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038B1 - 투명 도전성 필름 - Google Patents

투명 도전성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038B1
KR102481038B1 KR1020197016891A KR20197016891A KR102481038B1 KR 102481038 B1 KR102481038 B1 KR 102481038B1 KR 1020197016891 A KR1020197016891 A KR 1020197016891A KR 20197016891 A KR20197016891 A KR 20197016891A KR 102481038 B1 KR102481038 B1 KR 102481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conductive
mass
less
part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9392A (ko
Inventor
히로미치 나카시마
나오키 하시모토
히로유키 다카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9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44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투명 도전성 필름은, 투명 기재와, 투명 기재의 편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층과, 투명 기재 및 투명 도전층의 사이에 개재하는 중간층을 구비하고, 중간층은, 5 ㎚ 이상, 45 ㎚ 미만인 메디안 직경을 갖는 제 1 무기 입자와, 45 ㎚ 이상, 120 ㎚ 미만인 메디안 직경을 갖는 제 2 무기 입자와, 수지를 포함하고, 제 1 무기 입자의,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 비율이, 65 질량부 이상, 235 질량부 이하이며, 제 2 무기 입자의,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 비율이, 5 질량부 이상, 80 질량부 이하이다.

Description

투명 도전성 필름
본 발명은 투명 도전성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 투명 고분자 기재 상에 안티 블로킹층, 색차 조정층 및 투명 도전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투명 도전성 적층체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투명 도전성 적층체에서는, 투명 도전층을 소정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안티 블로킹층에 의해 안티 블로킹성을 담보하면서, 색차 조정층에 의해 패턴 시인성의 차이를 억제하여, 광학 특성을 담보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66477호
그런데, 특허문헌 1 에서는, 안티 블로킹층 및 색차 조정층의 2 층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층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최근 안티 블로킹성 및 광학 특성의 양방의 추가적인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층 구성이 간단하고, 내블로킹성 및 광학 특성의 양방이 우수한 투명 도전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 (1) 은,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편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층과, 상기 투명 기재 및 상기 투명 도전층의 사이에 개재하는 중간층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층은, 5 ㎚ 이상, 45 ㎚ 미만인 메디안 직경을 갖는 제 1 무기 입자와, 45 ㎚ 이상, 120 ㎚ 미만인 메디안 직경을 갖는 제 2 무기 입자와,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무기 입자의, 상기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 비율이, 65 질량부 이상, 235 질량부 이하이며, 상기 제 2 무기 입자의, 상기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 비율이, 5 질량부 이상, 80 질량부 이하인, 투명 도전성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 (2) 는, 상기 제 1 무기 입자 및 상기 제 2 무기 입자의, 상기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 비율이, 85 질량부 이상, 260 질량부 이하인, (1) 에 기재된 투명 도전성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 (3) 은, 상기 중간층은, 500 ㎚ 미만의 두께를 갖는, (1) 또는 (2) 에 기재된 투명 도전성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 (4) 는, 상기 중간층이, 내블로킹 광학 조정층인,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명 도전성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 (5) 는, 상기 제 1 무기 입자 및 상기 제 2 무기 입자가 모두 지르코니아 입자인, (1) ∼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명 도전성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 (6) 은, 상기 투명 기재와 상기 중간층의 사이에 개재하는 하드 코트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1) ∼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투명 도전성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 (7) 은, 상기 하드 코트층은, 그 표면에 복수의 돌기를 갖고, 상기 돌기의, 상기 하드 코트층 1 ㎠ 당에 있어서의 최대 돌출 길이가 200 ㎚ 이하인, (6) 에 기재된 투명 도전성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필름은, 층 구성이 간단하고, 내블로킹성 및 광학 특성의 양방이 우수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필름의 일 실시형태 (투명 기재 상에, 하드 코트층, 중간층 및 투명 도전층이 형성되는 양태) 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투명 도전성 필름의 변형예 (투명 기재의 상하에, 하드 코트층, 중간층 및 투명 도전층이 형성되는 양태) 를 나타낸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투명 도전성 필름의 변형예 (투명 기재 상에, 중간층 및 투명 도전층이 형성되는 양태) 를 나타낸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투명 도전성 필름의 변형예 (투명 기재의 상하에, 중간층 및 투명 도전층이 형성되는 양태) 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투명 도전성 필름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 투명 도전성 필름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필름 형상 (시트 형상을 포함한다) 을 이루고,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 (면 방향) 으로 연장되고, 평탄한 상면 및 평탄한 하면 (2 개의 주면) 을 갖는다.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투명 기재 (2) 와, 투명 기재 (2) 의 편측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층 (5) 과, 투명 기재 (2) 및 투명 도전층 (5) 의 사이에 개재하는 하드 코트층 (3) 및 중간층 (4) 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투명 기재 (2) 와, 하드 코트층 (3) 과, 중간층 (4) 과, 투명 도전층 (5) 을 순서대로 구비한다. 요컨대,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투명 기재 (2) 와, 투명 기재 (2) 상에 형성되는 하드 코트층 (3) 과, 하드 코트층 (3) 상에 형성되는 중간층 (4) 과, 중간층 (4) 상에 형성되는 투명 도전층 (5) 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투명 기재 (2), 하드 코트층 (3), 중간층 (4) 및 투명 도전층 (5) 만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층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2. 투명 기재
투명 기재 (2) 는,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하층으로서,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기계 강도를 확보하는 지지층 (지지재) 이다. 또, 투명 기재 (2) 는, 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름 형상을 갖고 있으며, 평탄한 평면 및 평탄한 하면 (2 개의 주면) 을 갖는다.
