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8828B1 -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 - Google Patents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8828B1
KR102498828B1 KR1020210001439A KR20210001439A KR102498828B1 KR 102498828 B1 KR102498828 B1 KR 102498828B1 KR 1020210001439 A KR1020210001439 A KR 1020210001439A KR 20210001439 A KR20210001439 A KR 20210001439A KR 102498828 B1 KR102498828 B1 KR 102498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car
trunk
vehic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9326A (ko
Inventor
김만용
Original Assignee
김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용 filed Critical 김만용
Priority to KR1020210001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8828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8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8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4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at least the roof of the vehicle, e.g. for cover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외관 보호 및 자동차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하되,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쉽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자동차 커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집, 회사, 공장, 야외공터 등의 노출된 야외공간에 자동차를 주차할 때 이물질에 의한 자동차의 외관을 보호함과 동시에 직사광선에 의한 차량 내부 온도의 상승을 방지하고, 트렁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감김 구동부를 통해 사용자가 쉽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한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Vehicle protective cover equipped with self-winding watch driving unit and vehicle cover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외관 보호 및 자동차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하되,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쉽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자동차 커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집, 회사, 공장, 야외공터 등의 노출된 야외공간에 자동차를 주차할 때 이물질에 의한 자동차의 외관을 보호함과 동시에 직사광선에 의한 차량 내부 온도의 상승을 방지하고, 트렁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자동감김 구동부를 통해 사용자가 쉽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세차시 에너지 절약 및 오염된 물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오늘날 현대산업과 생활환경이 발전함에 따라 자동차 사용의존이 높아져 산업적 및 대중적으로 널이 이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 댓수의 증가에 따라 주거지역, 회사, 공장 및 야외공터 주변 등에 자동차를 주차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의 주차공간은 실내 또는 실외로 구분되어 있으나 실내 주차공간의 협소한 경우로 인해 실외에 주차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고, 실외에 주차하는 경우 별도의 보호없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다.
이때, 외부에 노출된 자동차는 차체에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과 여름철 자동차의 실내 온도 상승 및 겨울철에 성에 등이 끼지 않도록 보호덮개를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인 종래의 자동차용 보호덮개는 차체가 덮힐 정도의 크기로 원단을 형성하고 가장자리 둘레에 고무밴드나 끈을 구비하여 차체에 씌우도록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운전자 혼자서 보호덮개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운전자들이 사용을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3049호에는 차량의 지붕을 커버하는 중앙부와, 운전석의 앞유리를 커버하는 전면부와, 차량의 뒷유리를 커버하는 후면부와, 차량의 좌우측면 유리를 커버하는 측면부로 이루어진 커버천과 상기 전면부와 좌우 측면부에 구비되며 차량의 사이드밀러 하부에서 상호 결합하여 커버천을 차량에 지지하는 연결지지수단과 상기 측면부에 구비되고 커버천을 설치할 때 차량의 도어에 물려 고정됨으로써 커버천을 차량에 지지시키는 고정띠와 상기 후면부에 설치되며 차량의 트렁크에 고정 지지되어 커버천을 차량에 지지시키는 고정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보호 커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3049호는 차량의 지붕을 커버하는 중앙부와 중앙부에 각각 연결되는 전면부, 후면부 및 측면부가 차량의 외부에 고정띠 등으로 부착되어, 전면부와 측면부의 사이 및 측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으로 바람이 유입되는 경우 부착된 커버가 벗겨질 수 있으며, 커버를 설치하거나 설치된 커버를 제거하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접어서 제거하거나 말아서 보관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25112호에는 차체 하부 테두리 측을 빙둘러 일체형성되는 제1탄성부재와, 차체 탑승문 하부측을 지나 전방 보닛 개방측과 후방 트렁크 개방측을 빙둘러 일체연결형성되는 제2탄성부재와, 차체 탑승문 하부측과 상판부를 지나도록 일체형성되는 제3탄성부재를 커버원단에 결합시켜 차체의 외부형상에 맞게 펼쳐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보호커버를 손쉽게 펼쳤다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원터치 자동차용 보호커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25112호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탄성부재의 힘으로 펼쳐지도록 구성하는바, 차량을 파손시킬 우려가 있고, 걸고리를 통해 차량과 연결하기 때문에 상기 걸고리가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 이동하는 경우 차량을 파손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공통적으로 사용자 즉, 운전자가 설치 및 설치를 해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으로 자동차용 보호덮개를 설치 및 설치 해체할 수 있는 종래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3317호에는 보관함 내에 커버가 길이방향으로 절곡되며 권취되어 보관이 가능하고, 사용시에는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에서 보관함을 고정시킨 후 보관함으로써 커버를 인출하여 사용하되, 차량에 사전에 밀착부재를 설치하고, 이러한 밀착부재에 착탈이 가능한 금속재질의 부착판을 커버 내에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설치된 커버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한 휴대용 차량보호커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3317호는 보관함을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필요하고, 상기 보관함의 고정시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도장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설치 후 별도의 잠금장치가 없어 도난의 위험이 있다.
