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087B1 -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087B1
KR102659087B1 KR1020210131473A KR20210131473A KR102659087B1 KR 102659087 B1 KR102659087 B1 KR 102659087B1 KR 1020210131473 A KR1020210131473 A KR 1020210131473A KR 20210131473 A KR20210131473 A KR 20210131473A KR 102659087 B1 KR102659087 B1 KR 102659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ntenna
vehicle
coupl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8708A (ko
Inventor
김영만
Original Assignee
김영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만 filed Critical 김영만
Priority to KR1020210131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087B1/ko
Publication of KR20230048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8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60J11/025Covers wound on roller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vehicle parts, e.g. for doors,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6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 B60J11/08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only specific parts of the vehicle, e.g. for doors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루프에 결합되며 전방을 향해 스크린배출공(120)이 폭방향으로 형성된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다단으로 중첩되게 결합되어 서로 펼쳐지며 길이가 길어지거나 접혀지며 길이가 짧아지는 한 쌍의 안테나부(310)와, 상기 안테나부(310)와 결합되는 안테나구동케이싱(321)을 갖는 한 쌍의 스크린구동부(300)와; 상기 한 쌍의 안테나구동케이싱(321) 사이에 아이들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크린권취축(230)에 권취되며, 상기 안테나부(310)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으로부터 풀려 펼쳐지거나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에 감겨지는 스크린(200)과; 상기 스크린(200)의 선단과 상기 한 쌍의 안테나부(310)의 선단을 서로 고정하여 상기 안테나부(310)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스크린(200)이 견인되게 하며, 차량의 보닛에 결합되는 차량고정바(400)와;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의 내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안테나구동케이싱(321)에 결합되고 일단이 각도조절모터(520)에 결합되는 각도조절축(510)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10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안테나부(310)를 차량의 보닛을 향해 경사지게 회동시켜 상기 차량고정바(400)가 상기 보닛(13)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스크린(200)이 차량유리를 덮개 하는 스크린각도조절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Auto screen apparatus for car window}
본 발명은 전동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전동으로 동작되며 차량의 유리를 덮어주는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유리 덮개는 주로 하절기에는 태양광으로부터 차량 내부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고 동절기에는 눈이 쌓이거나 성에가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 차량용 유리덮개는 자석을 이용하여 자동차 안쪽으로 탈부착하는 덮개 형태나, 차량의 루프로부터 사용자가 당기면 탄성적으로 풀리며 보넷에 고정되는 형태나, 끈으로 묶는 형태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차량용 덮개는 사람이 직접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비가 오거나 눈이 쌓였을 때는 물기를 제거하기 어렵고 설치도 어렵다. 또한, 겨울철에는 유리를 덮더라도 유리 표면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15-0080828호 "자동차용 유리덮개"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7892호 "자동차 유리 덮개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며 차량의 유리를 가려줄 수 있는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절기에 유리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결합되며 전방을 향해 스크린배출공(120)이 폭방향으로 형성된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다단으로 중첩되게 결합되어 서로 펼쳐지며 길이가 길어지거나 접혀지며 길이가 짧아지는 한 쌍의 안테나부(310)와, 상기 안테나부(310)와 결합되는 안테나구동케이싱(321)을 갖는 한 쌍의 스크린구동부(300)와; 상기 한 쌍의 안테나구동케이싱(321) 사이에 아이들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크린권취축(230)에 권취되며, 상기 안테나부(310)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으로부터 풀려 펼쳐지거나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에 감겨지는 스크린(200)과; 상기 스크린(200)의 선단과 상기 한 쌍의 안테나부(310)의 선단을 서로 고정하여 상기 안테나부(310)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스크린(200)이 견인되게 하며, 차량의 보닛에 결합되는 차량고정바(400)와;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의 내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안테나구동케이싱(321)에 결합되고 일단이 각도조절모터(520)에 결합되는 각도조절축(510)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10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안테나부(310)를 차량의 보닛을 향해 경사지게 회동시켜 상기 차량고정바(400)가 상기 보닛(13)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스크린(200)이 차량유리를 덮개 하는 스크린각도조절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안테나구동케이싱(321)의 벽면에 아이들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에는 상기 스크린(200)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이 회전되게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지지부재(24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도조절축(510)은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안테나구동케이싱(321)에 관통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안테나구동케이싱(321) 중 하나의 외부로 노출된 일단은 상기 각도조절모터(5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고정바(400)는 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200)의 판면에는 열선이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인가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전동으로 스크린이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된다.
