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9816B1 - 동전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동전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9816B1
KR100579816B1 KR1020037011412A KR20037011412A KR100579816B1 KR 100579816 B1 KR100579816 B1 KR 100579816B1 KR 1020037011412 A KR1020037011412 A KR 1020037011412A KR 20037011412 A KR20037011412 A KR 20037011412A KR 100579816 B1 KR100579816 B1 KR 100579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duct
coins
rotating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8959A (ko
Inventor
고우지 나카시마
야스유키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030078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8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2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specially adapted for registering coins as credit, e.g. mechanically actua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5/00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 G07F5/02Coin-actuated mechanisms; Interlocks actuated mechanically by coins, e.g. by a single co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 Noodl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전 통로에 있어서 특히 동전이 멈추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안되며 유효한 동전의 소정 갯수가 지불되는 경우에만 소비자에게 물품을 분배할 수 있는 동전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비자가 넣은 동전(C)은 동전통로(13)에 유지된다. 동전(C)은 동전통로(13)의 일부를 형성하는 바닥판(30) 위에 바로 선다. 바닥판(20)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세되어 동전통로(13)로 돌출 된다. 회전판(100)이 회전할 때, 회전판(100)에 한정된 오목부(120)의 일단(119)이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에 대해서 바닥판(20)에 지지되어 바닥판(20)을 경사지게 한다.
결과적으로, 회전판(100)의 오목 에지는 바닥판(20)을 경사지게 한다. 오목부(120)의 타단이 바닥판(20)에 이르는 경우에, 회전판(100)에서 이탈된다. 바닥판(20)의 경사로 인해 동전(C)은 바닥판(20)에서 제거되고, 동전은 동전 드롭으로 향해서 떨어진다.

Description

동전검출장치{Coin detector}
본 발명은 장난감과 같이 다수의 포장된 상품을 저장하고 이것들을 분배하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비자가 회전 핸들을 회전시켜 기계 내에 포함된 물품을 분배하여 판매하는 수동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수동 자동판매기에 설치되며, 지정된 동전의 소정 들어오는 경우에는 회전 핸들이 회전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회전 핸들이 회전이 되지 않는 동전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장난감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은 수동 자동판매기에서 같은 용기에 포장된 장난감을 종종 얻는다. 이러한 수동 자동판매기는 종종 소정 가격에 의거해서 하나의 기계-하나의 물품(one-machine-one-item) 또는 하나의 기계- 물품(one-machine-two-item)에 대해서 제품을 분배하고, 최근에는 더 광범위한 다양한 장난감들이 자동판매기에서 구매되고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수동 자동판매기들이 전형적으로 상점들 바로 앞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런 유형의 종래 수동 자동판매기는 장난감 가격에 대한 특정한 동전의 (이후 소정 칭함)가 넣어지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기계의 회전 핸들을 회전함으로써 물품을 취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 때문에, 종 자동판매기는 종종 내장된 동전검출장치를 갖고 있다.
이러한 동전검출장치는 일본 특허 공개 번호 H10-143722에 공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관보(Official Gazette)에 기술된 동전검출장치를 종래 동전검출장치의 특징을 예시하는 다어그램인 도 16 및 도 17과 관련하여 기술한다. 이들 특징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낸다. 두 개의 동전이 넣어지는 경우에만 회전 핸들이 회전되어 물품을 얻을 수 있는 경우에 대해서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동전검출장치(1600)의 상부에 있어서, 동전통로 인입구(1601)에서 동전통로 인출구(1602)로 유도하는 동전통로(1603)가 설치되어 있다. 동전통로 인입구(1601)는 동전검출장치(1600)가 도시 생략된 수동 자동판매기에 장착될 때 동전 드롭 슬롯(coin drop slot)에 대향되도록 한정된다.
동전통로(1603) 아래에는, 동전통로 인출구(1602)를 통과한 동전을 분배하도록 동전 저장부(1604)가 설치된다. 동전 저장부(1604)는 동전통로 인출구(1602)로부터의 동전들 중에서 소정값에 대해서 유효한 것을 구별하여 모아서 동전 덕트 인입구(1605)로 보내는 반면에 나머지 유효하지 않은 동전은 리턴 드롭(return drop)(1606)으로 떨어뜨린다.
동전 덕트 인입구(1605)로부터, 동전 덕트(1608)는 자동판매기의 뱅크 박스(도시 생략)로 차례대로 인도되는 동전 덕트 인출구(1607)에 대해서 아래로 인도된다. 동전 덕트(1608)의 일부분이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짐으로써 동전 덕트 인입구(1605)로부터 자신의 무게로 인해 세워진 상태로 아래로 이동될 수 있으며 각각 의 동전은 수평면에 거의 직각인 그 반대측을 갖는다.
그것에 덧붙여, 동전 덕트(1608)는 각각의 동전 두께보다 약간 큰 고정폭을 갖고 충분히 연장함으로써, 동전 덕트 인입구(1605)를 통과한 동전들을 구르게 한다.
동전 덕트(1608)는 지점축(fulcrum shaft)(1610)에 대해서 팬형 뚜껑(1611)의 추축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개구부(1609)를 갖는다. 팬형 뚜껑(1611)은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밀려서 개구부(1609)가 보호되도록 한다. 팬형 뚜껑(1611)의 추축 이동은 팬형 뚜껑(1611)과 관련된 자동판매기의 구성요소(도시생략)를 누르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고 동전을 반환하는 트리거(trigger)로서 사용한다. 개구부(1609)는 출구(1612)에 대해서 아래로 연장하는 동전 반환구(1613)로 이른다.
리턴 드롭(1606)에서, 덕트(1614)가 동전 반환구(1613)에 대해서 아래로 연장한다.
동전 덕트(1608)의 가까이에는, 회전판(1616)이 위치되며, 회전축(1615)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회전판(1616)은 자동판매기의 회전 핸들(도시생략)과 관련되며, 회전 핸들의 회전과 상관하여 작동한다.
회전판(1616)은 회전축(1615)로부터 벗어난 중심을 가지며 원판 자체에 대해서 편심된 원형가이드(1617)를 포함한다.
회전판(1616)의 외주에는 스토퍼(1620)에 대해서 인접하고 고정 스테이크(1618)에 고정된 일단을 가지는 스프링(1619)에 의해 눌려질 수 있는 끝- 편(end-piece)(1621)이 위치된다.
스토퍼(1620)에 형성된 스텝(1624)은 위아래로 이동가능한 검출부재(1626)의 구성요소인 끝-편(1625)에 대해서 인접할 수 있다. 검출부재(1626)는 그 하부 끝(1627)이 동전(C)의 원주 가장자리와 접촉할 때 위로 움직임으로써, 동전 덕트(1608)로 밀려나지 않고 반면에 끝(1627)이 동전(C)과 접촉하지 않을 때는 아래로 움직여 동전 덕트(1608)로 밀려나게 된다.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셔터(1622)의 핀(1623)은 회전판(1616)의 가이드(1617)에 맞춰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가이드(1617)에 맞춰지는 핀(1623)으로, 셔터(1622)는 회전판(1616)의 회전 이동에 반응하여 동전 덕트(1608)를 차단 및 개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동전검출장치의 기능을 기술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 셔터(1622)는 검출소자(1626)의 끝(1627)이 동전 덕트(1608)로 밀리는 동안 동전 덕트(1608)를 차단하고, 동시에 개구부(1609)는 뚜껑(1611)에 의해 폐쇄된다. 동전통로(1603)를 통과한 사용자가 넣은 동전은 동전통로 인출구(1602)로 통해서 동전 분류부(1604)로 떨어진다.
동전들은 인출구(1602)를 통과하여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분류되고, 어떤 경우에는, 리턴 드롭(1606)으로 보내진다. 덕트(1614)를 통하여 떨어지고 반환구(1613)로 들어간 후의 이러한 동전들은 자신들의 무게로 인해 소비자들이 이것들을 취할 수 있는 출구(1612)로 굴러 내려간다.
유효한 동전으로 분류된다면, 인출구(1602)로부터의 동전들은 동전 분류부(1604) 옆의 동전 덕트 인입구(1605)로 보내진다. 이러한 동전들은 셔터(1622)가 덕트를 차단하는 통로에 도달할 때까지 덕트(1608)내에서 구르고 이후에 멈춘다. 덕트(1608)내로 밀리는 검출부재(1626)가 어떤 동전과 접촉하면, 검출부재(1626)는 위로 올라가고 덕트에서 제거되며, 동전과 접촉하지 않으며 검출부재는 덕트(1608)로 내려온다. 이러한 방법으로, 하나의 동전만이 유효한 것으로 분류되면, 스토퍼(1620)는 검출부재(1626)의 끝-편(1625)이 스토퍼(1620)의 스텝(1624)에 대해서 인접하기 때문에 화살표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적으로 이동할 수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토퍼(1620)에 대한 끝-편(1621)의 인접은 회전판(1616)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회전 핸들을 회전시키려는 시도를 포기하게 한다. 따라서, 회전 핸들은 소비자에 의해 회전되지 않는다.
동전들이 스토퍼(1622)에 의해 일시적으로 차단된 덕트(1608)에 유지되면, 뚜껑(1611)은 동전을 선회하고 개구부(1609)를 열어 동전 반환구(1613)로 들어가도록 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구성요소를 누르는 소비자에 대해서 반응한다. 이후, 동전은 자신들의 무게 때문에 출구(1612)로 향해 일시적으로 아래로 구르게 됨으로써 소비자에게 반환된다.
도 17의 예에서, 유효한 것으로 분류된 동전 두개는 덕트(1608)에 유지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 1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검출부재(1626)는 동전들 중에서 제 2동전과 접촉하여 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스토퍼(1620)는 검출부재(1626)의 끝-편(1625) 옆의 인접에서 해제된 스텝(1624)을 가지기 때문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 단계에서, 회전 핸들을 회전하려는 소비자의 시도는 끝-편(1621)이 스토퍼(1620)에 대해서 인접하면서 회전하게 하는 회전판(1616)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 핸들은 소비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회전판(1616)이 회전될 때, 회전판(1616)의 가이드에 결합된 스토퍼(1622)는 동전 덕트(1608)를 차단하지 않도록 위로 움직인다. 이후, 동전들은 자신들의 무게로 굴러서 일시적으로 유지되고 동전 덕트 인출구(1607)를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뱅크 박스로 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효한 동전들의 소정 갯수를 넣고 회전 핸들을 회전시키면, 소비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핸들과 연결되어 협력하는 기계로 인해 물품을 구매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동전검출장치를 내장한 종래 수동 자동판매기는 이후 기술되는 바와 같이 일부 단점을 갖는다. 첫째, 종래 동전검출장치에 있어서는 소비자가 넣은 동전을 되돌려 받기 위해 구성요소를 누르면, 뚜껑(1611)은 그 자체가 개구부(1609)를 풀도록 움직이고, 이후 동전은 자신의 무게 때문에 동전 반환구(1613)를 통해서 출구(1612)로 구른다. 그러나, 동전 반환구(1613)의 불충분한 경사는 반환구의 통로에 동전이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소비자는 환불할 수 없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특히, 어떤 가치에 대한 동전이 반환구(1613)에 끼워져 있을 때, 소비자가 접하는 문제는 그것에 대해서 묵인할 수 없는 최악이 된다.
