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9564B1 -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브레이크 클립 및 그러한 브레이크 클립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브레이크 클립 및 그러한 브레이크 클립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9564B1
KR102519564B1 KR1020177027523A KR20177027523A KR102519564B1 KR 102519564 B1 KR102519564 B1 KR 102519564B1 KR 1020177027523 A KR1020177027523 A KR 1020177027523A KR 20177027523 A KR20177027523 A KR 20177027523A KR 102519564 B1 KR102519564 B1 KR 102519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pring
brake
clip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268A (ko
Inventor
크레이그 거버
마뉴엘 바르보사
해리 밀러
존 웹플
다니엘 슈워츠
마르코 베커
플로리안 로싱거
에두아르도 모라이스
채드 브리젠딘
Original Assignee
제트에프 액티브 세이프티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제트에프 액티브 세이프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에프 액티브 세이프티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제트에프 액티브 세이프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에프 액티브 세이프티 유에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2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16D55/226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the axial movement being guided by one or more pins engaging bores in the brake support or the brak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16D55/226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the axial movement being guided by one or more pins engaging bores in the brake support or the brake housing
    • F16D55/227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the axial movement being guided by one or more pins engaging bores in the brake support or the brake housing by two or more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 F16D65/0972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transmitting brake reaction force, e.g. elements interposed between torque support plate and p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2065/13Parts or details of discs or drums
    • F16D2065/134Connection
    • F16D2065/1392Connection elements
    • F16D2065/1396Ancillary resilient elements, e.g. anti-rattle or retraction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U자 형태의 섹션과 적어도 하나의 연장 부분을 구비하는 브레이크 클립을 포함한다. 상기 U자 형태의 섹션은 베이스 레그및 상기 베이스 레그로부터 연장하는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 레그를 구비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 부분은 적용 부분, 제1 및 제2레그를 구비하는 변환 부분, 및 상기 제1 및 제2레그를 연결하는 굴곡부(bend)를 구비한다. 상기 변환 부분은 U자 형태의 섹션의 측면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1 및 제2레그는 제1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적용 부분이 제2방향에서 제3방향으로 방향을 바꾸게 한다. 상기 제2방향은 제1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이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브레이크 클립 및 그러한 브레이크 클립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본 출원서는 2015년 3월 5일 출원된 미국 임시출원 번호 62/128,791의 이점 및 우선권을 청구하며, 이는 본 문서에 전부 참조로 결합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차량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및 구체적으로 그러한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에서의 사용을 위한 브레이크 클립용 개선된 구조체와 관련된다.
대부분의 차량들은 제어된 방식으로 차량의 이동을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자동차 또는 소형 트럭용의 통상적인 브레이크 시스템은 각각의 앞바퀴를 위한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와, 각각의 뒷바퀴를 위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또는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차량의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누를 때 발생하는 유압 또는 공기압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이러한 드럼 브레이크 어셈블리 및 디스크 브레이크의 구조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액츄에이터는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통상적인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그와 함께 회전하기 위해 차량의 바퀴에 고정되는 로터(rotor)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앵커 브래킷(anchor bracket)에 고정되는 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 되는 캘리퍼 어셈블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앵커 브래킷은 차축 플랜지(axle flange) 또는 조향 너클(steering knuckle)과 같은 차량의 비회전식 구성요소에 고정되며, 이는 차량 프레임에 연결된다. 상기 캘리퍼 어셈블리는 브레이크 로터의 마주보는 면들 위에 배치되는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비-제동 위치와 제동 위치 사이에서의 운동을 위해 유압적으로 또는 공기압적으로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핀에 연결되며,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브레이크 로터의 마주보는 제동 표면과 마찰적으로 맞물리도록 이동한다. 예를 들어, 차량의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누를 때, 상기 피스톤은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비-제동 위치에서 제동 위치로 가압하여 브레이크 로터의 마주 보는 제동 표면들과 마찰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차량과 관련되는 바퀴의 회전을 감속 또는 정지시킨다.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브레이크 패드는 일반적으로 로터의 마주보는 면들로부터 이격 된다. 브레이크 패드가 로터에 확실하게 맞물려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차량이 작동하는 도중에 다른 브레이크 및 차량 구성요소에 대하여 자유롭게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차량이 유발하는 진동 하중은 브레이크 패드와 다른 브레이크 구성요소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 또는 다른 잡음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앵커 브래킷과 브레이크 패드 사이에 브레이크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브레이크 클립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이 해제되는 경우에 로터와의 접촉으로부터 브레이크 패드를 후퇴시키거나 잡아당기는 후퇴 하중을 제공하는 후퇴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브레이크 패드는 반복된 사용으로(-즉, 로터와의 맞물림) 새로운 패드 상태로부터 마모된 패드 상태로 마모된다. 그러나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됨에 따라, 후퇴 클립에 의해 제공되는 후퇴 하중은 증가한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패드가 마모됨에 따라 브레이크 클립의 후퇴 하중에서의 변화를 감소시키는 후퇴 부분을 갖춘 브레이크 클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에서의 사용을 위한 브레이크 클립과 관련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 어셈블리는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개별적으로 및/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앵커 브래킷, 브레이크 패드, 및 브레이크 클립. 상기 앵커 브래킷은 채널(channel)을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는 상기 채널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구비한다. 상기 브레이크 클립은 앵커 브래킷과 브레이크 패드 사이에 배치되며 U자 형태의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연장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U자 형태의 섹션은 베이스 레그 및 상기 베이스 레그로부터 연장하는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 레그를 구비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 부분은 적용 부분, 제1 및 제2레그를 구비하는 변환 부분, 및 상기 제1 및 제2레그를 연결하는 굴곡부(bend)를 구비한다. 상기 변환 부분은 U자 형태의 섹션의 측면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제1 및 제2레그는 제1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적용 부분이 제2방향에서 제3방향으로 방향을 바꾸게 한다. 상기 제2방향은 제1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이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다음 특징 중 하나 이상을 개별적으로 및/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클립. 상기 브레이크 클립은 U자 형태의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연장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U자 형태의 섹션은 베이스 레그를 구비하며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 레그들이 상기 베이스 레그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 부분은 적용 부분, 제1 및 제2레그를 구비하는 변환 부분,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를 연결하는 굴곡부, 및 상기 변환 부분과 적용 부분을 연결하는 스프링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변환 부분은 U자 형태의 섹션의 측면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및 제2레그는 제1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굴곡부는 적용 부분이 제2방향에서 제3방향으로 향하게 방향을 바꾼다. 제2방향은 제1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이 있다. 상기 스프링 부분은 복수의 개구부에 의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브리지 부분, 제1 및 제2스프링 레그, 및 제1스프링 레그와 제2스프링 레그 사이의 정점(apex)을 구비한다. 복수의 개구부의 제1개구부는 제1스프링 레그에 있고 복수의 개구부의 제2개구부는 제2스프링 레그에 있다. 복수의 브리지 부분의 제1브리지 부분은 정점에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와의 사용을 위해 맞추어진 브레이크 클립을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의 특징을 개별적으로 및/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재료 스트립으로부터, 블랭크 몸체 및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부분을 갖는 재료 블랭크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블랭크 몸체로부터 U자 형태의 섹션을 굴곡 시키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부분으로부터 연장 부분을 굴곡 시키는 단계. 스트립 부분은 블랭크 몸체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하며 제2부분은 제2방향으로 연장한다. 제2방향은 제1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이 있다. U자 형태의 섹션은 베이스 레그를 구비하며 마주보는 상부 및 하부 레그들이 상기 베이스 레그로부터 연장한다. 연장 부분 각각은 변환 및 적용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변환 부분은 제1부분으로부터 형성되며 제1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제1 및 제2레그를 구비한다. 상기 적용 부분은 제2부분으로부터 형성되고 및 제3방향에서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클립의 실시예의 잠재적인 이점은 브레이크 클립의 후퇴 하중에서의 변화를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읽을 경우에,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분해 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종래 기술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종래 기술 브레이크 클립의 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클립의 제1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5는 도3에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6은 도4의 6-6 선을 따라 취하는 단면도이다.
도7은 도3에 도시된 설치된 위치에서의 브레이크 클립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8은 도3에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의 제1실시예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스트립의 평면도이다.
