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313B1 - 인쇄기 - Google Patents

인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2313B1
KR102482313B1 KR1020160028990A KR20160028990A KR102482313B1 KR 102482313 B1 KR102482313 B1 KR 102482313B1 KR 1020160028990 A KR1020160028990 A KR 1020160028990A KR 20160028990 A KR20160028990 A KR 20160028990A KR 102482313 B1 KR102482313 B1 KR 102482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tage
roller
base material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0227A (ko
Inventor
신야 마츠야마
유타 마루카와
타다시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코모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모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모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0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18Multiple web-fee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 B65H26/02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responsive to presence of irregularities in running webs
    • B65H26/04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responsive to presence of irregularities in running webs for variation in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1Suction box; Suction chambers
    • B65H2406/312Suction box; Suction chambers incorporating means for transporting the handled material against suction force
    • B65H2406/3122Rollers

Abstract

웹형상의 기재에 패턴을 고품위로 형성할 수 있는 인쇄기를 제공한다.
기재(1)를 조출하는 조출 롤러(123)와, 조출 롤러(123)로부터 조출된 기재(1)를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흡인 롤러(125)와, 조출 롤러(123)와 흡인 롤러(125) 사이에 배열설치되어 기재(1)를 상면에서 지지하는 스테이지(113)와, 스테이지(124)의 상면에 기재(1)를 유지시키는 흡인 펌프(128)와, 스테이지(113)의 위치를 조정하는 견당 조정 장치(114)를 구비하고 있는 인쇄기(100)에 있어서, 스테이지(113)에 기재(1)를 유지시키도록 흡인 펌프(128)를 제어한 후에, 스테이지(113)와 조출 롤러(123) 및 흡인 롤러(125)의 각 사이의 기재(1)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도록 조출 롤러(123) 및 흡인 롤러(125)를 제어하고나서, 스테이지(113)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견당 조정 장치(114)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4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인쇄기{PRINTING PRESS}
본 발명은 웹형상의 기재에 잉크를 인쇄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법에 의해 웹형상의 기재에 고정밀한 패턴의 기능성 막(도전막)을 형성할 때에 적용하면 매우 유효한 것이다.
웹형상의 기재에 잉크를 인쇄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기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철판 인쇄에 의해 웹형상의 기재에 고정밀한 패턴의 기능성 막(도전막)을 인쇄하여 형성하는, 즉 필름 상에 각종 표시 장치, 전자 부품, 전자 부재 등을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표시 장치의 일례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PDP, FED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전자 부품 및 상기 전자 부재의 일례로서는 컬러 필터, 액티브 기판, 메모리, RFID, IC, 안테나, 배선, 프린트 회로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일본 특개 2010-023393호 공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쇄기에 있어서는, 소정 길이 조출(繰出)된 웹형상의 기재를 스테이지 상에 흡착 유지하고, 인쇄동에 대한 기재의 견당(見當)을 맞추도록 상기 스테이지의 위치를 조정하고나서 당해 기재에 인쇄동으로 패턴을 인쇄하여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견당 맞춤시 상기 기재는 상기 스테이지 상에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흡착 유지되어 있는 점에서 주름이 발생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주름이 상기 기재에 발생되어버리면, 당해 기재에 잉크를 고품위로 인쇄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고품위의 패턴의 형성이 어려워져버릴 우려가 있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본 발명은 웹형상의 기재에 패턴을 고품위로 형성할 수 있는 인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는 웹형상의 기재를 조출하는 기재 조출 수단과, 상기 기재 조출 수단으로부터 조출된 기재를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기재 조출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 사이에 배열설치되어 기재를 상면에서 지지하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에 기재를 유지시키는 기재 유지 수단과, 상기 스테이지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테이지 위치 조정 수단과, 상기 스테이지 상의 기재에 잉크를 