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144B1 -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 Google Patents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144B1
KR102243144B1 KR1020200084557A KR20200084557A KR102243144B1 KR 102243144 B1 KR102243144 B1 KR 102243144B1 KR 1020200084557 A KR1020200084557 A KR 1020200084557A KR 20200084557 A KR20200084557 A KR 20200084557A KR 102243144 B1 KR102243144 B1 KR 102243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hook
plate
pressure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환
Original Assignee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4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1Rapi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2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thread-engaging device on the inserters
    • D03D47/23Thread grippers
    • D03D47/233Carrying gripp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4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우로 순차 진입출하는 안내유닛(100)으로부터 편평한 위사(F)를 전달받아 상하로 개구 운동하는 경사들 사이를 가로지르며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200)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내유닛(100)과 서로 마주보는 우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몸체(210); 상기 몸체(210)의 후방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안내유닛(100)과 연동하여 좌우로 스윙 운동하는 후크(220); 상기 후크(220)의 좌측 전면에 돌출되고, 상기 안내유닛(100)으로부터 인입된 위사(F)를 파지하는 가압플레이트(230); 상기 몸체(210)의 후방 우측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후크(220)의 우측 저부로 상승탄성을 부가하는 코일스프링(240);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후크(220) 내지 코일스프링(240)의 요부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안내유닛과 연동하여 정확한 위치로 위사가 전달되게 유도함과 함께 위사를 전달받는 과정에서 위사가 파지되게 자동 개폐됨에 따라 별도의 오프너를 생략할 수 있어 제직속도 향상함과 더불어 제작과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Weft transport unit for rapier looms}
본 발명은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내유닛과 연동하여 정확한 위치로 위사가 전달되게 유도함과 함께 위사를 전달받는 과정에서 위사가 파지되게 자동 개폐됨에 따라 별도의 오프너를 생략할 수 있어 제직속도 향상과 더불어 제작과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에 관한 것이다.
통상, 소정 폭을 가지며 두께가 얇은 편평사(flat yarn) 또는 필름사(flim yarn)를 위사(씨실)로 사용하는 직물(섬유)의 경우 강력한 힘으로 위사를 이송해야 하므로 위사를 직접 운반하는 래피어 직기로 제직하고 있다.
이러한 편평사용 래피어 직기는 크게 전후로 연속 배열되는 경사들을 소정 패턴으로 개구 운동시키는 바디부와, 경사들 사이로 위사를 운반하는 위입부로 구분될 수가 있다.
여기서 위입부는 위사를 직접 파지하여 경사들 사이로 왕복 운동하는 운반유닛(캐리어)과, 공급되는 위사를 운반유닛에 전달하는 안내유닛으로 이루어진다.
기존의 운반유닛에는 전달되는 위사가 파지되도록 개폐 운동하는 가압판이 구성되는데, 이러한 가압판은 일측에 위치한 스프링으로부터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부여 받는다.
그런데, 가압판과 스프링이 일측으로 이격 배치됨으로 인해, 스프링으로부터 전달되는 탄성력이 가압판의 일측으로만 편향되게 작용된다.
