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9735B1 -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735B1
KR101969735B1 KR1020170139314A KR20170139314A KR101969735B1 KR 101969735 B1 KR101969735 B1 KR 101969735B1 KR 1020170139314 A KR1020170139314 A KR 1020170139314A KR 20170139314 A KR20170139314 A KR 20170139314A KR 101969735 B1 KR101969735 B1 KR 101969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lider
wheel stopper
guide rai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호
Original Assignee
최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호 filed Critical 최준호
Priority to KR102017013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3/00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e.g.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딩 독에 주차된 화물차량이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화물을 하역하는 로딩 독의 바닥에 설치되고 화물차량의 진입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폴과, 상기 사이드폴을 따라 연장되고 다수의 잠금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래크와, 상기 사이드폴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홈에서 이탈하는 해제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 결합된 레버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의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는, 상기 레버를 해제 위치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레버가 상기 잠금홈에서 이탈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상기 레버를 잠금 위치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레버가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어 상기 해당 위치에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레버의 일부가 화물차량의 휠 사이로 삽입되어 화물차량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Description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WHEEL STOPPER FOR CARGO VEHICLE}
본 발명은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로딩 독에 주차된 화물차량이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센터 등에는 화물을 하역하기 위한 공간인 로딩 독(loading dock)이 마련된다. 이러한 로딩 독이 마련된 물류센터에서는 지게차나 손수레 등을 이용하여 화물을 직접 운반할 수 있으므로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화물을 하역하기 위해 로딩 독에 진입한 차량의 경우 브레이크 장치 등을 조작하여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에서 차량에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만약, 화물의 하역과정에서 차량에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추락, 전도, 낙하 등의 사고로 이어지며 재산상의 피해뿐만 아니라 치명적인 인명피해를 야기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로딩 독에 진입한 차량이 정지 및 주차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차량의 바퀴와 노면 사이에 버팀목과 같은 보조 고정구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을 중기안전법등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 제1995-0002992호(1995.04.1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로딩 독에 주차된 화물차량이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는, 화물을 하역하는 로딩 독의 바닥에 설치되고 화물차량의 진입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폴과, 상기 사이드폴을 따라 연장되고 다수의 잠금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래크와, 상기 사이드폴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홈에서 이탈하는 해제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 결합된 레버를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의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는, 상기 레버를 해제 위치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레버가 상기 잠금홈에서 이탈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상기 레버를 잠금 위치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레버가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 위치에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레버의 일부가 화물차량의 휠 사이로 삽입되어 화물차량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상술한 구성 중 상기 레버는,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 결합되는 L자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레버가 잠금 위치로 회전할 경우 화물차량의 휠 사이로 삽입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어 화물차량의 휠에 밀착되는 접촉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고 잭업방식으로 확장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조작 시 화물차량의 휠에 밀착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일면에 부착된 접촉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화물을 하역하기 위하여 로딩 독에 진입한 차량을 확실하게 고정시켜 하역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에서 차량이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추락, 전도, 낙하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가 설치된 로딩 독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를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중 레버의 평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100)는, 화물을 하역하기 위하여 로딩 독(D)에 진입한 화물차량(T)의 휠(W)을 확실하게 고정시켜 하역작업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에서 추락, 전도, 낙하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장치이다(도 1 참조).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100)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100)는, 로딩 독(도 1의 D)의 바닥에 설치되는 사이드폴(110)과, 사이드폴(110)의 일측에 마련된 래크(120) 및 가이드레일(130)과,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140)와, 슬라이더(140)에 힌지 결합되며 잠금 위치(A)와 해제 위치(B)로 회전하는 레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이드폴(11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된 원형 단면의 파이프이며, 화물차량(도 1의 T)의 진입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사이드폴(110)의 양 단부는 로딩 독(도 1의 D)의 바닥을 향하도록 벤딩되고, 벤딩된 단부에는 소정 두께를 가진 판형의 베이스(112)가 용접된다. 이때, 베이스(112)는 앵커링을 통해 로딩 독(D)의 바닥에 고정된다.
래크(120)는 레버(150)가 잠금 위치(A)에서 사이드폴(11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래크(120)는, 사이드폴(110)의 일측(도면상 우측) 상부에 마련되고 사이드폴(110)을 따라 연장되며 평행하게 배치된 샤프트(122)를 포함한다. 샤프트(122)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랜드(124)가 등간격으로 이격된다. 이때, 랜드(124)는 샤프트(12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므로 랜드(124)와 랜드(124) 사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가진 잠금홈(126)이 형성된다.
