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953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953B1
KR102515953B1 KR1020160001193A KR20160001193A KR102515953B1 KR 102515953 B1 KR102515953 B1 KR 102515953B1 KR 1020160001193 A KR1020160001193 A KR 1020160001193A KR 20160001193 A KR20160001193 A KR 20160001193A KR 102515953 B1 KR102515953 B1 KR 102515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ate
condensate discharge
condensed water
discharge pi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048A (ko
Inventor
윤주한
안성우
조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953B1/ko
Priority to AU2016385263A priority patent/AU2016385263B2/en
Priority to PCT/KR2016/012806 priority patent/WO2017119589A1/ko
Priority to JP2018534928A priority patent/JP6944940B2/ja
Priority to EP16204925.8A priority patent/EP3190227B1/en
Priority to US15/398,023 priority patent/US10077529B2/en
Priority to CN201710003567.8A priority patent/CN106939487B/zh
Publication of KR2017008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의 상부에 위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바닥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덕트;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 내부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모터; 상기 덕트의 바닥면에 위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가 고이는 응축수 배출부; 상기 세탁기 드럼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 고이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 및 상기 응축수 배출부 및 상기 배수부를 연결하여 상기 응축수가 이동하는 응축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 고이는 상기 응축수는, 상기 팬모터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상기 배수부로부터 상기 응축수 배출부로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뉘다.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기를 일반적으로 드럼 세탁기라고 한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 캐비넷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 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기능뿐만 아니라 건조 기능도 가지는데, 세탁이 완료되면 탈수 과정이 종료된 상태의 세탁물을 드럼 내부로 투입한 후,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함으로써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의류처리장치의 드럼 상단에는 공기가 순환되는 통로인 덕트와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열교환기 및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팬모터가 위치된다.
덕트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이 발생함에 따라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응축수가 발생하고, 응축수는 응축수 배출부에 모인 후 응축수 배출관을 따라 드럼 하단에 위치되는 배수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기존 발명에 의류처리장치의 열교환기에서 응축수가 발생하는 것에 대한 기재는 있으나, 상기와 같이 응축수를 별도로 모은 후 빼내는 구성에 대한 문헌은 덕트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응축수 배출부와 배수부를 연결하게 되고, 덕트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위한 팬모터의 구동으로 팬모터 부위는 배수부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배수부에서 응축수 배출부를 향해 공기가 역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응축수 배출부를 향해 공기가 역류하면 열교환기 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열교환기의 효율이 떨어져 불필요하게 에너지의 소비 및 이에 의한 진동, 소음 등이 추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유체가 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응축수 배출부에 응축수가 고이도록 하는 구성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부로에서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응축수 배출부로 공기가 역류되지 않는 응축수 배출관의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응축수 배출부로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막기 위한 응축수 배출관의 또 다른 구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상부에 위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바닥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덕트;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 내부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모터; 상기 덕트의 바닥면에 위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가 고이는 응축수 배출부; 상기 세탁기 드럼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 고이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 및 상기 응축수 배출부 및 상기 배수부를 연결하여 상기 응축수가 이동하는 응축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 고이는 상기 응축수는, 상기 팬모터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상기 배수부로부터 상기 응축수 배출부로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경사진 상기 덕트 바닥면의 일 단에 위치되어 상기 응축수가 고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상기 응축수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응축수 배출관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은,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 상기 응축수가 고여있도록,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으로 이동하는 상기 응축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정된 직경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부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 및 상기 응축수가 저장되는 배수 펌프실; 상기 세탁수 및 상기 응축수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배수 펌프실의 상부와 연결되는 배수부 연결관; 및 상기 배수부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 및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호스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 펌프실에 저장되는 상기 세탁수 및 응축수에 의하여 상기 배수부로부터 상기 응축수 배출부로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배수 펌프실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 펌프실에 저장되는 상기 세탁수 및 응축수를 상기 배수부 연결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상부에 위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 내부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모터;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배출되는 응축수를 수용하는 응축수 배출부; 상기 세탁기 드럼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 