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877B1 -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 Google Patents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877B1
KR102492877B1 KR1020200185461A KR20200185461A KR102492877B1 KR 102492877 B1 KR102492877 B1 KR 102492877B1 KR 1020200185461 A KR1020200185461 A KR 1020200185461A KR 20200185461 A KR20200185461 A KR 20200185461A KR 102492877 B1 KR102492877 B1 KR 102492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weft
lever
connecting rod
s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4349A (ko
Inventor
박명환
Original Assignee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5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8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2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thread-engaging device on the inserters
    • D03D47/23Thread gripp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1Rap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림핀(1)에 의해 편평한 위사(F)를 전달받아 상하로 개구 운동하는 경사들 사이를 가로지르며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벌림핀(1)과 서로 마주하는 우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후방 좌측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벌림핀(1)의 진/입출에 의해 상하로 스윙 운동하는 후크(20); 상기 후크(20)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몸체(10)내에 인입된 위사(F)를 파지하는 가압블록(30); 상기 몸체(10)의 후방 우측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위사(F)의 파지가 해제되게 상하로 스윙 운동하는 레버(40); 상기 후크(20)와 레버(40) 사이에 서로 연동 스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위사(F)를 파지하는 탄성을 조절이 가능하게 부가해주는 연결대(50);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후크(20) 내지 연결대(50)를 은폐시켜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덮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사가 파지되게 스윙 운동하는 후크의 힌지부위를 가압블록과 가까운 위치에 구성함과 더불어 후크로 탄성을 부가하는 연결대가 플라이어나 굴삭기와 같이 다관절 지렛대 구조로 연결함으로써, 신속한 작동과 강한 악력으로 위사를 파지할 수가 있음에 따라 운반도중 가압블록으로부터 위사가 어긋나거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Weft transport unit for rapier looms}
본 발명은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사가 파지되게 스윙 운동하는 후크의 힌지부위를 가압블록과 가까운 위치에 구성함과 더불어 후크로 탄성을 부가하는 연결대가 플라이어나 굴삭기와 같이 다관절 지렛대 구조로 연결함으로써, 신속한 작동과 강한 악력으로 위사를 파지할 수가 있음에 따라 운반도중 가압블록으로부터 위사가 어긋나거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에 관한 것이다.
통상, 소정 폭을 가지며 두께가 얇은 편평사(flat yarn) 또는 필름사(flim yarn)를 위사(씨실)로 사용하는 직물(섬유)의 경우 강력한 힘으로 위사를 이송해야 하므로 위사를 직접 운반하는 래피어 직기로 제직하고 있다.
이러한 편평사용 래피어 직기는 크게 전후로 연속 배열되는 경사들을 소정 패턴으로 개구 운동시키는 바디부와, 경사들 사이로 위사를 운반하는 위입부로 구분될 수가 있다.
여기서 위입부는 위사를 직접 파지하여 경사들 사이로 왕복 운동하는 운반유닛(캐리어)과, 공급되는 위사를 운반유닛에 전달하는 안내유닛으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운반유닛에는 전달되는 위사가 파지되도록 상하로 스윙 운동하는 가압판이 구성된다.
그리고 가압판에는 누름유닛(오프너)에 의해 상하로 스윙 운동을 유발하는 막대형의 후크가 장착된다.
즉, 후크는 시소처럼 운반유닛의 몸체에 힌지로 장착되고, 힌지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가압판이 장착되며, 타측에는 누름유닛과 접촉되는 누름부를 갖는다.
여기서 누름부의 하단에는 가압판이 위사를 파지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스프링이 개재된다.
그런데, 후크의 힌지(받침점)가 가압판으로부터 비교적 멀어 떨어진 중간부위에 위치하고 있어 위사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한 스프링의 탄성력이 부족한 문제가 있다.
물론, 후크의 힌지를 가압판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가압판의 스윙범위에 비해 누름범위가 현저하게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강한 탄성을 가진 스프링을 적용하면 되지만, 너무 강한 탄성은 오히려 누름부의 손상과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탄성력의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위사의 두께나 재질에 맞춰 스프링의 교체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한편, 기존의 운반유닛은 일측에서 위사를 파지한 다음 타측에서 위사를 놓고 되돌아오기 위해서 누름유닛을 직기의 좌측과 우측에 모두 갖춰야만 했다.