투명 기재 (2) 는,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고분자 필름은, 투명성을 갖는다. 고분자 필름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 수지 (아크릴 수지 및/또는 메타크릴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올레핀폴리머 (COP) 등의 올레핀 수지,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예를 들어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수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수지,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수지,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수지,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분자 필름은, 단독 사용 또는 2 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투명성, 기계 특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OP 를 들 수 있다.
투명 기재 (2) 의 두께는, 예를 들어 2 ㎛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3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이다.
3. 하드 코트층
하드 코트층 (3) 은,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내찰상성을 높이는 층으로서, 투명 기재 (2) 와 다음에 설명하는 중간층 (4) 의 사이에 개재하는 층이다. 하드 코트층 (3) 은, 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름 형상을 갖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면 및 평탄한 하면 (2 개의 주면) 을 갖는다.
하드 코트층 (3) 은, 필름 형상 (시트 형상을 포함한다) 을 갖고 있으며, 투명 기재 (2) 의 상면 전면에 직접 접촉하고 있다.
하드 코트층 (3) 은, 예를 들어 공지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또, 수지 조성물은, 후술하는 입자 (유기 입자나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입자) 를 적당한 비율로 함유할 수도 있다.
또, 하드 코트층 (3) 은, 그 상면에 복수의 돌기 (도시 생략) 를 가져도 되고, 그러한 돌기의, 하드 코트층 (3) 1 ㎠ 당에 있어서의 최대 돌출 길이가, 예를 들어 2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며, 또 예를 들어 1 ㎚ 이상이다. 돌기의 최대 돌출 길이가 상기한 상한 이하이면, 하드 코트층 (3) 의 상면을 실질적으로 평활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헤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하드 코트층 (3) 의 상면의 거침도 (표면 조도) 는, 예를 들어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며, 또 예를 들어 0.1 ㎚ 이상이다. 하드 코트층 (3) 의 표면 조도의 측정 방법은, 이후의 실시예에서 기재된다.
하드 코트층 (3) 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 ㎛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4. 중간층
중간층 (4) 은, 하드 코트층 (3) 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중간층 (4) 은, 하드 코트층 (3) 과 다음에 설명하는 투명 도전층 (5) 의 사이에 개재하는 층이다. 또, 중간층 (4) 은, 목적에 따른 기능성을 부여하는 기능층이다. 구체적으로는 중간층 (4) 은, 투명 도전성 필름 (1) 에 내블로킹성을 부여하면서, 투명 도전층 (5) 이 이후의 공정에서 패턴으로 형성된 후에, 비패턴부와 패턴부의 상위가 인식되지 않도록 (즉, 패턴 시인을 억제하도록), 투명 도전층 (5) 의 광학 물성을 조정하는, 내블로킹 광학 조정층이다.
중간층 (4) 은, 하드 코트층 (3) 의 상면 전면에 직접 접촉하고 있다. 중간층 (4) 은, 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름 형상을 갖고 있다. 중간층 (4) 은, 이후에 설명하는 제 2 무기 입자에서 기인하는 요철상의 상면 (도 1 에 있어서 나타나 있지 않다), 및 하드 코트층 (3) 의 상면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하면 (2 개의 주면) 을 갖는다.
중간층 (4) 은, 제 1 무기 입자와, 제 2 무기 입자와, 수지를 함유한다. 구체적으로는 중간층 (4) 은, 제 1 무기 입자와, 제 2 무기 입자와, 수지를 함유하는 입자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요컨대, 중간층 (4) 의 재료는, 입자 수지 조성물이다.
입자 수지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제 1 무기 입자와, 제 2 무기 입자와, 수지를 함유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자 수지 조성물은, 제 1 무기 입자와, 제 2 무기 입자와, 수지만으로 이루어진다.
4-1. 제 1 무기 입자
제 1 무기 입자는, 무기 입자 중 메디안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소입자이다. 제 1 무기 입자는,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는 광학 입자, 구체적으로는 중간층 (4) 의 굴절률을 원하는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투명 도전층 (5) 의 패턴 시인을 억제하는 광학 입자이다.
