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528B1 - 수중 펌프 - Google Patents

수중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528B1
KR102525528B1 KR1020227040806A KR20227040806A KR102525528B1 KR 102525528 B1 KR102525528 B1 KR 102525528B1 KR 1020227040806 A KR1020227040806 A KR 1020227040806A KR 20227040806 A KR20227040806 A KR 20227040806A KR 102525528 B1 KR102525528 B1 KR 102525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impeller
pump casing
submersible pump
wat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40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1494A (ko
Inventor
야스시 도리모토
히사카즈 신야
유타카 데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쓰루미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쓰루미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쓰루미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16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1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04D13/08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the pump and drive motor are both submer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06Canned moto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4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8Discharge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93Details of fluid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이 수중 펌프(100)는 수중 펌프 본체(100a)의 편측에 회전축(1)을 따라 연장되는 편측 수로(6)가 마련된 수중 펌프(100)이며, 임펠러(4)와, 임펠러(4)가 내측에 배치된 펌프 케이싱(5)을 구비하고, 펌프 케이싱(5)은 회전축(1)의 축방향에서 볼 때, 임펠러(4)가 배치되는 펌프실(5a)과 편측 수로(6)의 입구 개구(6a) 사이에 배치된 설부(53)와, 회전축(1)의 축방향에서 볼 때, 펌프 케이싱(5)의 내표면(55)과 설부(53) 사이에 마련되며, 입구 개구(6a)에 상류측으로부터 직접 접속되는 접속 수로(5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중 펌프
본 발명은 수중 펌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임펠러를 구비하는 수중 펌프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중 펌프는,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3-8789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3-87890호 공보에는, 수중 펌프 본체의 편측에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유로가 형성된 수중 모터 펌프(소위 편수로 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수중 모터 펌프는, 회전축의 하단에 마련된 임펠러를 회전시킴으로써 펌프 케이싱에 마련된 흡입구로부터 물을 흡입함과 함께, 수중 펌프 본체의 편측의 유로를 통해 물을 상방의 토출구를 향해서 보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3-87890호 공보
상기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3-87890호 공보에는 명기되어 있지 않지만, 수중 펌프 본체의 편측에 유로가 마련된 수중 펌프(소위 편수로 펌프)의 분야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전양정을 보다 크게 할 것이 요망되고 있고, 어떻게 해서 전양정을 보다 크게 할 것인지의 과제가 존재한다. 상기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3-87890호 공보에 기재된 수중 모터 펌프에 있어서도, 어떻게 해서 전양정을 보다 크게 할 것인지의 과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전양정을 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한 수중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있어서의 수중 펌프는, 수중 펌프 본체의 편측에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편측 수로가 마련된 수중 펌프이며, 회전축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임펠러와, 임펠러가 내측에 배치된 펌프 케이싱을 구비하고, 펌프 케이싱은, 회전축의 축방향에서 볼 때, 임펠러가 배치되는 펌프실과 편측 수로의 입구 개구 사이에 배치된 설부와, 회전축의 축방향에서 볼 때, 펌프 케이싱의 내표면과 설부 사이에 마련되며, 입구 개구에 상류측으로부터 직접 접속되는 접속 수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의한 수중 펌프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축의 축방향에서 볼 때, 임펠러가 배치되는 펌프실과 편측 수로의 입구 개구 사이에 배치된 설부와, 회전축의 축방향에서 볼 때, 펌프 케이싱의 내표면과 설부 사이에 배치되고, 입구 개구에 상류측으로부터 직접 접속되는 접속 수로를, 펌프 케이싱에 마련한다. 이에 의해, 펌프실과 편측 수로를 접속 수로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펌프실과 편측 수로를 직접 접속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편측 수로의 직전에 마련되는 접속 수로에 있어서, 물의 흐름(유로 단면적)을 작게 좁힘과 함께 물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측 수로에 대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매끄럽게 물을 유입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수중 펌프의 전양정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수중 펌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편측 수로는,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의 입구 개구를 향해서,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편측 수로의 입구 개구에 있어서, 물의 흐름(유로 단면적)을 작게 좁힐 수 있으므로, 편측 수로에 대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물을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편측 수로의 유로 단면적을 급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작아지도록 변화시킴으로써, 유로 단면적의 급한 변화에 의해 물의 흐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수중 펌프의 전양정을 한층 더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에 있어서, 흡입구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펌프 케이싱에 대하여 설치되는 모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모터를 더 구비하고, 편측 수로는, 모터 프레임 및 펌프 케이싱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류측의 모터 프레임으로부터, 상류측의 펌프 케이싱을 향해서,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펌프 케이싱에 마련되는 편측 수로뿐만 아니라, 모터 프레임에 마련되는 편측 수로에 대해서도,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큰 범위에 걸쳐서 편측 수로를,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로 단면적의 급한 변화를 보다 억제할 수 있으므로, 수중 펌프의 전양정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수중 펌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임펠러는, 