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136B1 -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2136B1 KR102482136B1 KR1020150191200A KR20150191200A KR102482136B1 KR 102482136 B1 KR102482136 B1 KR 102482136B1 KR 1020150191200 A KR1020150191200 A KR 1020150191200A KR 20150191200 A KR20150191200 A KR 20150191200A KR 102482136 B1 KR102482136 B1 KR 1024821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cking
- cart
- docking cart
- unit
- observer modu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96—Identification of the cart or merchandise, e.g. by barcodes 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은 RFID 태그를 부착한 도킹 카트; 상기 도킹 카트가 거치되면, 상기 RFID 태그를 읽어 상기 도킹 카트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기가 포함된 도킹 대기부; 상기 RFID 리더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킹 카트와 상기 도킹 대기부는,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 실장기에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도킹 카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도킹 카트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장기는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부품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장치로서 공급된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부품을 픽업할 수 있게 X, Y, Z축 이동 및 회전에 가능한 픽업헤드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부품 실장 장비와 도킹 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장기에는 기판에 종류에 따라 최적의 공정으로 실장될 수 있게 테이프 피더가 배치되고 있다. 따라서 기판의 종류가 변경되면 배치된 테이프 피더를 일부 또는 전체를 교체하여야 한다.
그리고 테이프 피더를 교체하는 방법으로는 테이프 피더를 낱개씩 교체하는 방법과, 최적화 경로로 배치된 테이프 피더를 피더베이스에 설치하여 일괄로 교체하는 방법이 있는데 테이프 피더의 교체시간을 줄일 수 있게 일괄로 교체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여기서 피더베이스를 이용하여 일괄로 테이프 피더를 교체하는 방법으로는 부품 실장기의 기준이 되는 면의 하부로 진입시킨 후 픽업되는 위치까지 상승시키는 방법과, 피더베이스를 표면실장기의 기준이 되는 면의 상부로 진입시킨 후 픽업되는 위치까지 하강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 때 피더베이스를 승강시켜 부품 실장기에 도킹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체가 구빈된 도킹 카트가 마련되는데, 도킹 카트는 부품 실장기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며 생산성 향상을 위해 미리 피더 배치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을 생성하고 부품 공급부 구성을 위해 사전에 각 장비에 대한 릴리스트를 프린트로 출력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된 릴리스트 페이지를 근거로 부품 공급부의 배치를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피더 또는 릴의 추가, 제거, 변경 등의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만약 프로그래머가 기존에 작성된 작업의 피더와 릴 배치를 변경할 경우에는 릴리스트의 갱신이 필요하다. 이 때, 작업자는 릴리스트의 출력 전에 프로그래머가 작업을 수정하면서 부품 공급부 구성을 변경하였는지 조회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갱신 유무 조회 및 갱신 릴리스트 확인, 부품 공급부 재구성 과정은 실시간 동기화가 불가능하고 물리적 출력 과정이 포함되기 때문에 간접 비용이 존재한다. 또한 작업자 또는 프로그래머의 착오로 인한 작업 오차 발생 가능성이 농후하다. 더불어, 여유 도킹 카트의 수가 늘어날수록 차기 생산 계획에 따른 구성을 사전에 넉넉하게 구성할 수 있지만 관리가 비례적으로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도킹 카트를 사전 준비 프로그램이 설치 되어있는 PC와 물리적으로 연결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직접 사용자가 도킹 카트를 컴퓨터 앞으로 이동 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피더 내에 설치되어 있는 부품의 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컴퓨터와 일일이 연결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또한, 준비 되어있는 도킹 카트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는 정해진 위치에 도킹 카트를 거치해 놓아야 하나 만약 다른 사용자가 도킹 카트 위치를 바꿀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도킹 카트를 준비 장치에 연결하거나, 도킹 카트에 부품 목록을 프린트하여 부착하는 등 불편한 작업이 수반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부품 실장기에 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도킹 카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도킹 카트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은 RFID 태그를 부착한 도킹 카트; 상기 도킹 카트가 거치되면, 상기 RFID 태그를 읽어 상기 도킹 카트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기가 포함된 도킹 대기부; 상기 RFID 리더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킹 카트와 상기 도킹 대기부는,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도킹 카트에 RFID 태그를 부착하고, 도킹 카트가 거치될 수 있는 도킹 대기부에 RFID 리더기가 내장됨으로써, 도킹 카트가 도킹 대기부에 거치되면 RFID 태그의 정보들이 RFID 리더기로 송신되어 도킹 카트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릴리스트 조회, 피더 및 릴 배치 등 도킹 카트와 부품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부품 실장기와 도킹 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와 도킹 대기부(2) 각각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가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추적의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존 작업이 완료되어 새 작업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와 도킹 대기부(2) 각각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가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추적의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존 작업이 완료되어 새 작업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와 도킹 대기부(2) 각각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가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RFID 태그(10)(Tag)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대기부(2)는 상면에 RFID 리더기(20)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RFID 리더기(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21)를 포함한다.