수용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 및 상기 응축수 배출부 및 상기 배수부를 연결하는 응축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배출관은, 상기 팬모터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상기 배수부로부터 상기 응축수 배출부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일 부분에서 벤딩되어 내부에 응축수가 고이는 응축수 저장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저장부는, 상기 응축부 배출관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벤딩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1 부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부분과 벤딩되어 연결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은, 상기 응축수 배출부와 상기 제1 부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배수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벤딩되어 상기 배수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은 중력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부분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응축수가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저장부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개소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저장부에 대응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응축수 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관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배출관 지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측 또는 드럼의 적어도 어느 일 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부 배출관 지지부재는, 상기 제1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는 제1 지지부; 상기 제2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3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응축수 저장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저장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저장부는,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일 측에는 상기 배수부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체크 밸브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테이퍼진(tapered)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 방향으로만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단면적이 작은 일 단부가 유체의 이동 방향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수 배출부에 응축수가 저장됨으로써, 응축수 배출관을 따라 공기가 역류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수 배출관은 세탁수 및 응축수가 수용되는 배수 펌프실과 일단이 연결됨으로써 응축수 배출관을 따라 공기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수 배출관에 응축수 저장부를 형성함으로써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가 열교환기 쪽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기의 효율이 향상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응축수의 흐름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의류처리장치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의류처리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의류처리장치를 A-A' 선으로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의류처리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7은 도 6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
도 8은 벤딩된 응축수 저장부를 가지는 응축수 배출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벤딩된 응축수 저장부를 가지는 응축수 배출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 장치에서의 응축수의 흐름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10은 도 8의 의류처리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11은 응축수 배출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은 응축수 저장부가 응축수 배출관의 복수의 개소에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13는 응축수 저장부에 응축수 배출관 지지부재가 위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은 응측수 배출관의 일 측에 체크 밸브가 위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응측수 배출관 내부에 응축수 배출 조절 부재가 위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의 (a)는 응축수 배출 조절 부재에 의해 응축수 배출관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의 (b)는 응축수 배출관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응축수가 이동될 때, 응축수 배출 조절 부재의 좌단이 열리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인장 시험용 홀더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캐비넷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70), 터브(7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60)을 포함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드럼(60)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를 위해 공기가 순환되어야 하므로 덕트(10), 제1 연결덕트(11), 제2 연결덕트(12), 열교환기(20), 팬모터(30)를 포함하고, 압축기(80) 및 압축기(80)를 지지하기 위한 압축기 지지대(81)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의류처리장치는 공기가 순환됨에 따라 열교환기(20)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응축수(90)가 발생하게 되는데, 응축수(90)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응축수 배출관(100), 배수펌프실(51), 배수펌프(52), 배수호스(53) 및 배수부 연결관(54)를 포함하게 된다.
도 2는 덕트(10) 내에서 공기가 순환함에 따라 열교환기(20)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90)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덕트(10) 내에서의 공기는 팬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순환되는데, 팬모터(30)의 날개 후면으로 공기는 유동하게 되므로, 공기는 증발기(21) 및 응축기(22)를 포함하는 열교환기(20)를 거쳐 이동하게 된다.
증발기(21)를 통과하는 냉매는 주위의 열을 흡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주위 온도가 낮아지므로 증발기(21)를 통과하는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은 응축되므로 응축수(90)가 발생하게 된다. 응축수(90)는 주위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에 위치되는 응축수 배출부(40)에 모이게 되고, 상단의 응축수 배출부(40)와 하단에 위치하는 배수부(50)를 연결하는 응축수 배출관(100)을 통해 응축수(90)는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덕트(10) 내에서의 공기 순환을 위해 팬모터(30)가 구동하게 되면, 팬모터(30)가 구동되는 부위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음압이라 한다. 음압이 발생함에 따라 응축수 배출부(40) 보다 배수부(50)는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지게 되므로, 응축수 배출관(100)을 따라 배수부(50)에서 응축수 배출부(40)를 향해 유체가 이동하게 되는 유체의 역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유체란 공기 또는 물을 의미하는데, 일반적으로는 공기를 의미한다.