도9는 도6의 9-9 선을 따라 취하는 일부 부분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클립의 제2실시예의 일부 부분도이다.
도11은 설치된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클립의 제3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클립의 제4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13은 도12에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의 제4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14는 도12에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15는 도13의 15-15 선을 따라 취하는 부분도이다.
도16은 설치된 위치에서 도12에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의 제4실시예의 도13의 15-15 선을 따라 취하는 부분도이다.
도17은 도12에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의 제4실시예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스트립의 평면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클립의 제5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19는 도18에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의 제5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20은 도18에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의 제5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21은 도18에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의 제5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22는 도20의 22선을 따라 취하는 부분도이다.
도23은 도20의 23선을 따라 취하는 부분도이다.
도24는 도18에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의 제5실시예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스트립의 평면도이다.
도2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클립의 제6실시예의 투시도이다.
도26은 도25에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의 제6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27은 도25에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의 제6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28은 도27의 28선을 따라 취하는 부분도이다.
도29는 도25에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의 제6실시예의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스트립의 평면도이다.
도30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 클립의 제7실시예의 투시도이다.
이제 도1을 참조해보면, 종래 기술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선택된 구성요소의 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100으로 나타나며, 인보드(inboard) 및 아웃보드(outboard) 제1브레이크 클립들(102A 및 102B) 각각 및 인보드 및 아웃보드 제2브레이크 클립들(104A 및 104B) 각각을 포함하며, 이는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아직 조립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즉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는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만이 설명되고 도시되지만, 아웃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B) 뿐만 아니라 인보드 및 아웃보드 제2브레이크 클립들(104A 및 104B) 각각 또한 이와 유사하다.
도1에 도시된 종래 기술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100)는 잘 알려진 “콜레트(Collete)” 슬라이딩 타입의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이며, 이는 Waterman 등의 미국 특허 공개번호 5,323,882, Rath 등의 미국 특허번호 Re 30,255, 및 Miller 등의 미국 특허 공개번호 2013/0192938 과 같으며, 이러한 모든 특허 및 공개물의 개시는 본 문서에 전부 참조로 결합 된다.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100)의 일반적인 구조와 작동은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100)의 그 일부분들만이 자세히 설명되고 도시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100)에 대하여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다른 타입의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Franz 등의 미국 특허번호 7,784,591의 예시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다른 단일 피스톤, 한 쌍의 피스톤, 단일의 마주보는 피스톤과 한 쌍의 마주보는 피스톤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문서에서 전부 참조로 결합 된다.
상기 종래 기술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100)는 일반적으로 C자 형태의 캘리퍼(112), 앵커 브래킷(122), 및 아웃보드와 인보드 브레이크 패드들(132 및 134) 각각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100)는 차량의 전방 왼쪽 바퀴 위에서 사용되도록 맞추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상기 캘리퍼(112)는 브리지 섹션(118)에 의해 연결되는 내부 섹션(114) 및 외부 섹션(116)을 포함한다. 상기 캘리퍼(112)는 앵커 브래킷(122) 안쪽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가이드 핀(120A 및 120B) 각각에 의해 앵커 브래킷(122) 위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 된다. 상기 캘리퍼(112)는 제1 및 제2가이드 핀 볼트(121A 및 121B) 각각에 의해 제1 및 제2가이드 핀(120A 및 120B) 각각에 고정될 수 있다. 차례로, 앵커 브래킷(122)은 차축 플랜지(도시되지 않음) 또는 조향 너클(도시되지 않음) 과 같은 차량의 고정된 구성요소에 고정된다.
앵커 브래킷(122)은 제1 및 제2의 이격된 비-나사산(non-threaded) 개구부(122A 및 122B) 각각, 및 제1 및 제2의 이격된 나사산 개구부(123A 및 123B) 각각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의 비나사산 개구부(122A 및 122B) 각각은 연관된 제1 또는 제2가이드 핀(120A 또는 120B) 중 하나를 수용하도록 맞추어지며, 제1 및 제2의 나사산 개구부(123A 및 123B) 각각은 마운팅 볼트(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하도록 맞추어진다. 상기 마운팅 볼트는 각각 제1 및 제2 나사산 개구부(123A 및 123B)를 통해 연장하며, 고정된 차량 구성요소(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되는 나사산 개구부에 수용됨으로써 앵커 브래킷(122)을 고정된 차량 구성요소에 고정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알려진 고정 수단들도 브레이크 캘리퍼(112)를 앵커 브래킷(122)에 고정시키는 데에 및/또는 원한다면 앵커 브래킷(122)을 고정된 차량 구성요소에 고정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앵커 브래킷(122)은 외부 타이 바(128)에 의해 바깥쪽 단부에서 상호 연결되고 내부 타이 바(130)에 의해 안쪽 단부에서 상호 연결되는 축 방향 및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암(124 및 126) 각각을 포함한다. 제2암(126)은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100)의 제2단부에 있고 제1암(124)은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100)의 제1단부에 있다. 선택적으로, 앵커 브래킷(122)은 원한다면 내부 타이 바(130) 또는 외부 타이 바(128) 중 오직 하나만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암(124 및 126) 각각은 이에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125와 127로 표시되는 제1 및 제2의 이격된 노치 또는 채널을 포함한다[오직 제1채널(125)만이 명확히 도시되었지만, 제2채널(127)은 바람직하게는 제1채널(125)과 동일하다]. 특히, 상기 제1채널들(125)은 암(124)의 내부 벽에 제공되고 서로 평행하며, 제2채널들(127)은 암(126)의 내부 벽에 제공되고 서로 평행하다. 제1 및 제2채널(125 및 127) 각각은 인보드 및 아웃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 및 102B)과 인보드 및 아웃보드 제2브레이크 클립(104A 및 104B)을 각각 구비하는 아웃보드 브레이크 패드(132)와 인보드 브레이크 패드(134)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및 제2채널(125 및 127) 각각은 앵커 브래킷(122)에 아웃보드 및 인보드 브레이크 패드(132 및 134) 각각을 조립하기 전에 관련되는 인보드 및 아웃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 및 102B), 및 관련되는 인보드 및 아웃보드 제2브레이크 클립(104A 및 104B) 각각을 수용하도록 맞추어진다.
아웃보드 브레이크 패드(132)는 아웃보드 백 플레이트(136)와 아웃보드 마찰 패드(138)를 포함한다. 아웃보드 백 플레이트(136)는 그 위에서 형성되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아웃보드 가이드 레일(136A)(오직 하나의 가이드 레일만이 도시되어 있다)을 구비하는 반대편 단부를 포함한다. 아웃보드 가이드 레일(136A)은 앵커 브래킷(122)의 제1 및 제2채널(125 및 127) 내의 슬라이딩 운동을 위해 아웃보드 브레이크 패드(132)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인보드 브레이크 패드(134)는 인보드 백 플레이트(140) 및 인보드 마찰 패드(142)를 포함한다. 상기 인보드 백 플레이트(140)는 그 위에서 형성되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제1 및 제2인보드 가이드 레일(140A 및 140B)을 각각 구비하는 반대편의 단부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인보드 가이드 레일(140A 및 140B) 각각은 앵커 브래킷(122)의 제1 및 제2채널(125 및 127) 내에서의 슬라이딩 운동을 위해 인보드 브레이크 패드(134)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인보드 브레이크 패드(134)가 캘리퍼(112)의 인보드 레그 부분(116)에서 지지 될 수 있는 한편, 아웃보드 브레이크 패드(132)는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100)의 브레이크 피스톤에서 지지 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아웃보드 가이드 레일(136A)과 제1 및 제2인보드 가이드 레일(140A 및 140B) 각각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갖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제 도2를 참조해보면,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은 실질적으로 평면의 베이스 레그(160)를 구비하는 U자 형태의 섹션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상부 레그(161)와 제2 또는 하부 레그(162)는 상기 베이스 레그(160)의 반대편 에지들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의 방식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상부 레그(161)와 하부 레그(162)는 서로에 대하여 평행인 평면의 구조체이며 베이스 부분(160)과 수직을 이룸으로써, 일반적으로 제1채널(125)의 형태와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태를 형성하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이 앵커 브래킷(122)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베이스 레그(160)는 제1채널(125)의 후방 표면(125A)을 따라 연장하며 이에 안착 된다. 상부 레그(161)는 제1채널(125)의 상면(125B)을 따라 연장하여 이에 안착 되거나 또는 접촉하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하부 레그(162)는 제1채널(125)의 아랫면(125C)을 따라 연장되어 이에 안착 되거나 또는 접촉하지만, 이 또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163A)를 포함한다. 상기 유지 부재(163A)는 베이스 레그(160)의 반대편 에지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탄성 부분이다. 상기 유지 부재(163A)는 스탬핑 작업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필요하다면 그곳에 고정되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유지 부재(163A)는 앵커 브래킷(122)에 맞물리고 그곳에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립(lip), 돌출부, 또는 임의의 다른 구조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유지 부재(163A)는 “펀치-아웃(punch-out)” 탭(163C)을 포함한다. 작동 시,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이 앵커 브래킷(122)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유지 부재(163A)는 앵커 브래킷(122)의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을 앵커 브래킷(122)에 고정하는 것을 돕기 위해 앵커 브래킷(122)의 제1 및 제2측면(125D 및 125E)을 따라 연장되어 결합한다.