아울러,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3317호 외에도 탄성력을 이용하거나 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차용 보호덮개를 설치하거나 설치 해체하는 종래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평상시 별도로 보관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차량의 차체에 직접 설치되어 차량의 외관을 바뀌게 하여 차량 차체의 개조가 필요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도난을 방지하기 어렵고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높아 쉽게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83049호(2009.08.0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25112호(2008.03.1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3317호(2012.04.3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자동차용 보호덮개는 운전자 혼자 설치 및 설치의 해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평상시 보관이 어렵거나 차량의 범퍼 또는 차체에 설치되어 차량의 외관을 바꿔야하므로 실제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으로 평상시 트렁크 등 자동차의 실내에 보관할 수 있고, 필요시 트렁크 내부에 설치되어 보호덮개를 인출시킨 후 트렁크리드에 의해 상기 보호덮개의 후방을 가압함으로써, 도난을 방지함과 동시에 구동축에 권취된 보호덮개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보호덮개의 설치 해체시 스파이럴 스프링 또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자동감김 구동부를 통해 자동으로 구동축에 상기 보호덮개가 권취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한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제1개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방으로 자동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후방말단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에 권취되고,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권출되어 트렁크의 후방으로 인출된 후 트렁크리드에 의해 후방이 가압되는 보호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렁크리드의 리드암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은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축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개구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수동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호덮개는 후방에 양 갈래로 이루어져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축에 후방말단이 결합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전방에 연장형성되되, 폭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확장부 및 상기 확장부의 전방에 연장형성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호덮개는 상기 본체의 양측 후방에 구비되어 자동차 후문의 손잡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걸이부와 상기 본체의 양측 전방에 구비되어 자동차 앞문의 손잡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걸이부 및 상기 본체의 전방 말단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는 탄성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확장부는 양측 가장자리에 내입되도록 설치되어 전방을 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당김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방걸이부(350)는 상기 확장부(320)와 본체(330)의 경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트렁크리드를 열어 트렁크를 개방하고,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의 하우징을 트렁크 내부에 설치하는 준비단계와 상기 하우징의 제1개구부를 통해 구동축에 권취된 보호덮개를 구동축으로부터 권출시켜 트렁크의 후방으로 인출하고, 트렁크리드를 닫아 트렁크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보호덮개의 후방을 가압하는 인출단계 및 트렁크의 후방으로 인출된 보호덮개를 자동차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고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준비단계, 인출단계, 고정단계를 역순으로 진행하여 상기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를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커버방법을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은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되어 제조비용이 저렴하므로 부담없이 사용될 수 있는 효과와;
트렁크 내부에 설치되어 보호덮개가 인출되도록 한 후 트렁크리드에 의해 상기 보호덮개를 가압함으로써, 도난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구동축에 권취된 보호덮개를 잡아당기는 동작만으로 쉽게 인출하고 탄성력을 갖는 걸이부를 통해 쉽게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상기 구동축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스파이럴 스프링 또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자동감김 구동부를 통해 설치된 보호덮개를 상기 구동축에 쉽게 권취시켜 해체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효과; 및