따라서 가압판에 인입된 위사의 일측 부위만을 강하게 압박 파지함에 따라 위사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위사가 일방향으로 어긋나거나 심지어 이탈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기존의 운반유닛은 전달되는 위사를 일측에서 파지하고, 경사들 사이를 지나 타측으로 위사를 놓고 되돌아오기 위해서는 직기의 좌우측에서 운반유닛을 개폐시키는 한 쌍의 누름유닛(오프너)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누름유닛은 운반유닛으로부터 소정 거리로 이격 위치되고, 운반유닛이 완전 정지된 상태에서 누름 작동을 수행해야 하는 관계로 전반적인 직기의 속도저하 및 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위사를 균일하게 압박하여 파지하면서도 안내유닛과 연동하여 누름유닛의 개폐운동을 대체할 수 있는 운반유닛의 개발이 시급하게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59010호 (고안의 명칭: 레피어 직기의 그리퍼 헤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안내유닛과 연동하여 정확한 위치로 위사가 전달되게 유도함과 함께 위사를 전달받는 과정에서 위사가 파지되게 자동 개폐됨에 따라 별도의 오프너를 생략할 수 있어 제직속도 향상과 더불어 제작과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플레이트를 개폐시키는 후크가 안내유닛을 향해 이격 포진됨으로써, 안내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위사가 가압플레이트에 도달되기 이전에 후크에 의해 개방상태로 미리 전환됨에 따라 인입되는 위사가 가압플레이트에 간섭받지 않고 올바른 위치에 인입될 수 있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압플레이트의 탄성력을 고르게 부가해주는 판스프링을 추가 구성함으로써, 위사에 발생하는 압박이 균일하게 작용되어 운반도중 가압플레이트로부터 위사가 어긋나거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좌우로 순차 진입출하는 안내유닛으로부터 편평한 위사를 전달받아 상하로 개구 운동하는 경사들 사이를 가로지르며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안내유닛과 서로 마주보는 우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후방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안내유닛과 연동하여 좌우로 스윙 운동하는 후크; 상기 후크의 좌측 전면에 돌출되고, 상기 안내유닛으로부터 인입된 위사를 파지하는 가압플레이트; 상기 몸체의 후방 우측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후크의 우측 저부로 상승탄성을 부가하는 코일스프링; 상기 몸체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후크 내지 코일스프링의 요부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몸체는, 후방에 좌측이 개방되게 수평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후크를 수용하는 후크홈; 상기 후크홈의 중앙을 가로지르게 체결되고, 상기 후크를 좌우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하는 후크핀; 상기 후크홈의 우측에 수직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을 수용하는 스프링홈; 상기 스프링홈의 중앙에 고정 삽입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삽입자세를 잡아주는 스프링부시;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마주하는 상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맞물려 인입된 위사를 압박하는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후크는, 적어도 후크홈 내에서 좌우로 스윙 운동이 가능하게 좌측에 비해 우측부위가 높게 단차진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후크핀이 삽입되어 좌우로 스윙 운동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연결홀; 상기 몸체부의 좌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상기 안내유닛으로부터 스윙 운동력을 전달받도록 하향으로 도드라지게 라운드진 걸림부; 상기 몸체부의 우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외부로부터 스윙 운동력을 전달받도록 상향으로 도드리지게 라운드진 누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후크의 좌측 전면에 일체로 용접 또는 좌측 하단에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위사의 폭에 대응하는 너비를 가지는 각형의 가압판; 상기 가압판의 후방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후크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홀; 상기 가압판의 좌측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인입되는 위사를 하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운반유닛은, 상기 몸체의 전방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상면과 상시 맞물리며 하강탄성을 직접적으로 부가하는 판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덮개는, 상기 몸체를 감싸지도록 전후로 수직하게 하향 절곡된 ㄷ형 단면형상의 덮개판; 상기 덮개판의 우측 후방에 후크의 우측부위를 노출시켜 스윙운동력을 공급받도록 관통된 누름홀; 상기 덮개판의 후방에 좌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진입출하는 안내유닛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안내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첫째, 본 발명은 안내유닛과 연동하여 정확한 위치로 위사가 전달되게 유도함과 함께 위사를 전달받는 과정에서 위사가 파지되게 자동 개폐됨에 따라 별도의 오프너를 생략할 수 있어 제직속도 향상과 더불어 제작과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가압플레이트를 개폐시키는 후크가 안내유닛을 향해 이격 포진됨으로써, 안내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위사가 가압플레이트에 도달되기 이전에 후크에 의해 개방상태로 미리 전환됨에 따라 인입되는 위사가 가압플레이트에 간섭받지 않고 올바른 위치에 인입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가압플레이트의 탄성력을 고르게 부가해주는 판스프링을 추가 구성함으로써, 위사에 발생하는 압박이 균일하게 작용되어 운반도중 가압플레이트로부터 위사가 어긋나거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유닛과 운반유닛이 배치된 래피어 직기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내유닛과 운반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내유닛을 주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유닛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유닛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운반유닛이 안내유닛으로부터 위사를 전달받는 과정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좌우로 순차 진입출하는 안내유닛(100)으로부터 편평한 위사(F)를 전달받아 상하로 개구 운동하는 경사들 사이를 가로지르며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200)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처럼 몸체(210), 후크(220), 가압플레이트(230), 코일스프링(240), 덮개(250)을 주요 구성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안내유닛(100)은 위사(F)를 잡고 운반유닛(200)으로 진입출하여 가압플레이트(230)를 개폐시킴과 함께 가압플레이트(230)가 위사(F)를 압박 파지되게 전달해준다.