둘째, 종래 동전검출장치에 있어서는 소비자가 회전 핸들은 회전하여 물품을 얻을 때 회전판(1616)이 상기한 바와 같이 보상적으로 회전하여, 스토퍼(1622)가 동전 덕트(1608)를 차단하지 않음으로써 동전이 자신의 무게로 인해 굴러서 동전 덕트 인출구(1607)를 통해서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동전 덕트(1608)의 불충분한 경사는 동전이 덕트(1608) 및 그들 사이의 덧쇠(linger)에 고정되게 한다.
특히, 하나 이상의 동전이 덕트(1608)에 넣어지면, 동전이 뒤따르는 동전에 의해 밀리면서 이들 모두가 그들 자신의 무게에 의해 덕트(1608)로 구르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두 개의 동전은 부분적으로 나란하게 되어 하나의 유효한 동전의 두께보다 약간 큰 폭을 갖도록 고안된 덕트(1608)에 끼게 된다. 덕트의 폭외에, 일부 다른 요인은 하나 이상의 동전이 서로 방해되어 덕트(1608)를 끼게 한다.
셋째, 종래 동전검출장치에 있어서, 검출부재(1626)가 동전과 접촉하는 경우에만, 회전판(1616)이 회전되게 된다. 이것은 들어온 동전의 직경이 회전판(1616)이 회전할 수 있도록 유효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진짜 동전과 직경에 있어서는 유효하지만 두께에 있어서는 다른 위조 동전은 그들의 정해진 갯수가 들어오는 경우에는 회전판(1616)을 회전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들어온 동전의 직경 및 두께가 인증되는 경우에만 회전판이 회전하는 동전검출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넷째, 수동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종래 동전검출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 종종 나사와 같은 수단이 그것을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이로 인해 자동 판매기에 대한 동전검출장치의 설치 및 제거가 귀찮게 되고 있다. 또한, 동전검출장치의 동전통로 인입구(1601)와 수동 자동판매기의 동전 드롭에 대향시키고 동전검출장치의 동전 반환구의 출구와 수동 자동판매기의 동전 트레이와 대향시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오직 숙련된 자만이 자동 판매기에 대해서 동전검출장치를 적절하게 정합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동전검출장치를 내장한 하나 이상의 수동 자동판매기가 동일한 장소에 종종 설치된다. 예를 들어, 이들이 일렬로 나란히 놓이기 때문에, 각각의 수동 자동판매기는 그 자체 그리고 서로에 대해서 불안전하게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전의 잼을 방지하고 소정의 유효한 동전의 갯수가 들어오는 경우에만 소비자에게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동전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동 자동판매기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한 동전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전검출장치가 내장된 실시예를 갖는 수동 자동판매기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전검출장치가 내장된 수동 자동판매기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동전검출장치가 내장된 수동 자동판매기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검출장치의 실시예를 서술하는 좌측 사시도이다.
도 5는 수동 자동판매기에 설치된 도 4의 동전검출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그 주요부를 확대한 동전검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동전검출장치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도 7의 그 주요부를 확대한 동전검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검출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31)의 구조예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는 도 4의 그 주요부를 확대한 동전검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회전판의 회전축에 수직인 수직 단면을 각각 설명하는 종래 동전검출장치의 구동 기구의 다이어그램이다.
첨부된 도면을 통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낸다.
수동 자동판매기의 일반적인 구조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본 발명에 따른 동전검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갖는 수동 자동판매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동전검출장치가 내장된 실시예를 갖는 수동 자동판매기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며, 도 2는 동전검출장치가 내장된 수동 자동판매기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그 내부 구성을 설명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일 예로서, 하나의 모듈이 다른 모듈에 적층된 자동 판매기(200)의 수직 쌍 모듈을 볼 수 있다. 상부 모듈(200)은 배면, 측면 및 바닥면이 거의 평평하게 구성된 박스형의 캐비넷을 가지는 반면에 하부 모듈(200)은 상면, 배면, 측면 및 바닥면이 거의 평평하게 구성된 박스형 캐비넷을 갖는다. 상부 모듈(200)은 하부 모듈(200)의 상부면과 정합된 바닥면을 가지며 하부 모듈(200)에 적층된다.
양쪽 모듈(200)은 물품(A)을 포함하는 각각의 케이스(273)를 갖는다. 모듈(200)은 모듈(200)을 개폐하도록 전방에 경첩된 커버 패널(220)을 각각 갖는다.
각각의 커버 패널(220)은 회전 핸들(251)을 위한 구멍(272)과, 동전 드롭(221), 동전검출장치의 트리거 푸시버튼(71)을 위한 구멍(271)과, 물품 픽업(270)과 동전 트레이(225)를 포함한다. 커버패널(220)이 폐쇄되면, 구멍(272)은 회전 핸들(251) 상에 느슨하게 맞춰지고, 동전 드롭(221)은 이후 기술되는 동전검출장치의 동전통로 인입구(11)에 가깝게 대향되고, 구멍(271)은 트리거 푸시버튼(71)상에 느슨하게 맞춰지고, 동전 트레이(225)는 동전검출장치의 동전 반환 출구(15)에 거의 인접하게 된다. 동전통로 인입구(11)는 물품(A)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가 넣은 동전을 받는다. 트리거 푸시버튼(71)은 동전통로 인입구로 들어온 동전을 반환하기 원하는 소비자에 의해 눌려진다. 트리거 푸시버튼(71)을 누름으로써 소비자는 동전 트레이(225)로 배출된 들어온 동전을 회수하게 된다. 동전의 소정 갯수가 소비자에 의해 넣어진 후, 물품 픽업(270)에서 물품(A)을 취하도록 회전 핸들(251)이 사용된다.
수동 자동판매기 모듈(200)의 후방에는, 나사구멍(247)이 결합판(245)을 고 정하도록 한정된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6개의 구멍을 또한 갖는 단일 결합판(245)에 대해서 3개의 나사구멍(247)이 존재한다. 모듈(200)의 후방에서 3개의 나사구멍과 정합된 결합판(245)의 일단에 3개의 구멍을 가지는 나사구멍(247)과 결합판(245)이 함께 이용되어, 수동 자동판매기 모듈(200)에 결합판(245)을 나사(246)로 고정한다. 모듈(200)의 후방에 있어서 3개의 나사구멍과 정합된 결합판(245)의 타단에 3개의 구멍을 가짐으로써, 동일한 결합판(245)이 수동 자동판매기(200)의 다른 모듈에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두개의 수동 자동판매기 모듈은 서로 나란히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다수의 수동 자동판매기 모듈의 안정한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적 및 운송과 같은 단계 중에서 수동 자동판매기 모듈이 상점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 결합판(245)은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각각 이동되어 나사(246)를 이용해서 그들 각각의 후방 내의 수동 자판매기 모듈에 부착되게 된다. 이것으로 수동 자동판매기 모듈(200)은 상기 선적 및 운송의 단계 중에서 결합판(245)이 펄럭거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모듈(200)은 그 하부에 가이드 홈(232)이 설치된 측면(231)의 하나를 가지며, 측면(231)에 거의 직각으로 연장한다. 가이드 홈(232)에 있어서, 후크(235)는 홈의 연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위치된다. 후크(235)는 U-형태의 노치(236)로 형성된 일단과 홈의 연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타원 구멍(237)을 갖고 형성된 타단을 갖는다. 후크(235)는 가이드 홈(232)로부터 연장하는 돌기 상에 고정되는 타원 구멍(237) 때문에 슬라이드 가능하다. 후크(235)는 타원 구멍(237)의 대향하는 끝에 정지된 돌기에 의해 결정된 범위내에서 박스형 캐비넷(230)의 측면(231)의 하나 중에서 가변적으로 연장한다.
동일하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모듈(200)은 그 하부에 구멍(240)이 설치된 다른 측면(231)을 가짐으로써 다른 하부 모듈(200)의 후크(235)가 그들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구멍(240)내에는 돌기(스테이크)(238)가 존재하고 U형태의 노치(236)를 가지는 후크(235)는 스테이크(238)를 분리가능하게 잡는다.
2개의 수동 자동판매기 모듈이 나란히 설치할 때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듈의 하나로부터 당겨진 후크는 다른 모듈의 스테이크(238)를 잡고 그 노치를 그 위에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2개의 수동 자동판매기 모듈은 서로 결합되어 고정됨으로써 모듈의 안정한 설치를 실행하게 한다.
수동 자동판매기 모듈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참조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이 도면에 있어서, 2개의 모듈이 다른 모듈 위에 집적된 수직 쌍 모듈의 상부 모듈의 내부구조의 예를 나타낸다.
회전 핸들(251)은 회전축(252)의 일단과 결합된 회전 중심을 갖는다. 회전축(252)의 타단은 뒷벽(253)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스퍼기어(spur gear)(255)의 회전 중심과 접속된다. 소형기어(256)는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고 뒷벽(253)의 스퍼기어(256)와 결합한다. 부가 스퍼기어(257)는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고 뒷벽(253)의 소형기어(256)와 결합한다. 스퍼기어(257)는 동심구동기어(259)와 중첩된다.
케이스(271) 아래로 연장하는 중간 구분벽(274)의 일부 위에는 턴테이블(260)이 회전가능하게 놓인다. 턴테이블(260)의 바닥면은 스퍼기어(257)와 결합되도록 구멍이 만들어져 있다. 턴테이블(260)은 물품(A)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여러 개의 구멍을 갖고 있고, 턴테이블(260)의 구멍과 정합된 일부 위치에 있어서 구분벽(274)은 상기 물품 픽업(270)으로 이르는 관통구멍(도시생략)을 갖는다. 이로 인해 구멍이 구분벽(274)의 관통구멍과 정합될 때 턴테이블(260)의 구멍 중 하나로 물품(A)이 물품 픽업(270)으로 보내지게 된다.
다른 스퍼기어(261)는 아래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며 뒷벽(253)의 스퍼기어(255)와 결합한다. 소형기어(262)는 아래에 더 위치되며 뒷벽(253)의 스퍼기어(261)와 결합한다. 소형기어(262)는 중간 축(263)의 일단과 접속된 회전중심을 갖는다. 중간 축(263)의 타단은 앞벽(211)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중간 축(263)의 거의 가운데에는, 베벨기어(271)가 동축적으로 놓인다.
