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601B1 - 고압 연료 펌프 - Google Patents

고압 연료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601B1
KR102466601B1 KR1020227000132A KR20227000132A KR102466601B1 KR 102466601 B1 KR102466601 B1 KR 102466601B1 KR 1020227000132 A KR1020227000132 A KR 1020227000132A KR 20227000132 A KR20227000132 A KR 20227000132A KR 102466601 B1 KR102466601 B1 KR 102466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lement
section
pressure fuel
fuel pump
pum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0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630A (ko
Inventor
얀 헤르만
세바스챤 바우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005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4Means for damping vibrations or pressure fluctuations in injection pump inlet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31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hydraulic pressure fluctuations damping elements
    • F02M2200/31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hydraulic pressure fluctuations damping elements for damping fuel pressure fluctu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 하우징(52) 및 커버 요소(54)를 포함하는 고압 연료 펌프(22)에 관한 것이며, 상기 커버 요소(54)는 상기 펌프 하우징(52)에 연결되고 벽(72)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요소(54)와 상기 펌프 하우징(52) 사이에 댐핑 체적(66)이 배치되고, 상기 벽(72)은 상기 커버 요소(54)의 공진 주파수가 9 kHz 이상, 바람직하게는 11 k㎐ 이상, 특히 12 kHz 이상에 놓이도록 형성된 보강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압 연료 펌프{HIGH-PRESSURE FUEL PUMP}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전제부에 따른 고압 연료 펌프에 관한 것이다.
예비 송출 펌프 및 기계식으로 구동되는 고압 연료 펌프에 의해 연료가 연료 탱크로부터 고압으로 고압 어큐뮬레이터("레일") 내로 송출되는 내연 기관용 연료 시스템은 시장에 공지되어 있다. 이런 고압 연료 펌프의 펌프 하우징 상에 또는 내에, 통상적으로 댐퍼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댐퍼 장치는 대부분 커버 요소, 및 상기 커버 요소와 펌프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다이어프램 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 댐퍼는 일반적으로 가스로 채워진 다이어프램 박스로서 설계되고, 유지 요소를 통해 펌프 하우징에 지지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기 펌프 하우징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댐퍼 장치는 저압 영역에 유체 연결된다. 댐퍼 장치는 예를 들어 고압 연료 펌프 내의 밸브, 예를 들면 유입 밸브의 개폐 과정에 의해 야기되는 연료 시스템의 저압 영역에서의 압력 맥동을 감쇠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 탑승자에게 거의 방해로 감지되지 않게 작동되는 고압 연료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고압 연료 펌프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연료 펌프에 의해, 고압 연료 펌프의 작동 중에 예를 들면 양 제어 밸브를 작동시키는 태핏의 부딪힘 시에 음 발생으로 인해 나타나는 커버 요소의 진동이 적은 소음 방출만을 야기하거나 또는 커버 요소에 의해 방출되는 소음 방출이 차량 탑승자에게 방해로 감지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커버 요소의 벽의 보강부는 어떤 경우에도, 적어도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벽의 만곡부들이 댐핑 체적을 향하는 상기 커버 요소의 내부 영역에 위치된 각각의 곡률 중심을 가짐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또는 적어도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벽의 상기 섹션은 댐핑 체적(또는 벽의 상기 섹션이 렌즈이면, "초점")으로부터 볼 때 오목하게 만곡된다. 상기 벽의 상기 만곡된 연장부가 보강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률 중심이 댐핑 체적의 측면 상에 놓인다는 것은 국소 곡률원(접촉원이라고도 함)의 중심이 댐핑 체적의 측면에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벽의 각각의 점에서 곡률원은 상기 점에서 벽의 연장에 가장 근접한 원, 즉 국소적으로 벽의 연장에 밀착하는 원이다. 상기 점에서 곡률원의 접선은 벽의 접선과 일치한다. 상기 벽의 한 점은 절단면에 따라 상이한 곡률원을 가질 수 있다(고려되는 절단면들은 각각 피스톤 길이 방향 축에 대해 평형하게 배치된다). 만곡된 벽은 자체 안정화 효과를 가지므로, 커버 요소가 얇은 재료 두께 및 그에 따라 적은 중량, 작은 크기 및 컴팩트한 치수를 가지면서 높은 강성 및 그에 따라 진동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다.