이러한 안내유닛(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블록(110), 안내핀(120), 안내판(130), 연결로드(140)로 구성된다.
안내블록(110)은 운반유닛(200)과 서로 마주보는 좌측에 고정 배치되고, 위사(F)를 편평하게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안내핀(120)은 안내블록(110)의 상단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운반유닛(200)으로 진입출하여 위사(F)가 파지되게 개폐 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안내판(130)은 안내블록(210)의 상단에 안내핀(120)을 따라 좌우로 간헐 이동하고, 위사(F)를 우측으로 당겨 운반유닛(200)내에 인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연결로드(140)는 안내블록(110)의 좌측에 좌우로 타원 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안내핀(120)과 연결되어 좌우 이동력을 부가한다.
즉, 운반유닛(200)이 안내블록(110)으로 접근 이동하면, 안내핀(120)과의 간섭으로 인해 후크(220)가 우측으로 스윙하게 되고, 후크(220)와 함께 몸체(210)의 상면에 닫혀 있던 가압플레이트(230)가 개방됨과 동시에 개방된 가압플레이트(230)의 아래로 위사(F)가 인입된다.
반대로 안내유닛(200)이 몸체(110)로부터 멀어지면, 안내핀(120)과의 간섭이 해제되어 후크(220)와 가압플레이트(230)가 코일스프링(240)에 의해 좌측으로 복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인입된 위사(F)는 가압플레이트(230)에 압박 파지된다.
이러한 안내유닛(100)의 작동에 관련해서는 후술하는 운반유닛(200)과 함께 재설명하겠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몸체(210)는 도 1 및 도 2처럼 안내유닛(100)과 서로 마주보는 우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좌우로 왕복 운동한다.
이러한 몸체(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홈(211), 후크핀(212), 스프링홈(213), 스프링부시(214), 지지플레이트(215)로 구성된다.
후크홈(211)은 후방에 좌측이 개방되게 수평방향으로 함몰되어 후크(220)를 수용한다.
후크핀(212)은 후크홈(211)의 중앙을 가로지르게 체결되고, 후크(220)를 좌우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시킨다.
스프링홈(213)은 후크홈(211)의 우측에 수직방향으로 함몰되어 코일스프링(240)을 수용한다.
스프링부시(214)는 스프링홈(213)의 중앙에 고정 삽입되고, 코일스프링(240)의 삽입자세를 잡아준다.
지지플레이트(215)는 가압플레이트(230)와 마주하는 상면에 고정 장착되고, 가압플레이트(230)와 맞물려 인입된 위사(F)의 저면을 압박되게 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215)는 위사(F)의 폭에 대응하는 너비를 가지는 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215)의 우측에는 수직하게 하나 이상 관통되어 몸체(210)의 상면에 나사 결합을 유도하는 결합홀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플레이트(215)의 좌측에는 하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인입되는 위사(F)를 상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편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후크(220)는 도 2 및 도 4처럼 몸체(210)의 후방에 삽입 장착되고, 안내유닛(100)과 연동하여 좌우로 스윙 운동한다.
이러한 후크(2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21), 연결홀(222), 걸림부(223), 누름부(224)로 구분되게 형성된다.
몸체부(221)는 적어도 후크홈(211)내에서 좌우로 스윙 운동이 가능하게 좌측에 비해 우측부위가 높게 단차지게 형성된다.
연결홀(222)은 몸체부(221)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고, 후크핀(212)이 삽입되어 좌우로 스윙 운동 가능하게 장착시킨다.
걸림부(223)는 몸체부(221)의 좌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하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223)는 안내핀(120)과의 간섭으로 인해 안내유닛(100)으로부터 스윙 운동력을 전달받는다.
누름부(224)는 몸체부(221)의 우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상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부(224)는 직기의 우측에 마련된 오프너로부터 스윙 운동력을 전달받는다.
