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566B1 -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 Google Patents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566B1
KR101651566B1 KR1020160033649A KR20160033649A KR101651566B1 KR 101651566 B1 KR101651566 B1 KR 101651566B1 KR 1020160033649 A KR1020160033649 A KR 1020160033649A KR 20160033649 A KR20160033649 A KR 20160033649A KR 101651566 B1 KR101651566 B1 KR 101651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nergy absorbing
plate
impact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김영식
김영길
민한기
Original Assignee
디에스중공업(주)
김현수
김영식
김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중공업(주), 김현수, 김영식, 김영길 filed Critical 디에스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60033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55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 B60T8/17558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specially adapted for collision avoidance or collision mit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9/00Wheel guards; Bumper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 B61F19/04Bumpers or like collision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 B63B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16F7/121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the members having a cellular, e.g. honeycomb, structure
    • F16F7/12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the members having a cellular, e.g. honeycomb, structure characterised by corrugations, e.g. of rolled corrugat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적재하여 지면을 이동하는 차량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충돌체와 부딪힐 경우 충돌체 및 차량의 파손과 손상을 막고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는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와, 상기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측면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와, 상기 차량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모서리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를 포함하는 다방향완충부와, 제 1 및 제 2,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를 바깥 방향에서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를 상호 연결하여 충격을 다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연결밴드부와, 연결밴드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충격을 상기 연결밴드부에 전달시키고 충돌체를 보호하기 위한 플렉시블한 소재의 가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device for reducing collision of weight moving vehicle}
본 발명은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적재하여 지면을 이동하는 차량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충돌체와 부딪힐 경우 충돌체 및 차량의 파손과 손상을 막고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 이동용 차량은 크고 무거운 중량물을 적재하거나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차량이다. 이러한 차량으로 트랜스퍼카, 지게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트랜스퍼카(transfer car)는 조선소 및 철강업계 등에서 선박의 블록, 선실(Deck House) 및 코일(Coil) 등과 같은 중량물을 지정된 장소로 운송하기 위한 차량이다.
트랜스퍼카는 트랜스포터(Transporter)라고도 불리우며, 사용범위 및 중량물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규격과 형태를 갖도록 제작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트랜스퍼카(1)는 상부에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대(3)와, 적재대(3)의 하부에 장착되어 좌우방향의 회전은 물론 전후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바퀴가 구비된 다수개의 액슬(5)로 이루어진다.
트랜스퍼카(1)는 관리자의 원격리모컨(7)에 의해 원격조종되거나, 적재대의 하부 일측에 운전실이 마련되어 운전사가 탑승하여 조종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트랜스퍼카는 중량물을 이동하기에 용이하나 비좁은 장소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아 작업시 발생되는 충돌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어 장비의 파손 및 관리자의 안전상에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45225호에는 레일 트랜스포터용 완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레일 트랜스포터용 완충장치는 주행방향을 기준으로 전면 및 후면에 설치하되 후방이 개방된 중공형태로 전방에는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의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몸체와,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되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과 맞닿아 전방으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전방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가이드바의 외경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와 맞닿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레일 트랜스포터용 완충장치는 전후 방향의 충돌에 대해서만 완충역할을 할 수 있을 뿐이어서 모서리 방향이나 측면방향의 충돌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차량의 모서리 부위는 충돌시 파손이 심하고 충돌체에도 심한 손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845225호: 레일 트랜스포터용 완충장치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에 세 방향으로 설치되어 충돌체와 부딪힐 경우 충돌체 및 차량의 모서리 부위의 파손과 손상을 막고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는 중량물을 적재하여 지면을 이동하는 차량에 설치되어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돌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와, 상기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측면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와, 상기 차량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모서리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를 포함하는 다방향완충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를 바깥 방향에서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를 상호 연결하여 충격을 다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연결밴드부와; 상기 연결밴드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충격을 상기 연결밴드부에 전달시키고 충돌체를 보호하기 위한 플렉시블한 소재의 가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및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는 내부가 비어 있고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아코디언 모양으로 이루어져 충격시 변형을 일으키는 중공관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는 내부가 비어 있고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아코디언 모양으로 이루어져 충격시 변형을 일으키는 중공관체와, 상기 중공관체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제 1결합부와, 상기 중공관체의 단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 1결합부와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 2결합부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밴드부는 상기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1플레이트에서 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플레이트와, 상기 제 2플레이트에서 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3플레이트와, 상기 제 3플레이트에서 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플레이트와, 상기 제 4플레이트에서 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5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 3플레이트는 상기 제 2 및 제 4플레이트에서 상기 차량의 모서리 방향으로 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3플레이트와 상기 가드부 사이에 장착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차량의 모서리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일차로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공간부에 탄성블록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밴드부에 설치되어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충돌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트랜스퍼카의 구동바퀴를 제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되는 트랜스퍼카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전후방향, 측면방향, 모서리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3개의 에너지흡수체가 설치되어 여러 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차량를 보호할 수 있으며, 어느 한 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다수의 방향으로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짐으로써 충격에너지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돌시 센서의 작동으로 차량의 이동을 멈추게 하여 충돌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파손 및 손상을 사전에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증대시키고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트랜스퍼카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돌완화장치가 트랜스퍼카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충돌완화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적용된 충돌완화장치의 충돌 감지를 위한 구성을 보여주는 브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충돌완화장치의 요부를 발췌한 발췌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중량물 이동용 차량으로서 트랜스퍼카(1)를 예로 들고 있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트랜스퍼카(1)의 적재대(3)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된다. 트랜스퍼카(1)는 적재대(3)에 무거운 중량물을 적재하여 지면을 이동한다. 이러한 트랜스퍼카(1)는 관리자의 원격리모컨(7)에 의해 원격조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를 나타낸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퍼카의 적재대에 설치되는 충돌완화장치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 달리 본 발명은 트랜스퍼카 이외에도 지게차 등과 같은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바디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중량물 이동용 차량은 트랜스퍼카, 지게차와 같이 무거운 중량물을 이동하기 위한 차량을 의미한다.