판상부와, 판상부의 흡입구측에 마련된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블레이드부는, 블레이드부의 내주측의 부분이 외주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블레이드부의 내주측에 있어서, 블레이드부를 외주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흡입구로부터 블레이드부 사이에 최초로 물을 받아들이는 내주측의 개구 부분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흡입 성능을 향상시켜서, 대유량측에서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어, 대유량측의 양정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부는, 축방향의 크기가, 임펠러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펌프 케이싱의 블레이드부에 대향하는 대향면은,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서서히 작아지는 블레이드부의 축방향의 크기에 대응하여, 임펠러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펌프 케이싱 내에 있어서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면적비를 바꾸어서 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수중 펌프의 전양정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부의 내주측의 부분이 외주측으로 경사져 있는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임펠러는, 블레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의 유로 단면적이 임펠러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내주측(입구측)에 비해 외주측(출구측)의 블레이드 폭을 작게 함으로써, 임펠러의 외경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유량 영역에 있어서의 수중 펌프의 전양정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수중 펌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축방향에 있어서, 흡입구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펌프 케이싱에 대하여 설치되는 모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모터를 더 구비하고, 편측 수로의 내표면은, 모터 프레임과 토출구 사이에 있어서, 단차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단차가 있는 경우와 달리, 편측 수로를 지나는 물의 흐름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중 펌프의 전양정을 한층 더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수중 펌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설부는 회전축의 축방향에서 볼 때, 펌프실의 중심 부근과 편측 수로의 입구 개구 사이를 구획하도록, 입구 개구보다 상류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펌프실의 중심 부근과 편측 수로의 입구 개구 사이를 직접 접속하는 방향이 아니고, 임펠러에 의해 펌프실 내에 발생하는 물의 흐름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접속 수로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펌프실로부터 접속 수로에 보다 빠른 속도로 매끄럽게 물을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수중 펌프의 전양정을 한층 더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국면에 의한 수중 펌프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펌프 케이싱은, 접속 수로에 대하여 회전축의 타단부측에 마련됨과 함께 접속 수로를 형성하는 면을 포함하고, 접속 수로를 형성하는 면은, 회전축의 축방향에서 본 펌프 케이싱의 내표면과 설부를 서로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회전축의 축방향에서 본 펌프 케이싱의 내표면과 설부를 서로 접속하여, 접속 수로를 형성하는 면이, 펌프 케이싱과는 다른 덮개 형상의 별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를 적게 해서 장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해서 편측 수로의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는 구성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모터 프레임에는, 하류측의 모터 프레임으로부터 상류측의 펌프 케이싱을 향해서 편측 수로의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는 것에 맞춰서,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해서, 외관 형상이 서서히 작아지는 축소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축소부에 의해 펌프 케이싱측에 확보된 축소부의 주위의 스페이스에 의해, 보다 편측 수로에 가까운 위치에, 펌프 케이싱과 모터 프레임의 고정 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펌프 케이싱과 모터 프레임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펌프 케이싱과 모터 프레임 사이로부터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전양정을 보다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한 수중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수중 펌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펌프 케이싱 및 임펠러를 확대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90-90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수중 펌프의 펌프 케이싱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91-91선을 따른 화살표도이다.
이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수중 펌프의 구성)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수중 펌프(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중 펌프(100)는 회전축(1)의 회전 중심축선 α가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형의 전동 펌프이다. 또한, 수중 펌프(100)는 수중 펌프 본체(100a)의 편측에 회전축(1)을 따라 연장되는 편측 수로(6)가 마련된 소위 편수로 펌프이다. 또한, 일례이기는 하지만, 본 실시 형태의 수중 펌프(100)는 산간에 있어서의 터널의 작업 현장 등, 특히 큰 전양정이 필요한 현장에서 사용된다.
도 1에 도시한 편측 수로(6)는, 펌프실(5a) 내의 물을 토출구(101b)를 향해서 흐르게 하는 수로이다. 편측 수로(6)는, 후술하는 펌프 케이싱(5), 모터 프레임(22) 및 브래킷(24)의 각 부재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펌프 케이싱(5)에는, 편측 수로(6)의 최상류의 일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24)에는, 편측 수로(6)의 최하류의 일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모터 프레임(22)에는, 펌프 케이싱(5)과 브래킷(24) 사이에 위치하는 편측 수로(6)의 일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각 도면에서는, 회전축(1)의 회전 중심축선 α가 연장되는 방향을 Z 방향에 의해 나타내고, Z 방향 중 임펠러(4)측으로부터 모터(2)측을 향하는 방향을 Z1 방향(상방)에 의해 나타내고, Z1 방향의 반대 방향(하방)을 Z2 방향에 의해 나타낸다. 또한, 회전축(1)(임펠러(4))의 반경 방향을 R 방향에 의해 나타낸다. R 방향은, Z 방향에 직교하고 있다.
수중 펌프(100)는 회전축(1)과, 모터(2)와, 토출구(101b)에 설치되는 호스 커플링(3)과, 임펠러(4)와, 임펠러(4)가 내측에 배치된 펌프 케이싱(5)과, 상기의 편측 수로(6)를 구비하고 있다. 수중 펌프(100)의 하부에는, 이물의 흡입을 방지함과 함께, 수중 펌프(100)를 직립시키는 스탠드로서 기능하는 스트레이너(10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호스 커플링(3)을 마련하지 않고, 토출구(101b)에 배관을 접속하는 경우도 있다.