또한, 각도조절모터에 의해 스크린이 유리의 각도에 맞게 회동되고 차량고정바가 보닛에 고정되며 스크린이 유리 표면을 덮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에는 열선이 내장되어 동절기에 눈이 유리 표면에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장치가 차량에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장치의 정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장치의 평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장치의 스크린이 펼쳐진 상태의 평단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장치가 동작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장치(1)가 차량에 설치되어 스크린(200)이 펼쳐진 상태롤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전동 스크린장치(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전동 스크린장치(1)의 정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전동 스크린장치(1)의 평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장치(1)는 루프(11)에 결합되는 케이싱(100)과, 케이싱(100)의 내부에 권취되거나 케이싱(100)의 외부로 펼쳐지며 유리(15)를 덮는 스크린(200)과, 스크린(200)이 케이싱(100) 내부에 수용되거나 케이싱(100) 외부로 펼쳐지게 구동하는 스크린구동부(300)와, 스크린(200)과 스크린구동부(300)의 안테나부(310)를 연결하며 스크린(200)이 차량의 보닛(13)에 고정되게 하는 차량고정바(400)와, 수평하게 펼쳐진 스크린(200)이 유리(15)를 덮도록 경사지게 각도를 조절하는 스크린각도조절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스크린장치(1)는 사용자가 인가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스크린(200)이 스크린구동부(300)에 의해 케이싱(100) 외부로 수평하게 펼쳐지고, 스크린각도조절부(500)에 의해 경사지게 각도를 조절한 후 차량고정바(400)에 의해 보닛(13)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스크린(200)이 펼쳐진 상태로 유리(15)의 표면을 덮어 햇빛으로부터 유리를 보호하거나 눈 등이 유리에 쌓이지 않게 한다.
특히, 스크린(200)에는 열선(220)이 구비되어 스크린(200)에 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동절기에 유리(15)에 눈이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스크린(200)이 펼쳐지는 것뿐만 아니라 스크린(200)이 다시 케이싱(100)에 회수되는 과정도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케이싱(100)은 차량의 루프(11)에 고정되며, 내부에 스크린(200)이 권취되어 수용된다. 케이싱(100)은 루프(11)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케이싱(10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양쪽에 고리가 구비되어 차량의 도어 내측 상단에 고정되거나, 바닥면에 자석이 구비되어 루프(11)에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케이싱(100)은 다양한 방법으로 루프(11)에 고정될 수 있다.
케이싱(100)의 바닥면(110)은 차량(10)의 종류에 따라 루프(11)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케이싱(100)이 루프(11)에 들뜨지 않고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00)의 전면에는 스크린(200)과 안테나부(310)를 외부로 배출하는 스크린배출공(120)이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스크린배출공(120)에는 차량고정바(400)가 배치되어 내부로 케이싱(100) 내부로 빗물이나 눈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스크린(200)은 스크린구동부(300)의 동작에 의해 케이싱(100) 내부에 권취되어 수용되거나, 케이싱(100) 외부로 펼쳐져 유리(15)를 덮는다. 스크린(200)은 스크린권취축(230)에 권취된 상태로 케이싱(100) 내부에 수용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권취축(230)은 양단이 스크린구동부(300)의 구동케이싱(100)의 내벽면에 아이들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구동케이싱(100)의 내벽면에는 권취축지지홈(321a)이 함몰형성되고, 스크린권취축(230)과 권취축지지홈(321a) 사이에는 베어링이 구비된다.
스크린(200)은 차량(10)의 유리(15)의 폭(W1)에 대응되는 폭(W2)과 길이로 구비된다. 스크린(200)의 후단은 스크린권취축(230)에 고정되고 스크린(200)의 선단은 차량고정바(400)에 고정된다.
스크린(200)은 방수 및 차광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열선(220)이 매립되게 구비된다. 열선(220)은 스크린(200)의 길이 및 폭방향을 따라 전영역에 균일하게 배치된다. 열선(220)은 동절기에 가동되어 차량 유리(15)를 덮은 스크린(200) 표면에 눈이 쌓이지 않게 스크린(200) 표면을 가열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유리(15)에 쌓인 눈을 치워야 하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다.