즉, 운반유닛이 완전 정지된 상태에서 누름 작동을 수행해야 하는 관계로 전반적인 직기의 속도저하 및 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59010호 (고안의 명칭: 레피어 직기의 그리퍼 헤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위사를 전달받는 과정에서 위사가 파지되게 자동 개폐됨에 따라 별도의 오프너를 생략할 수 있어 제직속도 향상과 더불어 제작과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사가 파지되게 스윙 운동하는 후크의 힌지부위를 가압블록과 가까운 위치에 구성함과 더불어 후크로 탄성을 부가하는 연결대가 플라이어나 굴삭기와 같이 다관절 지렛대 구조로 연결함으로써, 신속한 작동과 강한 악력으로 위사를 파지할 수가 있음에 따라 운반도중 가압블록으로부터 위사가 어긋나거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대를 이루는 연결로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압축스프링을 신축시키는 조절블록과 조절볼트를 구성함으로써, 압축스프링의 탄성을 신속 간편하게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위사에 구애받지 않고 두루 적용이 가능한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벌림핀에 의해 편평한 위사를 전달받아 상하로 개구 운동하는 경사들 사이를 가로지르며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에 과한 것으로, 상기 벌림핀과 서로 마주하는 우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후방 좌측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벌림핀의 진/입출에 의해 상하로 스윙 운동하는 후크; 상기 후크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몸체 내에 인입된 위사를 파지하는 가압블록; 상기 몸체의 후방 우측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위사의 파지가 해제되게 상하로 스윙 운동하는 레버; 상기 후크와 레버 사이에 서로 연동 스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위사를 파지하는 탄성을 조절이 가능하게 부가해주는 연결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후크 내지 연결대를 은폐시켜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몸체는, 상기 위사가 운반되게 좌우이동력을 부가하는 부재가 연결되도록 우측에 상하로 천공되는 하나 이상의 몸체연결홀; 상기 후크와 레버 및 연결대를 수용하도록 후방에 좌측이 개방되게 좌우방향으로 함몰되는 몸체작동홈; 상기 후크와 레버가 좌우로 스윙 가능하도록 후방 좌우측에 각각 전후로 천공되는 몸체스윙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몸체작동홈은, 상기 후크와 레버가 각각 삽입 장착되는 작동영역과, 상기 연결대가 가로지르게 삽입 장착되는 저지영역이 편성되되, 상기 저지영역은 연결대의 탄성이 후크로 부가되도록 작동영역에 비해 소정 폭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후크는, 상기 몸체로부터 상하로 스윙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우측 하단에 전후로 천공되는 후크스윙홀; 상기 연결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우측 상단에 전후로 천공되는 후크연결홀; 상기 연결대가 동일한 폭으로 연결되도록 전면 또는 후면 상단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후크연결홈; 상기 가압블록이 고정 장착되도록 중간 하단에 전후로 천공되는 하나 이상의 후크장착홀; 상기 벌림핀으로부터 스윙 운동력을 전달받도록 좌측 하단에 유선형으로 라운드진 후크걸림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레버는, 상기 몸체로부터 상하로 스윙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우측 상단에 전후로 천공되는 레버스윙홀; 상기 연결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우측 하단에 전후로 천공되는 레버연결홀; 상기 연결대가 동일한 폭으로 연결되도록 전면 또는 후면 하단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레버연결홈; 상기 위사의 파지가 해제되게 하향으로 눌러지도록 상단에 몸체로부터 상향으로 도드라지게 라운드진 누름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연결대는, 상기 후크와 레버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핀으로 연결되는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의 중앙에 체결되고, 상기 후크와 레버가 서로 연동 스윙이 가능하게 묶어주는 연결로드; 상기 연결로드가 감싸지게 장착되고, 상기 위사를 파지하는 탄성을 부가하는 압축스프링; 상기 연결로드의 우측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의 