응축수 배출부(40)를 향해 공기가 역류하게 되면, 응축수 배출부(40) 부위에 위치되는 열교환기(20)로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열교환기(20)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구체적으로, 응축수 배출관(100)을 통해 응축기(22) 쪽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21)를 거치지 않아 습도가 높은 상태이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아 응축기(22)를 통과하는 냉매의 응축 효율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이에, 응축수 배출부(40)로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열교환기(20)의 효율을 유지시키고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도 2에서, 팬모터(30)의 구동으로 열교환기(20)를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90)는 응축수 배출부(40)로 모이게 된 후, 응축수 배출부(40)로 모이는 응축수(90)를 응축수 배출관(100)을 따라 배수부(50)로 이동하게 된다. 응축수(90)는 배수부(50)에 포함되는 배수펌프실(51)에 일시적으로 수용되고, 배수펌프(52)에 의해 배수부 연결관(54)을 거쳐 배수 호스(53)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응축수 배출부(40)는 덕트(10)의 경사진 바닥면의 일 단에 위치되므로,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발생하는 응축수(90)가 모이게 된다. 응축수 배출관(100)은 응축수(90)가 수용되는 응축수 배출부(40)의 일 단과 연결되므로, 응축수 배출관(100)을 통해 배수펌프실(51)로부터 공기가 역류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수펌프실(51)에는 의류처리장치의 드럼(60)에서 사용된 세탁수도 모이므로, 배수펌프실(51)에는 세탁수와 응축수(90)가 모두 수용되게 된다. 배수펌프실(51)에는 세탁수와 응축수(90)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응축수 배출부(40)와 배수펌프실(51)을 연결하는 응축수 배출관(100)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즉, 응축수 배출부(40)에 수용되는 응축수(90)와 배수펌프실(51)에 수용된 세탁수(91) 및 응축수(90)에 의하여, 응축수 배출관(100)을 통해 덕트(10)로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의류처리장치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의류처리장치 내에서의 공기는 제1 연결덕트(11)에서 제2 연결덕트(12)를 통해 드럼(60) 내로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덕트(12) 쪽에 위치되는 팬모터(30)의 구동으로 공기는 덕트(10) 내에서 제1 연결덕트(11)에서 증발기(21) 및 압축기(80)를 거친 후 제2 연결덕트(12)를 향하는 공기의 흐름이 생기게 된다. 제2 연결덕트(12)를 통과한 공기는 드럼(60)과 연결되는 가스켓(미도시)을 통해 드럼(60)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도 4는 의류처리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것으로, 응축수(90)와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공기의 흐름을 살펴보면, 팬모터(30)의 구동에 의해 덕트(10) 내부의 공기는 팬모터(3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즉, 도면상에서 공기는 팬모터(30)에 의해 덕트(10)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응축수(90)의 흐름을 살펴보면, 팬모터(30)의 구동으로 덕트(10) 내에서의 공기의 유동으로 열교환기(20)를 통과하는 공기는 증발기(21) 및 응축기(22)를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증발기(21)를 지나는 공기는 증발기(21) 내부에서 이동하는 냉매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게 되어 응축되므로 응축수(90)를 발생하게 된다. 응축수(90)는 덕트(10) 하부의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를 가지고, 덕트(10)의 바닥면에 위치되는 응축수 배출부(40)에 모인 후, 응축수 배출관(100)을 따라 배수부(50)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의류처리장치를 A-A’를 기준으로 자른 단면을 보여준다.
도면상에서 우측에 위치되는 팬모터(30)가 구동함에 따라, 팬모터(30)는 공기를 흡입하게 되므로, 공기는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공기는 증발기(21) 내부에서 흐르는 냉매를 지나면서 온도가 낮아지므로, 응축수(90)가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응축수(90)는 덕트(10)의 아래쪽에 위치되는 응축수 배출부(40)에 고이게 된다.
도 6은 도 1의 의류처리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나타낸다.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됨에 따라 열교환기(20)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발생되는 응축수(90)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응축수 배출부(40)와 배수부(50)를 연결하는 응축수 배출관(100)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는 응축수(90)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응축수 배출관(100), 배수펌프실(51), 배수펌프(52), 배수호스(53) 및 배수부 연결관(54)를 포함하게 된다.
응축수 배출관(100)은 상단에 위치되는 응축수 배출부(40)와 하단에 위치되는 배수부(50)를 연결하여 응축수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응축수 배출관(100)은 배수부(50)의 배수펌프실(51)에 연결될 수 있다.
배수부(50)는 배수 펌프실(51), 배수펌프(52), 배수호스(53) 및 배수부 연결관(54)을 포함한다.