한편, 스크린권취축(230)의 양단에는 도 4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재(240)가 구비된다. 탄성지지부재(240)는 스크린권취축(230)을 스크린(200)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감겨지게 탄성력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안테나부(310)의 길이가 신장되며 탄성지지부재(240)의 탄성한계를 넘어가는 힘이 가해지면 스크린(200)이 스크린권취축(230)으로부터 풀려 펼쳐지고, 안테나부(310)의 길이가 짧아지며 탄성지지부재(240)에 대한 압력이 해제되면 탄성지지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스크린권취축(230)이 스크린(200)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며 스크린(200)이 스크린권취축(230)에 권취되게 한다.
스크린구동부(300)는 스크린(200)이 케이싱(100) 외부로 자동으로 펼쳐지거나 케이싱(100) 내부로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구동부(300)는 외경이 서로 다른 안테나(311,313,315)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안테나부(310)와, 안테나부(310)의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게 구동하는 안테나구동부(320)를 포함한다.
도 4는 안테나부(310)가 접혀져 있는 상태의 평단면도이고, 도 5는 안테나부(310)의 길이가 신장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부(310)는 차량고정바(400)와 결합되는 최내부안테나(311)와, 안테나구동부(320)와 결합되는 최외곽안테나(315)와, 최내부안테나(311)와 최외곽안테나(315) 사이에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중간안테나(313)를 포함한다.
최외곽안테나(315)로부터 최내부안테나(311)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며, 각각의 안테나(311,313,315)들은 후단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외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최내부안테나(311)의 선단은 차량고정바(400)와 고정된다. 안테나구동부(320)에 의해 최내부안테나(311)부터 점차 외부로 돌출되며 순차적으로 복수개의 안테나(311,313,315)들이 선단에서 후단으로 서로 일정길이 겹쳐지며 길이가 길어진다.
이 때, 최내부안테나(311)의 선단은 스크린(200)의 선단(210)과 함께 차량고정바(400)에 고정되어 안테나부(310)의 길이변화가 스크린(200)으로 전달되며 스크린(200)이 스크린권취축(230)으로부터 풀려지거나 스크린권취축(230)에 권취되게 한다.
안테나구동부(320)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안테나부(310)가 길어지거나 짧아지게 안테나부(310)를 구동한다. 본 발명의 안테나구동부(320)는 구동와이어(323)를 이용해 안테나부(310)를 구동한다.
안테나구동부(320)는 도 4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의 양측에 배치되는 구동케이싱(100)과, 구동케이싱(100) 내부에 배치되어 구동와이어(323)가 권취되는 와이어축(322)과, 와이어축(322)의 외부에 구비되어 구동와이어(323)를 안테나부(310)로 안내하는 와이어안내기어(327)와, 구동력을 발생하는 와이어구동모터(325)와, 와이어구동모터(325)의 구동력을 와이어안내기어(327)로 전달하는 전동수단(329)을 포함한다.
구동와이어(323)는 강도를 갖는 금속와이어로 구비되며 일측에 치열이 형성된다. 구동와이어(323)는 와이어축(322)와 와이어안내기어(327) 사이의 공간에 와이어축(322)을 중심으로 권취된다. 와이어구동모터(325)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전동수단(329)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와이어안내기어(327)가 회전되면, 와이어안내기어(327)와 치합된 구동와이어(323)가 밀려나와 안테나부(310)로 공급된다.
구동와이어(323)의 선단은 최내부안테나(311)에 고정되고, 구동와이어(323)가 밀려나오는 압력에 의해 최내부안테나(311)부터 중간안테나(313)의 순서로 가압되며 안테나부(310)의 길이가 신장된다.
반대로 와이어구동모터(325)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구동와이어(323)가 와이어축(322)에 권취되고, 구동와이어(323)와 연결된 안테나부(310)들이 케이싱(100) 내부로 당겨지며 서로 다단으로 중첩되며 길이가 짧아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안테나구동부(320)는 구동와이어(323)를 이용해 기계식으로 안테나부(310)를 구동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공압을 이용하여 안테나부(310)를 구동할 수도 있다.
