미러감지부(600)와 우측 미러의 기울어진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우측 미러감지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좌측 및 우측의 미러감지부(600)를 따로 구분하여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좌측 미러감지부(600) 및 우측 미러감지부(60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미러감지부(600)는 미러구동부(700)의 구동 정도를 통해 미러의 기울어진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그 방식을 한정하지 않고, 제어부(400)에 미러의 기울어진 위치를 감지하여 제공할 수 있다.
미러구동부(700)는 차량의 좌우측에 구비된 미러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미러구동부(700)는 차량의 좌측에 구비된 미러를 구동시키기 위해 좌측에 설치된 좌측 미러구동부(700) 및 차량의 우측에 구비된 미러를 구동시키기 위해 우측에 설치된 우측 미러구동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러구동부(700)도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좌측 및 우측의 미러구동부(700)를 따로 구분하여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좌측 미러구동부(700) 및 우측 미러구동부(70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미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기능의 전체적인 제어를 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사용자입력부(100)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 여부를 입력받는다. 다시 말해,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운전자가 자동 미러 제어의 허용 여부에 따라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를 조작하면, 제어부(400)는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로부터 좌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의 온오프 상태 및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로부터 입력된 좌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 여부에 기초하여 차량용 스마트 미러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를 온 상태로 입력하여야만 차량용 스마트 미러 자동 제어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400)는 사용자입력부(100)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고, 즉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로부터 온 신호가 입력되고,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미러구동부(700) 중 상기 작동되는 방향지시등에 대응하는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를 통해 좌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고,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으면, 미러감지부(600)를 통해 감지된 좌측 미러의 위치가 좌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좌측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좌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는 좌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었을 때 좌측 미러가 기울어지는 위치에 대하여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위치로, 저장부(50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로부터 좌측 방향지시등의 작동 여부를 입력받은 결과, 좌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이고,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가 온 상태일 때, 우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우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 경우에는 우측 미러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우측 미러구동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어부(400)는 좌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일 때 우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 경우, 우측 미러에 대한 자동 기울림 동작을 오프하고, 미러자동제어 동작 완료에 대한 플래그 신호가 오프인지, 자동 미러 동작에 대한 플래그 신호가 오프인지 확인하고 우측 미러 원위치 복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우측 미러 원위치 복귀 동작을 수행한 후, 제어부(400)는 좌측 미러에 대한 미러자동제어 동작 완료 플래그 신호가 온이 아닌 경우, 좌측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켜 좌측 미러의 기울임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때 좌측 미러에 대한 자동 미러 동작 플래그 신호가 온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미러감지부(600)를 통해 감지된 좌측 미러의 위치가 좌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하면, 좌측 미러에 대한 미러자동제어 동작 완료 플래그 신호가 온 상태인지 확인하고, 미러 자동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400)는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를 통해 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고,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으면, 미러감지부(600)를 통해 감지된 우측 미러의 위치가 우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우측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우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는 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었을 때 우측 미러가 기울어지는 위치에 대하여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 위치로, 저장부(50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로부터 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 여부를 입력받은 결과, 우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이고,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가 온 상태일 때, 좌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좌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 경우에는 좌측 미러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좌측 미러구동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어부(400)는 우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일 때 좌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 경우, 좌측 미러에 대한 자동 기울림 동작을 오프하고, 미러자동제어 동작 완료에 대한 플래그 신호가 오프인지, 자동 미러 동작에 대한 플래그 신호가 오프인지 확인하고 좌측 미러 원위치 복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좌측 미러 원위치 복귀 동작을 수행한 후, 제어부(400)는 우측 미러에 대한 미러자동제어 동작 완료 플래그 신호가 온이 아닌 경우, 우측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켜 우측 미러의 기울임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때 우측 미러에 대한 자동 미러 동작 플래그 신호가 온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가 오프 상태이거나,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 작동이 각각 감지되지 않으면, 좌측 미러 및 우측 미러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미러구동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원위치는 자동 미러 제어를 수행하기 전 최초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방법은, 먼저 제어부(400)가 사용자입력부(100)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 여부를 입력받고,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 작동 여부를 감지한다(S10).