상하 자동판매기 모듈의 어느 쪽에 대해서, 중간 축(263)의 아래와 구분벽(201)의 위에는, 볼록면이 구분벽의 대응하는 말단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벽(202 및 203)의 구성요소를 말굽형태로 감쌈으로써 한정된다. 볼록면은 동전검출장치(1)의 프레임 부재(2a 및 2b)의 수직 연장으로 따라서 연장한다. 즉, 볼록면은 자동판매기 모듈에 있어서 앞뒤로 연장함으로써, 동전검출장치(1)에서 떨어지는 동전들이 수직 구분벽(201)에 한정된 연장구멍(218)(이후 기술)을 통해서 드롭된다. 이 경우에, 동전검출장치(1)는 캐비넷(230)과 가이드벽(202 및 203)에 분리할 수 있게 적용될 수 있다. 수동 자동판매기(200)의 동전검출장치(1)의 응용 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동전검출장치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검출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좌측 사시도이며, 도 5는 수동 자동판매기에 설치된 동전검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전검출장치(1)는 수동 자동판매기 모듈(200)에 분리할 수 있게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플레이트형 가이드벽(202 및 203)은 구분벽(201)으로 연장하고 앞의 주면은 서로 거의 평행하며 뒤의 주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이다. 가이드 벽(202)(또는 203)은 그들 사이에 소정의 간격으로 두 개의 구부러진 돌기(206)(207) 및 (208)(209)이 설치된 상부 단부를 갖는다. 구부러진 돌기(206) 및 (207)이 서로 대향하고, 구부러진 돌기(208) 및 (209)가 서로 대향한다. 모듈(200)의 앞벽(211)은 회전축(275)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락레버(213)를 갖는다. 락레버(213)는 스프링(탄성소자)에 의해 가세되는 두 개의 발톱 레일(212)을 가짐으로써 결합한다(도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향해서). 앞벽(211)은 덴트(dent)(224)를 가지는 개구부(223)를 갖는다.
전체로서, 동전검출장치(1)는 좌우 프레임 부재(2a 및 2b)의 조립으로 구성된다. 좌측 프레임 부재(2b)는 좌측 프레임 부재(2b)의 주면 또는 결합소자로서 사용하는 동전검출장치(1)의 좌측면에 수직인 원통형 또는 원주 소자(204b 및 205b)를 포함한다. 소자(204b)와 소자(205b) 사이의 거리는 구부러진 돌기(208) 및 (206)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우측 프레임 부재(2a)는 우측 프레임 부재(2a)의 주면 또는 결합소자로서 사 용하는 동전검출장치(1)의 우측면에 수직인 원통형 또는 원주 소자(204b 및 205b)를 포함한다. 소자(204b)와 소자(205b) 사이의 거리는 구부러진 돌기(209) 및 (207)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우측 및 좌측 프레임 부재(2a 및 2b)는 결합소자로 사용하는 우측 및 좌측 프레임 부재(2a 및 2b)의 주면과 각각 수직인 각각의 원통형 또는 원주 소자(210)를 갖는다. 결합소자로 사용하는 모든 부분 및 소자는 동전검출장치의 프레임 부재를 따라 앞뒤로 연장하는 어느 수직면에 수직이다.
가이드벽(202) 및 (203) 사이에 삽입된 하부 부위를 가진 후, 수동 자동판매기 모듈(200)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전검출장치는 볼록면(201)의 연장을 따라 앞벽(211)을 향해서 미끄러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결합소자(204b, 205b,204a 및 205b)는 구부러진 돌기(208, 206, 209 및 207)에 각각 결합되며, 결합소자(210)는 동시에 자동 위치가 완료되도록 락레버(213)의 발톱 레일(212)에 의해 잡혀짐으로써 동전검출장치(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동 자동판매기 모듈(200)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전검출장치(1)의 상승부(15a)는 앞벽(211)에 있는 개구부(223)의 덴트(224)에 맞춰진다.
모듈(200)에서 동전검출장치(1)를 제거하는데 있어서, 락레버(213)가 스프링(215)에 대해서 힘이 가해져 발톱 레일(212)에서 결합소자(210)를 해제한다. 이러한 상황하에 있어서, 동전검출장치의 조립체(2)를 간단히 움직이면, 결합소자(204b,205b,204a 및 205a)는 가이드벽(202)의 구부러진 돌기(208 및 206)과 가이드벽(203)의 구브러진 돌기(209 및 207)에서 각각 모두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동전검출장치의 조립체(2)는 모듈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동전검출장치(1)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체 조립체(2)는 경질 합성수지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우측 및 좌측 프레임 부재(2a 및 2b)로 이루어진다. 우측 및 좌측 프레임 부재(2a 및 2b)는 나사(3)등과 같은 결합소자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동전(C)보다 약간 넓은 클리언스는 조립체에서 서로 결합된 우측 및 좌측 프레임 부재(2a 및 2b) 사이에 형성된다.
조립체(2)는 주로 상부 동전통로, 중간에 위치하고 살(5)에 수용된 동전 선택기(6), 하부 동전통로(도 6참조) 및 뒷쪽에 위치하고 회전핸들로부터의 터닝 모션을 전달하는 베벨기어(217)에 의해 회전된 회전판으로 구성된다. 상하부 동전통로(10 및 13)는 함께 동전통로(10)를 한정한다.
상부 동전통로(10)는 동전(C)이 세워진 상태로 통로를 통과할 수 있거나 또는 반대 측이 수평면에 대해서 거의 직각이 되도록 동전(C)의 두께보다 약간 큰 폭과 동전(C)의 직경보다 약간 큰 높이를 갖는다. 상부 동전통로(10)는 동전통로 인입구(11)와 동전통로 인출구(12) 상에서 왕래하며, 동전통로 인입구(11)에서 동전통로 인출구(12)로 눌려지도록 기울어져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동전통로 인입구(11)를 통해서 들어온 동전(C)은 그 자신의 무게로 인해 동전 선택기(6)의 인입구(6a)에 인접하는 동전통로 인출구(12)로 굴러 내려간다.
동전 선택기(6)는 덴트(5)에서 분리될 수 있게 수용되며 조립체(2)의 상부 말단에 설치된 락부재(7)에 의해 고정되어 덴트(5)에서 반대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 한다. 동전 선택기(6)는 들어온 동전이 유효하면(예를 들면 100-엔 동전) 검출할 수 있다. 동전 선택기(7)는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모델 중 한가지다. 동전 선택기(6)는 뒷벽에 근접한 상부에 인입구(6a)를 가지며 인입구(6a)와 왕래하는 뒷벽에 근접한 바닥에 인출구(6b)를 또한 갖는다. 동전 선택기(6)는 인입구(6a)와 왕래하는 전단에 근접한 바닥에 반환구(도시생략)를 더 갖는다. 인입구(6a)를 통과한 동전(C) 중에서 유효한 동전으로서 선택된 동전만이 인출구(6b)로 보내지며 유효하지 않은 동전은 반환된다. 반환구는 이후 기술되는 동전 반환 출구(15)와 왕래한다. 인출구(6)는 하부 동전통로(13)의 동전수용기(16)에 인접한다.
하부 동전통로(13)는 동전수용기(16)와 동전 반환 출구(15)와 왕래한다. 즉, 예를 들면, 동전수용기(16)로부터 동전 반환 출구(15)로 눌려지도록 기울어져 있다. 정사각 문 형태의 리지(ridge;15a)가 동전 반환 출구(15)를 둘러싼다. 하부 동전덕트(13)의 바로 밑 또는 조립체(12)의 바닥면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 프레임 부재(2a) 및 (2b) 사이에 클리언스는 동전 드롭(17)을 한정하도록 차단되지 않고 열려 있다. 동전 드롭(17)은 구분벽(201)의 연장구멍(218)에 인접한다. 이후 기술되는 바와 같이, 동전을 보유하도록 연장구멍(218) 바로 아래에 뱅크 박스(도시생략)가 존재한다. 이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해 하부 동전통로를 더 설명한다.
도 6은 도 4의 동전검출장치의 확대된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동전검출장치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동전검출장치의 확대된 동전검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동전통로(13)는 우측 프레임 부재(2a)의 외부면에서 연장하고 인접구멍(27)(우측 프레임 부재(2a)의 관통구멍)을 통해서 조립체(2)로 돌출하는 바닥면(20)에 의해 주로 한정된다. 동전 선택기(6)의 인출구(6b)를 통과한 동전(C)은 두께 방향의 면 또는 바닥면(20)을 따라 원주면에 세워지고, 회전은 이후 기술되는 차단기(46)의 축(47)에 의해 정지된다.
하부 동전통로(13)에 수개의 동전(C)의 남겨져 있으면, 동전(C)은 바닥면(20)에 바로 세워진다. 동전 반환 출구(15)에 가장 가깝게 멈추고 있는 동전 중 하나는 차단기(46)의 축(47)과 충돌하여 회전이 멈추고 우측 앞에 기대고 있는 동전이 뒤따른다. 결과적으로, 모든 동전(C)은 바닥면(20)에 멈춘다. 바닥면(20)은 동전(C)의 두께보다 넓은 스트립(strip)으로 만들어진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착패널(21)의 스트립은 바닥판(20)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바닥면에 고정된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착패널(21)은 부닥판(20)의 주요면에 거의 직교하는 주면을 가지며 고정된다. 바닥판(20) 및 부착패널(21)은 일체로 조립되며, 바닥판(20)과 부착패널(21)의 통합체는 조립체(2)의 뒤쪽으로 향해서 보이는 수직 단면에서 거의 L-형이 된다.
부착패널(21)은 바닥판(20)이 우측 프레임 부재(2a)의 전방에 더 가까울 때 아래로 기울어지는 연장구멍(27) 밖으로 연장하도록 우측 프레임 부재(2a)의 하부에 속한다. 연장구멍(27)은 바닥판(20)의 길이와 두께보다 더 커야만 한다.
예를 들면, 부착패널(21)은 각각의 센터축의 연장이 서로 거의 일직선으로 되면서 부착패널(21)의 상부측의 반대측 말단에 위치된 3개의 둥근 바형태의 돌기(276 및 277)를 가지며, 또한 부착패널(21)의 상부측의 일단에 가깝게 위치된 스프링 지지부(25)를 갖고 돌기의 중심축을 넘어 위로 연장한다. 우측 프레임 부재(2a)의 외부면과 연장구멍(27) 위에 있어서, 연장구멍(27)의 더 긴 연장과 거의 평행한 각각의 중심축을 가지는 2개의 베어링(22 및 23)이 설치된다. 베어링(22 및 23)은 부착패널(21)의 돌기(276 및 277)보다 직경에 있어서 더 긴 구멍을 각각 포함한다. 부착패널(276 및 277)의 돌기가 우측 프레임 부재(2a)의 구멍에 각각 삽입된 후, 부착패널(21)과 통합된 바닥판(20)은 연장구멍(27)을 통과한 위치에 설정되고, 스프링부재(26)는 스프링 지지부(25)와 우측 프레임 부재(2a) 사이의 위치에 설정된다. 따라서, 부착패널(21)과 바닥판(20)은 하부 동전통로(13)에 지지된 동전에 관한 두께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구성으로, 부착패널(21)은 스프링 지지부(25)에 대해서 스프링 부재(26)에 의해 탄성적으로 힘이 가해져 돌기(276 및 277) 주위로 선회하여 연장구멍(27)으로 향한다(도 8참조). 따라서, 부착패널(21)에 인접한 바닥판(20)은 연장구멍(27)을 통해서 정상적으로 연장하여 조립체(2)내로 돌출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조립체(2)의 내측에서 우측 프레임 부재(2a)의 방향으로 힘이 조립체(2)내로 돌출하는 바닥판(20)에 가해지면, 바닥판(20)은 스프링 부재(26)의 탄성력에 반발하여 조립체(2)로부터 수축한다. 바닥판(20)이 그 위에 세워져 있는 동전을 해제하도록 움직이기 때문에, 하부 동전통로(13)에 정지하고 있는 동전(C)은 동전 드롭(17)으로 떨어진다.
