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209B1 - 온열구 - Google Patents

온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209B1
KR102456209B1 KR1020207027974A KR20207027974A KR102456209B1 KR 102456209 B1 KR102456209 B1 KR 102456209B1 KR 1020207027974 A KR1020207027974 A KR 1020207027974A KR 20207027974 A KR20207027974 A KR 20207027974A KR 102456209 B1 KR102456209 B1 KR 102456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less
air permeability
implement
se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684A (ko
Inventor
겐이치 가키누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08015 external-priority patent/WO2019172105A1/ja
Publication of KR20200125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61F7/03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using oxygen from the air, e.g. pocket-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61F2007/0004Eyes or part of the face surrounding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 A61F2007/02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with pockets for receiving packs or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44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 A61F2007/0249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with layers with a layer having low heat transfer cap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66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with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온열구 (50) 는,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 (10) 와, 발열부 (10) 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 (20) 를 포함하는 발열체 (100) 를 구비하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한다. 조건 : 실온 20 ℃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온도를 측정했을 때, 발열체 (100) 의 발열 개시 후,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 (℃) 가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당해 표면 온도의 평균 변화율이, -1.0 ℃/분 이상, -0.5 ℃/분 이하이다.

Description

온열구
본 발명은, 온열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철분 등의 피산화성 금속, 염화나트륨 등의 전해질 및 물을 함유하여 구성되고,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반응열을 이용한 온열구가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온열구는, 경량이고, 간편하게 온열 효과나 릴렉스감이 얻어지는 것 등의 이유로부터 널리 선호되어, 다양한 장면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눈언저리에 온열 증기를 공급함으로써 α 파의 출현량을 증가시키는 α 파 증강구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철분 등의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반응열을 이용하는 경우, 발열이 이상하게 가속되거나 하는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도록, 산화 반응을 제어할 필요가 있고,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는, 이상 발열 등의 트러블을 미연에 방지하는 관점에서, 흡수제의 함유량, 물과 흡수제의 질량비, 물의 배합량을 특정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4320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46555호
본 발명은,
피산화성 금속, 흡수제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온열구를 제공한다.
조건 : 실온 20 ℃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온도를 측정할 때, 상기 발열체의 발열 개시 후,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당해 표면 온도의 평균 변화율이, -1.0 ℃/분 이상, -0.5 ℃/분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잠들기 양호함을 향상시켜, 잠에서 깬 후의 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온열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서술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그것에 부수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해진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열체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발열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최근, 온열구는, 취침 전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취침 전에 사용되는 온열구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검토를 실시하고, 온열구에 의한 잠들기 양호함을 개선한다는 특허문헌 1, 2 와는 상이한 새로운 시도를 실시한 결과, 온열구의 발열 프로파일의 차이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감이 상이한 것을 알아내었다. 또한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검토를 진행한 결과, 특허문헌 1, 2 등의 종래 기술과는 상이한 발열 프로파일로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발열 프로파일을 갖는 온열구는, 착용자가 잠드는 것이 크게 개선되어, 잠에서 깬 후의 활력이 향상된다는, 예상 외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어,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기도」는, JIS P8117 에 의해 측정되는 값으로, 일정한 압력 하에 100 ㎖ 의 공기가 6.45 ㎠ 의 면적을 통과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통기도」는, 오켄식 (王硏式) 통기도계 혹은 그것에 준한 측정기로 측정할 수 있다. 즉, 통기도가 큰 것은 공기의 통과에 시간이 걸리는 것, 즉 통기성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통기도가 작은 것은 통기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평량」은, 온열구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위 면적당의 질량을 의미한다.
[온열구]
먼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50) 의 일례에 대해, 도 1 및 도 2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온열구의 평면도, 도 2 는 온열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온열구 (50) 는, 이른바 아이 마스크 타입의 것으로, 한 쌍의 발열체 (100) 가, 각각 사용자의 눈이나 눈꺼풀을 덮고, 소정 온도로 가열된 수증기를 눈 및 그 주위에 부여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열구 (50) 는, 본체부 (51) 와, 귀가 삽입되는 구멍 (54) 이 형성된 귀걸이부 (52) 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 (51) 는, 길이 방향 X 와 이것과 직교하는 폭 방향 Y 를 갖는 가로로 긴 형상을 하고 있다. 본체부 (51) 는 예를 들어 대략 타원형을 하고 있다. 귀걸이부 (52) 는 한 쌍으로 사용되고, 각 귀걸이부 (52) 는 본체부 (51) 의 길이 방향 (X 방향) 의 각 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온열구 (50) 는, 각 귀걸이부 (52) 를 사용자의 귀에 걸고, 본체부 (51) 에서 사용자의 두 눈을 덮도록 장착된다. 이 사용 상태 아래, 후술하는 발열체 (100) 로부터 발생한 증기 온열이 사용자의 눈에 실시된다. 온열구 (50) 는, 이러한 증기 온열에 의해, 후술하는 쾌적감 및 잠들기 양호함을, 보다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 에는, 온열구 (50) 의 사용 전의 상태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는, 귀걸이부 (52) 는 온열구 (50) 중 최상부에 배치되어 있고, 사용시에는 중앙부를 떼어내고 좌우로 펼쳐, 바깥쪽을 향하여 반전시켜 도 1 상태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온열구 (50) 는,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 (10) 와, 발열부 (10) 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 (20) 를 포함하는 발열체 (100) 를 구비하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
조건 : 실온 20 ℃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온도를 측정할 때, 발열체 (100) 의 발열 개시 후,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 (℃) 가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당해 표면 온도의 평균 변화율이, -1.0 ℃/분 이상, -0.5 ℃/분 이하이다.
온열구 (50) 의 발열 개시란, 발열체 (100) 중의 피산화성 금속이 산소와 접하는 것에 의해, 산화 반응을 개시하고, 산화 반응에 수반되는 발열이 개시되는 시점을 말한다. 또,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란, 온열구 (50) 가 발열 개시 후, 최초로 도달하는 최고 온도이다.
