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063B1 -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 Google Patents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063B1
KR102469063B1 KR1020220078652A KR20220078652A KR102469063B1 KR 102469063 B1 KR102469063 B1 KR 102469063B1 KR 1020220078652 A KR1020220078652 A KR 1020220078652A KR 20220078652 A KR20220078652 A KR 20220078652A KR 102469063 B1 KR102469063 B1 KR 102469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roller
unit
support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규석
허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220078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063B1/ko
Priority to EP23177970.3A priority patent/EP4299204A1/en
Priority to JP2023095609A priority patent/JP7406863B1/ja
Priority to US18/342,537 priority patent/US2023041521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0Making tubes with riveted seams or with non-welded and non-soldered seams
    • B21C37/101Making of the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12Edge-curling
    • B21D19/14Reinforcing edges, e.g. armour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21D19/04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 B21D19/043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for flanging edges of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6Feeding elongated articles, such as tubes, bar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02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21D5/08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for obtaining closed hollow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7Rigid pipes obtained by bending a sheet longitudinally and connecting the 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레이트를 이송부에 안착시킨 상태로 본 포밍장치의 양측에 마련된 포밍성형부에 일방향 진입시켜 주면, 이송과 더불어 길이 변 양단에 각각 덕트 연결부분이 되는 포켓형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절곡, 우름 및 압착 등의 포밍 성형을 거쳐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좌우측의 포밍성형부측 포밍롤러의 성형위치에 맞게 포밍성형부를 180도로 회전, 간격조정부를 통한 포밍성형부의 간격을 세팅함으로써 양측 규격이 동일 또는 양측 규격이 다른 포켓형 플랜지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어 덕트의 연결부분인 포켓형 플랜지의 제작성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Pocket Flange Forming Device for Duct}
본 발명은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덕트 제작을 위한 플레이트의 진입으로 다수의 포밍롤러를 거쳐 성형되는 포켓형 플랜지를 사이즈에 따라 양방향으로 포밍시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의 천정 쪽에는 공조기로부터 토출된 냉난방 유체가 흐르는 덕트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덕트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아연도금한 스틸판재(함석)를 굽힘 성형하고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덕트는 다수 개의 단위 덕트가 볼트와 너트로서 서로 연결되어 조립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공기유통을 위한 환풍시설의 배관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소정 형상의 플랜지를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어, 연결부에서의 강도가 보강된 덕트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48233호에 개시된 "덕트의 플랜지"에서는, 덕트의 양단부에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강성 및 강도가 보강된 플랜지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덕트 플랜지에서 문제가 되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97567호(명칭: 덕트의 포켓형 플랜지, 등록일자: 2006년 06월 29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이라 함)를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의 포켓형 플랜지는 덕트로부터 수직하게 절곡 연장된 접합부가 형성되고, 이 접합부로부터 덕트 쪽으로 다시 절곡된 절곡부가 연장되어 있으며, 그 절곡부로부터 연장된 단부가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절곡부로부터 연장된 단부가 덕트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덕트가 단부의 에지부와 상면을 덮도록 절곡되고, 다시 그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서로 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용접하는 공정이 포함되지 않아 용접공정에 들어가는 소모품이나 전력이 불필요하게 되어 경제성이 높고 제조공정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고, 용접이나 전단으로 인한 부식작용이 없기 때문에 플랜지가 덕트로부터 분리 또는 누기되는 경우가 없어 내구성이 우수하며, 또한, 단부의 에지부에서 두께가 커지기 때문에 구조적 강도가 커진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포켓형 플랜지부분의 성형의 다수의 포밍롤러들을 거쳐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를 순차적으로 절곡 및 접는 공정과 압착시키는 공정들을 통해 제작된다.
참고로, 상기와 같이 덕트의 포켓형 플랜지 성형에 대해 유사한 성형장치에 대한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88294호(명칭: 건축물 지붕용 빗물받이 성형장치, 등록일자: 2018년 08월 07일)이 개시되어 있다.
철판(플레이트)의 양측을 다수의 성형롤러를 통과하면서 절곡시키는 공정으로 빗물받이를 하나의 성형장치를 통해 가공시간을 대폭 줄이면서 생산해 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플레이트의 절곡성형에 의한 방법과 유사하게 덕트의 포켓행 플랜지 성형 또한 길이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포밍롤러를 통과시키면서 특허문헌과 같은 포켓형 플랜지를 일률적으로 성형할 수 있지만, 대부분 일방향으로 진행하면서 플레이트의 길이 변을 성형을 완성하고 반대측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장치에 투입시켜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이 때문에 성형 제작에 많은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덕트제작에 따른 포켓형 플랜지의 규격을 달리 성형하기 위해서는 성형규격이 다른 성형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장치의 설계제작, 설치, 운영부분에 따른 제품의 생산성등을 모두 고려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97567호(등록 2006년 06월 2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덕트 제작을 위한 플레이트의 진입으로 다수의 포밍롤러를 거쳐 성형되는 포켓형 플랜지를 사이즈에 따라 양방향으로 포밍시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직사각형 금속판으로 된 플레이트의 양단 길이 변 부분을 순차적인 포밍 과정을 거쳐 덕트의 연결부분인 포켓형 플랜지를 성형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밍장치는,
빔으로 조합되어 바닥면으로부터 구축되는 베이스; 베이스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상호 평행하면서 베이스 상부로부터 마련되는 간격조정부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대; 받침대의 좌우측 상부의 전후 측에 각각 대응되게 기립되어 배치되는 고정대; 전후측 각각의 고정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대응되는 지지대에 다수의 포밍롤러가 양측으로 연속되게 구비되어 각 포밍롤러 사이에 진입되는 플레이트의 양측 길이 변에 단계적인 절곡, 절첩 및 압착 성형으로 플레이트 양측에 포켓형 플랜지를 형성시키는 포밍성형부; 받침대에 설치되어 포밍성형부의 포밍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구동부; 받침대에 설치되어 고정대로부터 포밍성형부 전체를 180도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구동부;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어 양측으로 마련된 포밍성형부로 플레이트를 받쳐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 받침대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된 포밍성형부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승강받침부; 고정대의 상부에 설치되어 180도 회전된 포밍성형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간격조정부는,