인쇄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에 기재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기재 유지 수단을 제어한 후에, 상기 기재 조출 수단과 상기 스테이지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도록 당해 기재 조출 수단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스테이지와 상기 반송 수단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도록 당해 반송 수단을 제어하고나서, 상기 스테이지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스테이지 위치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는 상기 서술한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스테이지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스테이지 위치 조정 수단을 제어한 후에, 상기 스테이지 상의 기재에 잉크를 인쇄하여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패턴 형성 수단을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는 상기 서술한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스테이지 상의 기재에 잉크를 인쇄하여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패턴 형성 수단을 제어한 후에, 상기 기재 조출 수단과 상기 스테이지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기 직전의 크기로 되돌리도록 당해 기재 조출 수단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스테이지와 상기 반송 수단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기 직전의 크기로 되돌리도록 당해 반송 수단을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는 상기 서술한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기재 조출 수단과 상기 스테이지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는 경우에, 기재를 당해 기재 조출 수단으로부터 당해 스테이지를 향하여 조출하도록 당해 기재 조출 수단을 제어하는 한편, 당해 기재 조출 수단과 당해 스테이지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기 직전의 크기로 되돌리는 경우에, 기재를 조출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당해 스테이지로부터 당해 기재 조출 수단을 향하여 되감도록 당해 기재 조출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스테이지와 상기 반송 수단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는 경우에, 기재를 당해 반송 수단으로부터 당해 스테이지를 향하여 되돌리도록 당해 반송 수단을 제어하고, 당해 스테이지와 당해 반송 수단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기 직전의 크기로 되돌리는 경우에, 기재를 되돌린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당해 스테이지로부터 당해 반송 수단을 향하여 송출하도록 당해 반송 수단을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에 의하면, 제어 수단이 스테이지의 상면에 기재를 유지시키도록 기재 유지 수단을 제어하고나서, 기재 조출 수단과 스테이지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도록 기재 조출 수단을 제어함과 아울러, 스테이지와 반송 수단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도록 반송 수단을 제어한 후에, 스테이지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스테이지 위치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 점에서, 스테이지의 위치를 조정해도 스테이지 상의 기재에 주름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기재에 잉크를 고품위로 인쇄할 수 있고, 신축성의 유무에 상관없는 각종 기재에 고품위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주요 실시형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선 II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인쇄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인쇄기의 작동 공정 플로우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는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요 실시형태>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의 주요 실시형태를 도 1~4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111) 상에는 가이드 레일(112)이 쌍을 이루고 배열설치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상기 가이드 레일(112) 사이의 당해 가이드 레일(112)의 길이 방향 중앙에 가까운 상기 지지대(111)의 상방에는 상면에 흡인 구멍이 다수 형성된 내부 중공의 스테이지(113)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11)와 상기 스테이지(113) 사이에는 당해 스테이지(113)의 위치를 천지 방향(X방향:도 1 중 좌우 방향), 좌우 방향(Y방향:도 1 중 지면 수직 방향), 비틀기 방향(θ방향:X-Y 평면을 따른 피봇 이동)으로 각각 조정할 수 있는 스테이지 위치 조정 수단인 견당 조정 장치(114)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견당 조정 장치(114)는 상기 스테이지(113)의 상면을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볼나사나 리니어 모터 등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 상기 가이드 레일(112) 상의 당해 가이드 레일(112)의 길이 방향 일단 가까이(도 1 중 좌측 가까이)에는 당해 가이드 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지지 프레임(120)이 쌍을 이루도록 하여 배열설치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상기 지지 프레임(120) 사이의 