온열구 (50) 에 있어서, 상기의 조건에 있어서의 평균 변화율은, 종래 기술보다 낮은 것으로, 온열구 (50) 가, 최고 온도부터 특정한 온도까지, 비교적 천천히 강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써, 최고 온도부터의 급격한 온도 변화가 억제되면서, 보온 상태가 유지되어, 적당히 강온함으로써, 온열구 (50) 의 사용시 전체에 걸쳐 밸런스가 양호한 온열 효과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취침시에 온열구 (50) 를 사용했을 때에, 잠들기 양호함이 향상되게 된다. 이와 같은 온열구 (50) 에 의한 발열 프로파일과, 잠들기 양호함과의 관련성의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분명하지 않지만, 장시간, 예를 들어 10 분 이상, 온열구 (50) 를 착용하여, 눈언저리를 따듯하게 하는 경우에는 일정한 온도를 계속 유지하는 것보다, 완만하게 온도를 낮추는 편이 온쾌감이 보다 지속되어 잠들기가 양호해지는 것이 추측된다. 그리고, 당해 관련성은, 본 발명자가 연구를 거듭한 결과, 처음으로 알아낸 것이다. 또, 잠들기 양호함이란, 입면 (入眠) 이 순조로워, 입면까지의 시간이 짧다고 느끼게 하는 효과를 의도한다. 잠들기가 양호한 것에 의해, 잠이 깊어져, 기상시에는 기분이 상쾌하고, 기상 후 건강하게 활동할 수 있어, 낮동안 의욕적으로 활동하기 쉬워지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온열구 (50) 의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측의 표면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발열부 (10) 의 발열 반응이나 시트 구성 등 온열구 (50) 전체에서, 잠들기 양호함을 부여하는 데에 최적인 온열 효과를 눈언저리에 부여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온열구 (50) 에 있어서의 상기의 조건에 대해,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측이란, 후술하는 수용체 제 2 시트 (202) 측이고, 발열 영역이란, 후술하는 발열부 (10) 가 배치된 영역 전체를 의미한다. 즉, 온열구 (50) 에 있어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란, 평면에서 보았을 때, 발열부 (10) 가 배치된 영역에 대면하는 영역이다. 또, 온열구 (50) 의 표면이란, 온열구 (50) 를 구성하는 시트 중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측의 온열구 (50) 의 표면이란, 후술하는 보온 시트 (60) 의 외측의 면이 된다.
이하,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 (℃)」를 간단히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 (℃) 」라고도 한다.
또,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발열 프로파일을 구비하는 온열구 (50) 를 얻기 위해서는, 이하의 인자를 적절히 조정하여, 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1) 발열부 (10) 의 제조 방법, 및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
(2) 수용체 (20) 의 통기도.
(3) 온열구 (50) 의 구성 재료의 평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발열부 (10) 의 제조 방법으로서, 후술하는 도공법을 이용한 경우, 단위 시간당의 도료 (발열 조성물) 의 토출압을 높게 함으로써,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토출압을 높게 하면 보형성을 유지할 수 없어, 도포하고자 하는 면에 대해 도료가 비어져 나오기 쉬워지기 때문에, 도료 중에 증점제를 첨가하고, 피산화성 금속을 균일하게 분산시킨 도료를 사용하여, 도공을 실시한다. 이로써, 도포면에서의 보형성을 유지할 수 있어, 발열 특성이 안정적인 발열부 (10) 가 얻어지게 된다. 단, 온열구 (50) 는, 이러한 제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수용체 (20) 의 통기도에 의해, 발열부 (10) 에 대한 산소 공급량이나, 발열부 (10) 로부터 발생한 증기의 방출량, 증기에 의한 발열 반응에 대한 영향 등을 제어할 수 있고,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 등에 따라 조정된다. 또, 온열구 (50) 를 구성하는 재료의 평량에 의해, 온열구 (50) 의 보온성이 제어되기 때문에, 온열구 (50) 에 있어서, 통기성과의 밸런스를 취하면서, 평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온열구 (50) 는, 이하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잠들기 양호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기상 후의 활력이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조건에 있어서,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의 최고 온도가 60 ℃ 이상, 6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60 ℃ 이상으로 함으로써, 눈언저리에 충분한 온열을 부여하여, 보온 시간을 유지하기 쉽게 함과 함께, 천천히 강온시킬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착용자의 쾌적감을 보다 한층 강하게 하여, 잠들기 양호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65 ℃ 이하로 함으로써, 과잉된 가열을 억제하고, 온열구 (50) 의 사용시 전체에 걸쳐 밸런스가 양호한 온열 효과가 얻어져 보다 효과적으로 잠들기 양호함을 향상시켜, 기상시의 잠에서 깨는 것이 상쾌하고 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온열구 (50) 는,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즉,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 (초/100 ㎖) 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을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의 수치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수치는, 온열구 (50) 의 발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후반의 온도 저하도 (지속성) 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수치 범위로 함으로써, 강온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고, 온열구 (50) 의 사용시 전체에 걸쳐 밸런스가 양호한 온열 효과가 얻어져, 보다 효과적으로 잠들기 양호함과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이유로는, 온열구 (50) 의 발열 개시 후,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에 미반응으로 잔존하는 피산화성 금속의 평량이 많을수록, 발열 프로파일의 후반에 있어서 발생하는 증기량이 증가하기 쉬워지고, 또,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가 높을수록 통기성이 낮아져, 발생한 증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산화 반응의 감소에 수반되는 온도 저하가 억제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결과, 발열체 (100) 에서 발생한 증기의 외부로의 방출량이, 발열체 (100) 내부를 보온하면서, 눈언저리에 원하는 온도를 부여하는 데에 적절한 양이 되고, 밸런스를 취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온열구 (50) 가 최고 온도 도달한 후의,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의 변화율을 원하는 범위로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온열구 (50) 에 있어서,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즉,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 (초/100 ㎖) 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은, 상기 관점에서, 1.4 × 1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5 × 1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1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5 × 1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은, 상기 관점에서, 3.1 × 106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7 × 106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 106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9 × 106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즉, 상기 관점에서,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을,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5 × 106 이상, 2.7 × 106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106 이상, 2.0 × 106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55 × 106 이상, 1.9 × 106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온열구 (50) 에 있어서,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에 대한,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비란, 바꾸어 말하면,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 (초/100 ㎖) 의 역수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다.