(회전축의 구성)
회전축(1)은 대체로 상하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을 갖고 있다. 회전축(1)은 Z2 방향의 일단부(10a)(하단)에 임펠러(4)가 설치되어 있고, Z1 방향의 타단부(10b)(상단)측에 모터(2)(회전자(21))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1)은 모터(2)의 구동력을 임펠러(4)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회전축(1)은 임펠러(4)의 Z1 방향의 단부면을 맞닿게 하는 맞닿음면(11)을 갖고 있다. 맞닿음면(11)은 Z 방향에 있어서, 회전축(1)에 대하여 임펠러(4)를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회전축(1)은 하방측으로부터 임펠러(4)가 감합됨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키 부재가 회전축(1)과 임펠러(4)의 간극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전축(1)은 회전축(1)에 대하여 임펠러(4)가 위치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회전축(1)과 임펠러(4)의 회전이 동기된다.
(모터의 구성)
모터(2)는 회전축(1)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2)는 회전축(1)을 통해 임펠러(4)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모터(2)는 코일을 갖는 고정자(20)와, 고정자(20)의 내주측에 배치된 회전자(21)와, 모터 프레임(22)과, 상부 베어링(23a)과, 하부 베어링(23b)과, 브래킷(24)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회전축(1)도 모터(2)에 포함되는 구성이다.
회전자(21)에는 회전축(1)이 고정되어 있다. 모터(2)는 고정자(20)에 의해 자계를 발생시킴으로써 회전자(21)와 함께 회전축(1)을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터 프레임(22)은 고정자(20) 및 회전자(21)를 덮고 있다. 상부 베어링(23a) 및 하부 베어링(23b)은, 각각 회전축(1)의 상방측 및 하방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브래킷(24)에는, 상부 베어링(23a)이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24)은 상방으로부터 모터 프레임(22)에 고정되어 있다. 하부 베어링(23b)은 서로 상하로 중첩되어, 서로 다른 방향의 2개의 앵귤러 볼베어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베어링(23b)을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양 방향의 다른 방향의 액셜 하중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져, 소유량측 및 대유량측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의 액셜 하중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모터 프레임(22)은 회전축(1)의 축방향(Z 방향)에 있어서, 흡입구(101a)측과는 반대측(상방측)으로부터 펌프 케이싱(5)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다. 모터 프레임(22)은 내측에 고정자(20) 및 회전자(21)를 배치하는 모터실(2a)을 형성하는 프레임부(22a)와, 편측 수로(6)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22b)를 갖고 있다.
프레임부(22a) 및 프레임부(22b)는 모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부(22b)는 회전축(1)(임펠러(4))의 반경 방향(R 방향)에 있어서, 프레임부(22a)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브래킷(24)은, 편측 수로(6)의 최하류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브래킷(24)에는, 수평 방향(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토출구(101b)가 마련되어 있다. 브래킷(24)에는, 토출구(101b)를 덮도록 상방측으로부터 호스 커플링(3)이 설치되어 있다.
(호스 커플링의 구성)
호스 커플링(3)은 원통 형상을 비스듬히 절단한 형상을 갖고 있다. 즉, 호스 커플링(3)은 원통 형상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 단부면(30)을 갖고 있다.
호스 커플링(3)은 고정 부재 F에 의해 브래킷(24)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호스 커플링(3)의 경사 단부면(30)은 고정 부재 F에 의해, 호스 커플링(3)이 브래킷(24)에 고정된 상태에서, 브래킷(24)에 상방측으로부터 대향하고 있다.
호스 커플링(3)은, 고정 부재 F에 의한 고정을 해제한 뒤에, 경사 단부면(30)을 브래킷(24)에 대향시키면서, 토출구(101b)에 대하여 회동시킴으로써, 토출구(101b)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흐름 방향을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호스 커플링(3)은, 토출구(101b)로부터 토출된 물이, 토출구(101b)의 바로 위에 흐르는 상태와, 바로 위에 대하여 소정 각도 θ 경사진 방향으로 흐르는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임펠러의 구성)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펠러(4)는 펌프 케이싱(5)의 내측의 펌프실(5a)에 배치되어 있다. 임펠러(4)는 세미오픈형의 임펠러이다. 즉, 임펠러(4)는 판상부(슈라우드)(40)와, 판상부(40)의 흡입구(101a)측(하방측)에 마련된 복수의 블레이드부(베인)(41)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임펠러(4)에는, 판상부(40)의 상방측(블레이드부(41)측과는 반대측)에 이면 블레이드(4a)가 마련되어 있다. 이면 블레이드(4a)는, 임펠러(4)에 작용하는 하방으로의 부하를 억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즉, 이면 블레이드(4a)는, 펌프 운전 중에 있어서, 베어링에 작용하는 부하를 억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임펠러(4)와 펌프 케이싱(5) 사이에는, 래비린스 시일 LS가 마련되어 있고, 펌프실(5a)과 오일실(7) 사이에는 공간(8)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펌프실(5a) 내의 압력이, 직접 오일실(7)에 부하되는 것을 회피하고 있다. 이 공간(8)에 대한 펌프실(5a)로부터의 물의 누수는, 펌프실(5a) 내의 압력이 높을수록 많아져, 펌프 케이싱(5)으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양을 저감시켜 버리게 된다. 펌프실(5a)과, 공간(8) 사이에 래비린스 시일 LS를 배치함으로써, 펌프실(5a)로부터 공간(8)으로의 누수를 저감하여, 고압 시에도 보다 많은 물을 펌프 케이싱(5)으로부터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판상부(40)는 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부(41)는 축방향(Z 방향)의 크기 D가, 임펠러(4)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임펠러(4)(임펠러(4))는, 측면에서 볼 때, 임펠러(4)의 내주측이 하방(Z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산 형상(포물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부(41)는 블레이드부(41)의 내주측의 부분(41a)이 외주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블레이드부(41)의 내주측의 부분(41a)은, 판상부(40)에 접속되는 블레이드부(41)의 근원으로부터, 블레이드부(41)의 하단(Z2 방향의 단부)을 향해서 서서히 회전축(1)으로부터 이격하도록, 경사져 있다.
