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805B1 - 차량용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805B1
KR102663805B1 KR1020220095340A KR20220095340A KR102663805B1 KR 102663805 B1 KR102663805 B1 KR 102663805B1 KR 1020220095340 A KR1020220095340 A KR 1020220095340A KR 20220095340 A KR20220095340 A KR 20220095340A KR 102663805 B1 KR102663805 B1 KR 102663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protective cover
cover
rotating roll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7509A (ko
Inventor
윤여명
Original Assignee
윤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명 filed Critical 윤여명
Priority to KR1020220095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805B1/ko
Publication of KR20240017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4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for covering at least the roof of the vehicle, e.g. for covering the whol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1/00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or parts of vehicles, e.g. parking covers
    • B60J11/02Covers wound 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차량용 커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버장치는, 차량의 트렁크 도어 하면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에 권취되도록 설치되고, 트렁크 도어의 개방에 따라 형성되는 차량과 트렁크 도어 사이의 출입공간을 통해 차량의 전면 방향으로 풀림되어 펼쳐지도록 전개되거나 또는 전개된 후 회전롤러에 되감기고, 차량의 전면 방향과 대응되는 일측 선단에 연결부가 마련되는 보호커버; 및 차량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보호커버를 차량에 팽팽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커버장치{Cover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 눈 및 비 등으로부터 차량을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산업과 생활환경이 발전함에 따라 자동차 사용의존이 높아져 산업적 및 대중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차량 댓수의 증가에 따라 주거지역, 회사, 공장 및 야외공터 주변등에 차량을 대부분 주차하게 된다.
차량의 주차공간은 실내 또는 실외로 구분되어 있으나 대부분이 실외에 주차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실정에 있고, 차량은 야외에 그대로 노출되어 별도의 보호 없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게 된다.
차량을 야외에 주차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표면에 눈이나 비가 떨어져 차량의 부식을 발생시킬 수 있고, 차량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여 자주 세차를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외에도, 여름철의 경우에는 강한 자외선에 의해 차량 표면의 도막층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근래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차광 형태의 커버로 차량의 외관을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직사광선에 의한 차량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 다양한 형태의 선행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차량용 커버는 대부분의 차량용 커버는 방수 재질의 직물지를 차량의 외측면의 형태와 대응되게 형성한 후, 하단부를 별도의 끈이나 고리 등을 이용하여 차체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차량용 커버는 여러 번의 설치 및 해체 등에 의해 재사용함에 따라, 차량에서 분리하여 보관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그 무게가 무겁고 물기나 먼지가 묻어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을 더럽히는 등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커버는 차량과 별도로 형성되고, 차량에 끈이나 고리 등에 의해 결속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외부인에 의해 쉽게 도난을 당할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2010-60441호(공개일자: 2010년 06월 07일) KR 등록특허공보 제10-2054619호(등록일자: 2019년 12월 04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트렁크 내에서 차량의 전면 방향으로 전개되거나 또는 차량의 트렁크 내로 회수됨으로써, 자외선, 눈 및 비 등으로부터 차량을 보호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확보하면서도 외부인에 의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눈과 같이 일정 중량을 갖는 이물질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여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차량용 커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트렁크 도어 하면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에 권취되도록 설치되고, 트렁크 도어의 개방에 따라 형성되는 차량과 트렁크 도어 사이의 출입공간을 통해 차량의 전면 방향으로 풀림되어 펼쳐지도록 전개되거나 또는 전개된 후 