우측을 가로막아 탄성을 유발하는 지지블록; 상기 연결로드의 좌측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의 좌측을 가로막아 탄성을 전달받는 조절블록; 상기 조절블록의 상단 중앙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로드로부터 조절블록의 위치를 가변시켜 탄성을 조절하는 조절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에 고정 장착되도록 수직하게 기립되는 부위에 전후로 천공되는 복수의 덮개고정홀; 상기 레버가 눌러지도록 후방 우측에 소정 크기로 개구되는 덮개레버홀; 상기 벌림핀의 진/입출을 안내하도록 후방 좌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덮개안내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본 발명은 위사를 전달받는 과정에서 위사가 파지되게 자동 개폐됨에 따라 별도의 오프너를 생략할 수 있어 제직속도 향상과 더불어 제작과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위사가 파지되게 스윙 운동하는 후크의 힌지부위를 가압블록과 가까운 위치에 구성함과 더불어 후크로 탄성을 부가하는 연결대가 플라이어나 굴삭기와 같이 다관절 지렛대 구조로 연결함으로써, 신속한 작동과 강한 악력으로 위사를 파지할 수가 있음에 따라 운반 도중 가압블록으로부터 위사가 어긋나거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연결대를 이루는 연결로드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압축스프링을 신축시키는 조절블록과 조절볼트를 구성함으로써, 압축스프링의 탄성을 신속 간편하게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위사에 구애받지 않고 두루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유닛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유닛의 주요부를 확대 분리하여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유닛이 위사를 운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도 1처럼 벌림핀(1)에 의해 편평한 위사(F)를 전달받아 상하로 개구 운동하는 경사들 사이를 가로지르며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에 관한 것으로, 몸체(10), 후크(20), 가압블록(30), 레버(40), 연결대(50), 덮개(6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몸체(10)는 도 1처럼 직기에서 벌림핀(1)과 서로 마주하는 우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좌우로 왕복 운동한다.
이러한 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에 비해 길이가 긴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몸체(10)의 우측에는 상하로 천공되어 위사(F)가 운반되게 좌우이동력을 부가하는 부재의 연결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몸체연결홀(11)이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10)의 후방에는 좌측이 개방되게 좌우방향으로 함몰되어 후크(20)와 레버(40) 및 연결대(50)를 수용하는 몸체작동홈(12)이 형성된다.
이때, 몸체작동홈(12)은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작동영역(12a)(12b)과, 작동영역(12a)(12b) 사이에 위치하는 저지영역(12c)으로 편성된다.
즉, 좌측 작동영역(12a)에는 후크(20)가 삽입 장착되고, 우측 작동영역(12b)에는 레버(40)가 삽입 장착되며, 저지영역(12c)에는 연결로드(52)가 가로지르게 삽입 장착된다.
여기서 저지영역(12c)은 연결대(50)의 탄성력이 후크(20)로 부가되도록 작동영역(12a)(12b)에 비해 소정 폭으로 좁아지게 형성된다.
즉, 저지영역(12c)은 후술하는 압축스프링(53)의 우측을 가로막아 탄성력이 유발되게 유도한다.
그리고 저지영역(12c)은 후술하는 연결로드(52)를 좌우로만 유동 가능하게 잡아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또한, 몸체(10)의 후방 좌우측에는 각각 전후로 천공되어 볼트가 체결되는 몸체스윙홀(13)이 형성된다.
이러한 몸체스윙홀(13)은 후크(20)와 레버(40)가 좌우로 각각 스윙 가능하게 장착시켜준다.
한편, 몸체(10)의 좌측 상면 즉, 가압블록(30)과 맞물리는 부위에는 위사(F)의 물림력을 증대시키는 요철이나 턱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후크(20)는 도 1 및 도 2처럼 몸체(10)의 후방 좌측에 삽입 장착되고, 벌림핀(1)의 진/입출에 의해 상하로 스윙 운동한다.
이러한 후크(20)의 우측 하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천공되어 몸체(10)로부터 상하로 스윙 운동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후크스윙홀(21)이 형성된다.