제 1 무기 입자로는, 예를 들어 산화규소 (실리카) 입자, 예를 들어 산화지르코늄 (지르코니아), 산화티탄 (티타니아), 산화아연, 산화주석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 산화물 입자, 예를 들어 탄산칼슘 등의 탄산염 입자 등의 무기 입자를 들 수 있다. 제 1 무기 입자는, 단독 종류를 단독 사용할 수 있거나, 혹은 복수 종류를 병용할 수도 있다. 입자로서, 바람직하게는 금속 산화물 입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화규소 (실리카) 입자, 산화지르코늄 (지르코니아), 더욱 바람직하게는 산화지르코늄 입자 (지르코니아 입자) 를 들 수 있다. 산화지르코늄 입자는, 그 첨가량에 따라 용이하게 막의 굴절률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제 1 무기 입자로서 바람직하다.
제 1 무기 입자는, 5 ㎚ 이상, 45 ㎚ 미만의 메디안 직경을 갖는다.
제 1 무기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6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의 메디안 직경을 갖고, 또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35 ㎚ 이하의 메디안 직경을 갖는다.
제 1 무기 입자의 메디안 직경이 상기한 하한을 웃돌면, 중간층 (4) 의 투명 도전층 (5) 에 대한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무기 입자의 메디안 직경이 상기한 상한을 밑돌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이 우수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제 1 무기 입자는, 입자경의 분포의 표준 편차가 10 % 이내인 단일 분산 입자이다. 그 경우에는, 제 1 무기 입자는, 1 개의 메디안 직경을 갖는다.
한편, 제 1 무기 입자는, 2 봉성의 입도 분포를 가질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제 1 무기 입자는, 2 개의 메디안 직경을 갖는다. 이 경우에는, 제 1 무기 입자는, 2 개의 메디안 직경 중 작은 메디안 직경을 갖는 소직경 입자와, 큰 메디안 직경을 갖는 대직경 입자를 함유한다. 소직경 입자의 함유 비율은, 대직경 입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10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50 질량부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하이다. 또, 소직경 입자의 함유 비율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10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질량부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50 질량부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하이다. 대직경 입자의 함유 비율은, 소직경 입자 100 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100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질량부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100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75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질량부 이하이다. 또, 대직경 입자의 함유 비율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50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질량부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20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75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질량부 이하이다.
그리고, 제 1 무기 입자의 함유 비율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65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질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질량부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상이다.
또, 제 1 무기 입자의 함유 비율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235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3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5 질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제 1 무기 입자의 함유 비율은, 중간층 (4) (요컨대, 입자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에 대하여, 예를 들어 3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질량%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66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63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하이다.
제 1 무기 입자의 함유 비율이 상기한 하한 이상이거나, 혹은 제 1 무기 입자의 함유 비율이 상기한 상한 이하이면, 중간층 (4) 의 굴절률을 원하는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투명 도전층 (5) 으로 형성되는 패턴과 비패턴의 반사율차 (ΔR, 후술) 를 저감시킬 수 없어, 투명 도전층 (5) 의 패턴 시인을 억제할 수 있다.
4-2. 제 2 무기 입자
제 2 무기 입자는, 무기 입자 중 제 1 무기 입자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메디안 직경이 큰 대입자이다. 제 2 무기 입자는, 투명 도전성 필름 (1) 이 우수한 내블로킹성을 부여하는 내블로킹 입자이다.
제 2 무기 입자로는, 제 1 무기 입자에서 예시한 무기 입자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제 1 무기 입자와 동일 종류의 무기 입자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산화지르코늄 입자를 들 수 있다.
제 1 무기 입자 및 제 2 무기 입자가 동일 종류의 무기 입자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늄 입자) 이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제조 공정을 간이하게 하면서, 중간층 (4) 의 조성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제 2 무기 입자는, 45 ㎚ 이상, 120 ㎚ 미만의 메디안 직경을 갖는다. 제 2 무기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55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5 ㎚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11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의 메디안 직경을 갖는다.
제 2 무기 입자의 메디안 직경이 상기한 하한을 웃돌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이 우수한 내블로킹성을 가질 수 있다. 제 2 무기 입자의 메디안 직경이 상기한 상한을 밑돌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이 우수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2 무기 입자는, 입자경의 분포의 표준 편차가 10 % 이내인 단일 분산 입자이다.
제 2 무기 입자의 함유 비율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5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초과, 접시 바람직하게는 12 질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상이다.
제 2 무기 입자의 함유 비율은,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어 8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질량부 미만, 바람직하게는 50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제 1 무기 입자의 함유 비율은, 중간층 (4) (요컨대, 입자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에 대하여, 예를 들어 2.5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 질량%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23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7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제 2 무기 입자의, 제 1 무기 입자에 대한 함유 비율 (비, 제 2 무기 입자의 질량부수/제 1 무기 입자의 질량부수) 은, 예를 들어 0.06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0.45 이하, 바람직하게는 0.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이하이다.
제 2 무기 입자의 함유 비율이 상기한 하한 이상이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이 우수한 내블로킹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 2 무기 입자의 함유 비율이 상기한 상한 이하이면, 중간층 (4) 의 헤이즈를 낮출 수 있다.