차량고정바(400)는 스크린구동부(300)에 의해 케이싱(100)의 외부로 펼쳐진 스크린(200)이 차량 유리(15)를 덮은 상태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차량(10)의 보닛(13)에 고정된다. 차량고정바(400)는 스크린(200)의 선단(210)과 한 쌍의 최내부안테나(311)에 함께 결합된다. 이에 의해 스크린구동부(300)에 이해 안테나부(310)의 길이가 가변되는 것에 연동하여 스크린(200)이 펼쳐지거나 권취되도록 스크린(200)으로 견인력을 제공한다.
차량고정바(400)는 자력에 의해 차량(10)의 보닛(13)에 결합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차량고정바(400)는 내부에 영구자석이 수용되거나, 전자석이 수용될 수 있다. 차량고정바(400)가 전자석으로 구비될 경우 스크린(200)이 펼쳐질 때는 전원이 공급되어 자력이 인가되고, 스크린(200)이 권취될 때는 전원을 해제하여 자력을 잃게 제어된다.
차량고정바(400)의 외부 표면에는 손잡이(410)가 구비된다. 손잡이(410)는 사용자가 경우에 따라 수동으로 차량고정바(400)를 분리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각도조절부(50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구동부(320)에 의해 케이싱(100)으로부터 루프(11)에 대해 수평하게 펼쳐진 스크린(200)이 차량(10)의 유리(15)를 덮을 수 있도록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부(310)의 각도를 조절한다.
스크린각도조절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권취축(23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양단이 한 쌍의 구동케이싱(100)을 관통하게 배치된 각도조절축(510)과, 각도조절축(510)의 일단에 결합되어 각도조절축(510)을 정역회전시키는 각도조절모터(520)를 포함한다.
스크린각도조절축(510)은 스크린권취축(230)의 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수용된다. 그리고, 스크린각도조절축(510)은 안테나구동부(320)의 구동케이싱(100)에 고정되게 결합되어 스크린각도조절축(510)의 각도변화가 구동케이싱(100)을 통해 안테나부(310)로 전달되게 한다.
스크린각도조절축(510)의 양단은 케이싱(100)의 각도조절축프레임(130)에 베어링(13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각도조절모터(520)는 스크린각도조절축(510)의 일단에 결합되어 스크린각도조절축(510)을 정역 구동시켜 안테나부(310)와 스크린(200)이 수평한 상태에서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회동되게 하거나, 반대로 아래에서 상부로 회동되게 한다.
한편, 케이싱(100)의 내부에는 와이어구동모터(325)와 각도조절모터(520) 및 열선(22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0)가 수용된다.
경우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00)의 상면에 태양광발전패널(700)이 구비되어 자체적으로 배터리(600)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1)은 경우에 따라 차량(10)의 배터리와 연결되어 차량(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1)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1)을 차량(10)의 루프(11)에 설치한다. 차량(10)의 앞유리(15)를 가리기 위한 용도일 경우 루프(11)의 전방에 케이싱(100)을 고정한다.
케이싱(100)은 자석, 양면접착제, 와이어, 결합고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1)은 리모컨(미도시)을 통해 스크린 개폐신호를 인가한다.
도 2와 도 4는 스크린(200)이 케이싱(100)의 내부에 권취된 상태의 사시도와 평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개방신호가 인가되기 전에는 스크린(200)은 스크린권취축(230)에 권취된 상태로 케이싱(100)의 내부에 수납된다.
이 때, 안테나부(310)는 서로 적층되게 접혀져 초기길이(ℓ1)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구동와이어(323)는 와이어축(322)에 권취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리모컨(미도시)을 통해 스크린 펼침 신호를 인가하면, 배터리(600)가 와이어구동모터(325)로 전원을 공급한다. 와이어구동모터(325)는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와이어(323)가 와이어안내기어(327)와 맞물리며 안테나부(310) 내부로 공급된다.
안테나부(310)로 공급되는 구동와이어(323)의 길이만큼 순차적으로 겹쳐져 있던 안테나(311,313,315)들이 펼쳐지며 도 5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부(310)의 길이가 길어진다. 차량고정바(400)에 의해 안테나부(310)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린(200)은 안테나부(310)의 길이 신장에 따라 견인되어 스크린권취축(230)으로부터 풀려지며 스크린배출공(120)으로 배출되며 펼쳐진다.
