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7412B1 -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7412B1
KR102467412B1 KR1020210038653A KR20210038653A KR102467412B1 KR 102467412 B1 KR102467412 B1 KR 102467412B1 KR 1020210038653 A KR1020210038653 A KR 1020210038653A KR 20210038653 A KR20210038653 A KR 20210038653A KR 102467412 B1 KR102467412 B1 KR 102467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unit
tubes
box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3488A (ko
Inventor
임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팩
Priority to KR1020210038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7412B1/ko
Publication of KR20220133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3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7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7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5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 B65B35/38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44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9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vertical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discharging completed packages from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튜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는 투입컨베이어부; 상기 투입컨베이어부에서 이동된 튜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부; 튜브흡착부에 의해 흡착된 다수개의 튜브를 박스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튜브이송부; 상기 튜브이송부에 의해 다수개의 튜브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튜브를 흡착하는 튜브흡착부; 상기 튜브흡착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다수개의 튜브를 박스 내에 수납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튜브박스수납부;를 마련하여 일정 길이로 형성된 튜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면서 다수개의 튜브를 동시에 흡착할 수 있고, 다수개의 튜브를 흡착하여 박스 내에 정렬시킨 상태로 수납할 수 있으며, 원통형의 튜브를 지그재그 형태로 가지런하게 수납시킬 수 있고, 2개의 박스에 순차적으로 튜브를 수납시켜 작업 시간을 단출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Tube alignment packaging device}
본 발명은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튜브를 박스 내에 정렬시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는 겔 또는 액상 등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로서 사용된다. 즉, 양단이 개방된 튜브에는 일측 에 캡(뚜껑)을 형성하여 밀폐시키고, 내용물을 채운 다음 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타측을 밀폐시킨다.
따라서 튜브는 용기 내부 내용물이 채워지기 전에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체를 일컫는 것으로, 통상 형태적인 변형이 자유로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튜브는 튜브 성형장치에서 일정 직경과 길이를 갖는 튜브를 성형하게 되고, 성형된 튜브는 건조장치로 보내어져 건조시킨 다음 튜브 외면에 인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인쇄가 이루어진 튜브는 또 다른 건조장치에서 건조시킨 다음 그 일측에 캡을 씌우는 과정까지 일련의 공정을 거치면서 용기 형태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튜브는 박스 내에 담아 이송되는데, 수작업으로 박스에 담게 되는 경우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튜브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튜브의 이동장치는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튜브 성형장치로부터 공급된 튜브가 안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와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튜브를 상기 본체 쪽으로 밀어주는 슈터를 포함하며, 상기 슈터는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고정되고 중공의 원판으로 형성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일측이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에어 실린더, 상기 에어 실린더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동일하게 형성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튜브 이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튜브 이송장치는 구동되는 체인바퀴와 체인이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체인의 이동에 의해 튜브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로서, 상기 체인의 일측으로 다수개의 튜브고정원판이 구비되고, 상기 튜브고정원판에 꽂이대가 구비되는 튜브고정부, 한 쌍의 상기 체인바퀴의 후방측으로 상기 케이스에 체인바퀴 이동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체인바퀴 이동구멍의 후면에 상기 체인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체인바퀴 고정판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의 사이에 상기 체인바퀴고정판을 관통하여 다수개의 가이드봉이 부착되어 상기 체인바퀴고정판이 상기 체인과 연동되는 캠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되는 순간정지부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17174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72468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159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포장하고자 하는 튜브를 컨베이어로 이동시키면서 박스 내에 가지런하게 정렬된 상태로 튜브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베이어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이동되는 다수개의 튜브를 동시에 흡착하여 박스 내에 투입 가능하게 튜브 사이의 이격 간격을 좁혀 박스 내에 정렬된 상태로 수납할 수 있는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쌍의 박스에 순차적으로 튜브를 수납시킬 수 있는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튜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는 