상방에는 외주면에 블랭킷을 감은 블랭킷동(12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112)의 길이 방향 일단측(도 1 중 좌측)의 상방 위치에는 외주면에 판을 부착한 판동(122)이 회전 가능하게 배열설치되어 있고, 당해 판동(122)은 상기 지지 프레임(120)이 상기 가이드 레일(112)의 길이 방향 일단측(도 1 중 좌측)에 위치하고 상기 블랭킷동(121)이 상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 즉 상기 블랭킷동(121)이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당해 블랭킷동(121)의 외주면에 대접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판동(122)의 근방에는 당해 판동(122)에 잉크를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는 잉크 공급 장치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블랭킷동(121)을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시켜 당해 블랭킷동(121) 및 상기 판동(122)을 회전시킴으로써, 당해 판동(122)의 판의 패턴에 대응한 잉크를 당해 블랭킷동(121)에 전사할 수 있고, 당해 블랭킷동(121)을 하방의 작동 위치에 위치시켜 상기 지지 프레임(120)을 상기 가이드 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당해 블랭킷동(121)을 회전시킴으로써, 당해 블랭킷동(121)을 상기 스테이지(113) 상에서 전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 상기 가이드 레일(112) 상의 당해 가이드 레일(112)의 길이 방향 타단 가까이(도 1 중 우측 가까이)에는 당해 가이드 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프레임(115)이 쌍을 이루도록 하여 배열설치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15) 사이는 연결 스테이(115a)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15)의 대향면의 상측 가까이에는 선단측을 하방을 향하도록 배향된 액추에이터(116)의 기단측이 쌍을 이루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상기 액추에이터(116)의 선단에는 지지 블록(117)이 쌍을 이루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상기 지지 블록(117) 사이의 하측 가까이에는 실리콘 고무나 폴리에스테르 고무나 부틸 고무 등과 같은 탄성을 가지는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지는 표면을 구비하는 주름 펴기 롤러인 스퀴즈 롤러(11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상기 지지 블록(117) 사이의 상측 가까이에는 점착성을 가지는 표면을 구비하는 티끌 제거 롤러인 점착 롤러(119)가 상기 스퀴즈 롤러(118)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상기 액추에이터(116)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 블록(117)을 통하여 상기 스퀴즈 롤러(118) 및 상기 점착 롤러(119)를 상방의 퇴피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당해 스퀴즈 롤러(118)를 상기 스테이지(113)의 상면으로부터 이반시킬 수 있고, 당해 스퀴즈 롤러(118) 및 당해 점착 롤러(119)를 하방의 작동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당해 스퀴즈 롤러(118)를 상기 스테이지(113)의 상면에 맞닿게 할 수 있고, 당해 스퀴즈 롤러(118) 및 당해 점착 롤러(119)를 작동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15)을 상기 가이드 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스퀴즈 롤러(118)를 상기 스테이지(113) 상에서 전동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당해 스퀴즈 롤러(118)의 회전에 따라 당해 점착 롤러(119)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11)의 상기 가이드 레일(112)의 길이 방향 일단보다 측방 위치(도 1 중 좌측)에는 릴형상으로 권취된 웹형상의 기재(1)를 조출하는 조출 롤러(123)가 회전 가능하게 배열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11)의 상기 가이드 레일(112)의 길이 방향 타단보다 측방 위치(도 1 중 우측)에는 상기 조출 롤러(123)로부터 상기 스테이지(113) 상을 경유하여 조출된 상기 기재(1)를 릴형상으로 권취하는 권취 롤러(124)가 회전 가능하게 배열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지(113)와 상기 권취 롤러(124) 사이에는 외주면에 흡인 구멍이 다수 형성된 내부 중공의 흡인 롤러(125)가 회전 가능하게 배열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인 롤러(125)와 상기 권취 롤러(124) 사이에는 당해 흡인 롤러(125)와의 사이의 상기 기재(1)를 느슨하게 지지하면서 안내하는 버퍼 롤러(126)가 배열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중 127은 가이드 롤러이다.
상기 스테이지(113)에는 기재 유지 수단인 흡인 펌프(128)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흡인 롤러(125)에는 흡인 펌프(129)가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흡인 펌프(128)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테이지(113)의 상면의 흡인 구멍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기재(1)를 당해 스테이지(113)의 상면에 지지하면서 착탈 가능하게 흡인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흡인 펌프(129)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흡인 롤러(125)의 흡인 구멍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여, 상기 조출 롤러(123)와의 사이에서 상기 기재(1)를 느슨하게 하지 않고 당해 기재(1)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당해 흡인 롤러(125)로 당해 기재(1)를 착탈 가능하게 흡인 유지하면서 반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15)의 