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222B1 -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222B1
KR102497222B1 KR1020210004831A KR20210004831A KR102497222B1 KR 102497222 B1 KR102497222 B1 KR 102497222B1 KR 1020210004831 A KR1020210004831 A KR 1020210004831A KR 20210004831 A KR20210004831 A KR 20210004831A KR 102497222 B1 KR102497222 B1 KR 102497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vending machine
product
slot assembl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2458A (ko
Inventor
고승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케이벤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케이벤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케이벤딩스
Priority to KR102021000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22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2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2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of helical or spiral for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에 구비되어 상품을 배출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에 있어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며, 스파이럴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품이 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을 회전시키는 스프링 회전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스파이럴 형상을 이루는 스프링의 직경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품의 전방을 지지하는 이탈방지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Slot assembly for vending machines}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판매기에 구비되어 상품을 배출시키는 스프링 회전을 가이드하며, 스프링에 거치된 상품을 가이드함으로써 상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아이스크림 또는 스낵과 같은 간식류를 임시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자동판매기에 동전 또는 지폐를 투입할 경우, 저장되어 있던 상품을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품을 배출시키기 위해, 자동판매기에는 다수의 슬롯 어셈블리가 구비되며, 상기 슬롯 어셈블리는 사용자의 자동판매기의 동작버튼을 누르면 자동판매기 내부에 구비된 모터가 1 회전을 하고, 그 모터에 결합되어 있는 스파이럴 형상의 스프링이 1 회전을 하게된다.
이때, 이와 같이 스파이럴 형상의 스프링이 1회전함에 따라 각 피치에 적재되어 있는 상품들이 스프링의 1 피치만큼 직선운동하게 된다.
즉,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스프링의 간격 사이, 피치 사이에 적재되어 있는 상품들이 하나씩 맨 끝단부로 이동되어 아래로 자유낙하함에 따라 자동판매기의 상품 배출구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 예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24045호 “자동판매기의 상품 이송장치”와, 한국등로특허 제10-1647043호 “스파이럴 구동장치가 적용되는 자동판매기”와 같은 자동판매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스파이럴식 슬롯 어셈블리는 스프링의 간격 사이, 즉, 한 피치가 이루는 사이 간격에 의해 판매될 수 있는 상품의가 크기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고정식으로 구비되는 스프링의 간격은 그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것이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적용할 수 있는 상품의 종류 및 크기에 제한이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 이용되는 자동판매기의 경우, 단순히 스프링의 1 회전에 의해 상품을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아래로 낙하시키는 것이므로, 상품의 배출시 낙하하여 배출구로 보내주는 이상의 동작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상품이 예기치 못하게 스프링의 사이에 끼이거나, 종래 자동판매기의 스프링 또는 축에 상품이 걸리게 될 경우, 기술자의 도움없이는 상품이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이용되는 자동판매기의 경우, 상품의 적재시, 스프링의 선상에 적재된 상품이 지지되는 면적이 좁아 상품의 이송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자동판매기가 가지는 문제점인 상품이 낙하중 스프링 또는 축에 끼이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상품이 자동판매기 내부에서 끼이는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는 유지 보수 측면에서 유리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에 관한 기술개발이 절실한 실정이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에서 스프링의 중심에 구비된 축이 생략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동판매기에 구비되어 상품을 배출시키는 스프링 회전을 가이드하고, 스프링에 거치된 상품을 가이드함으로써 상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에 구비되어 상품을 배출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에 있어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며, 스파이럴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품이 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을 회전시키는 스프링 회전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스파이럴 형상을 이루는 스프링의 직경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품의 전방을 지지하는 이탈방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스프링에 거치된 상품의 후방을 지지하여 낙하를 가이드하는 보조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한 개 이상의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된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자동판매기의 내부에서 한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스프링에 결합되어 승하강 운동하는 압축 실린더로 스프링을 인장 또는 수축 시킴으로서 스프링이 이루는 피치 사이 높이를 조절하는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스프링에 삽입되어 상품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품과 함께 낙하하는 삽입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삽입 가이드는, 상기 스프링이 이루는 간격의 사이에 삽입되되, 스프링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상품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도록 구비되어 상품을 지지하는 가변 지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지지 수단은, 탄성력으로 하여 가변 지지 부재의 범위를 상품의 외곽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탄성 스프링; 상기 가변 지지 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는 