베이스상에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와, 제2구동모터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감속기와, 제2감속기의 출력축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받침대의 측면을 관통하여 베이스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스크류축과, 상기 이송스크류축이 설치된 베이스상의 좌우측 받침대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받침대 저부에 구비되어 가이드레일에 안내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밍성형부의 상호 대응되는 지지대는 하나 이상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되, 상기 지지대의 상하부 양측에 상하조절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는 축고정대 및 축고정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양단부에는 포밍롤러가 결합된 제1롤러회전축과, 상기 지지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양단부에는 상기 제1롤러회전축상의 포밍롤러와 일치되어 포밍성형을 위해 양단부에 포밍롤러가 결합된 제2롤러회전축과, 상기 제1롤러회전축 및 제2롤러회전축상에 결합되어 상호 치합 회전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기어와, 상기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회전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포밍성형부를 전반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링기어와, 상기 링기어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대측 제2롤러회전축에 설치되어 지지대측의 롤러회전축의 동일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롤러동력전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롤러동력전달부는,
링기어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대측 제2롤러회전축에 결합되는 스프라켓휠 및 스프라켓휠을 연결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링기어는,
링부 및 링부일측에 상기 롤러동력전달부와 치합되는 기어부가 합체되고, 상기 체인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이 상하 형성되며, 양측에는 포밍되는 플레이트의 통과를 위한 절개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포밍롤러는,
상부측 축고정대의 제1롤러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된 상부포밍롤러와, 하부측 축고정대의 제1롤러회전축의 타측에 결합된 하부포밍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포밍롤러와 하부폴밍롤러는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회전구동부는,
메인 구동모터와, 메인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양측으로 출력축이 마련되어 베이스의 전후 측에 설치되는 제1감속기와, 상기 제1감속기의 양측 출력축으로부터 포밍성형부의 포밍롤러에 회전 동력을 부여하는 제1기어구동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기어구동부는,
제1감속기의 출력축 및 포밍성형부의 포밍롤러의 제2롤러회전축 중 플레이트가 진입하고, 성형되어 배출되는 지지대측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상의 제2롤러회전축상에 설치되는 베벨기어, 상기 베벨기어들과 치합되는 평기어들의 상호 치합으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회전구동부는,
받침대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와, 제1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 설치되는 동력전달축과, 받침대 상에 구비되며, 동력전달축상에 구비된 구동기어 및 구동기어 일측에 호형상으로 배치되어 링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회전되게 구비된 제2기어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부는,
베이스로부터 포밍성형부에 배치된 포밍롤러의 높이선상에 맞게 구비되어 플레이트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컨베이어상에 안착 이송되는 플레이트의 상부를 가압 안내하는 가압롤러 및 가압롤러 지지대와, 상기 컨베이어를 일방향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승강받침부는,
받침대상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과, 지지판으로부터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유압실린더 및 지지판상에 다지점 관통되는 가이드로드와, 유압실린더의 작동로드 및 가이드로드의 끝단이 연결되어 포밍성형부의 지지대 저부를 받치는 승강받침블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포밍성형부의 지지대 중 플레이트가 진입하는 선단측과 배출되는 종단측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부에 고정블럭이 복수개 구비되고, 센서감지대가 구비된 회전판과, 상기 받침대상의 고정대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블럭을 홀딩하는 한 쌍의 고정실린더와, 상기 고정실린더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센서감지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는, 플레이트를 이송부에 안착시킨 상태로 본 포밍장치의 양측에 마련된 포밍성형부에 일방향 진입시켜 주면, 이송과 더불어 길이 변 양단에 각각 덕트 연결부분이 되는 포켓형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절곡, 우름 및 압착 등의 포밍 성형을 거쳐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좌우측의 포밍성형부측 포밍롤러의 성형위치에 맞게 포밍성형부를 180도로 회전, 간격조정부를 통한 포밍성형부의 간격을 세팅함으로써 양측 규격이 동일 또는 양측 규격이 다른 포켓형 플랜지를 동시에 성형할 수 있어 덕트의 연결부분인 포켓형 플랜지의 제작성 및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포밍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밍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밍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밍성형부의 포밍롤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구동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 포밍성형부에 동력전달을 제1회전구동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밍장치에서 포밍성형부를 발췌한 평면도,
도 7은 도 6의 포밍성형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밍성형부의 포밍롤러의 회전축간의 상호 구동관계를 보여주는 일부분 발췌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포밍롤러가 결합된 1롤러회전축과 제2롤러회전축상의 기어들의 치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상의 이송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밍성형부의 링기어 및 포밍성형부를 전체 180도 회전시키는 제2회전구동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링기어의 링부와 기어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도 11에서 링기어 및 제2회전구동부의 구동기어와 종동기어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포밍성형부를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포밍성형부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5는 도 14에서의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1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포밍성형부의 저면을 받치는 승강받침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포밍장치의 간격조정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18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포밍장치를 통해 규격이 다른 포켓형 플랜지의 성형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포밍성형부의 회전에 따른 포밍롤러의 위치변경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밍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사각형 금속판으로 된 플레이트(1)의 양단 길이 변 부분을 순차적인 포밍 과정을 거쳐 덕트의 연결부분인 포켓형 플랜지(1a)를 성형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밍장치(10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빔으로 조합되어 바닥면으로부터 구축되는 베이스(101)의 상부에 안착되는 받침대(120), 받침대 상부의 고정대(130), 고정대에 설치되어 플레이트 양측에 포켓형 플랜지를 성형하기 위한 포밍성형부(140), 포밍성형부(140)의 포밍롤러(R)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구동부(150), 포밍성형부(140) 전체를 180도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구동부(160), 플레이트(1)를 받쳐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70), 포밍성형부(140)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승강받침부(180), 포밍성형부(140)를 고정하는 고정부(190) 및 포밍성형부(140)의 간격조정을 위한 간격조정부(11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간격조정부(110)는, 도 3 및 도 1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1)상에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111)와, 제2구동모터(111)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감속기(112)와, 제2감속기(112)의 출력축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받침대(120)의 측면을 관통하여 베이스(101)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스크류축(113)과, 상기 이송스크류축(113)이 설치된 베이스(101)상의 좌우측 받침대(120)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14) 및 받침대(120) 저부에 구비되어 가이드레일(114)에 안내되는 가이드(1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간격조정부(110)는 상기와 같은 포켓형 플랜지(1a)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플레이트(1)의 폭에 맞게 포밍성형부(140)의 간격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101) 상부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상기 받침대(120)는 빔 형태로 상호 평행하면서 베이스(101) 상부로부터 마련된 상기 간격조정부(11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간격 조정되는 받침대(120)의 좌우측 상부의 전후 측에는 상기 고정대(130)가 대응되게 기립되어 배치된다.