제 1 무기 입자 및 제 2 무기 입자의 총량의,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 비율은, 예를 들어 85 질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260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질량부 이하이다. 제 1 무기 입자 및 제 2 무기 입자의 총량의 함유 비율이 상기한 하한 이상이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전광선 투과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제 1 무기 입자 및 제 2 무기 입자의 총량의 함유 비율이 상기한 상한 이하이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반사 색상을 보다 뉴트럴하게 할 수 있다.
4-3. 수지
수지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경화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 (구체적으로는 자외선, 전자선 등) 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예를 들어 가열에 의해 경화되는 열경화성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우레탄아크릴레이트,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계 자외선 경화성 수지,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 예를 들어 알키드 수지, 예를 들어 실록산계 폴리머, 예를 들어 유기 실란 축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계 자외선 경화성 수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우레탄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단독 사용 또는 2 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수지의 함유 비율은, 제 1 무기 입자 및 제 2 무기 입자의 함유 비율의 잔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수지의 함유 비율은, 중간층 (4) (요컨대, 입자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에 대하여, 예를 들어 25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6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5 질량% 이하이다.
4-4. 중간층의 제작 방법
중간층 (4) 을 제작하려면, 예를 들어 우선, 상기한 입자 수지 조성물을 조제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무기 입자, 제 2 무기 입자, 수지 및 용매를 배합하여, 입자 수지 조성물 용액 (도포액, 중간층 형성용 도포액) 을 조제한다.
용매로서, 유기 용매를 들 수 있고, 그러한 유기 용매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알코올계 용매,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계 용매, 예를 들어 자일렌, 톨루엔 등의 방향족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입자 수지 조성물 용액 (도포액) 을 조제하려면, 예를 들어 수지와, 제 1 무기 입자 및 제 2 무기 입자 중 어느 일방이 미리 혼합된 입자 수지 혼합물을 준비하고, 이 입자 수지 혼합물과, 타방 (의 무기 입자) 을 혼합한다. 이 때, 용매를, 상기한 어느 원료 (수지, 제 1 무기 입자, 제 2 무기 입자 중 어느 것) 와 함께 배합해 둘 수도 있다.
혹은, 용매는 원료의 조제 후, 배합할 수도 있다.
혹은, 우선 수지와 용매를 혼합하여, 수지 용액을 조제하고, 이어서 수지 용액에 제 1 무기 입자 및 제 2 무기 입자를 배합한다. 나아가서는, 수지에 제 1 무기 입자, 제 2 무기 입자 및 용매를 배합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지와 제 1 무기 입자가 미리 혼합된 입자 수지 혼합물 (제 1 입자 수지 혼합물) 과, 수지와 제 2 무기 입자가 미리 혼합된 입자 수지 혼합물 (제 2 입자 수지 혼합물) 을 준비하고, 이어서 그것들을 혼합하고, 계속해서 용매를 배합하여, 도포액을 조제함과 함께, 도포액에 있어서의 고형 분량을 조정한다. 도포액에 있어서의 고형 분량은, 예를 들어 0.1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30 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또한, 입자 수지 혼합물 (제 1 입자 수지 혼합물이나 제 2 입자 수지 혼합물) 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옵스타 시리즈 (아라카와 화학사 제조) 등이 사용된다.
그 후, 입자 수지 조성물 용액을 하드 코트층 (3) 의 상면 전면에 도포한다.
그 후, 용제를 가열에 의해 제거한다. 가열 온도는, 예를 들어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55 ℃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1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 이하이다. 가열 시간은, 예를 들어 10 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초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5 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3 분 이하이다.
이로써, 입자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막을 형성한다.
그 후, 입자 수지 조성물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도막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한다. 이로써, 수지를 경화시킨다.
이로써, 중간층 (4) 을 하드 코트층 (3) 의 상면에 형성한다.
또한, 중간층 (4) 에 함유되는 제 1 무기 입자 및 제 2 무기 입자는, 예를 들어 중간층 (4) 을 연소시킨 후, 얻어진 회분을 원소 분석함으로써 정성 분석 (동정) 된다. 제 1 무기 입자 및 제 2 무기 입자는, 그것들을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등으로 입경 측정함으로써, 정량 분석된다. 상기한 정량 분석에서는, 제 1 무기 입자 및 제 2 무기 입자의, 2 개의 메디안 직경에 기초하는 2 개의 피크를 갖는 입도 분포 곡선이 얻어지고, 그것들의 피크로부터, 제 1 무기 입자 및 제 2 무기 입자의 메디안 직경 및 배합 비율이 각각 얻어진다.
4-5. 중간층의 물성
중간층 (4) 의 헤이즈는, 예를 들어 0.7 이하, 바람직하게는 0.6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이하이며, 또 예를 들어 0 초과이다. 중간층 (4) 의 헤이즈가 상기한 상한을 밑돌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광학 특성이 우수하다.
중간층 (4) 의 헤이즈의 측정 방법은, 이후의 실시예에서 기재된다.