임펠러(4)는 단면도(도 2 참조)에 있어서 블레이드부(41)의 블레이드 폭이, 임펠러(4)의 외주측을 향해서 좁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부(41)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42)의 유로 단면적 S1이 임펠러(4)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임펠러(4)는 흡입구(101a)를 통해 복수의 블레이드부(41) 사이의 수로(42)에 물을 받아들이는 내주측에 있어서, 다량의 물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임펠러(4)는 복수의 블레이드부(41) 사이의 수로(42)로부터 임펠러(4)의 외부로 물을 토출하는 외주측에 있어서, 물의 유속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중 펌프(100)는 편측 수로(6)에 세차게 물을 도입함으로써, 전양정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펌프 케이싱의 구성)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 케이싱(5)은 임펠러(4)가 내측에 배치되고, 내측에 펌프실(5a)이 마련되어 있다. 펌프 케이싱(5)은 편측 수로(6)의 최상류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즉, 펌프 케이싱(5)에는, 편측 수로(6)에 펌프실(5a)로부터의 물을 도입하는 입구 개구(6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펌프 케이싱(5)을 분할한 상태(단면)에서 도시하고, 임펠러(4)를 분할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시하고 있다.
펌프 케이싱(5)은 펌프 케이싱 본체(50)와, 펌프 케이싱 본체(5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석션 커버(51)를 포함하고 있다.
석션 커버(51)는, 흡입구(101a)를 갖고 있다. 석션 커버(51)는 회전축(1)에 임펠러(4)를 설치할 때에, 펌프 케이싱 본체(50)로부터 분리된다.
펌프 케이싱(5)(석션 커버(51))의 블레이드부(41)에 하방측으로부터 대향하는 대향면(52)은, 회전축(1)의 축방향(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측면에서 볼 때),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서서히 작아지는 블레이드부(41)의 축방향의 크기에 대응하여, 임펠러(4)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경사져 있다.
즉, 펌프 케이싱(5)(석션 커버(51))의 대향면(52)은, 측면에서 볼 때, 블레이드부(41)의 하단으로부터 대략 일정한 비교적 작은 간극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펌프 케이싱(5)(석션 커버(51))의 대향면(52)은, 측면에서 볼 때, 임펠러(4)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서서히 작아지는 블레이드부(41)를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펌프 케이싱(5)(펌프 케이싱 본체(50))은, 설부(53)와, 접속 수로(스로트)(54)를 포함하고 있다.
설부(53)는 회전축(1)의 축방향(Z 방향)에서 볼 때, 임펠러(4)가 배치되는 펌프실과 편측 수로(6)의 입구 개구(6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설부(53)란, 펌프 케이싱(5) 내에서 임펠러(4)의 블레이드부(41) 사이의 수로(42)로부터 토출된 물을 모으는 와권상의 볼류트의 권취 개시 부분이다.
설부(53)는 회전축(1)의 축방향(Z 방향)에서 볼 때, 펌프실(5a)의 중심 부근(회전축(1)의 회전 중심축선 α 부근)과 편측 수로(6)의 입구 개구(6a) 사이를 구획하도록, 입구 개구(6a)보다 상류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펌프 케이싱(5)은 회전축(1)의 축방향(Z 방향)에서 볼 때, 회전축(1)의 회전 중심축선 α와 입구 개구(6a)를 직선 L에 의해 연결한 경우, 회전 중심축선 α와 입구 개구(6a)와 연결하는 직선 L 상에는, 설부(53)가 항상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접속 수로(54)는 펌프실(5a)과 편측 수로(6)를 연결하는 수로이다. 접속 수로(54)는 회전축(1)의 축방향(Z 방향)에서 볼 때, 펌프 케이싱(5)의 내표면(55)과 설부(53)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펌프 케이싱(5)의 내표면(55)은, 회전축(1)의 축방향에서 볼 때, 회전축(1)(임펠러(4))의 반경 방향(R 방향)에 있어서, 설부(53)의 외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 수로(54)는, 입구 개구(6a)에 상류측으로부터 직접 접속되어 있다.
펌프 케이싱(5)은 접속 수로(54)에 대하여 회전축(1)의 타단부(10b)측(Z1 방향측)에 마련됨과 함께, 접속 수로(54)를 형성하는 상면(56a)을 포함하고 있다. 접속 수로(54)를 형성하는 상면(56a)은 회전축(1)의 축방향에서 본 펌프 케이싱(5)의 내표면(55)과 설부(53)를 서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면(56a)은 청구범위의 「면」의 일례이다.
또한, 펌프 케이싱(5)은 접속 수로(54)에 대하여 회전축(1)의 일단부(10a)측(Z2 방향측)에 마련됨과 함께, 접속 수로(54)를 형성하는 하면(56b)(도 2 참조)을 포함하고 있다. 접속 수로(54)는 설부(53), 내표면(55), 상면(56a) 및 하면(56b)에 둘러싸임으로써, 펌프실(5a)과 편측 수로(6)를 연결하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와 펌프실(5a) 사이에는 오일실(7)이 마련되어 있다. 오일실(7)에는, 메커니컬 시일(70) 및 오일 리프터(7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오일실(7) 내에는 전극식의 침수 검지부를 배치해도 된다.