회전롤러에 되감기고, 차량의 전면 방향과 대응되는 일측 선단에 연결부가 마련되는 보호커버; 및 차량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보호커버를 차량에 팽팽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회전롤러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전개되어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메인커버; 및 상기 메인커버의 양측에 삼각형상의 날개 형상으로 대응되도록 확장 형성되고, 삼각형상의 둘레 내부에 탄성끈이 설치되며, 상기 탄성끈에 의해 차량의 사이드미러에 고정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차량의 범퍼 영역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에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힌지를 기준으로 하여 보호커버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보호커버의 장력조절을 위해 힌지를 중심으로 벌어지거나 모아지도록 동작되는 장력조절부; 및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의 동작시 일정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호커버에 형성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내측 표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외측 표면에 상기 안내롤러를 보호커버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홈의 바닥은 직선면 또는 상기 안내롤러와 대응되는 파형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롤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롤러, 보호커버 및 고정부재에 의해, 차량의 트렁크 내에서 차량의 전면 방향으로 전개되어 차량 상부를 덮도록 고정되거나 또는 트렁크 내로 회수됨으로써, 자외선, 눈 및 비 등으로부터 차량을 보호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확보하면서도 외부인에 의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재의 장력조절구조에 의해 눈을 포함하는 일정 중량을 갖는 이물질에 의한 보호커버의 처짐이 방지됨으로써 보호커버를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버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커버장치를 평면상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버장치에 마련된 보호커버의 전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버장치에 마련된 고정부재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버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버장치는, 회전롤러(10)와, 보호커버(20)와, 그리고 고정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버장치는 차량(1)의 트렁크(2) 내에 권취되도록 설치된 보호커버(20)를 외부로 전개시켜 자외선, 눈 및 비 등으로부터 차량(1)을 보호할 수 있고, 미사용시 트렁크(2) 내로 편리하게 회수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것이다.
회전롤러(10)는 차량(1)의 트렁크 도어(3) 하면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회전롤러(10)는 트렁크(2) 내에서 모터(도면에 미도시)와 연결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모터는 회전롤러(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차량(1)의 운전석에서 스위치 등에 의해 유선으로 동작되거나 또는 차량용 무선키에 의해 무선으로 동작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보호커버(20)는 회전롤러(10)에 권취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보호커버(20)는 트렁크 도어(3)의 개방에 따라 형성되는 차량(1)과 트렁크 도어(3) 사이의 출입공간을 통해 차량(1)의 전면 방향으로 풀림되어 펼쳐지도록 전개되거나 또는 전개된 후 회전롤러(10)에 되감기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보호커버(20)는 자외선, 눈 및 비 등으로부터 차량(1)을 보호할 수 있도록 일정한 차광 및 방수 기능을 갖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커버(20)는 메인커버(22) 및 보조커버(26)로 구성된다. 메인커버(22)는 회전롤러(10)으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전개되어 차량(1)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30)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메인커버(22)는 차량의 전면 방향과 대응되는 일측 선단에 연결부(24)가 형성된다. 이때, 연결부(24)는 메인커버(22)의 일측 선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연결부(24)는 메인커버(22)에 형성되는 지지판(24A) 및 지지판(24A)의 내측 표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24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메인커버(22)는 차량(1)의 전면 방향으로 전개된 후, 차량(1)의 전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30)와 연결되게 된다.
보조커버(26)는 메인커버(22)의 양측에 삼각형상의 날개 형상으로 확장 형성된다. 이러한 보조커버(26)는 삼각형상의 둘레 내부에 탄성끈(28)이 설치된다. 즉, 보조커버(26)는 메인커버(22)와 달리 탄성끈(28)에 의해 차량(1)의 사이드미러에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재(30)는 차량(1)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보호커버(20)의 연결부(24)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보호커버(20)를 차량에 팽팽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며, 흡착부(32)와, 장력조절부(34)와, 그리고 탄성부(39)를 포함한다.