투입컨베이어부(110); 상기 투입컨베이어부(110)에서 이동된 튜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부(130); 튜브흡착부(170)에 의해 흡착된 다수개의 튜브를 박스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튜브이송부(150); 상기 튜브이송부(150)에 의해 다수개의 튜브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튜브를 흡착하는 튜브흡착부(170); 상기 튜브흡착부(170)에 의해 이동된 상기 다수개의 튜브를 박스 내에 수납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튜브박스수납부(1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컨베이어부(110)는 구동모터(1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컨베이어바디(113)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풀리(114); 상기 컨베이어바디(113)의 타측에 설치되는 종동풀리(116); 상기 종동풀리(116)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부(130)에 설치되는 스토퍼(118); 상기 스토퍼(118)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스토퍼(118)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노브(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부(130)는 구동모터(1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컨베이어바디(131)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풀리(132); 상기 구동풀리(132)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종동풀리(134); 상기 구동풀리(132)와 종동풀리(1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벨트(135); 상기 투입컨베이어부(110)에서 투입되는 튜브를 상기 벨트(135)에 의해 이송되도록 상기 벨트(135)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튜브받침대(136);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받침대(136)는 상기 튜브가 안정되게 안치되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이송부(150)는 상기 튜브흡착부(170)를 수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직승강유닛(155); 상기 튜브흡착부(170)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수직승강유닛(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승강유닛(155)은 수직승강모터(156); 상기 수직승강모터(15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풀리(157); 상기 구동풀리(157)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종동풀리(158); 상기 종동풀리(158)의 회전에 의해 상기 튜브흡착부(170)를 승강시키는 볼스크류(159); 상기 튜브흡착부(170)의 승강 시 상기 튜브흡착부(170)가 안정되게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바(159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이동유닛(160)은 수평구동모터(161); 상기 수평구동모터(16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풀리(162); 상기 구동풀리(16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163); 상기 구동풀리(162)와 상기 가이드롤러(163)의 외면에 'Ω'자 형태로 설치되는 고정벨트(164); 상기 고정벨트(164)가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벨트(164)의 양단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흡착부(17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부(130)를 따라 이동되는 다수개의 튜브를 흡착하도록 하부고정플레이트(171)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흡착구(174); 상기 흡착구(174)의 간격을 설정된 거리만큼 제한시켜 신장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간격유지핀(175); 상기 흡착구(174)의 간격을 설정된 거리만큼 제한시켜 수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토퍼(176); 상기 흡착구(174)의 간격이 신축되도록 설치되는 간격조정실린더(1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튜브박스수납부(190)는 박스를 수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박스승강유닛(191); 상기 한 쌍의 박스승강유닛(191)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설치되는 이동실린더(196); 상기 박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박스승강유닛(191)의 후방에 설치되는 배출실린더(19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에 의하면, 일정 길이로 형성된 튜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면서 다수개의 튜브를 동시에 흡착할 수 있고, 다수개의 튜브를 흡착하여 박스 내에 정렬시킨 상태로 수납할 수 있으며, 원통형의 튜브를 지그재그 형태로 가지런하게 수납시킬 수 있고, 2개의 박스에 순차적으로 튜브를 수납시켜 작업 시간을 단출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의 투입컨베이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의 이송컨베이어부 및 튜브이송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의 이송컨베이어부를 도시한 확대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의 튜브이송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7의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의 튜브이송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우측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튜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는 투입컨베이어부(110)와, 상기 투입컨베이어부(110)에서 이동된 튜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부(130)와, 튜브흡착부(170)에 의해 흡착된 다수개의 튜브를 박스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튜브이송부(150)와, 상기 튜브이송부(150)에 의해 다수개의 튜브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튜브를 흡착하는 튜브흡착부(170)와, 상기 튜브흡착부(170)에 의해 이동된 상기 다수개의 튜브를 박스 내에 수납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튜브박스수납부(19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정렬 포장장치는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바디(111)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바디(111)의 저면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바퀴(112)가 설치된다.