차단축(47)이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위에 고정되어 하나 이상의 동전(C)이 실선 및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바닥판(20)에 멈추게 되면, 바닥판(20)과 접촉하는 각각의 원주면을 가지는 동전(C)은 바로 세워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판(20)이 두께 방향으로 이동하여 동전을 해제하면, 동전(C)은 거의 동시에 지지가 풀려 동전 드롭(17)을 떨어진다. 즉, 일단 수축하도록 움직이면, 바닥판(20)은 중력이 동전을 당기는 것처럼 동전(C)을 하부 동전통로(13)로 넣는다.
도 8를 참조하여, 부착패널(21)은 돌기(276 및 277)의 중심 축 위의 그 상부측 일단에 위치한 스윙 편(swing piece)(30)을 또한 가지며, 이 경우에 이러한 스윙 편 스프링부재(25)를 넘어 위로 연장할 수 있다. 스윙 편(30)은 예를 들면 부착패널(221)로부터 연장하는 플랩(flap)과 같이 형성되며 부착판(21)과 거의 평행한 주면을 갖는다. 스윙 편(30)은 동전이 드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둥근 막대형 동전 중지핀(29)을 가지며, 우측 프레임 부재(2a)(이후 기술되는 도 15참조)에 대향하는 면에서 연장하며 그 면에 수직이다.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우측 프레임 부재(2a)는 동전 중지핀(29)이 연장하여 통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큰 구멍을 갖는다. 동전의 소정 갯수가 하부 동전통로(13)에 유지되는 상황에 있어서, 구멍은 접촉 편(125)(도 6참조)에 의해 밀린 동전의 상부 에지와 하부 동전통로(13)의 동전 수용기(16) 사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동전 중지핀(29)은 바닥판(20)이 스프링 부재(26)에 의해 탄성적으로 밀려 조립체(2)로 돌출하는 동안에는 구멍을 통해서 조립체(2)내로 돌출하지 않고, 바닥판(20)이 스프링 부재(26)의 탄성에 반발하여 조립체(2)로부터 수축되는 동안에는 동전 중지핀(29)은 구멍을 통해서 조립체(2)내로 돌출한다. 따라서, 이후 기술한 바와 같이, 동전(C)의 소정 갯수 이상이 들어오면, 하부 동전통로에 있는 것과 다른 동전이 동전 드롭(17)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으면, 구멍과 동전 중지핀(29)은 동전의 소정 갯수 이상이 구멍 밖으로 돌출하는 동전 중지핀(29)을 가진 하부 동전통로(13)가 조립체(2)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어느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후 동전통로를 이후 상세히 설명한다.
동전 반환 기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해서 우측 플레임 부재(2a)에 주로 일체되어 동전을 반환하는 기능을 하는 기구에 대해서 기술한다. 도 9 및 도 10은 도 7의 동전검출장치(7)의 확대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있어서, 트리거 푸시바(trigger push bar)(71)는 우측 프레임 부재(2a)의 상부에 설치된다. 트리거 푸시바(71)는 지주축(75) 주위로 선회하도록 우측 프레임 부재(2a)에 고정된 피스(72)와 협력하여 결합된다. 피스(72)는 우측 프레임 부재(2a)에 대향하는 면의 한쪽에 후크(77)를 갖는다. 다른 후크(76)는 우측 프레임 부재(2a)에 설치되며, 트리거 푸시바(71)가 표준 위치에 있을 때, 후크(76)는 피스(72)의 후크(77) 위에 있게 된다. 스프링 부재(79)는 후크(76) 및 (77) 양쪽에 고정된 대향 말단을 갖는다. 스프링 부재(79)의 탄성력은 트리거 푸시바(71)를 향해서 지주축(75) 주위로 선회하도록(도 9의 반시계 반 향) 피스(72)를 가세한다. 즉, 피스(72)는 트리거 푸시바(71)를 뒤로 밀어서 위로 튀오나오게 한다.
피스(72)는 암링크(73)와 결합된다. 암링크(73)는 위로 구부러진 헤드(82)와 바닥에 대략 U형태의 후크(85)와, 후크(85) 위의 홈을 낸 플랩(86)과 중간 스토퍼 스러스트(89)를 포함하며, U형태의 후크(85)는 암링크(73)의 인접한 중간 플래트 축에 수직인 주면을 갖는다. 암링크(73)의 헤드(82)는 주동축(83)에 의해 피스(72)에 결합됨으로써 선회한다. 우측 프레임 부재(2a)는 암링크(73)의 폭보다 약간 넓게 간격진 2개의 가이드 리지(ridge)(81)가 설치된다. 가이드 리지(81)는 암링크의 수직 연장과 거의 평행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피스(72)의 주축 이동에 의해 암링크(73)는 그 연장선을 따라서 이동한다.
플랩(86)은 수직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홈(87)을 갖지만 우측 프레임 부재(2a)에 관해서 위로 진행하는 경우에 뒤로 향한다. 푸셔(60)는 선회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 지지축에 의해 플랩(86)에 가까운 우측 프레임 부재(2a)에 고정된다. 푸셔(60)는 축(61)에 의해 선회할 수 있게 고정된 진동편(62)과, 진동편(62)의 상부 말단에 고정된 슬라이드 핀(63)과, 진동편(62)의 하부 말단에 위치되고 우측 프레임 부재(2a)와 부착패널(21) 사이에서 부동하는 푸시 말단(65)으로 주로 구성된다. 푸시 말단(65)은 우측 프레임 부재(2a)에 한정되고 하부 동전통로(13)내로 돌출된 개구부를 통과한 자유 말단을 갖는다. 슬라이드 핀(63)은 암링크(73)의 플랩(86)에 있는 가이드 홈(87)에 끼워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비교의 목적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 면, 트리거 푸시바(71)를 우선 눌러서 피스(72)의 선회 움직임을 일으키고, 이것으로 암링크(73)에 있어서 가이드 리지(81)를 아래로 움직인다. 암링크(73)의 하양 움직임은 가이드 홈(87)의 슬라이드 핀(63)이 축(61) 주위를 선회하게 한다(즉, 도 9의 반시계 방향). 이것으로 푸시말단(65)은 우측 프레임 부재(2a)에 대해서 전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고, 결과적으로, 하부 동전통로(13)로 돌출할 때 푸시단의 자유단은 동전을 동전 반환 출구(15)로 향하는 하부 동전통로(13)의 바닥판(20)으로 민다.
암링크(73)의 후크(85)는 우측 프레임 부재(2a)의 외부면의 하부내에 설치된 가이드 부재(31)의 일부분 상에 맞춰진다. 다음 기술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31)가 우측 프레임 부재(2a)에 어떻게 부착되는지를 설명하기에 앞서 가이드 부재(31)를 예시하고 가이드 부재(31)의 구조를 먼저 기술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동전검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내장된 가이드 부재(31)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31)는 빈 직사각형의 평행 육면체로 형성된다. 4개의 수직측면 중에서 상부면(31a)과 바닥면(31b)은 서로 거의 평행하다. 우측 프레임부재(2a)와 대향하는 나머지 수직측면의 좌측면(31c)은 거의 평면이지만, 좌측면(31c)에 대향하는 우측면은 다수의 오목부분을 가지는 불규칙적인 평면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좌측면(31c)은 수직으로 연장하는 긴 홈(36)을 갖는다. 상부와 바닥면(31a 및 31b)은 소정의 폭을 갖는 가이드 홈(35)을 각각 갖는다. 우측 면(31d)은 또한 수직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37)을 갖는다. 우측면(31d)의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 위치 마커(position marker)로 사용하도록 각각 구멍의 위 아래의 늘어선 소정 폭을 갖는 4개의 덴트(41, 42, 43 및 44)가 있다.
가이드 부재(31)는 슬라이드 될 수 있고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차단기(46)를 갖는다. 차단기(46)는 가이드 부재(31)내의 홈(36)과 구멍(37)내에서 연장가능한 축(47), 원통형의 캐버티 내부를 가지는 평행육면체 위치결정부재(52)와 스프링 부재(55)를 가지고 있다. 차단기 축(47)은 가이드 부재(31)의 홈(36)내에 삽입되는 제 1단부(50), 가이드 부재(31)의 가이드 홈(35)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으며 상기 제 1단부(50)에 대해 수직인 슬라이딩 부재(49)와, 셈스(sems : 53)내에서 형성된 다른(제 2)단부(51)를 가지고 있다. 위치결정 부재(52)는 덴트(41, 42, 43,44)의 각각의 폭보다 약간 더 짧은 폭을 가지며 세로방향의 면에 대해서 직각으로 되어 있는 접촉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덴트중 어느 덴트내에서도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덴트를 가지는 위치결정 부재(52)의 접촉면은 차단기 축(47)이 연장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단 차단기(46)가 가이드 부재(31)에 부착되면, 차단기 축(47)은 홈(36)내에 연장되어 있는 한 단부(50)와 가이드 홈(35)내에 조립된 슬라이딩 부재(49)를 가지며, 구멍(37)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다른 단부(51)를 지지하고 있다. 위치결정 부재(52)는 가이드 부재(31)내의 덴트들중 어느 덴트(예를 들면, 도 9의 덴트 41)내에 조립된 접촉면 또는 한 면을 가지며, 제 2단부(51)는 구멍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셈스(53)상의 스프링 부재(55)의 탄성 력은 위치결정부재(52)에 영향을 끼친다. 이에 의해, 위치결정부재(52)가 가이드 부재(31)의 어느 덴트내에 위치하게 된다. 가이드 부재(31)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에, 위치결정부재(52)는 덴트로부터 나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측면의 어느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위치결정부재(52)는 차단기 축(47)의 슬라이딩 부재(49)가 가이드 부재(31)의 가이드 홈(35)을 따라 이동하도록 허용한다. 가이드 부재(31)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러한 힘을 가하게 되는 것을 중단하면,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가이드 부재(31)내의 어느 덴트내에 조립되게 된다. 그러므로, 도 9에서는, 차단기(46)가 덴트(41 - 44)중 어느 덴트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가이드 부재(31)는 세로방향의 측면에 수직이 되는 면으로부터 연장된 돌기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 부재(31)의 직교면중 한 면(예를 들면, 도 9에서 우측 프레임 부재(2a)에 대해서 배면)은 평행한 연장선을 따라 암피스(arm piece : 38)를 가진다. 암피스(38)는 가이드 부재(31)의 세로방향 연장선과 거의 평행하게 연장된 원형의 핀(39)을 포함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서, 우측 프레임 부재(2a)에 가이드 부재(31)를 부착하는 방법이 기술될 것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우측 프레임 부재(2a)는 바닥판(20)과 거의 평행하게 설정되어 있는 긴 구멍(8)을 가지며 차단기(46)의 축보다 더 넓다. 이러한 형태로 형성된 우측 프레임 부재(2a)에 대해, 가이드 부재(31)가 부착되어 있고, 세로방향의 연장은 우측 프레임 부재(2a)의 하부 동전통로(coin shoot : 13)와 거의 평행하게 되어 있다. 즉, 가이드 부재(31)는 우측 프레임 부재(2a)의 베어링(32, 33)내에 조립된 돌기를 가지며, 이로 인해 우측 프레임 부재(2a)에 대해서 가이드 부재(31)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같이, 차단기(46)의 축(47)은 구멍(8)으로부터 우측 프레임 부재(2a)의 하부동전통로(13)로 연장될 수 있다. 차단기(46)가 가이드 부재(31)내에서 요구되는 바와같이 한 덴트에서 다른 덴트로 자신을 위치시키므로, 차단기(46)의 축(47)도 또한 하부 동전통로(13)로 연장되는 위치를 변경시킨다. 즉, 차단기(46)가,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 부재(31)내에서 덴트(41)로부터 덴트(44)로 연속적으로 결합위치를 변경하게 되면, 그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단기(46)의 축(47)도 동전반환출구(15)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즉, 차단기(46)의 축(47)은 하부동전통로(13)내에 보존되어 있는 동전의 중심을 통과하는 라인과 거의 평행하게 궤적을 그리며 이동할 수 있다.
