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2060B1 -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 Google Patents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2060B1
KR102452060B1 KR1020210024075A KR20210024075A KR102452060B1 KR 102452060 B1 KR102452060 B1 KR 102452060B1 KR 1020210024075 A KR1020210024075 A KR 1020210024075A KR 20210024075 A KR20210024075 A KR 20210024075A KR 102452060 B1 KR102452060 B1 KR 102452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railer
bracket
guide bracket
restrai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238A (ko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최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호 filed Critical 최준호
Priority to KR1020210024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06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3/00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e.g. ch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딩 독에 진입한 트레일러를 자동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을 하역하는 로딩 독에 설치되고 트레일러의 진입방향으로 연장되며 진입방향 측 일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트리거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구비되고 트레일러 측으로 돌출되어 타이어의 직경방향 일측에 접촉되는 제1록킹 롤러와, 상기 트리거 브래킷에 구비되고 트레일러 측으로 돌출되며 타이어의 직경방향 타측에 접촉되는 제2록킹 롤러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브래킷을 특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캘리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FIXED TYPE TRAILER RESTRAINT DEVICE}
본 발명은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로딩 독에 주차된 트레일러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량 생산되는 모든 공산품 제조업체의 출하장, 일반 물류센터, 군수물 제조업체, 우편물 집중국, 관급 물량장, 항만, 공항 등 화물을 상,하역 및 수출포장하기 위한 공간인 로딩 독(loading dock)이 마련된다. 이러한 로딩 독이 마련된 물류센터에서는 지게차나 손수레 등을 이용하여 화물을 직접 운반할 수 있으므로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화물을 하역하기 위해 로딩 독에 진입한 차량의 경우 브레이크 장치 등을 조작하여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에서 차량에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만약, 화물의 하역과정에서 차량에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추락, 전도, 낙하 등의 사고로 이어지며 재산상의 피해뿐만 아니라 치명적인 인명피해를 야기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딩 독에 진입한 차량이 정지 및 주차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차량의 바퀴와 노면 사이에 버팀목과 같은 보조 고정구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을 중기안전법 등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69735(2019.04.17.)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휠 스토퍼는, 화물차량의 진입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폴과, 상기 사이드폴을 따라 연장되고 다수의 잠금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래크와, 상기 사이드폴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홈에서 이탈하는 해제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 결합된 레버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휠 스토퍼는, 상기 레버를 잠금 위치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레버가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 위치에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레버의 일부가 화물차량의 타이어 사이로 삽입되어 화물차량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그런데 종래의 휠 스토퍼는 작업자가 로딩 독에 진입한 화물차량의 주위로 들어가 레버를 직접 회전시켜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었다. 또한, 화물차량의 크기에 따라 타이어의 직경이 서로 상이하므로 로딩 독에 진입한 화물차량을 확실하게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69735(2019.04.1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로딩 독에 진입한 트레일러를 자동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트레일러 타이어의 직경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는, 화물을 하역하는 로딩 독에 설치되고 트레일러의 진입방향으로 연장되며 진입방향 측 일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트리거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구비되고 트레일러 측으로 돌출되어 타이어의 직경방향 일측에 접촉되는 제1록킹 롤러와, 상기 트리거 브래킷에 구비되고 트레일러 측으로 돌출되며 타이어의 직경방향 타측에 접촉되는 제2록킹 롤러와,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브래킷을 특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캘리퍼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트레일러 측으로 돌출된 단부에 상기 제1록킹 롤러가 결합되는 회동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암은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2록킹 롤러 측으로 탄성 편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트레일러의 진입이 완료되면 캘리퍼가 작동하여 가이드 브래킷의 위치를 고정하여 트레일러의 이동을 구속함으로써,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에서 트레일러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추락, 전도, 낙하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프링에 의해 탄성 편의되는 회동암을 통해 제1록킹 롤러와 제2록킹 롤러 사이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되므로, 트레일러의 타이어 직경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가 설치된 로딩 독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의 정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에 의한 트레일러 구속과정을 도시한 도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10)는 로딩 독(D)으로 진입한 트레일러(T)를 고정시켜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추락, 전도, 낙하 등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10)를 살펴보면, 화물을 하역하는 로딩 독(D)에 설치되는 가이드 프레임(100)과, 가이드 프레임(10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브래킷(200)과, 가이드 브래킷(20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리거 브래킷(300)과, 가이드 브래킷(200) 및 트리거 브래킷(300)에 각각 구비되고 트레일러(T)의 타이어(W)에 접촉되는 제1록킹 롤러(400) 및 제2록킹 롤러(500)와, 가이드 브래킷(200)을 특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캘리퍼(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10)의 가이드 프레임(100)은 화물을 하역하는 로딩 독(D)의 바닥 일측에 설치되며 트레일러(T)의 진입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100)은, 가이드 브래킷(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10)과, 트리거 브래킷(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커버(120)로 구성된다.