흡착부(32)는 차량(1)의 범퍼 영역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흡착부(32)는 진공흡착구조를 갖는 흡착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력조절부(34)는 흡착부(32)에 결합되는 제1 부재(35) 및 제1 부재(35)와 힌지(37)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 부재(36)로 구성되고, 제1 부재(35)와 제2 부재(36)는 힌지(37)를 기준으로 하여 보호커버(20)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장력조절부(34)는 제1 부재(35)와 제2 부재(36)가 보호커버(20)의 장력조절을 위해 힌지(37)를 중심으로 벌어지거나 모아지도록 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부재(35)와 제2 부재(36)는 외측 표면에 안내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홈(38)은 보호커버(20)에 마련된 연결부(24)의 안내롤러(24B)를 안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안내홈(38)의 바닥은 직선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내롤러(24B)는 안내홈(38) 상에서 직선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안내홈의 바닥은 직선면으로 형성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안내홈(38)의 바닥은 안내롤러(24B)와 대응되는 파형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롤러(24B)는 안내홈(38)의 파형면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보호커버(20)의 장력조절구조를 극대화시킬 수도 있다. 즉, 안내롤러(24B)는 안내홈(38)의 바닥에 형성된 파형면에 의해 쉬운 이동이 억제됨으로써 보호커버(20)의 장력조절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안내홈(38)은 함몰 구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안내롤러(24B)를 보호커버(20)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안내하면서도 바람에 의한 보호커버(20)의 임의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탄성부(39)는 제1 부재(35)와 제2 부재(36) 사이에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부(39)는 장력조절부(34)의 동작시 일정한 탄성을 제공한다. 이때, 탄성부(39)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39)는 장력조절부(34)의 제1 부재(35)와 제2 부재(36)에 일정한 탄성을 제공함으로써, 보호커버(20)는 연결부(24)에 의해 장력조절부(34)를 따라 안내되면서 장력조절되어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버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재(30)를 차량(1)의 범퍼 영역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과정이 선행된다. 이때, 고정부재(30)의 설치간격은 보호커버(20)의 일측 선단에 설치된 연결부(24)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설치되게 된다.
고정부재(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차량(1)의 트렁크 도어(3)를 개방하고 모터를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보호커버(20)는 회전롤러(10)의 정방향 회전에 따라 차량(1)과 트렁크 도어(3) 사이의 출입공간을 통해 차량(1)의 전면 방향으로 풀림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호커버(20)가 펼쳐지도록 전개시켜 차량(1)을 덮을 수 있도록 고정부재(30)와 연결시키게 된다.
즉, 연결부(24)의 안내롤러(24B)는 장력조절부(34)의 제1 부재(35)와 제2 부재(36)에 형성된 안내홈(38)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보호커버(20)의 메인커버(22)는 차량(1)의 상부를 덮도록 고정부재(30)와 연결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메인커버(22)와 고정부재(30)의 연결이 완료된 후, 보조커버(26)는 탄성끈(28)에 의해 차량(1)의 사이드미러에 고정됨으로써 보호커버(20)는 메인커버(22) 및 보조커버(26)에 의해 차량(1)의 상부를 덮어 자외선, 눈 및 비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보호커버(20)는 고정부재(30)의 장력조절부(34)와 탄성부(39)에 의해 장력조절됨으로써 눈과 같이 일정중량을 갖는 이물질에 의한 처짐을 방지하여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장력조절부(34)는 안내롤러의 이동을 능동적으로 제어하도록 탄성부(39)에 의해 일정한 형태로 벌어지도록 유지되어, 겨울철 보호커버(20)의 표면에 쌓이는 눈에 대응하는 일정한 장력으로 유지됨으로써 보호커버(20)를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보호커버(20)는 사용 완료 후, 모터의 역방향 동작과 연동되는 회전롤러(10)에 의해 되감겨 트렁크(2) 내로 회수됨으로써 외부인에 의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버장치는, 회전롤러(10), 보호커버(20) 및 고정부재(30)에 의해, 차량(1)의 트렁크(2) 내에서 차량(1)의 전면 방향으로 전개되어 차량(1) 상부를 덮도록 고정되거나 또는 트렁크(2) 내로 회수됨으로써, 자외선, 눈 및 비 등으로부터 차량(1)을 보호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확보하면서도 외부인에 의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커버장치는, 고정부재(30)에 의한 보호커버(20)의 장력조절구조에 의해 눈을 포함하는 일정 중량을 갖는 이물질에 의한 보호커버(20)의 처짐이 방지됨으로써 보호커버를 항상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회전롤러
20: 보호커버
22: 메인커버
24: 연결판
26: 보호커버
28: 탄성끈
30: 고정부재
32: 흡착부
34: 장력조절부
35: 제1 부재
36: 제2 부재
38: 안내홈
39: 탄성부

Claims (7)

  1. 차량의 트렁크 도어 하면에 가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회전롤러; 상기 회전롤러에 권취되도록 설치되고, 트렁크 도어의 개방에 따라 형성되는 차량과 트렁크 도어 사이의 출입공간을 통해 차량의 전면 방향으로 풀림되어 펼쳐지도록 전개되거나 또는 전개된 후 회전롤러에 되감기고, 차량의 전면 방향과 대응되는 일측 선단에 연결부가 마련되는 보호커버; 및 차량의 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보호커버를 차량에 팽팽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차량의 범퍼 영역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에 결합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와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힌지를 기준으로 하여 보호커버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가 보호커버의 장력조절을 위해 힌지를 중심으로 벌어지거나 모아지도록 동작되는 장력조절부; 및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장력조절부의 동작시 일정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보호커버에 형성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의 내측 표면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안내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회전롤러로부터 일정한 폭으로 전개되어 고정부재와 연결되는 메인커버; 및
    상기 메인커버의 양측에 삼각형상의 날개 형상으로 확장 형성되고, 삼각형상의 둘레 내부에 탄성끈이 설치되며, 상기 탄성끈에 의해 차량의 사이드미러에 고정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롤러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커버장치.