소정의 동전의 수가 1에서 4중에서 선택된다고 가정하면, 차단기(46)는 가이드 부재(31)의 덴트(41 - 44)내에 위치되므로 1-4개의 동전(C)은 하부 동전통로(13)내에 저장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31)는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동전반출기
도 12를 참조하여 좌측 프레임 부재(2b)에 부착된 동전 반출기의 메카니즘이 기술된다. 도 12는 도 4의 동전검출장치의 주요확대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미 사용된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회전판(100)이 우측 및 좌측 프레임 부재(2a, 2b)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우측 프레임 부재(2a)의 뒤에 제공된 베어링(102)에 의 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중심축(101)을 가지고 있다. 회전판(100)은 회전가능하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리형 판(103)이 우측 및 좌측 프레임 부재(2a, 2b)사이에서 회전판(100)상에 동일한 축을 중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리형 판(103)의 중앙에는, 좌측 프레임 부재(2b)내의 회전판(100)상에 배치되어 있는 톱니형 기어휠(105)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톱니형 기어휠(105)도 회전판(100)과 동일한 축상에 배치되어 있다. 톱니형 기어휠(105)의 표면은 좌측 프레임 부재(2b)의 외부면보다 더 높은 레벨에 도달한다. 톱니형 기어휠(105)은 위치결정 핀(109)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통형 캠(123)은 회전판(100)과 동일한 축상에 배치된 톱니형 기어휠(105)상에 배치된다. 원통형 캠(123)상에는, 상술한 베벨기어(bevel gear : 217)와 접촉하고 있는 베벨기어(214)는 입력기어로 작용하도록 제공되며 베벨기어도 역시 회전판(100)과 동일한 축상에 배치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좌측 프레임 부재(2b)에는 스프링 부재(탄성부재 : 107)에 의해 가압되는 스토퍼 네일(stopper nail : 106)이 제공된다. 스토퍼 네일(106)은 톱니형 기어휠(105)과 접촉되어 있으므로 한 방향(도 12의 시계회전방향)으로만 회전판이 회전하게 된다.
좌측 프레임 부재(2b)에는 위치결정부재(110)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부재(110)는 위치결정부재(110)가 둘레를 회전할 수 있는 중심축(111)에서 좌측 프레임 부재(2b)에 부착되어 있다. 위치결정피스(110)는 나사(113)에 의해 스프 링 부재(탄성부재 : 112)의 한 단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프링 부재의 다른 단부는 다른 나사(113)에 의해 좌측 프레임 부재(2b)에 고정되어 있다. 위치결정부재(110)는 스프링 부재(112)에 가압되어 시계방향으로 중심축(111)의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그것은 톱니형 기어휠(105)상의 위치결정핀(109)과 충돌하게 된다. 스토퍼 피스(115)는 위치결정피스(11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금지시킨다. 회전판(100)의 초기위치는 위치결정핀(109)상에 위치결정피스(110)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이다.
회전판과 고리형 판의 구성에서 좀 더 중요한 위치는 우측 및 좌측 프레임 부재(2a, 2b) 사이에 제공되며, 회전판(100)과 고리형 판(103)과 접촉하고 있는 요소들을 고려하여 기술될 것이다. 우측 프레임 부재(2a)로부터 좌측 프레임 부재(2b)로 향하는 방향(도 6과 도 12의 화살표 Y에 의해 표시된 방향)에 위치한 요소들간의 위치관계를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Y방향내에서 진행함에 따라 볼록한 부분에...." 또는 ...Y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오목한 부분에....."와 같은 표현이 이용된다. Y방향은 우측 및 좌측 프레임 부재(2a, 2b)의 주요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이다.
스토퍼 피스(128)는 좌측 프레임 부재(2b) 또는 우측 프레임 부재(2a)에 제공되어 고리형 판(103)과 같은 동일한 레벨에 도달하게 된다.
회전판(100)은 고리형 판(103)보다 더 낮은 레벨에 도달한다. 그러나, 하부 동전통로(13)내에서 돌출해 있는 바닥판(20)과 같은 동일한 레벨이다. 이것은 스토퍼(128)와 회전판(100)이 접촉하지 못하게 한다. 회전판(100)은 외부 원 주 영역내에 오목부(120)를 가진다. 회전판(100)(오목부(120) 제외)은 회전판(100)이 회전하는 동안에 챔퍼드 단부(chamfered edge)가 하부 동전통로(13)내로 돌출해 있는 바닥판(200)을 밀어낼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직경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회전판(100)의 회전에 의해 외부 원주 영역(오목부9120) 제외)이 바닥판(20)을 밀게 되는 경우, 바닥판(20)은 스프링 부재(26)의 탄성력에 대해 반발하며 상술한 바와같이 어셈블리(2)로부터 후퇴하며, 결과적으로 바닥판(20)의 동전(C)은 동전 드롭(17)으로 하강한다.
고리형 판(103)은 회전하는 동안에 스토퍼 피스(128)와 충돌하지 않을 만큼 충분한 직경을 가지고 있다. 제공된 고리형 판(103)의 하부에는 회전판(100)의 오목부(12)를 덮도록 배치되며 고리형 판(103)의 단부를 넘어 외부로 돌출할 수 있는 피스(121)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121)가 고리형 판(103)의 방사방향을 따라 연장될 때에, 상기 피스는 스프링 부재(탄성부재 : 122)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가압되어 고리형 판(103)의 단부를 넘어 연장되게 된다.
피스(121)는 스토퍼 피스(128)와 동일한 레벨에 있다. 그러므로, 고리형 판(103)이 회전판(10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더라도, 피스(121)가 충돌한 후에는 고리형 판(103)은 더 이상 회전하지 않고 스토퍼 피스(128)위에 지지되어 있게 된다. 반대로, 피스(121)가 반발하면, 고리형 판(103)은 스토퍼 피스(128)상에서 충돌하지 않게 되므로, 고리형 판(103)은 회전을 계속하게 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부 동전통로(13)에서는, 푸셔(pusher : 125)가 프러스텀 축(frustum shaft : 126)에서 우측 프레임 부재(2a) 또는 좌측 프레임 부 재(2b)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피스(121)를 밀어내게 된다. 푸셔(125)는 피스(121)의 레벨과 동일한 레벨에 있으며, 그 피스(121)를 고리형 판(103)의 하부로 밀어내게 된다. 푸셔(125)는 동전상에 지지하고 있는 접촉면(127)과 피스(121)를 밀어내는 푸셔 피스(129)를 포함한다.
일단, 차단기(46)의 축(47)의 차단에 의해, 소정의 갯수의 동전(C)이 동전통로(13)내에 넣어지면, 푸셔(125)의 접촉면(127)은 동전반환출구(15)로부터 더욱 멀리 있는 동전상에 지지하게 된다. 이에 의해 푸셔(125)의 회전운동이 중지하게 된다. 푸셔(125)의 회전이 멈추게 되면, 회전판(100)과 고리형 판(103)이 회전하게 된다. 만약 푸셔(125)의 푸셔 피스(129)가 피스(121)와 접촉한 후라도 고리형 판(103)이 회전을 계속하면, 푸셔 피스(129)에 의해, 피스(121)는 스프링 부재(122)의 탄성에 대해 후퇴하게 된다.
접촉면(127)이 하부동전통로(13)내에 소정의 갯수의 동전(C)이 없는 상태에서 동일한 이유로 동전상에 우연히 지지되어 있을 때에는, 회전판(100)이 회전하는 동안에 피스(121)가 푸셔(125)를 밀어낸다. 그러므로, 동전이 동전반환출구(15)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푸셔(125)는 모든 동전(C)을 하부동전통로(13)로부터 동전반환출구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국, 푸셔(125)는 다시 회전하게 되며, 피스(121)는 좌측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회전판(100)의 회전이 금지된다. 즉, 차단기 축(47)과 푸셔(125) 때문에 하부동전통로(13)내에는 소정의 갯수의 동전(C)이 없는 상태에서, 회전판(100)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원통형 캠(123)은 좌측 프레임 부재(2b)의 외부면에 고정되어 있는 스윙부재(135)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슬라이드핀(131)과 접촉하고 있다. 스윙부재(135)의 특정한 구조는 도 4의 동전검출장치의 주요확대부를 도시한 개략도가 되는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스윙부재(135)는 한 단부에서 리지(ridge : 278)를 가진다. 리지(278)는 좌측 프레임 부재(2b)의 외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구석에 있는 편자형 베어링(130)의 조인트(joint : 도시 생략)내에 조립되어 있으므로, 스윙부재(135)는 리지(278)의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스윙부재(135)로부터 리지(278)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후크(279)가 또한 존재한다. 스윙부재(135)의 다른 단부에서는, 슬라이드핀(131)이 연장되어 있으며, 원통형 캠(123)의 원주 표면과 접촉하고 있다.