가이드 레일(110)은 트레일러(T)의 진입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면이 대략 "I"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가이드 레일(110)은, 평행하게 배치된 상부 플랜지(112) 및 하부 플랜지(114)와, 상부 플랜지(112)와 하부 플랜지(114)를 연결하는 웨브(116)로 이루어진다. 이때, 웨브(116)는 상부 플랜지(112)의 상부로 돌출되어 가이드 브래킷(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부 플랜지(112)의 상부로 돌출된 웨브(116)는 캘리퍼(600)의 작동 시 후술할 패드(630)가 압착되어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디스크의 역할도 한다.
가이드 커버(120)는 하면이 개방된 직사각형 단면의 강관으로서, 가이드 레일(110)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 커버(120)의 일단, 즉 트레일러(T)의 진입방향 측 일단은 트리거 브래킷(30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경사면(122)으로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커버(120)의 양 측면에는 가이드 브래킷(200)이 노출되도록 절개부(124)가 형성된다.
가이드 브래킷(200)은 가이드 레일(110)과 가이드 커버(120) 사이에 구비되며, 가이드 레일(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브래킷(200)은 트레일러(T)가 로딩 독(D)으로 진입하거나 로딩 독(D)에서 진출할 경우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한다.
가이드 브래킷(200)은 가이드 레일(110)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는 대략 직사각형 단면의 강관으로, 가이드 레일(110)의 상부를 덮는 상판(210)과, 상판(2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측판(220)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 브래킷(200)의 상판(210)에는 가이드 브래킷(200)의 이동을 구속하는 캘리퍼(600)가 결합되고, 측판(220)에는 가이드 브래킷(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230)가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 롤러(230)는, 하부 플랜지(114)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가이드 롤러(232)와, 웨브(116)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가이드 롤러(234)로 구성된다.
한편, 가이드 브래킷(200)에는 트레일러(T) 타이어(W)의 직경에 따라 제1록킹 롤러(400)와 제2록킹 롤러(5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회동암(240)이 마련된다.
회동암(240)은 대략 크랭크 축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동암(240)의 일단은 가이드 브래킷(200)의 측판(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트레일러(T) 측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타단에는 제1록킹 롤러(400)가 결합된다. 이때, 회동암(240)은 측판(220)과 회동암(240)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250)에 의해 제2록킹 롤러(500) 측으로 탄성 편의된다.
상술한 회동암(240)에는 스토퍼(242)가 돌출되고, 측판(220)에는 가이드 홈(222)이 형성되며, 회동암(240)의 설치 시 스토퍼(242)가 가이드 홈(222)에 삽입된다. 이러한 스토퍼(242)와 가이드 홈(222)은 회동암(240)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회동암(240)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토퍼(242)는 가이드 홈(222)을 따라 이동하되 가이드 홈(222)의 단부에 접촉될 경우 회동암(240)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술한 구성의 회동암(240)은 트레일러(T)의 타이어(W)와의 접촉 시 탄성 회전하며 제1록킹 롤러(400)와 제2록킹 롤러(500) 사이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타이어(W)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트리거 브래킷(300)은 가이드 브래킷(20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가이드 커버(120)에 접촉되어 회전한다. 트리거 브래킷(300)은, 가이드 커버(120)를 부분적으로 감싸는 브래킷 바디(310)와, 브래킷 바디(310)에서 트레일러(T) 측으로 돌출되고 제2록킹 롤러(500)가 결합되는 샤프트(320)로 구성된다.
