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848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9848A
KR20160049848A KR1020140147565A KR20140147565A KR20160049848A KR 20160049848 A KR20160049848 A KR 20160049848A KR 1020140147565 A KR1020140147565 A KR 1020140147565A KR 20140147565 A KR20140147565 A KR 20140147565A KR 20160049848 A KR20160049848 A KR 20160049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ipe
condensed water
communicating
flow path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석
홍상욱
김효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9848A/ko
Priority to US14/884,077 priority patent/US10041204B2/en
Priority to EP15190463.8A priority patent/EP3015592B1/en
Priority to CN201510683520.1A priority patent/CN105544161B/zh
Publication of KR20160049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848A/ko
Priority to KR1020210143032A priority patent/KR102489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6Condensing arrangements, e.g. control of water injection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가 순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로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열교환부,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 및 상기 순환유로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부가 발생시키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일단이 상기 순환유로의 일면에 연통되고 타단이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동시에 가능한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고온의 공기(열풍)를 의류에 공급하는데 공기의 유동방식에 근거하여 배기식과 순환식(응축식) 의류처리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순환식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저장된 의류수용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되, 의류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서 수분을 제거(제습)하여 가열한 뒤 의류수용부에 재공급하는 구조이다.
배기식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수용부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되 의류수용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순환시키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식이다.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배출유로는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증발기와 응축기 사이의 부압에 의해 열교환기 내부로 역류하는 문제 및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 및 하수구의 악취가 열교환기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가 순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로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열교환부,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 및 상기 순환유로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부가 발생시키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일단이 상기 순환유로의 일면에 연통되고 타단이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상기 순환유로의 일면에 연통되고, 상기 순환유로의 하부면에 경사지며 돌출되게 구비되는 경사부, 상기 상기 경사부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순환유로의 하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부는, 단면이 제1단면인 제1수직부, 단면이 상기 제1단면보다 좁게 구비되는 제2단면인 제2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에서 상기 제2수직부로 단면적이 좁아지게 구비되는 병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목부는 일단의 단면이 제1단면으로 구비되고 타단의 단면이 제2단면으로 좁아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목부의 상부면에서부터 상기 경사부와 상기 순환유로가 접하는 부분까지의 높이는 1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가 순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로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열교환부,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부 내부에 음압을 형성시켜 상기 열교환부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이송시키는 블로워, 상기 순환유로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부가 공기를 제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역류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U자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일단이 상기 순환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며 타단이 상기 U자관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1배출관, 일단이 상기 U자관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2배출관, 일단이 상기 제1배출관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배출관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U자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체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일단이 상기 순환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며 타단이 상기 체크밸브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1배출관, 일단이 상기 체크밸브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2배출관, 일단이 상기 제1배출관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배출관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일단이 상기 순환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며 타단이 상기 펌프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1배출관, 일단이 상기 펌프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2배출관, 일단이 상기 제1배출관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배출관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증발기에서 발생된 응축수 및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응축수 배출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의류수용부(2, 3), 상기 의류수용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5)로 구비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11),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를 개폐하는 도어(13)를 포함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건조만을 위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는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3)만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동시에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비될 경우, 상기 의류수용부는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2)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저장되는 드럼(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1)의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투입구(11)를 향하는 터브의 전방면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터브투입구(21)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투입구(21)와 상기 투입구(11) 사이에는 가스켓(23)이 구비되는데, 상기 가스켓(23)은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터브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드럼(3)의 회전 시 터브(2)에 발생된 진동이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따라서, 상기 가스켓(23)은 고무와 같은 진동절연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캐비닛(1)이 지지되는 지면에 나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지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터브(2)가 지면에 대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구비될 경우 터브의 경사각은 90도 미만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2)의 원주면 상부에는 터브(2)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부(27)가 구비되며, 상기 터브의 하부에는 터브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배출시키는 배수부(25)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부(27)는 터브(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되 터브(2)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A)에 대해 소정거리(L1)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 2참고). 이는 드럼의 회전 시 터브(2) 내부의 공기가 배기부(27)를 통해 터브(2)에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수부(25)는 배수펌프(255)와 터브를 연결하는 제1배수관(2511), 배수펌프(255)로 유입된 세탁수를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25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터브(2)와 급수원을 연결하는 급수관(151)을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는다. 다만,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부(15)가 캐비닛(1)에 구비될 경우, 상기 급수관(151)은 상기 세제공급부(15)로 세탁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세제공급부(15)로 공급된 세탁수는 세제공급관(153)을 통해 터브(2)에 공급될 것이다.