여기서 유의할 점은 상기 보강부가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면 보강 리브의 성형에 의해, 재료 두께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및/또는 벽의 재료량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커버 요소는, 커버 요소와 펌프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다이어프램 댐퍼, 다이어프램 댐퍼가 펌프 하우징에 지지되며 수직 방향으로 펌프 하우징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게 하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요소, 및 다이어프램 댐퍼가 커버 요소에 지지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커버 요소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게 하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 댐퍼 장치의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요소를 전술한 댐퍼 장치의 부분으로서 형성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연료 펌프의 작동 중에 압력 변동이 바람직한 방식으로 감쇠될 수 있다.
커버 요소는, 전체적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섹션, 및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간단한 방식으로 댐핑 체적이 형성된다. 고압 연료 펌프의 작동 중 커버 요소의 진동 거동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으므로, 고압 연료 펌프의 작동 중에 큰 댐핑 용량에서 특히 낮은 소음 방출이 나타난다. 제 2 섹션과 관련해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다는 것은 제 2 섹션이 그 연장에서 반경 방향을 나타내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즉 제 2 섹션이 완전히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특징은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비스듬히 연장하는 제 2 섹션도 포함한다.
커버 요소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섹션은 제 2 섹션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그 단부에, 펌프 하우징에 부착하기 위한, 반경 방향 내부의 경사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커버 요소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펌프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커패시터 방전 압입 용접 공정에 의해 펌프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요소의 반경 방향 내부의 경사진 영역이 반경 방향으로 펌프 하우징의 일부를 둘러싸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커버 요소는 간단한 방식으로 펌프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섹션, 즉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며 댐핑 체적(또는 벽의 상기 섹션이 렌즈이면, 초점)으로부터 볼 때 전체적으로 오목한 벽의 섹션은 2mm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4mm 내지 10mm, 또한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9mm, 더 바람직하게는 6mm 내지 8mm, 특히 6.5mm 내지 7.5mm, 더 특히 7㎜의 제 1 내부 곡률 반경을 갖는 단면을 갖는 전이 영역, 및 40mm 내지 54mm, 바람직하게는 42mm 내지 52mm, 더 바람직하게는 44mm 내지 50mm, 특히 46mm 내지 48mm, 더 특히 47mm의 제 2 내부 곡률 반경을 갖는 단면을 갖는 주 영역을 포함한다. 제 2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전이 영역 및 주 영역으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커버의 진동 모드 또는 공진 주파수가 펌프의 작동 중에, 고압 연료 펌프가 설치된 차량의 사용자에 의해 감지되지 않거나 불쾌하게 감지되지 않는 소음 방출의 바람직한 스펙트럼이 발생하도록 특히 간단하고 쉬운 방식으로 달성된다.
또한, 커버 요소의 전체적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섹션이 5mm 이상, 바람직하게는 6m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7mm 이상, 특히 8mm 이상 및/또는 12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1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mm 이하, 특히 9mm 이하의 축 방향 연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 요소는 커버 요소와 펌프 하우징 사이에 댐퍼 장치, 예를 들어 상기 멤브레인 댐퍼의 더 많은 부품을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한다. 그럼에도, 전체 높이는 비교적 낮고, 공진 거동은 바람직하지 않은 소음 방출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정도이다.
또한, 커버 요소의 벽의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섹션이 축 방향으로 볼 때 7mm 이상, 바람직하게는 8m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9mm 이상, 특히 9.5mm 이상 및/또는 13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2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1mm 이하, 특히 10.5mm 이하의 연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섹션의 축 방향 연장부가 클수록, 제 2 섹션이 더 만곡될 수 있고, 이는 소음 방출을 특히 효과적으로 억제하지만, 고압 연료 펌프의 요구되는 높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전술한 범위들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연료 펌프의 소음 억제와 공간 절감형 높이 사이의 바람직한 절충 해결책이다.