자동차의 차체를 보호하여 세차시 필요한 물의 소모가 적어 물을 절약할 수 있음은 물론 세차시 오염된 물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호덮개가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호덮개가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가 트렁크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가 트렁크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호덮개가 자동차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를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은 자동차 외관 보호 및 자동차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하되,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쉽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자동차 커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집, 회사, 공장, 야외공터 등의노출된 야외공간에 자동차를 주차할 때 이물질에 의한 자동차의 외관을 보호함과 동시에 직사광선에 의한 자동차 내부 온도의 상승을 방지하고, 보호덮개(300)의 말단이 결합된 구동축(200)을 구비하는 하우징(100)이 트렁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파이럴 스프링(400) 또는 구동모터(미도시)로 구성되는 자동감김 구동부를 통해 상기 구동축(200)을 회전시켜 보호덮개(300)의 권취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보호덮개(300)의 설치 및 설치 해체가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한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감김 구동무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의 구성은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제1개구부(11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방으로 자동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축(200); 및 상기 구동축(200)에 후방말단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200)에 권취되고, 상기 구동축(200)으로부터 권출되어 트렁크의 후방으로 인출된 후 트렁크리드(10)에 의해 후방이 가압되는 보호덮개(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100)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렁크리드(10)의 리드암(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고리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하우징(100)은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축(200)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개구부(130)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수동손잡이(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호덮개(300)는 후방에 양 갈래로 이루어져 홈부(312)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축(200)에 후방말단이 결합되는 연결부(310);와 상기 연결부(310)의 전방에 연장형성되되, 폭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확장부(320); 및 상기 확장부(320)의 전방에 연장형성되는 본체(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보호덮개(300)는 상기 본체(330)의 양측 후방에 구비되어 자동차 후문의 손잡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걸이부(350);와 상기 본체(330)의 양측 전방에 구비되어 자동차 앞문의 손잡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걸이부(350); 및 상기 본체(330)의 전방 말단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는 탄성밴드(3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확장부(320)는 양측 가장자리에 내입되도록 설치되어 전방을 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당김줄(3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방걸이부(350)는 상기 확장부(320)와 본체(330)의 경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차 커버방법의 구성은
트렁크리드(10)를 열어 트렁크를 개방하고,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의 하우징(100)을 트렁크 내부에 설치하는 준비단계(S10);와 상기 하우징(100)의 제1개구부(110)를 통해 구동축(200)에 권취된 보호덮개(300)를 구동축(200)으로부터 권출시켜 트렁크의 후방으로 인출하고, 트렁크리드(10)를 닫아 트렁크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보호덮개(300)의 후방을 가압하는 인출단계(S20); 및 트렁크의 후방으로 인출된 보호덮개(300)를 자동차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고정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준비단계(S10), 인출단계(S20), 고정단계(S30)를 역순으로 진행하여 상기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를 해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자동차 커버방법을 설명하기 전에 앞서 통상적인 자동차의 후방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트렁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트렁크는 개폐가능하도록 자동차 차체와 한 쌍의 리드암(12)으로 힌지결합되는 트렁크리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트렁크리드(10)는 후방 하부가 상기 트렁크의 후방에 구비된 결합링(20)에 의해 착탈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의 주요 구성요소인 하우징(100)은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제1개구부(110)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평상시 자동차의 실내 또는 트렁크 내부에 보관되고, 필요시 상기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에 설치되어 고정됨으로써,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보호덮개(300)가 구동축(200)으로부터 권출되어 후방으로 인출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렁크의 트렁크리드(10)의 리드암(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고리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걸고리부(120)에 의해 트렁크리드(10)의 리드암(12)에 결합됨으로써, 트렁크의 내부에 설치된 후 고정되어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보호덮개(300)가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내부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구동축(20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200)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보호덮개(300)가 권취되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보관공간(미표시)이 형성되며, 상기 제1개구부(110)를 통해 권취된 보호덮개(300)가 