상기 연결 스테이(115a)에는 상기 스테이지(113) 상의 상기 기재(1)를 촬상하는 기재 위치 검지 수단인 한 쌍의 CCD 카메라(130)가 부착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CCD 카메라(130)는 제어 수단인 제어 장치(140)의 입력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 장치(140)의 출력부는 상기 견당 조정 장치(114)와, 상기 액추에이터(116)와, 상기 흡인 펌프(128, 129)와, 상기 조출 롤러(123)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51)와, 상기 권취 롤러(124)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52)와, 상기 흡인 롤러(125)를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53)와, 상기 판동(122)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54)와, 상기 블랭킷동(121)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55)와, 상기 블랭킷동(121)을 승강 이동시키는 제2 승강 이동 수단인 승강 이동 장치(156)와, 상기 지지 프레임(120)을 상기 가이드 레일(112)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 등의 왕복 이동 장치(157)와,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15)을 상기 가이드 레일(112)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 등의 왕복 이동 장치(158)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제어 장치(140)의 입력부에는 상기 구동 모터(151)에 설치되어 상기 조출 롤러(123)의 회전 위상을 검출하는 로터리 인코더(131)와, 상기 구동 모터(151)에 설치되어 상기 조출 롤러(123)에 가해지고 있는 상기 기재(1)의 장력을 검출하는 제1 장력 검출 수단인 텐션 센서(132)와, 상기 구동 모터(153)에 설치되어 상기 흡인 롤러(125)보다 상기 기재(1)의 상류측의 장력을 검출하는 제2 장력 검출 수단인 텐션 센서(133)와, 당해 제어 장치(140)에 각종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인 입력기(141)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CCD 카메라(13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견당 조정 장치(114)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텐션 센서(132, 13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모터(151, 153)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로터리 인코더(13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액추에이터(116), 상기 흡인 펌프(128), 상기 구동 모터(151~155), 상기 승강 이동 장치(156), 상기 왕복 이동 장치(157, 158) 등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입력기(14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흡인 펌프(128, 129), 상기 구동 모터(151~155) 등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상세는 후술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액추에이터(116), 상기 지지 블록(117) 등에 의해 제1 승강 이동 수단을 구성하고, 당해 제1 승강 이동 수단, 상기 지지대(111), 상기 가이드 레일(112),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15), 상기 왕복 이동 장치(158) 등에 의해 제1 왕복 이동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111), 상기 가이드 레일(112), 상기 지지 프레임(120), 상기 승강 이동 장치(156), 상기 왕복 이동 장치(157) 등에 의해 제2 왕복 이동 수단을 구성하고, 당해 제2 왕복 이동 수단, 상기 블랭킷동(121), 상기 판동(122), 상기 구동 모터(154, 155), 상기 잉크 공급 장치 등에 의해 패턴 형성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조출 롤러(123), 상기 구동 모터(151) 등에 의해 기재 조출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권취 롤러(124), 상기 구동 모터(152) 등에 의해 기재 권취 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흡인 롤러(125), 상기 흡인 펌프(129), 상기 구동 모터(153) 등에 의해 반송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기(100)의 작동을 도 4에 기초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상기 입력기(141)에 운전을 개시하는 취지의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 장치(140)는 우선 당해 입력기(14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흡인 롤러(125)의 흡인 구멍으로부터 내부에 공기를 흡인시키도록 상기 흡인 펌프(129)를 작동시켜 상기 기재(1)를 당해 흡인 롤러(125)의 외주면에 흡인 유지한다.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기재(1)를 상기 스테이지(113) 상의 소정 위치에 위치 설정하도록, 상기 로터리 인코더(131) 및 상기 텐션 센서(132, 13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모터(151~153)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롤러(123~125)를 회전시킨다(이상, 기재 위치 설정 공정(S1)).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기재(1)가 상기 스테이지(113) 상의 소정 위치에 위치 설정되면,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로터리 인코더(131) 및 상기 텐션 센서(132, 13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지(113)의 흡인 구멍으로부터 내부에 공기를 흡인시키도록 상기 흡인 펌프(128)를 작동시켜 상기 기재(1)를 당해 스테이지(113) 상에 흡인 유지시켜 지지한다(이상, 기재 유지 공정(S2)).