상기 드럼(3)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터브(2) 내부에 위치하는데, 상기 드럼(3)은 터브(2)의 외부에 구비된 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는 터브(2)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335), 상기 스테이터(335)와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31), 터브(2)의 배면을 관통하여 드럼(3)의 배면과 로터(331)를 연결하는 회전축(333)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럼(3)의 전방면에는 상기 투입구(11) 및 터브투입구(21)에 연통하는 드럼투입구(31)가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투입구(11)를 통해 드럼(3)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도 있고, 드럼(3) 내부에 저장된 세탁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풍공급부(5)는 상기 터브(2)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터브(2)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순환유로(51, 53, 55), 상기 순환유로에 구비되어 터브(2)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57),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부(59)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유로는 터브(2)의 후방에 연결되는 제1연결덕트(53), 상기 제1연결덕트(53)에 연결되며 열교환부(59)가 구비되는 덕트(51), 상기 덕트(5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터브의 전방으로 안내하는 제2연결덕트(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덕트(53)는 터브의 원주면 후방에 위치한 배기부(27)에 연결되는 유로로 상기 제1연결덕트(53)는 진동절연부재(고무 등)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드럼(3)의 회전 시 터브(2)로 전달된 진동이 제1연결덕트(53)를 통해 덕트(51) 내부에 위치된 열교환부(59)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터브(2)에 발생된 진동이 덕트(51) 및 열교환부(59)로 전달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상기 제1연결덕트(53)는 주름관(bellows)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덕트(55)는 상기 덕트(5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터브의 전방으로 안내할 수 있는 한 터브(2)의 어느 영역에나 연결될 수 있는데, 도 2는 제2연결덕트(55)가 가스켓(23)을 통해 터브(2)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가스켓(23)에는 상기 제2연결덕트(55)에 연통하는 공급부(2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블로워(57)는 상기 제2연결덕트(55)에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블로워(57)는 제2연결덕트 내부에 위치된 임펠러(571, 도 6 참고),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임펠러 모터(573)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덕트(51)는 하부를 이루는 베이스(51a), 베이스(51a)에 구비되며 열교환부(59)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515), 상기 제1안착부(515)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덕트(520)가 구비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구비된 열교환부(59)는 히트펌프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열교환부(59)에 구비되는 제1열교환기(591, 증발기) 및 제2열교환기(593, 응축기)는 덕트(51) 내부에 구비된 제1안착부(515)에 고정되고, 압축부(미도시)는 증발기(591)에서 배출되는 냉매를 가압하여 응축기(593)로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응축기(593)로 공급된 냉매는 팽창부(미도시)를 거쳐 증발기(591)로 재공급 되어야 한다.
상기 증발기(591)에서는 냉매가 덕트(51)로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따라서, 증발기(591)는 공기를 냉각하여 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제습)하는 수단이 된다.
상기 응축기(593)에서는 냉매가 응축된다. 냉매의 응축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은 응축기를 통과하는 공기에 전달되므로 응축기(593)는 증발기(591)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수단이 된다.
즉, 상기 증발기(591)에서 냉매가 상기 덕트(51)로 유입된 공기의 수분을 제거(제습)하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발생되고, 상기 응축수를 배출시킬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591)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배출덕트(520)을 따라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공기를 터브(2)에 구비된 배기부(27)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터브(2)에 구비된 공급부(29)로 배출하기 위하여 압력구배가 생기는데, 이때 상기 증발기(591)와 상기 응축기(593)의 사이에 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591)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배출덕트(520)을 따라 외부로 유출되지 아니하고 다시 상기 덕트(51)내부로 역류하거나,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응축수 배출부(54)는 배출관(541)을 구비한다.