상기 RFID 태그(10)는 트랜스폰더(Transponder)라고도 한다. RFID 태그(10)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IC 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안테나 등을 내장하고 있다. 그리고 에너지원에 따라 구분되는 능동형 태그(Active Tag)와 수동형 태그(Passive Tag)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상기 RFID 통신 가운데, NF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FC(근거리 무선 통신: Near Field Communication)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의 하나로서,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디바이스(10)가 13.56 MHz 주파수 대역에서 낮은 전력으로 근접거리(1cm ~ 10cm)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비접촉식 단말기간 데이터 교환기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대기부(2)에는 NFC 리더기가 내장되어, 도킹 카트(1)가 도킹 대기부(2)에 거치하면 도킹 카트(1)에 부착된 NFC 태그와 NFC 리더기가 상호 인식 및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리더기를 장착한 도킹 대기부(2)는 통상의 NFC 통신방식을 통해 NFC 태그와 통신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NFC 태그에는 고유의 태그 킷값이 있다. NFC 태그가 NFC 리더기에 태그하면, NFC 리더기는 NFC 태그의 태그 킷값을 수신하고, 태그 킷값을 식별하여 수신된 태그 킷값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킷값을 비교한다. 이렇게 비교한 두 킷값이 서로 일치하면 NFC 리더기에서 NFC 태그의 인증 정보를 수신한다. NFC 리더기에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확인하면, 옵저버 모듈(5)에 해당 도킹 카트(1)가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되었다는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옵저버 모듈(5)에서 도킹 카트(1)가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된 사실을 디스플레이로 보여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RFID 통신은 NFC에 제한되지 않고, 상호간에 정보를 용이하게 송수신할 수 있다면 다양한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1)는 RFID 리더기(20)가 작동하도록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21)는 외부의 AC 전원을 DC로 변압하는 AC-DC 컨버터일 수도 있고, 또는 외부에서 DC 전원이 공급되면 RFID 리더기(20)에 적정 전압이 조절하는 DC-DC 컨버터일 수도 있다. 또는 직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21)는, RFID 리더기(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카트(1)와 도킹 대기부(2)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도킹 카트(1)에는 각각 RFID 태그(10)가 부착되어 있고, 복수의 도킹 대기부(2)에는 각각 RFID 리더기(20)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은 라인 제어부(4)와 옵저버 모듈(5)을 더 포함한다.
옵저버 모듈(5)이란 라인 제어부(4)에 접속하여 도킹 상태, 릴 리스트 등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조회가 가능하도록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옵저버 모듈(5)을 이용하여 생산확정 작업 조회, 각 도킹의 릴리스트 조회, 각 도킹의 위치 조회, 도킹의 현 피더 배치와 차후 피더 배치간 상호 비교 등이 가능하다.
옵저버 모듈(5)은 각각의 도킹 대기부(2)와 도킹 카트(1)의 현황을 영상으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화면 표시부(50), 상기 라인 제어부(4)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51)를 포함한다. 그리고 라인 제어부(4)는, 해당 상기 복수의 도킹 카트(1), 복수의 도킹 대기부(2), 복수의 실장 장비(3)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옵저버 모듈(5)로 송신하며, 옵저버 모듈(5)로부터 전송된 명령 신호를 다시 상기 복수의 도킹 카트(1)로 전송한다.