여기서 누름부(224)의 저부에는 코일스프링(240)을 수용하며 상승탄성력을 받는 스프링자리가 요입 형성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가압플레이트(230)는 도 2 및 도 4처럼 후크(220)의 좌측에 전면을 향해 돌출되고, 안내유닛(100)으로부터 인입된 위사(F)를 파지한다.
이러한 가압플레이트(230)는 후크(220)의 좌측 전면에 일체로 용접되거나 좌측 하단에 나사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가압플레이트(230)가 나사 결합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판(231)과 결합홀(232) 및 안내부(233)로 구성된다.
가압판(231)은 가압플레이트(230)를 이루는 바디로써, 적어도 위사(F)의 폭에 대응하는 너비를 가지는 각형으로 형성된다.
결합홀(232)은 가압판(231)의 후방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후크(220)와 나사 결합을 유도한다.
안내부(233)는 가압판(231)의 좌측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인입되는 위사(F)를 하향으로 안내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코일스프링(240)은 도 4처럼 몸체(210)의 후방 우측에 삽입 장착되고, 후크(220)의 우측 저부로 상승탄성력을 부가한다.
즉, 코일스프링(240)은 후크(220)로 상승탄성력을 부가하여 가압플레이트(230)의 아래에 인입된 위사(F)가 파지되게 압박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코일스프링(240)의 압박하는 탄성력이 후크(220)를 경유하면서 가압플레이트(230)로 간접 전달됨에 따라 실제 가압플레이트(230)에 발생하는 탄성력은 후크(220)와 결합된 인접부위에만 편향되게 제공된다.
즉, 가압플레이트(230)에 인입된 위사(F)의 일측 부위만이 압박 파지됨에 따라 위사(F)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가압플레이트(230)로부터 위사(F)가 일방향으로 어긋나거나 심지어 이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몸체(210)의 전방에 고정 장착되고, 가압플레이트(230)의 상면과 상시 맞물리며 하강탄성력을 직접적으로 부가하는 판스프링(245)을 더 포함한다.
즉, 판스프링(245)으로 인해 가압플레이트(230)에 인입된 위사(F)가 균일하게 압박 파지됨에 따라 이탈방지와 함께 위사(F)를 올바른 자세로 전달할 수 있어 전반적인 직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판스프링(245)은 단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차량의 판스프링처럼 다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판의 판스프링(245)의 경우에는 마찰음을 줄이기 위해 판 사이마다 고무판이 더 개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덮개(250)는 도 2 및 도 4처럼 몸체(210)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고, 후크(220) 내지 코일스프링(240) 및 판스프링(245)의 요부를 덮어 보호해준다.
이러한 덮개(2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251), 누름홀(252), 안내판(253)으로 구성된다.
덮개판(251)은 덮개(250)를 이루는 바디로써, 몸체(210)의 요부가 감싸지도록 전후로 수직하게 하향 절곡된 ㄷ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누름홀(252)은 덮개판(251)의 우측 후방에 후크(220)의 우측부위인 누름부(224)를 노출시켜 오프너로부터 스윙운동력을 공급받도록 개구된다.
안내판(253)은 덮개판(251)의 후방에 좌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진입출하는 안내유닛(100)의 위치를 정렬시켜준다.
이러한 안내판(253)은 좌측으로 향해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유선형이나 끝이 뾰족하게 날카로운 송곳형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운반유닛(200)이 안내유닛(100)으로 위사(F)를 전달받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처럼 안내블록(110)에는 위사(F)가 안착되고, 안내판(130)은 위사(F)를 감싸며 소정 마찰력으로 잡고 있는 상태를 가진다.
그리고 연결로드(140)에 의해 안내핀(120)이 우측으로 이동하면, 도 10과 같이 안내핀(120)과 함께 안내판(130) 및 위사(F)가 운반유닛(200)으로 동반 진입하여 가압플레이트(230)내에 위사(F)를 인입된다.
즉, 안내핀(120)이 후크(220)의 저부로 선 삽입되고, 이로 인해 후크(220)와 함께 가압플레이트(230)가 우측으로 동반 스윙되면서 개방된다.
이후에 안내판(130)이 가압플레이트(230)의 좌측에 후속 접근하게 되면서 개방된 가압플레이트(230)의 아래로 위사(F)가 간섭받지 않고 인입된다.
