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202B1 -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 Google Patents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202B1
KR102459202B1 KR1020160022542A KR20160022542A KR102459202B1 KR 102459202 B1 KR102459202 B1 KR 102459202B1 KR 1020160022542 A KR1020160022542 A KR 1020160022542A KR 20160022542 A KR20160022542 A KR 20160022542A KR 102459202 B1 KR102459202 B1 KR 102459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axial direction
gear cover
platen roller
gea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334A (ko
Inventor
다쿠미 세이노
고우헤이 미야와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5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35Structure of thermal heads
    • B41J2/33505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with large type, e.g. on bulletins, ti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 B41J2202/31Thermal printer with head or platen movable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종동 기어를 가지는 플래튼 롤러와, 플래튼 롤러를 소정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구동원과, 플래튼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구동원이 장착되는 프레임과, 구동원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종동 기어에 전달하는 감속 기어와,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에 압접되는 서멀 헤드와, 프레임에 형성되고, 종동 기어 및 감속 기어가 장착됨과 더불어, 감속 기어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는 기어 박스부와, 기어 박스부의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폐색하는 기어 커버를 구비한 인자 유닛이며, 기어 박스부는, 소정축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패이는 오목부를 가지며, 기어 커버는, 기어 박스부에 걸어맞춰지는 클로부와, 기어 박스부의 오목부에 끼워맞춰지는 볼록부를 가진다.

Description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본 발명은,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서멀 프린터의 인자 유닛은, 플래튼 롤러와 서멀 헤드로 기록지를 사이에 둔 상태로 플래튼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기록지를 급지하면서 기록지의 인자면을 서멀 헤드의 발열 소자에 의해 가열하고, 인자면을 발색시켜 인자를 행한다. 플래튼 롤러는, 축의 일단부에 기어를 구비하고 있다. 플래튼 롤러는, 인자 유닛의 프레임에 장착된 모터의 동력이 감속 기어를 통해 플래튼 롤러의 기어에 전달됨으로써 회전한다.
인자 유닛의 프레임에는, 감속 기어 및 플래튼 롤러의 기어가 수용되는 기어 박스부가 설치되어 있다. 기어 박스부는, 감속 기어나 플래튼 롤러 등의 장착성을 고려하여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 박스부의 개구는, 기어 커버에 의해 덮여 있다. 기어 커버는, 기어 박스부에 대해 스냅 피트에 의해 걸어맞춰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자 유닛에서는, 낙하 충격에 의한 기어 커버의 휘어짐이나, 플래튼 롤러 등으로부터 기어 커버로의 하중 등에 의해, 기어 박스부와 기어 커버의 걸어맞춤이 어긋나, 기어 커버가 기어 박스부로부터 탈락하는 경우가 있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당 기술 분야에서는, 기어 커버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인자 유닛, 및 이 인자 유닛을 구비한 서멀 프린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 의하면, 인자 유닛이 낙하 충격 등에 의해 외력을 받았을 때에는,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플래튼 롤러는, 그 회전축인 소정축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면, 기어 박스부의 개구를 덮는 기어 커버에는, 기어 박스부에 장착된 플래튼 롤러의 종동 기어를 통해, 플래튼 롤러의 하중이 축 방향을 따르도록 작용한다. 또, 이 인자 유닛에 의하면, 기어 박스부가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패이는 오목부를 가지며, 기어 커버가 기어 박스부의 오목부에 끼워맞춰지는 볼록부를 가지기 때문에, 볼록부가 오목부 내에 배치된 상태로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한 채, 기어 커버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어 커버는, 플래튼 롤러로부터 축 방향을 따르도록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도, 기어 박스부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따라서, 기어 커버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인자 유닛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 의하면, 기어 커버가 종동 기어 및 감속 기어를 덮는 본체부의 주연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측벽부를 가지기 때문에, 측벽부를 리브로서 기능시킴으로써 본체부를 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어 커버는, 플래튼 롤러로부터 축 방향을 따르도록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도 휘기 어려워지므로, 클로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커버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 의하면, 기어 커버가 종동 기어 및 감속 기어를 덮는 본체부의 주연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측벽부를 가지기 때문에, 측벽부를 리브로서 기능시킴으로써 본체부를 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어 커버는, 플래튼 롤러로부터 축 방향을 따르도록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도 휘기 어려워지므로, 클로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커버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 의하면, 기어 커버는, 축 방향에서 볼 때 소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로부터 축 방향을 따르도록 작용하는 하중을 받았을 때에는, 소정 방향으로 휘려고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로부의 휘어짐 방향이 소정 방향과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기어 커버가 플래튼 롤러로부터 축 방향을 따르도록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 휜 경우여도, 기어 커버의 휘어짐 방향이 클로부의 휘어짐 방향에 대해 교차하고 있으므로, 기어 커버의 휘어짐에 의해 클로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커버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 의하면, 기어 커버가 프레임보다 인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어 커버의 볼록부를 기어 박스부의 오목부에 끼워맞춘 상태로 기어 커버를 휘게 하여, 기어 커버의 클로부를 기어 박스부에 걸어맞출 수 있다. 따라서, 기어 커버의 기어 박스부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에 의하면, 상술의 인자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기어 커버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서멀 프린터가 얻어진다.