배수 펌프실(51)은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91)와 응축수 배출관(100)을 통해 유입되는 응축수(90)가 저장되게 된다. 배수 펌프실(51)에는 세탁수(91) 및 응축수(90)가 저장되게 되고, 응축수 배출관(100)의 일단은 배수 펌프실(51)에 연결되므로, 응축수 배출관(100)을 통해 덕트를 향하여 공기의 역류가 제한된다.
배수부 연결관(54)은 배수 펌프실(51)에 저장된 세탁수(91) 및 응축수(90)를 배수 호스(53)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배수부 연결관(54)은 배수 펌프실(51)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배수 펌프(52)로부터 동력을 제공받는 경우에만 세탁수(91) 및 응축수(90)를 배수 호스(53)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배수 펌프(52)는 배수 펌프실(51)에 설치되어, 배수 펌프실(51)에 저장되는 세탁수(91) 및 응축수(90)를 배수부 연결관(54)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배수 펌프(52)의 형상 및 구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배수 호스(53)는 배수부 연결관(54)과 연결되어 세탁수 및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7은 도 6에서 A-A'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덕트(10) 내부에서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발생하는 응축수(90)가 고이도록 응축수 배출부(40)는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덕트의 바닥면에 위치된다. 응축수 배출부(40)는 응축수(90)의 배출을 위하여, 응축수 배출관(100)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고, 경사진 덕트(10)의 바닥면의 일 단에 위치됨으로써 응축수(90)가 고일 수 있게 된다.
응축수 배출관(100)은 응축수 배출부(40)에 응축수(90)가 고여 있을 수 있도록, 응축수 배출관(100)의 직경 값을 조절하여 응축수 배출부(40)에서 응축수 배출관(100)으로 이동하는 응축수(90)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응축수 배출관(100)의 직경 값은 실험을 통해 정해질 수 있는 것으로, 특정 값에 제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응축수 배출관(100)의 직경은 응축수 배출부(40)에 수용 가능한 응축수(90)의 양을 고려하되, 응축수(90)의 높이가 덕트(10) 내부에서 계속해서 증가되지 않을 수 있는 값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응축수 배출부(40)에 고이는 응축수(90)는 팬모터(30)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응축수 배출관(100)을 통해 배수부(50)로부터 응축수 배출부(40)로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서 화살표는 응축수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8은 의류처리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각 구성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도 1과 다르게, 응축수 배출관은 벤딩되어 내부에 응축수가 고일 수 있는 응축수 저장부(110)를 구비하는 특징을 가진다.
도 9는, 덕트(10) 내에서 공기가 순환함에 따라 열교환기(20)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90)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응축수 배출부(40)는 덕트(10)의 경사진 하부면의 일 단에 위치되므로,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발생하는 응축수(90)가 모이게 된다. 응축수 배출관(100)은 응축수(90)가 수용되는 응축수 배출부(40)의 일 단과 연결되므로, 응축수 배출관(100)을 통해 배수펌프실(51)로부터 공기가 역류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수펌프실(51)에는 의류처리장치의 드럼(60)에서 사용된 세탁수도 모이므로, 배수펌프실(51)에는 세탁수와 응축수(90)가 모두 수용되게 된다. 배수펌프실(51)에는 세탁수와 응축수(90)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응축수 배출부(40)와 배수펌프실(51)을 연결하는 응축수 배출관(100)을 따라 공기가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게 된다.
도 2와 다르게 도 9를 보면, 응축수 배출관(100)의 일 부분이 벤딩되어 내부에 응축수(90)가 고여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응축수 배출관(100)은 굽은 형태를 가지는 일 부분을 구비하는데, 이 부분에 응축수(90)가 저장되므로 이를 응축수 저장부(110)라고 한다. 공기가 순환함에 따라 발생된 응축수(90)는 응축수 배출관(100)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응축수 배출관(100)의 벤딩된 부분인 응축수 저장부(110)에 응축수(90)의 일부가 저장될 수 있고, 응축수 저장부(110)의 응축수(90)에 의하여 응축수 배출관(100)을 통해 공기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공기 순환을 위해 팬모터(30)의 구동시키게 되고, 팬모터(30)의 구동으로 응축수 배출부(40)의 압력이 배수부(50)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되더라도, 응축수 저장부(110)에 저장된 응축수(90)에 의해 공기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응축수 배출관(100)을 따라서 공기는 이동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원리로 배수부(50)에서 응축수 배출부(40)로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8의 의류처리장치를 우측에서 바라본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에서 보듯이, 응축수 배출관(100)은 상단에 위치되는 응축수 배출부(40)와 하단에 위치되는 배수부(50)를 연결하여 응축수(90)가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응축수 배출관(100)은 배수부(50)의 배수펌프실(51)에 연결될 수 있다.