권취 및 권출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호덮개(300)의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상부에 상기 제1개구부(110)를 개폐하는 개폐도어(미도시)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제1개구부(110)를 폐쇄하여 권취된 보호덮개(300)의 보관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필요시 구성될 수 있어 도시 및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걸고리부(120)는 하부가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결합되고, 상부에 후크 등의 결합수단이 구비되어 트렁크리드(10)의 리드암(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종래에 사용되는 착탈구조 중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고리부(120)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결합되는 밴드(미표시)와 상기 밴드의 상부에 하부가 결합되는 후크(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간편하게 상기 후크를 리드암(12)에 걸어 고정시켜 상기 하우징(100)을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후크 대신에 상기 리드암(12)에 간편하게 착탈될 수 있는 종래의 어떠한 결합구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의 주요 구성요소인 구동축(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방으로 자동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보호덮개(300)의 후방 말단이 결합되어 평상시 상기 보호덮개(300)가 권취된 후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보호덮개(300)가 권출되어 후방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호덮개(300)를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구동축(200)은 상기 보호덮개(300)가 자동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0)에 전방으로 자동되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에 따라 보호덮개(300)의 설치 해체시 상기 보호덮개(300)를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쉽게 보호덮개(300)를 설치 및 설치 해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동축(2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즉, 보관공간에 설치되되, 양측이 상기 하우징(100)의 보관공간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된 자동감김 구동부를 통해 전방으로 자동 회전되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자동감김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되, 상기 구동축(200)과 연결되는 구동모터(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구동모터는 사용자가 보호덮개(300)의 설치 해체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구동축(200)에 상기 보호덮개(300)가 자동으로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자동감김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측 또는 타측 즉, 보관공간의 일측 또는 타측에 설치되되, 상기 구동축(200)의 일측이 관통되어 설치되는 스파이럴 스프링(400)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400)은 평상시 구동축(200)을 전방으로 회전탄성지지함으로써, 보호덮개(300)가 상기 구동축(200)에 권취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고, 필요시 사용자가 상기 보호덮개(300)를 잡아당겨 상기 구동축(200)으로부터 권출되도록 하여 인출한 후 자동차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400)은 단순히 상기 구동축(200)을 전방으로 회전탄성지지하는 종래의 일반적인 구성이 아닌 상기 보호덮개(300)를 잡아당겨 상기 구동축(200)으로부터 권출할 때 잡아당긴 위치에서 상기 구동축(200)의 전방으로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하고, 상기 보호덮개(300)를 끝까지 잡아당겼을 때 상기 구동축(200)의 전방으로의 정지된 회전이 해제되어 상기 보호덮개(300)가 상기 구동축(200)에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 또한 종래에 스파이럴 스프링을 이용한 자동전선 감김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하우징(100)은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본 발명의 구동축(200)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개구부(130)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수동손잡이(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구동축(200)은 보호덮개(300)의 설치 해체시 상기 보호덮개(300)가 자동으로 권취될 때 걸림에 의해 상기 회전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수동손잡이(210)를 통해 전방 또는 후방을 회전되어 상기 보호덮개(300)가 원활하게 권취 및 권출 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수동손잡이(210)는 앞서 설명된 자동감김 구동부를 구성하는 구동모터 또는 스파이럴 스프링(400)과 함께 설치되어 상기 자동감김 구동부의 오작동 또는 보호덮개(300)의 꼬임으로 인해 상기 구동축(200)이 자동으로 회전되지 않는 경우 상기 구동축(200)을 강제로 회전시켜 상기 보호덮개(300)가 원활하게 권취 또는 권출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구동모터 또는 스파이럴 스프링(400) 없이 단독으로 상기 자동감김 구동부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호덮개(300)를 용이하게 상기 구동축(200)에 권취 및 권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의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의 주요 구성요소인 보호덮개(300)는
상기 구동축(200)에 후방말단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200)에 권취되고, 상기 구동축(200)으로부터 권출되어 트렁크의 후방으로 인출된 후 트렁크리드(10)에 의해 트렁크가 폐쇄되면 상기 트렁크리드(10)의 후방 하부로 인해 후방이 가압되는 것으로서, 상기 트렁크리드(10)에 의해 후방이 고정되어 상기 구동축(200)으로부터 더이상 권출되지 않아 상기 구동축(200)에 자동으로 권취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자동차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외표면을 보호한다.