도 1은,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기어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기어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기어 커버 장착시에 있어서의 인자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9는, 기어 커버 장착시에 있어서의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멀 프린터(1)는, 기록지(P)를 인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기록지(P)는, 열을 가하면 발색하는 감열지이며, 각종 라벨이나 영수증, 티켓 등의 인쇄 등에 적절히 사용된다. 기록지(P)는, 중공 구멍을 가지도록 감긴 롤지(R) 상태로 서멀 프린터(1)에 세트되고, 롤지(R)로부터 나온 부분에 대해 인쇄가 행해진다.
서멀 프린터(1)는, 케이싱(3)과, 표시부(4)와, 제어부(5)와, 인자 유닛(10)을 가진다. 케이싱(3)은, ABS나 ABS와 폴리카보네이트의 복합재 등의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료에 의해 중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3)은, 직방체 형상의 본체부(6)와, 본체부(6)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있어서, 본체부(6)의 두께 방향의 일방측에 굴곡하는 롤지 수용부(7)를 가진다. 본체부(6)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는, 인자 유닛(10)이 수용되어 있다. 본체부(6)의 길이 방향의 일단면에는, 배출구(3a)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3a)는, 인자 유닛(10)을 통과하여 인쇄된 기록지(P)가 배출된다. 본체부(6)의 두께 방향의 타방측에 인접하는 주면에는, 표시부(4)가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4)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이며, 제어부(5)에 접속되어 각종의 정보를 표시한다. 롤지 수용부(7)에는, 롤지(R)가 수용된다.
도 2는,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인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자 유닛(10)은, 종동 기어(56)를 가지는 플래튼 롤러(51)와, 플래튼 롤러(51)를 회전축(O) 둘레로 회전시키는 모터(61)와, 플래튼 롤러(5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모터(61)가 장착되는 본체 프레임(11)과, 모터(61)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종동 기어(56)에 전달하는 제1 감속 기어(65) 및 제2 감속 기어(66)와, 플래튼 롤러(51)의 외주면에 압접되는 서멀 헤드(41)를 가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자 유닛(10)은, 플래튼 롤러(51)와 서멀 헤드(41) 사이를 통과한 기록지(P)를 화살표(A)가 지향하는 방향을 향해 배출한다. 이하, 주로 인자 유닛(10)의 설명에서는, 화살표(A)를 따르는 방향을 상하 방향(L1)이라고 정의하고, 화살표(A)가 지향하는 방향을 상방이라고 정의한다. 또, 플래튼 롤러(51)의 회전축(O)을 따르는 방향을 축 방향(L2)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상하 방향(L1) 및 축 방향(L2)과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L3)이라고 정의하고, 전후 방향(L3)에 있어서 서멀 헤드(41)에 대한 플래튼 롤러(51)측을 전방이라고 정의한다.