중간층 (4) 의 상면의 거침도 (표면 조도) 는, 예를 들어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6 ㎚ 이하이며, 또 예를 들어 0.3 ㎚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이다.
중간층 (4) 의 두께는, 예를 들어 500 ㎚ 미만, 바람직하게는 30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5 ㎚ 이하이다. 또, 중간층 (4) 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이다.
중간층 (4) 의 두께가 상기한 상한을 밑돌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중간층 (4) 의 두께가 상기한 상한을 밑돌면, 투명 도전층 (5) 으로 형성되는 패턴부 (후술) 의 세선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5. 투명 도전층
투명 도전층 (5) 은,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상층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투명 기재 (2) 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투명 도전층 (5) 은, 이후의 공정에서 패턴으로 형성하여, 패턴부 (도시 생략) 를 형성하기 위한 도전층이다. 투명 도전층 (5) 은, 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름 형상 (시트 형상을 포함한다) 을 갖고 있으며, 평탄한 하면 및 평탄한 상면을 갖고 있다. 투명 도전층 (5) 은, 중간층 (4) 의 상면 전면에 직접 접촉하고 있다.
투명 도전층 (5) 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예를 들어 In, Sn, Zn, Ga, Sb, Ti, Si, Zr, Mg, Al, Au, Ag, Cu, Pd, W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금속 산화물에는, 필요에 따라, 추가로 상기 군에 나타낸 금속 원자를 도프할 수 있다.
재료로는, 바람직하게는 인듐주석 복합 산화물 (ITO), 안티몬주석 복합 산화물 (ATO)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ITO 를 들 수 있다.
투명 도전층 (5) 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며, 또 예를 들어 35 ㎚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투명 도전층 (5) 을, 중간층 (4) 의 상면 전면에, 공지 방법에 의해 형성한다.
이로써, 투명 기재 (2), 하드 코트층 (3), 중간층 (4) 및 투명 도전층 (5) 을 순서대로 구비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1) 이 얻어진다.
6. 투명 도전성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물성
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투명 기재 (2) 의 상측에, 하드 코트층 (3), 중간층 (4) 및 투명 도전층 (5) 을 순서대로 배치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투명 도전성 필름 (1) 을 제조하는 방법은, 롤 투 롤 방식으로 실시된다. 또, 일부 또는 전부를 배치 방식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이며, 또 예를 들어 20 ㎛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 이상이다.
7. 투명 도전성 필름의 사용
이와 같은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에 구비된다.
특히, 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예를 들어 터치 패널용 기재로서 사용된다. 터치 패널의 형식으로는,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등의 각종 방식을 들 수 있다.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특히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투명 도전층 (5) 을, 예를 들어 에칭에 의해 제거하거나 하여, 패턴부 (도시 생략) 와 비패턴부 (도시 생략) 를 형성한다.
투명 도전성 필름 (1) 에 있어서의 패턴부와 비패턴부에 있어서의 반사율차 (ΔR) 는, 그 절대치로, 예를 들어 2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반사율차 (ΔR) 가 상기한 상한 이하이면, 투명 도전층 (5) 의 패턴부에 있어서의 시인을 억제할 수 있다. 투명 도전성 필름 (1) 에 있어서의 반사율차 (ΔR) 는, 패턴부의 반사율 R1 로부터 비패턴부의 반사율 R2 를 뺀 값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66184호 등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그 후,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상기한 화상 표시 장치에 구비된다.
8. 작용 효과
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에서는, 중간층 (4) 이, 5 ㎚ 이상, 45 ㎚ 미만인 메디안 직경을 갖는 제 1 무기 입자와, 45 ㎚ 이상, 120 ㎚ 미만인 메디안 직경을 갖는 제 2 무기 입자와, 수지를 포함하므로, 내블로킹성 및 광학 특성의 양방이 우수하다.
한편, 특허문헌 1 에서는, 안티 블로킹층 및 색차 조정층의 2 층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그 때문에 층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에서는, 중간층 (4) 이, 내블로킹 광학 조정층이므로, 층 구성이 간이하면서, 투명 도전성 필름 (1) 에 내블로킹성을 확실하게 부여하면서, 투명 도전층 (5) 에 있어서의 패턴 시인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에서는, 제 1 무기 입자의,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 비율이, 65 질량부 이상, 235 질량부 이하이며, 제 2 무기 입자의,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 비율이, 5 질량부 이상, 80 질량부 이하이다. 그 때문에, 투명 도전층 (5) 의 패턴 시인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투명 도전성 필름 (1) 이 우수한 내블로킹성, 및 우수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층 구성이 간단하고, 내블로킹성 및 광학 특성의 양방이 우수하다.