KR1020220095340A 2022-08-01 2022-08-01 차량용 커버장치 KR102663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340A KR102663805B1 (ko) 2022-08-01 2022-08-01 차량용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340A KR102663805B1 (ko) 2022-08-01 2022-08-01 차량용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509A KR20240017509A (ko) 2024-02-08
KR102663805B1 true KR102663805B1 (ko) 2024-05-07

Family

ID=8990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340A KR102663805B1 (ko) 2022-08-01 2022-08-01 차량용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38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515B1 (ko) * 2009-06-01 2011-07-20 남미현 자동차 덮개 세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6185A (ja) * 1995-09-20 1997-03-31 Tanaka Tadashi 自動車用収納式カバー
JPH10250381A (ja) * 1997-03-12 1998-09-22 Yoshimasa Ohashi 自動車のガラス覆いカバー
KR20100060441A (ko) 2008-11-27 2010-06-07 김영기 광고 기능을 갖는 1회용 자동차 커버
KR102054619B1 (ko) 2019-06-11 2019-12-10 김성술 자동차용 외관 보호 및 차광 기능을 갖는 탈착형 자동차 보호커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515B1 (ko) * 2009-06-01 2011-07-20 남미현 자동차 덮개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509A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6381B1 (en) Protective covering device
US4958881A (en) Theft proof protective covering for parked vehicle
US20200254862A1 (en) Vehicle automatic covering device
JP2007508993A (ja) 自動車の車体保護用装置
WO2010073071A1 (en) Accordion pleated retractable vehicle cover
WO2010073070A9 (en) Portable retractable vehicle cover
US2858837A (en) Foldable protector for automobiles and the like
KR101932129B1 (ko) 혹한과 혹서를 대비한 버스 대기소
KR102663805B1 (ko) 차량용 커버장치
US20170145739A1 (en) Integrated Shade System as a Window Covering
WO2010073069A1 (en) Built-in self storing retractable vehicle cover
JPH09240273A (ja) 収納型板バネ付日除け装置
KR101357476B1 (ko) 차량용 빗물 차단장치
KR102080868B1 (ko) 차량용 빗물막이 장치
WO2014008560A1 (pt) Capa suspensa para proteção de veículos
KR200353898Y1 (ko) 차량용 자동덮개장치
KR102498828B1 (ko) 자동감김 구동부가 구비된 자동차 보호덮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커버방법
US20120103541A1 (en) Privacy Screen for Deck Railing
KR200171560Y1 (ko) 자동차 앞유리 차양장치
US3026886A (en) Fluid seal windshield weather protector
KR200471358Y1 (ko) 자동차 차양장치
KR200184856Y1 (ko) 자동차 앞유리 가리개 장치
US20050161971A1 (en) Adjustable windshield for golf carts
JPH0840082A (ja) 自動車のカバー装置
KR20200002320U (ko) 착탈식 차량용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