본체 프레임(11)은, 예를 들어 유리 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11)은, 상하 방향(L1)에서 볼 때 전방을 향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 프레임(11)은, 축 방향(L2)으로 연재하는 등판부(12)와, 등판부(12)의 축 방향(L2)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세워 설치된 제1 측벽부(13)와, 등판부(12)의 축 방향(L2)에 있어서의 타방측의 단부로부터 전방 및 하방을 향해 세워 설치된 제2 측벽부(14)와, 제1 측벽부(13)와 제2 측벽부(14) 사이에 설치된 지지부(15)를 가진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판부(12)는, 전후 방향(L3)에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벽부(13)는, 축 방향(L2)에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부(13)의 상단연에는, 하방을 향해 깊이 베인 제1 롤러 삽입 홈(16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벽부(14)는, 축 방향(L2)에 두께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측벽부(14)는, 등판부(12)의 축 방향(L2)에 있어서의 타방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제2 측벽부(14)의 상단연에는, 하방을 향해 깊이 베인 제2 롤러 삽입 홈(16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롤러 삽입 홈(16B)은, 축 방향(L2)에서 본 형상 및 형성 위치가 제1 롤러 삽입 홈(16A)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롤러 삽입 홈(16A) 및 제2 롤러 삽입 홈(16B)에는, 플래튼 롤러(51)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 측벽부(14) 중, 제2 측벽부(14)와 등판부(12)의 접속부보다 하측에는, 모터(61)가 장착되어 있다. 모터(61)는, 제2 측벽부(14)에 대해 내측으로부터 장착됨과 더불어, 모터(61)의 출력축(61a)이 제2 측벽부(14)를 관통하여 제2 측벽부(1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모터(61)는, 도시하지 않은 배선 패턴이 프린트 배선된 플렉시블 기판(71)을 통해, 제어부(5)(도 1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모터(61)는, 제어부(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구동한다.
제2 측벽부(14)의 외측에는, 기어 박스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 박스부(17)는, 제2 측벽부(14)의 주연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세워 설치된 주벽부(18)를 가진다. 주벽부(18)는, 축 방향(L2)에서 볼 때 상방을 향해 개방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어 박스부(17)는, 외측을 향해 개구하고 있다.
주벽부(18)의 전측의 상단연, 및 후측의 상단연에는, 하방을 향해 패이는 오목부(1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오목부(19)는, 전후 방향(L3)에서 볼 때 서로 형상 및 위치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19)는, 전후 방향(L3)에서 볼 때, 상방을 향해 개구가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 오목부(19)는, 전후 방향(L3)에서 볼 때, 축 방향(L2)을 따르는 바닥부(19a)와, 바닥부(19a)의 외측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벽부(19b)와, 바닥부(19a)의 내측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내측벽부(19c)와, 내측벽부(19c)의 상단연으로부터 축 방향(L2)의 일방측을 향해 대각선 상방으로 연장되는 사벽부(斜壁部)(19d)를 가진다. 내측벽부(19c)의 높이는, 외측벽부(19b)의 높이의 절반 정도로 되어 있다. 사벽부(19d)의 상단연의 위치는, 외측벽부(19b)의 상단연와 상하 방향(L1)에 있어서 대략 일치하고 있다.
주벽부(18)에는, 제1 구멍부(18a) 및 제2 구멍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구멍부(18a)는, 주벽부(18) 중 전방에 인접하는 부분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구멍부(18a)는, 전후 방향(L3)에서 볼 때 상하 방향(L1)으로 긴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구멍부(18b)는, 주벽부(18) 중 후방에 인접하는 부분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 구멍부(18b)는, 전후 방향(L3)에서 볼 때 상하 방향(L1)으로 긴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구멍부(18b)는, 상하 방향(L1)에 있어서 제1 구멍부(18a)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 박스부(17)에는, 각 감속 기어(65, 66)가 장착되어 있다. 제1 감속 기어(65)는, 제2 측벽부(14)로부터 세워 설치된 제1 회전축(67)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제1 감속 기어(65)는, 모터(61)의 출력축(61a)에 장착된 구동 기어(62)에 맞물려 있다. 제2 감속 기어(66)는, 제1 회전축(67)보다 상방에 있어서 제2 측벽부(14)로부터 세워 설치된 제2 회전축(68)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제2 감속 기어(66)는, 제1 감속 기어(65)에 맞물려 있다. 각 감속 기어(65, 66)는, 기어 박스부(17)의 개구 내에 장착된다.
지지부(15)는, 축 방향(L2)을 따라 연장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5)는, 축 방향(L2)의 일방측의 단부가 제1 측벽부(13)의 내측면에 접속함과 더불어, 축 방향(L2)의 타방측의 단부가 제2 측벽부(14)의 내측면에 접속하고 있다. 지지부(15)에는, 전후 방향(L3)에서 볼 때 하방을 향해 패이는 한 쌍의 장착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장착부(15a)는, 축 방향(L2)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각 장착부(15a)의 바닥부에는, 장착부(15a)의 바닥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5b)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11)은, 지지부(15)의 관통 구멍(15b)에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삽입 통과시켜, 케이싱(3)에 대해 장착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멀 헤드(41)는, 기록지(P)(도 2 참조)에 대해 인쇄를 행하는 것이다. 서멀 헤드(41)는, 전후 방향(L3)에서 볼 때 축 방향(L2)을 길이 방향으로 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멀 헤드(41)는, 그 길이 방향과 기록지(P)의 폭 방향이 일치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서멀 헤드(41)의 헤드면(41a)에는, 축 방향(L2)을 따라 다수의 발열 소자(42)가 배열되어 있다. 헤드면(41a)은, 기록지(P)의 인자면과 대향하고 있으며, 플래튼 롤러(5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기록지(P)를 협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서멀 헤드(41)는, 플렉시블 기판(71)을 통해, 제어부(5)(도 1 참조)에 접속되고, 서멀 헤드(41) 상에 탑재된 드라이버 IC(도시 생략)가, 제어부(5)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발열 소자(42)의 발열을 제어하고 있다. 서멀 헤드(41)는, 발열 소자(42)의 발열이 제어되고, 각종의 문자나 도형 등을 기록지(P)의 인자면에 인쇄한다.