록킹 롤러(400,500)는 로딩 독(D)으로 진입한 트레일러(T)의 타이어(W)에 접촉하여 구속하는 수단으로서, 가이드 브래킷(200)에 구비되고 트레일러(T) 측으로 돌출되는 제1록킹 롤러(400)와, 트리거 브래킷(300)에 구비되며 트레일러(T) 측으로 돌출되는 제2록킹 롤러(500)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록킹 롤러(400)는 회동암(240)에 설치되어 트레일러(T) 타이어(W)의 직경방향 일측에 접촉되고, 제2록킹 롤러(500)는 샤프트(320)에 설치되어 트레일러(T) 타이어(W)의 직경방향 타측에 접촉된다.
즉, 제1록킹 롤러(400)와 제2록킹 롤러(500)는 트레일러(T) 타이어(W)의 직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위치되어 타이어(W)에 접촉함으로써 타이어(W)를 구속한다. 이때, 제1록킹 롤러(400)는 회동암(240)에 설치되어 탄성 편의되므로 제2록킹 롤러(500)와의 간격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캘리퍼(600)는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브래킷(200)을 특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캘리퍼(600)는 가이드 레일(110)의 웨브(116)를 감싸는 캘리퍼 하우징(610)과, 캘리퍼 하우징(610)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620)과, 피스톤(620)에 의해 웨브(116)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패드(630)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캘리퍼(600)는 가이드 브래킷(2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캘리퍼(600)는 외부에서 공급된 유압 또는 전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10)를 이용하여 트레일러(T)를 구속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10)는 화물을 하역하는 로딩 독(D)의 바닥에 설치되되 트레일러(T)의 진입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트레일러(T)의 진입 및 진출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로딩 독(D)의 일측으로 편의된다.
로딩 독(D)으로 진입하는 트레일러(T)의 타이어(W)가 제1록킹 롤러(400)에 접촉하면 회동암(24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회동암(240)의 스토퍼(242)가 가이드 홈(222)의 단부에 접촉하여 회동암(240)의 회전을 제한함과 동시에 가이드 브래킷(200)을 이동시킨다.
가이드 브래킷(200)은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며 트리거 브래킷(300)을 이동시킨다. 이때, 트리거 브래킷(300)의 샤프트(320)는 가이드 커버(120)의 경사면(122)를 따라 이동하며 브래킷 바디(320)를 회전시킴으로써 제2록킹 롤러(500)를 타이어(W)에 접촉시킨다. 즉, 제2록킹 롤러(500)는 타이어(W)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제1록킹 롤러(400)와 제2록킹 롤러(500)가 타이어(W)에 접촉함과 동시에 타이어(W)를 구속하게 된다. 이때, 제1록킹 롤러(400)와 제2록킹 롤러(500)는 타이어(W)의 직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게 위치되므로 타이어(W)를 확실하게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제1록킹 롤러(400)가 회동암(240)에 설치되어 탄성 편의되므로 트레일러(T) 타이어(W)의 직경에 따라 제2록킹 롤러(500)와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트레일러(T)의 진입이 완료되어 근접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면, 로딩 독(D) 안쪽의 작업 안전 관리자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10)의 조작 판넬을 작동하여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10)를 잠금 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10)의 캘리퍼(도 5의 600)가 작동하여 가이드 브래킷(20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트레일러(T)의 이동을 구속한다.