권취장치에 의해 조절되며 가변 지지 부재를 상품의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상품의 크기를 감지하는 크기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스프링의 회전에도 배출구의 방향으로 배출되지 않는 거치 불량상태의 상품을 하방으로 토출시키는 불량 상품 배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불량 상품 배출 수단은, 스프링의 원주 둘레 내측에 구비되되, 스프링 내측 둘레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거치 불량상태의 상품에 충격을 가하는 불량 상품 충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불량 상품 충격 수단은, 스프링을 관통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 거치 불량 상품에 직간접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공압 실린더; 상기 공압 실린더에 공압을 제공하는 컴프레셔 및 상기 공압 실린더와 연동된 컴프레셔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자동판매기에 충전되어 판매되고 있던 상품이 스프링 또는 종래 슬롯 어셈블리에 구비되어 있었던 축에 끼이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상품이 스프링의 회전 반경에서 이탈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슬롯 어셈블리는, 보조 가이드가 구비되어, 이탈방지 가이드와 함께 자동판매기 내부 상품의 이탈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이 구비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자동판매기의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관리자가 보다 다양한 크기 또는 높이를 가지는 상품을 판매하고자 할 경우,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을 이용하여 스프링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 가이드에 구비되는 가변 지지 수단으로 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상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불량 상품 배출 수단과 불량 상품 충격 수단으로 하여, 자동판매기의 내부에서 걸려버린 상품이 배출구의 방향으로 토출되지 않는 문제를 해소하고, 자동판매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거치 불량 상품을 자동판매기에서 쉽게 빼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전방이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 가이드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 가이드가 구비되는 모습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가이드가 구비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이 구비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삽입 가이드가 삽입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가변 지지 수단이 구비된 이탈방지 가이드의 예시도이다.
도 13 (a) 및 (b) 는 가변 지지 수단이 구비된 이탈방지 가이드의 작동예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량 상품 배출 수단이 구비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량 상품 충격 수단이 구비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15 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먼저,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전방이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 가이드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 가이드가 구비되는 모습을 자세히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품을 자동으로 판매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자동판매기(VM)에 구비되어 상품을 배출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스프링(100), 스프링 회전 모터(200), 하우징(300), 이탈방지 가이드(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기에 앞서, 상기 자동판매기(VM)에는, 자동판매기(VM)에서 판매중인 상품을 투영 또는 도시해주는 디스플레이(D)와, 판매중인 상품을 지정할 수 있는 번호키(K), 동전 또는 현금 또는 카드와 같은 결재 수단을 인식하는 금액 입력장치(C) 및 구매 완료된 상품이 배출되는 배출구(OUT)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들의 구성(D, K, C, OUT)은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자동판매기(VM)를 이루는 구성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스프링(100)은, 수직으로 길이를 형성하되, 나선 형태의 스파이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100)의 선상에는, 상품(P)이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품(P)이란, 자동판매기(VM)를 통해 판매될 수 있는 캔 음료, 낱개 포장된 아이스크림, 사각 박스에 포장된 스낵류 등과 같이 자동판매기를 통해 판매될 수 있는 상품(P)을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 회전 모터(200)는, 상기 스프링(100) 종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프링(10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회전 모터(20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을 1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터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스프링(1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프링(100)의 간격, 1 피치의 사이에 거치되어 있던 상품은,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되는 스프링(100)의 1 회전시, 스프링(100)의 하방으로 1 칸씩 낙하될 수 있으며, 끝에는, 자동판매기(VM)의 배출구(OUT)로 상품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00)은, 상기 스프링(100)과 스프링 회전 모터(200)를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스프링 회전 모터(20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30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00)의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스프링(100)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측판(310)과 스프링(10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판(320), 스프링(100)의 전방에 구비되되, 작업자가 자동판매기(VM)의 상품을 충전 또는 빼낼 수 있도록, 스프링(100)의 전방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개방 도어(330) 및 스프링 회전 모터(200)가 결합되는 상판(340)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310)에는, 스프링(10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스프링(100)과 접하도록 구비된 'ㄷ' 형상의 측면 가이드(31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판(320)에도, 스프링(10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스프링(100)과 접하도록 구비된 'ㄷ' 형상의 후면 가이드(321)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스프링(10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하우징(300)으로 