스윙부재(135)는 또한 좌측 프레임 부재(2b)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동전반환출구(15)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있는 동전이 소정의 갯수의 동전(C)을 가지고 있는 하부동전통로(13)내에 존재하는 위치에서 거의 고정되어 있는 접촉핀(136)을 가지고 있다. 접촉핀(136)은 좌측 프레임 부재(2b)내에서 설정된 제 1개구부(도시 안됨)를 통과하며 하부동전통로(13)내에 돌출하게 된다.
게다가, 스윙부재(135)는 동일하게 설정된 제 2개구부(도시 생략)를 통해 좌측 프레임 부재(2b)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연장하며 그 내부공간으로 돌출하는 스토퍼 핀(137)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회전판(100)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예를 들면, 제 2개구부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스(121)가 후퇴하는 동안에 피스(121)가 도달하는 위치내에서 좌측 프레임 부재(2b)내에 설정된다.
후크(28)는 스윙부재(135)와 대향하는 면의 좌측 프레임 부재(2b)에 고정되 어 있다. 스프링 부재(탄성부재)(132)는 좌측 프레임 부재(2b)의 후크(280)와 스윙부재(135)의 후크(279) 사이에 설치된다. 스프링 부재(132)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은 좌측 프레임 부재(2b)를 향해 스윙부재(135)를 가압하게 된다.
슬라이드 핀(131)과 접촉하는 원통형 캠(123)의 단부 림(end rim : 138)에서는, 거의 쐐기형태의 노치(notch : 14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이러한 구조에서 하부동전통로(13)내에 보존되어 있는 소정의 갯수의 동전(C)이 없으면, 회전판(100)이 회전하기 시작한 후에 바로, 원통형 캠(123)의 단부 림(138)상에서 미끄러지는 슬라이드 핀(131)이 노치(140)내에 떨어지게 된다. 그 이유는 동전(C)이 접촉핀(136)을 뒤로 밀게되기 때문이다. 즉, 스윙부재(135)의 스윙동작에 의해, 스토퍼 핀(137)은 제 2개구부로부터 좌측 프레임 부재(2b)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며 연장피스(121)가 회전하는 것을 금지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회전판(100)은 회전을 멈추게 된다. 반대로, 도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일단 소정 갯수의 동전(C)이 블록축(47)에 의해 차단되어 하부동전통로(13)내에 보존되면, 회전판(100)이 회전하기 시작한 후에 바로 원통형 캠(123)의 단부 림(138)상에서 미끄러지며, 스윙부재(135)로부터 연장되는 슬라이드 핀(131)은 노치(140)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그 이유는 동전반환출구(15)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동전이 접촉핀(136)상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스윙부재(135)의 스윙동작이 발생하게 되므로, 스토퍼 핀(137)은 좌측 프레임 부재(2b)의 내부공간으로 돌출하거나 연장피스(121)의 회전경로를 차단하게 되어, 아무것도 회전디스크(100)의 회전을 멈추지 못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윙부재(135)가 예를 들면, 하부동전통로(13)의 주요면과 대향하고 있다. 그러나, 스윙부재(135)가 동전통로에 대해서 폭방향으로 스윙하면, 접촉핀(136)이 동전(C)중 한 동전에 의해 뒤로 밀리게 되며, 스토퍼 핀(137)에 의해 피스(121)가 회전하는 것이 금지되는 구성을 스윙부재(135)는 가질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접촉핀(136)이 하부동전통로(13)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동전(C)중 어느 동전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원통형 캠(123)은, 스윙부재(135)가 동전의 주요면으로부터 반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 단부 림(138)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회전판(100)의 회전에 따라 동전으로부터 반발하는 방향으로 스윙부재(135)를 스윙시키는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접촉핀(136)이 하부동전통로(13)로 들어가서 동전(C)중 한 개의 동전과 접촉하기 위해서, 원통형 캠(123)은, 회전판(100)의 회전과 관련되는 대표적인 수단이 되는 쐐기형 노치(140)를 가지고, 이에 의해 동전을 향하는 가세력으로부터 스윙부재(135)를 자유롭게 한다. 그러나, 회전판(100)의 회전과 관련하여 가세력으로부터 스윙부재(135)를 자유롭게 하는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고리형 판(103)도 역시 스텝(104)을 가지고 있다. 도 6외에도, 도 7과 도 8은 스텝(104)이 작동하는 방법을 설명허기 위해 이용될 것이다.
어셈블리(2)의 우측 프레임 부재(2a)는 선단부(145)와 후단부(146)를 가지는 저항소자(142)를 포함한다. 선단부(145)는 암링크(73)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암링크(73)의 스토퍼 스러스트(stopper thrust : 89)와 접촉하고 있다. 후단부(146)는 고리형 판(103)과 접촉할 수 있다. 저항소자(resist element : 142)는 스프링 부재(탄성부재 : 143)에 의해 가세되므로, 상기 소자는 선단부(145)를 스토퍼 스러스트(89)로부터 떨어지게 하며 후단부(146)는 고리형 판(103)의 스텝(104)과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판(100)이 회전하면, 저항소자(142)의 후단부(146)는 고리형 판(103)의 스텝(104)과 접촉된다. 이에 의해 저항소자(142)의 선단부(145)는 스토퍼 스러스트(89)와 접촉하도록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회전판(100)이 회전하는 동안에, 암링크(73)의 스토퍼 스러스트(89)는 트리거 푸시 바(trigger push bar : 71)를 누르는 것을 금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트리거 푸시 바(71)가 해제되면, 저항소자(142)는 회전판(1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내장된 동전검출장치를 가지는 수동 자판기의 기능
상술한 동전검출장치를 가지는 수동 자동판매기의 기능이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동 자동판매기(의 전면에 있는 회전핸들(251)을 돌리면, 먼저 후방의 벽(253)에 있는 스퍼기어(spur gear : 25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축(252)을 통해 회전된다. 스퍼기어(253)가 회전하면, 회전은 스퍼기어(255)와 접촉하고 있는 소형기어(256), 소형기어(256)와 접촉하고 있는 스퍼기어(257) 및 스퍼기어(257)와 일체로 되어 있는 구동기어(259)를 통해 전달되 므로 턴 테이블(26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턴 테이블(260)의 구멍내의 물품(A)중 한 개는 물품 픽업(270)에서 선택된다.
또한, 스퍼기어(255)가 회전하면, 회전은 스퍼기어(255)와 접촉하고 있는 소형기어(261), 스퍼기어(261)와 접촉하고 있는 소형기어(262) 및 소형기어(262)와 링크되어 있는 중간축(263)을 통해 전달되므로 베벨기어(217)를 회전시키게 된다. 베벨기어(217)는 동전검출장치(1)내에 제공된 베벨기어(124)와 접촉하고 있다.
동전반환
동전의 반환이 설명될 것이다. 특정한 값에 대한 소정의 갯수의 동전(예를 들면, 물품 A를 얻기 위해 요구되는 동전의 수)이 1이라고 가정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일한 동전이 요구되는 경우, 차단기(46)의 위치결정부재(52)는 가이드 부재(31)내의 덴트(41)내에 결합된다.
소비자가 동전하강부(221)를 통해 동전통로 인입구(11)로 동전(C)을 넣으면,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동전은 상부동전통로(10), 동전통로 인출구(12), 동전 선택기 인입구(6a), 동전 선택기 인출구(6b)와 동전수용기(16)를 통해 하부동전통로(13)에 도달할 때까지 하강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단기(46)의 축(47)은 하부동전통로(13)를 차단하므로, 동전(C)은 축(47)상에 계속 지지된다.
비교를 위해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일단 동전반환기구(70)의 트리거 푸시 바(71)가 해제되면, 피스(72)는 스프링 부재(79)의 탄성력에 대해서 시계방향으 로 회전하므로 받침축(83)을 통해 하부쪽으로 암링크(73)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 부재(31)는 핀(39)과 차단기(46)의 축(47)이 회전되도록 하는 암피스(38)의 간섭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축(47)은 하부동전통로(13)로부터 후퇴하며, 이에 의해 하부동전통로(13)의 무게 때문에 차단기(46)의 축(47)에 의해 차단되는 동전(C)은, 동전(C)이 소비자에 의해 취해지는 동전반환출구(15)를 향해 굴러가게 된다.
암링크(73)를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홈이 난 플랩(grooved flap : 86), 가이드 홈(87)과 슬라이드 핀(63)은 푸셔(60)의 스윙부(62)를 스윙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에 의해 푸시단(65)의 자유단(free end : 도시 생략)은 동전반환출구(15)를 향해 정지된 동전(C)을 나아가게 한다. 그러므로, 하부동전통로(15)가 만족스럽지 못하게 경사져 있다면, 동전(C)은 하부동전통로(13)내에서 신속하게 굴러서 동전반환출구(15)로 이동하게 된다.
푸셔(pusher : 60)의 기능은 하부동전통로(13)로부터 몇 개(예를 들면 4개)의 방해되는 동전을 이동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이 경우, 푸셔(60)는 하부동전통로(13)내의 동전(C)중에서 동전반환출구(15)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동전을 밀게 된다. 이와같이, 동전반환출구(15)를 향해 모든 동전(C)이 빨리 이동될 수 있으므로, 하부동전통로(13)의 중간에 동전들이 쌓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요구되는 동전의 수가 4개로 증가하면, 차단기(46)의 위치결정부재(5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이드 부재(31)의 4번째 덴트(44)내에 결합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동전반환기구(70)의 트리거 푸시 바(71)에 대한 가압력(depressing force)을 없애면, 스프링 부재(79)의 탄성력은 트리거 푸시 바(71)와 축부(72)를 각각의 초기위치로 복원시키고, 그에 따라 암링크(73)는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이드 부재(31)와 푸셔(60)는 그들의 초기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적층된 동전들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반환된다.
동전이송
동전검출장치(1)로부터 동전을 이송하는 것에 대해서 기술될 것이다. 단지 설명을 위해, 한 개의 동전이 자동판매기로부터 물품을 얻기 위해 요구된다고 가정한다. 소비자가 동전을 넣지 않고 회전핸들(251)을 회전하면, 베벨기어(217)는 상기한 바와같이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은 베벨기어(124)로 전달된다. 결국, 회전판(10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상황에서는, 하부동전통로(13)내에 동전이 투입되지 않으므로, 피스(121)는 외부로 연장되며 접촉부(125)를 뒤로 밀게 된다. 그 후에, 피스(121)는 후퇴하지 않으나, 대신에 스토퍼 피스(128)에 지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고리형 판(103)에 결합된 회전판(10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회전판(100)이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소비자는 회전핸들(251)을 돌릴 수가 없게 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같이, 동전(C)은 하부동전통로(13)내에 없으므로, 접촉핀(136)은 동전(C)과 접촉하지 않게 된다. 회전판(100)이 회전하기 시작한 후 바로, 스윙부재(135)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슬라이드 핀(131)은 쐐기형 노치(140)내에 하강하며, 스토퍼 핀(137)은 피스(121)가 회전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의해, 회전판(100)의 회전이 정지된다. 회전판(100)이 회전할 수 없고 회전핸들(251)이 회전할 수 없으므로, 소비자는 물품(A)을 외부로 꺼낼 수 없다.