이어서 연결로드(140)에 의해 안내핀(120)이 좌측으로 복귀하면, 도 11처럼 안내핀(120)이 운반유닛(200)내에 인입된 위사(F)를 두고 좌측으로 선 진출한다.
즉, 안내핀(120)이 후크(220)로부터 진출하게 되면서 후크(220)와 가압플레이트(230)가 코일스프링(240) 및 판스프링(245)의 탄성에 의해 닫히게 되고, 가압플레이트(230)에 인입된 위사(F)는 압박 파지된다.
이때, 안내핀(120)이 고속으로 진출하는 동안 안내판(130)은 자체 중력에 의해 슬라이드 되어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가압플레이트(230)가 위사(F)를 압박 파지를 완료하기까지 위사(F)를 잡고 있는 안내판(130)이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위사(F)를 보다 정확하고 안정된 자세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안내핀(120)이 후크(220)로부터 진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안내핀(120)과 안내판(130)이 서로 간섭이 일어나게 되어 도 12처럼 가압플레이트(230)에 파지된 위사(F)를 두고 안내핀(120)과 동반 복귀한다.
한편, 본 발명의 운반유닛(200)이 정지된 상태에서 안내블록(110)으로부터 안내핀(120)과 안내판(130)이 진입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안내유닛(10)으로부터 위사(F)의 전달받는 과정은 몸체(210)가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가운데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실제 몸체(210)와 안내핀(120) 및 안내판(130)은 서로를 향해 동시 이동하고 멀어지는 것으로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F: 위사
100: 안내유닛
110: 안내블록
120: 안내핀
130: 안내판
140: 연결로드
200: 운반유닛
210: 몸체
211: 후크홈
212: 후크핀
213: 스프링홈
214: 스프링부시
215: 지지플레이트
220: 후크
221: 몸체부
222: 연결홀
223: 걸림부
224: 누름부
230: 가압플레이트
231: 가압판
232: 결합홀
233: 안내부
240: 코일스프링
245: 판스프링
250: 덮개
251: 덮개판
252: 누름홀
253: 안내판

Claims (7)

  1. 좌우로 순차 진입출하는 안내유닛(100)으로부터 편평한 위사(F)를 전달받아 상하로 개구 운동하는 경사들 사이를 가로지르며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200)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닛(100)과 서로 마주보는 우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이동력을 전달받아 좌우로 왕복 운동하는 몸체(210);
    상기 몸체(210)의 후방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안내유닛(100)과 연동하여 좌우로 스윙 운동하는 후크(220);
    상기 후크(220)의 좌측 전면에 돌출되고, 상기 안내유닛(100)으로부터 인입된 위사(F)를 파지하는 가압플레이트(230);
    상기 몸체(210)의 후방 우측에 삽입 장착되고, 상기 후크(220)의 우측 저부로 상승탄성을 부가하는 코일스프링(240);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후크(220) 내지 코일스프링(240)의 요부를 덮어 보호하는 덮개(250);
    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250)는,
    상기 몸체(210)를 감싸지도록 전후로 수직하게 하향 절곡된 ㄷ형 단면형상의 덮개판(251);
    상기 덮개판(251)의 우측 후방에 후크(220)의 우측부위를 노출시켜 스윙운동력을 공급받도록 관통된 누름홀(252);
    상기 덮개판(251)의 후방에 좌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진입출하는 안내유닛(100)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안내판(253);
    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0)는,
    후방에 좌측이 개방되게 수평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후크(220)를 수용하는 후크홈(211);
    상기 후크홈(211)의 중앙을 가로지르게 체결되고, 상기 후크(220)를 좌우로 스윙 가능하게 장착하는 후크핀(212);
    상기 후크홈(211)의 우측에 수직방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코일스프링(240)을 수용하는 스프링홈(213);
    상기 스프링홈(213)의 중앙에 고정 삽입되고, 상기 코일스프링(240)의 삽입자세를 잡아주는 스프링부시(214);
    상기 가압플레이트(230)와 마주하는 상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230)와 맞물려 인입된 위사(F)를 압박하는 지지플레이트(215);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220)는,
    적어도 후크홈(211)내에서 좌우로 스윙 운동이 가능하게 좌측에 비해 우측부위가 높게 단차진 몸체부(221);
    상기 몸체부(221)의 중앙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후크핀(212)이 삽입되어 좌우로 스윙 운동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연결홀(222);
    상기 몸체부(221)의 좌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상기 안내유닛(100)으로부터 스윙 운동력을 전달받도록 하향으로 도드라지게 라운드진 걸림부(223);
    상기 몸체부(221)의 우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외부로부터 스윙 운동력을 전달받도록 상향으로 도드라지게 라운드진 누름부(224);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230)는,
    상기 후크(220)의 좌측 전면에 일체로 용접 또는 좌측 하단에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230)는,