이때, 로딩 독(D) 안쪽 신호기에는 녹색등이 점등되어 지게차 등 상,하역 작업을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로딩 독(D) 바깥쪽 신호기에는 적색등이 점등되어 트레일러(T)의 운전자가 로딩 독(D) 안쪽의 작업 상황(상,하역 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하역 작업 중 트레일러(T)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레일러(T)를 이동을 강제 구속함으로써 트레일러(T)가 임의로 이동하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상,하역 작업이 완료되면 로딩 독(D) 안쪽의 작업 안전 관리자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10)의 조작 판넬을 작동하여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10)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한다. 이때, 로딩 독(D) 안쪽과 바깥쪽 신호기에는 각각 적색등과 녹색등이 점등되므로 로딩 독(D) 안쪽과 바깥쪽 상황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역 작업을 마친 트레일러(T)가 로딩 독(D)에서 안전하게 진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100: 가이드 프레임
200: 가이드 브래킷 300: 트리거 브래킷
400: 제1록킹 롤러 500: 제2록킹 롤러
600: 캘리퍼

Claims (10)

  1. 화물을 하역하는 로딩 독에 설치되고 트레일러의 진입방향으로 연장되며 진입방향 측 일단이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브래킷;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트리거 브래킷;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구비되고 트레일러 측으로 돌출되어 타이어의 직경방향 일측에 접촉되는 제1록킹 롤러;
    상기 트리거 브래킷에 구비되고 트레일러 측으로 돌출되며 타이어의 직경방향 타측에 접촉되는 제2록킹 롤러; 및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브래킷을 특정 위치에서 고정하는 캘리퍼를 포함하고,
    트레일러가 로딩 독으로 진입할 경우 상기 제1록킹 롤러와 상기 제2록킹 롤러가 타이어에 접촉하여 상기 가이드 브래킷을 이동시키되, 트레일러의 진입이 완료되면 상기 캘리퍼가 작동하여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트레일러의 이동을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캘리퍼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부분적으로 감싸는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캘리퍼 하우징의 내부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캘리퍼는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트리거 브래킷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평행하게 배치된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웨브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캘리퍼가 상기 웨브의 상단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커버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되, 진입방향 측 일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래킷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부를 덮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측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하부 플랜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가이드 롤러와, 상기 웨브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2가이드 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트레일러 측으로 돌출된 단부에 상기 제1록킹 롤러가 결합되는 회동암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동암은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2록킹 롤러 측으로 탄성 편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동암에는 스토퍼가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는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가이드 홈의 단부에 접촉될 경우 상기 회동암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KR1020210024075A 2021-02-23 2021-02-23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KR102452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075A KR102452060B1 (ko) 2021-02-23 2021-02-23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075A KR102452060B1 (ko) 2021-02-23 2021-02-23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238A KR20220120238A (ko) 2022-08-30
KR102452060B1 true KR102452060B1 (ko) 2022-10-07

Family

ID=8311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075A KR102452060B1 (ko) 2021-02-23 2021-02-23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0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5806A (ja) 2004-08-02 2006-02-16 Koyo Denki:Kk 車両のタイヤ止め装置
JP2014227051A (ja) 2013-05-22 2014-12-08 首都高電気メンテナンス株式会社 車輪止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7616A (ja) * 1993-11-16 1995-05-30 Jiro Tomita 車両止め機
KR101969735B1 (ko) 2017-10-25 2019-04-17 최준호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5806A (ja) 2004-08-02 2006-02-16 Koyo Denki:Kk 車両のタイヤ止め装置
JP2014227051A (ja) 2013-05-22 2014-12-08 首都高電気メンテナンス株式会社 車輪止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238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2484C (en) Improved chock system
KR20170013238A (ko) 팔레트를 지지 구조물 상에 록킹하고 록킹 해제하기 위한 록킹 어셈블리
KR100987538B1 (ko) 차량운반용 트럭의 하판 경사적재장치
KR102452060B1 (ko)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GB2584784A (en) Dock leveler with adjustable side-elements, docking station and distribution center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there for
KR101969735B1 (ko)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KR102238242B1 (ko) 자동 다단 케이블 릴 스톰 잠금장치
US10005628B2 (en) Loading dock locking system
NL2022894B1 (en) Dock leveler with warning system, docking station and distribution center provided therewith and method there for
CN210526540U (zh) 用于货车卸货的自锁机构及具有其的铁路货车
KR102424778B1 (ko)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KR102515762B1 (ko) 트롤리 잠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 이송 장치
KR200488511Y1 (ko)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
JP4289567B2 (ja) ピッキング車両におけるかご台車等搭載係止装置
CN219790169U (zh) 自动化阻车器
JP7258503B2 (ja) 駐車場
TR2021018319Y (tr) Teker ki̇li̇tleme si̇stemi̇
CN217925155U (zh) 适用于停车场边角的防蹭装置
KR20200012619A (ko) 차량용 운반 장치
CA2755082C (en) Sliding platform with dual braking
JPH086602Y2 (ja) 車両運搬用デッキ
JP3673039B2 (ja) 駐車車両ロック装置の作動状態指示装置
KR20170071420A (ko) 잠금 기구를 가지는 대차
KR200407509Y1 (ko) 안전한 지게차
KR200310809Y1 (ko) 석탄 장입차의 속도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