이때, 본 발명의 보호덮개(300)의 재질은 종래에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 또는 이물질에 의한 오염방지 등을 위한 어떠한 자동차용 보호덮개의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보호덮개(300)는 후방에 양갈래로 이루어져 홈부(312)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축(200)에 후방말단이 결합되는 연결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연결부(310)는 상기 홈부(312)를 통해 트렁크리드(10)가 트렁크의 후방에 구비된 결합링(20)에 결합되어 상기 트렁크를 폐쇄할 때 찢어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홈부(312)는 결합링(20)이 형성된 위치에 정확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310)의 후방 말단부터 전방까지 여유있게 즉, 상기 구동축(200)으로부터 트렁크의 후방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덮개(300)는 상기 연결부(310)의 전방에 연장형성되되, 폭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확장부(320)와, 상기 확장부(320)의 전방에 연장형성되는 본체(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확장부(320)는 상기 연결부(310)로부터 상기 본체(330)의 폭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여 자동차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330)는 상기 연결부(310)와 상기 확장부(320)를 통해 연장되도록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자동차의 상부를 덮어 자동차의 외관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본체(330)는 자동차의 후방과 전방까지 충분히 덮힐 수 있도록 넓이가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의 창문 즉, 앞유리창와 측면유리창 및 후면유리창을 덮을 수 있는 최소의 넓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앞범퍼까지 덮을 수 있는 넓이로 형성되어 보다 설치가 간편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보호덮개(300)는 상기 본체(330)가 원활하게 자동차의 상부를 덮은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330)의 양측 후방에 구비되어 자동차 후문의 손잡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걸이부(350)와, 상기 본체(330)의 양측 전방에 구비되어 자동차 앞문의 손잡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걸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걸이부(350)와 전방걸이부(350)는 앞서 설명된 하우징(100)의 걸고리부(120)와 마찬가지로 말단에 후크가 구비되어 자동차의 후문 및 앞문의 손잡이에 간편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도 무방하고, 자동차의 후문 및 앞문의 손잡이에 스크레치 및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말단에 암수부직포 또는 똑딱단추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후방걸이부(350)와 전방걸이부(350)는 탄성을 가지는 밴드 즉, 탄성밴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탄성력에 의해 보호덮개(300)의 본체(330)가 자동차의 상부에 견고하게 안착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말단에 앞서 설명된 암수부직포 또는 똑딱단추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호덮개(300)는 상기 본체(330)의 전방 말단 일측과 전방 말단 타측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는 탄성밴드(3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탄성밴드(360)는 사용자에 의해 자동차의 앞범퍼의 하부로 설치됨에 따라 상기 본체(330)의 전방이 자동차의 앞유리창에 견고하게 안착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밴드(360)는 앞서 설명된 후방걸이부(350)와 전방걸이부(350)와 같은 재질 즉, 탄성을 가지는 밴드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중앙에 암수버클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탄성밴드(360)는 상기 본체(330)의 전방 말단 일측에 결합되고, 타측 말단에 암버클 또는 수버클이 구비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1탄성밴드(360)와 상기 본체(330)의 전방 말단 타측에 결합되고, 일측 말단에 수버클 또는 암버클이 구비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2탄성밴드(3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탄성밴드(360)의 탄성력에 따라 상기 탄성밴드(36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필요시 암버클과 수버클의 결합을 해제하였다가 결합하는 방법으로 보다 쉽게 상기 탄성밴드(360)를 자동차의 앞범퍼의 하부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확장부(320)는 양측 가장자리에 내입되도록 설치되어 전방을 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당김줄(3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당김줄(322)은 상기 확장부(320)의 전방을 후방으로 탄성지지하여 상기 본체(330)의 후방의 폭을 좁아지도록 함으로써, 보호덮개(300)의 설치 해체시 구동축(200)에 상기 보호덮개(300)가 원활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후방걸이부(350)는 상기 확장부(320)와 본체(330)의 경계 즉, 상기 본체(330)의 양측 후방 말단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확장부(320)는 상기 후방걸이부(350)가 자동차의 후문 손잡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당김줄(322)에 인장력이 발생하여 상기 본체(330)의 후방이 확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보호덮개(300) 즉, 상기 확장부(320)와 본체(330)는 하부면 가장자리에 미끄럼방지패드(3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70)는 상기 보호덮개(300)가 기본적으로 탄성밴드(360)와 후방걸이부(350) 및 전방걸이부(350)를 통해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자동차 차체와의 마찰력을 높여 보다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미끄럼방지패드(370)는 매끈한 자동차의 차체와 높은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면에 미끄럼방지돌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는 상기 보호덮개(300)를 설치 해제할 때, 상기 구동축(200)에 더욱더 원활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보호덮개(300)에 장력을 형성시키는 가이드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되되, 양측이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개구부(110)의 전후방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가이드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사용자가 상기 보호덮개(300)를 설치 해체할 때, 회전되어 구동축(200)으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상기 보호덮개(300)의 후방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보호덮개(300)가 구동축(200)과 장력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축(200)에 상기 보호덮개(300)가 꼬이는 것이 최소화됨과 동시에 부피가 최소화되며 원활하게 권취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기 보호덮개(300)가 권취되는 권취력보다 강하게 상기 보호덮개(300)의 후방을 가압하여야 하므로 충분한 무게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앞서 설명된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의 주요 구성요소인 준비단계(S10)는 트렁크리드(10)를 열어 트렁크()를 개방하고,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의 하우징(100)을 트렁크 내부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에 구비된 걸고리부(120)를 트렁크리드(10)의 리드암(12)에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100)을 트렁크 내부에 부양된 상태로 설치한다.