또한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은 상부 설치 탭(169A)을 포함하지만, 이는 필수적이지 않다. 상기 상부 설치 탭(169A)은 상부 레그(161)의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며 그곳으로부터 위쪽으로 일정한 각이 있다. 상부 설치 탭(169A)은 앵커 브래킷(122) 위에 인보드 브레이크 패드(134)를 설치하는 동안 제1채널(125)로의 삽입을 위해 백 플레이트(140)에 제공되는 제1인보드 가이드레일(140A)을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설치 탭(169A)이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의 상부 레그(161)는 각각 제1 및 제2지지 레그(166 및 170)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1지지 레그(166)는 상부 레그(161)로부터 연장한다. 제1지지 레그(166)는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이 앵커 브래킷(122)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앵커 브래킷(122)의 전방 표면(125F)에 일반적으로 대응하고 이에 인접하여 연장하도록 구성되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100)의 관련되는 구성요소가 조립된 경우에, 앵커 브래킷(122)과 인보드 브레이크 패드(134)의 백 플레이트(140) 사이에 제1지지 레그(166)가 배치된다.
또한, 제2지지 레그(170)는 보존 탭(17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보존 탭(172)은 제2지지 레그(170)로부터 아래쪽으로 및 제1지지 레그(166)를 향하여 전방 방향으로 연장한다. 그러므로, 상기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이 앵커 브래킷(122)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보존 탭(172)은 제1채널(125)의 후방 표면(125A)으로부터 전방 표면(125F)을 향해 오프셋 되거나 또는 달리 이격 되는 위치에서 상부 레지(125H)의 상면(125G)과 맞물린다.이러한 구성은 제1채널(125)로부터 멀어지는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의 피봇 운동을 저지한다. 그러므로, 상부 레그(125H)의 상면(125G)은 오프셋 맞물림 위치의 결과로서 보존 탭(172)을 수용하기 위해 그루브 및 이와 같은 것을 포함할 필요가 없는 것이 이해된다. 상기 보존 탭(172)은 위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보존 탭을 포함하는 임의의 구조체일 수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또한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의 하부 레그(162)는 바람직하게는 하부 교대 레그(18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교대 레그(180)는 하부 레그(162)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의 방식으로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탄성 부재일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은 필수적이지 않다. 그러므로,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이 앵커 브래킷(122)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하부 교대 레그(180)는 앵커 브래킷(122)의 하부 접촉면(125J)에 인접하여 연장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접촉면(125J)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또한 하부 교대 레그(180)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아웃보드 면 위에 제공되는 보존 부재(182)를 포함하지만, 이는 필수적이지 않다. 도시된 보존 부재(182)는 앵커 브래킷(122)의 측면(125E)을 따라 후방 방향으로 하부 교대 레그(180)로부터 연장하는 탄성 돌출부이다. 상기 보존 부재(182)는 앵커 브래킷(122)에 대한 백 플레이트(140)의 후퇴에 의해 생성되는 후퇴 하중에 대항한다. 그러므로, 보존 부재(182)는 인보드 브레이크 패드(134)의 마찰 재료가 사용으로 마모됨에 따라, 백 플레이트(140)가 로터(도시되지 않음)를 향해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을 잡아당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이 그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보존 부재(182)는 앵커 브래킷(122)의 하부 접촉면(125J) 위에 하부 교대 레그(180)가 정렬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원한다면 상기 보존 부재(182)는 앵커 브래킷(122)의 측면(125E)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립, 돌출부, 또는 임의의 다른 구조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장 레그(167)는 상기 하부 교대 레그(180)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연장 레그(167)는 하부 레그(162)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탄성 부재이다. 상기 연장 레그(167)의 단부 부분은 반원형 단면 형상 또는 임의의 다른 바람직한 단면 형상을 갖는 립 부분(16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립 부분(168)은 연장 레그(167)가 굴곡되는 것을 돕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은 연장 부분(190)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부분(190)은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의 하부 레그(162)를 따라 연장하는 견인기(retractor) 클립이다. 상기 연장 부분(190)은 스프링 부분(192), 상기 스프링 부분(192)으로부터의 스프링력을 적용하는 적용 부분(194), 및 접촉 립(196)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부분(192)은 적용 부분(194)을 인보드 제1브레이크 클립(102A)의 하부 레그(162)의 바깥쪽 에지에 연결한다. 도2에서 화살표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스프링 부분(192)은 적용 부분(194)이 하부 레그(162)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도록 하는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복수의 스프링 암으로서 구체화된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 부분(192)이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임의의 구조체일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연장 부분(190)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도시되지 않음)이 해제되는 경우에 브레이크 로터와의 접촉으로부터 인보드 브레이크 패드(134)를 후퇴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제 도3 내지 도6을 참조해보면, 일반적으로 202로 표시되는 브레이크 클립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라서 및 도1에 도시된 종래 기술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와 같은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와의 사용을 위하여 생산된다. 도3 내지 도6에서 상기 브레이크 클립(202)은 “자유”또는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 도시된다.
상기 브레이크 클립(202)은 몸체 섹션을 포함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203으로 표시되고 실질적으로 평면인 베이스 레그(260)를 구비한다. 제1 또는 상부 레그(261)와 제2 또는 하부 레그(262)는 베이스 레그(260)의 반대편 에지들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의 방식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상기 상부 레그(261)와 하부 레그(262)는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베이스 부분(260)과는 수직인 평면의 구조체이며, 이로써 앵커 브래킷(도시되지 않음)의 암에서 형성되는 채널(도시되지 않음)의 형태와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태를 형성하지만, 이는 필수적이지 않다. 선택적으로, 상부 레그(261)와 하부 레그(262)는 평면인 것 이외의 것일 수 있다.