응축수 배출관(100)은 벤딩되어 내부에 응축수(90)가 고일 수 있는 응축수 저장부(110)를 포함하고, 도 10에서 본는 바와 같이 응축수 저장부(110)에 응축수(90)가 일부 수용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응축수 배출관(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응축수 배출관(100)은 응축수(90)가 저장되는 응축수 저장부(110) 및 응축수 저장부(110)와 연결되는 연결부로 구분할 수 있다. 응축수 저장부(110)는 제1 부분(111), 제2 부분(112), 제3 부분(113)으로 나눌 수 있다.
제1 부분(111)은 응축수 배출관(10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고, 제2 부분(112)은 제1 부분(111)과 벤딩되어 연결되고, 제1 부분(11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3 부분(113)은 제2 부분(112)과 벤딩되어 연결되고, 응축수 배출관(100)의 상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제1 부분(111)과 제3 부분(113)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응축수 배출관(100)을 따라 흐르는 응축수(90)는 제2 부분(112)에 채워질 수 있도록, 제2 부분(112)은 제1 부분(111) 및 제3 부분(113)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어야 할 것이다. 응축수(90)는 제2 부분(112)이 위치되는 높이보다 높은 위치까지 응축수(90)가 채워져야 응축수 배출관(100)을 따라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응축수 저장부(110)는, 제2 부분(112), 제1 부분(111) 및 제3 부분(113)의 적어도 일부에 응축수(90)가 채워지게 될 것이다.
응축수 배출관(100)의 연결부는 제1 연결부(114), 제2 연결부(115)를 포함한다.
제1 연결부(114)는 응축수 배출부(40)와 제1 부분(111)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부분(111)에서 응축수 배출부(40)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 연결부(115)는 제3 부분(113)과 배수부(50)를 연결하고, 일부분에서 벤딩되어 배수부(50)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 연결부(115)는 응축수 배출관(100)의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3 부분(113)과 연결되고 응축수 저장부(110)에 응축수(90)가 저장될 수 있도록 일 부분에서 벤딩되어야 할 것이다.
응축수 배출관(100)의 제1 연결부(114) 및 제2 연결부(115)와 응축수 저장부(110)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저장부(110)는 U자형으로 굽은 형태가 유지되어야 내부에 응축수(90)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응축수 저장부(110)와 응축수 저장부(110)를 제외한 응축수 배출관(100)의 재질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응축수(90)가 이동되는 응축수 배출관(100)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고, 응축수 저장부(110)는 벤딩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응축수 저장부(110)는 본체의 내측면 또는 드럼(60)의 어느 일 측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2는 응축수 저장부(110)가 응축수 배출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응축수 저장부(110)는 내부에 응축수(90)가 저장되어 배수부(50)로부터 응축수 배출부(40)를 향해 공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응축수 저장부(110)는 응축수 배출관(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개소에 위치될 수 있으며, 각 응축수 저장부(110)에 응축수(90)를 저장할 수 있다. 각 응축수 저장부(110)의 제2 부분(112)과 제1 부분(111) 및 상기 제3 부분(113)의 적어도 일부에 응축수가 채워지게 되면, 배수부(50)에서 응축수 배출부(40)를 향해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다.