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 (초/100 ㎖) 의 역수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의 하한치는, 0.06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상한치는, 0.17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 (초/100 ㎖) 의 역수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을, 0.06 이상, 0.17 이하의 수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 (초/100 ㎖) 의 역수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은, 온열구 (50) 의 발열 프로파일에 있어서의 최고 온도에 관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온열구 (50) 의 최고 온도는,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 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산화 반응 속도에 기여하는 인자를 제어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그래서,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가 낮을수록, 통기성이 높아져, 산소량이 증가함으로써 산화 반응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산화 반응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의 역수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이 클수록, 산화 반응이 적극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온열구 (50) 에 있어서,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 (초/100 ㎖) 의 역수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을 소정의 수치로 함으로써, 최고 도달 온도를 바람직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의 변화율도, 보다 한층 잠드는 것을 양호하게 함에 있어서 최적인 범위를 취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더욱 잠들기 양호함이 효과적으로 향상되어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온열구 (50) 는, 상기의 조건에 있어서, 온열구 (50) 의 발열 개시 후,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가 35 ℃ 부터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1.0 분 이상, 1.5 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발열체 (100) 에 의해, 온열구 (50) 의 사용 개시 후 곧바로 온열 효과가 얻어지게 됨과 함께, 온열구 (50) 의 사용 개시 직후에 있어서의 냉감을 억제하고, 온열구 (50) 의 사용시 전체에 걸쳐 밸런스가 양호한 온열 효과가 얻어져, 보다 효과적으로 잠들기 양호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기상 후의 활력도 향상되기 쉬워진다. 이 이유로는, 착용자의 쾌적감을 보다 한층 강하게 하여, 잠드는 것을 양호하게 하는 점에서, 눈언저리에 충분한 온열을 부여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또한,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는, JIS S4100 에 준거한 측정기를 사용하여,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온열구 (50) 의 가장 외측의 면에 있어서,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영역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고정시키고, 발열체 (100) 의 발열 개시 후, 10 초 간격으로 40 분간 온도를 측정한다. 온도 센서의 고정은, 예를 들어 메시제의 쿠션 위에 500 g 의 추 (예를 들어 SUS 제의 개공 플레이트) 를 올림으로써 고정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보온 시트 (60) 의 외측의 면으로서, 온열구 (50) 의 평면에서 보아, 발열부 (10) 가 배치된 영역의 온도이다.
또한, 측정은, 상온 (20 ℃), 상습 (50 %) 환경 하에 있어서 실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아이 마스크 타입의 온열구 (50) 로서, 수용체 (20) 의 일방의 면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이 통기성을 갖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온열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온열구는, 예를 들어, 등이나 허리 등의 신체에 적용하는 타입의 온열구여도 되고, 또, 수용체는 양면이 통기성을 갖는 것이어도 된다.
수용체의 양면이 통기성을 갖는 경우, 온열구의 사용시에 피부측을 향하는 면이 되는 수용체의 통기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온열구의 사용시에 피부측을 향하는 면이 되는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4 × 106 이상, 3.1 × 106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온열구의 사용시에 피부측을 향하는 면이 되는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의 역수와,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을, 0.06 이상, 0.17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체]
온열구 (50) 가 구비하는 발열체 (100) 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발열체 (100) 가, 온열구 (50) 에 배치되고, 각각의 발열체 (100) 가 사용자의 눈을 덮게 된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의 발열체 (100) 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4 는, 도 3 의 A-A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발열체 (100) 는,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 (10) 와, 이 발열부 (10) 를 수용하는 수용체 (20) 를 갖는다.
발열체 (100) 를 구성하는 발열부 (10) 에 대해 설명한다.
발열부 (10) 는,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 조성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발열부 (10) 는,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에 의해 발열하여 온열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JIS S4100 에 준거한 측정에 있어서, 발열 온도 30 ℃ 이상 70 ℃ 이하의 성능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발열부 (10) 는 함유되는 물이 가열됨으로써, 수증기를 발생시킨다는 작용을 가져온다.
피산화성 금속은, 산화 반응열을 발하는 금속으로,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아연, 망간, 마그네슘, 및 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금속의 분말이나 섬유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취급성, 안전성, 제조 비용, 보존성 및 안정성 면에서 철분이 바람직하다. 철분으로는, 예를 들어, 환원 철분, 및 아토마이즈 철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피산화성 금속은, 산화 반응이 효율적으로 실시된다는 관점에서, 분말상으로 한 경우의 평균 입경이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이다. 동일한 관점에서, 피산화성 금속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이다.
또한, 피산화성 금속의 평균 입경은, 분체의 형태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의 산술 평균 직경을 말하고, 체에 의한 분급,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부 (10) 중에 있어서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를 지나치게 뜨거워 지지 않고 온감의 상승에 의한 온쾌감이 가장 얻어지는 원하는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는 관점, 및 온열구 (50) 의 표면 온도의 변화를 원하는 범위로 하고, 장시간에 걸쳐 착용자에게 쾌적감을 부여하여, 착용자가 잠드는 것을 보다 한층 향상시켜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250 g/㎡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g/㎡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 g/㎡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70 g/㎡ 이상이다. 또, 동일한 관점에서, 발열부 (10) 중에 있어서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200 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 g/㎡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50 g/㎡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40 g/㎡ 이하이다.
또한, 발열부 (10) 중의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JIS P8128 에 준하는 회분 시험이나, 열중량 측정기로 구할 수 있다. 그 밖에 외부 자장을 인가하면 자화가 발생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진동 시료형 자화 측정 시험 등에 의해 정량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열중량 측정기로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성분은, 보수능, 산소 공급능, 및 촉매능을 갖는 것이고, 예를 들어, 활성탄, 카본 블랙, 아세틸렌 블랙, 및 흑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습윤시에 산소를 흡착하기 쉬운 점에서, 활성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야자 껍데기탄, 목분탄, 및 피트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미세한 분말상물 또는 소립상물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발열체 (100) 의 표면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상승시키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목분탄이 더욱 바람직하다.
탄소 성분은, 피산화성 금속과 균일하게 혼합되는 관점에서, 평균 입경이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상이다. 또, 동일한 관점에서, 탄소 성분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2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다.