계속해서,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스테이지(113)의 상기 가이드 레일(112)의 길이 방향 타방측(도 1 중 우측)의 단부 근방의 개시 위치에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15)을 위치 설정하도록 상기 왕복 이동 장치(158)의 작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스퀴즈 롤러(118)를 하강시켜 상기 스테이지(113) 상의 상기 기재(1)에 맞닿도록 상기 액추에이터(116)의 작동을 제어한 후, 상기 가이드 레일(112)의 길이 방향 타방측(도 1 중 우측)으로부터 길이 방향 일방측(도 1 중 좌측)을 향하여 상기 스퀴즈 롤러(118)를 상기 스테이지(113)의 상기 기재(1) 상에서 전동시키도록 상기 왕복 이동 장치(158)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15)을 상기 가이드 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즉 상기 스테이지(113)의 상면의 상기 기재(1)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113)의 상기 가이드 레일(112)의 길이 방향 일방측(도 1 중 좌측)의 단부에까지 상기 스퀴즈 롤러(118)가 위치하면,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스퀴즈 롤러(118)를 상승시켜 상기 스테이지(113) 상의 상기 기재(1)로부터 이반시키도록 상기 액추에이터(116)의 작동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15)을 당초의 퇴피 위치로 되돌리도록 상기 왕복 이동 장치(158)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15)을 상기 가이드 레일(112)의 길이 방향 일방측(도 1 중 좌측)으로부터 길이 방향 타방측(도 1 중 우측)을 향하여 슬라이드 이동, 즉 상기 스테이지(113)의 상면의 상기 기재(1)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상기 스테이지(113) 상에 흡착 유지되어 지지되어 있는 기재(1)는 주름이 펴져서 소멸함과 아울러, 당해 기재(1) 상에 존재하고 있는 티끌이나 먼지 등이 상기 스퀴즈 롤러(118)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당해 기재(1)로부터 제거되고, 당해 스퀴즈 롤러(118)의 전동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점착 롤러(119)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당해 점착 롤러(119)에 회수됨과 아울러, 상기 CCD 카메라(130)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15)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113)에 대한 상기 기재(1)의 위치를 검지하도록 촬영하면서 상기 롤러(118, 119)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당해 스테이지(113) 상의 상기 기재(1)의 견당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 장치(140)에 제공한다(이상, 기재 주름 펴기 및 견당 확인 공정(S3)).
또,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조출 롤러(123)와 당해 스테이지(113) 사이의 상기 기재(1)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도록, 상기 텐션 센서(132)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모터(151)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재(1)를 당해 조출 롤러(123)로부터 소정 길이 조출함과 아울러, 상기 흡인 롤러(125)와 당해 스테이지(113) 사이의 상기 기재(1)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도록, 상기 텐션 센서(13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모터(152)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재(1)를 흡착 유지시킨 채의 상태에서 당해 흡인 롤러(125)를 역전(도 1 중 반시계 방향)시켜 당해 기재(1)를 소정 길이 되돌린다(이상, 완충역 형성 공정(S4)).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140)는 미리 입력되어 있는 정보 및 상기 CCD 카메라(13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121, 122)에 대한 상기 스테이지(113) 상의 상기 기재(1)의 견당을 맞추도록 상기 견당 조정 장치(114)의 작동을 제어하여, 당해 스테이지(113)의 천지 방향(X방향), 좌우 방향(Y방향), 비틀기 방향(θ방향)의 위치를 각각 조정한다.
이 때, 상기 기재(1)는 상기 조출 롤러(123)와 상기 스테이지(113) 사이 및 상기 흡인 롤러(125)와 상기 스테이지(113) 사이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여 당해 사이가 느슨하게 되어 있는 점에서, 상기 스테이지(113)의 천지 방향(X방향), 좌우 방향(Y방향), 비틀기 방향(θ방향)의 위치가 조정되어도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다(이상, 견당 조정 공정(S5)).
계속해서,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판동(122)의 판에 대응한 잉크를 상기 블랭킷동(121)에 전사하도록 상기 구동 모터(154, 155)의 작동을 제어하여, 당해 동(121, 122)을 회전시킨 후, 당해 블랭킷동(121)에 전사된 잉크를 상기 스테이지(113)의 상기 기재(1) 상에 인쇄하여 당해 기재(1)에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승강 이동 장치(156) 및 상기 왕복 이동 장치(157)의 작동을 제어하여, 당해 블랭킷동(121)을 승강 이동 및 왕복 이동시킨다(이상, 인쇄 공정(S6)).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스테이지(113) 상의 상기 기재(1)에 인쇄를 시행하여 패턴을 형성하면,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조출 롤러(123)와 당해 스테이지(113) 사이의 상기 기재(1)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기 직전의 크기로 되돌리도록, 상기 텐션 센서(132)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모터(151)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재(1)를 조출한 길이와 동일한 길이, 즉 상기 소정 길이로 당해 조출 롤러(123)에 되감음과 아울러, 상기 흡인 롤러(125)와 당해 스테이지(113) 사이의 상기 기재(1)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기 직전의 크기로 되돌리도록, 상기 텐션 센서(13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모터(152)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재(1)를 흡착 유지시킨 채의 상태에서 당해 흡인 롤러(125)를 정전(도 1 중 시계 방향)시켜 당해 기재(1)를 되돌린 길이와 동일한 길이, 즉 상기 소정 길이로 송출한다(이상, 완충역 해소 공정(S7)).