도 13는 응축수 저장부(110)에 응축수 배출관 지지부재(120)가 위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응축수 배출관 지지부재(120)는 응축수 저장부(110)에 대응된 형태를 가지고, 응축수 저장부(1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응축수 배출관(100)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응축수 저장부(110)가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면, U자 형태로 굽은 형태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응축수 배출관 지지부재(120)를 응축수 저장부(110)에 결합시킴으로써 응축수 저장부(110)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응축수 배출관 지지부재(120)는 응축수 저장부(110)에 대응되는 형상가질 수 있으며, 응축수 저장부(110)의 전체를 감싸거나, 응축수 저장부(110)의 제1 부분(111)과 제2 부분(112)의 사이, 제2 부분(112)과 제3 부분(113)의 사이만을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응축수 배출관 지지부재(120)는 응축수 저장부(110)를 고정시켜야 하므로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응축수 배출관 지지부재(120)는 일체로서 형성되거나, 여러 개의 부품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응축수 배출관 지지부재(120)는 본체의 내측에 브라켓(미도시)이나 후크(미도시)를 통해서 고정되거나 드럼(60)의 어느 일 측에 브라켓이나 후크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4는 응축수 배출관(100)의 일 측에 배수부(50)로부터 열교환기(20)를 향해 공기가 역류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체크 밸브(130)가 구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응축수 배출관(100)의 일 측에 위치되는 체크 밸브(130)를 통해 배수부(50)에서 응축수 배출부(40)를 향해 응축수 배출관(100)을 통해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체크 밸브(130)는 응축수(90)가 배출되지 않을 때에만 닫히도록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5은 응축수 배출 조절 부재(140)가 응축수 배출관(100) 내부에 위치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응축수 배출 조절 부재(140)는, 응축수 배출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응축수 배출부(40)에서 배수부(50)를 향해 응축수(9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나, 배수부(50)에서 응축수 배출부(40)를 향해 이동되는 공기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응축수 배출 조절 부재(140)는 일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테이퍼진(tapered)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 방향으로만 유체가 이동되도록 단면적이 작은 일단부가 한쪽 방향으로만 벌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응축수 배출 조절 부재(140)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면적이 넓은 일 단은 응축수 배출관(100) 내부에 삽입되어 유체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응축수 배출 조절 부재(140)는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태를 가지며, 좌단부는 유체의 흐름에 따라 여러 갈래로 갈라질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가지는 특성이 있다.
도 16의 (a)는 응축수 배출 마개에 의해 응축수 배출관(10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공기가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의 (b)는 응축수 배출관(10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응축수(90)가 이동될 때, 응축수 배출 마개의 좌단이 열리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응축수 배출 조절 부재(140)는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로, 평상시에는 좌단부가 오므라진 형태를 가지므로, 도 16의 (a)와 같이 응축수 배출관(100)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은 제한하게 된다.
다만, 도 16의 (b)와 같이, 응축수 배출 조절 부재(140)의 좌단부는 응축수 배출관(100)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응축수의 흐름에 의해 벌어질 수 있으므로 응축수의 흐름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의류처리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응축수 배출관 110: 응축수 저장부
120: 응축수 배출관 지지부재 130: 체크 밸브

Claims (20)

  1. 드럼의 상부에 위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바닥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덕트;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 내부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모터;
    상기 덕트의 바닥면에 위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가 고이는 응축수 배출부;
    상기 드럼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 고이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 및
    상기 응축수 배출부 및 상기 배수부를 연결하여 상기 응축수가 이동하는 응축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 고이는 상기 응축수는, 상기 팬모터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하여 상기 응축수 배출관을 통해 상기 배수부로부터 상기 응축수 배출부로 유체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 및 상기 응축수가 저장되는 배수 펌프실;
    상기 세탁수 및 상기 응축수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배수 펌프실의 상부와 연결되는 배수부 연결관;
    상기 배수 펌프실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 펌프실에 저장되는 상기 세탁수 및 응축수를 상기 배수부 연결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 펌프; 및
    상기 배수부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 및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경사진 상기 덕트 바닥면의 일 단에 위치되어 상기 응축수가 고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상기 응축수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응축수 배출관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은,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 상기 응축수가 고여있도록,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으로 이동하는 상기 응축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정된 직경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펌프실에 저장되는 상기 세탁수 및 응축수는 상기 배수부로부터 상기 응축수 배출부로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삭제
  7.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상부에 위치되고,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로를 형성하며, 바닥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덕트;
    상기 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덕트 내부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모터;
    상기 덕트의 바닥면에 위치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로부터 발생하는 응축수가 고이는 응축수 배출부;
    상기 드럼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부에 고이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 및