레버(150)를 잠금 위치(A)로 회전시킬 경우 레버(150)의 일부가 잠금홈(126)에 삽입되므로, 잠금홈(126)에 삽입된 레버(150)는 랜드(124)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된다. 즉, 랜드(124)는 레버(150)가 래크(120)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잠금홈(126)은 샤프트(122)를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화물차량(T)의 주차위치 또는/및 화물차량(T)의 휠(W) 크기에 따라 레버(150)의 잠금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이드레일(130)은 레버(150)가 힌지 결합된 슬라이더(1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수단이다. 가이드레일(130)은 하면이 절개된 사각형 단면의 파이프이고, 사이드폴(110)을 따라 연장되며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폴(110)의 일측에 용접된 L자형 앵글(114)을 통해 사이드폴(1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슬라이더(140)는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화물차량(T)의 주차위치 또는/및 화물차량(T)의 휠(W) 크기에 따라 레버(150)를 특정 위치로 이동시킨다.
슬라이더(140)는, 가이드레일(13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브래킷(142)과, 한 쌍의 브래킷(142)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44)로 이루어진다.
브래킷(142)은 일측(도면상 우측)이 타측(도면상 좌측)에 비해 길게 연장된 J자 형상의 판재이다.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브래킷(142)의 우측 단부에는 레버(150)가 힌지 결합되고,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된 브래킷(142)의 좌측 단부는 절개부를 통해 가이드레일(130)의 내부로 삽입된다.
연결부재(144)는,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수직부재(144a)와, 제1수직부재(144a)에서 이격된 제2수직부재(144b)와, 제1수직부재(144a)와 제2수직부재(144b)를 연결하는 수평부재(144c)로 구성된다. 이때, 제2수직부재(144b)에는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146)가 설치되고, 수평부재(144c)에는 후술할 서포트블록(162)이 설치된다.
한편, 제1수직부재(144a)의 상부에는 레버(150)가 해제 위치(B)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레이트(148)가 마련되고, 플레이트(148)의 상부에는 레버(150)와의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는 탄성패드(149)가 마련된다.
다른 한편, 사이드폴(110)의 일측에는 슬라이더(140)를 지지하는 서포트수단(162~166)이 마련된다. 서포트수단(162~166)은, 수평부재(144c)의 하부에 설치된 서포트블록(162)과, 서포트블록(162)의 이동을 안내하는 서포트레일(164)과, 서포트레일(164)을 지지하는 I형강(166)으로 구성된다.
레버(150)는 슬라이더(140)에 힌지 결합되어 잠금 위치(A)와 해제 위치(B)로 회전하며, 화물차량(T)의 휠(W)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레버(150)는, 슬라이더(140)에 힌지 결합되는 L자 형상의 몸체부(152)와, 몸체부(152)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레버(150)가 잠금 위치로 회전할 경우 화물차량의 휠 사이로 삽입되는 연장부(154)를 포함한다.
몸체부(152)의 일측에는 사이드폴(110)을 감싸는 제1그루브(152a)가 형성되고, 제1그루브(152a)의 일측에는 잠금홈(126)에 삽입되는 제2그루브(152b)가 형성된다.
레버(150)를 잠금 위치로 회전시킬 경우 레버(150)의 제2그루브(152b)가 잠금홈(126)에 삽입되고, 잠금홈(126)에 삽입된 제2그루브(152b)는 랜드(124)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50)의 연장부(154)에는 화물차량의 휠에 밀착되는 접촉부(172~176)가 설치된다. 접촉부(172~176)는, 잭업방식으로 확장되는 액추에이터(172)와, 액추에이터(172)의 조작 시 화물차량의 휠에 밀착되는 패널(174)과, 패널(174)의 일면에 부착된 접촉패드(176)로 구성된다.
이러한 접촉부(172~176)는 잠금홈(126)에 삽입된 레버(150)가 화물차량(T)의 휠(W)에 접촉되지 못할 경우 액추에이터(172)를 조작하여 패널(174)을 화물차량(T)의 휠(W)에 밀착시킴으로써 이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100)를 이용하여 화물차량(T)의 휠(W)을 고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화물을 하역하기 위하여 화물차량(T)이 로딩 독(D)에 진입하면, 진입한 화물차량(T)의 주차위치 또는/및 화물차량(T)의 휠(W) 크기에 따라 슬라이더(140)를 이동시킨다. 즉, 레버(150)가 화물차량(T)의 뒷바퀴, 즉 인접한 한 쌍의 휠(W) 사이에 위치되도록 슬라이더(140)를 이동시킨다. 이때, 슬라이더(140)에 마련된 레버(150)는 래크(12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제 위치(B)로 회전시킨 상태이어야 한다.
슬라이더(140)가 인접한 한 쌍의 휠(W)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해제 위치(B)의 레버(150)를 잠금 위치(A)로 회전시키면 레버(150)의 연장부(154)가 한 쌍의 휠(W) 사이로 삽입되어 화물차량(T)의 휠(W)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또한, 레버(150)의 제2그루브(152b)가 잠금홈(126)에 삽입되므로 슬라이더(140)의 이동도 제한된다. 따라서 화물차량(T)의 휠(W)이 해당 위치에서 고정된다.