그리고,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스테이지(113)의 흡인 구멍으로부터의 공기의 흡인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흡인 펌프(128)의 작동을 제어하여, 당해 스테이지(113)로부터 당해 기재(1)가 이탈할 수 있도록 흡착 유지로부터 해방한다(이상, 기재 해방 공정(S8)).
다음에 상기 제어 장치(140)는 상기 스테이지(113) 상의 기재(1)를 갱신하도록, 상기 로터리 인코더(131) 및 상기 텐션 센서(132, 13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모터(151~153)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롤러(123~125)를 회전시켜 상기 기재(1)를 소정 길이 보낸다(이상, 기재 송출 공정(S9)).
이하, 상기 서술한 공정(S1~S9)의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기재(1)는 상기 권취 롤러(124)에 권취되면서, 패턴이 순차 형성되어 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기(100)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상기 스테이지(113) 상에 흡착 유지한 기재(1)에 대하여 상기 스퀴즈 롤러(118)가 전동하여, 당해 기재(1)의 주름을 펴서 소멸시키므로, 당해 기재(1)에 상기 블랭킷동(121)으로 잉크를 고품위로 인쇄할 수 있고, 당해 기재(1)에 고품위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2) 상기 기재(1) 상에 존재하고 있는 티끌이나 먼지 등을 상기 스퀴즈 롤러(118)를 통하여 상기 점착 롤러(119)에 회수할 수 있으므로, 당해 기재(1)에 잉크를 더욱 고품위로 인쇄할 수 있고, 당해 기재(1)에 더욱 고품위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3) 상기 스퀴즈 롤러(118) 및 상기 점착 롤러(119)를 왕복 이동시키는 상기 슬라이드 프레임(115)에 상기 CCD 카메라(130)를 일체적으로 설치한 점에서, 당해 슬라이드 프레임(115)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113)에 대한 상기 기재(1)의 위치를 검지하도록 촬영하면서 상기 롤러(118, 119)와 함께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당해 스테이지(113) 상의 상기 기재(1)의 견당 위치 정보의 입수(견당 확인)와 당해 기재(1)의 주름 펴기를 동시에 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상기 기재(1)를 상기 스테이지(113)에 흡인 유지하고나서, 상기 조출 롤러(123)와 당해 스테이지(113) 사이의 상기 기재(1)의 장력을 느슨하게 함과 아울러, 상기 흡인 롤러(125)와 당해 스테이지(113) 사이의 상기 기재(1)의 장력을 느슨하게 한 후에 당해 기재(1)의 견당을 맞추도록 한 점에서, 당해 스테이지(113)의 천지 방향(X방향), 좌우 방향(Y방향), 비틀기 방향(θ방향)의 위치를 조정해도 당해 스테이지(113) 상의 당해 기재(1)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당해 기재(1)에 상기 블랭킷동(121)으로 잉크를 고품위로 인쇄할 수 있고, 당해 기재(1)에 고품위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또한, 상기 왕복 이동 장치(157, 158)로서는 상기 서술한 리니어 모터 이외에도 래크 앤드 피니언, 볼나사, 로드리스 실린더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퀴즈 롤러(118)와 상기 점착 롤러(119)를 항상 맞닿도록 상기 지지 블록(11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했지만, 다른 실시형태로서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향한 긴 구멍을 통하여 상기 스퀴즈 롤러(118)를 상기 지지 블록(117)에 축지지함으로써, 상기 액추에이터(116)를 작동시켜, 상기 지지 블록(117)을 상승시켜 당해 스퀴즈 롤러(118) 및 상기 점착 롤러(119)를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에, 당해 지지 블록(117)에 대하여 상기 긴 구멍을 통하여 당해 스퀴즈 롤러(118)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당해 점착 롤러(119)로부터 이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 블록(117)을 하강시켜 당해 스퀴즈 롤러(118) 및 상기 점착 롤러(119)를 상기 작동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에, 당해 지지 블록(117)에 대하여 상기 긴 구멍을 통하여 당해 스퀴즈 롤러(118)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당해 점착 롤러(119)에 맞닿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조출 롤러(123)를 정역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 모터(151)에 상기 로터리 인코더(131) 및 상기 텐션 센서(132)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흡인 롤러(125)를 정역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 모터(153)에 상기 텐션 센서(133)를 설치하고, 상기 로터리 인코더(13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1)의 조출량을 검지함과 아울러, 상기 텐션 센서(132, 13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이의 상기 기재(1)의 장력을 검지하도록 했지만, 다른 실시형태로서, 예를 들면 상기 텐션 센서(132, 133)를 생략하고, 상기 구동 모터(153)에 로터리 인코더를 설치하고, 당해 로터리 인코더와 함께 상기 로터리 인코더(13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재(1)의 조출량 및 상기 사이의 상기 기재(1)의 장력을 검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기는 기재에 잉크를 고품위로 인쇄할 수 있고, 신축성의 유무에 상관없는 각종 기재에 고품위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매우 유익하게 이용할 수 있다.