    상기 응축수 배출부 및 상기 배수부를 연결하여 상기 응축수가 이동하는 응축수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배출관은,
    상기 팬모터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해 상기 배수부로부터 상기 응축수 배출부로 공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적어도 일 부분에서 벤딩되어 내부에 응축수가 고이는 응축수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세탁수 및 상기 응축수가 저장되는 배수 펌프실;
    상기 세탁수 및 상기 응축수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배수 펌프실의 상부와 연결되는 배수부 연결관;
    상기 배수 펌프실에 설치되고, 상기 배수 펌프실에 저장되는 상기 세탁수 및 응축수를 상기 배수부 연결관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 펌프; 및
    상기 배수부 연결관과 연결되어 상기 세탁수 및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부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벤딩되어 연결되고, 상기 제1 부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과 벤딩되어 연결되고,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은,
    상기 응축수 배출부와 상기 제1 부분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배수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벤딩되어 상기 배수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은 중력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응축수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부는,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부에 대응된 형태를 가지고, 상기 응축수 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관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 지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내측 또는 드럼의 적어도 어느 일 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 지지부재는,
    상기 제1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는 제1 지지부;
    상기 제2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는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3 부분의 외측을 둘러싸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와 상기 응축수 저장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부는,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부는, U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일 측에는 상기 배수부로부터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체크 밸브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관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테이퍼진(tapered)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 방향으로만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단면적이 작은 일 단부가 유체의 이동 방향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응축수 배출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01193A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KR102515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193A KR102515953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AU2016385263A AU2016385263B2 (en) 2016-01-05 2016-11-08 Clothes treating apparatus
PCT/KR2016/012806 WO2017119589A1 (ko) 2016-01-05 2016-11-08 의류처리장치
JP2018534928A JP6944940B2 (ja) 2016-01-05 2016-11-08 衣類処理装置
EP16204925.8A EP3190227B1 (en) 2016-01-05 2016-12-19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US15/398,023 US10077529B2 (en) 2016-01-05 2017-01-04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N201710003567.8A CN106939487B (zh) 2016-01-05 2017-01-04 衣物处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193A KR102515953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048A KR20170082048A (ko) 2017-07-13
KR102515953B1 true KR102515953B1 (ko) 2023-03-30

Family

ID=5757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193A KR102515953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77529B2 (ko)
EP (1) EP3190227B1 (ko)
JP (1) JP6944940B2 (ko)
KR (1) KR102515953B1 (ko)
CN (1) CN106939487B (ko)
AU (1) AU2016385263B2 (ko)
WO (1) WO2017119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953B1 (ko) * 2016-01-05 2023-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170342647A1 (en) * 2016-05-31 2017-11-30 Wuxi Little Swan Co., Ltd. Heat pump drying or washing-drying machine
CN110396802B (zh) * 2018-04-24 2022-03-01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干一体机的排水结构及洗干一体机
AU2019267033B2 (en) 2018-05-08 2023-03-30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936263B2 (ja) * 2019-02-14 2021-09-15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装置のノズル
CN110806095A (zh) * 2019-10-15 2020-02-18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冷凝器及衣物处理装置
US20210290000A1 (en) * 2020-03-19 2021-09-23 Lg Electronics Inc.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KR20220114275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05489B1 (ko) * 2021-03-02 2023-03-0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05490B1 (ko) * 2021-03-02 2023-03-0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05495B1 (ko) * 2021-03-24 2023-03-0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4219822A1 (en) * 2022-01-26 2023-08-02 BSH Hausgeräte GmbH Dryer with high air tigthness of a process air circuit and process for operating the dryer
EP4219823A1 (en) * 2022-01-26 2023-08-02 BSH Hausgeräte GmbH Dryer with improved air tigthness of a process air circuit and process for operating the dry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0921A (ja) * 2011-09-29 2013-04-22 Panasonic Corp 乾燥装置
JP2013128538A (ja) * 2011-12-20 2013-07-04 Panasonic Corp 洗濯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951A (en) * 1899-10-17 1900-07-31 Louis D Brandeis Process of manufacturing composition applicable for electric insulation.