즉, 상기 준비단계(S10)는 상기 하우징(100)을 트렁크 내부에 부양된 상태로 설치함에 따라 이후에 구동축(200)에 권취된 보호덮개(300)를 권출하여 트렁크의 후방으로 인출할 때, 상기 보호덮개(300)가 상기 트렁크()의 후방에 걸리지 않고 보다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의 주요 구성요소인 인출단계(S2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제1개구부(110)를 통해 구동축(200)에 권취된 보호덮개(300)를 구동축(200)으로부터 권출시켜 트렁크의 후방으로 인출하고, 트렁크리드(10)를 닫아 트렁크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보호덮개(300)의 후방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호덮개(300)를 상기 구동축(200)으로부터 충분히 권출시켜 인출한 후 상기 트렁크리드(10)를 닫아 후방이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보호덮개(300)를 자동차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인출단계(S20)는 구동축(200)에 권취되어 보관되어 있는 보호덮개(300)를 권출시켜 트렁크의 후방으로 인출한 다음 트렁크리드(10)를 닫아 트렁크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보호덮개(300)의 후방을 고정하여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트렁크 내부에 있는 하우징(100)의 도난을 방지함으로써, 보호덮개(300)가 유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의 주요 구성요소인 고정단계(S30)는 트렁크의 후방으로 인출된 보호덮개(300)를 자동차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호보덮개를 자동차의 상부로 구부려 덮어 상기 자동차의 차체가 보호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단계(S30)는 상기 보호덮개(300)의 전방에 구비된 탄성밴드(360)의 길이를 조절한 후 자동차의 앞범퍼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고정단계(S32)와, 상기 보호덮개(300)의 양측에 구비된 후방걸이부(350)와 전방걸이부(350)를 각각 자동차 후문 손잡이와 자동차 앞문 손잡이에 결합하는 제2고정단계(S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단계(S30)는 사용자가 탄성밴드(360)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앞범퍼의 하부로 상기 탄성밴드(360)를 걸어 상기 보호덮개(300)의 전방을 고정하고, 상기 후방걸이부(350)와 전방걸이부(350)를 통해 상기 보호덮개(300)의 양측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호덮개(300)가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자동차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보호덮개(300)를 설치 해체하기 위해 상기 준비단계(S10), 인출단계(S20), 고정단계(S30)를 역순으로 진행하되, 각각의 단계를 역순으로 진행한다.
이때, 상기 인출단계(S20)의 역순 진행시 앞서 설명된 가이드부재(50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보호덮개(300)의 후방 상부를 가압하도록 하여 상기 보호덮개(300)가 더욱더 원활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한 다음 상기 보호덮개(300)를 완전히 인출시켜 상기 구동축(200)에 자동감김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권취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은 구성이 간단하면서 보관이 쉽고, 설치가 간편함은 물론 도난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설치 해체 또한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임으로써,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트렁크리드 12 : 리드암
100 : 하우징 110 : 제1개구부
120 : 걸고리부 130 : 제2개구부
200 : 구동축 210 : 수동손잡이
300 : 보호덮개 310 : 연결부
312 : 홈부 320 : 확장부
322 : 당김줄 330 : 본체
340 : 후방걸이부 350 : 전방걸이부
360 : 탄성밴드

Claims (10)

  1.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에 제1개구부(110)가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방으로 자동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동축(200);와
    상기 구동축(200)에 후방말단이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200)에 권취되고, 상기 구동축(200)으로부터 권출되어 트렁크의 후방으로 인출된 후 트렁크리드(10)에 의해 후방이 가압되며, 자동차에 설치되는 보호덮개(300); 및
    상기 보호덮개(300)를 설치 해제할 때, 상기 보호덮개(300)가 구동축(200)과 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재(5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되되, 양측이 상기 하우징(10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개구부(110)의 전후방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트렁크리드(10)의 리드암(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걸고리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2개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축(200)은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제2개구부(130)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수동손잡이(2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300)는
    후방에 양 갈래로 이루어져 홈부(312)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축(200)에 후방말단이 결합되는 연결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300)는