전체 구동와이어(323)가 모두 배출되고 안테나부(310)의 길이가 최대길이(ℓ2)로 길어지면, 스크린(200)은 완전히 펼쳐진다.
구동와이어(323)가 모두 배출된 것이 감지되면 와이어구동모터(325)의 동작이 멈춘다. 제어부(미도시)는 와이어구동모터(325)의 동작이 멈추면, 각도조절모터(52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각도조절모터(520)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의해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모터(520)가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되고, 각도조절축(510)이 하부를 향해 회동된다. 각도조절축(510)의 회동에 따라 좌우 한 쌍의 안테나부(310)와 이 사이에 결합된 스크린(200)이 함께 아래로 하강한다. 그리고, 스크린(200)과 안테나부(310)의 선단에 결합된 차량고정바(400)가 보닛(13)과 닿으며 자력에 의해 보닛(13)에 부착되며 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고정바(400)가 보닛(13)에 부착되면 스크린(200)은 차량 유리(15)를 덮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 하절기에는 차량 내부로 햇빛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동절기의 경우 사용자는 리모컨(미도시)을 통해 열선(220)을 동작시킨다. 제어부(미도시)는 배터리(600)의 전원이 열선(220)으로 공급되게 하여 열선(220)이 스크린(200)의 표면을 가열하게 한다. 이에 의해 유리(15)에 성에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눈이 오더라도 눈이 쌓이지 않게 된다.
한편, 스크린(200)을 접기 위해 사용자가 리모컨(미도시)을 통해 스크린 접힘 신호를 인가하면, 앞서 설명한 역순으로 각도조절모터(520)가 역방향으로 동작한다. 각도조절모터(520)가 역방향으로 동작되며 안테나부(310)가 상방향으로 회동되는 힘에 의해 차량고정바(400)가 보닛(13)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사용자는 손잡이(410)를 이용해 차량고정바(400)의 보닛(13) 분리를 보조할 수 있다.
각도조절모터(520)가 정해진 각도만큼 역회전되면, 제어부(미도시)는 각도조절모터(52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와이어구동모터(325)로 전원을 공급한다. 그리고, 와이어구동모터(325)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구동와이어(323)가 와이어축(322)에 권취되고, 구동와이어(323)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다단의 안테나(311,313,315)를 하부로 끌어당겨 안테나부(310)가 초기길이(ℓ1)로 짧아지게 한다.
한편, 스크린(200)이 펼쳐지게 지지하던 안테나부(310)의 견인력이 제거되면 스크린권취축(230)은 탄성지지부재(240)의 탄성력에 의해 스크린(200)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스크린(200)은 스크린권취축(230)의 표면에 권취되며 케이싱(100) 내부로 복귀 수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리모컨을 통해 인가하는 입력신호에 따라 전동으로 스크린이 펼쳐지거나 접혀지게 된다.
또한, 각도조절모터에 의해 스크린이 유리의 각도에 맞게 회동되고 차량고정바가 보닛에 고정되며 스크린이 유리 표면을 덮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에는 열선이 내장되어 동절기에 눈이 유리 표면에 쌓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전동 스크린장치 10 : 차량
11 : 루프 13 : 보닛
15 : 유리 100 : 케이싱
110 : 바닥면 120 : 스크린배출공
130 : 각도조절축프레임 131 : 베어링
200 : 스크린 210 : 스크린선단
220 : 열선 230 : 스크린권취축
240 : 탄성지지부재 300 : 스크린구동부
310 : 안테나부 311 : 최내부안테나
313 : 중간안테나 315 : 최외곽안테나
320 : 안테나구동부 321 : 구동케이싱
321a : 권취축지지홈 322 : 와이어축
323 : 구동와이어 325 : 와이어구동모터
327 : 와이어안내기어 329 : 전동수단
400 : 차량고정바 410 : 손잡이
500 : 스크린각도조절부 510 : 각도조절축
520 : 각도조절모터 600 : 배터리
700 : 태양광발전패널

Claims (5)

  1.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루프에 결합되며 전방을 향해 스크린배출공(120)이 폭방향으로 형성된 케이싱(100)과;
    상기 케이싱(100)의 내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다단으로 중첩되게 결합되어 서로 펼쳐지며 길이가 길어지거나 접혀지며 길이가 짧아지는 한 쌍의 안테나부(310)와, 상기 안테나부(310)와 결합되는 안테나구동케이싱(321)을 갖는 한 쌍의 스크린구동부(300)와;
    상기 한 쌍의 안테나구동케이싱(321) 사이에 아이들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스크린권취축(230)에 권취되며, 상기 안테나부(310)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으로부터 풀려 펼쳐지거나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에 감겨지는 스크린(200)과;