상기 앵커 브래킷은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알려진 종래의 타입이다. 예를 들어, 앵커 브래킷은 종래 기술 앵커 브래킷(122)일 수 있다. 상기 브레이크 클립(202)이 앵커 브래킷 위에 설치되는 경우, 베이스 레그(260)는 채널의 후방 표면을 따라 연장하며 이에 안착 된다. 상부 레그(261)는 채널의 상부 표면을 따라 연장하며 일반적으로 이에 안착하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접촉할 수 있으나, 이는 필수적이지 않다. 하부 레그(262)는 채널의 하부 표면을 따라 연장되어 일반적으로 이에 안착하거나 또는 이와 다르게 접촉하지만, 이는 필수적이지 않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브레이크 클립(202)은 바람직하게는 제1유지 부재(263A)를 포함한다. 상기 제1유지 부재(263A)는 베이스 레그(260)의 반대편 에지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탄성 부분이다. 상기 제1유지 부재(263A)는 스탬핑 작업에 의해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제1유지 부재(263A)는 베이스 레그(260)에 고정되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제1유지 부재(263A)는 앵커 브래킷에 결합하여 브레이크 클립(202)을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립, 돌출부, 또는 임의의 다른 구조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제1유지 부재(263A)는 “펀치-아웃” 탭(263C)을 포함한다. 작동 시에, 상기 브레이크 클립(202)이 앵커 브래킷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제1유지 부재(263A)는 앵커 브래킷의 측면 표면을 따라 연장하며 이와 결합하여 상기 앵커 브래킷에 브레이크 클립(202)을 고정하는 것을 돕는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클립(202)은 상부 설치 탭(269A)을 포함하지만, 이는 필수적이지 않다. 상기 상부 설치 탭(269A)은 상부 레그(261)의 측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며 그곳으로부터 위쪽으로 일정한 각이 있다. 앵커 브래킷 위에 브레이크 패드(도시되지 않음)를 설치하는 동안, 상기 상부 설치 탭(269A)은 채널로의 삽입을 위해 백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 위에 제공되는 가이드 레일을 정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와 백 플레이트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종래의 타입이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패드는 종래 기술 인보드 브레이크 패드(134)일 수 있으며 백 플레이트는 종래 기술 백 플레이트(140)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설치 탭(269A)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클립(202)의 상부 레그(261)는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지지 레그(266 및 270)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 레그(266)는 상부 레그(261)로부터 연장한다. 브레이크 클립(202)이 앵커 브래킷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상기 제1지지 레그(266)는 상기 앵커 브래킷의 전방 표면에 대응하고 이에 인접하여 연장하도록 구성되지만, 이는 필수적이지 않다. 이와 같이,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의 관련되는 구성요소가 조립되는 경우에, 상기 제1지지 레그(266)는 앵커 브래킷과 브레이크 패드의 백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2지지 레그(270)는 제2보존 탭(27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제2보존 탭(272)은 제2지지 레그(270)로부터 제1지지 레그(266)를 향해 연장한다. 그러므로, 브레이크 클립(202)이 앵커 브래킷 위에 설치되는 경우, 제2보존 탭(272)은 전방 표면을 향해 채널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오프셋이거나 또는 달리 이격 되는 위치에서 상부 레지의 상부 표면에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은 채널로부터 먼 쪽으로의 브레이크 클립(202)의 피봇 운동을 저지한다.
또한 브레이크 클립(202)의 하부 레그(262)는 하부 교대 레그(28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교대 레그(280)는 하부 레그(262)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의 방식으로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탄성 부재일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은 필수적이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브레이크 클립(202)이 앵커 브래킷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하부 교대 레그(280)는 앵커 브래킷의 하부 접촉 표면에 인접하여 연장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접촉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또한 상기 하부 교대 레그(280)는 그의 아웃보드 면 위에 제공되는 제3보존 부재(282)를 포함하지만, 이는 필수적이지 않다. 도시된 제3보존 부재(282)는 앵커 브래킷의 측면을 따라 하부 교대 레그(280)로부터 연장하는 탄성 돌출부이다. 상기 제3보존 부재(282)는 앵커 브래킷에 대한 백 플레이트의 후퇴에 의해 생성되는 후퇴 하중에 저항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3보존 부재(282)는 브레이크 패드의 마찰 재료가 사용으로 마모됨에 따라 백 플레이트가 상기 브레이크 클립(202)을 로터(도시되지 않음)를 향해 잡아당기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클립(202)이 앵커 브라켓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제3보존 부재(282)는 하부 교대 레그(280)가 앵커 브래킷의 하부 접촉 표면 위에서 정렬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상기 제3보존 부재(282)는 원한다면 앵커 브래킷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립, 돌출부, 탭, 또는 임의의 다른 구조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장 레그(267)는 하부 교대 레그(280)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연장 레그(267)는 하부 레그(262)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탄성 부재이다. 연장 레그(267)의 단부 부분은 반원형 단면 형상 또는 임의의 다른 바람직한 단면 형상을 갖는 립 부분(26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립 부분(268)은 연장 레그(267)가 변형되는 것을 돕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브레이크 클립(202)은 몸체 섹션(203)으로부터 연장하는 연장 부분을 포함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290으로 표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 부분(290)은 하부 레그(262)의 제1측면(264)으로부터 연장하는 견인기 클립이다. 연장 부분(290)은 스프링 부분(292), 적용 부분(294), 및 접촉 립(296)을 포함한다. 상기 적용 부분(294)은 스프링 부분(292)에 의해 생성되는 스프링력을 적용시켜 하부 레그(262)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용 부분(294)은 일반적으로 제2측면(265)을 향해 제1측면(264)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제2측면(265)은 제1측면(264)과 반대쪽에 있다. 선택적으로, 적용 부분(294)은 제1측면(264)으로부터 제2측면(265)을 향하는 것과 달리 연장할 수 있다.
스프링 및 적용 부분(292 및 294) 각각은 몸체 섹션(203)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및 적용 부분(292 및 294)은 스프링 방향(X1)으로 작용하며, 상기 스프링 방향은 제1측면(264)으로부터 제2측면(265)으로 향한다. 추가적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연장 부분(290)은 일반적으로 244로 표시되는 변환 부분으로부터 휘어진 부재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스프링 부분(290) 또한 상부 레그(261)를 향하는 방향 및 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적용 부분(294)은 적용 부분(294)이 베이스 레그(260)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있도록 방향 지어진다. 선택적으로, 스프링 방향(X1)은 제1측면(264)으로부터 제2측면(265)으로 향하는 것과 다른 것일 수 있다.
스프링 부분(292)은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291로 표시된다. 도8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291)는 제1, 제2, 및 제3개구부(291A, 291B, 및 291C)를 각각 포함한다. 제1개구부(291A)와 제2개구부(291B) 각각의 사이에는 제1브리지 부분(293A)이 있으며 제2개구부(291B)와 제3개구부(291C) 각각의 사이에는 제2브리지 부분(293B)이 있다. 상기 제1브리지 부분(293A)은 스프링 부분(292)의 스프링 부분 제1레그(295A)에 위치하며, 제2브리지 부분(293B)은 스프링 부분 제2레그(295B)에 위치하며, 및 제2개구부(291B)는 스프링 부분(292)의 정점 부분에 위치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297로 표시된다. 상기 정점 부분(297)은 스프링 부분 제1레그(295A)와 제2레그(295B) 각각의 사이에 있다.
상기 스프링 부분(292)은 적용 부분(294)이 몸체 섹션(203)에 대하여 3차원적으로 이동하게 하는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복수의 스프링 암으로서 도시된다. 그러나, 스프링 부분(292)은 원한다면 임의의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한 구조체일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재료 구성 및/또는 스프링 부분(292)의 구조는 연장 부분(290)의 이동을 생성하거나 또는 제한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연장 부분(290)은 브레이크 페달(도시되지 않음)이 해제되는 경우에 브레이크 로터(도시되지 않음)와의 접촉으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후퇴시키도록 구성된다. 연장 부분(290)은 제1측면(264)을 향해 브레이크 패드를 잡아 당김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패드(도시되지 않음)를 후퇴시킨다. 연장 부분(290)의 스프링 부분(292)은 변환 부분(244)을 포함한다. 상기 변환 부분(244)은 제1레그(246)와 제2레그(247) 각각의 사이에 굴곡부(245)를 구비하며, 이는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제 도7을 참조해보면, 설치된 위치에 있는 도시된 브레이크 클립(202)이 있다. 여기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위치에서 백 플레이트의 가이드 레일(240A)(가상선으로 도시됨)은 적용 부분(294)의 일부와 접촉하며 동시에 상기 적용 부분(294)을 (도7에서 아래쪽으로) 바이어스 한다. 또한, 접촉 립(296)은 가이드 레일(240A)의 일부를 포획 또는 구속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240)이 브레이크 클립(202) 위에 설치되는 경우에, 가이드 레일(240A)은 제1측면(264)으로부터 먼쪽으로 그리고 제2측면(265)을 향하여 연장 부분(290)을 옮긴다. -즉, 상기 연장 부분(290)을 도7에서 왼쪽으로 옮기며, 제2측면(265)은 제1측면(264)와 마주본다. 이러한 배치는 스프링 부분(292)을 팽팽하게 한다.