또한, 탄소 성분의 평균 입경은, 분체의 형태에 있어서의 최대 길이의 산술 평균 직경을 말하고, 동적 광 산란법, 레이저 회절법 등에 의해 측정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레이저 회절법에 의해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성분은 분체상의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분체상 이외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섬유상의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발열부 (10) 중에 있어서의 탄소 성분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질량부 이상이다. 또, 발열부 (10) 중에 있어서의 탄소 성분의 함유량은, 발열부 (10) 에 대한 산소 공급이 충분히 얻어지는 관점에서,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40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질량부 이하이다.
또한, 발열부 (10) 중에 있어서의 탄소 성분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10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g/㎡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g/㎡ 이상이다. 또, 탄소 성분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400 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g/㎡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g/㎡ 이하이다.
발열부 (10) 중의 물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을 양호하게 진행시킴으로써, 신속하게 승온하여 기분 좋은 온감을 부여하는 관점 및, 발열량과 발생 수증기량을 컨트롤하여, 눈언저리에 적절한 온도 변화를 주어 잠드는 것이 개선됨으로써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질량부 이상이다. 발열부 (10) 중의 물의 함유량은, 최고 도달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하는 관점에서, 피산화성 금속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질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질량부 이하이다. 발열부 (10) 중의 물은,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에 의한 발열에 수반되는 온도 상승에 의해, 그 일부가 수증기가 된다.
또한, 온열구 (50) 중에 있어서의 수분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150 g/㎡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g/㎡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g/㎡ 이상이다. 또, 수분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600 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g/㎡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 g/㎡ 이하이다.
발열부 (10) 중에는, 수분을 유지하고,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을 재빠르게 또한 지속적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신속하게 승온하여 기분 좋은 온감을 부여하는 관점 및, 발열량과 발생 수증기량을 컨트롤하고, 눈언저리에 적절한 온도 변화를 주어 잠드는 것이 개선됨으로써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흡수제를 함유시킬 수 있다. 흡수제로서, 흡수성을 갖는 폴리머, 흡수성을 갖는 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을 갖는 폴리머로는, 자중의 20 배 이상의 액체를 흡수·유지할 수 있는 가교 구조를 갖는 친수성의 폴리머를 들 수 있고, 흡수성을 갖는 분체로는, 버미큘라이트, 톱밥, 실리카 겔, 및 펄프 분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분체를 들 수 있다. 흡수제를 함유시킨 경우의 함유량으로는, 발열부 (10) 중의 물 100 질량부에 대해 2 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20 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발열부 (10) 는, 추가로, 반응 촉진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반응 촉진제를 함유시킴으로써, 피산화성 금속의 산화 반응을 지속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반응 촉진제를 사용함으로써, 산화 반응에 수반하여 피산화성 금속에 형성되는 산화 피막을 파괴하여, 산화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다. 반응 촉진제에는,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의 황산염, 및 염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도전성, 화학적 안정성, 생산 비용이 우수한 점에서,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제1철, 염화제2철 등의 각종 염화물, 및 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부 (10) 중의 반응 촉진제의 함유량은, 온쾌감이 얻어지는 적절한 온도 영역까지 승온시키는 점, 및 이로써 눈언저리에 장시간에 걸쳐 적절한 온도 변화를 주어 잠드는 것을 보다 한층 개선하여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질량부 이상이다.
또, 동일한 관점에서, 발열부 (10) 중의 반응 촉진제의 함유량은,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5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발열부 (10) 가 시트상인 양태를 나타냈지만, 이 발열부 (10) 는, 분체상이어도 되고, 시트상이어도 된다. 온열구 (50) 의 사용감이 우수한 점에서, 시트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상의 발열부 (10) 의 제조 방법으로는, 발열 조성물을 습식 초조 (抄造) 하여 이루어지는 것, 발열 조성물을 종이 등의 기재로 협지하여 이루어지는 것, 발열 조성물을 종이 등의 기재에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 발열 조성물을 프레스 등에 의해 압밀 (壓密) 하여 이루어지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사용감이 우수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발열부 (10) 는, 발열 조성물을 습식 초조하여 이루어지는 것, 발열 조성물을 종이 등의 기재에 도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열부 (10) 의 제조 방법으로서, 도공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 도공 방법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다이 코팅, 롤 도포, 스크린 인쇄, 롤 그라비아, 나이프 코팅, 커튼 코터 등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발열부 (10)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이다. 한편, 발열부 (10) 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 이하이다. 발열부 (10) 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발열 효과를 높이면서, 발열체 (100) 를 사용하기 쉬운 사이즈로 할 수 있다. 또한, 발열부 (10) 의 두께는, 평균 두께를 나타낸다.
발열부 (10) 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계면 활성제, 약제, 응집제, 착색제, 지력 증강제, pH 컨트롤제, 및 벌크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발열체 (100) 를 구성하는 수용체 (20) 에 대해 설명한다.
수용체 (20) 는,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고, 발열부 (10) 를 수용하는 것이다. 수용체 (20) 는,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장의 시트 (수용체 제 1 시트 (201), 수용체 제 2 시트 (202)) 의 주연부 (203) 를 첩합 (貼合)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수용체 (20) 는, 일방의 면이 수용체 제 1 시트 (201) 로 구성되고, 타방의 면이 수용체 제 2 시트 (202) 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체 제 1 시트 (201) 는 발열부 (10) 보다 사용자의 피부측에 위치되는 것이고, 수용체 제 2 시트 (202) 는 발열부 (10) 보다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측에 위치되는 것이다.
또, 수용체 제 1 시트 (201) 는, 통기성이 우수한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수용체 제 2 시트 (202) 는, 통기성이 부족한 시트, 즉 난통기성 시트 또는 비통기성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는, 잠들기 양호함을 보다 한층 개선하는 데에 있어서 적절한 온도까지, 발열체의 온도를 신속하게 승온하여 지연 없이 재빠르게 기분 좋은 온감을 부여하는 관점, 및 온쾌감이 지속되어 잠들기 양호함을 보다 한층 개선하여,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바람직한 온도 변화를 눈언저리에 주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0 초/10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0 초/10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 초/100 ㎖ 이하이다.
한편,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통기도는, 발열부 (10) 중에 있어서의 산화 반응이 지나치게 빠름으로써 지나치게 뜨거워서 온쾌감을 잃지 않고 적절한 속도로 할 필요가 있는 관점, 및 급격한 온도 변화에 의한 온쾌감의 소실을 억제하여, 잠들기 양호함을 보다 한층 개선하여 기상 후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초/10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초/100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초/100 ㎖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0 초/100 ㎖ 이상이다.