펌프 케이싱(5)과 모터 프레임(22)은, 펌프 케이싱(5)과 모터 프레임(22) 사이에 오일실(7)을 직접 끼우는 일이 없도록, 오일실(7)의 외주측의 맞닿음부(C)에 있어서, 서로 직접 맞닿아 있다. 이에 의해, 수중 펌프(100)는 고려해야 할 부품 공차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 케이싱(5)의 상방 단부에는, 한 쌍의 소형 플랜지부 FL1과, 1개의 대형 플랜지부 FL2(도 5도 아울러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소형 플랜지부 FL1 및 1개의 대형 플랜지부 FL2는, 펌프 케이싱(5)을 모터 프레임(22)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 쌍의 소형 플랜지부 FL1에는, 고정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나사 구멍 H10이 1개씩 마련되어 있다. 대형 플랜지부 FL2는, 내측에 대형 플랜지부 FL2를 관통하도록 편측 수로(6)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에서는, 회전축(1)과 편측 수로(6)가 배열되는 방향을 A 방향에 의해 나타내고, A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B 방향에 의해 나타낸다. A 방향 및 B 방향은 모두 Z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대형 플랜지부 FL2에는, 고정 부재 Fa(도 5 참조)를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나사 구멍 H20과, 고정 부재 Fb(도 5 참조)를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나사 구멍 H21이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나사 구멍 H20은, 대형 플랜지부 FL2의 B 방향의 양단부 근방이며, 또한 대형 플랜지부 FL2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나사 구멍 H21은, 대형 플랜지부 FL2의 외주 단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나사 구멍 H21은, B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나사 구멍 H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나사 구멍 H21은, B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나사 구멍 H20보다 편측 수로(6)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나사 구멍 H21은, B 방향에 있어서, 편측 수로(6)가 마련되는 범위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편측 수로(6)에 근접한 나사 구멍 H21의 배치는, 모터 프레임(22)의 후술하는 축소부(22c)(축소부(22c)의 외관 형상이 작아지는 Z2 방향측의 부분)에 의해, 축소부(22c)의 주위에 확보된 스페이스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또한, 축소부(22c) 주위에 확보된 스페이스에 의해, 상방측(모터 프레임(22))으로부터 고정 부재 Fa 및 Fb를 삽입하는 것(설치하는 것)이 실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중 펌프(100)는 편측 수로(6)에 가까운 위치에서, 고정 부재 Fa에 의한 펌프 케이싱(5)과 모터 프레임(22)의 고정이 행해지기 때문에, 펌프 케이싱(5)과 모터 프레임(22)을 견고하게 고정하여, 펌프 케이싱(5)과 모터 프레임(22) 사이로부터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펌프 케이싱(5)과 모터 프레임(22) 사이에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범위에 패킹 P가 설치되어 있다. 수중 펌프(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형 플랜지부 FL2의 외주 단부의 나사 구멍의 위치를 H21로 나타내는 위치에 마련하고 있으므로, 도 4의 해칭으로 나타내는 위치 부근에 나사 구멍을 마련한 경우와 비교해서 패킹 P의 필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패킹 P에 가해지는 압력을 종래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축소부(22c)를 마련하고, 나사 구멍의 위치를 최적화한 결과, 수중 펌프(100)는 패킹 P에 의해 종래보다 확실하게 수밀 상태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편측 수로의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측 수로(6)는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의 입구 개구(6a)를 향해서, 유로 단면적 S2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편측 수로(6)는 상류측의 입구 개구로부터 하류측을 향해서, 유로 단면적 S2가 서서히 커지는 끝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편측 수로(6)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 프레임(22) 및 펌프 케이싱(5)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류측의 모터 프레임(22)으로부터, 상류측의 펌프 케이싱(5)을 향해서, 유로 단면적 S2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편측 수로(6)는 입구 개구(6a) 부근에 있어서, 물이 지나는 경로가 좁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편측 수로(6)는 입구 개구(6a) 부근에 있어서, 물의 유속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중 펌프(100)는 편측 수로(6)에 세차게 물을 도입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전양정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터 프레임(22)에는, 하류측의 모터 프레임(22)으로부터 상류측의 펌프 케이싱(5)을 향해서 편측 수로(6)의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는 것에 맞춰서,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해서, 외관 형상이 서서히 작아지는 축소부(22c)가 마련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축소부(22c)는 상기의 프레임부(22b) 중 하방측의 일부분이다. 이와 같이, 유로를 좁힌 축소부(22c)를 마련함으로써 펌프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로의 폭을 넓게 한 프레임(22b)을 마련함으로써, 유로를 흐르는 물이 모터(2) 내의 부품에 접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모터(2)에 대한 냉각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편측 수로(6)의 내표면(60)은, 모터 프레임(22)과 토출구(101b) 사이에 있어서, 단차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평활화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편측 수로(6)의 내표면(60)은, 브래킷(24)에 마련되는 최하류의 부분에 있어서, 단차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편측 수로(6)의 내표면(60)은, 펌프 케이싱(5) 및 모터 프레임(22)에 마련되는 상류측의 부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단차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중 펌프(100)는 내표면(60)을 단차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하여, 편측 수로(6) 내에서의 물의 에너지 손실을 저감시킴으로써, 전양정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축(1)의 축방향에서 볼 때, 임펠러(4)가 배치되는 펌프실(5a)과 편측 수로(6)의 입구 개구(6a) 사이에 배치된 설부(53)와, 회전축(1)의 축방향에서 볼 때, 펌프 케이싱(5)의 내표면(55)과 설부(53) 사이에 배치되고, 입구 개구(6a)에 상류측으로부터 직접 접속되는 접속 수로(54)를, 펌프 케이싱(5)에 마련한다. 