    상기 위사(F)의 폭에 대응하는 너비를 가지는 각형의 가압판(231);
    상기 가압판(231)의 후방에 수직하게 관통되어 후크(220)와 나사 결합되는 결합홀(232);
    상기 가압판(231)의 좌측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인입되는 위사(F)를 하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233);
    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유닛은,
    상기 몸체(210)의 전방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230)의 상면과 상시 맞물리며 하강탄성을 직접적으로 부가하는 판스프링(245);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7. 삭제
KR1020200084557A 2020-07-09 2020-07-09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KR102243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57A KR102243144B1 (ko) 2020-07-09 2020-07-09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57A KR102243144B1 (ko) 2020-07-09 2020-07-09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144B1 true KR102243144B1 (ko) 2021-04-22

Family

ID=7573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557A KR102243144B1 (ko) 2020-07-09 2020-07-09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130B1 (ko) 2021-12-24 2022-10-07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듀얼 스프레드 토우 위사 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010U (ko) 1997-02-26 1998-10-26 장영관 레피어직기의 그리퍼 헤드
KR200275455Y1 (ko) * 2001-12-11 2002-05-16 대흥정밀공업 주식회사 위사반송그리퍼
JP2010189781A (ja) * 2009-02-16 2010-09-02 Tsudakoma Corp インサートレピア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010U (ko) 1997-02-26 1998-10-26 장영관 레피어직기의 그리퍼 헤드
KR200275455Y1 (ko) * 2001-12-11 2002-05-16 대흥정밀공업 주식회사 위사반송그리퍼
JP2010189781A (ja) * 2009-02-16 2010-09-02 Tsudakoma Corp インサートレピア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130B1 (ko) 2021-12-24 2022-10-07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듀얼 스프레드 토우 위사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526B2 (en) Insert rapier
KR102243144B1 (ko)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EP0275479B1 (en) Means to guide the motion of a pair of weft carrying grippers inside the shed of weaving looms
EP2594671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senting weft threads to a gripper of a gripper weaving machine
CN1705778B (zh) 片梭织机的给料片梭
US3952778A (en) Selvage forming device
US20210238780A1 (en) Weaving method, weft selector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and weaving loom incorporating such a weft selector
US5413151A (en) Gripper loom rapier guide arrangement
US3159186A (en) Weaving frame
US3915201A (en) Looms
JPH11512495A (ja) 糸の横方向往復運動の選択的制御装置
KR102243145B1 (ko) 래피어 직기용 위사 안내유닛
US5092374A (en) Guide and support devices for weft inserters in shuttleless looms
US2163760A (en) Thread transfer apparatus
JPS63105148A (ja) 糸緊張装置
KR930004075B1 (ko) 직기의 위사반송 그리퍼 및 그리퍼 스트랩 안내장치
KR20220094349A (ko) 래피어 직기용 위사 운반유닛
EP3772549B1 (en) Drawing-in gripper, drawing-in machine including such a gripper and process for drawing-in warp yarns on such a drawing-in machine
CS201008B2 (en) Weft inserting needle pair for shuttleless weaving loom
BE1013013A3 (nl) Grijperband voor een grijperweefmachine.
US2796084A (en) Weft thread feeding mechanism for weaving machines
US4076052A (en) System for transferring a yarn from one part of a textile machine to another part
JP3440851B2 (ja) 緯糸挿入方法および装置
BE1010334A3 (nl) Inrichting voor het inbrengen van een inslagdraad bij een grijperweefmachine.
US6367515B1 (en) Loom with band-mounted grippers comprising at least one gripper band as well as a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