수용체 제 1 시트 (201) 로서, 통기성 시트, 부직포와 통기성 시트를 라미네이트한 적층 시트, 편물지와 통기성 시트를 라미네이트한 적층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통기성 시트로는, 수지제의 다공질 시트, 또는 통기공을 갖는 수지제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제의 다공질 시트로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와 상용성이 없는 유기 또는 무기 필러의 용융 혼련물을 필름상으로 성형하여, 1 축 또는 2 축 연신하여 얻어진 것이고, 미세한 다공질 구조를 갖는 것을 들 수 있다. 또, 통기공을 갖는 수지제의 시트로는, 비통기성 시트 또는 난통기성 시트에 바늘 등으로 미세공을 형성한 것, 혹은 전술한 통기성 시트에 추가로 바늘 등으로 미세공을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
수용체 제 1 시트 (201) 의 두께는, 5 ㎛ 이상 2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수용체 제 2 시트 (202) 의 통기도는, 발열부 (10) 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잠드는 것을 보다 한층 개선하는 관점에서, 수용체 제 1 시트 (201) 보다 통기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비통기성 시트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용체 제 2 시트 (202) 가 통기성을 갖는 경우에 바람직한 통기도로는, 구체적으로는, 바람직하게는 10,000 초/10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 초/100 ㎖ 이상이다.
또, 수용체 제 2 시트 (202) 의 통기도의 상한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수용체 제 2 시트 (202) 가 통기성을 갖는 경우에는, 시트의 입수 용이성이 높은 것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000 초/100 ㎖ 이하이다.
수용체 제 2 시트 (202) 로는, 실질적으로 산소를 투과하지 않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부타디엔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술폰 및 폴리아미드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체 제 2 시트 (202) 의 두께는, 5 ㎛ 이상 2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체 (20) 의 수용체 제 2 시트 (202) 측의 면 상에, 발열체 (100) 를 덮는 보온 시트 (60) 가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발열체 (100) 로부터 발생한 열이 온열구 (50) 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저감시키면서, 외기의 온도에 의한 온열구 (50) 의 발열 프로파일에 대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보온 시트 (60) 는, 발열체 (100) 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이면 된다. 또, 보온 시트 (60) 가 후술하는 주머니체 (53), 특히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보온 시트 (60) 의 평량은, 30 g/㎡ 이상이 바람직하고, 40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한편,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150 g/㎡ 이하가 바람직하고, 140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온열구 (50) 에 있어서,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발열부 (10) 와는 반대측의 온열구 (50) 의 최외층까지의 평량의 합계치는, 수용체 제 2 시트 (202) 의 평량과,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의 평량과, 보온 시트 (60) 의 평량의 합계치가 된다. 당해 평량의 합계치는, 발열체 (100) 로부터 발생한 열이 온열구 (50) 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저감시키면서, 외기의 온도에 있는 온열구 (50) 의 발열 프로파일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40 g/㎡ 이상이 바람직하고, 70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당해 평량의 합계치는, 온열구 (50) 의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300 g/㎡ 이하가 바람직하고, 260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보온 시트 (60) 의 재료로는, 후술하는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기타]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열구 (50) 는, 발열체 (100) 를 수용하는 주머니체 (53) 를 구비하고 있다.
주머니체 (53) 는, 사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 측에 위치하는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와, 사용자의 피부면으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는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를 가지고 있다. 발열체 (100) 를 사이에 끼우도록, 이들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와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가 형성된다.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와,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의 각각의 평량은, 내부가 비쳐 보이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이나, 보온성, 유연성, 두께 등의 관점에서 20 g/㎡ 이상이 바람직하고, 40 g/㎡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및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의 각각의 평량은, 200 g/㎡ 이하가 바람직하고, 110 g/㎡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는 발생한 수증기를 사용자에게 적용하기 위해,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는, 발열체 (100) 에 대해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서, 모두 통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및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의 통기도는, 6,000 초/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초/10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 초/1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 초/100 ㎖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및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로는, 예를 들어, 부직포를 비롯한 섬유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 펀치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및 스펀 본드 부직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및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는 동형이고, 대략 타원형을 하고 있다. 그리고,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및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의 외형이 본체부 (51) 의 외형을 이루고 있다.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및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는 그것들을 중첩하고, 그것들의 주연부를 적어도 일부 접합하고, 또한 X 방향의 중앙부를 Y 방향을 따라 접합함으로써, 주머니체 (53) 가 된다.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및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를 접합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열체 (100) 는 접착제나 히트시일 등 (도시 생략) 에 의해, 주머니체 (53) 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주머니체 (53) 에는, 그 X 방향으로 연장되는 2 개의 장변의 중앙부의 위치에 있어서, 그 장변으로부터 Y 방향을 따라 내방으로 절입된 대략 V 자형의 노치부 (53A, 53B) 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 (53A, 53B) 는, 절입의 정도가 상이하다. 노치부 (53A) 는, 온열구 (50) 를 장착했을 때에, 사용자의 미간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한다. 노치부 (53B) 는, 온열구 (50) 를 장착했을 때에, 사용자의 비량 (鼻粱) 에 위치한다. 통상적으로, 노치부 (53A) 보다 노치부 (53B) 쪽이 절입의 정도가 크게 되어 있다.
도 1,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열구 (50) 는, 귀걸이부 (52) 를 구비하고 있다. 귀걸이부 (52) 는, 온열구 (50) 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온열구 (50) 에 있어서의 귀걸이부 (52) 는, 사용 전의 상태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상에 배치되어 있다. 온열구 (50) 를 사용할 때에는, 귀걸이부 (52) 를 바깥쪽을 향하게 하여 반전시켜, 펼친 상태로 한다. 사용 전의 상태, 즉 좌우의 귀걸이부 (52) 가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상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좌우의 귀걸이부 (52) 에 의해 형성되는 윤곽은, 주머니체 제 1 시트 (55) 의 윤곽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귀걸이부 (52) 는, 주머니체 (53) 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체 (20) 를, 사용감을 더욱 높이기 위해 질감이 양호한 시트 재료인 부직포제의 제 2 수용체 (40) 에 수용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 2 수용체 (40) 는, 바람직하게는 평량 5 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g/㎡ 이상의 시트에 의해 구성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200 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g/㎡ 이하의 시트의 주연부를 첩합하여 구성시킬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경량화 등의 관점에서, 평량 20 g/㎡ 이상 120 g/㎡ 이하의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수용체 (20) 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발열부 (10) 와는 반대측의 온열구 (50) 의 최외층까지의 평량의 합계치는, 수용체 제 2 시트 (202) 의 평량과, 제 2 수용체 (40) 의 평량과, 주머니체 제 2 시트 (56) 의 평량과, 보온 시트 (60) 의 평량의 합계치가 된다.