서멀 헤드(41)는, 본체 프레임(11)에 지지된 헤드 지지체(45)에 첩부 고정되어 있다. 헤드 지지체(45)는, 축 방향(L2)을 길이 방향으로 한 판 형상의 부재이며, 전면에 서멀 헤드(41)가 첩부 고정되어 있다. 헤드 지지체(45)는, 제1 측벽부(13)와 제2 측벽부(14)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등판부(12)와 지지부(1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지지체(45)와 등판부(12) 사이에는, 헤드 지지체(45)와 등판부(12)를 서로 이격시키는 방향을 향해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46)가 개장되어 있다. 즉, 탄성 부재(46)는, 헤드 지지체(45)를 전방을 향해 항상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46)는, 축 방향(L2)에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배열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 지지체(45)의 상단부에는, 헤드 지지체(45)의 회동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한 쌍의 스토퍼(45a)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5a)는, 헤드 지지체(45)에 있어서의 축 방향(L2)의 외측을 향해 연장 돌출하는 것이며, 본체 프레임(11)의 제1 측벽부(13)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부(13a), 및 제2 측벽부(14)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부(14a) 내를 향하고 있다. 스토퍼(45a)는, 헤드 지지체(45)의 회동에 수반하여 구멍부(13a, 14a) 내를 이동하고, 구멍부(13a, 14a)의 단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45a)는, 구멍부(13a, 14a)의 단면에 접촉함으로써, 헤드 지지체(45)의 회동량을 규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51)는, 서멀 헤드(41)에 대향 배치되고, 서멀 헤드(41)와의 사이에 기록지(P)를 둔 상태로 회전축(O)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기록지(P)를 화살표(A)가 지향하는 방향으로 내보낸다. 플래튼 롤러(51)는, 롤러 샤프트(52)와, 롤러 샤프트(52)에 외장된 롤러 본체(53)와, 롤러 샤프트(52)의 양단에 장착된 한 쌍의 베어링(54)을 가진다. 롤러 샤프트(52)는, 본체 프레임(11)의 제1 측벽부(13)와 제2 측벽부(14)의 이격 거리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롤러 본체(53)는, 예를 들어 고무 등에 의해 형성되고, 축 방향(L2)을 따라, 롤러 샤프트(52)의 양단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51)는, 양단에 장착된 한 쌍의 베어링(54)이 본체 프레임(11)의 각 롤러 삽입 홈(16A, 16B)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51)는, 본체 프레임(11)에 대해 회전축(O)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착탈 가능하게 유지된다. 플래튼 롤러(51)는, 각 롤러 삽입 홈(16A, 16B)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롤지(R)(도 1 참조)로부터 나온 기록지(P)를 상기 플래튼 롤러(51)와 서멀 헤드(41) 사이에 둔 상태로, 롤러 본체(53)가 서멀 헤드(41)에 대해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51)의 축 방향(L2)에 있어서의 타방측의 단부에는, 종동 기어(56)가 고정되어 있다. 종동 기어(56)는, 플래튼 롤러(51)가 제1 측벽부(13) 및 제2 측벽부(14)에 유지되었을 때에, 기어 박스부(17)의 상부에 장착된다. 이때, 종동 기어(56)는, 축 방향(L2)에서 볼 때 제2 감속 기어(66)와 포개짐과 더불어 제2 감속 기어(66)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제2 감속 기어(66)에 맞물려 있다. 이것에 의해, 모터(61)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은, 각 감속 기어(65, 66)를 통해 종동 기어(56)에 전달된다. 플래튼 롤러(51)는, 제1 측벽부(13) 및 제2 측벽부(14)에 유지된 상태로 회전하며, 기록지(P)(도 2 참조)를 내보낼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 박스부(17)의 개구에는, 축 방향(L2)에서 볼 때 기어 박스부(17)의 개구 전체를 폐색하는 기어 커버(20)가 장착된다. 기어 커버(20)는, 본체 프레임(11)보다 인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ABS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기어 커버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기어 커버의 외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기어 커버의 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 커버(20)는, 본체부(21)와, 본체부(21)의 주연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커버 측벽부(22)를 가진다. 또한, 이하의 기어 커버(20)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방향은, 기어 커버(20)가 기어 박스부(17)에 장착된 상태(도 2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의 방향으로 한다.