RFID 리더기(20)는 RFID 통신으로 제공된 인증 정보와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확인하는 매칭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매칭부는 RFID 태그(10)에 저장된 도킹 카트(1)의 고유 인증 정보와 도킹 대기부(2)의 해당 위치를 매칭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킹 카트(1)에는 RFID 태그(10)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안테나와 같은 RF 송수신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해당 도킹 카트(1)에 대한 인증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인증 정보 설정부와, 상기 인증 정보 설정부에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부를 구비한다. 회로부는 복조기(Demodulator), 필터,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주는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옵저버 모듈(5)을 통해 임의의 작업을 선택하면, 현재 준비되어 있는 도킹 카트(1) 목록, 도킹 카트(1)가 도킹되어 있는 위치, 현재 도킹 카트(1) 준비율(준비된 피더 개수/ 필요한 전체 피더 개수) 등을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옵저버 모듈(5)은 일반적인 감시 컴퓨터일 수도 있지만,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휴대를 하며 상기 도킹 카트(1)의 도킹 대기부(2) 거치 여부 및 부품 실장기 도킹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라인 제어부(4)와 옵저버 모듈(5)은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간에 통신할 수도 있지만,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 추적의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원칙적으로는 복수의 도킹 카트(1)와 도킹 대기부(2)가 존재하면, 각각의 도킹 카트(1)는 거치될 도킹 대기부(2)가 정해져 있다. 즉, 제1 도킹 카트(1a)는 제1 도킹 대기부(2a)에, 제2 도킹 카트(1b)는 제2 도킹 대기부(2b)에 거치된다. 그러나, 도킹 카트(1)에 의해 운반될 피더 및 릴의 종류와 개수, 그리고 작업의 순서와 작업이 수행될 시간 등을 고려하면, 도킹 카트(1)가 항상 정해진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킹 카트(1)가 많아질수록, 이를 관리하는 것이 복잡해지며, 필요한 도킹 카트(1)가 어느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도킹 대기부(2)에 도킹 카트(1)가 거치되면, RFID 리더기(20)가 도킹 카트(1)에 부착된 RFID 태그(10)를 통해 거치된 해당 도킹 카트(1)를 식별한다.
그리고, 상기 RFID 태그(10)에는 도킹 카트(1)의 인증 정보, 도킹 카트(1)에 포함된 피더 및 릴의 종류와 개수, 피더의 배치, 사용 여부 및 여유분의 개수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를 각각의 도킹 대기부(2)가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 서버로 송신한다. 데이터 베이스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카트(1)의 인증 정보, 작업의 이름, 장비의 이름, 도킹 카트(1)의 위치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라인 제어부(4)를 통해 옵저버 모듈(5)로 상기 정보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옵저버 모듈(5)에서도 도 6에 도시된 실 레이아웃이 도식화된 영상이 화면에 출력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에는 상기 도킹 대기부(2)의 설치 위치가 나타나며, 도 6에 도시된 N-N 은 해당 보관대의의 위치를 표시하는 도킹 대기부(2)의 ID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도킹 카트(1)를 쉽게 찾기 위해 도킹 대기부(2) 조회 기능을 사용한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는 상기 각 도킹 카트(1)별로 현재 거치되어 있는 RFID 태그(10)의 ID가 저장된다. 사용자는 옵저버 모듈(5)의 화면 표시부(50)를 이용하여 공장 레이아웃에서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도킹 카트(1)가 거치되어 있는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
작업 순서에 따라 필요한 부품이 사용되어야 하는 경우, 해당 부품들이 배치된 피더 및 릴이 포함된 도킹 카트(1)가 도킹 대기부(2)에서 제거된다. 그리고 해당 도킹 카트(1)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실장 장비(3)로 이동된 후, 상기 실장 장비(3)에 도킹된다. 그리고 상기 도킹된 사실은 상기 실장 장비(3)가 네트워크를 통해 라인 제어부(4)로 전달된다. 라인 제어부(4)는 이를 실시간으로 옵저버 모듈(5)로 전송하여 업데이트된다. 상기 옵저버 모듈(5)을 통해 해당 도킹 카트(1)가 어느 실장 장비(3)에 도킹이 되었는지 사용자가 알 수 있다. 실장 작업이 종료되면, 피더 및 릴의 사용 여부 및 여유분의 개수가 자동으로 라인 제어부(4)로 전달된다.