즉, 후크스윙홀(21)은 몸체스윙홀(13)과 일치되게 좌측 작동영역(12a)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로 연결된다.
그리고 후크(20)의 우측 상단에는 전후로 천공되어 후술하는 핀(P)과 함께 연결블록(5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해주는 후크연결홀(22)이 형성된다.
또한, 후크(20)의 전면 또는 후면 상단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연결블록(51)이 동일선상의 폭으로 연결해주는 후크연결홈(23)이 형성된다.
즉, 후크연결홈(23)은 후크연결홀(22)에 연결되는 연결블록(51)의 두께와 동일 또는 그 이상의 함몰깊이를 가진다.
또한, 후크(20)의 중간 하단에 전후로 천공되어 가압블록(30)이 고정 장착되게 해주는 하나 이상의 후크장착홀(24)이 형성된다.
여기서 후크장착홀(24)이 위치하는 후크(20)의 전면에는 가압블록(30)을 정 위치에 정렬 장착해주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크(20)의 좌측 하단에는 유선형으로 라운드져 벌림핀(1)으로부터 스윙 운동력을 전달받는 후크걸림면(25)이 형성된다.
즉, 벌림핀(1)이 몸체(10)의 좌측으로 진입하면, 도 4 및 도 5처럼 후크걸림면(25)과 맞물려지면서 후크스윙홀(21)을 기점으로 우측으로 스윙하게 된다.
반대로 벌림핀(1)이 몸체(10)로부터 진출하면, 연결대(50)로부터 탄성이 작용되어 후크스윙홀(21)을 기점으로 좌측으로 스윙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가압블록(30)은 도 1 내지 도 3처럼 후크(20)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고, 몸체(10)내에 인입된 위사(F)를 파지한다.
이러한 가압블록(30)의 후면에는 후크장착홀(24)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나사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압블록(30)의 저면에는 위사(F)의 물림력을 증대시키는 요철이나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벌림핀(1)과 함께 위사(F)가 몸체(10)의 좌측으로 진입하면, 후크(20)를 따라 우측으로 스윙함과 동시에 가압블록(30)의 저면으로는 위사(F)가 인입된다.
그리고 벌림핀(1)이 몸체(10)로부터 진출하면, 후크(20)를 따라 좌측으로 스윙하여 저면에 인입된 위사(F)를 파지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레버(40)는 도 1 및 도 2처럼 몸체(10)의 후방 우측에 삽입 장착되고, 위사(F)의 파지가 해제되게 상하로 스윙 운동한다.
이러한 레버(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직기의 우측에 위치하는 누름유닛에 의해 작동한다.
여기서 레버(40)의 우측 상단에는 전후로 천공되어 몸체(10)로부터 상하로 스윙 운동 가능하게 장착해주는 레버스윙홀(41)이 형성된다.
즉, 레버스윙홀(41)은 몸체스윙홀(13)과 일치되게 우측 작동영역(12b)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로 연결된다.
그리고 레버(40)의 우측 하단에는 전후로 천공되어 후술하는 핀(P)과 함께 연결블록(51)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해주는 레버연결홀(42)이 형성된다.
또한, 레버(40)의 전면 또는 후면 하단에는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연결블록(51)이 동일선상의 폭으로 연결해주는 레버연결홈(43)이 형성된다.
즉, 레버연결홈(43)은 레버연결홀(42)에 연결되는 연결블록(51)의 두께와 동일 또는 그 이상의 함몰깊이를 가진다.
또한, 레버(40)의 상단에는 상향으로 도드라지게 라운드져 위사(F)의 파지가 해제되게 하향으로 누름작용을 받는 누름면(44)이 형성된다.
즉, 누름면(44)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몸체(10)의 좌우 이동에 따라 누름유닛과의 슬라이드 간섭으로 눌려지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누름유닛을 액추에이터 방식이 아닌 단순히 간섭을 유발하는 고정식으로 구성할 수 있어 직기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즉, 레버(40)가 눌러져 좌측으로 스윙하면, 연결대(50)에 의해 후크(20)와 가압블록(30)은 우측으로 스윙하여 위사(F)의 파지가 해제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50)는 도 1처럼 후크(20)와 레버(40) 사이에 서로 연동 스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위사(F)를 파지하는 탄성력을 부가한다.