또한, 반경 방향 내부 영역에서 커버 요소의 벽 두께가 1.5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6m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65mm 이상이고, 상기 내부 영역이 커버 요소의 중심 축 주위에 배치되며 반경 방향으로 41㎜ 이상, 바람직하게는 41.7㎜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3㎜ 이상, 특히 45㎜ 이상의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경 방향 내부 영역에서 상기 최소 커버 두께는 고압 연료 펌프의 작동 중에 소음을 일으키는 커버 요소의 진동을 충분히 억제한다. 벽 두께에 대한 제시된 값들은 고압 연료 펌프의 작은 설치 크기와 적절한 무게로 커버의 경제적인 생산과 동시에 소음 방출의 충분한 억제를 가능하게 한다.
커버 요소가 15mm 이상, 바람직하게는 16mm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17mm 이상, 특히 18mm 이상의 축 방향 연장부 및/또는 22mm 이하, 바람직하게는 21m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0mm 이하, 특히 19mm 이하의 축 방향 연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된 하한은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 댐퍼, 유지 요소 및/또는 스프링 요소를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 요소와 펌프 하우징 사이에 배치할 수 있게 하는 바람직한 값이며, 제시된 최대값은 고압 연료 펌프의 바람직한 낮은 높이를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응용들 및 장점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고, 상기 특징들은 단독으로 그리고 상이한 조합으로 본 발명에 중요할 수 있다.
도 1은 내연 기관용 연료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연료 펌프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고압 연료 펌프의 커버 요소의 확대도.
도 4는 도 2 및 도 3의 커버 요소의 공진 주파수가 종래의 고압 연료 펌프의 공진 주파수와 비교하여 도시된 다이어그램.
도 1은 도시되지 않은 내연 기관용 연료 시스템(10)을 개략도로 도시한다. 상기 연료 시스템(10)의 작동 중에, 연료는 연료 탱크(12)로부터 흡입 라인(14), 예비 송출 펌프(16), 저압 라인(18) 및 유입구(20)를 통해 피스톤 펌프로서 설계된 고압 연료 펌프(22)에 공급된다. 유입구(20)에는 유입 밸브(24)가 배치되고, 피스톤 챔버(26)는 상기 유입 밸브(24)를 통해 저압 영역(28)에 유체 연결 가능하다. 상기 저압 영역(28)은 예비 송출 펌프(16), 흡입 라인(14) 및 연료 탱크(12)를 포함한다. 저압 영역(28) 내의 압력 맥동은 압력 댐퍼 장치(29)에 의해 감쇠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유입 밸브(24)는 액추에이터(30)를 통해 강제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30) 및 그에 따라 유입 밸브(24)가 제어 유닛(32)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고압 연료 펌프(22)의 피스톤(34)은 여기서 캠 디스크로서 설계된 구동 장치(36)에 의해 피스톤 길이 방향 축(38)을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는 도면 부호 40을 가진 화살표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고압 연료 펌프(22)의 출구 포트(42)와 피스톤 챔버(26) 사이에 배출 밸브(44)가 유압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배출 밸브(44)는 고압 어큐뮬레이터(46)("레일")로 개방될 수 있다. 고압 어큐뮬레이터(46) 내의 한계 압력이 초과될 때 개방되는 압력 제한 밸브(50)를 통해, 고압 어큐뮬레이터(46)와 피스톤 챔버(26)가 유체 연결 가능하다.
고압 어큐뮬레이터(46) 내의 한계 압력이 초과될 때 개방되는 압력 제한 밸브(48)를 통해, 고압 어큐뮬레이터(46)와 피스톤 챔버(26)가 유체 연결 가능하다. 압력 제한 밸브(48)는 스프링 장착 체크 밸브로서 설계되고 피스톤 챔버(26)로 개방될 수 있다.