상기 배출관(541)은 상기 덕트(51)의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부(5411), 상기 경사부(5411)의 말단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수직부(54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5411)의 단면은 제1단면(5415)로 구비되고, 상기 수직부(5413)의 단면은 제1단면(5415) 및 제2단면(541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단면(5415)는 상기 제2단면(5417)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단면(5415)은 상기 제2단면(5417)보다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부(5413)은 하부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병목부(5453)형태가 되어 응축수를 가둬두는 레저버(Reservoi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5413)의 형태로 인하여 응축수가 레저버(Reservoir)에 갖혀 있는 형태가 되어 하수구의 악취가 상기 배출덕트(520)을 통해 상기 덕트(5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병목부(5453)은 상기 제1단면(5415)에서 상기 제2단면(5417)로 좁아지게 구성되는데, 상기 병목부(5453)으로부터 상기 경사부(5411)와 상기 덕트(51)가 접하는 지점까지의 높이(h)는 적어도 120mm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로워(57)의 회전에 의해 상기 덕트(51)내부는 부압이 생기고 이에 따라 건조중 발생한 응축수는 상기 배출덕트(520)에 막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병목부(5453)으로부터 상기 경사부(5411)와 상기 덕트(51)가 접하는 지점까지의 높이가 바람직하게 120mm이상으로 구비되므로 인하여 상기 배출덕트(520)내부에 막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응축수가 상기 덕트(51)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전술한 120mm의 수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블로워(57)의 회전속도, 상기 덕트(51)의 크기 및 상기 열교환부(59)의 크기에 따라 바뀌어 적용될 수 있다.
즉, 매 분당 응축수가 발생하는 양이 40~50cc/min인 경우 일반적인 히트펌프 사이클에 있어 상기 병목부(5453)으로부터 상기 경사부(5411)와 상기 덕트(51)가 접하는 지점까지의 높이가 적어도 120mm이상은 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응축수 배출부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배출유로(541)에 U자관(544)을 포함한 실시예이다. 상기 배출유로(541)은 일단이 상기 열교환부(59)가 안착되는 상기 제1안착부(515)와 직접 연통하고, 타단이 U자관(544)과 연통되는 제1배출관(542), 일단이 상기 U자관(544)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외부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2배출관(543), 일단은 상기 제1배출관(542)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은 제2배출관(543)과 연통되게 구비되며 U자 형태로 구비되는 U자관(54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U자관(544)은 상기 제1배출관(542)와 상기 제2배출관(543)을 연통시키며 U자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응축수가 상기 제1배출관(542)을 타고 흘러내려 상기 U자관(544)에 머물게 되고, 상기 제2배출관(543)의 타단은 외부 공기와 연통되게 구비되어 공기압과 상기 응축수의 무게가 평형을 이루게 되어 응축수 및 하수구의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4(b)는 응축수 배출부(54)에 체크밸브(545)가 구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응축수 배출부(54)는 일단이 열교환부(59)가 안착되는 제1안착부(515)의 일면에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체크밸브(545)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1배출관(542),일단이 체크벨브(545)에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외부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2배출관(543), 일단이 상기 제1배출관(542)에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배출관(543)에 연통되게 구비되며 상기 응축수를 상기 제1배출관(542)로부터 상기 제2배출관(543)으로만 이송시키는 체크밸브(5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545)는 상기 체크밸브(545)내부에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를 일 방향으로만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즉, 상기 체크밸브(545)가 상기 제1배출관(542)과 상기 제2배출관(543)사이에 구비됨으로 인하여, 상기 열교환부(59)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제1배출관(542)에서 상기 제2배출관(543)으로만 흐르게 강제되어 상기 제2배출관(543)에서 상기 제1배출관(542)으로 응축수가 역류하거나 하수구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4(c)는 응축수 배출부(54)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응축수 배출부(54)는 일단이 상기 열교환부(59)가 안착되는 상기 제1안착부(515)에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펌프(546)에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1배출관(542), 일단이 상기 펌프(546)에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외부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2배출관(543), 일단이 상기 제1배출관(542)에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배출관(543)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배출관(542)에 가두어진 응축수를 상기 제2배출관(543)으로 펌핑하는 펌프(546)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펌프(54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의류처리장치등 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펌프의 일종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펌프(546)은 상기 제1배출관(542)과 상기 제2배출관(543)의 사이에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열교환부(59)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상기 제1배출관(542)에서 상기 제2배출관(543)으로만 흐르도록 강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응축수 또는 하수구의 악취가 상기 제2배출관(543)에서 상기 제1배출관(542)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2: 터브