또, 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에서는, 제 1 무기 입자 및 제 2 무기 입자의,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 비율이, 85 질량부 이상이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전광선 투과율을 상승시킬 수 있고, 또 260 질량부 이하이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반사 색상을 보다 뉴트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에서는, 중간층 (4) 의 두께가 500 ㎚ 미만이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중간층 (4) 의 두께가 200 ㎚ 이하이면, 투명 도전층 (5) 으로 형성되는 패턴부의 세선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에서는, 제 1 무기 입자 및 제 2 무기 입자가 모두 지르코니아 입자이면, 중간층 (4) 을 용이하게 광학 조정할 수 있으면서, 고품질의 투명 도전성 필름 (1) 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하드 코트층 (3) 을 구비하므로,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내찰상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에서는, 하드 코트층 (3) 은, 그 표면에 복수의 돌기를 갖고, 돌기의, 하드 코트층 (3) 1 ㎠ 당에 있어서의 최대 돌출 길이가 200 ㎚ 이하이면, 하드 코트층 (3) 의 평활성을 담보할 수 있어, 헤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9. 변형예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한 일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 및 공정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일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투명 기재 (2) 의 상측에만 배치된 하드 코트층 (3), 중간층 (4) 및 투명 도전층 (5) 을 구비한다. 그러나, 하드 코트층 (3), 중간층 (4) 및 투명 도전층 (5) 의 배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 (2) 의 상하 양측 (양면) 에 각각 순서대로 배치된 하드 코트층 (3), 중간층 (4) 및 투명 도전층 (5) 을 구비할 수도 있다. 요컨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투명 기재 (2) 와, 투명 기재 (2) 의 양측에 배치되는 2 개의 투명 도전층 (5) 과, 투명 기재 (2) 및 투명 도전층 (5) 의 사이에 개재하는 2 개의 하드 코트층 (3) 및 2 개의 중간층 (4) 을 구비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의해서도, 도 1 에 나타내는 일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일 실시형태에서는,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하드 코트층 (3) 을 구비한다. 그러나,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하드 코트층 (3) 을 구비하지 않고, 투명 기재 (2), 중간층 (4) 및 투명 도전층 (5) 만을 순서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 변형예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투명 기재 (2), 중간층 (4) 및 투명 도전층 (5) 만으로 이루어진다. 중간층 (4) 은, 투명 기재 (2) 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간층 (4) 은, 투명 기재 (2) 의 상면 전면에 직접 접촉하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의해서도, 도 1 에 나타내는 일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투명 기재 (2) 의 상하 양측에 각각 순서대로 배치되는 중간층 (4) 및 투명 도전층 (5) 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투명 도전성 필름 (1) 은, 투명 기재 (2) 와, 투명 기재 (2) 의 양측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층 (5) 과, 투명 기재 (2) 및 투명 도전층 (5) 의 사이에 개재하는 중간층 (4) 을 구비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의해서도, 도 1 에 나타내는 일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한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 이 참조되도록, 투명 기재 (2) 의 상측에, 하드 코트층 (3), 중간층 (4) 및 투명 도전층 (5) 을 형성하는 한편, 도 4 가 참조되도록, 투명 기재 (2) 의 하측에, 중간층 (4) 및 투명 도전층 (5) 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혀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사용되는 배합 비율 (함유 비율), 물성치, 파라미터 등의 구체적 수치는, 상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있어서 기재되어 있는, 그것들에 대응하는 배합 비율 (함유 비율), 물성치, 파라미터 등 해당 기재의 상한치 (「이하」, 「미만」으로서 정의되어 있는 수치) 또는 하한치 (「이상」, 「초과」로서 정의되어 있는 수치) 로 대체할 수 있다.
(도포액의 조제)
조제예 1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제 1 무기 입자로서 메디안 직경이 30 ㎚ 인 지르코니아 입자가 미리 배합된 제 1 입자 수지 혼합물 (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품명 「옵스타 Z7412」, 제 1 무기 입자의 함유 비율 : 47 질량%) 과,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서 우레탄아크릴레이트 및 제 2 무기 입자로서 메디안 직경이 64 ㎚ 인 지르코니아 입자가 미리 배합된 제 2 입자 수지 혼합물 (아라카와 화학 공업사 제조, 품명 「옵스타 KZ6941」, 제 2 무기 입자의 함유 비율 : 47 질량%) 을, 표 1 의 배합 비율로 혼합하고, 또한 고형분 농도가 3.5 질량% 가 되도록, 용매 (아세트산부틸) 를 배합하여, 혼합 도포액 (중간층 형성용 도포액) 을 조제하였다.
조제예 2 ∼ 비교 조제예 2
제 1 입자 수지 혼합물 및 제 2 입자 수지 혼합물의 배합 비율을 표 1 의 기재에 따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조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액 (중간층 형성용 도포액) 을 조제하였다.
Figure 112019060049924-pct00001
표 1 에 있어서의 각 도포액의 상세를 이하에 나타낸다.