이에 의해, 펌프실(5a)과 편측 수로(6)를 접속 수로(54)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펌프실(5a)과 편측 수로(6)를 직접 접속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편측 수로(6)의 직전에 마련되는 접속 수로(54)에 있어서, 물의 흐름(유로 단면적)을 작게 좁힘과 함께 물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편측 수로(6)에 대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매끄럽게 물을 유입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수중 펌프(100)의 전양정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편측 수로(6)는,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의 입구 개구(6a)를 향해서, 유로 단면적 S2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편측 수로(6)의 입구 개구(6a)에 있어서, 물의 흐름(유로 단면적 S2)을 작게 좁힐 수 있으므로, 편측 수로(6)에 대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물을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편측 수로(6)의 유로 단면적 S2를 급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고, 서서히 작아지도록 변화시킴으로써, 유로 단면적 S2의 급한 변화에 의해 물의 흐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수중 펌프(100)의 전양정을 한층 더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축방향에 있어서, 흡입구(101a)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펌프 케이싱(5)에 대하여 설치되는 모터 프레임(22)을 포함하는 모터(2)를 더 구비하고, 편측 수로(6)는, 모터 프레임(22) 및 펌프 케이싱(5)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류측의 모터 프레임(22)으로부터, 상류측의 펌프 케이싱(5)을 향해서, 유로 단면적 S2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펌프 케이싱(5)에 마련되는 편측 수로(6)뿐만 아니라, 모터 프레임(22)에 마련되는 편측 수로(6)에 대해서도, 유로 단면적 S2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큰 범위에 걸쳐서 편측 수로(6)를, 유로 단면적 S2가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로 단면적 S2의 급한 변화를 보다 억제할 수 있으므로, 수중 펌프(100)의 전양정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임펠러(4)는, 판상부(40)와, 판상부(40)의 흡입구(101a)측에 마련된 블레이드부(41)를 포함하고, 블레이드부(41)는, 블레이드부(41)의 내주측의 부분이 외주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부(41)의 내주측에 있어서, 블레이드부(41)를 외주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흡입구(101a)로부터 블레이드부(41) 사이에 최초로 물을 받아들이는 내주측의 개구 부분을 보다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흡입 성능을 향상시켜서, 대유량측에서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어, 대유량측의 양정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부(41)는, 축방향의 크기 D가, 임펠러(4)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펌프 케이싱(5)의 블레이드부(41)에 대향하는 대향면(52)은,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서서히 작아지는 블레이드부(41)의 축방향의 크기 D에 대응하여, 임펠러(4)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펌프 케이싱(5) 내에 있어서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면적비를 바꾸어서 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수중 펌프(100)의 전양정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임펠러(4)는, 블레이드부(41)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42)의 유로 단면적 S1이 임펠러(4)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주측(입구측)에 비해 외주측(출구측)의 블레이드 폭을 작게 함으로써, 임펠러(4)의 외경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소유량 영역에 있어서의 수중 펌프(100)의 전양정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축방향에 있어서, 흡입구(101a)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펌프 케이싱(5)에 대하여 설치되는 모터 프레임(22)을 포함하는 모터(2)를 더 구비하고, 편측 수로(6)의 내표면(60)은 모터 프레임(22)과 토출구(101b) 사이에 있어서, 단차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단차가 있는 경우와 달리, 편측 수로(6)를 지나는 물의 흐름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중 펌프(100)의 전양정을 한층 더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부(53)는, 회전축(1)의 축방향에서 볼 때, 펌프실(5a)의 중심 부근과 편측 수로(6)의 입구 개구(6a) 사이를 구획하도록, 입구 개구(6a)보다 상류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펌프실(5a)의 중심 부근과 편측 수로(6)의 입구 개구(6a) 사이를 직접 접속하는 방향이 아니고, 임펠러(4)에 의해 펌프실(5a) 내에 발생하는 물의 흐름을 따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접속 수로(54)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펌프실(5a)로부터 접속 수로(54)에 보다 빠른 속도로 매끄럽게 물을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수중 펌프(100)의 전양정을 한층 더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펌프 케이싱(5)은 접속 수로(54)에 대하여 회전축(1)의 타단부(10b)측에 마련됨과 함께 접속 수로(54)를 형성하는 상면(56a)을 포함하고, 접속 수로(54)를 형성하는 상면(56a)은, 회전축(1)의 축방향에서 본 펌프 케이싱(5)의 내표면(55)과 설부(53)를 서로 접속하고 있다. 이에 의해, 회전축(1)의 축방향에서 본 펌프 케이싱(5)의 내표면(55)과 설부(53)를 서로 접속하여, 접속 수로를 형성하는 상면이 펌프 케이싱과는 다른 덮개 형상의 별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부품 개수를 적게 해서 장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 프레임(22)에는, 하류측의 모터 프레임(22)으로부터 상류측의 펌프 케이싱(5)을 향해서 편측 수로(6)의 유로 단면적 S2가 서서히 작아지는 것에 맞춰서,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해서, 외관 형상이 서서히 작아지는 축소부(22c)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축소부(22c)에서 펌프 케이싱(5)측에 확보된 축소부(22c) 주위의 스페이스에 의해, 보다 편측 수로(6)에 가까운 위치에, 펌프 케이싱(5)과 모터 프레임(22)의 고정 부재 Fa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펌프 케이싱(5)과 모터 프레임(22)을 서로 견고하게 고정하여, 펌프 케이싱(5)과 모터 프레임(22) 사이로부터의 누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설명이 아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또한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변형예)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나타낸 설부의 길이는 일례에 지나지 