3: 드럼 5: 열풍공급부 57: 블로워
59: 열교환부 54: 응축수 배출부 544: U자관
545: 체크밸브 546: 펌프

Claims (12)

  1.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가 순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로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열교환부;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블로워; 및
    상기 순환유로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부가 발생시키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일단이 상기 순환유로의 일면에 연통되고 타단이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상기 순환유로의 일면에 연통되고, 상기 순환유로의 하부면에 경사지며 돌출되게 구비되는 경사부;
    상기 상기 경사부와 연통되게 구비되고, 상기 순환유로의 하부면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수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단면이 제1단면인 제1수직부;
    단면이 상기 제1단면보다 좁게 구비되는 제2단면인 제2수직부;
    상기 제1수직부에서 상기 제2수직부로 단면적이 좁아지게 구비되는 병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병목부는 일단의 단면이 제1단면으로 구비되고 타단의 단면이 제2단면으로 좁아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병목부의 상부면에서부터 상기 경사부와 상기 순환유로가 접하는 부분까지의 높이는 1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의류수용부;
    상기 의류수용부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가 순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순환유로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하는 열교환부;
    상기 순환유로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부 내부에 음압을 형성시켜 상기 열교환부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이송시키는 블로워;
    상기 순환유로의 일면에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부가 공기를 제습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응축수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역류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U자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일단이 상기 순환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며 타단이 상기 U자관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1배출관;
    일단이 상기 U자관과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2배출관;
    일단이 상기 제1배출관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배출관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U자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체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일단이 상기 순환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며 타단이 상기 체크밸브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1배출관;
    일단이 상기 체크밸브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2배출관;
    일단이 상기 제1배출관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배출관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배출부는,
    일단이 상기 순환유로와 연통되게 구비되며 타단이 상기 펌프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1배출관;
    일단이 상기 펌프와 연통되게 구비되는 제2배출관;
    일단이 상기 제1배출관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타단이 상기 제2배출관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상기 응축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40147565A 2014-10-28 2014-10-28 의류처리장치 KR20160049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565A KR20160049848A (ko) 2014-10-28 2014-10-28 의류처리장치
US14/884,077 US10041204B2 (en) 2014-10-28 2015-10-15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15190463.8A EP3015592B1 (en) 2014-10-28 2015-10-19 Clothes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heat-exchanging unit
CN201510683520.1A CN105544161B (zh) 2014-10-28 2015-10-20 衣物处理装置
KR1020210143032A KR102489267B1 (ko) 2014-10-28 2021-10-25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565A KR20160049848A (ko) 2014-10-28 2014-10-28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032A Division KR102489267B1 (ko) 2014-10-28 2021-10-2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848A true KR20160049848A (ko) 2016-05-10

Family