상기 포밍성형부(140)는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20)의 상부 전후측 각각의 고정대(13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대응되는 지지대(141)에 다수의 포밍롤러(R)가 양측으로 연속되게 구비되어 각 상하측의 포밍롤러 사이에 진입되는 플레이트(1)의 양측 길이 변에 단계적인 절곡, 절첩 및 압착 성형으로서 플레이트(1)의 양측에 포켓형 플랜지(1a)를 형성시키는 주요부분 파트이다.
좀더 지세하게 살피면, 상기 포밍성형부(140)의 상호 대응되는 지지대(141)는 도 6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되, 상기 지지대(141)의 상하부 양측에 상하조절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는 축고정대(142) 및 축고정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양단부에는 포밍롤러(R)가 결합된 제1롤러회전축(143)과, 상기 지지대(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양단부에는 상기 제1롤러회전축(143)상의 포밍롤러(R)와 일치되어 포밍성형을 위해 양단부에 포밍롤러(R)가 결합된 제2롤러회전축(144)과, 상기 제1롤러회전축(143) 및 제2롤러회전축(144)상에 결합되어 상호 치합 회전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기어(145)와, 상기 지지대(141)와 지지대(14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회전구동부(16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포밍성형부(140)를 전반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링기어(146)와, 상기 링기어(146)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대(141)측 제2롤러회전축(144)에 설치되어 지지대(141)측의 롤러회전축의 동일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롤러동력전달부(147)로 구성된다.
상기 제1롤러회전축(143) 및 제2롤러회전축(144)상에 결합된 상기 구동기어(145)들은 지지대(141)에 양단이 축설치된 아이들 회전축(149)상에 설치된 아이들기어(148)과 상호 치합되어 회전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이다.
상기 축고정대(142)는 첨부된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41)의 길이변에 마련된 요부에 안내되며, 체결볼트와 너트 및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이들의 상하 간격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롤러회전축(143)을 조정한다.
즉, 상기 지지대(141)의 상하부에서 간격조정하여 제1롤러회전축(143)상의 포밍롤러(R)와 지지대(141)에 직접 회전가능하게 관통 지지된 제2롤러회전축(144)상의 포밍롤러(R)간의 간극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롤러회전축(144)상의 포밍롤러를 기준으로 상기 제1롤러회전축(143)상의 포밍롤러(R)를 조정하여 간극을 세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포밍롤러(R)들에 대해 설명하면, 포밍롤러는 그 외측에 형성된 성형부분이 각각 조금씩 다르게 형성되어 각각의 포밍롤러들을 통과하는 플레이트(1)의 길이 변을 순차적으로 절곡, 접거나 접은부위를 압착시켜 주기 위한 롤러이다.
상기 지지대(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롤러회전축(144)의 양단에 포밍롤러(R)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축고정대(142)상의 제1롤러회전축(143)은 상기 지지대(141)측의 제2롤러회전축(144)에 대해 축고정대(142)에 대해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1롤러회전축(143) 일단에는 하나의 포밍롤러가 결합되어 상기 제2롤러회전축(144)에 마련된 포밍롤러(R)와 근접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즉,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측 축고정대(142)의 제1롤러회전축(143)에 결합된 포밍롤러(R)와 하부측 축고정대(142)의 제1롤러회전축(143)에 결합된 포밍롤러는 상호 180도 엇갈린 상태로 배열되어 상기 제2롤러회전축(144)에 마련된 포밍롤러와 근접 대응되는 상태로 설치된다.
제2롤러회전축(144)에 마련된 중앙포밍롤러는 상부측 축고정대의 제1롤러회전축(143)에 마련된 상부포밍롤러 또는 하부측 축고정대의 하부포밍롤러와 쌍을 이루어 플레이트를 절곡할 수 있다.
이때 일측에 배치된 중앙포밍롤러와 상부포밍롤러 세트를 제1포밍롤러(R1), 타측에 배치된 중앙포밍롤러와 하부포밍롤러 세트를 제2포밍롤러(R2)라고 할때, 제1포밍롤러와 제2포밍롤러는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부포밍롤러와 하부포밍롤러는 180도 엇갈린 상태로 배치되며, 지름이 서로 상이하다. 또한, 양쪽에 배치된 중앙포밍롤러도 지름이 서로 상이하다. 상부포밍롤러가 하부포밍롤러보다 큰 경우, 중앙포밍롤러도 상하부포밍롤러와 짝을 이루므로 상부포밍롤러측 중앙포밍롤러가 더 크게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밍롤러는 플레이트(1)를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되는데, 플레이트(1)와 가까운 쪽에 제1포밍롤러(R1)가 배치되고, 플레이트(1)와 먼 바깥쪽에 제2포밍롤러(R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포밍롤러(R1)로 플레이트(1)의 플랜지를 성형한 후, 포밍롤러를 180도 회전시켜 제2 포밍롤러(R2)를 안쪽 방향에 배치시키는 경우, 다른 크기의 플랜지를 성형할 수 있다.