이제 도8을 참조해보면, 브레이크 클립(202)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개별 재료 블랭크가 바람직하게 형성되는 블랭크 또는 재료 스트립(250)이 도시되어있다. 대표적으로 제1 및 제2재료 블랭크가 도시되어 있고, 이들은 일반적으로 251과 252로 표시된다. 상기 브레이크 클립(202)은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알려진 적합한 수단을 사용하여 복수의 개별 재료 블랭크 중 임의의 것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어, 상기 브레이크 클립(202)은 스탬핑 작업에 의해 제1재료 블랭크(251)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재료 블랭크(251)는 브레이크 클립(202)의 몸체 섹션(203)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또는 메인 블랭크 몸체(253) 및, 상기 블랭크 몸체(253)로부터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254로 표시되는, 브레이크 클립(202)의 연장 부분(290)을 제조하기 위한 제2 또는 스트립 블랭크 부분을 포함한다. 스트립 부분(254)은 제1방향(D1)으로 블랭크 몸체(253)에 연결되고 블랭크 몸체로부터 연장하는 제1부분(255) 및 제1부분(255)에 대하여 제2방향(D2)으로 연장하도록 굴곡부(245)를 통해 제1부분(255)에 연결되는 제2 및 제3부분(256 및 257) 각각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방향(D2)은 제1방향(D1)으로부터 일정한 각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D2)은 제1방향(D1)에 실질적으로 수직이지만 제1방향(D1)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아닌 것일 수 있다.
변환 부분(244)의 제1레그(246)는 제1부분(255)으로부터 형성되며 변환 부분(244)의 제2레그(247)는 제2부분(256)으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245)는 제1부분(255)과 제2부분(256) 사이의 연결 인터페이스(도8에서 파선으로 도시됨) 주위에 형성된다. 스프링 부분(292), 적용 부분(294), 및 접촉 립(296)은 제3부분(257)으로부터 형성된다. 제1각도(α)는 제1방향(D1)과 제2방향(D2) 사이의 각도이다. 상기 굴곡부(245) 또한 제1각도(α)를 갖는다. 제1각도(α)가 증가함에 따라, 블랭크 스트립(250)의 폭(299)은 감소한다.
변환 부분(244)의 형성은 제3부분(257)을 제2방향(D2)에서 연장하는 것으로부터 제1방향(D1)에서 연장하는 것으로 방향을 바꾸게 하거나 또는 이동시킨다. 그 다음 스프링 부분(292)의 형성은 제1방향으로부터 제3방향(D3)으로 제3부분(257)을 향하게 방향을 바꾸거나 또는 이동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방향(D3)은 제1방향(D1)과 반대이며 제2방향(D2)에 수직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3방향(D3)은 제1방향(D1)의 반대가 아닌 것일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가 즉시 이해하는 바와 같이, 제1각도(α)가 변화함에 따라 제1방향(D1)과 제3방향(D3) 사이의 제2각도(β) 또한 제1각도(α)의 변화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스트립(250)이 금속인 경우, 상기 스트립(250)과 제1 및 제2재료 블랭크(251 및 252) 각각은 스트립(250)의 조직은 제2재료블랭크(252)로부터 제1재료 블랭크(251)를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방향 지어져야 한다.
이제 도9를 참조해보면, 도6의 9-9선을 통해 취하는 브레이크 클립(202)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그(246)와 제2레그(247) 각각의 사이에 “수평의” 틈새 또는 갭(C1)이 존재한다. 하부 레그(262)와 적용 부분(294)은 제1측면(264)과 제2측면(265) 각각의 사이에서 서로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평행하여 연장한다. 변환 부분(244)과 스프링 부분(292)은 하부 레그(262)와 적용 부분(294)에 일반적으로 수직 하여 연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환 부분(244)과 스프링 부분(292)이 일반적으로 반대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상기 변환 부분(244)은 하부 레그(262)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며 스프링 부분(292)은 적용 부분(294)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변환 부분(244)과 스프링 부분(292)은 도시되고 설명된 것과 달리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환 부분(244)과 스프링 부분(292)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 즉, 양쪽 모두 도9에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적용 부분(294)은 견인기 클립이 예를 들어 인보드 가이드 레일(240A)에 의해 옮겨지는 경우에, 스프링 방향(X1)으로 주요 운행 경로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부분(292)은 비선형이며 일반적으로 운행 경로에 수직이다. 선택적으로, 스프링 부분(292)은 수직이 아닌 방향으로 운행 경로와 비선형일 수 있다. 스프링 부분(292)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즉, 스프링 부분(292)의 코일 형상이 확대되면, 스프링 부분(292)에 의해 발현되는 스프링력 또한 증가하며 연장 부분(290)은 일정한 스프링력 값에 보다 신속하게 도달한다. 하부 레그(262)와 적용 부분(294) 사이의 “수직의” 틈새 갭(C2) 또한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연장 부분(290)에 대한 스프링력 또한 보다 신속하게 스프링력 일정 값에 도달한다 - 즉, 상기 하부 레그(262)와 적용 부분(294)은 더욱 분리된다. 게다가, 수평의 틈새 갭(C1)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서, 연장 부분(290)에 대한 스프링력은 보다 신속하게 일정 스프링력 값에 도달한다.
이제 도10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에 따라서 생성되고 일반적으로 302로 표시되는 브레이크 클립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크 클립(302)이 도3 내지 도9의 브레이크 클립(202)의 변형이기 때문에, 100씩 증가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도면에서 해당하는 부분들을 지칭하며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변환 부분(344)의 제2레그(347)는 인터페이스(348) 아래의 제1레그(346)로부터 먼 쪽으로 연장하거나 또는 팽창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레그(347)는 “풍선” 형상으로 제1레그(346)로부터 먼 쪽으로 팽창한다. 선택적으로, 제2레그(347)는 또 다른 적합한 형상 또는 정렬로 팽창될 수 있다.
연장 부분(390)이 제2측면(365)을 향해 배치되는 경우에[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이 브레이크 클립(302) 위에 설치되는 경우], 제1 및 제2레그(346 및 347) 각각은 인터페이스(348)에서 제1레그(346)와 제2레그(347) 각각의 사이에 힘을 전달한다. 그렇지 않으면, 제1 및 제2레그(346 및 347) 각각은 인터페이스(348)에서 접촉하지 않으며 힘 또한 인터페이스(348)에서 제1레그(346)와 제2레그(347) 사이로 전달되지 않는다.
제2레그(347)가 제1레그(346)로부터 먼 쪽으로 팽창된 경우, 연장 부분(390)이 제2측면(365)을 향해 도10에서 왼쪽으로 ?グ保鰥? 따라, 상기 제2레그(347)는 인터페이스(348)에서 보다 신속하게 제1레그(346)에 접촉하며, 제1레그(346)에 힘을 전달한다. 제2레그(347)는 제1레그(346)에 보다 신속하게 접촉하며, 또한 연장 부분(390)에 대한 일정한 스프링력을 보다 신속히 발생시킨다.
이제 도11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고 일반적으로 402로 표시되는 브레이크 클립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크 클립(402)이 도3 내지 도9의 브레이크 클립(202)의 변형이기 때문에, 200씩 증가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도면에서 해당하는 부분들을 지칭하며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490으로 표시되는 연장 부분은 하부 레그(462)의 제2측면(465)으로부터 연장한다. 상기 제2측면(465)은 제1측면(464)와는 반대쪽이다.
이제 도12 내지 도17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고 일반적으로 502로 표시되는 브레이크 클립의 제4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크 클립(502)이 도3 내지 도9의 브레이크 클립(202)의 변형이기 때문에, 300씩 증가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도면에서 해당하는 부분들을 지칭하며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브레이크 클립(502)은 일반적으로 503으로 표시되는 몸체 섹션으로부터 연장하는 연장 부분(590)을 구비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 부분(590)은 몸체 섹션(503)의 하부 레그(562)의 제1측면(564)로부터 연장하는 바이어스 클립이다. 상기 연장 부분(590)은 스프링 부분(592), 적용 부분(594), 및 접촉 립(596)을 포함한다. 상기 적용 부분(594)은 스프링 부분(592)에 의해 생성되는 스프링력을 적용하여 하부 레그(562)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적용 부분(594)은 일반적으로 제2측면(565)을 향하여 제1측면(564)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제2측면(565)은 제1측면(564)의 반대쪽이다.