본체부(21)는, 기어 커버(20)가 기어 박스부(17)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축 방향(L2)에서 볼 때 종동 기어(56) 및 각 감속 기어(65, 66)를 덮는다(도 2 및 도 3 참조). 본체부(21)는, 축 방향(L2)에 두께를 가짐과 더불어, 상하 방향(L1)으로 긴 장방형 형상의 판 형상 부재이다. 본체부(21)의 축 방향(L2)에서 본 형상은, 기어 박스부(17)의 축 방향(L2)에서 본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도 2 참조). 본체부(21)의 중앙부에는, 본체부(21)를 축 방향(L2)으로 관통하는 한 쌍의 관통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23)에는, 기어 커버(20)가 기어 박스부(17)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제1 회전축(67) 및 제2 회전축(68)(도 3 참조)의 선단부가 삽입된다.
도 4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21)의 전방 하부에는, 기어 박스부(17)에 걸어맞춰지는 제1 클로부(24)가 축 방향(L2)의 일방측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1 클로부(24)는, 전후 방향(L3)에 휘어짐 변형 자유로운 판스프링부(24a)와, 판스프링부(24a)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24b)를 가진다. 돌기부(24b)는, 기어 박스부(17)의 제1 구멍부(18a)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체부(21)의 후방 하부에는, 기어 박스부(17)에 걸어맞춰지는 제2 클로부(25)가 축 방향(L2)의 일방측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2 클로부(25)는, 전후 방향(L3)에 휘어짐 변형 자유로운 판스프링부(25a)와, 판스프링부(25a)의 선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 설치된 돌기부(25b)를 가진다. 제2 클로부(25)는, 상하 방향(L1)에 있어서 제1클로부(24)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돌기부(25b)는, 기어 박스부(17)의 제2 구멍부(18b)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측벽부(22)는, 하부에 설치된 하측 측벽부(22a)와, 전부에 설치된 전측 측벽부(22b)와, 후부에 설치된 후측 측벽부(22c)를 가진다. 하측 측벽부(22a)는, 본체부(21)의 하단연으로부터, 본체부(21)의 후방 하부의 각부를 통과하여, 본체부(21)의 후단연의 하부에 걸친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하측 측벽부(22a)는, 제1 클로부(24) 및 제2 클로부(25)에 대해 간극을 설치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측 측벽부(22b)는, 본체부(21)의 전단연에 있어서, 제1 클로부(24)보다 상방으로부터, 본체부(21)의 전방 상부의 각부에 걸친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전측 측벽부(22b)는, 제1 클로부(24)에 대해 간극을 설치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전측 측벽부(22b)의 상단부에는, 기어 박스부(17)의 전측의 오목부(19)(도 3 참조)에 끼워맞춰지는 제1 볼록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볼록부(26)는, 전측 측벽부(22b)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1 볼록부(26)의 하단부는, 축 방향(L2)에서 볼 때 전후 방향(L3)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볼록부(26)의 축 방향(L2)의 양측에 인접하는 양 측면은, 축 방향(L2)과 직교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측 측벽부(22c)는, 본체부(21)의 후단연에 있어서, 제2 클로부(25)보다 상방으로부터, 본체부(21)의 후방 상부의 각부에 걸친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후측 측벽부(22c)는, 제2 클로부(25)에 대해 간극을 설치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측 측벽부(22c)의 상단부에는, 기어 박스부(17)의 후측의 오목부(19)(도 3 참조)에 끼워맞춰지는 제2 볼록부(27)가 설치되어 있다. 제2 볼록부(27)는, 후측 측벽부(22c)로부터 후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제2 볼록부(27)의 하단부는, 축 방향(L2)에서 볼 때 전후 방향(L3)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볼록부(27)의 축 방향(L2)의 양측에 인접하는 양 측면은, 축 방향(L2)과 직교하는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볼록부(27)는, 전후 방향(L3)에서 볼 때 제1 볼록부(26)와 형상 및 위치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볼록부(26) 및 제2 볼록부(27)는, 기어 커버(20)가 기어 박스부(17)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축 방향(L2)에서 볼 때 상하 방향(L1)에 있어서의 기어 커버(20)의 중간부보다 종동 기어(56)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상술의 각 클로부(24, 25)는, 기어 커버(20)가 기어 박스부(17)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축 방향(L2)에서 볼 때 상하 방향(L1)에 있어서의 기어 커버(20)의 중간부를 사이에 두고 각 볼록부(26, 27)와는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기어 커버(20)의 장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인자 유닛(10)의 각 구성 부품의 부호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고 싶다.