도 4는 투입컨베이어부(110)를 도시한 것으로, 도 4(a)는 투입컨베이어부(110)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투입컨베이어부(110)의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컨베이어부(110)의 컨베이어바디(113)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컨베이어바디(113)의 일측에는 구동풀리(11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풀리(114)에는 구동모터(115)가 설치되고, 컨베이어바디(113)의 타측에는 종동풀리(116)가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바디(113)에는 튜브의 적체 시 튜브를 빼낼 수 있도록 배출호퍼(117)가 설치된다.
상기 투입컨베이어부(110)에는 이송컨베이어부(130)의 튜브받침대(136)로 이동된 튜브가 정위치에 안착되게 스토퍼(118)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118)에는 스토퍼(118)의 위치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노브(119)가 설치된다.
상기 간격조절노브(119)는 튜브의 길이에 따라 스토퍼(118)의 위치를 이동시켜 고정하게 된다.
상기 투입컨베이어부(110)에서는 튜브를 일렬로 정렬시킨 상태로 튜브를 공급하게 되며, 상기 튜브는 투입컨베이어부(110)에 의해 이송컨베이어부(130)의 튜브받침대(136)에 하나씩 이동된다.
즉, 튜브받침대(136)에는 각각 하나의 튜브가 안착된다.
한편 상기 투입컨베이어부(110)의 일측에는 컨베이어부(110, 130), 튜브이송부(150), 튜브흡착부(170) 및 튜브박스수납부(19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패널(120)이 설치된다.
상기 투입컨베이어부(110)의 일측에는 투입컨베이어부(110)에서 공급된 튜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안착시킨 상태로 튜브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부(130)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의 이송컨베이어부 및 튜브이송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의 이송컨베이어부를 도시한 확대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의 튜브이송부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이송컨베이어부(130)와 튜브이송부(150)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a)는 이송컨베이어부(130)의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튜브이송부(150)와 튜브흡착부(170)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우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컨베이어부(130)의 컨베이어바디(131) 일측에는 튜브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풀리(132)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풀리(13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3)가 설치된다.
또 상기 컨베이어바디(131)의 타측에는 구동풀리(132)에 대응되는 종동풀리(134)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풀리(132)와 종동풀리(134)에는 벨트(135)가 설치된다.
상기 벨트(135)는 무한궤도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벨트(135)에는 튜브를 안착시키는 튜브받침대(136)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바디(131)의 타측에는 벨트(135)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구(137)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부(130)는 벨트(135)를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시키면서 벨트받침대(136)에 튜브(미도시)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이송시킨다.
상기 튜브받침대(136)는 전체적인 형상이 'V'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튜브를 보다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튜브받침대(136)에는 스토퍼(118)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 튜브가 안착된다.
상기 튜브받침대(136)에 안착되는 튜브는 이송컨베이어부(130)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이송된다.
상기 프레임바디(111)의 상부에는 튜브를 흡착하는 튜브흡착부(170)를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튜브이송부(150)가 설치된다.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프레임바디(111)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수직서포트(151)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서포트(151)에는 다수개의 수평서포트(152)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서포트(152)에는 수직승강유닛(155)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고정레일(153)과 이동레일(154)이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레일(153)과 이동레일(154)은 수평서포트(152)의 내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튜브이송부(150)는 튜브흡착부(170)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수직승강유닛(155)과 튜브흡착부(17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1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승강유닛(155)은 튜브흡착부(170)를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는 것으로, 수평서포트(152) 상에는 수직구동모터(156)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구동모터(156)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157)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풀리(157)에 대응되는 종동풀리(158)가 설치된다.
상기 종동풀리(158)에는 볼스크류(159)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볼스크류(159)의 양측에는 각각 흡착구(17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바(159a)가 설치된다.
상기 수직승강유닛(155)은 수직구동모터(156)에 의해 구동풀리(157)와 종동풀리(158)를 회전시킴에 따라 볼스크류(159)가 회전되면서 튜브흡착부(170)를 승강시키게 된다.