사용자는 상기의 방법으로 도킹 카트(1)가 거치된 도킹 대기부(2), 도킹 카트(1)가 도킹된 실장 장비(3), 피더 및 릴의 종류와 개수, 사용 여부, 여유분의 개수 등을 한 눈에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킹 카트(1)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존 작업이 완료되어 새 작업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저버 모듈(5)에는 복수의 생산 장비들과, 상기 생산 장비들 각각에 도킹된 도킹 카트(1)가 도식화된 공장 레이아웃이 표시된다. 그리고, 일측에는 당일 작업 계획 목록이 나열되어 있다. 상기 당일 작업 계획 목록은 사용자가 미리 작업의 계획을 세우고, 계획대로 작업의 순서를 등록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 계획 목록에는 완료된 작업, 진행중인 작업이 표시되고, 진행중인 작업에는 남은 시간이 표시된다. 추후 진행해야 될 작업에는 작업을 착수할 시간이 표시된다.
현재 진행중인 기존 작업이 완료된다면, 새 작업으로 변경하여야 한다. 그리고 작업이 변경되면 상기 작업에 대응되는 부품이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킹 카트(1)도 함께 변경되어야 한다.
사용자가 다음 작업을 선택하면, 상기 옵저버 모듈(5)은 다음 작업에 사용되어야 할 부품이 포함된 도킹 카트(1)를 파악한다. 또한, 해당 도킹 카트(1)가 거치된 도킹 대기부(2) 또는 해당 도킹 카트(1)가 도킹된 실장 장비(3)를 파악한다. 그리고 옵저버 모듈(5)은 상기 도킹 카트(1)가 위치한 도킹 대기부(2) 또는 실장 장비(3)에 대응되는 레이아웃을 표시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이아웃은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위치를 인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옵저버 모듈(5)에서 상기 레이아웃이 깜박이거나, 상기 레이아웃을 나타낸 글씨가 굵어지는 등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도킹 카트(1)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식으로 레이아웃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도킹 카트(1)에는 램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제로 도킹 대기부(2)에 거치되어 있거나 실장된 장비에 도킹되어 있는 해당 도킹 카트(1)에도, 상기 램프에 광이 방출됨으로써 현재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도킹 카트(1)에는 램프가 아닌 스피커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해당 도킹 카트(1)에 설치된 스피커에서 소리가 방출됨으로써 현재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기 램프는 LED 램프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할로겐 램프, 백열등 등 상기 도킹 카트(1)를 나타내도록 광을 방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진행중인 기존 작업의 남은 시간, 새로운 작업을 착수할 시간, 새로운 작업에 필요한 도킹 카트(1)의 위치 등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의 진행이 빠르고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도킹 카트 2: 도킹 대기부
3: 실장 장비 4: 라인 제어부
5: 옵저버 모듈 10: RFID 태그
20: RFID 리더기 21: 전원 공급부
50: 화면 표시부
3: 실장 장비 4: 라인 제어부
5: 옵저버 모듈 10: RFID 태그
20: RFID 리더기 21: 전원 공급부
50: 화면 표시부
Claims (6)
- 복수의 실장 장비에 부품을 제공하며, RFID 태그를 부착한 복수의 도킹 카트;
상기 도킹 카트가 상기 실장 장비에 거치되면, RFID 통신을 통해 상기 RFID 태그를 읽어 상기 도킹 카트의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RFID 리더기가 포함된 도킹 대기부;
상기 RFID 리더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도킹 카트가 거치된 도킹 대기부 또는 상기 도킹 카트가 도킹된 실장 장비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옵저버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도킹 카트와 상기 도킹 대기부는,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옵저버 모듈은 상기 복수의 실장 장비 및 각 실장 장비에 거치된 도킹 카트가 도식화된 레이아웃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도킹 카트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저버 모듈은 상기 도킹 카트의 사용 여부, 작업 목록, 부품의 여유분 개수를 영상으로 출력하여 나타내는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도킹 카트, 상기 도킹 대기부, 상기 실장 장비들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옵저버 모듈에 전송하고, 상기 옵저버 모듈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도킹 카트, 상기 도킹 대기부, 상기 실장 장비에 전송하는 라인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91200A KR102482136B1 (ko) | 2015-12-31 | 2015-12-31 |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91200A KR102482136B1 (ko) | 2015-12-31 | 2015-12-31 |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0039A KR20170080039A (ko) | 2017-07-10 |