스프링 및 적용 부분(592 및 594) 각각은 베이스 레그(560)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용 부분(594)은 제2측면(565)을 향하여 제1측면(564)으로부터 연장하며, 상기 제2측면은 제1측면(564)과 반대 방향이다. 상기 적용 부분(594)은 적용 부분(594)이 하부 레그(56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에 있도록 방향 지어 진다.
그러므로, 연장 부분(590)은 브레이크 패드(도시되지 않음)를 앵커 브래킷(도시되지 않음) 내의 바람직한 위치로 바이어스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패드는 전방 또는 후방 위치로 바이어스될 수 있다. 상기 연장 부분(590)의 스프링 부분(592)은 일반적으로 544로 표시되는 변환 부분을 포함한다.
변환 부분(544)은 제1레그(546), 제1굴곡부(545), 제2레그(547), 및 제2굴곡부(574)를 포함한다. 제2굴곡부(574)는 제2레그(547)를 스프링 부분(592)에 연결한다. 제2굴곡부(574)는 스프링 부분(592)을 하부 레그(562)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부터 베이스 레그(560)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방향을 바꾸거나 또는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굴곡부(574)는 스트립 부분(554)의 제3부분(557)의 일부이다.
이제 도18 내지 도23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되고 일반적으로 602로 표시되는 브레이크 클립의 제5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크 클립(602)이 도3 내지 도9의 브레이크 클립(202)의 변형이기 때문에, 400씩 증가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도면에서 해당하는 부분들을 지칭하며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브레이크 클립(602)은 일반적으로 690으로 표시되는 제1연장 부분을 구비하며, 이뿐만 아니라 각각 675와 683으로 표시되는 제2 및 제3연장 부분을 구비한다. 제1연장 부분(690)은 베이스 부분(660)으로부터 연장하며, 제2연장 부분(675)은 상부 레그(661)로부터 연장하며, 제3연장 부분(683)은 하부 레그(662)로부터 연장한다.
제2연장 부분(675)은 일반적으로 677로 표시되는 제2변환부분을 포함하며, 이는 제3레그(679)와 제4레그(681) 각각의 사이에 굴곡부(678)를 구비한다. 제2연장 부분(675)은 제2적용 부분(676)을 포함한다. 제3연장 부분(683)은 일반적으로 685로 표시되는 제3변환 부분을 포함하며, 이는 제5레그(687)와 제6레그(688) 각각의 사이에 굴곡부(686)를 구비한다. 제3연장 부분(683)은 제3적용 부분(684)을 포함한다.
제1연장 부분(690)은 제1방향(X1)으로 스프링력을 적용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 클립이다. 제1연장 부분(690)은 스프링 부분(692)을 향해 브레이크 패드(도시되지 않음)를 잡아당긴다. 제2연장 부분(675)은 제2방향(Y1)으로 스프링력을 적용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접선 바이어스 클립이다. 제3연장 부분(683)은 제3방향(Z1)으로 작용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안티-래틀(anti-rattle) 클립이다. 상기 접선 바이어스 클립은 브레이크 클립(602)으로부터 먼 쪽으로 그리고 제2브레이크 클립(도시되지 않음)을 향하여 브레이크 패드를 바이어스 한다. 상기 안티-래틀 클립은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에서 래틀 소음을 감소시키며, 브레이크 클립(602)은 그 일부이다.
선택적으로, 제1연장 부분(690)은 접선 바이어스 또는 안티-래틀 클립일 수 있으며, 제2연장 부분(675)은 후퇴 또는 안티-래틀 클립일 수 있으며, 및 제3연장 부분(683)은 후퇴 또는 접선 바이어스 클립일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접선 바이어스와 안티-래틀 클립은 의도된 용도에서만 상이하다. 선택적으로, 제1, 제2, 및 제3연장 부분(690, 675, 및 683) 각각은 브레이크 클립(602) 위에 하나 이상의 후퇴, 접선 바이어스, 또는 안티-래틀 클립이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제1, 제2, 및 제3연장 부분(690, 675, 및 683) 각각은 생략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연장 부분(690, 675, 및 683) 각각은 브레이크 클립(602)의 제1측면(664)으로부터 연장한다. 선택적으로, 제1, 제2, 및 제3연장 부분(690, 675, 및 683) 각각은 브레이크 클립(602)의 제2측면(665)으로부터 연장하거나 또는 제1측면(664)과 제2측면(665) 각각의 조합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이제 도24를 참조해보면, 바람직하게는 브레이크 클립(602)을 제조하는 데에 사용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개별 재료 블랭크가 형성되는 블랭크 또는 재료 스트립이 도시되어 있고, 이는 도면 번호 650으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658과 659로 표시되는 제2 및 제3스트립부분은 제1재료 블랭크(651)의 블랭크 몸체(653)로부터 연장한다. 제2스트립부분(658)은 블랭크 몸체(653)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제1방향(D1)으로 연장하는 제4부분(629) 및 상기 제4부분(629)에 대하여 제2방향(D2)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굴곡부(678)를 통해 제4부분(629)에 연결되는 제5부분(631)을 포함하며, 상기 제2방향(D2)은 제1방향(D1)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된다. 상기 제3스트립부분(659)은 블랭크 몸체(653)에 연결되고 그로부터 제1방향 (D1)으로 연장하는 제6부분(637) 및 상기 제6부분(637)에 대하여 제2방향(D2)으로 연장하도록 굴곡부(686)를 통해 상기 제6부분(637)에 연결되는 제7부분(639)을 포함한다.
제2변환부분(677)의 제3레그(679)는 제4부분(629)으로부터 형성되며 제2변환부분(677)의 제4레그(681)는 제5부분(631)으로부터 형성된다. 굴곡부(678)는 제4부분(629)과 제5부분(631) 각각의 사이의 제2연결 인터페이스(도24에서 파선으로 도시됨) 주위에서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678)는 제1각도(α)에 마주보는 각도를 갖는다.
제3변환부분(685)의 제5레그(687)는 제6부분(637)으로부터 형성되고 제3변환부분(685)의 제6레그(688)는 제7부분(639)으로부터 형성된다. 굴곡부(686)는 제6부분(637)과 제7부분(639) 각각의 사이에서 제3연결 인터페이스(도24에서 파선으로 도시됨) 주위에서 형성된다. 상기 굴곡부(686)는 제1각도(α)를 갖는다.
재료 스트립(650)의 측면에서 바라볼때 제1블랭크(651)의 일반적으로 654로 표시되는 제1스트립부분은 제2블랭크(652)의 제2스트립부분(658')과 “중첩” 되는 부분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블랭크(651 및 652) 각각은 재료 스트립 650)의 측면에서 바라볼때 중첩 거리(673)가 생기도록 재료 스트립(650)에 형성된다.
이제 도25 내지 도29를 참조해보면, 본 발명에 따라서 생성되고 일반적으로 702로 표시되는 브레이크 클립의 제6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크 클립(702)이 도3 내지 도9의 브레이크 클립(202)의 변형이기 때문에, 500씩 증가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도면에서 해당하는 부분들을 지칭하며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브레이크 클립(702)은 도면 번호 793으로 지칭되는 복수의 브리지 부분에 의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부(791)를 포함하는 스프링 부분(792)을 갖는다. 도29에 도시되고 여기에 가장 잘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791)는 제1, 제2, 제3, 및 제4개구부(791A, 791B, 791C, 및 791D) 각각을 포함한다. 제1개구부(791A)와 제2개구부(791B) 각각의 사이에는 제1브리지 부분(793A)이 있으며 제2개구부(791B)와 제3개구부(791C) 각각의 사이에는 제2브리지 부분(793B)이 존재한다. 상기 제1브리지 부분(793A)은 스프링 부분(792)의 일반적으로 797로 표시되는 정점 부분에 위치하며 제2브리지 부분(793B)은 스프링 부분(792)의 베이스 부분(798)에 위치한다. 제4개구부(791D)는 하부 레그(762)의 제1측면(794)으로부터 변환 부분(744)의 제1레그(746)로 연장한다.