즉, 제어부(400)는 사용자입력부(100)에 포함된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 허용에 대한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00)는 좌측 방향지시등 및 우측 방향지시등이 각각 작동되는지 유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사용자가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를 입력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의 온오프를 먼저 확인하고,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결과를 확인할 수 있고, 반대로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로부터 입력되는 감지 결과를 확인하고,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의 온오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400)는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가 입력되어 있고, 좌측 방향지시등 또는 우측 방향지시등이 켜질 때 자동 미러 제어를 수행하거나, 좌측 방향지시등 또는 우측 방향지시등이 켜져 있고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가 입력될 때 자동 미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좌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인지와,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가 온 상태인지 판단한다(S11).
즉, 제어부(400)는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고, 좌측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를 통해 좌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S11단계에서, 좌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이고,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가 온 상태인 경우, 제어부(400)는 우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지 판단한다(S12).
그리고 제어부(400)는 S12단계에서 우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 경우에는 우측 미러 원위치 복귀를 수행하고(S13), S12단계에서 우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이 아닌 경우에는 S13단계를 생략하고 다음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로부터 좌측 방향지시등의 작동 여부를 입력받은 결과, 좌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이고,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가 온 상태일 때, 우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우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 경우에는 우측 미러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우측 미러구동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어부(400)는 좌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일 때 우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 경우, 우측 미러에 대한 자동 기울림 동작을 오프하고, 미러자동제어 동작 완료에 대한 플래그 신호가 오프인지, 자동 미러 동작에 대한 플래그 신호가 오프인지 확인하고 우측 미러 원위치 복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좌측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킨다(S14).
즉, 제어부(400)는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고,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면, 차량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미러구동부(700) 중 상기 작동되는 방향지시등에 대응하는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킬 수 있는데, 좌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어 자동으로 좌측 미러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S13단계에서 우측 미러 원위치 복귀 동작을 수행한 후, 제어부(400)는 좌측 미러에 대한 미러자동제어 동작 완료 플래그 신호가 온이 아닌 경우, 좌측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켜 좌측 미러의 기울임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때 좌측 미러에 대한 자동 미러 동작 플래그 신호가 온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좌측 미러 위치가 좌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S15), 좌측 미러 위치가 좌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좌측 미러 위치가 좌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S14단계로 회귀하여 좌측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킨다.
즉, 제어부(400)는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를 통해 좌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고,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으면, 미러감지부(600)를 통해 감지된 좌측 미러의 위치가 좌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좌측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미러감지부(600)를 통해 감지된 좌측 미러의 위치가 좌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하면, 좌측 미러에 대한 미러자동제어 동작 완료 플래그 신호가 온 상태인지 확인하고, 미러 자동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S11단계에서 좌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이 아니거나,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가 온 상태가 아닌 경우, 제어부(400)는 우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인지와,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가 온 상태인지 판단한다(S16).
즉, 제어부(400)는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고, 우측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를 통해 우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S16단계에서, 우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이고,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가 온 상태인 경우, 제어부(400)는 좌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지 판단한다(S17).
그리고 제어부(400)는 S17단계에서 좌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 경우에는 좌측 미러 원위치 복귀를 수행하고(S18), S17단계에서 좌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이 아닌 경우에는 S18단계를 생략하고 다음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로부터 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 여부를 입력받은 결과, 우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이고,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가 온 상태일 때, 좌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400)는 좌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 경우에는 좌측 미러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좌측 미러구동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어부(400)는 우측 방향지시등이 작동 중일 때 좌측 미러구동부(700)가 구동 중인 경우, 좌측 미러에 대한 자동 기울림 동작을 오프하고, 미러자동제어 동작 완료에 대한 플래그 신호가 오프인지, 자동 미러 동작에 대한 플래그 신호가 오프인지 확인하고 좌측 미러 원위치 복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우측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킨다(S19).
즉, 제어부(400)는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고,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면, 차량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미러구동부(700) 중 상기 작동되는 방향지시등에 대응하는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킬 수 있는데, 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어 자동으로 우측 미러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S18단계에서 좌측 미러 원위치 복귀 동작을 수행한 후, 제어부(400)는 우측 미러에 대한 미러자동제어 동작 완료 플래그 신호가 온이 아닌 경우, 우측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켜 우측 미러의 기울임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이때 우측 미러에 대한 자동 미러 동작 플래그 신호가 온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우측 미러 위치가 우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S20), 우측 미러 위치가 우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우측 미러 위치가 우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S19단계로 회귀하여 우측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킨다.