않으며,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예보다 길게 설부를 형성해도 되고, 접속 수로가 확실하게 마련되는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낸 예보다 짧게 설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의 입구 개구를 향해서,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편측 수로를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의 입구 개구를 향해서,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커지도록, 또는 변화하는 일이 없도록, 편측 수로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블레이드부의 내주측의 부분을 외주측으로 경사지게 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부의 내주측의 부분을 외주측으로 경사지게 하는 일 없이,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블레이드부의 축방향의 크기가, 임펠러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서서히 작아지도록, 임펠러를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부의 축방향의 크기가, 일정해지도록, 임펠러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펌프 케이싱의 블레이드부에 대향하는 대향면을,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경사지게 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대향면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블레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의 유로 단면적이, 임펠러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서서히 작아지도록, 임펠러를 형성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블레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의 유로 단면적이, 임펠러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변화되는 일이 없는 일정한 크기로 되도록, 임펠러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임펠러로서 세미오픈형 임펠러를 사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클로즈드형의 임펠러를 사용해도 된다.
1: 회전축
2: 모터
4: 임펠러
5: 펌프 케이싱
5a: 펌프실
6: 편측 수로
6a: 입구 개구
10a: (회전축의)일단부
10b: (회전축의)타단부
22: 모터 프레임
22c: (모터 프레임의)축소부
40: 판상부
41: 블레이드부
42: (블레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는)수로
52: 대향면
53: 설부
54: 접속 수로
55: (펌프 케이싱의)내표면
56a: 상면(면)
60: (편측 수로의)내표면
100: 수중 펌프
100a: 수중 펌프 본체
101a: 흡입구
101b: 토출구

Claims (10)

  1. 수중 펌프 본체의 편측에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는 편측 수로가 마련된 수중 펌프이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가 내측에 배치된 펌프 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 케이싱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에서 볼 때, 상기 임펠러가 배치되는 펌프실과 상기 편측 수로의 입구 개구 사이에 배치된 설부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에서 볼 때, 상기 펌프 케이싱의 내표면과 상기 설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입구 개구에 상류측으로부터 직접 접속되는 접속 수로를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에 있어서, 흡입구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상기 펌프 케이싱에 대하여 설치되는 모터 프레임을 포함하는 모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모터 프레임은, 내측에 모터실을 형성하는 제1 프레임부와, 상기 편측 수로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제2 프레임부를 갖고,
    상기 모터 프레임의 상기 제2 프레임부에는, 하류측의 상기 모터 프레임으로부터 상류측의 상기 펌프 케이싱을 향해서 상기 편측 수로의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는 것에 맞춰서,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을 향해서, 외관 형상이 서서히 작아지는 축소부가 마련되고,
    상기 축소부의 주위에는, 상기 펌프 케이싱과 상기 모터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의 배치 스페이스가 마련되어 있는, 수중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측 수로는,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의 상기 입구 개구를 향해서,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중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측 수로는, 상기 모터 프레임 및 상기 펌프 케이싱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하류측의 상기 모터 프레임으로부터, 상류측의 상기 펌프 케이싱을 향해서, 유로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중 펌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판상부와, 상기 판상부의 흡입구측에 마련된 블레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블레이드부의 내주측의 부분이 외주측으로 경사져 있는, 수중 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축방향의 크기가, 상기 임펠러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펌프 케이싱의 상기 블레이드부에 대향하는 대향면은, 상기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볼 때, 서서히 작아지는 상기 블레이드부의 축방향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임펠러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경사져 있는, 수중 펌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블레이드부 사이에 형성되는 수로의 유로 단면적이 상기 임펠러의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서서히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수중 펌프.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측 수로의 내표면은, 상기 모터 프레임과 토출구 사이에 있어서, 단차가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중 펌프.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부는,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에서 볼 때, 상기 펌프실의 중심 부근과 상기 편측 수로의 상기 입구 개구 사이를 구획하도록, 상기 입구 개구보다 상류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수중 펌프.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케이싱은, 상기 접속 수로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의 타단부측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접속 수로를 형성하는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수로를 형성하는 상기 면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에서 본 상기 펌프 케이싱의 상기 내표면과 상기 설부를 서로 접속하고 있는, 수중 펌프.