옵스타 Z7412 : 제 1 입자 수지 혼합물, 메디안 직경이 30 ㎚ 인 지르코니아 입자 (제 1 무기 입자) 의 함유 비율 47 질량%
옵스타 KZ6954 : 제 1 입자 수지 혼합물, 메디안 직경이 25 ㎚ 인 지르코니아 입자 (제 1 무기 입자, 대직경 입자) 의 함유 비율 54 질량%, 메디안 직경이 10 ㎚ 인 실리카 입자 (제 1 무기 입자, 소직경 입자) 의 함유 비율 13 질량%
옵스타 KZ6734 : 제 1 입자 수지 혼합물, 메디안 직경이 30 ㎚ 인 지르코니아 입자 (제 1 무기 입자) 의 함유 비율 72 질량%
옵스타 KZ6956 : 제 2 입자 수지 혼합물, 메디안 직경이 25 ㎚ 인 지르코니아 입자 (제 1 무기 입자) 의 함유 비율 54 질량%
옵스타 KZ6941 : 제 2 입자 수지 혼합물, 메디안 직경이 64 ㎚ 인 지르코니아 입자 (제 1 무기 입자) 의 함유 비율 47 질량%
옵스타 RA009 : 제 2 입자 수지 혼합물, 메디안 직경이 64 ㎚ 인 지르코니아 입자 (제 1 무기 입자) 의 함유 비율 54 질량%
옵스타 RA010 : 제 2 입자 수지 혼합물, 메디안 직경이 64 ㎚ 인 지르코니아 입자 (제 1 무기 입자) 의 함유 비율 72 질량%
실시예 1
투명 기재 (2) 로서 100 ㎛ 의 두께의 COP 필름 (ZEONOR ZF-16, 니혼 제온사 제조) 의 상면에, 유기 무기 하이브리드 수지 (KZ6506 JSR 사 제조) 로 이루어지는 두께 1 ㎛ 의 하드 코트층 (3) 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하드 코트층 (3) 의 상면에, 조제예 1 의 도포액을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건조 오븐으로 60 ℃ 의 분위기하에서 1 분간 건조시켜, 용제를 휘발시켜, 도막을 형성하였다. 그 후, 도막을 산소 농도 2500 ppm 분위기하에서 160 W/㎠ 의 공랭 수은 램프 (아이그래픽스사 제조) 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도 60 ㎽/㎠, 조사량 280 mJ/㎠ 로 조사하여, 도막을 경화시켰다.
이로써, 두께가 85 ㎚ 인 중간층 (4) 을, 하드 코트층 (3) 의 상면에 형성하였다.
그 후, 중간층 (4) 의 상면에, 두께 25 ㎚ 의 ITO 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층 (5) 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투명 도전성 필름 (1) 을 얻었다.
실시예 2 ∼ 비교예 2
표 2 에 기초하여, 중간층 (4) 의 처방을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처리하여, 투명 도전성 필름 (1) 을 얻었다.
(평가)
이하의 항목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중간층의 두께)
중간층 (4) 의 두께는, 분광 광도계 (형번 「U4100」,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스사 제조) 에 의해 얻어진 반사 스펙트럼의 피크 파장에 의해 구하였다.
(내블로킹성)
COP 필름 (ZEONOR 필름 ZF-16, 니혼 제온 제조) 을 중간층 (4) 에 대하여 손가락으로 압착시켜, 그 첩부 (貼付) 정도를 관찰하고, 하기 기준으로 내블로킹성을 평가하였다.
○ : COP 필름의 첩부가 일어나지 않는다.
△ : COP 필름의 첩부가 일단 생기지만, 10 초 경과하면, COP 필름이 중간층 (4) 으로부터 떨어진다.
× : COP 필름의 첩부가 생기고, 그 COP 필름은 10 초 경과해도 COP 필름이 중간층 (4) 으로부터 떨어지지 않았다.
(중간층의 헤이즈)
중간층 (4) 이 형성되고, 투명 도전층 (5) 이 형성되기 전의 투명 도전성 필름 (1) 의 헤이즈를 헤이즈미터 (HM-150,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사 제조) 에 의해 측정하였다.
(중간층의 굴절률)
중간층 (4) 의 굴절률을, 고속 분광 엘립소미터 (M-2000, 제이·에이·월람사 제조) 에 의해 구하였다.
(하드 코트층의 표면 조도)
하드 코트층 (3) 의 표면 조도를, AFM (Digital Instruments 사 제조) 에 의해 구하였다.
Figure 112019060049924-pct00002
또한, 상기 발명은, 본 발명에 예시된 실시형태로서 제공했지만, 이것은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분명한 본 발명의 변형예는, 후기 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
투명 도전성 필름은, 예를 들어 터치 패널용 기재로서 사용된다.