종래에는 다른 크기의 플랜지를 성형하고자 하는 경우, 포밍롤러를 교체해야 해야 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포밍롤러를 180도 회전시켜 다른 크기의 플랜지를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포밍성형부(140)의 지지대(141)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밍성형부의 총 길이에 대해 3개의 파트로서 지지대(141)와 지지대 사이에는 후술하는 링기어(146)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롤러동력전달부(147)는, 링기어(146)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대(141)측 제2롤러회전축(144)에 결합되는 스프라켓휠(W) 및 스프라켓휠을 연결하는 체인(C)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3개 파트의 지지대에 있어, 지지대와 지지대 사이에 회전동력을 전가하기 위한 하나의 동력전달 매체이다.
상기 링기어(146)는,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링부(146a) 및 링부 일측에 상기 롤러동력전달부(147)와 치합되는 기어부(146b)가 합체되고, 상기 체인(C)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146c)이 상하 형성되며, 양측에는 포밍되는 플레이트(1)의 통과를 위한 절개홈부(146d)가 형성된다.
상기 제1회전구동부(150)는, 받침대(120) 상에 설치되어 포밍성형부(140)의 포밍롤러(R)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한 것으로, 첨부된 도 1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구동모터(151)와, 메인 구동모터(151)와 연결되며, 양측으로 출력축(152a)이 마련되어 베이스(101)의 전후 측에 설치되는 제1감속기(152)와, 상기 제1감속기(152)의 양측 출력축(152a)으로부터 포밍성형부(140)의 포밍롤러(R)에 회전 동력을 부여하는 제1기어구동부(153)로 구성된다.
상기 제1기어구동부(153)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감속기(152)의 출력축(152a) 및 포밍성형부(140)의 포밍롤러(R)의 제2롤러회전축 중 플레이트가 진입하고, 성형되어 배출되는 지지대(141)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의 제2롤러회전축(144)상에 설치되는 베벨기어(G1), 상기 베벨기어(G1)들과 치합되는 평기어(G2)들의 상호 치합으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회전구동부(160)는 도 2 및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20) 상에 설치되어 고정대(130)로부터 포밍성형부(140) 전체를 180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파트로서, 받침대(120)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161)와, 제1구동모터(161)의 회전축과 연결 설치되는 동력전달축(162)과, 받침대(120) 상에 구비되며, 동력전달(162)축상에 구비된 구동기어(163a) 및 구동기어 일측에 호형상으로 배치되어 링기어(146)와 치합되는 종동기어(163b)가 회전되게 구비된 제2기어구동부(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163a) 및 종동기어(163b)는 링기어의 링부와 대응되는 직경부 가 더 형성되어 링기어의 회전 지지와 치합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회전으로서 링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이송부(170)는, 첨부된 도 3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의 플레이트(1)를 받침과 동시에 양측 포밍성형부(140)의 포밍롤러 사이에 진입시켜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송부(170)는, 베이스(101)로부터 포밍성형부(140)에 배치된 포밍롤러(R)의 높이선상에 맞게 구비되어 플레이트(1)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71)와, 상기 컨베이어(171)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컨베이어상에 안착 이송되는 플레이트(1)의 상부를 가압 안내하는 가압롤러(172) 및 가압롤러 지지대(173)와, 상기 컨베이어(171)를 일방향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부(1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롤러(172)는 중량체로서 가압롤러의 회전축 양단에 상기 가압롤러 지지대(173)가 연결되며, 가압롤러 지지대(173)대의 일단에는 구름롤러(173a)가 구비되어 이송부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부(175)에 구름롤러(176)가 안착되어 구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가압롤러(172)는 컨베이어(171) 상면에 진입하는 플레이트(1)의 상면을 눌러줌과 동시에 플레이트와 함께 이송하면서 플레이트가 본 포밍장치를 최종통과하는 지점까지 눌러주면서 이동하며, 포켓형 플랜지 성형이 완료된 플레이트가 최종 배출되면 초기 원상태로 상기 레일부를 따라 복귀시켜 주는 구조로 운영된다.
상기 레일부(175)는 베이스(101)로부터 아치형으로 설치된 구조물에 부착 설치된다.
상기 승강받침부(180)는 첨부된 도 2 및 도 1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20)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된 포밍성형부(140)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승강받침부(180)는, 받침대(120)상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181)과, 지지판(181)으로부터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82) 및 지지판상에 다지점 관통되는 가이드로드(183)와, 유압실린더(182)의 작동로드 및 가이드로드(183)의 끝단이 연결되어 포밍성형부(140)의 지지대(141) 저부를 받치는 승강받침블럭(184)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로드(183)는 유압실린더(182)의 작동로드 승강에 따라 상기 지지판(181)으로부터 승강받침블럭(184)을 받치는 상태로 동시에 승강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190)는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대(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180도 회전된 포밍성형부(14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포밍성형부(140)의 지지대(141) 중 플레이트가 진입하는 선단측과 배출되는 종단측 지지대(141)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부에 고정블럭(191)이 복수개 구비되고, 센서감지대(192)가 구비된 회전판(193)과, 상기 받침대(120)상의 고정대(130)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블럭(191)을 홀딩하는 한 쌍의 고정실린더(194)와, 상기 고정실린더(194)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센서감지대(192)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9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포밍장치를 이용한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의 제작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포밍장치(100)는 플레이트(1) 양단에 성형 가공하기 위한 포켓형 플랜지(1)의 규격에 맞추어 양측에 각각 설치된 포밍성형부(140)를 세팅한다.
상기 포밍성형부(140)의 세팅은, 간격조정부(110)를 이용하여 양측 포밍성형부에 구비된 포밍롤러(R) 중 해당 사이즈의 포켓형 플랜지(1a)의 성형을 위한 포밍롤러가 대응되는 형태가 되게 세팅한다.