연료 고압 펌프(22)는 도 2에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30)는 스프링 장착 태핏(49)을 포함한다. 태핏(49)은 솔레노이드 코일(50)을 통해 이동 가능하고 유입 밸브(24)의 스프링 장착 밸브 몸체(51)를 강제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도 2에서 고압 연료 펌프(22)의 상부 영역에 압력 댐퍼 장치(29)가 배치된다. 압력 댐퍼 장치(29)는 포트 형상 커버 요소(54)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소(54)는 연결 영역(56)에서 펌프 하우징(52)에 연결되며, 특히 여기서는 KEEP 용접 시임(Kondensator-Entladungs-Einpress-Schweissnaht; 커패시터-방전-압입-용접 시임)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 영역(56)은 펌프 하우징(52) 둘레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펌프 하우징(52) 및 커버 요소(54)는 압력 댐퍼 장치(29)의 내부 공간(58)을 한정한다. 압력 댐퍼 장치(29)의 내부 공간(58) 내에 다이어프램 댐퍼(60)가 배치된다. 상기 다이어프램 댐퍼(60)는 도면에서 볼 때 상부의 제 1 다이어프램(62) 및 도면에서 볼 때 하부의 제 2 다이어프램(64)을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들은 가장자리 측에서 용접된다. 상부 다이어프램(62) 및 하부 다이어프램(64)은 가스로 채워지며 압축 가능한 댐핑 체적(66)을 둘러싸는데, 그 이유는 2개의 다이어프램(62 및 64)이 각각 상기 댐핑 체적(66)에 대한 가요성 벽을 형성하기 때문이다.
다이어프램 댐퍼(60)가 가장자리 측에서 지지 요소(68)를 통해 펌프 하우징(52)에 지지되고, 축 방향으로 또는 도면에서 볼 때 수직 방향으로 피스톤 길이 방향 축(38)을 따라 상기 펌프 하우징(52)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스프링 요소(70)는 지지 요소(68)에 대향하여 다이어프램 댐퍼(60)와 커버 요소(54) 사이에 배치된다. 다이어프램 댐퍼(60)는 스프링 요소(70)를 통해 커버 요소(54)에 지지되고 축 방향(38)으로 상기 커버 요소(54)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전체적으로, 다이어프램 댐퍼(60)는 지지 요소(68) 및 스프링 요소(70)를 통해 가장자리 측에서 커버 요소(54)와 펌프 하우징(52) 사이에 유지된다.
고압 연료 펌프(22)의 작동 중에, 연료는 저압 영역(28)에서 압력 맥동을 일으킨다. 이러한 압력 맥동은 다이어프램 댐퍼(60)의 압축 또는 압축 해제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커버 요소(54)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피스톤 길이 방향 축(38)은 도 3에서 커버 요소(54)의 중심 축(38)에 상응한다. 커버 요소(54)는 벽(72)을 갖는다. 커버 요소(54)의 벽(72)은 도 3에서 완전히 수직으로 연장하는, 즉 완전히 피스톤 길이 방향 축(38)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섹션(74)을 갖는다. 커버 요소(54)의 벽(72)은 상기 제 1 섹션(74)에 인접하고 전체적으로 그리고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78)으로 연장하는 제 2 섹션(76)을 갖는다. 이는 제 2 섹션(76)이 반경 방향(도 3의 화살표 78)뿐만 아니라 축 방향으로도 약간 연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 2 섹션(76)은 내부 공간(58)으로부터 멀리 불룩하게 되고, 내부 공간(58)(또는 제 2 섹션(76)이 렌즈라면, 초점)으로부터 볼 때 오목하게 형성되어 휘어지므로, 국소 곡률의 곡률 중심이 내부 공간(58)의 측면에 놓여, 커버 부재(54) 또는 그 벽(72)의 보강부가 형성된다.
반경 방향 섹션(74)은 제 2 섹션(7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기 제 1 섹션(74)의 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경사진 영역(80)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80)은 펌프 하우징(52)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 2 섹션(76)은 제 1 섹션(74)에 대해, 여기서는 7㎜인 제 1 내부 곡률 반경(84)을 가진 전이 영역(82)을 포함한다. 제 2 섹션(76)은 또한 주 영역(86)을 포함하며, 상기 주 영역(86)은 반경 방향 내부로 상기 전이 영역(82)에 연결되고 제 2 내부 곡률 반경(88)을 갖는 단면을 갖는다. 상기 제 2 내부 곡률 반경(88)은 여기서 47mm이다.
여기서 제 2 섹션(76)은 전이 영역(82) 및 주 영역(86)으로 이루어진다. 커버 요소의 내부 영역은 도 3에서 도면 부호 90으로 표시된다. 내부 영역(90)에서, 커버 요소(54)의 벽(72)은 여기서 1.65mm인 벽 두께(92)를 갖는다. 내부 영역(90)은 여기서 41.7mm의 피스톤 길이 방향 축(38) 둘레의 직경을 갖는다.