즉, 제어부(400)는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를 통해 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고,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로부터 온 신호를 입력받으면, 미러감지부(600)를 통해 감지된 우측 미러의 위치가 우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우측 미러구동부(7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미러감지부(600)를 통해 감지된 우측 미러의 위치가 우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하면, 우측 미러에 대한 미러자동제어 동작 완료 플래그 신호가 온 상태인지 확인하고, 미러 자동 제어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S16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제어부(400)는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120)가 오프 상태이거나, 방향지시등 감지부(300)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 작동이 각각 감지되지 않는 경우 종료하여 좌측 미러 및 우측 미러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미러구동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새로운 차로 진입 시 진입 방향의 미러가 자동으로 기울어지도록 구동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차로 진입 시 몸을 틀어 미러를 확인할 필요가 없고 전방주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부주의에 의한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사용자입력부
110 : 미러조작 스위치
120 : 자동미러제어허용 스위치
200 : 기어 감지부
300 : 방향지시등 감지부
400 : 제어부
500 : 저장부
600 : 미러감지부
700 : 미러구동부

Claims (2)

  1. 자동 미러 제어 여부를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
    차량의 좌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을 감지하는 방향지시등 감지부;
    상기 차량의 좌우측에 구비된 미러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해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미러구동부; 및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고,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상기 좌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면, 상기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미러구동부 중 상기 작동되는 방향지시등에 대응하는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된 미러의 기울어진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미러감지부; 및
    후진 기어의 입력을 감지하는 기어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좌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면, 상기 미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좌측 미러의 위치가 좌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좌측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면, 상기 미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우측 미러의 위치가 우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우측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 작동이 각각 감지되지 않으면, 좌측 미러 및 우측 미러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미러구동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어 감지부로부터 후진 기어의 입력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미러구동부를 구동하여 미러 위치가 자동으로 하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2. 제어부가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 여부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를 입력받고,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면, 차량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된 미러구동부 중 상기 작동되는 방향지시등에 대응하는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미러감지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좌우측에 구비된 미러의 기울어진 위치를 각각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좌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면, 상기 미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좌측 미러의 위치가 좌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좌측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우측 방향지시등의 작동이 감지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면, 상기 미러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우측 미러의 위치가 우측 미러에 대한 설정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우측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고,
    상기 미러구동부를 구동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자동 미러 제어가 입력되지 않거나, 상기 방향지시등 감지부를 통해 좌우측 방향지시등 작동이 각각 감지되지 않으면, 좌측 미러 및 우측 미러의 위치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미러구동부를 제어하며,
    후진 기어의 입력을 감지하는 기어 감지부로부터 후진 기어의 입력에 대한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미러구동부를 구동하여 미러 위치가 자동으로 하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방법.
KR1020190091261A 2019-07-26 2019-07-26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261A KR102044281B1 (ko) 2019-07-26 2019-07-26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261A KR102044281B1 (ko) 2019-07-26 2019-07-26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992A Division KR102010526B1 (ko) 2017-07-20 2017-07-20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772A KR20190090772A (ko) 2019-08-02
KR102044281B1 true KR102044281B1 (ko) 2019-11-12

Family

ID=67614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261A KR102044281B1 (ko) 2019-07-26 2019-07-26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2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1049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자동 조향 장치
KR19980061088A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사이드 미러 및 룸 미러 연동 장치
KR100524286B1 (ko) * 2003-02-11 2005-10-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772A (ko)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963B1 (ko) 전자식 다기능 스위치의 턴신호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206394A1 (en) Electronic mirror device
KR102044288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10526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3997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281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3998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279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000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278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287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283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280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4284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043993B1 (ko) 차량용 스마트 미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34728B1 (ko) 차량의 커튼 제어 장치
KR20130111678A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사각지대 컨트롤장치
US11247734B2 (en) System for controlling tilting of a cab for a commercial vehicle
KR20180049952A (ko) 운전자측 백미러의 사각 지대 해소 장치
JP2005041376A (ja) 車両後退時の運転操作支援システム
KR100486456B1 (ko) 차량 주차시 사이드미러 자동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80111556A1 (en) Vehicular visual recognition control device
KR101738112B1 (ko) 다중 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KR20000074268A (ko) 차량의 미러 자동조절장치 및 방법
KR20130064867A (ko) 사이드 미러 자동 조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