즉, 플레이트(1)의 양측에 형성되는 포켓형 플랜지(1a)를 동일한 규격으로 성형할것인지, 또는 어느 한쪽은 다른 사이즈의 포켓형 플랜지를 성형할 것인지를 본 발명의 포밍장치를 세팅한 상태에서 포켓형 플랜지를 성형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조건은 간격조정부(110)를 통한 상기 포밍성형부(1409)의 세팅과 함께 각 포밍성형부에 양측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포밍롤러(R)의 성형규격에 맞게 선택하여 세팅한다.
상기 간격조정부(110)는 플레이트(1)의 폭에 맞추어 포밍성형부(140)가 설치된 받침대의 간격을 상호 조정하며, 이는 베이스(101)상에 설치된 제2구동모터(111)를 가동시켜 조정한다.
상기 제2구동모터(111)와 연결된 제2감속기(112)를 통해 동력전달된 제2감속기(112)의 출력축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받침대(120)의 측면을 관통하여 베이스(101)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이송스크류축(113)을 회전시킨다.
상기 이송스크류축(113)의 회전에 따라 베이스(101)상의 좌우측 받침대(120)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14)로부터 상기 받침대(120)는 저부측 가이드(115)를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조정하여 줌으로써 상기 베이스(101)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받침대(120)측 고정대(130)에 설치된 포밍성형부(140)의 간격을 조정한다.
상기와 같이 간격조정부(110)를 통해 포밍성형부(140)의 간격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포밍성형부(140)측 포밍롤러(R)의 위치를 세팅한다.
여기서 포밍롤러(R)의 위치 세팅이란, 상기 포밍성형부(140)의 지지대(141)에 배열 설치된 제1롤러회전축(143)과 제2롤러회전축(144) 일단에 각각 결합된 포밍롤러(R) 중 해당 사이즈의 포켓형 플랜지(1a) 성형에 맞는 포밍롤러(R)들이 지지대(141)의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배열된 위치에 설 수 있도록 세팅한다.
즉, 상기 포밍성형부(140)의 상호 대응되는 지지대(141)의 상하부 양측에 상하 조절가능하게 각각 구비된 축고정대(142)측의 제1롤러회전축(143)의 포밍롤러(R)와 상기 지지대(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롤러회전축(144)의 포밍롤러(R)가 일방향으로 한 쌍으로 배치된 상태이다.
이러한 세팅은 상호 마주하는 포밍성형부(140)를 통해 일방향에서 플레이트(1)의 길이 변 양측을 진입시키면서 다수의 서로 마주하고 있는 상하측의 포밍롤러(R)를 통해 해당하는 사이즈의 포켓형 플랜지(1a)의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세팅한 것이다.
상기 한 쌍으로 배열된 포밍롤러(R)에 대해 상기 축고정대(142)는 지지대(141)의 길이변에 마련된 요부에 안내되며, 체결볼트와 너트 및 압축스프링의 체결된 정도로서 상기 지지대(141)의 상하부에서 간격조정하여 제1롤러회전축(143)상의 포밍롤러(R)와 지지대(141)에 직접 회전가능하게 관통 지지된 제2롤러회전축(144)상의 포밍롤러(R)간의 간극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포밍성형부(140)의 각 포밍롤러(R)는 제1롤러회전축(143) 및 제2롤러회전축(144)상에 결합된 구동기어(145)들의 상호 치합 회전구동이 이루어지는 구조로서, 상기와 같이 해당 사이즈에 맞는 포밍롤러(R)를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포밍성형부(140)를 전반적으로 180도 회전 변경한다.
상기 포밍성형부(140)의 180도 회전변경은 받침대(120) 상에 설치된 상기 제2회전구동부(160)에 의해 위치를 변경한다.
상기 제2회전구동부(160)는 받침대(120)상에 설치된 제1구동모터(161)를 가동하면, 제1구동모터(161)의 회전축과 연결된 동력전달축(162)은 제2기어구동부(163)의 구동기어(163a)를 회전시키고, 구동기어(163a)와 치합된 포밍성형부(140)측 링기어(146)는 치합되어 회전하되, 상기 구동기어(163a) 일측에 호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종동기어(163b)들은 링기어(146)의 기어부(146b)에 치합된 상태로 회전한다.
상기 구동기어(163a) 및 종동기어(163b)는 링기어(146)의 링부(146a)와 대응되는 직경부가 더 형성되어 링기어(146)의 회전지지와 함께 기어부와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의 치합 회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원활하게 링기어(146)를 회전시켜 줌으로써 상술한 포밍성형부(140)를 전반적으로 180도 회전시켜 세팅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제2회전구동부(160)를 통한 링기어(146)의 회전은 180도 위치에서 변경되어짐으로써 해당 포밍롤러(R)를 대응되게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밍성형부의 180도 회전으로써 해당 사이즈 성형 위치가 변경된 상태에서는 상기 포밍성형부(140)를 회전 지지하고 있는 고정대(130)로부터 설치된 고정부(190)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포밍성형부(140)의 지지대(141) 저부와 이격된 위치의 받침대(120)상에 설치된 승강받침부(180)에 의해 포밍성형부(140)의 저부를 받쳐줌으로써 포밍성형부의 180도 회전 세팅은 완료된다.
상기 승강받침부(180)는, 받침대(120)상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181)상의 유압실린더(182)의 작동로드와 지지판상에 다지점 관통 지지된 가이드로드(183)가 연결된 승강받침블럭(184)이 상기 포밍성형부(140)의 회전상태에서는 하강되어 있다가 상기와 같이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는 승강받침블럭(184)을 상승시켜 지지대(141)의 저부를 받쳐 줌으로써 비교적 긴 지지대의 처짐을 방지시켜 준다.