이러한 연결대(5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블록(51), 연결로드(52), 압축스프링(53), 지지블록(54), 조절블록(55), 조절볼트(56)로 구성된다.
연결블록(51)은 후크(20)와 레버(4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핀(P)으로 연결어 관절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연결블록(51)에는 후크연결홀(22) 및 레버연결홀(42)과 동일한 연결홀이 형성되고, 동일선상의 폭으로 연결해주는 연결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블록(51)의 일 측면 중앙에는 연결로드(52)의 체결을 유도하는 나사홀이 형성된다.
연결로드(52)는 연결블록(51)의 중앙에 체결되고, 후크(20)와 레버(40)가 서로 연동 스윙이 가능하게 묶어준다.
이러한 연결로드(52)의 양단에는 연결블록(51)에 체결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후크(20)와 레버(40)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압축스프링(53)은 연결로드(52)를 감싸지게 장착되고, 위사(F)를 파지하는 탄성력을 부가한다.
지지블록(54)은 연결로드(52)의 우측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압축스프링(53)의 우측을 가로막아 좌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유발한다.
이러한 지지블록(54)은 압축스프링(53)의 우측 단부를 수용하는 크기를 가지고, 좌측 작동영역(12a)과 저지영역(12b)의 경계부위에 구속 삽입된다.
조절블록(55)은 연결로드(52)의 좌측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압축스프링(53)의 좌측 단부를 가로막아 탄성력을 전달받는다.
조절볼트(56)는 조절블록(55)의 상단 중앙에 관통 체결되고, 연결로드(52)로부터 조절블록(55)의 위치를 가변시켜 탄성력을 조절해준다.
이러한 조절블록(55)은 슬라이드 이동으로 압축스프링(53)을 압박 및 구속하고, 조절볼트(56)는 연결로드(52)의 외면을 선택적으로 압박하여 조절블록(55)의 위치를 고정시켜준다.
즉, 평상시 압축스프링(53)은 조절블록(55)을 통해 연결로드(52)를 좌측으로 상시 이동시키려는 탄성력을 부가한다.
여기서 벌림핀(1)의 진입으로 인해 후크(20)와 가압블록(30)이 우측으로 스윙하면, 도 4 및 도 5처럼 연결로드(52)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레버(40)를 좌측으로 스윙시킨다.
이 과정에서 압축스프링(53)은 지지블록(54)과 조절블록(55)에 의해 연결로드(52)의 이동거리만큼 수축하게 된다.
그리고 벌림핀(1)이 진출하면, 압축스프링(53)의 탄성력이 작용되면서 후크(20)와 가압블록(30)이 좌측으로 스윙하여 위사(F)를 파지하게 된다.
이때, 위사(F)의 물림력을 증대시키고자 할 경우 조절볼트(56)를 풀어 연결로드(52)로부터 조절블록(55)의 고정을 해제한다.
그리고 조절블록(55)을 지지블록(54) 측으로 이동시켜 압축스프링(53)을 원하는 탄성에너지가 작용되는 만큼 수축시킨 뒤 조절볼트(56)를 죄어 위치를 고정하면 된다.
따라서 압축스프링(53)의 탄성력을 신속 간편하게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다양한 위사(F)나 제직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두루 적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압축스프링(53)의 탄성이 저하되더라도 신속한조절로 상시 동일한 탄성력이 부가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덮개(60)는 도 1처럼 몸체(10)의 상단에 장착되고, 후크(20) 내지 연결대(50)를 은폐시켜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덮개(60)는 몸체(10)를 덮을 수 있는 폭과 길이 및 높이를 가진 ㄷ형 단면형상으로 절곡 형성된다.
여기서 덮개(60) 중 수직하게 기립되는 부위에는 전후로 천공되어 몸체(10)에 고정 장착해주는 복수의 덮개고정홀(61)이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60)의 후방 우측에는 좌우 장방형으로 개구되어 레버(40)가 눌러지도록 노출시키는 덮개레버홀(62)이 형성된다.