한편, 화물차량(T)의 주차위치 또는/및 화물차량(T)의 휠(W) 크기에 따라 레버(150)의 연장부(154)가 화물차량(T)의 휠(W)에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레버(150)를 잠금 위치(A)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접촉부(172~176)의 액추에이터(172)를 조작하여 접촉패드(176)가 부착된 패널(174)을 화물차량(T)의 휠(W)에 밀착시켜 휠(W)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110: 사이드폴
120: 래크 130: 가이드레일
140: 슬라이더 150: 레버
162~166: 서포트수단 172~176: 접촉부

Claims (8)

  1. 화물을 하역하는 로딩 독에 설치되는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에 있어서,
    로딩 독의 바닥에 설치되고 화물차량의 진입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폴;
    상기 사이드폴을 따라 연장되고 다수의 잠금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래크;
    상기 사이드폴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 및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는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홈에서 이탈하는 해제 위치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 결합된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를 해제 위치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레버가 상기 잠금홈에서 이탈하여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레버를 잠금 위치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레버가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어 상기 잠금 위치에서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레버의 일부가 화물차량의 휠 사이로 삽입되어 화물차량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슬라이더에 힌지 결합되는 L자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레버가 잠금 위치로 회전할 경우 화물차량의 휠 사이로 삽입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사이드폴을 감싸는 제1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1그루브의 일측에는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는 제2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어 화물차량의 휠에 밀착되는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고 잭업방식으로 확장되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조작 시 화물차량의 휠에 밀착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일면에 부착된 접촉패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6. 청구항 1에 있어서,
    로딩 독의 바닥에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폴과 평행하게 배치된 서포트레일과,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상기 서포트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서포트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레버가 해제 위치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는 상기 레버와 상기 플레이트의 접촉 시 발생하는 충격 및 소음을 흡수하는 탄성패드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하면이 절개된 사각형 단면의 파이프이고,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KR1020170139314A 2017-10-25 2017-10-25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KR101969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314A KR101969735B1 (ko) 2017-10-25 2017-10-25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314A KR101969735B1 (ko) 2017-10-25 2017-10-25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735B1 true KR101969735B1 (ko) 2019-04-17

Family

ID=6628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314A KR101969735B1 (ko) 2017-10-25 2017-10-25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238A (ko) 2021-02-23 2022-08-30 최준호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5848U (ja) * 1991-06-11 1992-12-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トーイングトラクタの輪止め格納装置
KR950002992B1 (ko) 1986-05-02 1995-03-29 찬라드파브릭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자동변속장치용 전유제어장치
KR970000978A (ko) * 1995-06-30 1997-01-21 김태구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KR20040033497A (ko) * 2002-10-14 2004-04-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자동 밀림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2992B1 (ko) 1986-05-02 1995-03-29 찬라드파브릭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자동변속장치용 전유제어장치
JPH04135848U (ja) * 1991-06-11 1992-12-1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トーイングトラクタの輪止め格納装置
KR970000978A (ko) * 1995-06-30 1997-01-21 김태구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KR20040033497A (ko) * 2002-10-14 2004-04-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자동 밀림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238A (ko) 2021-02-23 2022-08-30 최준호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735B1 (ko) 화물차량용 휠 스토퍼
US9238429B2 (en) Sliding platform with dual braking
KR102452060B1 (ko)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KR20170048120A (ko) 하역도크 잠금장치
JP6789560B1 (ja) 脱輪・落下防止装置
JP6132866B2 (ja) バンプラバー装置並びにこれを具えた車輌、船舶及び構造物
JP5940889B2 (ja) 落下防止装置
CA2755082C (en) Sliding platform with dual braking
KR101226025B1 (ko) 대차유닛
JP4327134B2 (ja) レベル調整方法
JP6503836B2 (ja) 軌陸車の転車台操作規制装置
KR101651566B1 (ko)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CN106515597B (zh) 用于车辆的自行车承载装置
KR200488511Y1 (ko)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
KR101352597B1 (ko) 추락방지를 위한 도어 이탈 방지수단을 구비한 화물용 업도어 엘리베이터
RU148442U1 (ru) Эвакуатор-автовоз
JP6061889B2 (ja) 建設機械に用いる2部材連結装置
JP2011173581A (ja) 荷物の運搬車両の回動部材のヒンジ構造
JP7015019B2 (ja) 車止め装置
CN201511859U (zh) 一种用于厢式货车内的固定滚道结构
US3257844A (en) Sill testing mechanism for cushion cars
RU2212350C2 (ru) Грузовой вагон
KR200368342Y1 (ko) 고리견인 운반기의 롤러 보조가이드
KR200377478Y1 (ko) 크레인의 스톱퍼기구
KR101648274B1 (ko) 대차용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