하여, 안정적인 스프링의 1 회전을 도모하고, 이를 통해, 상품을 원할히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때, 상기 개방도어(330)는, 도 6 의 (b) 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300)에 마련된 측판(310)의 정면에서 분해 또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00)의 하방, 최 하단부에는 스프링(100)을 통해 낙하된 상품을 배출하는 배출구(OUT)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400)는, 상기 하우징(300)의 내부에 구비되되, 스파이럴 구조를 이루는 스프링(100)의 간격, 피치에 상응하는 간격을 가지며, 한쌍의 날개부재(410)가 소정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400)는, 상기 개방도어(3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400)는, 개방 도어(330)가 스프링(100)과 대향되는 개방도어(330)의 내측 벽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한쌍의 날개부재(410)가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도어(330)는, 상기 스프링(100)의 높이와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 가이드(400)가 구비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충전되어 있던 개별 포장된 상품(P)이 스프링(100)에서 이탈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판매기(VM)의 내부에서 한 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하나의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의 측면 방향을 따라 서로 접하도록, 또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나란히 배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B)에서 탈부착되도록 구비되어,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 복수개가 하나의 군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가 결합된 몸체(B)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판매기(VM)의 전면부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경우 자동판매기(VM)의 정면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는, 자동판매기(VM)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가 결합되어있던 몸체(B)를 자동판매기(VM)의 외부로 인출시킴으로서, 자동판매기(VM)의 내부에 상품(P)을 재충전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 가이드가 구비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예시도이고, 도 8 은 도 7 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스프링(100)에 거치된 상품(P)의 후방을 보조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이탈방지 가이드(400)와 함께 상품(P)의 낙하를 보조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보조 가이드(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가이드(420)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회전 모터(200)와 결합된 스프링(100)의 중심에서 수직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보조 가이드(420)를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상품(P)의 방향으로 'ㄷ'의 형태를 이루는 돌출 프레임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보조 가이드(420)로 하여, 이탈방지 가이드(400)와 함께 자동판매기(VM) 내부 상품(P)의 하강을 보조하며, 상품의 후방을 지지하므로써 상품이 스프링에서 이탈하는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이 구비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100)은, 스프링(100)이 이루는 간격의 사이 범위를 조절하는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5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500)은, 상기 스프링(100)의 하단에 구비되는 압축 실린더의 구성으로, 스프링(100)을 인장 또는 수축 시키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500)은, 스프링(100)의 하단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500)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00)의 하부, 즉, 배출구(OUT) 방향의 스프링(100)과 결합되어, 스프링(100)을 인장 또는 수축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500)이 구비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자동판매기(VM)를 이용해 상품을 판매하고자 하는 관리자가 보다 다양한 크기 또는 높이를 가지는 상품을 판매하고자 할 경우,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500)을 이용하여 스프링(100) 사이의 간격 즉, 상품(P)이 거치될 수 있는 스프링(100)의 피치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상품(P)을 판매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500)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00)의 최하단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스프링 회전 모터(200)가 구비되는 최상단의 위치, 즉, 스프링 회전 모터(200)와 결합된 스프링(100)의 결합부에 구비되어 스프링(100)을 위로 당기거나, 끌어 내림으로서, 스프링(100)을 인장 또는 수축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500)이 스프링 회전 모터(200)와 스프링(100)의 결합부에 구비될 경우, 스프링(100)의 하단부는, 하우징(300)의 소정 높이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삽입 가이드가 삽입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며, 도 11 은 도 10 의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스프링(100)에 삽입되어 상품을 보다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삽입 가이드(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 가이드(600)는, 상기 스프링(100)이 이루는 간격, 피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두께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 가이드(600)의 형상은, 도 10 및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 10 및 도 11 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삽입 가이드(600)의 소정 범위에는, 개별 포장된 상품(P)이 삽입 가이드(600)에 용이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상품(P)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상품 삽입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삽입 가이드(600)가 구비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스프링(100)의 피치 사이사이에 삽입되는 삽입 가이드(600)로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상품(P)의 끼임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2 는 가변 지지 수단이 구비된 이탈방지 가이드의 예시도이고, 도 13 (a) 및 (b) 는 가변 지지 수단이 구비된 이탈방지 가이드의 작동예시도이다.