이제 도30을 참조해보면, 본 발명에 따라서 생성되고 일반적으로 802로 표시되는 브레이크 클립의 제7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크 클립(802)이 도25 내지 도29의 브레이크 클립(702)의 변형이기 때문에, 100씩 증가하는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도면에서 해당하는 부분들을 지칭하며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브레이크 클립(802)은 제2측면(865)으로부터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890으로 표시되는 연장 부분을 포함한다.
특허법의 규정에 따라, 본 발명의 원리 및 동작 모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명되고 도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구체적으로 설명되고 도시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202 : 브레이크 클립
203 : 몸체 섹션
244 : 변환 부분
245 : 굴곡부
247 : 제2레그
260 : 베이스 레그
261 : 상부 레그
262 : 하부 레그
263A : 제1유지 부재
263C : 펀치-아웃 탭
264 : 제1측면
265 : 제2측면
266, 270 : 제1지지 레그, 제2지지 레그
267 : 연장 레그
268 : 립 부분
269A : 상부 설치 탭
272 : 제2보존 탭
280 : 하부 교대 레그
282 : 제3보존 부재

Claims (20)

  1. 앵커 브래킷 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캘리퍼; 및
    상기 앵커 브래킷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클립은:
    베이스 레그 및 상기 베이스 레그로부터 연장하는 마주보는 상부 레그 및 하부 레그를 구비하는 U자 형태의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연장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 부분은:
    적용 부분;
    제1레그 및 제2레그를 구비하는 변환 부분; 및
    상기 제1레그 및 제2레그를 연결하는 굴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변환 부분은 상기 U자 형태의 섹션의 측면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레그 및 제2레그는 상기 제1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적용 부분을 제2방향으로부터 제3방향으로 향하게 방향을 바꾸며,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 부분은, 상기 베이스 레그, 상부 레그, 또는 하부 레그 중 하나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상기 U자 형태의 섹션을 가로질러 잡아당기는 후퇴 클립(retraction clip)이고,
    상기 후퇴 클립은 상기 변환 부분과 상기 적용 부분을 연결하는 스프링 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분은 상기 제1레그 및 상기 제2레그로부터 먼 쪽으로 연장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 부분은, 상기 베이스 레그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베이스 레그로부터 먼 쪽으로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바이어스 하는 접선 바이어스 클립(tangential bias clip)인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 부분은, 상기 상부 레그 또는 상기 하부 레그 중 하나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상부 레그 또는 상기 하부 레그 중 나머지 하나로 향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압축하는 안티-래틀 클립(anti-rattle clip)인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방향은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 및 상기 제2레그는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레그는 상기 제1레그로부터 먼 쪽으로 연장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부분과 상기 적용 부분을 연결하는 스프링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부분은 상기 제3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부분과 상기 적용 부분을 연결하는 스프링 부분으로서,
    복수의 개구부에 의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브리지 부분(bridging portion);
    상기 복수의 브리지 부분의 제1브리지 부분은 제1스프링 레그에 있고 상기 복수의 브리지 부분의 제2브리지 부분은 제2스프링 레그에 있는, 제1스프링 레그 및 제2스프링 레그; 및
    상기 제1스프링 레그와 상기 제2스프링 레그 사이의 정점(apex)을 구비하는, 스프링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제1개구부가 상기 정점에 있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부분을 상기 적용 부분에 연결하는 스프링 부분으로서,
    복수의 개구부에 의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브리지 부분;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제1개구부는 제1스프링 레그에 있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제2개구부는 제2스프링 레그에 있는, 제1스프링 레그 및 제2스프링 레그; 및
    상기 제1스프링 레그와 상기 제2스프링 레그 사이의 정점을 구비하는, 스프링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브리지 부분의 제1브리지 부분은 상기 정점에 있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13.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브레이크 클립에 있어서,
    베이스 레그로부터 연장하는 마주보는 상부 레그 및 하부 레그를 갖춘 상기 베이스 레그를 구비하는 U자 형태의 섹션; 및
    적어도 하나의 연장 부분을 구비하는, 브레이크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장 부분은:
    적용 부분;
    제1레그 및 제2레그를 갖춘 변환 부분;
    상기 제1레그 및 상기 제2레그를 연결하는 굴곡부로서, 상기 변환 부분은 상기 U자 형태의 섹션의 측면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1레그 및 상기 제2레그는 상기 제1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굴곡부는 제2방향으로부터 제3방향으로 상기 적용 부분의 방향을 바꾸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제1방향으로부터 일정한 각이 있는, 굴곡부; 및
    상기 변환 부분과 상기 적용 부분을 연결하는 스프링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부분은:
    복수의 개구부에 의하여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브리지 부분;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제1개구부는 제1스프링 레그에 있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의 제2개구부는 제2스프링 레그에 있는, 제1스프링 레그 및 제2스프링 레그; 및
    상기 제1스프링 레그와 상기 제2스프링 레그 사이의 정점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브리지 부분의 제1브리지 부분은 상기 정점에 있고,
    상기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는 앵커 브래킷 위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캘리퍼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캘리퍼는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를 포함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브레이크 클립.
  14. 삭제
  15.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브레이크 클립을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재료 스트립으로부터 재료 블랭크를 절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재료 블랭크는 블랭크 몸체 및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스트립 부분은 상기 블랭크 몸체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에 있는 제2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부분을 구비하는 것인, 재료 블랭크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블랭크 몸체로부터 U자 형태의 섹션을 굴곡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U자 형태의 섹션은 베이스 레그로부터 연장하는 마주보는 상부 레그 및 하부 레그를 갖춘 상기 베이스 레그를 구비하는 것인, U자 형태의 섹션을 굴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립 부분으로부터 연장 부분을 굴곡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연장 부분 각각은:
    상기 제1부분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제1방향이 아닌 방향으로 제1레그 및 제2레그를 구비하는 변환 부분; 및
    상기 제2부분으로부터 제3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용 부분을 구비하는, 상기 연장 부분을 굴곡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변환 부분과 상기 적용 부분을 연결하는 스프링 부분을 포함하도록 상기 연장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굴곡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브레이크 클립을 생산하는 방법.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분은 후퇴 클립, 접선 바이어스 클립, 또는 안티-래틀 클립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도록 굴곡되는 것인,
    브레이크 클립을 생산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블랭크 몸체로부터 수직이며 상기 제2방향은 상기 블랭크 몸체에 평행하는 것인,
    브레이크 클립을 생산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블랭크는 근방의 재료 블랭크와 상기 재료 스트립의 측면에서 바라볼 때 겹치는 거리(673)가 형성되도록 상기 재료 스트립에 형성되는 것인,
    브레이크 클립을 생산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부분의 스프링 부분을 포함하도록 상기 연장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굴곡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스프링 부분은 상기 변환 부분과 상기 적용 부분을 연결하며 제1스프링 레그와 제2스프링 레그 사이에 정점을 구비하는, 상기 연장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굴곡시키는 단계;
    상기 스프링 부분에서, 복수의 브리지 부분에 의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절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 중 제1개구부는 상기 제1스프링 레그에 있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들 중 제2개구부는 상기 제2스프링 레그에 있으며, 상기 복수의 브리지 부분의 제1브리지 부분은 상기 정점에 있는 것인, 복수의 개구부들을 절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브레이크 클립을 생산하는 방법.