도 8은, 기어 커버 장착시에 있어서의 인자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9는, 기어 커버 장착시에 있어서의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우선, 플래튼 롤러(51)를 본체 프레임(11)에 유지시킨다. 이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 커버(20)의 제1 볼록부(26)를 기어 박스부(17)의 전측의 오목부(19)에 끼워맞춤과 더불어, 제2 볼록부(27)를 후측의 오목부(19)에 끼워맞춘다. 이때, 기어 커버(20)는, 전후 방향(L3)에서 볼 때 기어 커버(20)의 하부가 상부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본체부(21)를 경사시킨 상태가 된다. 이때, 각 볼록부(26, 27)의 축 방향(L2)의 일방측에 인접하는 측면은, 각 오목부(19)의 사벽부(19d)에 접촉하고 있다.
다음에, 각 볼록부(26, 27)와 오목부(19)의 끼워맞춤을 유지한 채, 기어 커버(20)의 하부를 기어 박스부(17)에 가까이하도록 축 방향(L2)의 일방측을 향해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기어 커버(20)의 하측 측벽부(22a), 전측 측벽부(22b)의 하부, 및 각 클로부(24, 25)가, 기어 박스부(17)의 주벽부(18)의 내측에 끼워넣어진다. 그리고, 제1 클로부(24)의 돌기부(24b)가 기어 박스부(17)의 제1 구멍부(18a)에 걸어맞춰짐과 더불어, 제2 클로부(25)의 돌기부(25b)가 기어 박스부(17)의 제2 구멍부(18b)에 걸어맞춰진다. 이것에 의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어 커버(20)는, 기어 박스부(17)에 대해 스냅 피트에 의해 걸어맞춰진다. 이상에 의해, 기어 커버(20)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인자 유닛(10)은, 본체 프레임(11)에 형성되고, 종동 기어(56) 및 각 감속 기어(65, 66)가 장착됨과 더불어, 각 감속 기어(65, 66)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는 기어 박스부(17)와, 기어 박스부(17)의 개구를 폐색하는 기어 커버(20)를 가진다. 기어 박스부(17)는, 회전축(O)의 축 방향(L2)과 교차하는 상하 방향(L1)으로 패이는 오목부(19)를 가진다. 기어 커버(20)는, 기어 박스부(17)에 걸어맞춰지는 각 클로부(24, 25)와, 기어 박스부(17)의 오목부(19)에 끼워맞춰지는 각 볼록부(26, 27)를 가진다.
인자 유닛(10)이 낙하 충격 등에 의해 외력을 받았을 때에는, 본체 프레임(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플래튼 롤러(51)는, 회전축(O)의 축 방향(L2)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면, 기어 박스부(17)의 개구를 덮는 기어 커버(20)에는, 기어 박스부(17)에 장착된 플래튼 롤러(51)의 종동 기어(56), 및 종동 기어(56)와 기어 커버(20) 사이에 배치된 제2 감속 기어(66)를 통해, 플래튼 롤러(51)의 하중이 축 방향(L2)을 따르도록 작용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어 박스부(17)가 상하 방향(L1)으로 패이는 오목부(19)를 가지며, 기어 커버(20)가 기어 박스부(17)의 오목부(19)에 끼워맞춰지는 각 볼록부(26, 27)를 가지기 때문에, 각 볼록부(26, 27)가 오목부(19) 내에 배치된 상태로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한 채, 기어 커버(20)가 축 방향(L2)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어 커버(20)는, 플래튼 롤러(51)로부터 축 방향(L2)을 따르도록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도, 기어 박스부(17)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된다. 따라서, 기어 커버(2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인자 유닛(10)으로 할 수 있다.