서술하기에 앞서, 이후 서술될 가변 지지 수단(700)은, 도 12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00)의 중심위치에서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이탈방지 가이드(400)와 별개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앞서 상술된 이탈방지 가이드(400)의 날개부재(410)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탈방지 가이드(400)는, 상품(P)의 직경에 따라 가이드 또는 이탈방지 가이드(400)의 간격을 조절하는 가변 지지 수단(7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변 지지 수단(700)은, 탄성 스프링(710), 권취장치(720), 와이어(730), 크기 감지 센서(740) 및 스프링(100)에 거치된 상품(P)의 낙하를 가이드하는 가변 지지 부재(750)(이때, 상기 가변 지지 부재(750)는 날개부재(410)의 구성이 이용될 수 있다.)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탄성 스프링(710)은, 탄성력으로 하여 가변 지지 부재(750)의 범위를 상품(P)의 외곽 방향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권취 장치(720)는, 상기 가변 지지 부재(75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730)는, 상기 권취장치(720)에 의해 와이어(73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가변 지지 부재(750)를 상품의 방향으로 수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크기 감지 센서(740)는, 상기 와이어(730) 길이방향 소정위치 또는 가변 지지 부재(750)의 끝단부에 구비되어, 판매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P)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지지 수단(700)이 구비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상품의 크기, 직경을 인식하여, 상품(P)을 가이드하는 가변 지지 부재(750)의 간격을 조절하므로써, 보다 용이하게 상품(P)의 끼임 또는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량 상품 배출 수단이 구비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1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스프링(100)의 종단에 위치한 상품(P)이 스프링(100)의 회전에도 배출구(OUT)의 방향으로 배출되지 않는 거치 불량상태의 상품(P)을 하방으로 토출시킬 수 있는 불량 상품 배출 수단(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량 상품 배출 수단(800)은, 롤러(810) 및 회전 모터(8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롤러(810)는, 스프링(100)의 원주 둘레 내부에 구비되되, 스프링(100)의 회전 반경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 범위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모터(820)는, 상기 롤러(8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 모터(820)는,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00)의 스파이럴 내측의 선상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또다른 나선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상품이 배출구(OUT)의 방향으로 낙하되는 와중, 상품(P)이 스프링(100)에 끼이게 되어 낙하되지 않을 경우, 불량 상품 배출 수단(800)을 작동시킴으로서, 거치 불량상태의 상품을 자동판매기(VM)에서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불량 상품 충격 수단이 구비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예시도이다.
도 1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스프링(100)의 회전에도 배출구(OU)의 방향으로 배출되지 않는 거치 불량상태의 상품을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의 전방으로 밀어내는 불량 상품 충격 수단(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량 상품 충격 수단(900)은, 공압 실린더(910), 컴프레셔(920) 및 제어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공압 실린더(910)는, 하우징(300)의 후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300)의 후판(320)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압 실린더(910)는, 스프링(100)에 거치된 불량 상품에 충격을 가할 수 있으며, 상기 공압 실린더(910)의 종단에는, 상품(P)을 밀어낼 수 있는 형상으로 마련된 충격 프레임(91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프레셔(920)는, 상기 공압 실린더(910)에 공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컴프레셔(920)와 연동되 공압 실린더(9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미도시)은, 자동판매기(VM)의 외부에 구비되는 사용자 조작 버튼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그의 구성은, 컴프레셔(920)와 공압 실린더(9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레버, 버튼 등의 조작 수단 등과 같은 조작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는, 스프링(100) 사이에 끼어버린 불량 상품을 전방으로 밀어내거나 또는 거치 불량 상태의 상품에 충격을 가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거치 불량 상품을 강제로 토출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가 구비된 자동판매기(VM)의 사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1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1)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100 : 스프링
200 : 스프링 회전 모터
300 : 하우징
310 : 측판
311 : 측면 가이드
320 : 후판
321 : 후면 가이드
330 : 개방 도어
340 : 상판
400 : 이탈방지 가이드
410 : 날개부재
420 : 보조 가이드
500 :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
600 : 삽입 가이드
700 : 가변 지지 수단
710 : 탄성 스프링
720 : 권취장치
730 : 와이어
740 : 크기 감지 센서
750 : 가변 지지 부재
800 : 불량 상품 배출 수단
810 : 롤러
820 : 회전 모터
900 : 불량 상품 충격 수단
910 : 공압 실린더
911 : 충격 프레임
920 : 컴프레셔
VM : 자동판매기
P : 상품
OUT : 배출구
D : 디스플레이
K : 번호키
C : 입력장치

Claims (8)

  1. 자동판매기에 구비되어 상품을 배출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에 있어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며, 스파이럴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품이 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을 회전시키는 스프링 회전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스파이럴 형상을 이루는 스프링의 직경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품의 전방을 지지하는 이탈방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상품의 직경에 따라 가변되도록 구비되어 상품을 지지하는 가변 지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지지 수단은,