KR1020177027523A 2015-03-05 2016-03-03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브레이크 클립 및 그러한 브레이크 클립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KR1025195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28791P 2015-03-05 2015-03-05
US62/128,791 2015-03-05
PCT/US2016/020599 WO2016141135A1 (en) 2015-03-05 2016-03-03 Brake clip for disc brak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brake cl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268A KR20170121268A (ko) 2017-11-01
KR102519564B1 true KR102519564B1 (ko) 2023-04-06

Family

ID=5684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523A KR102519564B1 (ko) 2015-03-05 2016-03-03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브레이크 클립 및 그러한 브레이크 클립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968968B2 (ko)
EP (1) EP3265690B1 (ko)
JP (1) JP6773671B2 (ko)
KR (1) KR102519564B1 (ko)
CN (1) CN107429767B (ko)
DE (1) DE112016000657T5 (ko)
WO (1) WO20161411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7003223T5 (de) * 2016-06-28 2019-03-21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Scheibenbremse
US10415660B2 (en) 2016-12-08 2019-09-17 Kelsey-Hayes Company Brake clip for disc brak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brake clip
KR101892925B1 (ko) * 2017-02-22 2018-08-29 주식회사 만도 패드 스프링
DE102017007021A1 (de) 2017-07-25 2019-01-31 Lucas Automotive Gmbh Bremsbelaganordnung für eine Fahrzeugbremse
DE102017008195A1 (de) 2017-08-30 2019-02-28 Lucas Automotive Gmbh Bremsbelagrückstellvorrichtung für eine Scheibenbremse einer Fahrzeugbremsanlage
DE102018002886A1 (de) 2018-04-10 2019-10-10 Lucas Automotive Gmbh Bremsbelaganordnung für eine Scheibenbremse einer Fahrzeugbremsanlage
DE102018005036A1 (de) 2018-06-25 2020-01-02 Lucas Automotive Gmbh Führungselement für eine Fahrzeugscheibenbremse
CN110030302B (zh) * 2019-03-26 2023-07-14 青岛华瑞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可降低汽车液压盘式制动器拖滞力的卡簧及其安装结构
KR102210465B1 (ko) * 2019-09-03 2021-01-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브레이크 장치용 패드라이너
CN114729672A (zh) * 2019-12-05 2022-07-08 大陆汽车系统公司 具有主动缩回元件的坯件优化的制动器滑动夹
DE102020125418B3 (de) 2020-09-29 2022-03-0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Brem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Fahrzeug mit der Brem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ückstellung eines ersten Bremspartners der Bremsvorricht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332Y2 (ja) * 1991-04-17 1997-07-23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0255E (en) 1971-03-09 1980-04-08 Girling Limited Sliding caliper disc brakes
US3977499A (en) * 1974-06-28 1976-08-31 The Bendix Corporation Disc brake shoe anti-rattle clip
GB1535720A (en) * 1974-12-24 1978-12-13 Girling Ltd Friction pad assemblies for sliding caliper disc brakes
JPS54113759A (en) * 1978-02-24 1979-09-05 Sumitomo Electric Ind Ltd Wear detecting body of brake-pad
AU524520B2 (en) * 1981-02-09 1982-09-23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Pad clip for disc brake
US5232882A (en) 1989-05-19 1993-08-03 Sakai Chemical Industry Co., Ltd. Ozone decomposing reactor regeneration
JP3213191B2 (ja) * 1995-01-27 2001-10-02 トキコ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3232365B2 (ja) 1995-02-20 2001-11-26 トキコ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DE69610236T2 (de) 1995-03-16 2001-01-25 Akebono Brake Ind Belagklammer für Scheibenbremse
JP3816588B2 (ja) 1996-07-09 2006-08-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ブレーキ
JP3871746B2 (ja) 1996-10-23 2007-01-24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クリップ
DE19717393A1 (de) 1997-04-24 1998-10-29 Textar Gmbh Scheibenbremse, sowie Bremsbackensatz für eine Scheibenbremse
JPH1182570A (ja) 1997-09-16 1999-03-26 Toki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JP4039753B2 (ja) 1998-11-04 2008-01-30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FR2800140B1 (fr) 1999-10-26 2002-01-11 Bosch Gmbh Robert Ressort de guidage d'elements de friction et frein a disque comportant au moins un tel ressort
US6223866B1 (en) 2000-06-30 2001-05-01 Kelsey-Hayes Company Damped pad spring for use in a disc brake assembly
WO2003027527A1 (en) 2001-09-25 2003-04-03 Kelsey-Hayes Company Pad retraction spring for a brake shoe assembly and a disc brake assembly
JP3964180B2 (ja) 2001-10-31 2007-08-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ブレーキ
JP3986837B2 (ja) 2002-01-31 2007-10-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クブレーキ
US6478122B1 (en) 2002-02-21 2002-11-12 Robert Bosch Corporation Disc brake
DE60320593T2 (de) * 2003-07-31 2009-06-04 Freni Brembo S.P.A., Curno Federglied für scheibenbremssattel und scheibenbremssattel
FR2870907B1 (fr) 2004-05-27 2008-07-11 Bosch Gmbh Robert Ressort de maintien et de guidage d'un moyen de friction et frein a disque muni d'au moins un tel ressort
US7163089B2 (en) * 2004-06-14 2007-01-16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Pad clip of disc brake apparatus
US7040464B1 (en) 2005-03-18 2006-05-09 Kelsey-Hayes Company Brake sho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brake shoe assembly
US7578374B2 (en) 2005-07-19 2009-08-25 Advics Co., Ltd. Disk brake device
US20070029148A1 (en) * 2005-08-08 2007-02-08 Akebono Corporation North America Caliper brake pad clip
CN101300431B (zh) * 2005-11-01 2012-06-27 博格华纳公司 用于单和/或双面的湿式离合器摩擦片或分离片的分段并叠层的型芯钢片
US7299903B2 (en) 2006-01-25 2007-11-27 Kelsey-Hayes Company Symmetric brake clip
US7784591B2 (en) 2006-03-15 2010-08-31 Kelsey-Hayes Company Defined brake pad abutment
US20090277729A1 (en) 2008-05-06 2009-11-12 Doe Hee Kim Pad spring of disc brak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716232B2 (ja) * 2008-10-31 2011-07-06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用パッドクリップ
JP5137888B2 (ja) * 2009-03-26 2013-02-06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US8397880B2 (en) 2010-05-27 2013-03-19 Akebono Brake Corporation Pad retraction device
JP2012117656A (ja) * 2010-12-03 2012-06-21 Akebono Brake Ind Co Ltd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US8393441B2 (en) 2011-01-24 2013-03-12 Akebono Brake Corporation Spreader spring
US9568055B2 (en) * 2012-01-26 2017-02-14 Kelsey-Hayes Company Clip for use in a disc brak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clip
DE102012016737A1 (de) * 2012-08-23 2014-02-27 Lucas Automotive Gmbh Scheibenbremse für ein Kraftfahrzeug mit plastisch deformierbarer Rückstellfeder und Rückstellfeder
JP5789312B2 (ja) * 2014-01-30 2015-10-07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保護クリップとキャリパボディによる組立体の加工方法
DE102014014081A1 (de) * 2014-09-23 2016-03-24 Lucas Automotive Gmbh Führungsmittel für eine Bremsbelaganordnung einer Scheibenbremse und Scheibenbremse
US10415660B2 (en) * 2016-12-08 2019-09-17 Kelsey-Hayes Company Brake clip for disc brak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brake cli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2332Y2 (ja) * 1991-04-17 1997-07-23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65690A1 (en) 2018-01-10
JP6773671B2 (ja) 2020-10-21
CN107429767B (zh) 2020-03-20
DE112016000657T5 (de) 2017-10-19
US20180038431A1 (en) 2018-02-08
US10968968B2 (en) 2021-04-06
EP3265690B1 (en) 2020-07-29
WO2016141135A1 (en) 2016-09-09
JP2018507370A (ja) 2018-03-15
CN107429767A (zh) 2017-12-01
EP3265690A4 (en) 2018-10-10
KR20170121268A (ko)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956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용 브레이크 클립 및 그러한 브레이크 클립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어셈블리
US10371221B2 (en) Clip for use in a disc brak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clip
US11149811B2 (en) Brake clip for disc brak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brake clip
US10041553B2 (en) Clip for use in a disc brak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clip
US7086506B2 (en) Pad retraction spring for a brake shoe assembly and a disc brake assembly
JPS5891934A (ja) デイスクブレ−キ用摩擦パツド組立体
JP2009524786A (ja) 対称なブレーキ・クリップ
KR20150121075A (ko) 비-회전형 차량 부품을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 조립체 및 그 생산 방법
US20190003538A1 (en) Brake clip for disc brake assembly and disc brake assembly including such a brake clip
US20230048529A1 (en) Nested brake clip
US20020189911A1 (en) Spring for retracting and retaining a pad in a caliper type disc brake assembly
US11746840B2 (en) Retention system for shim on backplate of brake pad assembly
IT202000027948A1 (it) Assieme di una molla reggi pastiglia e una molla ritorno pastiglia, assieme di pastiglia, assieme di freno a dis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