KR102482136B1 true KR102482136B1 (ko) | 2022-12-27 |
Family
ID=5935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91200A KR102482136B1 (ko) | 2015-12-31 | 2015-12-31 |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2136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9090A (ja) | 1998-08-03 | 2000-02-25 | Yamaha Motor Co Ltd | 実装機における段取りタイミングの管理方法及び同装置 |
JP2008040640A (ja) * | 2006-08-03 | 2008-02-21 | Hitachi Ltd | 作業管理装置、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方法、並びにピッキング台車 |
JP2008103418A (ja) * | 2006-10-17 | 2008-05-01 | Yamaha Motor Co Ltd | 実装機およびフィーダー |
WO2014010083A1 (ja) * | 2012-07-13 | 2014-01-16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部品実装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48987A (ko) | 2005-11-07 | 2007-05-10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Rfid를 이용한 칩 마운터의 피더 인식시스템 |
KR20080068736A (ko) * | 2008-06-10 | 2008-07-23 |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 부품 탑재 장치에서의 작업 지원 시스템, 부품 배열의 인식방법 및 카세트 배열의 인식 방법 |
-
2015
- 2015-12-31 KR KR1020150191200A patent/KR1024821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59090A (ja) | 1998-08-03 | 2000-02-25 | Yamaha Motor Co Ltd | 実装機における段取りタイミングの管理方法及び同装置 |
JP2008040640A (ja) * | 2006-08-03 | 2008-02-21 | Hitachi Ltd | 作業管理装置、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方法、並びにピッキング台車 |
JP2008103418A (ja) * | 2006-10-17 | 2008-05-01 | Yamaha Motor Co Ltd | 実装機およびフィーダー |
WO2014010083A1 (ja) * | 2012-07-13 | 2014-01-16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部品実装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0039A (ko) | 2017-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6209389U (zh) | 用于过程控制系统中的多模式rfst通信的装置 | |
US10172217B2 (en) | Method for configuring an electronic element in a lighting system, electronic element and configuring system | |
US20110291813A1 (en) | Asset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 |
JP4299847B2 (ja) | 作業管理装置、作業管理システム、及び作業管理方法 | |
WO2014017142A1 (ja) | 電子機器の電源管理方法、電源管理プログラム、電子機器、給電装置 | |
JP2007254040A (ja) | 棚出し管理システム、棚出し管理方法及び棚出し管理用プログラム | |
WO2019033885A1 (zh) | 载体管理方法、管理终端、设备、系统及存储介质 | |
JP2016143270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用のプログラム | |
CN104204972A (zh) | 用于现场设备的无线操作的方法 | |
EP3893621B1 (en) | Machine management system for substrate-working machines | |
EP2908613B1 (en) | Tape feeder component comparison system | |
JP2005204412A (ja) | 配線管理システム | |
KR102482136B1 (ko) | 도킹 카트 관리 시스템 | |
US9992617B1 (en) |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 |
JP5748921B1 (ja) | 物品管理システム | |
US10628642B2 (en) | Wireless communicator-indicator | |
US9893485B2 (en) | Data transfer connector, system and method | |
JP6530309B2 (ja) | 部品管理システム | |
JP2014150960A (ja) | 補助ロープ取付確認装置 | |
JP2018125383A (ja) | 部品供給装置 | |
US20200050183A1 (en) | Status collecting system | |
JP2017102690A (ja) | 部品管理システム | |
JP2005132580A (ja) | ピッキングシステム | |
JP6530308B2 (ja) | 部品管理システム | |
JP6525232B2 (ja) |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の処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