제 2 수용체 (40) 를 구성하는 시트로는, 부직포, 편물지 등을 들 수 있다.
부직포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섬유를 사용하여, 에어 스루법, 스펀 본드법, 니들 펀치법, 멜트 블론법, 카드법, 열융착법, 수류 교락법, 및 용제 접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질감이나, 탄력성의 관점에서, 신축성을 갖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축성을 갖는 부직포로는, 구성 섬유로서 탄성 섬유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나 입체권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에어 스루 부직포나 스펀 본드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등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부직포의 재료로는,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PE (폴리에틸렌), PP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등을 함유하는 합성 섬유 ; 셀룰로오스, 실크, 코튼, 울 등을 포함하는 천연 섬유 ; 혹은 그것들을 복합한 섬유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온열구 (50) 는, 산소에 의해 산화되는 피산화성 금속을 갖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산소 차단 주머니에 봉입되어 보관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서술했지만, 이것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해, 본 발명은 추가로 이하의 온열구, 혹은 용도 등을 개시한다.
<1>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온열구.
조건 : 실온 20 ℃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온도를 측정했을 때, 상기 발열체의 발열 개시 후,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당해 표면 온도의 평균 변화율이, -1.0 ℃/분 이상, -0.5 ℃/분 이하이다.
<2>
상기 조건에 있어서, 상기 최고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65 ℃ 이하인, <1> 에 기재된 온열구.
<3>
상기 조건에 있어서, 상기 온열구의 상기 표면 온도가 35 ℃ 부터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바람직하게는 1.0 분 이상, 1.5 분 이하인, <1> 또는 <2> 에 기재된 온열구.
<4>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바람직하게는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인,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5>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에 대한,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비가, 바람직하게는 0.06 이상, 0.17 이하인,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6>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100 초/100 ㎖ 이상, 10,000 초/100 ㎖ 이하인,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7>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초/100 ㎖ 이상, 7,000 초/100 ㎖ 이하인,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8>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초/100 ㎖ 이상, 7,000 초/100 ㎖ 이하인,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9>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 초/100 ㎖ 이상, 6,000 초/100 ㎖ 이하인,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0>
상기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부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위 면적당, 250 g/㎡ 이상, 1,200 g/㎡ 이하인,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1>
상기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상기 발열부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위 면적당, 바람직하게는 350 g/㎡ 이상이고, 650 g/㎡ 이하인,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2>
상기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은, 상기 발열부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위 면적당, 바람직하게는 370 g/㎡ 이상이고, 540 g/㎡ 이하인,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3>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상기 발열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온열구의 최외층까지의 평량의 합계가, 바람직하게는 40 g/㎡ 이상, 300 g/㎡ 이하인,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4>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 상에, 상기 발열체를 덮는 보온재를 구비하는,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5>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10,000 초/100 ㎖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000 초/100 ㎖ 이상인,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6>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20,000 초/100 ㎖ 이상인,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7>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이 바람직하게는 비통기성인 <1>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18>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인, 온열구.
<19>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에 대한,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비가, 0.06 이상, 0.17 이하인, <18> 에 기재된 온열구.
<20>
상기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이, 상기 발열부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평량이, 250 g/㎡ 이상, 1200 g/㎡ 이하인, <18> 또는 <19> 에 기재된 온열구.
<21>
상기 수용체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100 초/100 ㎖ 이상, 10,000 초/100 ㎖ 이하인, <18>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2>
상기 수용체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500 초/100 ㎖ 이상, 7,000 초/100 ㎖ 이하인, <18>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3>
상기 수용체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1,000 초/100 ㎖ 이상, 7,000 초/100 ㎖ 이하인, <18>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4>
상기 수용체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바람직하게는 3,000 초/100 ㎖ 이상, 6,000 초/100 ㎖ 이하인, <18>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5>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45 × 106 이상, 2.7 × 106 이하인, <18>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6>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5 × 106 이상, 2.0 × 106 이하인, <18> 내지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7>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55 × 106 이상, 1.9 × 106 이하인, <18>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8>
상기 발열부 중의 수분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바람직하게는 150 g/㎡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 g/㎡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g/㎡ 이상이고, 한편, 600 g/㎡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 g/㎡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 g/㎡ 이하인, <18>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29>
상기 발열부가 흡수제를 함유하고, 상기 흡수제의 함유량은, 발열부 중의 물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상, 한편, 바람직하게는 20 질량부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하인, <18> 내지 <2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30>
상기 수용체의 통기성을 갖는 면이, 피부측이 되는, <18>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31>
상기 온열구가 수증기를 방출하는 것인, <1>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32>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이고,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에 대한,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비가, 0.06 이상, 0.17 이하이고,
상기 수용체의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가, 3,000 초/100 ㎖ 이상, 6,000 초/100 ㎖ 이하인, 온열구.
<33>
상기 온열구가 아이 마스크 타입인, <1> 내지 <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
<34>
상기 온열구를 눈에 적용하여, 잠드는 것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의 사용.
<35>
상기 온열구를 눈에 적용하여, 잠드는 것을 양호하게 하기 위한, <18>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의 사용.
<36>
잠드는 것을 양호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1> 내지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온열구를 눈에 5 분 이상 적용하는 스텝과,
상기 온열구 적용 후, 또는 상기 온열구 적용 중에, 취침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잠드는 것을 양호하게 하는 방법.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
이하의 순서에 따라, 도 1 및 표 2 에 나타내는 구성의 온열구를 제작하였다.
<발열부의 제작>
목재 펄프제의 종이 (20 g/㎡, 이노가미 주식회사 제조) 와 흡수성 폴리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구상, 평균 입자경 300 ㎛, 50 g/㎡, 아쿠아릭 CA, 주식회사 닛폰 촉매 제조) 와 목재 펄프제의 종이 (30 g/㎡, 이노가미 주식회사 제조) 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폴리머 시트를 기재로 하였다.