US2742708A (en) * 1952-07-12 1956-04-24 Gen Motors Corp Domestic appliance
US2752694A (en) * 1953-06-15 1956-07-03 Gen Motors Corp Domestic appliance
US2957330A (en) * 1954-02-26 1960-10-25 Kermit R Cline Combination washer and drier
US3206950A (en) * 1963-02-25 1965-09-21 Space Corp Dry cleaning system
US4698507A (en) * 1986-09-26 1987-10-06 Kta-Tator, Inc. Environmental exposure tester
US5343632A (en) * 1992-04-10 1994-09-06 Advanced Dryer Systems, Inc. Closed-loop drying process and system
JPH085245A (ja) * 1994-06-22 1996-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乾燥機並びに該乾燥機の除湿ユニット及び冷却器
DE4436673B4 (de) * 1994-10-13 2007-02-0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Automatische, zum Trocknen eingerichtete Waschmaschine
JP2000202920A (ja) * 1999-01-14 2000-07-25 Tokai Rubber Ind Ltd 曲管ホ―スの製造方法及び曲管ホ―ス
BRPI0414841A (pt) * 2003-09-29 2006-11-21 Self Propelled Res And Dev Spe aparelho de secagem, aparelho de lavagem, cámara de secagem
JP2005164031A (ja) * 2003-11-11 2005-06-23 Nippon Techno:Kk 可撓性排水管
US20070062513A1 (en) * 2005-09-21 2007-03-22 Gagas John M Cooking system with ventilator and blower
KR101208506B1 (ko) * 2006-01-06 2012-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의 역수압방지 구조
JP2010035894A (ja) * 2008-08-07 2010-02-18 Hitachi Appliances Inc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11000142A (ja) * 2009-06-16 2011-01-06 Panasonic Corp ドラム式乾燥機
EP3109358B1 (en) * 2009-06-29 2018-08-2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JP2012075601A (ja) * 2010-09-30 2012-04-19 Panasonic Corp 洗濯乾燥装置
CN103797178B (zh) * 2011-09-02 2017-05-10 Lg电子株式会社 洗衣机
JP2013128537A (ja) * 2011-12-20 2013-07-04 Panasonic Corp 洗濯乾燥機
DE112012006737T5 (de) * 2012-07-24 2015-04-2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asch- und Trockenmaschine
JP5994453B2 (ja) * 2012-07-24 2016-09-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乾燥装置
JP5990772B2 (ja) * 2012-08-01 2016-09-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乾燥機
KR102057859B1 (ko) * 2013-01-25 2019-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170138612A1 (en) * 2013-01-30 2017-05-18 Commercial Energy Saving Plus, LLC Heat and energy recovery and regeneration assembly, system and method
KR101560386B1 (ko) * 2013-09-03 2015-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492986B1 (ko) * 2013-12-23 2015-02-12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JP2015204859A (ja) * 2014-04-17 2015-1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乾燥機
KR20160049848A (ko) * 2014-10-28 201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66933B1 (ko) * 2015-07-30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KR101729107B1 (ko) * 2015-08-04 2017-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515953B1 (ko) * 2016-01-05 2023-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70921A (ja) * 2011-09-29 2013-04-22 Panasonic Corp 乾燥装置
JP2013128538A (ja) * 2011-12-20 2013-07-04 Panasonic Corp 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90227A1 (en) 2017-07-12
JP2019500172A (ja) 2019-01-10
US10077529B2 (en) 2018-09-18
EP3190227B1 (en) 2019-06-19
AU2016385263B2 (en) 2019-06-06
US20170191215A1 (en) 2017-07-06
CN106939487B (zh) 2019-11-08
WO2017119589A1 (ko) 2017-07-13
CN106939487A (zh) 2017-07-11
AU2016385263A1 (en) 2018-07-19
KR20170082048A (ko) 2017-07-13
JP6944940B2 (ja)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95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9251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8709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716353B1 (ko) 의류 건조 장치
KR102489267B1 (ko) 의류처리장치
JP4715695B2 (ja) 乾燥ユニットおよび乾燥装置
US10138589B2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5304987A (ja) 衣類乾燥装置
JP2012075601A (ja) 洗濯乾燥装置
TWI468572B (zh) Drying device
JP4352803B2 (ja) 洗濯乾燥機
JP2017144341A (ja) 乾燥装置
JP4525463B2 (ja) 洗濯乾燥機
JP6175654B2 (ja) 乾燥装置
JP2015054109A (ja) 衣類乾燥機
KR100631575B1 (ko) 응축식 세탁건조기
JP4396483B2 (ja) 洗濯乾燥機
JP5873979B2 (ja) 乾燥装置
KR102082744B1 (ko) 드럼 세탁기
JP5602802B2 (ja) 乾燥装置
KR100631576B1 (ko) 기포발생기 및 이를 구비한 응축식 세탁건조기
WO2023286594A1 (ja) 衣類乾燥機及び洗濯機
JP6007415B2 (ja) 乾燥装置
JP2017012632A (ja) 乾燥機
JP4311257B2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