제 1 섹션의 축 방향 연장부는 도 3에서 도면 부호 94로 표시되며 여기서는 8.2㎜이다. 제 2 섹션(76)의 수직 연장부는 도 3에서 도면 부호 96으로 표시되며 여기서는 9.9mm이다. 결과적으로, 커버 요소(54)의 전체 수직 연장부(98)는 여기서 18.1mm이다. 벽(72)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섹션, 여기서 제 2 섹션(76)은 내부 공간(58)에 대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유입 밸브(24)의 작동 중에, 유입 밸브(24)는 태핏(49)에 의해 부분적으로 강제로 개방되거나 폐쇄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고압 연료 펌프(22)에 의해 송출되는 연료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태핏(49)이 유입 밸브(24)의 밸브 몸체(51)에 부딪히면, 이는 소음을 유발한다. 이것은 펌프 하우징(52) 또는 연료를 통해 커버 요소(54)로 전파되어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그 후, 커버 요소(54)는 이 소음을 방출한다. 커버 요소(54)의 진동 모드가 예를 들어 8000Hz의 범위에 있다면, 상기 소음 방출의 바람직하지 않은 증폭이 발생할 수 있다. 커버 요소(54)의 전술한 기하학적 구조로 인해, 커버 요소(54)의 진동 모드는 비-가청 범위 근처에 또는 비-가청 범위에, 특히 12000Hz 내지 13000Hz 범위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버 요소의 공진 주파수는 9 kHz 이상, 바람직하게는 11 k㎐ 이상, 특히 12 kHz 이상이다. 이것은 고주파이거나 바로 비-가청 범위에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연료 펌프(22)의 작동 중 소음 방출에 대한 바람직한 효과를 갖는다.
도 4는 여기 주파수(102)의 함수로서 소음 방출(100)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연료 펌프(22)의 공진 거동은 도면 부호 104로 표시되며 파선으로 도시되고, 종래 기술에 공지된 고압 연료 펌프(22)의 공진 거동은 도면 부호 106으로 표시되며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 연료 펌프(22)의 공진 주파수(107)는 종래 기술의 공진 주파수(108)에 비해 비-가청 범위(110)로 이동된다. 공진 주파수(107)에서 소음 방출(100)의 총 크기(음량)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고압 연료 펌프(22)의 공진 주파수(108)에서보다 낮다.
22 고압 연료 펌프
29 댐퍼 장치
52 펌프 하우징
54 커버 요소
60 다이어프램 댐퍼
66 댐핑 체적
70 스프링 요소
72 벽
74 제 1 섹션
76 제 2 섹션
82 전이 영역
84 제 1 내부 곡률 반경
86 주 영역
88 제 2 내부 곡률 반경
92 벽 두께

Claims (8)

  1. 펌프 하우징(52) 및 커버 요소(54)를 포함하는 고압 연료 펌프(22)로서, 상기 커버 요소(54)는 중심축(38)을 가지며 상기 펌프 하우징(52)에 연결되며 벽(72)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요소(54)와 상기 펌프 하우징(52) 사이에 댐핑 체적(66)이 배치되고, 상기 벽(72)은 상기 커버 요소(54)의 공진 주파수가 9 kHz 초과에 놓이도록 형성된 보강재를 포함하는, 상기 고압 연료 펌프에 있어서,
    상기 벽(72)의 상기 보강재는 어떤 경우에도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섹션(74) 및 상기 제 1 섹션(74)에 인접하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섹션(76)으로 이루어진 상기 커버 요소(54)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 2 섹션(76)은 국부적인 곡률의 곡률 중심이 상기 댐핑 체적(66)의 측면 상에 위치되도록 연속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요소(54)는 상기 커버 요소(54)와 상기 펌프 하우징(52) 사이에 배치된 다이어프램 댐퍼(60), 상기 다이어프램 댐퍼(60)가 상기 펌프 하우징(52)에 지지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기 펌프 하우징(52)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게 하는 지지 요소(68), 및 상기 다이어프램 댐퍼(60)가 상기 커버 요소(54)에 지지되며 수직 방향으로 상기 커버 요소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되게 하는 스프링 요소(70)를 포함하는 댐퍼 장치(29)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74)은 상기 제 2 섹션(76)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그 단부에, 상기 펌프 하우징(52)에 상기 커버 요소(54)를 부착하기 위한, 반경 방향 내부의 경사진 영역(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은 적어도 5mm의 축방향 연장부(9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78)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 2 섹션(76)은 4mm 내지 10mm의 제 1 내부 곡률 반경(84)을 갖는 단면을 갖는 반경 방향 외부 전이 영역(82), 및 40mm 내지 54mm의 제 2 내부 곡률 반경(88)을 갖는 단면을 갖는 반경 방향 내부 주 영역(86)을 포함하고, 상기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78)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 2 섹션(76)은 상기 전이 영역(82) 및 상기 주 영역(8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 2 섹션(76)은 적어도 7mm의 축방향 연장부(9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78)으로 연장하는 상기 제 2 섹션(76)의 반경 방향 내부 영역(90) 에서의 상기 벽(72)의 벽 두께(92)는 적어도 1.5mm 이고, 상기 반경 방향 내부 영역(90)은 상기 커버 요소(54)의 중심 축(38) 주위에 배치되며, 반경방향(78)으로 적어도 41m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요소(54)는 전체적으로 적어도 15㎜의 축 방향 연장부(98) 및/또는 22㎜ 이하의 수직 연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연료 펌프.