상기 고정대(130)의 상부에 설치된 고정부(190)는 180도 회전된 포밍성형부(140)를 포밍성형부(140)의 지지대(141) 중 플레이트(1)가 진입하는 선단측과 배출되는 종단측 지지대(141)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부에 고정블럭(191)이 복수개 구비되고, 센서감지대(192)가 구비된 회전판(193)이 상기 포밍성형부와 함께 180도 회전된 상태에서 센서감지대(192)를 감지한 감지센서(195)의 신호로서 상기 받침대(120)상의 고정대(130) 상부에 설치된 고정실린더(194)를 작동시킨다.
상기 고정실린더(194)는 한 쌍으로 각각의 작동로드가 동시에 전진동작하고, 작동로드는 상기 고정블럭(191)에 삽입되는 동작으로서 상기 포밍성형부(140)의 회전을 방지시킨다.
이와 같은 포밍성형을 위한 세팅은 모두 완료된 상태로서, 덕트의 포켓형 플랜지(1a) 성형을 위해 플레이트(1)를 포밍장치(100)의 포밍성형부(140) 사이에 배치된 이송부(170)를 통해 진입시켜 준다.
상기 플레이트(1)는 이송부(170)의 컨베이어 구동부(174) 가동에 따라 컨베이어(171)의 상면에 안착되어 진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양측으로 배치된 포밍성형부의 포밍롤러사이를 통과하면서 절곡, 접힘, 압착 등과 같은 다단계의 작업이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의 상면은 상기 컨베이어(171)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컨베이어(171)상에 안착 이송되는 플레이트(1)의 상부를 가압 안내하는 가압롤러(172)가 가압롤러 지지대(173)측 구름롤러가 레일부를 따라 동시 이동하면서 플레이트를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양측으로 배지된 포밍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플레이트는 링기어의 절개홈부(146d)를 통과하면서 성형은 연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밍롤러(R)들의 구동은 본 발명의 포밍장치의 제1회전구동부(150)를 구성하는 메인 구동모터(151)의 가동으로 이와 연결된 제1감속기(152)의 양측 출력축(152a)과 연결된 제1기어구동부(153)를 통한 동력전달로서 포밍성형부에 설치된각각의 포밍롤러(R)들을 회전시킨다.
상기 제1기어구동부(153)는 제1감속기(152)의 출력축(152a) 및 포밍성형부(140)의 포밍롤러(R)의 제2롤러회전축(144) 중 플레이트가 진입하고, 성형되어 배출되는 지지대(141)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의 제2롤러회전축(144)상에 설치되는 베벨기어(G1), 상기 베벨기어(G1)들과 치합되는 평기어(G2)들의 상호 치합으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상기 포밍롤러(R)가 결합된 제1롤러회전축(143) 및 제2롤러회전축(144)상에는 구동기어(145)가 마련되어 이들의 상호 치합 회전구동으로 하나의 지지대(141)에 설치된 포밍롤러의 회전구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기어(145)들은 지지대(141)에 양단이 축설치된 회전축상에 설치된 아이들기어(148)과 상호 치합되어 회전 동력이 전달된다.
아울러 하나의 상기 지지대측과 지지대의 동력전달은 롤러동력전달부(147)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며, 이는 상기 링기어(146)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대(141)측 제2롤러회전축(144)에 결합되는 스프라켓휠(W) 및 스프라켓휠을 연결하는 체인(C)의 연결로서 동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전반적인 포밍롤러의 회전구동과 더불어 이사이를 지나는 플레이트의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포밍성형과 더불어 이송부(170)에 의해 이동되는 플레이트(1)에 성형이 완료되어 이송부를 벗어난 최종 플레이트의 양측 길이 변에는 포켓형 플랜지가 성형이 완료되며, 사각으로 제작되는 덕트의 사이즈에 맞게 재단하여 양단부에 이음부분인 포켓형 플랜지를 갖는 덕트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첨부분 도 18의 (a) 및 (b)는 플레이트(1) 양단에 포켓형 플랜지(1a)가 성형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제1포밍롤러 및 제2포밍롤러 사이즈에 따라 각각 다른 사이즈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포밍성형부(140) 중 어느 하나의 포밍성형부(140)를 18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성형하면 좌우 상호 다른 사이즈의 포켓형 플랜지를 성형할 수도 있다.
도 18의 (a)는 상술한 바의 포밍장치를 통한 작은 사이즈의 포켓형 플랜지를 성형한 것이고, 도 18의 (b)는 (a) 대비 큰 사이즈를 포켓형 플랜지를 성형할 경우이다.