    탄성력으로 하여 가변 지지 부재의 범위를 상품의 외곽 방향으로 확장시키는 탄성 스프링;
    상기 가변 지지 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는 권취장치에 의해 조절되며 가변 지지 부재를 상품의 방향으로 수축시키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길이방향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상품의 크기를 감지하는 크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스프링에 거치된 상품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품의 낙하를 가이드 하는 보조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한 개 이상의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된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자동판매기의 내부에서 한 개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스프링에 결합되어 승하강 운동하는 압축 실린더로 스프링을 인장 또는 수축 시킴으로서 스프링이 이루는 피치 사이 높이를 조절하는 스프링 피치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스프링에 삽입되어 상품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품과 함께 낙하하는 삽입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가이드는,
    상기 스프링이 이루는 간격의 사이에 삽입되되, 스프링 사이의 간격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6. 삭제
  7. 자동판매기에 구비되어 상품을 배출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에 있어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며, 스파이럴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품이 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을 회전시키는 스프링 회전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스파이럴 형상을 이루는 스프링의 직경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품의 전방을 지지하는 이탈방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스프링의 회전에도 배출구의 방향으로 배출되지 않는 거치 불량상태의 상품을 하방으로 토출시키는 불량 상품 배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불량 상품 배출 수단은,
    스프링의 원주 둘레 내측에 구비되되, 스프링 내측 둘레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 롤러 및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8. 자동판매기에 구비되어 상품을 배출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에 있어서,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길이를 가지며, 스파이럴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품이 거치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을 회전시키는 스프링 회전 모터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스파이럴 형상을 이루는 스프링의 직경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품의 전방을 지지하는 이탈방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는,
    거치 불량상태의 상품에 충격을 가하는 불량 상품 충격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불량 상품 충격 수단은,
    스프링을 관통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어, 거치 불량 상품에 직간접적으로 충격을 가하는 공압 실린더;
    상기 공압 실린더에 공압을 제공하는 컴프레셔 및
    상기 공압 실린더와 연동된 컴프레셔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KR1020210004831A 2021-01-13 2021-01-13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KR102497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831A KR102497222B1 (ko) 2021-01-13 2021-01-13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4831A KR102497222B1 (ko) 2021-01-13 2021-01-13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458A KR20220102458A (ko) 2022-07-20
KR102497222B1 true KR102497222B1 (ko) 2023-02-06

Family

ID=82609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831A KR102497222B1 (ko) 2021-01-13 2021-01-13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222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0650U (ko) * 1993-12-18 1995-07-26 자동판매기의 스파이럴 위치조절장치
KR20040072749A (ko) * 2003-02-10 2004-08-1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자동판매기의 상품수납장치
KR101918603B1 (ko) * 2016-12-30 2018-11-15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자동판매기의 스파이럴용 가이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2458A (ko)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055B1 (ko) 현금 자동 거래 장치
US5018614A (en) Ticket vending machine
US4565300A (en) Dispensing mechanism for vending machines or the like
US20080011771A1 (en) Flexible Vending Machine
US4753431A (en) Note storing apparatus
KR100579816B1 (ko) 동전검출장치
KR102497222B1 (ko) 자동판매기용 슬롯 어셈블리
KR101645691B1 (ko) 자판기
US5876275A (en) Escalator with adjustable coin guides
US8517808B2 (en) Coin hopper with an upward coin passage
JP3095429B2 (ja) 景品払出機
JP3959252B2 (ja) 棒金払出し装置
JP3074516B2 (ja) 物品取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販売機
JP2012108600A (ja) 棒金硬貨処理装置
JP2957639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送装置
JP3164317B2 (ja) 硬貨収納投出装置
JP2512271Y2 (ja) 硬貨包装機における棒金受渡し装置
JPH03218596A (ja) 自動販売機の硬貨返却装置
JPH089817Y2 (ja) 紙幣入出金機における紙幣受け渡し機構
JPH0352748Y2 (ko)
JP2562232B2 (ja) 紙幣繰出装置
JP2602478Y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3065112B2 (ja) 景品払出機
JPH0810827Y2 (ja) 貨幣払出機
JP3866578B2 (ja) 棒金払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