KR1020227000132A 2016-07-08 2017-05-10 고압 연료 펌프 KR102466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2458.7A DE102016212458A1 (de) 2016-07-08 2016-07-08 Kraftstoffhochdruckpumpe
DE102016212458.7 2016-07-08
PCT/EP2017/061214 WO2018007055A1 (de) 2016-07-08 2017-05-10 Kraftstoffhochdruckpumpe
KR1020197000455A KR20190026745A (ko) 2016-07-08 2017-05-10 고압 연료 펌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455A Division KR20190026745A (ko) 2016-07-08 2017-05-10 고압 연료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630A KR20220005630A (ko) 2022-01-13
KR102466601B1 true KR102466601B1 (ko) 2022-11-16

Family

ID=586991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455A KR20190026745A (ko) 2016-07-08 2017-05-10 고압 연료 펌프
KR1020227000132A KR102466601B1 (ko) 2016-07-08 2017-05-10 고압 연료 펌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455A KR20190026745A (ko) 2016-07-08 2017-05-10 고압 연료 펌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865751B2 (ko)
EP (1) EP3482060B1 (ko)
JP (1) JP2019520519A (ko)
KR (2) KR20190026745A (ko)
CN (1) CN109416009B (ko)
DE (1) DE102016212458A1 (ko)
ES (1) ES2909470T3 (ko)
WO (1) WO20180070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8349A1 (en) * 2018-03-14 2019-09-19 Nostrum Energy Pte. Ltd.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WO2021235019A1 (ja) * 2020-05-21 2021-11-25 日立Astemo株式会社 燃料ポンプ
DE102021214628A1 (de) 2021-12-17 2023-06-22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Hochdruckpumpe für ein Kraftstoff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0727A (ja) * 2009-02-03 2010-08-19 Toyota Motor Corp デリバリパイプ
JP2011144700A (ja) 2010-01-12 2011-07-28 Denso Corp 高圧ポンプ
JP2014167297A (ja) * 2009-02-18 2014-09-11 Denso Corp 高圧ポンプ
JP2015083841A (ja) 2015-01-30 2015-04-3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料の圧力脈動低減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内燃機関の高圧燃料供給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11236B1 (de) 2002-10-19 2012-10-10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Dämpfen von Druckpulsationen in einem Fluidsystem, insbesondere in einem Kraftstoff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362411B3 (de) * 2002-10-19 2017-09-07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Dämpfen von Druckpulsationen in einem Fluidsystem, insbesondere in einem Kraftstoff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4002489B4 (de) * 2004-01-17 2013-01-31 Robert Bosch Gmbh Fluidpumpe, insbesondere Kraftstoff-Hochdruckpumpe
JP4686501B2 (ja) * 2007-05-21 2011-05-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液体脈動ダンパ機構、および液体脈動ダンパ機構を備えた高圧燃料供給ポンプ
DE102007038984A1 (de) * 2007-08-17 2009-02-19 Robert Bosch Gmbh Kraftstoffpumpe für ein Kraftstoff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IT1396142B1 (it) * 2009-11-03 2012-11-16 Magneti Marelli Spa Pompa carburante con dispositivo smorzatore perfezionato per un sistema di iniezione diretta