ID=543371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565A KR20160049848A (ko) 2014-10-28 2014-10-28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43032A KR102489267B1 (ko) 2014-10-28 2021-10-25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032A KR102489267B1 (ko) 2014-10-28 2021-10-2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41204B2 (ko)
EP (1) EP3015592B1 (ko)
KR (2) KR20160049848A (ko)
CN (1) CN1055441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953B1 (ko) * 2016-01-05 2023-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049002B (zh) * 2016-07-08 2018-04-2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热泵干衣机
CN106436233B (zh) * 2016-07-08 2018-04-2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热泵干衣机
WO2019214807A1 (en) * 2018-05-08 2019-11-14 V-Zug Ag Method for operating a washer-dryer
WO2019214805A1 (en) * 2018-05-08 2019-11-14 V-Zug Ag Laundry dryer
CN111387903B (zh) * 2019-01-02 2023-03-2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干燥装置和洗碗机
CN114182475A (zh) * 2021-11-30 2022-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热泵式洗烘一体机
WO2023163496A1 (ko) * 2022-02-22 2023-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3585A (en) * 1981-01-12 1985-04-30 Manoir International, Inc. Hot water system using a compressor
EP0356689A1 (en) * 1988-08-10 1990-03-07 Hitachi, Ltd. Clothes dryer
DE4238546A1 (de) 1992-11-14 1994-05-19 Bauknecht Hausgeraete Wäschetrockner
DE4300694C2 (de) 1993-01-13 2000-02-10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Wäschetrockner mit einer Kondensationseinrichtung
DE10245103A1 (de) * 2002-09-27 2004-04-08 General Electric Co. Schaltschrank für eine Windenergieanlag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indenergieanlage
EP1548173B1 (en) 2003-12-23 2009-07-01 CANDY S.p.A. Domestic washing machine and dryer which can be connected together, corresponding combined installation and corresponding process for washing and drying
JP4880982B2 (ja) * 2005-11-18 2012-02-22 株式会社東芝 洗濯乾燥機
JP4691473B2 (ja) 2006-06-16 2011-06-01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2008253395A (ja) 2007-04-02 2008-10-23 Hitachi Appliances Inc ドラム式洗濯乾燥機
US7789142B2 (en) * 2008-02-29 2010-09-07 Bp Corporation North America Inc. Downhole gas flow powered deliquefaction pump
DE102008032800A1 (de) * 2008-07-11 2010-01-1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orrichtung zum Reinigen eines Bauteiles, insbesondere eines Verdampfers einer Kondensatoreinrichtung
EP2398947B1 (en) 2009-02-23 2016-10-26 LG Electronics Inc. Washing / drying machine
EP2390404B1 (en) * 2010-05-25 2016-07-2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heat pump system
JP2012075601A (ja) 2010-09-30 2012-04-19 Panasonic Corp 洗濯乾燥装置
JP2013070921A (ja) * 2011-09-29 2013-04-22 Panasonic Corp 乾燥装置
JP2013128538A (ja) * 2011-12-20 2013-07-04 Panasonic Corp 洗濯乾燥機
WO2014187506A1 (en) * 2013-05-24 2014-11-2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er and method of operating a laundry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41204B2 (en) 2018-08-07
KR20210134255A (ko) 2021-11-09
EP3015592A1 (en) 2016-05-04
CN105544161B (zh) 2018-02-09
CN105544161A (zh) 2016-05-04
KR102489267B1 (ko) 2023-01-18
EP3015592B1 (en) 2017-05-10
US20160115642A1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9848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0034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43262B1 (ko) 의류처리장치
US9670613B2 (en)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KR102302326B1 (ko) 의류처리장치
US8418509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CN101876132B (zh) 洗衣干衣机
KR101366273B1 (ko) 의류처리장치
US20140250710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053193A (ko) 의류처리장치
KR102364673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87360B1 (ko) 건조 장치
CN104204331B (zh) 洗衣机以及在洗衣机中进行衣物处理的方法
CN104703529B (zh) 具有供水组件的家用器具
KR101594369B1 (ko) 의류처리장치
JP4525463B2 (ja) 洗濯乾燥機
JP2005046415A (ja) 洗濯乾燥機
KR1014304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46374B1 (ko) 세탁기
KR10261649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366275B1 (ko) 의류처리장치
JP2007143612A (ja) 洗濯乾燥機
KR101863931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