상기 수평서포트(152)에는 튜브흡착부(170)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160)이 설치된다. 상기 수평이동유닛(160)에는 수평구동모터(161)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구동모터(161)에는 구동풀리(16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풀리(162)의 하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163)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풀리(162) 및 가이드롤러(163)를 'Ω'자 형태로 감싸는 고정벨트(164)가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벨트(164)는 수평서포트(152) 상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벨트(164)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163)의 상부에 설치된 구동풀리(162)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고정벨트(164)의 양단에는 각각 고정프레임(165)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벨트(164)의 양단은 고정프레임(165)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수평구동모터(161)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풀리(163)가 회전되면서 고정벨트(164)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수평이동유닛(160)은 수직승강유닛(155)을 이동시킴에 따라 튜브흡착부(170)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의 튜브이송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튜브흡착부(170)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튜브흡착부(170)의 우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튜브흡착부(170)는 수직승강유닛(155)의 볼스크류(159) 하단에 설치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흡착부(170)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하부고정플레이트(171)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승강유닛(155)에 고정되게 상부고정플레이트(172)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171)에는 한 쌍의 흡착구(174)를 설치할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173)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73)의 하단에는 각각 흡착구(174)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171)는 튜브받침대(136)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171), 즉 흡착구(174)의 간격을 동일한 간격으로 신축(신장 및 수축)되게 간격유지핀(175)이 설치된다.
상기 간격유지핀(175)은 하부고정플레이트(171)의 신장 시 최대로 이격되는 간격을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한다. 즉, 간격유지핀(175)은 하부고정플레이트(171)가 최대로 벌어지는 간격을 제한시키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핀(175)은 하부고정플레이트(171) 및 흡착구(174)의 간격을 튜브받침대(136)의 간격에 맞게 이격되게 제한시키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171)의 간격이 좁혀질 때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176)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171)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다수개의 베어링(177)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171)의 상부에는 하부고정플레이트(171)를 신축시키는 간격조정실린더(178)가 설치되며, 상기 간격조정실린더(178)에는 피스톤로드(178a)가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로드(178a)는 하부고정플레이트(171)에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간격조정실린더(178)는 피스톤로드(178a)를 이동시시킴에 따라 하부고정플레이트(171)와 흡착구(174)의 간격을 조정하게 되는데, 도 9의 도면상 피스톤로드(178a)가 왼쪽으로 이동되면, 흡착구(174)의 간격은 튜브받침대(136)의 간격과 일치되게 벌어지게 된다.
또 피스톤로드(178a)가 오른쪽으로 이동되면, 흡착구(174)의 간격은 다수개의 튜브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좁혀지게 된다.
이에 상기 흡착구(174)에 흡착된 다수개의 튜브는 박스(미도시) 내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서로 밀착된 상태로 전환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프레임바디(111)의 하부 전면에는 2개의 박스(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도록 튜브박스수납부(190)가 설치된다.
상기 튜브박스수납부(190)에는 박스 내에 적재되는 튜브의 양에 따라 박스를 승강시키는 한 쌍의 박스승강유닛(191)이 설치된다. 상기 박스승강유닛(191)에는 박스(미도시)를 받치는 박스받침대(192)가 설치되며, 박스받침대(192)를 승강시킬 수 있게 승강모터(193)가 설치된다.
상기 승강모터(193)에는 박스받침대(192)를 승강시킬 수 있게 볼스크류(19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볼스크류(194)의 양측에는 박스받침대(192)를 안정되게 승강시킬 수 있게 다수의 가이드바(195)가 설치된다.
상기 박스승강유닛(191)은 튜브의 수납 초기 시에 상승되고, 박스 내에 튜브가 채워지는 높이에 따라 하강된다.