또한, 덮개(60)의 후방 좌측에는 수직하게 연장되어 벌림핀(1)의 진/입출을 안내하는 덮개안내편(63)이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F: 위사
P: 핀
1: 벌림핀
10: 몸체
11: 몸체연결홀
12: 몸체작동홈
12a, 12b: 작동영역
12c: 저지영역
13: 몸체스윙홀
20: 후크
21: 후크스윙홀
22: 후크연결홀
23: 후크연결홈
24: 후크장착홀
25: 후크걸림면
30: 가압블록
40: 레버
41: 레버스윙홀
42: 레버연결홀
43: 레버연결홈
44: 누름면
50: 연결대
51: 연결블록
52: 연결로드
53: 압축스프링
54: 지지블록
55: 조절블록
56: 조절볼트
60: 덮개
61: 덮개고정홀
62: 덮개레버홀
63: 덮개안내편

Claims (7)

  1. 벌림핀(1)에 의해 편평한 위사(F)를 전달받아 상하로 개구 운동하는 경사들 사이를 가로지르며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에 있어서,
    상기 벌림핀(1)과 서로 마주하는 우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후방 좌측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벌림핀(1)의 진/입출에 의해 상하로 스윙 운동하는 후크(20);
    상기 후크(20)의 전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몸체(10)내에 인입된 위사(F)를 파지하는 가압블록(30);
    상기 몸체(10)의 후방 우측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위사(F)의 파지가 해제되게 상하로 스윙 운동하는 레버(40);
    상기 후크(20)와 레버(40) 사이에 서로 연동 스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위사(F)를 파지하는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하게 부가해주는 연결대(50);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장착되고, 상기 후크(20) 내지 연결대(50)를 은폐시켜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덮개(60);
    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60)는,
    상기 몸체(10)에 고정 장착되도록 수직하게 기립되는 부위에 전후로 천공되는 복수의 덮개고정홀(61);
    상기 레버(40)가 눌러지도록 후방 우측에 소정 크기로 개구되는 덮개레버홀(62);
    상기 벌림핀(1)의 진/입출을 안내하도록 후방 좌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덮개안내편(63);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위사(F)가 운반되게 좌우이동력을 부가하는 부재가 연결되도록 우측에 상하로 천공되는 하나 이상의 몸체연결홀(11);
    상기 후크(20)와 레버(40) 및 연결대(50)를 수용하도록 후방에 좌측이 개방되게 좌우방향으로 함몰되는 몸체작동홈(12);
    상기 후크(20)와 레버(40)가 좌우로 스윙 가능하도록 후방 좌우측에 각각 전후로 천공되는 몸체스윙홀(13);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작동홈(12)은,
    상기 후크(20)와 레버(40)가 각각 삽입 장착되는 작동영역(12a)(12b)과, 상기 연결대(50)가 가로지르게 삽입 장착되는 저지영역(12c)이 편성되되,
    상기 저지영역(12c)은 연결대(50)의 탄성력이 후크(20)로 부가되도록 작동영역(12a)(12b)에 비해 소정 폭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20)는,
    상기 몸체(10)로부터 상하로 스윙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우측 하단에 전후로 천공되는 후크스윙홀(21);
    상기 연결대(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우측 상단에 전후로 천공되는 후크연결홀(22);
    상기 연결대(50)가 동일한 폭으로 연결되도록 전면 또는 후면 상단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후크연결홈(23);
    상기 가압블록(30)이 고정 장착되도록 중간 하단에 전후로 천공되는 하나 이상의 후크장착홀(24);
    상기 벌림핀(1)으로부터 스윙 운동력을 전달받도록 좌측 하단에 유선형으로 라운드진 후크걸림면(25);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40)는,
    상기 몸체(10)로부터 상하로 스윙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우측 상단에 전후로 천공되는 레버스윙홀(41);
    상기 연결대(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우측 하단에 전후로 천공되는 레버연결홀(42);
    상기 연결대(50)가 동일한 폭으로 연결되도록 전면 또는 후면 하단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레버연결홈(43);
    상기 위사(F)의 파지가 해제되게 하향으로 눌러지도록 상단에 몸체(10)로부터 상향으로 도드라지게 라운드진 누름면(44);
    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50)는,
    상기 후크(20)와 레버(4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핀(P)으로 연결되는 연결블록(51);
    상기 연결블록(51)의 중앙에 체결되고, 상기 후크(20)와 레버(40)가 서로 연동 스윙이 가능하게 묶어주는 연결로드(52);
    상기 연결로드(52)가 감싸지게 장착되고, 상기 위사(F)를 파지하는 탄성력을 부가하는 압축스프링(53);