JP5668438B2 (ja) * 2010-12-02 2015-02-12 株式会社デンソー 高圧ポンプ
JP5382551B2 (ja) 2011-03-31 2014-01-08 株式会社デンソー 高圧ポンプ
DE112011105490B4 (de) * 2011-08-01 2018-02-2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Kraftstoffpumpe
JP6219672B2 (ja) * 2013-10-28 2017-10-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高圧燃料供給ポンプ
JP2015232283A (ja) * 2014-06-09 2015-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ダンパー装置
JP6324282B2 (ja) 2014-09-19 2018-05-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高圧燃料供給ポンプ
JP6039787B2 (ja) * 2015-12-17 2016-12-07 株式会社デンソー 高圧ポンプ
DE102016201082B4 (de) * 2016-01-26 2017-10-0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Kraftstoffhochdruckpumpe
DE102017213891B3 (de) * 2017-08-09 2019-02-1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Kraftstoffhochdruckpumpe für ein Kraftstoffeinspritzsystem
WO2019178349A1 (en) * 2018-03-14 2019-09-19 Nostrum Energy Pte. Ltd.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0727A (ja) * 2009-02-03 2010-08-19 Toyota Motor Corp デリバリパイプ
JP2014167297A (ja) * 2009-02-18 2014-09-11 Denso Corp 高圧ポンプ
JP2011144700A (ja) 2010-01-12 2011-07-28 Denso Corp 高圧ポンプ
JP2015083841A (ja) 2015-01-30 2015-04-3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料の圧力脈動低減機構、及びそれを備えた内燃機関の高圧燃料供給ポ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745A (ko) 2019-03-13
EP3482060B1 (de) 2022-01-05
ES2909470T3 (es) 2022-05-06
DE102016212458A1 (de) 2018-01-11
WO2018007055A1 (de) 2018-01-11
CN109416009B (zh) 2022-03-08
JP2019520519A (ja) 2019-07-18
KR20220005630A (ko) 2022-01-13
US20190301415A1 (en) 2019-10-03
EP3482060A1 (de) 2019-05-15
CN109416009A (zh) 2019-03-01
US10865751B2 (en)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8431B2 (ja) 流体システム内の圧力脈動を減衰するための装置
KR102466601B1 (ko) 고압 연료 펌프
US10508707B2 (en) Bearing system
EP1342911B1 (en) Fuel feed system
US8430655B2 (en) High-pressure pump
ES2393308T3 (es) Dispositivo para amortiguar las pulsaciones de presión en un sistema de fluidos, sobre todo en un sistema de combustible de una máquina de combustión interna
JP6513818B2 (ja) 高圧燃料ポンプ
JP2008525713A (ja) ピストンポンプ、特に内燃機関に用いられる燃料高圧ポンプ
KR20200130452A (ko) 댐퍼 유닛
KR20180118188A (ko) 댐퍼 캡슐, 압력 변동 댐퍼 및 고압 연료 펌프
JP5316956B2 (ja) 高圧ポンプ
US11002298B2 (en) Damping device
JP2011220196A (ja) ダンパユニット及び、高圧ポンプ
JP2014148913A (ja) 高圧燃料ポンプ
JP2010163939A (ja) パルセーションダンパ
US10443587B2 (en) High-pressure fuel pump
JP7118183B2 (ja) 金属ダイアフラム、金属ダンパ、及びこれらを備えた燃料ポンプ
CN108798960B (zh) 燃料高压泵
JP2011220197A (ja) ダンパユニット及び、高圧ポンプ
KR20150051350A (ko) 구조 개선된 배기시스템용 소음 및 배압 조절식 가변 밸브
JP7265644B2 (ja) 金属ダイアフラム、金属ダンパ、及び燃料ポンプ
JP5783431B2 (ja) パルセーションダンパ及びそれを備えた高圧ポンプ
JP2018115572A (ja) ハウジングおよびそれを備える高圧ポンプ
JP6344267B2 (ja) 高圧燃料ポンプ
JP2019190276A (ja) 燃料供給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