상기 프레임바디(111)에는 한 쌍의 박스승강유닛(191)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이동실린더(196)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실린더(196)는 박스 내에 튜브의 수납이 완료되면, 인접한 다른 박스 내에 튜브를 연속적으로 수납시킬 수 있도록 박스승강유닛(191)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바디(111)에는 박스승강유닛(191)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레일(197)이 설치되며, 튜브가 수납된 박스(미도시)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박스승강유닛(191)에 대응되게 배출실린더(198)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튜브박스수납부(190)의 전면에는 박스를 비닐포장지로 씌울 수 있도록 배출호퍼(199)가 설치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투입컨베이어부 111: 프레임바디
112: 이동바퀴 113: 컨베이어바디
114: 구동풀리 115: 구동모터
116: 종동풀리 117: 배출호퍼
118: 스토퍼 119: 간격조절노브
120: 제어패널
130: 이송컨베이어부 131: 컨베이어바디
132: 구동풀리 133: 구동모터
134: 종동풀리 135: 벨트
136: 튜브받침대 137: 장력조절구
150: 튜브이송부 151: 수직서포트
152: 수평서포트 153: 고정레일
154: 이동레일 155: 수직승강유닛
156: 수직구동모터 157: 구동풀리
158: 종동풀리 159: 볼스크류
159a: 가이드바 160: 수평이동유닛
161: 수평구동모터 162: 구동풀리
163: 가이드롤러 164: 고정벨트
165: 고정프레임
170: 튜브흡착부 171: 하부고정플레이트
172: 상부고정플레이트 173: 수직프레임
174: 흡착구 175: 간격유지핀
176: 스토퍼 177: 베어링
178: 간격조정실린더
190: 튜브박스수납부 191: 박스승강유닛
192: 박스받침대 193: 승강모터
194: 볼스크류 195: 가이드바
196: 이동실린더 197: 이동레일
198: 배출실린더 199: 배출호퍼

Claims (8)

  1.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튜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동시키도록 다수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바디(111)와, 상기 프레임바디(111)의 저면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바퀴(112)와, 구동모터(1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컨베이어바디(113)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풀리(114)와, 상기 컨베이어바디(113)의 타측에 설치되는 종동풀리(116)와, 상기 컨베이어바디(113)에는 튜브의 적체 시 튜브를 빼낼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배출호퍼(117)와, 상기 종동풀리(116)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는 스토퍼(118) 및 상기 스토퍼(118)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스토퍼(118)에 설치되는 간격조절노브(119)로 구성되는 투입컨베이어부(110)와;
    상기 투입컨베이어부(110)에서 이동된 튜브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부(130)와;
    튜브흡착부(170)에 의해 흡착된 다수개의 튜브를 박스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튜브이송부(15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부(130)를 따라 이동되는 다수개의 튜브를 흡착하도록 하부고정플레이트(171)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흡착구(174)와, 상기 흡착구(174)의 간격을 설정된 거리만큼 제한시켜 신장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간격유지핀(175)과, 상기 흡착구(174)의 간격을 설정된 거리만큼 제한시켜 수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스토퍼(176)와,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171)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베어링(177) 및 상기 흡착구(174)의 간격이 신축되도록 설치되는 간격조정실린더(178)를 포함하는 튜브흡착부(170); 및
    상기 튜브흡착부(170)에 의해 이동된 상기 다수개의 튜브를 박스 내에 수납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튜브박스수납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이송부(150)는,
    수직승강모터(156)와, 상기 수직승강모터(15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풀리(157)와, 상기 구동풀리(157)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 종동풀리(158)와, 상기 종동풀리(158)의 회전에 의해 상기 튜브흡착부(170)를 수직으로 승강시키는 볼스크류(159) 및 상기 튜브흡착부(170)의 승강 시 상기 튜브흡착부(170)가 안정되게 승강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바(159a)를 포함하는 수직승강유닛(155)과;
    상기 튜브흡착부(170)를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수평구동모터(161)와, 상기 수평구동모터(16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풀리(162)와, 상기 구동풀리(162)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163)와, 상기 구동풀리(162)와 상기 가이드롤러(163)의 외면에 'Ω'자 형태로 설치되는 고정벨트(164) 및 상기 고정벨트(164)가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벨트(164)의 양단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65)을 포함하는 수평이동유닛(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부(130)는,