이하의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의 도료를, 상기의 기재의 편면에, 다이 코팅법으로, 토출압을 조정하면서 도공하여, 시트상 도공물을 제작하였다. 토출압은, 철분의 평량이 표 2 에 나타내는 값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그 후, 얻어진 시트상 도공물을 49 ㎜ × 49 ㎜ 의 크기로 재단하고, 도공면 상에, 식염 0.089 g (니혼 약국방 염화나트륨 (오오츠카 제약 주식회사 제조)) 을 균일하게 산포하여, 발열부 (10) 를 제작하였다.
Figure 112020103063009-pct00001
<발열체의 제작>
이하의 순서에 따라, 도 4 에 나타내는 형태의 발열체를 제작하였다.
표 2 에 나타내는 수용체 제 1 시트와 수용체 제 2 시트를 사용하고, 발열부를 수용체 제 1 시트와 수용체 제 2 시트 사이에 끼워, 주연부에 있어서 접합하여, 발열체를 얻었다.
발열체는, 후술하는 평가를 실시할 때까지, 산소 차단 주머니에 넣어 보존하였다.
<온열구의 제작>
상기에서 얻어진 발열체를 2 개 사용하고, 도 1 에 나타내는 아이 마스크 형상의 온열구를 제작하였다. 주머니체 제 1 시트로서 평량 80 g/㎡ 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니들 펀치법) 를, 주머니체 제 2 시트로서 평량 71 g/㎡ 의 셀룰로오스/폴리올레핀 복합 섬유 (열융착법), 보온 시트 (60) 로서 평량 30 g/㎡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 (에어 스루법) 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온열구에 대해, 이하에 나타내는 측정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 실시예 4, 비교예 1, 3 에 대해서는, 측정한 발열 프로파일을 도 6 에 나타냈다.
또한, 비교예 1 의 온열구는, 종래 기술에 상당하는 것이다.
[표면 온도의 측정]
실온 20 ℃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온도를 측정하였다. JIS S4100 에 준거한 측정기를 사용하여, 온열구의 주머니체 제 1 시트 (사용자의 피부측의 면) 측을 외측으로 하고, 피부측과 반대측 (보온 시트) 의 면으로서 발열부가 배치된 영역에, 온도 센서를 설치하여 고정시켰다.
온도 센서는, 메시재 (폴리에스테르제, 두께 8 밀리의 더블 러셀 생지) 와 SUS 판 (500 g 의 개공 플레이트) 으로 측정면에 고정시켰다.
온열구를 수용한 산소 차단 주머니를 개봉 후, 10 초 간격으로 온도를 측정하여 40 분간 측정을 실시하고, 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얻어진 발열 프로파일로부터, 이하의 수치를 산출하였다.
·평균 변화율 (℃/분) : 발열체의 발열 개시 후,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발열체의 표면 온도 (℃) 가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당해 표면 온도의 평균 변화율.
·최고 온도 (℃) : 발열체의 발열 개시 후,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했을 때의 온도.
·승온 시간 (분) : 발열체의 발열 개시 후, 온열구의 표면 온도가 35 ℃ 부터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
[평가]
숙련된 패널리스트 10 명에게 온열구를 수면 전에 30 분간 적절히 적용하고, 이하의 평가 항목에 대해, 각 기준에 기초하여 평가하여, 얻어진 평가 및 값의 평균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평가는, 수치가 낮을수록 양호한 것을 나타낸다.
·쾌적감
1 : 매우 기분 좋음
2 : 기분 좋음
3 : 약간 기분 좋음
4 : 어느 쪽이라고도 할 수 없음
5 : 약간 불쾌
6 : 불쾌
7 : 매우 불쾌
·잠들기 양호함
1 : 비착용시보다 강하게 잠드는 것이 개선되었다.
2 : 비착용시보다 유의하게 잠드는 것이 개선되었다.
3 : 비착용시보다 조금 잠드는 것이 개선된 느낌이 들었다.
4 : 비착용시와 다르지 않았다.
5 : 비착용시 이상으로 잠들 수 없게 되어 버렸다.
·기상 후의 잠에서 깨어남·활력
1 : 비착용시보다 확실하게 잠에서 깨어날 수 있고, 낮동안은 지치지 않고 의욕적으로 활동할 수 있었다.
2 : 비착용시와 다르지 않았다.
3 : 비착용시보다 잠에서 깨어나기 힘들고, 낮동안은 지치기 쉽고 의욕이 없었다.
Figure 112020103063009-pct00002

Claims (14)

  1.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이고,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상기 발열부와는 반대측의 온열구의 최외층까지의 평량의 합계가, 40 g/㎡ 이상, 300 g/㎡ 이하이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온열구.
    조건 : 실온 20 ℃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온도를 측정했을 때, 상기 발열체의 발열 개시 후,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당해 표면 온도의 평균 변화율이, -1.0 ℃/분 이상, -0.5 ℃/분 이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에 있어서, 상기 최고 온도가 60 ℃ 이상, 65 ℃ 이하인, 온열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에 있어서, 상기 온열구의 상기 표면 온도가 35 ℃ 부터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1.0 분 이상, 1.5 분 이하인, 온열구.
  4.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이고,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상기 발열부와는 반대측의 온열구의 최외층까지의 평량의 합계가, 40 g/㎡ 이상, 300 g/㎡ 이하인, 온열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에 대한,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비가, 0.06 이상, 0.17 이하인, 온열구.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100 초/100 ㎖ 이상, 10,000 초/100 ㎖ 이하인, 온열구.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산화성 금속의 함유량이, 상기 발열부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단위 면적당, 250 g/㎡ 이상, 1200 g/㎡ 이하인, 온열구.
  8. 삭제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 상에, 상기 발열체를 덮는 보온재를 구비하는, 온열구.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의 통기도가, 10,000 초/100 ㎖ 이상인, 온열구.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 중의 수분의 함유량은, 평량으로 나타내어, 150 g/㎡ 이상, 600 g/㎡ 이하인, 온열구.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가 흡수제를 함유하고, 상기 흡수제의 함유량은, 발열부 중의 물 100 질량부에 대해, 2 질량부 이상, 20 질량부 이하인, 온열구.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통기성이 낮은 쪽의 면이, 피부측이 되는, 온열구.