상기와 같이 큰 사이즈의 포켓형 플랜지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도 1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회전구동부(160)의 구동으로서 포밍성형부(140)의 링기어(146)를 180도 회전시켜 주고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받침부(180), 고정부(190)를 이용하여 도면을 기준할 때 인사이드(inside)측과 아웃사이드(outside)측의 포밍롤러의 위치를 바꾸어 줌으로써, 이송부(170)을 통해 진입하는 플레이트(1)를 해당 사이즈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링기어(146)의 180도 회전에 따라 포밍성형부는 고정대(130)과 상호 연결된 회전판(193)의 중심축선상, 즉 포밍성형부의 제2롤러회전축(144)을 기점으로 제1롤러회전축(143)의 상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양측의 포밍롤러 위치세팅은 도면을 기준으로 아웃사이드측의 포밍롤러를 인사이드측으로 그 위치를 변경하면 상기와 같이 큰 사이즈의 포켓형 플랜지 성형 제작으로 전환하여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플레이트 1a: 포켓형 플랜지
100: 포밍장치 101: 베이스
110: 간격조정부 120: 받침대
130: 고정대 140: 포밍성형부
150: 제1회전구동부 160: 제2회전구동부
170: 이송부 180: 승강받침부
190: 고정부

Claims (12)

  1. 직사각형 금속판으로 된 플레이트(1)의 양단 길이 변 부분을 순차적인 포밍 과정을 거쳐 덕트의 연결부분인 포켓형 플랜지(1a)를 성형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밍장치(100)는,
    빔으로 조합되어 바닥면으로부터 구축되는 베이스(101);
    베이스(101)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상호 평행하면서 베이스 상부로부터 마련되는 간격조정부(110)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받침대(120);
    받침대(120)의 좌우측 상부의 전후 측에 각각 대응되게 기립되어 배치되는 고정대(130);
    전후측 각각의 고정대(13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대응되는 지지대(141)에 다수의 포밍롤러(R)가 양측으로 연속되게 구비되어 각 포밍롤러 사이에 진입되는 플레이트(1)의 양측 길이 변에 단계적인 절곡, 절첩 및 압착 성형으로 플레이트 양측에 포켓형 플랜지를 형성시키는 포밍성형부(140);
    받침대(120)에 설치되어 포밍성형부(140)의 포밍롤러(R)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회전구동부(150);
    받침대(120)에 설치되어 고정대(130)로부터 포밍성형부(140) 전체를 180도로 회전시키는 제2회전구동부(160);
    베이스(101) 상부에 설치되어 양측으로 마련된 포밍성형부(140)로 플레이트(1)를 받쳐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70);
    받침대(120)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된 포밍성형부(140)의 하부를 받쳐 지지하는 승강받침부(180);
    고정대(130)의 상부에 설치되어 180도 회전된 포밍성형부(140)를 고정하는 고정부(19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정부(110)는,
    베이스(101)상에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111)와,
    제2구동모터(111)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제2감속기(112)와,
    제2감속기(112)의 출력축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받침대(120)의 측면을 관통하여 베이스(101)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송스크류축(113)과,
    상기 이송스크류축(113)이 설치된 베이스(101)상의 좌우측 받침대(120)를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14) 및 받침대(120) 저부에 구비되어 가이드레일(114)에 안내되는 가이드(1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성형부(140)의
    상호 대응되는 지지대(141)는 하나 이상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되, 상기 지지대(141)의 상하부 양측에 상하조절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는 축고정대(142) 및 축고정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양단부에는 포밍롤러(R)가 결합된 제1롤러회전축(143)과,
    상기 지지대(1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양단부에는 상기 제1롤러회전축(143)상의 포밍롤러(R)와 일치되어 포밍성형을 위해 양단부에 포밍롤러(R)가 결합된 제2롤러회전축(144)과,
    상기 제1롤러회전축(143) 및 제2롤러회전축(144)상에 결합되어 상호 치합 회전구동이 이루어지는 구동기어(145)와,
    상기 지지대(141)와 지지대(14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회전구동부(16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포밍성형부(140)를 전반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링기어(146)와,
    상기 링기어(146)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대(141)측 제2롤러회전축(144)에 설치되어 지지대(141)측의 롤러회전축의 동일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롤러동력전달부(14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동력전달부(147)는,
    링기어(146)를 기준으로 양측의 지지대(141)측 제2롤러회전축(144)에 결합되는 스프라켓휠(W) 및 스프라켓휠을 연결하는 체인(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146)는,
    링부(146a) 및 링부일측에 상기 롤러동력전달부(147)와 치합되는 기어부(146b)가 합체되고, 상기 체인(C)의 관통을 위한 관통공(146c)이 상하 형성되며, 양측에는 포밍되는 플레이트(1)의 통과를 위한 절개홈부(146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밍롤러는,
    상부측 축고정대의 제1롤러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된 상부포밍롤러와,
    하부측 축고정대의 제1롤러회전축의 타측에 결합된 하부포밍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포밍롤러와 하부폴밍롤러는 크기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구동부(150)는,
    메인 구동모터(151)와,
    메인 구동모터(151)와 연결되며, 양측으로 출력축(152a)이 마련되어 베이스(101)의 전후 측에 설치되는 제1감속기(152)와,
    상기 제1감속기(152)의 양측 출력축(152a)으로부터 포밍성형부(140)의 포밍롤러(R)에 회전 동력을 부여하는 제1기어구동부(1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구동부(153)는
    제1감속기(152)의 출력축(152a) 및 포밍성형부(140)의 포밍롤러(R)의 제2롤러회전축 중 플레이트가 진입하고, 성형되어 배출되는 지지대(141)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의 제2롤러회전축(144)상에 설치되는 베벨기어(G1), 상기 베벨기어(G1)들과 치합되는 평기어(G2)들의 상호 치합으로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구동부(160)는,
    받침대(120)상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161)와,
    제1구동모터(161)의 회전축과 연결 설치되는 동력전달축(162)과,
    받침대(120) 상에 구비되며, 동력전달(162)축상에 구비된 구동기어(163a) 및 구동기어 일측에 호형상으로 배치되어 링기어(146)와 치합되는 종동기어(163b)가 회전되게 구비된 제2기어구동부(163)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70)는,
    베이스(101)로부터 포밍성형부(140)에 배치된 포밍롤러(R)의 높이선상에 맞게 구비되어 플레이트(1)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71)와,
    상기 컨베이어(171)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컨베이어상에 안착 이송되는 플레이트(1)의 상부를 가압 안내하는 가압롤러(172) 및 가압롤러 지지대(173)와,