    상기 스크린(200)의 선단과 상기 한 쌍의 안테나부(310)의 선단을 서로 고정하여 상기 안테나부(310)의 길이변화에 따라 상기 스크린(200)이 견인되게 하며, 차량의 보닛에 결합되는 차량고정바(400)와;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의 내부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안테나구동케이싱(321)에 결합되고 일단이 각도조절모터(520)에 결합되는 각도조절축(510)을 가지며, 상기 케이싱(100)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안테나부(310)를 차량의 보닛을 향해 경사지게 회동시켜 상기 차량고정바(400)가 상기 보닛(13)에 결합되게 하고 상기 스크린(200)이 차량유리를 덮개 하는 스크린각도조절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안테나구동케이싱(321)의 벽면에 아이들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에는 상기 스크린(200)이 권취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이 회전되게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지지부재(240)가 결합되며,
    상기 각도조절축(510)은 상기 스크린권취축(23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안테나구동케이싱(321)에 관통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안테나구동케이싱(321) 중 하나의 외부로 노출된 일단은 상기 각도조절모터(5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고정바(400)는 자석 또는 전자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00)의 판면에는 열선이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
KR1020210131473A 2021-10-05 2021-10-05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 KR102659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473A KR102659087B1 (ko) 2021-10-05 2021-10-05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473A KR102659087B1 (ko) 2021-10-05 2021-10-05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708A KR20230048708A (ko) 2023-04-12
KR102659087B1 true KR102659087B1 (ko) 2024-04-18

Family

ID=8598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473A KR102659087B1 (ko) 2021-10-05 2021-10-05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0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027B1 (ko) * 2016-12-23 2017-04-18 문병국 자동차용 차양장치
KR102001099B1 (ko) * 2018-12-26 2019-07-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비막이 장치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892U (ko) 2009-01-30 2010-08-09 안무현 자동차 유리 덮개장치
KR20130021272A (ko) * 2011-08-22 2013-03-05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차량의 윈드실드용 차폐장치
KR20150080828A (ko) 2014-01-02 2015-07-10 김영삼 자동차용 유리 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027B1 (ko) * 2016-12-23 2017-04-18 문병국 자동차용 차양장치
KR102001099B1 (ko) * 2018-12-26 2019-07-1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비막이 장치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8708A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8766B1 (fr) Véhicule automobile pourvu d'un système de bâche de protection
US11279210B2 (en)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US10819272B2 (en) Roof rack assembly and hood light-blocking fabric assembly that are capable of photovoltaic generation
KR101950025B1 (ko)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프랙 조립체
KR101276146B1 (ko) 차량용 자동 커버 장치
US20050072532A1 (en) Self-powered motorized window awning
US20110088855A1 (en) Vehicle sunshade device
KR101725027B1 (ko) 자동차용 차양장치
KR101050515B1 (ko) 자동차 덮개 세트
US8104820B2 (en) Wiper-based sunshade and methods of use
KR102166275B1 (ko) 차량용 차양 장치
CN101254740A (zh) 汽车自动防护罩
KR102659087B1 (ko) 차량유리용 전동 스크린장치
CN205768576U (zh) 智能车衣
CN202242912U (zh) 一种车用可伸缩卷帘遮阳器
KR200483008Y1 (ko) 자동차용 서리 방지장치
CN205800743U (zh) 一种遮阳帘
CN2853483Y (zh) 电动卷筒式汽车防晒防雨篷
KR20060107609A (ko) 차량용 어닝
US20090242151A1 (en) Whole-covered sunshade assembly
JP3142829U (ja) 車の全覆い型カバー
KR102498828B1 (ko)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
KR200169786Y1 (ko) 자동차 후면유리용 차광장치
KR200430949Y1 (ko) 자동차용 차양장치
JP3139547U (ja) 乗用車用日除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