1 투명 도전성 필름
2 투명 기재
3 하드 코트층
4 중간층
5 투명 도전층

Claims (7)

  1.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편측 또는 양측에 배치되는 투명 도전층과, 상기 투명 기재 및 상기 투명 도전층의 사이에 개재하는 중간층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층은,
    5 ㎚ 이상, 45 ㎚ 미만인 메디안 직경을 갖는 제 1 무기 입자와,
    45 ㎚ 이상, 120 ㎚ 미만인 메디안 직경을 갖는 제 2 무기 입자와,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무기 입자의, 상기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 비율이, 65 질량부 이상, 235 질량부 이하이며,
    상기 제 2 무기 입자의, 상기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 비율이, 5 질량부 이상, 80 질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기 입자 및 상기 제 2 무기 입자의, 상기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 비율이, 85 질량부 이상, 260 질량부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500 ㎚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이, 내블로킹 광학 조정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기 입자 및 상기 제 2 무기 입자가 모두 지르코니아 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와 상기 중간층의 사이에 개재하는 하드 코트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 코트층은, 그 표면에 복수의 돌기를 갖고,
    상기 돌기의, 상기 하드 코트층 1 ㎠ 당에 있어서의 최대 돌출 길이가 2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도전성 필름.
KR1020197016891A 2017-01-31 2018-01-15 투명 도전성 필름 KR102481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15744 2017-01-31
JP2017015744A JP6823480B2 (ja) 2017-01-31 2017-01-31 透明導電性フィルム
PCT/JP2018/000800 WO2018142894A1 (ja) 2017-01-31 2018-01-15 透明導電性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392A KR20190109392A (ko) 2019-09-25
KR102481038B1 true KR102481038B1 (ko) 2022-12-23

Family

ID=6303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6891A KR102481038B1 (ko) 2017-01-31 2018-01-15 투명 도전성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23480B2 (ko)
KR (1) KR102481038B1 (ko)
CN (1) CN110178187B (ko)
TW (1) TWI754714B (ko)
WO (1) WO201814289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6477A (ja) 2010-09-24 2012-04-05 Nippon Zeon Co Ltd ハードコート層を有する積層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用積層フィルム
JP2015005272A (ja) 2013-05-22 2015-01-08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6855A (ja) * 1999-03-02 2000-09-12 Toyobo Co Ltd 光学用易接着フィルム
JP4029356B2 (ja) * 2006-05-29 2008-01-09 東洋紡績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光学機能性フィルム
JP5604899B2 (ja) * 2010-02-18 2014-10-15 東洋紡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透明導電性積層フィルム、透明導電性積層シート並びにタッチパネル
FR2961952B1 (fr) * 2010-06-23 2013-03-2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ubstrat comprenant une couche d'oxyde transparent conducteur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5806620B2 (ja) * 2011-03-16 2015-11-10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WO2013146483A1 (ja) * 2012-03-30 2013-10-03 帝人株式会社 透明導電性積層体
WO2014046253A1 (ja) * 2012-09-20 2014-03-2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透明導電膜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6199605B2 (ja) * 2013-05-27 2017-09-20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巻回体
JP6297846B2 (ja) * 2014-01-30 2018-03-20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その巻回体、並びにタッチパネル
JP2016022701A (ja) * 2014-07-23 2016-0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機能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機能性フィルム、偏光板の製造方法及び透明導電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628974B2 (ja) * 2015-03-30 2020-01-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6553451B2 (ja) * 2015-08-25 2019-07-31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樹脂フィルム、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ッチパネル
JP6571488B2 (ja) * 2015-10-26 2019-09-04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6681726B2 (ja) * 2016-02-01 2020-04-15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6477A (ja) 2010-09-24 2012-04-05 Nippon Zeon Co Ltd ハードコート層を有する積層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用積層フィルム
JP2015005272A (ja) 2013-05-22 2015-01-08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33943A (zh) 2018-09-16
TWI754714B (zh) 2022-02-11
WO2018142894A1 (ja) 2018-08-09
JP2018122492A (ja) 2018-08-09
JP6823480B2 (ja) 2021-02-03
CN110178187B (zh) 2021-04-13
CN110178187A (zh) 2019-08-27
KR20190109392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1726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
US9607733B2 (en) Double-sid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US9874987B2 (en) Double-sid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TWI460742B (zh) 透明導電膜
CN101127254B (zh) 透明导电性层叠体及备有其的触摸屏
CN105829999B (zh) 光学用片材及导电性片材、以及具备该光学用片材的显示装置
JP6571488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および透明導電性フィルム
CN107526122B (zh) 中间基材膜和触控面板传感器
US20140106131A1 (en)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use thereof
KR20110037881A (ko) 투명 도전성 필름
JP5574253B1 (ja) 積層体、およびタッチパネルセンサ
WO2017051725A1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及びそれを含むタッチパネル
KR20180089404A (ko) 투명 도전성 필름 적층체, 및 그것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JP2007178999A (ja) 反射防止フィルム及び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
KR102481038B1 (ko) 투명 도전성 필름
CN109215847A (zh) 透明导电性膜及触控面板
JP2010186020A (ja)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
JP2017068509A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ムラ抑制方法
TW201339626A (zh) 抗反射構件
JP7377311B2 (ja) 光学積層体、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6074851B2 (ja) 導電性光学部材
WO2022259847A1 (ja) 光学積層体、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JP6934284B2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6666688B2 (ja) 光透過性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ハードコート付き光透過性フィルム
JP5564145B1 (ja) 光透過性導電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