상술한 바와같이, 한 개의 동전(C)이 동전통로 인입구(11)로부터 동전강하부(221)를 통해 투입될 때에, 동전(C)은 하부동전통로(13)로 투입된다. 그 후에,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차단기(46)의 축(47)은 하부동전통로(13)를 차단하므로, 동전(C)은 자신의 무게에 의해 굴러가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소비자가 회전핸들(251)을 돌리게 되면, 베벨기어(217)가 회전을 베벨기어(217)로 전달하게되어, 회전판(1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비교의 목적으로 도 6과 도 12를 참조하면, 접촉피스(125)는, 차단기의 축(47)에 의해 지지되는 동전(C)상에 접촉되어 있는 접촉면(127)을 가지며, 피스(121)에 의해 푸시업(push up)되지 않는다. 반대로, 접촉피스(125)는 피스(121)가 스프링 부재(122)의 탄성에 대해 후퇴하도록 한다. 결국, 피스(121)도 역시 스토퍼 피스(128)에 대한 접촉으로부터 후퇴하게 되며, 그로 인해 회전판(100)은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접촉피스(125)는 동전(C)의 직경을 검출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회전판(100)은 스토퍼 네일(106)과 가압접촉되는 톱니형 기어휠(105)을 포함하므로, 단지 시계방향으로 또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비교의 목적으로 도 14와 도 13을 참조하면, 동전(C)은 하부동전통로(13)내에 투입되며, 동전(C)상에서 접촉하는 접촉핀(136)은 스윙부재(135)가 더 이상 스 윙하는 것을 금지한다. 회전판(100)이 회전하는 동안에, 접촉핀(131)은 노치(140)내에서 떨어지지 않으며, 스토퍼 핀(137)은 상기 스윙부재(135)가 회전하는 것을 금지한다. 그러므로, 회전판(100)이 계속해서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동전(C)이 얇거나 또는 동전(C)이 올바른 위치(예를 들면, 소정의 갯수의 동전(C)보다 적은 수의 동전이 하부동전통로내에 투입되는 경우)에 없을 때에, 접촉핀(131)은 노치(140)내에 하강하여 스토퍼 핀(137)이 피스(12)의 회전경로를 차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회전판(100)은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와같이, 스윙부재(135)는 동전의 두께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회전판(100)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초기에는 위치결정핀(109)이 위치결정부(110)를 푸시 업하고 스프링(112)의 탄성력에 대해 상기 위치결정부를 옆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약간의 힘이 요구된다. 그리고 결국 상기 힘은 감소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회전판(100)이 회전하면, 고리형 판(103)의 원주가 계속해서 저항소자(142)의 후단부(146)를 밀고 있는 동안에, 고리형 판(103)의 스텝(104)은 스프링 부재(143)의 탄성력에 대해서 저항소자(142)의 후단부(146)를 밀게 된다. 한편, 저항소자(142)의 선단부(145)는 암링크(73)의 스토퍼 스러스트(89)와 접촉하기 위해 연장되므로, 암링크(73)의 아래쪽 방향으로의 이동이 금지된다.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같이, 바닥판(20)이 계속 경사져 있는 동안에, 저항소자(142)의 후단부(146)는 고리형 판(103)의 원주 가장자리내에 설정된 덴트(오목부(120))로 하강한다. 그리고 스프링 부재(143)의 탄성력은 저항소자(142)를 초기위치로 복구시킨다.
또한, 회전판(100)이 회전하는 동안에, 회전판(100)내의 오목부(120)의 한 단부는 바닥판(20)을 경사지도록 하기 위해서 스프링 부재(26)의 탄성력에 대해서 하부동전통로의 바닥판(20)위에 지지하고 있다.
그 후에, 회전판의 측면 가장자리는 도 6과 도 15에 도시한 바와같이 바닥판(20)을 계속해서 경사지도록 한다. 회전판(100)내의 오목부(120)의 다른 단부가 바닥판(20)에 도달하면, 바닥판(20)은 회전판(100)으로부터 분리된다. 스프링부재(26)의 탄성력때문에 바닥판(20)은 조립체(2)로 돌출하고, 하부동전통로(13)가 리세트된다.
바닥판(20)이 기울어져 있는 동안, 하부동전통로(13)는 해체되고, 바닥판(20)의 동전(C)은 동전드롭(17)에 직접 떨어지고(도 4참조), 또한 그것을 유지하는 뱅크 박스(도시생략)의 연장구멍(218)을 통해 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하부동전통로(13)에서 동전(C)이 동전드롭(17)에 떨어지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대부분의 동전지지소자 또는 바닥판(20)은 하부동전통로(13)로부터 축소되도록 채택된다. 그러나, 동전지지소자의 단일 부분 즉, 바닥판(20)의 단일 부분이 하부동전통로(13)로부터 축소되도록 채택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동전(C)은 하부동전통로(13)로부터 동전드롭(17)으로 유사하게 배출될 수 있다.
바닥판(20)이 기울어져 있는 동안, 진동편(30)의 동전정지핀(29)은 도 10에 도시된 것같이 개구부로부터 조립체(2)로 돌출한다. 하부동전통로(13)에 있지 않고 동전수용기(16)의 근방에 있는 동전은 정지핀에 인접한 하부단을 갖는다. 이것은 소정 수 이상의 동전(C)이 동전드롭(17)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소정 수의 동전(C)을 넣고 회전핸들(25)을 돌리면 회전판(100)이 뱅크 박스에 동전(C)을 수집하기 위해 한 번 회전을 하게 되어, 소비자가 물품(A)을 취할 수 있도록 턴테이블(260)을 회전시킨다. 위치핀(109)이 위치편(110)에 부딪칠 때까지 회전판(100)이 회전한 뒤, 회전을 멈춘다.
상기 설명에서, 단일 동전이 요구되는 경우에 대하여 언급하였지만, 물품(A)을 얻기 위해 4개의 동전이 요구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차단기(46)의 위치설정부재(52)는 상기 언급한 것같이 가이드부재(31)의 제 4덴트(44)에 맞아야 한다.
이러한 경우, 하부동전통로(13)에 4개의 동전(C)이 있으면, 접촉편(125)과 진동편(135)은 동전반환출구(15)로부터 가정 먼 동전을 그들 중에서 검출하므로, 회전판(100)의 회전이 허가된다.
그러나, 하부동전통로(13)에 4개 보다 적은 동전(C)이 있으면, 접촉편(125)과 진동편(135)은 동전반환출구(15)로부터 가정 먼 위치에 있어야 하는 것을 검출하지 않으므로, 회전판(100)의 회전이 허가되지 않는다. 또한, 하부동전통로(13)에 4개보다 적은 동전(C)이 있으나, 접촉편(125)의 접촉면(127)이 어떠한 이유로 하나의 동전(C)과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판(100)은 회전하지 않는다. 차단기(46)의 축(47)에 의해 정지된 다른 동전(C) 쪽으로 기울어져 있지 않기때문에 그 동전은 불확실하다. 그래서, 접촉편(125)은 그 연장편(121)과의 접촉으로 인해 위로 밀린 후, 동전반환출구(15)를 향하는 불확실한 동전을 자동적으로 민다. 그 결과, 연장편(121)은 환형판(103)의 아래로 수축하지 않는 대신에 정지편(128)에 부딪치므로, 회전판(100)의 회전은 허가되지 않는다. 지금까지의 설명은 동전배출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동전검출장치의 최적의 형태는 회전판(100)을 회전시키는 하부동전통로(13)에서 동전(C)의 유효한 두께를 결정하는 기구와 회전판(100)을 회전시키는 동전의 유효한 지름을 결정하는 기구를 모두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고, 이러한 동전검출장치는 지금까지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구중 하나를 갖는 동전검출장치는 비유효한 동전(C)이 하부동전통로(13)에 놓여졌을 때 회전판(1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효과적으로 동작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동전검출장치의 최적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편의상, 접촉편(125)을 환형판(103)으로부터 연장하는 연장편(121)에 대한 푸셔소자로서 예시하였다. 푸셔소자 또는 접촉편(125)은 다른 대체 소자로 교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장편(121)은 그들 중에서 동전반환출구(15)로부터 가장 먼 동전을 밀기 위해 대신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차단기(46)가 있는 위치는 연장편(121)이 동전 반환출구(15)로부터 가장 먼 동전을 밀도록 변경되어야 한다(예를 들면, 장치의 전방에 근접).
본 명세서는 일본 특허출원번호 2001-110643에 의거한다. 출원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하여 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개선된 동전검출장치는 동전 반환을 인도하는 동전 덕트, 동전이 그 자신의 하중에 의해 동전반환구로 구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전 덕트를 저지하는 차단기 및 차단된 동전 덕트에 유지된 일련의 동전의 끝을 동전반환구로 미는 푸셔를 포함한다. 동전반환기구는 푸셔가 동전을 밀기 위해 동전반환구로 움직이는 동안 동전반환구를 향하여 동전이 구르도록 차단기를 수축하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개선된 동전검출장치는 동전 덕트에 동전이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고 한번 놓여진 동전이 쉽게 반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개선된 동전검출장치는 동전 반환을 인도하는 동전 덕트, 동전 덕트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어 선회를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부재 및 가이드부재와 조립되어 동전이 그 자신의 하중에 의해 동전반환구로 구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전 덕트를 저지하는 슬라이드 가능하고 회전가능한 차단기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개선된 동전검출장치는 동전 덕트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동전의 숫자를 조절하기 위해 차단기는 위치가 변경되고, 가이드 부재의 선회 움직임은 차단기가 돌출되고 동전 덕트로부터 수축되는 것을 간단히 가능하게 하는 유효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서, 개선된 동전검출장치는 동전반환을 인도하고, 전체 또는 일부가 장치조립체로 돌출하는 바닥면으로 만들어진 동전 덕트 및 회전하면서 동전 덕트로부터 동전을 배출하여 동전드롭에 떨어뜨리도록 바닥판이 수축하게 하는 바닥판과 결합된 오목한 끝을 갖는 회전판을 갖는다. 그러므로, 개선된 동전검출장치는 동전 덕트로부터 동전이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고 동전이 동전 덕트에 들러붙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서, 개선된 동전검출장치는 회전판으로부터 신장하고 그 밑으로 수축하는 편을 갖는 회전판을 포함한다. 편은 동전과 직접 혹은 간접으로 인접하면, 회전판의 아래로 수축하여 회전판의 회전을 유도한다. 그러므로, 개선된 동전검출장치는 혁신적인 기구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서, 개선된 동전검출장치는 회전판으로부터 신장하고 그 밑으로 수축하는 편을 갖는 회전판 및 동전의 원주면과 접촉하고 있는 동안 편이 수축하게 하는 푸셔를 포함한다. 편이 수축하면, 회전판의 회전이 허가된다. 그러므로, 개선된 동전검출장치는 혁신적인 기구를 제공하고, 또한 푸셔가 동전의 지름을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서, 개선된 동전검출장치는 접촉핀과 정지핀을 갖는 스윙부재를 포함한다. 동전 덕트에 동전이 없으면, 회전판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정지핀이 회전판의 오목한 끝과 결합하고 있는 동안 동전핀은 동전 덕트와 접촉하지 않는다. 동전 덕트에 동전이 있으면, 접촉핀은 동전과 인접하고, 정지핀은 회전판의 측면 끝과 결합하지 않으므로, 회전판이 회전하도록 한다. 개선된 동전검출장치는 현신적인 기구를 제공하고 스윙부재가 동전의 두께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개선된 자판기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를 설치한 후, 본 발명에 따른 동전검출장치는 가이드부재의 쌍이 되는 소자에 맞는 결합소자를 가지도록 단순히 앞으로 이동한다. 결합소자는 쌍이 되는 소자의 네일과 확고히 결합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혁신적인 기구와 자판기에서 동전검출장치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동전검출장치가 자동적으로 위치에 고정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개선된 자판기의 박스형 캐비넷은 캐비넷과 신장및 수축이 가능한 후크가 설치된 측면과 후크와 일치되는 결합소자가 설치된 다른 면을 갖는다. 그러므로, 개선된 자판기의 하나 이상의 모듈은 나란히 연결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Claims (15)

  1. 유효한 동전이 삽입되었는지 판단하는 동전검출장치에 있어서,
    삽입된 동전을 받아들이는 동전 덕트와,
    상부 방향을 향해 동전을 유지하기 위해 동전 덕트의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동전을 상기 덕트에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상에서 위를 향하도록 배치된 동전의 주요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선회시키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수단은 동전 덕트에서 배출하는 동안 상기 동전 덕트에 다른 동전이 들어가는 것을 저지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검출장치.