    상기 컨베이어(171)를 일방향 구동하는 컨베이어 구동부(17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받침부(180)는,
    받침대(120)상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판(181)과,
    지지판(181)으로부터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유압실린더(182) 및 지지판상에 다지점 관통되는 가이드로드(183)와,
    유압실린더(182)의 작동로드 및 가이드로드(183)의 끝단이 연결되어 포밍성형부(140)의 지지대(141) 저부를 받치는 승강받침블럭(18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90)는,
    포밍성형부(140)의 지지대(141) 중 플레이트가 진입하는 선단측과 배출되는 종단측 지지대(141)에 고정 설치되며, 상하부에 고정블럭(191)이 복수개 구비되고, 센서감지대(192)가 구비된 회전판(193)과,
    상기 받침대(120)상의 고정대(130) 상부에 설치되어 고정블럭(191)을 홀딩하는 한 쌍의 고정실린더(194)와,
    상기 고정실린더(194)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센서감지대(192)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9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KR1020220078652A 2022-06-28 2022-06-28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KR102469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652A KR102469063B1 (ko) 2022-06-28 2022-06-28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EP23177970.3A EP4299204A1 (en) 2022-06-28 2023-06-07 Pocket flange forming device for duct
JP2023095609A JP7406863B1 (ja) 2022-06-28 2023-06-09 ダクト用ポケット型フランジフォーミング装置
US18/342,537 US20230415214A1 (en) 2022-06-28 2023-06-27 Pocket flange forming device for 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652A KR102469063B1 (ko) 2022-06-28 2022-06-28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063B1 true KR102469063B1 (ko) 2022-11-22

Family

ID=8423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652A KR102469063B1 (ko) 2022-06-28 2022-06-28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415214A1 (ko)
EP (1) EP4299204A1 (ko)
JP (1) JP7406863B1 (ko)
KR (1) KR10246906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540A (ja) * 1992-02-19 1993-09-07 Esumetsuku:Kk パイプ端部のフランジ形成装置
JP3441611B2 (ja) * 1997-01-20 2003-09-02 日鉄鋼板株式会社 ロール成形機
KR100597567B1 (ko) 2004-09-17 2006-07-10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덕트의 포켓형 플랜지
US20100180654A1 (en) * 2004-06-23 2010-07-22 Smorgon Steel Litesteel Products Pty Ltd Cold roll forming apparatus
JP5144603B2 (ja) * 2009-07-17 2013-02-13 埼玉工業株式会社 ロール成形装置
KR20140062994A (ko) * 2012-11-15 2014-05-27 차재욱 롤포머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2604A (ko) *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가변 롤 포밍 유닛
KR20160139243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가변 롤 포밍 시스템용 소재가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4627A (ja) * 1990-07-27 1992-03-17 Metokoiru Kk ダクトにおけるフランジ取付部の加工装置
EP0537594A3 (en) * 1991-10-08 1993-06-30 Cosimo Lonoce Method of forming a flanged-joint-profile; flanged-joint-profile in particular for air-duct installations
JP3163549B2 (ja) * 1992-11-27 2001-05-08 株式会社エヌケー製作所 共板成形機用金属板搬送装置
JPH0791723A (ja) * 1993-09-21 1995-04-04 Fukumoto Mitsui 空気ダクトの接続部の構造
KR100248233B1 (ko) 1997-12-11 2000-03-15 윤종용 광기록 매체에서 레이저 다이오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021274A (ko) * 2004-06-23 2007-02-22 스모르곤 스틸 라이트스틸 프로덕츠 피티와이 리미티드 냉간 압연 형성 장치
KR101630121B1 (ko) * 2015-03-25 2016-06-13 차재욱 강판 벤딩 장치
KR101888294B1 (ko) 2017-01-17 2018-08-14 (주)제일포밍 건축물 지붕용 빗물받이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8540A (ja) * 1992-02-19 1993-09-07 Esumetsuku:Kk パイプ端部のフランジ形成装置
JP3441611B2 (ja) * 1997-01-20 2003-09-02 日鉄鋼板株式会社 ロール成形機
US20100180654A1 (en) * 2004-06-23 2010-07-22 Smorgon Steel Litesteel Products Pty Ltd Cold roll forming apparatus
KR100597567B1 (ko) 2004-09-17 2006-07-10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덕트의 포켓형 플랜지
JP5144603B2 (ja) * 2009-07-17 2013-02-13 埼玉工業株式会社 ロール成形装置
KR20140062994A (ko) * 2012-11-15 2014-05-27 차재욱 롤포머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12604A (ko) * 2013-07-25 2015-02-04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가변 롤 포밍 유닛
KR20160139243A (ko) * 2015-05-27 2016-12-07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가변 롤 포밍 시스템용 소재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04465A (ja) 2024-01-16
JP7406863B1 (ja) 2023-12-28
US20230415214A1 (en) 2023-12-28
EP4299204A1 (en) 202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413166U (zh) 一种h型钢卧式预拼装装置
CN109366176B (zh) 搅拌车筒体自动成型设备
CN111482724A (zh) 一种型钢焊接成型加工方法
WO2012068809A1 (zh) 超大管径直缝焊管成型机组
CN111482737A (zh) 一种型钢焊接成型加工机器人
CN104261055A (zh) 铝板压延传送机构及应用该机构的加热炉
CN111974855A (zh) 彩钢瓦加工设备
CN115008114A (zh) 一种修眉刀片自动上网焊接机
CN113547005A (zh) 一种可变曲率的型材正反弯曲设备
CN107159814A (zh) 一种汽车门框内外板自动冲切流水线
CN111672936A (zh) 焊接h型钢卧式自动化矫正的方法
KR102469063B1 (ko) 덕트용 포켓형 플랜지 포밍장치
CN108544145B (zh) 用于液压支架连杆生产线的柔性化自动拼装平台
CN114871297A (zh) 一种大型直缝焊管龙门式折弯成型机及其成型方法
CN211489349U (zh) 一种辘骨机
CN213997344U (zh) 彩钢瓦加工用成型辊
CN212821939U (zh) 一种加工通风管道的卷圆机
CN212857286U (zh) 彩钢瓦加工设备
CN213355844U (zh) 螺旋提升机
US20100011829A1 (en) Roll-forming machine for forming smooth curves in profiled panel sections and method of forming curved panels
CN112474891A (zh) 一种高层建筑新风系统用钢质方形通风管道变形校正装置
CN213288258U (zh) 一种船体板材造型压弯机构
CN111530958A (zh) 一种钢结构型钢材智能处理加工一体机
CN110576082A (zh) 一种冷轧型钢冷弯成型设备
CN219193631U (zh) 一种板材输送线的导向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