또, 각 볼록부(26, 27)가 축 방향(L2)에서 볼 때, 상하 방향(L1)에 있어서의 기어 커버(20)의 중간부보다 종동 기어(56)측에 형성되므로, 종동 기어(56)가 각 클로부(24, 25)보다 각 볼록부(26, 27)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기어 커버(20)는, 플래튼 롤러(51)로부터 축 방향(L2)을 따르도록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도, 그 하중을 기어 박스부(17)의 오목부(19)와 기어 커버(20)의 각 볼록부(26, 27)의 끼워맞춤 부분에 집중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클로부(24, 25)에 걸리는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기어 박스부(17)와 기어 커버(20)의 각 클로부(24, 25)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커버(20)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기어 커버(20)가 종동 기어(56) 및 각 감속 기어(65, 66)를 덮는 본체부(21)의 주연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커버 측벽부(22)를 가지기 때문에, 커버 측벽부(22)를 리브로서 기능시킴으로써 본체부(21)를 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기어 커버(20)는, 플래튼 롤러(51)로부터 축 방향(L2)을 따르도록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도 휘기 어려워지므로, 각 클로부(24, 25)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커버(20)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기어 커버(20)는, 축 방향(L2)에서 볼 때 상하 방향(L1)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51)로부터 축 방향(L2)을 따르도록 작용하는 하중을 받았을 때에는, 상하 방향(L1)으로 휘려고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클로부(24, 25)의 휘어짐 방향이 상하 방향(L1)과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기어 커버(20)가 플래튼 롤러(51)로부터 축 방향(L2)을 따르도록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 휜 경우여도, 기어 커버(20)의 휘어짐 방향이 각 클로부(24, 25)의 휘어짐 방향에 대해 교차하고 있으므로, 기어 커버(20)의 휘어짐에 의해 각 클로부(24, 25)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어 커버(20)의 탈락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기어 커버(20)가 본체 프레임(11)보다 인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기어 커버(20)의 각 볼록부(26, 27)를 기어 박스부(17)의 오목부(19)에 끼워맞춘 상태로 기어 커버(20)를 휘게 하여, 기어 커버(20)의 각 클로부(24, 25)를 기어 박스부(17)에 걸어맞출 수 있다. 따라서, 기어 커버(20)의 기어 박스부(17)로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서멀 프린터(1)는, 인자 유닛(10)을 구비하기 때문에, 기어 커버(2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기술적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형예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어 커버(20)가 축 방향(L2)에서 볼 때 기어 박스부(17)의 개구 전체를 폐색하고 있었는데,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어 커버가 기어 박스부(17)의 개구의 일부를 폐색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 외,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주지의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당히 가능하다.

Claims (6)

  1. 종동 기어를 가지는 플래튼 롤러와,
    상기 플래튼 롤러를 소정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플래튼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구동원이 장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력을 감속하여 상기 종동 기어에 전달하는 감속 기어와,
    상기 플래튼 롤러의 외주면에 압접되는 서멀 헤드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종동 기어 및 상기 감속 기어가 장착됨과 더불어, 상기 감속 기어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는 기어 박스부와,
    상기 기어 박스부의 상기 개구의 적어도 일부를 폐색하는 기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박스부는, 상기 소정축의 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패이는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기어 커버는,
    상기 기어 박스부에 걸어맞춰지는 클로부와,
    상기 기어 박스부의 상기 오목부에 끼워맞춰지는 볼록부를 갖고,
    상기 기어 커버는, 상기 축 방향에서 볼 때, 소정 방향으로 길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 커버의 중간부보다 상기 종동 기어측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클로부는, 상기 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소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어 커버의 상기 중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볼록부와는 반대측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소정 방향으로 패이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기어 커버로부터, 상기 소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인자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 커버는,
    상기 축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종동 기어 및 상기 감속 기어를 덮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주연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측벽부를 가지는, 인자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로부의 휘어짐 방향은, 상기 소정 방향과 교차하는, 인자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 커버는 상기 프레임보다 인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인자 유닛.
  5. 청구항 1에 기재된 인자 유닛을 구비하고 있는, 서멀 프린터.