1…기재
100…인쇄기
111…지지대
112…가이드 레일
113…스테이지
114…견당 조정 장치
115…슬라이드 프레임
115a…연결 스테이
116…액추에이터
117…지지 블록
118…스퀴즈 롤러
119…점착 롤러
120…지지 프레임
121…블랭킷동
122…판동
123…조출 롤러
124…권취 롤러
125…흡인 롤러
126…버퍼 롤러
127…가이드 롤러
128, 129…흡인 펌프
130…CCD 카메라
131…로터리 인코더
132, 133…텐션 센서
140…제어 장치
141…입력기
151~155…구동 모터
156…승강 이동 장치
157, 158…왕복 이동 장치

Claims (6)

  1. 웹형상의 기재를 조출하는 기재 조출 수단과,
    상기 기재 조출 수단으로부터 조출된 기재를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기재 조출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 사이에 배열설치되어 기재를 상면에서 지지하는 스테이지와,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에 기재를 유지시키는 기재 유지 수단과,
    상기 스테이지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테이지 위치 조정 수단과,
    상기 스테이지 상의 기재에 잉크를 인쇄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패턴 형성 수단과,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에 유지되어 있는 기재에 대해 전동하여 상기 기재의 주름을 펴는 주름 펴기 롤러
    를 구비하고 있는 인쇄기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의 상면에 기재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기재 유지 수단을 제어한 후에, 상기 기재 조출 수단과 상기 스테이지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도록 당해 기재 조출 수단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스테이지와 상기 반송 수단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도록 당해 반송 수단을 제어하고나서, 상기 스테이지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스테이지 위치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스테이지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상기 스테이지 위치 조정 수단을 제어한 후에, 상기 스테이지 상의 기재에 잉크를 인쇄하여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패턴 형성 수단을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스테이지 상의 기재에 잉크를 인쇄하여 패턴을 형성하도록 상기 패턴 형성 수단을 제어한 후에, 상기 기재 조출 수단과 상기 스테이지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기 직전의 크기로 되돌리도록 당해 기재 조출 수단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스테이지와 상기 반송 수단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기 직전의 크기로 되돌리도록 당해 반송 수단을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기재 조출 수단과 상기 스테이지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는 경우에, 기재를 당해 기재 조출 수단으로부터 당해 스테이지를 향하여 조출하도록 당해 기재 조출 수단을 제어하는 한편, 당해 기재 조출 수단과 당해 스테이지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기 직전의 크기로 되돌리는 경우에, 기재를 조출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당해 스테이지로부터 당해 기재 조출 수단을 향하여 되감도록 당해 기재 조출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스테이지와 상기 반송 수단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는 경우에, 기재를 당해 반송 수단으로부터 당해 스테이지를 향하여 되돌리도록 당해 반송 수단을 제어하고, 당해 스테이지와 당해 반송 수단 사이의 기재의 장력을 느슨하게 하기 직전의 크기로 되돌리는 경우에, 기재를 되돌린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당해 스테이지로부터 당해 반송 수단을 향하여 송출하도록 당해 반송 수단을 제어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성을 가지는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주름 펴기 롤러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티끌 제거 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펴기 롤러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스테이지에 대한 상기 기재의 위치를 검지하여, 상기 스테이지 상의 상기 기재의 견당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 수단에 제공하는 기재 위치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재 위치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견당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테이지 위치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