  14. 피산화성 금속, 탄소 성분 및 물을 함유하는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를 수용하고, 적어도 일방의 면에 통기성을 갖는 수용체를 포함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와,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곱이, 1.4 × 106 이상, 3.1 × 106 미만이고,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 (초/100 ㎖) 에 대한, 상기 피산화성 금속 함유량의 평량 (g/㎡) 의 비가, 0.06 이상, 0.17 이하이고,
    상기 수용체의 상기 일방의 면의 통기도가, 100 초/100 ㎖ 이상, 10,000 초/100 ㎖ 이하이고,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으로부터, 상기 발열부와는 반대측의 온열구의 최외층까지의 평량의 합계가, 40 g/㎡ 이상, 300 g/㎡ 이하이고,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는, 온열구.
    조건 : 실온 20 ℃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있어서 온도를 측정했을 때, 상기 발열체의 발열 개시 후, 상기 수용체의 타방의 면측으로서, 발열 영역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상기 온열구의 표면 온도 (℃) 가 45 ℃ 에 도달할 때까지의 당해 표면 온도의 평균 변화율이, -1.0 ℃/분 이상, -0.5 ℃/분 이하이다.
KR1020207027974A 2018-03-08 2019-03-01 온열구 KR1024562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41784 2018-03-08
JP2018041784 2018-03-08
JPJP-P-2018-157426 2018-08-24
JP2018157426A JP7181025B2 (ja) 2018-03-08 2018-08-24 温熱具
PCT/JP2019/008015 WO2019172105A1 (ja) 2018-03-08 2019-03-01 温熱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684A KR20200125684A (ko) 2020-11-04
KR102456209B1 true KR102456209B1 (ko) 2022-10-18

Family

ID=67992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974A KR102456209B1 (ko) 2018-03-08 2019-03-01 온열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81025B2 (ko)
KR (1) KR102456209B1 (ko)
CN (1) CN111836603B (ko)
TW (1) TW20194014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460A (ko) * 2020-04-24 2022-11-29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온열구
CN111789709B (zh) * 2020-08-20 2022-05-06 河南省超亚医药器械有限公司 适用于睑板腺功能障碍型干眼症的眼部热敷治疗贴
CN112263379A (zh) * 2020-10-27 2021-01-26 孙茜 一种中医护理用药物热敷装置
CN113292972B (zh) * 2021-07-23 2021-12-07 天津富勤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模压成型的自发热体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1855B2 (ja) * 1999-10-07 2004-04-26 花王株式会社 目 枕
JP4333021B2 (ja) 2000-11-09 2009-09-16 花王株式会社 α波増強具
EP1854436B1 (en) * 2005-03-04 2013-11-06 Kao Corporation Instrument for improving physiological function
JP2006348437A (ja) 2005-06-17 2006-12-28 Kao Corp 身体装着用具
CA2583440C (en) * 2006-03-31 2012-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feedback signal upon urination
CN101415383B (zh) * 2006-03-31 2011-10-05 花王株式会社 眼用水蒸气发生体
JP5074126B2 (ja) * 2007-08-10 2012-11-14 花王株式会社 蒸気温熱具
JP5284700B2 (ja) * 2007-11-09 2013-09-11 花王株式会社 発熱具
CN104010600B (zh) 2011-12-21 2015-08-19 花王株式会社 发热体以及具备其的温热器具
JP5296256B2 (ja) * 2011-12-21 2013-09-25 花王株式会社 蒸気温熱具
JP6602522B2 (ja) * 2012-01-31 2019-11-06 桐灰化学株式会社 発熱具
JP5840554B2 (ja) 2012-03-30 2016-01-06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TWI614007B (zh) * 2012-06-07 2018-02-11 花王股份有限公司 發熱體及具備其之溫熱用具
CN102774102A (zh) * 2012-07-19 2012-11-14 上海暖友实业有限公司 透气率随温度而变化的微透气膜及其应用
CN103190984B (zh) * 2013-04-11 2015-03-04 天津富勤科技有限公司 一种蒸汽热敷眼罩
KR102243601B1 (ko) 2013-06-10 2021-04-22 카오카부시키가이샤 온열구
JP6263027B2 (ja) 2013-12-27 2018-01-17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CN203736375U (zh) * 2014-02-21 2014-07-30 浙江越韩科技透气材料有限公司 一种可控发热速率的一次性自发热贴
JP6711816B2 (ja) * 2014-08-06 2020-06-17 珠海漢盈科技有限公司Handy Technology (Zhuhai) Ltd. 自己発熱保温型フィルム並びに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フェイスマスク及びアイシート
JP6396760B2 (ja) 2014-10-31 2018-09-26 花王株式会社 睡眠の質改善具
CN204293349U (zh) * 2014-12-12 2015-04-29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蒸汽医疗眼罩
JP6767190B2 (ja) 2016-07-28 2020-10-14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684A (ko) 2020-11-04
JP2019155055A (ja) 2019-09-19
TW201940140A (zh) 2019-10-16
JP7181025B2 (ja) 2022-11-30
CN111836603B (zh) 2022-06-21
CN111836603A (zh) 202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6209B1 (ko) 온열구
EP1623689B1 (en) Warming tool
EP3326590B1 (en) Heat implement
JP2005021673A (ja) 加温具
JP2009039370A (ja) 蒸気温熱具
JP7229049B2 (ja) 温熱具
JP2011136060A (ja) マスク用鼻部温熱具
JP4675114B2 (ja) 発熱具
JP3992693B2 (ja) 加温具
JP3698715B2 (ja) 湿熱シート
JP2017170114A (ja) 温熱具
JP2009082154A (ja) 両面凹凸状発熱体
US20230201028A1 (en) Heating implement
WO2019131480A1 (ja) マスク
WO2019172105A1 (ja) 温熱具
KR20200118102A (ko) 마스크
WO2021214989A1 (ja) 温熱具
JP4420914B2 (ja) 加温具
JP7332839B2 (ja) 温熱具
JP2007090042A (ja) 生理機能改善器具
JP2005319312A (ja) 湿熱シート
JPH0737124U (ja) 医療用温熱剤収納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