  6. 삭제
KR1020160022542A 2015-02-27 2016-02-25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KR102459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39007A JP6462420B2 (ja) 2015-02-27 2015-02-27 印字ユニット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JP-P-2015-039007 2015-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334A KR20160105334A (ko) 2016-09-06
KR102459202B1 true KR102459202B1 (ko) 2022-10-26

Family

ID=5544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542A KR102459202B1 (ko) 2015-02-27 2016-02-25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65057B1 (ko)
EP (1) EP3061615B1 (ko)
JP (1) JP6462420B2 (ko)
KR (1) KR102459202B1 (ko)
CN (2) CN105922744B (ko)
TW (1) TWI6712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8119B (zh) * 2013-08-26 2017-08-29 京瓷株式会社 热敏头及具备该热敏头的热敏打印机
JP6462420B2 (ja) * 2015-02-27 2019-01-3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6767189B2 (ja) * 2016-07-26 2020-10-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及び携帯型端末
CN107150508B (zh) * 2017-07-11 2018-09-04 宁波精芯科技有限公司 热敏标签打印机
CN111216462A (zh) * 2020-02-14 2020-06-02 东莞力浦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打印结构
CN113844179B (zh) * 2021-09-09 2022-06-07 杭州鸿泉物联网技术股份有限公司 热敏打印机
JP2024004551A (ja) 2022-06-29 2024-01-1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および携帯型端末
JP2024035265A (ja) 2022-09-02 2024-03-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および携帯型端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1638A (ja) * 2007-10-24 2009-05-14 Citizen Systems Japan Co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13006288A (ja) * 2011-06-22 2013-01-10 Fujitsu Component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1985B2 (ja) * 1993-07-07 2004-03-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ユニット
JP3727211B2 (ja) * 2000-01-28 2005-12-14 株式会社沖データ プラテンおよび印字装置
FR2837423B1 (fr) * 2002-03-21 2004-06-18 A P S Engineering Mecanisme d'impression thermique, notamment applicable aux terminaux de paiement
BRPI0400435B1 (pt) * 2004-03-17 2015-09-15 Bematech Indústria E Comércio De Equipamentos Eletrônicos Sa mecanismo térmico de impressão
JP5196719B2 (ja) * 2005-10-25 2013-05-1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4913011B2 (ja) * 2007-10-17 2012-04-1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JP4294074B1 (ja) * 2008-02-08 2009-07-08 株式会社サトー知識財産研究所 サーマルプリンタ
US8585305B2 (en) * 2010-02-02 2013-11-19 Seiko Instruments Inc. Printer
CN201728902U (zh) * 2010-05-25 2011-02-02 宁波精芯科技有限公司 一种热敏打印机
CA2844401A1 (en) * 2011-08-05 2013-02-14 Datamax-O'neil Corporation Print station system
CN203305665U (zh) * 2013-05-30 2013-11-27 宁波精芯科技有限公司 小型热敏打印机芯
JP6462420B2 (ja) * 2015-02-27 2019-01-3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1638A (ja) * 2007-10-24 2009-05-14 Citizen Systems Japan Co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JP2013006288A (ja) * 2011-06-22 2013-01-10 Fujitsu Component Ltd サーマル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61615A2 (en) 2016-08-31
JP2016159482A (ja) 2016-09-05
KR20160105334A (ko) 2016-09-06
JP6462420B2 (ja) 2019-01-30
US9365057B1 (en) 2016-06-14
TW201702086A (zh) 2017-01-16
EP3061615A3 (en) 2016-10-26
CN105922744B (zh) 2019-01-18
TWI671210B (zh) 2019-09-11
CN205601392U (zh) 2016-09-28
CN105922744A (zh) 2016-09-07
EP3061615B1 (en) 2018-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202B1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US7245312B2 (en) Thermal printer with quick-release printhead assembly
JP200907978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20120327167A1 (en) Printer
JP2011104674A (ja) 用紙切断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印刷装置
EP4005808B1 (en) Printing unit and portable terminal
JP2007223705A (ja) 給紙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EP0066689B1 (en) Ribbon feed mode shift mechanism
EP1338424B1 (en) Thermal printer
CN220349346U (zh) 印字单元和便携型终端
EP2853405B1 (en) Drawer type thermal printer
CN220700721U (zh) 印字单元和便携型终端
CN101332725B (zh) 色带引导单元及打印装置
JP2022038197A (ja) 印字ユニット、サーマルプリンタ
EP4005809B1 (en) Printing unit and portable terminal
JP2023081504A (ja) 印字ユニットおよび携帯型端末
JPH10258555A (ja) ペーパーカッター装置
EP0506351B1 (en) Printer and ink ribbon cartridge for printer
US5026182A (en) Rocking mechanism for a ribbon cassette
JP2009056682A (ja) 筐体、該筐体を備えた電子機器
JP4438531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装置
JP3311525B2 (ja) 印字機用インク塗布装置
JP2001080761A (ja) 給紙装置
JP200600120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115768A (ja) 画像読取装置及び複合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