KR1020160028990A 2015-03-13 2016-03-10 인쇄기 KR1024823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50132A JP6448132B2 (ja) 2015-03-13 2015-03-13 印刷機
JPJP-P-2015-050132 2015-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227A KR20160110227A (ko) 2016-09-21
KR102482313B1 true KR102482313B1 (ko) 2022-12-29

Family

ID=56981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990A KR102482313B1 (ko) 2015-03-13 2016-03-10 인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48132B2 (ko)
KR (1) KR102482313B1 (ko)
CN (1) CN105966961B (ko)
TW (1) TWI6983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7271B (zh) 2018-01-04 2019-08-06 惠科股份有限公司 缓冲材输送卷绕设备、缓冲材输送方法及模组绑定系统
CN113022100B (zh) * 2021-03-01 2022-05-24 山东华冠智能卡有限公司 一种石墨烯rfid电子标签天线的成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9761A (ja) * 1994-07-28 1996-02-13 Nitto Boseki Co Ltd 連続シート印刷位置決め方法及び装置
CN100517080C (zh) * 2006-04-27 2009-07-22 株式会社Orc制作所 搬运装置
JP2008246938A (ja) * 2007-03-30 2008-10-16 Toppan Printing Co Ltd 精細パターンの印刷方法
CN201102827Y (zh) * 2007-09-11 2008-08-20 湖北平安电工材料有限公司 云母纸放卷装置
JP2010023393A (ja) * 2008-07-23 2010-02-04 Toppan Printing Co Ltd 印刷方法及び印刷装置
JP5439211B2 (ja) * 2010-02-05 2014-03-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印刷方法
KR101170894B1 (ko) * 2010-04-22 2012-08-06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인쇄장치
US20130239831A1 (en) * 2011-04-01 2013-09-19 Lg Chem, Ltd.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CN105752686B (zh) * 2012-04-03 2018-09-21 株式会社尼康 基板处理装置
JP6112502B2 (ja) * 2012-10-05 2017-04-12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グラビアオフセット印刷機
CN103496604B (zh) * 2013-09-27 2016-03-02 汕头万顺包装材料股份有限公司 收卷装置及使用该装置的收卷方法
KR101376160B1 (ko) * 2013-12-05 2014-03-21 엠에스티코리아(주) 롤투롤 필름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66961A (zh) 2016-09-28
TWI698352B (zh) 2020-07-11
JP2016168749A (ja) 2016-09-23
KR20160110227A (ko) 2016-09-21
CN105966961B (zh) 2020-03-24
JP6448132B2 (ja) 2019-01-09
TW201641312A (zh)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9211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及び印刷方法
JP2011161661A5 (ko)
US10889103B2 (en) Screen printer and screen printing method
JP5829494B2 (ja) マスク印刷方法および装置
JP2011189668A (ja) マスククリーニング装置、スクリーン印刷機、マスク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KR102482313B1 (ko) 인쇄기
JP2006289792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KR101798142B1 (ko) 롤투롤 공정 제어 방법
JP2011189669A (ja) ペーパー部材進行量検出装置、スクリーン印刷機、ペーパー部材進行量検出方法及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JP4972449B2 (ja) 基板搬送装置及び印刷装置
CN112218761B (zh) 丝网印刷机
JP2016168837A (ja) 印刷機
KR20240028731A (ko) 인쇄기
KR20140089818A (ko) 스크린 인쇄 장치
JP2008006705A (ja) 印刷装置
JP2006289787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KR101597179B1 (ko) 부자재 부착장치
KR101553330B1 (ko) 부자재 부착장치
KR101244251B1 (ko) 롤투롤 인쇄장치
JP2008260214A (ja) 基板搬送装置及び印刷装置
JP2019018534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6792458B2 (ja) 製造作業機
JP2004034529A (ja) スクリ−ン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5185806B2 (ja) スクリーン印刷機
JP2010118630A (ja) スクリーン印刷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