  10. 삭제
KR1020227040806A 2020-07-09 2021-02-24 수중 펌프 KR102525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118677 2020-07-09
JP2020118677A JP7021688B2 (ja) 2020-07-09 2020-07-09 水中ポンプ
PCT/JP2021/006941 WO2022009460A1 (ja) 2020-07-09 2021-02-24 水中ポ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1494A KR20220161494A (ko) 2022-12-06
KR102525528B1 true KR102525528B1 (ko) 2023-04-24

Family

ID=7955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40806A KR102525528B1 (ko) 2020-07-09 2021-02-24 수중 펌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808266B2 (ko)
EP (1) EP4180674A1 (ko)
JP (1) JP7021688B2 (ko)
KR (1) KR102525528B1 (ko)
CN (1) CN219012992U (ko)
TW (1) TWI819282B (ko)
WO (1) WO202200946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6832A1 (ja) 2016-11-22 2018-05-31 株式会社不二工機 排水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614685B1 (ko) * 1956-11-30 1961-08-29
JPS5540394Y2 (ko) * 1976-05-31 1980-09-20
JPS5264906U (ko) * 1976-09-29 1977-05-13
JPS5358801A (en) * 1976-11-08 1978-05-27 Ebara Corp Pipe fitting structure for centrifugal pump
JP2651248B2 (ja) 1989-08-31 1997-09-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516341Y2 (ja) 1989-12-19 1996-11-06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水中モータポンプ
JPH05321867A (ja) * 1992-05-25 1993-12-07 Sanko Pump Seisakusho:Kk 混流羽根と遠心羽根を一体化した複合インペラー
JPH0610895A (ja) * 1993-04-05 1994-01-21 Ebara Corp 水中モータポンプ
JPH0722097U (ja) * 1993-09-22 1995-04-21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水中ポンプ
JPH07293496A (ja) * 1994-04-27 1995-11-07 Terada Pump Seisakusho:Kk 水中ポンプ
JPH10184581A (ja) * 1996-12-26 1998-07-14 Shin Meiwa Ind Co Ltd 水中ポンプのポンプケーシング
JPH11294395A (ja) 1998-04-13 1999-10-26 Ebara Corp 水中モータ
KR200467740Y1 (ko) * 2012-08-30 2013-07-02 세한산업기계 주식회사 상수도 가압용 수중 인라인 가압펌프
CN102966559A (zh) * 2012-10-19 2013-03-13 福建省尤溪长波水力机械有限公司 新型抽水、发电两用的水轮泵
JP6132694B2 (ja) * 2013-07-24 2017-05-24 株式会社鶴見製作所 自動運転型片水路水中ポンプ
TWM474077U (zh) * 2013-11-15 2014-03-11 Strong Way Ind Co Ltd 水泵之扇葉裝置
JP6456812B2 (ja) 2015-12-21 2019-01-23 株式会社電業社機械製作所 水中モータ駆動式ポンプ
DE102016208017A1 (de) * 2016-05-10 2017-11-16 BSH Hausgeräte GmbH Flüssigkeitsheizpumpe zum Fördern und Aufheizen von Flüssigkeit in einem wasserführenden Haushaltsgerät
JP2018091153A (ja) 2016-11-30 2018-06-1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冷却ジャケ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水中モータポンプ
DK3546760T3 (da) * 2018-03-26 2020-09-28 Xylem Europe Gmbh Nedsænkelig elektrisk maski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6832A1 (ja) 2016-11-22 2018-05-31 株式会社不二工機 排水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21688B2 (ja) 2022-02-17
EP4180674A1 (en) 2023-05-17
KR20220161494A (ko) 2022-12-06
US20230193904A1 (en) 2023-06-22
JP2022015674A (ja) 2022-01-21
US11808266B2 (en) 2023-11-07
TW202217157A (zh) 2022-05-01
CN219012992U (zh) 2023-05-12
TWI819282B (zh) 2023-10-21
WO2022009460A1 (ja)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4917B1 (en) Anti-vortex device and double-suction vertical pump provided with the anti-vortex device
JPS5914639B2 (ja) 燃料搬送装置
KR20050072931A (ko) 터보압축기
JP6485552B2 (ja) 遠心圧縮機
WO2012001995A1 (ja) シール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流体機械
JPH0914194A (ja) 循環ポンプ
CN107850120B (zh) 轴承结构以及增压器
KR20120076151A (ko) 밀폐형 압축기
EP0467557B1 (en) Blower assembly with impeller for vacuum cleaner
JP6601499B2 (ja) 軸受構造、および、過給機
KR102525528B1 (ko) 수중 펌프
KR102498419B1 (ko) 회전식 흡입가이드 받침대를 포함하는 수중펌프
EP1855013A2 (en) Improvement in the pumping chamber of a centrifugal turbine pump
JP6802002B2 (ja) ボルテックス形ポンプ及びボルテックス形ポンプ内の羽根車の位置を調整する方法
JP2020084815A (ja) 遠心ポンプ
CN218760600U (zh) 一种用于加热泵的定子和加热泵
JPH0318688A (ja) ウエスコ型ポンプ機構
JP7159896B2 (ja) 水中ポンプ
US20200378405A1 (en) Impeller and centrifugal pump
JP2021139311A (ja) ポンプ装置
JPH08144943A (ja) ポンプユニット
JPH0510245A (ja) 外輪駆動式水車発電機
CN114320928A (zh) 离心泵
KR102387931B1 (ko) 진공 흡입 유닛
JP2002138981A (ja) 渦巻き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