  3. 유효한 동전이 삽입되었는지 판단하는 동전검출장치에 있어서,
    삽입된 동전을 받아들이는 동전 덕트와,
    상부 방향을 향해 동전을 유지하기 위해 동전 덕트의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동전 덕트에 있는 동전이 동전 수집기에 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동전 덕트에 있는 동전의 두께가 유효한지 아닌지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는 스토퍼 기구와,
    중력작용에 의해 상기 동전을 상기 덕트에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상에서 위를 향하도록 배치된 동전의 주요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동전 덕트의 하단부를 개방시키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검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기구는,
    동전 덕트에 있는 동전을 향하도록 가세하는 스윙부재와,
    스윙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동전 덕트로부터 신장 및 수축하는 검출 소자, 및
    스윙부재에 설치되고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는 스토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검출장치.
  5. 삭제
  6. 유효한 동전이 삽입되었는지 판단하는 동전검출장치에 있어서,
    삽입된 동전을 받아들이고, 동전 통로의 다른 부분으로 유도하는 출구를 구비하는 동전 덕트와,
    동전 덕트에 있는 동전이 상기 출구를 향하도록 유도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동전 덕트가 동전을 유지하는 것을 저지하는 차단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차단부재는 유지되어 있는 동전을 해제하기 위해 동전이 출구를 향하도록 하는 수단과 협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검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삽입에 필요한 동전의 수에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가 유효한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동전 덕트를 따라서 슬라이드 하도록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검출장치.
  8. 유효한 동전이 삽입되었는지 판단하는 동전검출장치에 있어서,
    삽입된 동전을 받아들이는 동전 덕트와,
    상부 방향을 향해 동전을 유지하기 위해 동전 덕트의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부재와,
    동전 덕트로부터 동전이 배출되도록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에 대하여 거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회전부재로부터 신장 및 상기 회전부재의 아래로 수축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재와 결합되는 스토퍼 기구와,
    중력작용에 의해 상기 동전을 상기 덕트에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상에서 위를 향하도록 배치된 동전의 주요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동전 덕트의 하단부를 개방시키는 해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동전 덕트내의 소정 위치에 동전이 없으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불가능 하도록 상기 이동부재가 신장하고,
    상기 동전 덕트내의 소정 위치에 동전이 있으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가능 하도록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스토퍼부재의 간섭을 회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검출장치.
  9. 삽입된 동전에 대한 동전 수집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박스형 캐비넷 및,
    (a) 삽입된 동전을 받아들이는 동전 덕트와,
    (b) 상부 방향을 향해 동전을 유지하기 위해 동전 덕트의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부재와,
    (c) 상기 동전 덕트에 있는 동전이 동전 수집기에 떨어지도록 유도하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d) 상기 동전 덕트에 있는 동전의 두께가 유효한지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부재와 결합되는 스토퍼 기구와 ,
    (e) 중력작용에 의해 상기 동전을 상기 덕트에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상에서 위를 향하도록 배치된 동전의 주요 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선회시킴으로써 상기 동전 덕트의 하단부를 개방시키는 해제수단을 구비하는 동전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전검출부는 상기 캐비넷에 착탈가능하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판매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검출부와 상기 캐비넷은 서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판매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검출부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반면에 상기 캐비넷은 상기 결합부재 상에 맞춰진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판매기.
  12.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은 다른 수동 자판기의 캐비넷에 자신을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자동판매기.
  13. 사용자에 의해 삽입된 복수의 동전을 받아들이는 동전 덕트에 있어서,
    동전을 유지하도록 상기 동전 덕트의 일부를 형성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동전 덕트로부터 동전을 배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그 유효한 위치로부터 아이들 위치로 지지부재를 해제하고 거의 동시에 모든 동전을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덕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에 서있는 동전의 주요 면에 직교한 방향에서 아이들 위치(idle position)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 덕트.
  15. 삭제
KR1020037011412A 2001-03-04 2002-03-04 동전검출장치 KR100579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10643 2001-03-04
JPJP-P-2001-00110643 2001-03-04
PCT/JP2002/001959 WO2002073547A1 (fr) 2001-03-04 2002-03-04 Detecteur de pie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8959A KR20030078959A (ko) 2003-10-08
KR100579816B1 true KR100579816B1 (ko) 2006-05-12

Family

ID=1896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412A KR100579816B1 (ko) 2001-03-04 2002-03-04 동전검출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030136631A1 (ko)
EP (1) EP1367548B1 (ko)
JP (1) JP3954970B2 (ko)
KR (1) KR100579816B1 (ko)
CN (1) CN1509459B (ko)
AT (1) ATE415674T1 (ko)
CA (1) CA2439903A1 (ko)
DE (1) DE60230019D1 (ko)
ES (1) ES2314029T3 (ko)
HK (1) HK1057809A1 (ko)
WO (1) WO2002073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179B1 (ko) * 2004-09-10 2006-11-24 주식회사 리코토이스 볼캡슐형 완구의 자동판매 장치
JP4708783B2 (ja) * 2004-12-21 2011-06-2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アーツ 自動販売機
RU2007146245A (ru) * 2005-06-02 2009-07-20 Койн Аксепторз, Инк. (US)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выдачи монет из нескольких накопителей монет
US8206474B2 (en) * 2006-07-31 2012-06-26 Klaus Tank Abrasive compacts
JP5299615B2 (ja) * 2008-10-06 2013-09-25 旭精工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5001440B1 (ja) 2011-01-28 2012-08-15 株式会社バンダイ 収容物取出装置
JP5684197B2 (ja) * 2012-05-16 2015-03-11 株式会社バンダイ 収容物取出装置
JP6658003B2 (ja) * 2016-01-29 2020-03-04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US9501888B1 (en) 2016-05-01 2016-11-22 Worldwide Integrated Resources, Inc. Vending machine for retaining and dispensing feminine hygiene products through a novel coin operating apparatus
KR101712777B1 (ko) * 2016-08-11 2017-03-22 최성민 물품의 자동판매기
US10192386B2 (en) 2016-10-24 2019-01-29 The Tranzonic Companies Mechanical time delay product dispenser
CA2983228A1 (en) * 2016-11-21 2018-05-21 Tranzonic Companies Vending machine for retaining and dispensing feminine hygiene products through a novel mechanical operating apparatus
JP7141247B2 (ja) * 2018-05-30 2022-09-22 株式会社タカラトミーアーツ 物品排出装置
JP7232273B2 (ja) * 2021-01-14 2023-03-02 株式会社バンダイ 物品収容容器
CN117554116B (zh) * 2024-01-11 2024-04-02 山东天合堂食品股份有限公司 一种鲜鱼丸食品检测取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13070A (en) * 1962-04-03 1965-12-15 Hiromi Matsushima A mechanism for sensing coins
US3938640A (en) * 1975-03-05 1976-02-17 American Locker Company, Inc. Coin operated lock
JP3254149B2 (ja) * 1996-11-08 2002-02-04 株式会社バンダイ コイン検出装置
US5915519A (en) * 1998-06-25 1999-06-29 L. M. Becker & Co., Inc. Coin chute
JP3580705B2 (ja) * 1998-08-28 2004-10-27 株式会社トミー コイン選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66616A1 (en) 2006-11-30
JP3954970B2 (ja) 2007-08-08
KR20030078959A (ko) 2003-10-08
CN1509459B (zh) 2011-09-21
ATE415674T1 (de) 2008-12-15
JPWO2002073547A1 (ja) 2004-10-21
DE60230019D1 (de) 2009-01-08
EP1367548A4 (en) 2005-07-27
US20030136631A1 (en) 2003-07-24
CN1509459A (zh) 2004-06-30
CA2439903A1 (en) 2002-09-19
HK1057809A1 (en) 2004-04-16
EP1367548A1 (en) 2003-12-03
ES2314029T3 (es) 2009-03-16
EP1367548B1 (en) 2008-11-26
WO2002073547A1 (fr) 200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816B1 (ko) 동전검출장치
KR20010032949A (ko) 자동 판매기
JPH0749977A (ja) ディスペンサに支払いとして投入される物品を分類及び貯蔵する装置
US6247611B1 (en) Flat packet vending machine with removable cartridge
JP4161600B2 (ja) 投入メダル選別装置
US20040069591A1 (en) Token dispensing and banknote changing device
KR101712777B1 (ko) 물품의 자동판매기
US2771979A (en) Vending machines
US6837783B2 (en) Coin stores and coin dispensers
JPS6313575Y2 (ko)
US3666068A (en) Coin released mechanism in a vending machine
US3270848A (en) Coin accumulator
CA1324115C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JPH07239970A (ja) 自動販売機のコイン回収装置
JP351297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JP4309691B2 (ja) 自動販売機
JPH0229471Y2 (ko)
US1265831A (en) Vending-machine.
KR20060089359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장치
US3530969A (en) Coin controlled vending apparatus with platform descending for article ejection
JP3172349B2 (ja) 硬貨払い出し装置
JPH0325252Y2 (ko)
JPS6239480Y2 (ko)
JP3400850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装置
JPH023027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