    상기 연결부(310)의 전방에 연장형성되되, 폭이 확장되도록 형성되는 확장부(320);와
    상기 확장부(320)의 전방에 연장형성되는 본체(3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300)는
    상기 본체(330)의 양측 후방에 구비되어 자동차 후문의 손잡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방걸이부(340);와
    상기 본체(330)의 양측 전방에 구비되어 자동차 앞문의 손잡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방걸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300)는
    상기 본체(330)의 전방 말단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결합되는 탄성밴드(3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320)는
    양측 가장자리에 내입되도록 설치되어 전방을 후방으로 탄성지지하는 당김줄(3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걸이부(340)는
    상기 확장부(320)와 본체(330)의 경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에 있어서,
    트렁크리드(10)를 열어 트렁크를 개방하고,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의 하우징(100)을 트렁크 내부에 설치하는 준비단계(S10);와
    상기 하우징(100)의 제1개구부(110)를 통해 구동축(200)에 권취된 보호덮개(300)를 구동축(200)으로부터 권출시켜 트렁크의 후방으로 인출하고, 트렁크리드(10)를 닫아 트렁크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보호덮개(300)의 후방을 가압하는 인출단계(S20); 및
    트렁크의 후방으로 인출된 보호덮개(300)를 자동차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고정단계(S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준비단계(S10), 인출단계(S20), 고정단계(S30)를 역순으로 진행하여 상기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를 해체하며,
    상기 인출단계(S20)의 역순 진행시 가이드부재(500)를 전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보호덮개(300)의 후방 상부를 가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커버방법.
KR1020210001439A 2021-01-06 2021-01-06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 KR102498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439A KR102498828B1 (ko) 2021-01-06 2021-01-06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439A KR102498828B1 (ko) 2021-01-06 2021-01-06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326A KR20220099326A (ko) 2022-07-13
KR102498828B1 true KR102498828B1 (ko) 2023-02-10

Family

ID=8240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439A KR102498828B1 (ko) 2021-01-06 2021-01-06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88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9169Y1 (ko) * 1987-07-06 1989-12-18 김정화 자동차용 차양커어버
KR900004968Y1 (ko) * 1988-01-23 1990-06-05 김전 텐트 겸용 차량카바
JPH07237456A (ja) * 1994-03-01 1995-09-12 Junji Inoue 車用ル−フシ−ト
KR20090083049A (ko) 2008-01-29 2009-08-03 하영우 차량용 보호덮개
KR20080025112A (ko) 2008-02-29 2008-03-19 박종일 원터치 자동차용 보호커버
KR101143317B1 (ko) 2011-05-26 2012-05-09 박기한 보관 및 설치가 용이한 휴대용 차량보호커버
KR20180084468A (ko) * 2017-01-17 2018-07-25 양해강 자동차용 덮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326A (ko)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7196A (en) Automobile cover deployment and storage system
US6513858B1 (en) Roll-up car cover
US5456515A (en) Vehicle window and windshield cover
US9623740B1 (en) Vehicle sunshade
US20200254862A1 (en) Vehicle automatic covering device
CA2576363A1 (en) Vehicle protecting cover device
US11214135B1 (en) Portable automatic vehicle canopy
KR101125841B1 (ko)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WO2017087960A1 (en) Integrated shade system as a window covering
KR102498828B1 (ko)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
KR101472928B1 (ko) 자동차의 빗물가리개
US11167630B1 (en) Portable automatic vehicle canopy
US7121610B2 (en) Combination shade and handle device
KR20060107609A (ko) 차량용 어닝
KR200340768Y1 (ko) 차량에 설치되는 빗물 차단장치
KR102631971B1 (ko) 자동차 보호덮개장치
US9770963B1 (en) Windshield sunshade
KR200171560Y1 (ko) 자동차 앞유리 차양장치
CN217917584U (zh) 安装结构、全自动汽车遮阳篷和车载行李架
KR102663805B1 (ko) 차량용 커버장치
CN209813694U (zh) 遮阳避雪车用防护卷帘
CN220314690U (zh) 一种易卷折叠汽车遮阳结构
KR200430949Y1 (ko) 자동차용 차양장치
US20050161971A1 (en) Adjustable windshield for golf carts
JP4006480B2 (ja) 自動車用カバー収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