    상기 연결로드(52)의 우측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압축스프링(53)의 우측을 가로막아 탄성력을 유발하는 지지블록(54);
    상기 연결로드(52)의 좌측에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압축스프링(53)의 좌측을 가로막아 탄성력을 전달받는 조절블록(55);
    상기 조절블록(55)의 상단 중앙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로드(52)로부터 조절블록(55)의 위치를 가변시켜 탄성을 조절하는 조절볼트(56);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7. 삭제
KR1020200185461A 2020-12-29 2020-12-29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KR102492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461A KR102492877B1 (ko) 2020-12-29 2020-12-29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461A KR102492877B1 (ko) 2020-12-29 2020-12-29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349A KR20220094349A (ko) 2022-07-06
KR102492877B1 true KR102492877B1 (ko) 2023-01-30

Family

ID=82399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461A KR102492877B1 (ko) 2020-12-29 2020-12-29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8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455Y1 (ko) * 2001-12-11 2002-05-16 대흥정밀공업 주식회사 위사반송그리퍼
JP2010189781A (ja) * 2009-02-16 2010-09-02 Tsudakoma Corp インサートレピア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010U (ko) 1997-02-26 1998-10-26 장영관 레피어직기의 그리퍼 헤드
KR20100007778U (ko) * 2009-01-23 2010-08-02 오세진 레피어직기의 인서터그립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455Y1 (ko) * 2001-12-11 2002-05-16 대흥정밀공업 주식회사 위사반송그리퍼
JP2010189781A (ja) * 2009-02-16 2010-09-02 Tsudakoma Corp インサートレピ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349A (ko) 2022-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8962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read tension in looms for weaving
JP2011231450A (ja) 3次元製織のための織機およびその製織方法
KR101974682B1 (ko) 제직 마감 장치
KR102492877B1 (ko)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CZ283258B6 (cs) Tkalcovský stav a zanášací brzdička pro tkalcovský stav
US20090065090A1 (en) Thread Clamp for a Rapier Head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of the Same
JPH0748750A (ja) 縦糸駆動装置
JPH01111044A (ja) グリッパ形織機
CH632302A5 (it) Pinza portante per telai di tessitura ad alimentazione continua della trama.
DE1535651B2 (de) Webmaschine
KR102243144B1 (ko)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KR102243145B1 (ko) 래피어 직기용 위사 안내유닛
JPH01111043A (ja) グリッパ形織機
BE1028436B1 (nl) Geleidingsinrichting in een grijperweefmachine, grijperweefmachine en werkwijze voor het omvormen van een grijperweefmachine
ITBO950016A1 (it) Dispositivo perfezionato per la tesatura verticale del tessuto di una macchina automatica per maglieria, in particolare rettilinea
US2496038A (en) Warp tying machine for operating upon leased warps
EA039748B1 (ru) 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ставки уточной пряжи в ткацких станках без челнока
JPH09137338A (ja) レピア織機における緯入れ方法
EP3725929A1 (en) Industrial sewing machine
JPS6227179B2 (ko)
JPH017738Y2 (ko)
JP2010007199A (ja) 四軸織機
US5031670A (en) Yarn-gripper devices mounted on the weft-passing member of fixed weft magazines
TWM497170U (zh) 織帶機之夾紗器結構
US8360110B2 (en) Machine for making fabrics comprising yarns decorated with pearls and fabric comprising yarns decorated with pear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