    구동모터(1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컨베이어바디(131)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풀리(132)와;
    상기 구동풀리(132)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종동풀리(134)와;
    상기 구동풀리(132)와 종동풀리(1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벨트(135); 및
    상기 투입컨베이어부(110)에서 투입되는 튜브를 상기 벨트(135)에 의해 이송되도록 상기 벨트(135)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튜브받침대(136);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받침대(136)는 상기 튜브가 안정되게 안치되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박스수납부(190)는,
    박스를 수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박스승강유닛(191)와;
    상기 한 쌍의 박스승강유닛(191)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설치되는 이동실린더(196); 및
    상기 박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박스승강유닛(191)의 후방에 설치되는 배출실린더(19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
KR1020210038653A 2021-03-25 2021-03-25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 KR102467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653A KR102467412B1 (ko) 2021-03-25 2021-03-25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653A KR102467412B1 (ko) 2021-03-25 2021-03-25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488A KR20220133488A (ko) 2022-10-05
KR102467412B1 true KR102467412B1 (ko) 2022-11-16

Family

ID=8359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653A KR102467412B1 (ko) 2021-03-25 2021-03-25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7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724B1 (ko) * 2023-04-12 2023-07-06 조민호 코니컬 튜브 포장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067A (ja) * 2012-12-12 2014-06-26 Kinjo Kiko Kk プラスチックチューブ箱詰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7057A (ja) * 1994-12-05 1996-06-18 Mitsubishi Heavy Ind Ltd 長尺野菜の自動箱詰め装置
KR200272468Y1 (ko) 2002-01-31 2002-04-15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 이송장치
KR101046704B1 (ko) * 2009-06-03 2011-07-05 세크론 주식회사 반도체소자용 픽업장치
KR101178423B1 (ko) * 2010-07-16 2012-08-30 한재형 프레스 소재 반출수단이 구비된 컨베어
KR20120067239A (ko) * 2010-12-15 2012-06-25 에스엔티코리아 주식회사 벨트를 이용한 단축로봇
KR101349080B1 (ko) 2011-08-05 2014-01-10 주식회사 아이팩 화장품용 튜브 용기
KR101505043B1 (ko) 2013-08-06 2015-03-24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4067A (ja) * 2012-12-12 2014-06-26 Kinjo Kiko Kk プラスチックチューブ箱詰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3488A (ko)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28030A1 (zh) 一种自动装箱方法及自动装箱机械手
CN103974879A (zh) 复合包装机器、包装方法和缠绕装置
KR101987819B1 (ko) 용기공급장치
US10005577B2 (en) Article stacking and packaging system
KR102467412B1 (ko)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
CN111470093A (zh) 一种输液软袋立放式装箱系统
ES2858199T3 (es) Máquina y método para embalar productos
KR101323532B1 (ko) 각티슈 케이스의 자동패커 포장장치
JP2018095322A (ja) 容器搬送装置
CN207860808U (zh) 一种多用途运输托盘
CN117246572A (zh) 玻璃瓶自动装盒装置及使用方法
CN115611027A (zh) 医疗用品自动装卸消毒装置
JP2005178801A (ja) 容器箱詰めシステム及び箱詰め方法
CN109455355B (zh) 一种全自动装箱线
KR101531973B1 (ko) 팔레트 적재장치
CN210503508U (zh) 一种粮食包装机的整平装置
CN109178454B (zh) 一种装礼品袋装置
KR102294935B1 (ko) 다열 제함기
CN210236321U (zh) 一种多片状物件定时分批传递运输机
KR101895376B1 (ko) 포장박스용 반전기
KR102157511B1 (ko) 자동 컵용기 실링장치
JPH0648402A (ja) 缶箱詰め装置
KR100515697B1 (ko) 파우치용기 자동 이송장치
JP4976628B2 (ja) 容器反転装置、小物物品排出処理装置、及び小物物品排出処理方法
AU670853B2 (en) A packa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