중량물 이동용 차량은 바퀴나 레일을 통하여 일정한 공간을 이동하면서 적재된 중량물을 이동하기 위한 장비로서 이에 대한 구동방법 및 작동원리는 당 업계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트랜스퍼카의 적재대(3)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대(3)가 사각형상일 경우 본 발명은 네 곳의 모서리 부위마다 하나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트랜스퍼카의 이동과정에서 충돌체와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적재대(3)의 파손과 손상을 방지한다. 이와 동시에 작업자나 시설물, 타 차량과 같은 충돌체의 손상을 막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10)는 트랜스퍼카의 적재대(3)에 결합되어 다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다방향완충부와, 다방향완충부에 결합되는 연결밴드부(50)와, 연결밴드부(50)에 결합되는 가드부(70)를 구비한다.
다방향완충부는 트랜스퍼카의 적재대(3)에 결합된다. 다방향완충부는 다방향, 즉, 3개 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적재대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0°방향), 적재대의 측면방향(90°방향), 적재대의 모서리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킨다. 트랜스퍼카의 전후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적재대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은 0°방향이고, 적재대의 측면방향은 90°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다방향완충부는 3개 방향에서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20),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30),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40)를 구비한다.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20)는 적재대(3)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적재대(3)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의 충격을 흡수한다. 적재대(3)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은 트랜스퍼카의 전후 이동방향을 의미한다.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관체(21)로 이루어진다. 중공관체(21)의 소재는 강성이 있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관체(21)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아코디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적재대(3)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의 충격이 가해질 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충돌시 중공관체(21)는 찌그러지거나 휘는 등의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20)를 적재대(3)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시키기 위해 중공관체(21)의 일단에는 고정브라켓트(23)가 형성된다. 고정브라켓트(23)에는 관통홀(24)이 형성되어 있어서 나사부재(25)에 의해 적재대(3)에 고정될 수 있다. 나사부재(25)가 적재대(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적재대(3)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나사홀(11)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중공관체(21)의 타단은 연결밴드(5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30)는 설치위치만 다를 뿐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2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즉,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30)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아코디언 모양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관체(31)로 이루어진다. 중공관체(31)의 소재는 강성이 있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관체(31)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아코디언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적재대(3)의 측면 방향의 충격이 가해질 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다. 충돌시 중공관체(31)는 찌그러지거나 휘는 등의 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30)를 적재대(3)의 측면에 결합시키기 위해 중공관체(31)의 일단에는 고정브라켓트(33)가 형성된다. 고정브라켓트(33)에는 관통홀(34)이 형성되어 있어서 나사부재(35)에 의해 적재대(3)에 고정될 수 있다. 나사부재(35)가 적재대(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적재대(3)의 측면에는 나사홀(13)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중공관체(31)의 타단은 연결밴드(5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40)는 적재대(3)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적재대(3)의 모서리 방향의 충격을 흡수한다.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40)는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20)와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30) 사이에 위치하는 적재대(3)의 모서리에 설치된다.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40)는 내부가 비어 있고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아코디언 모양으로 이루어져 충격시 변형을 일으키는 중공관체(41)와, 중공관체(41)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적재대(3)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제 1결합부(43)와, 중공관체(41)의 단부에서 연장되되 제 1결합부(43)와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적재대(3)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 2결합부(45)를 구비한다.
제 1 및 제 2결합부(43)(45)의 단부에는 결합브라켓트(47)가 형성된다. 결합브라켓트(47)에는 관통홀(49)이 형성되어 있어서 나사부재(48)에 의해 체결되어 적재대(3)에 고정된다. 나사부재(48)가 적재대(3)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적재대(3)에는 나사홀(15)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중공관체(41)의 타단은 연결밴드(50)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연결밴드부(50)는 제 1 및 제 2,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를 바깥 방향에서 감싸도록 설치된다. 연결밴드부(50)는 제 1 및 제 2,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를 상호 연결하여 충격을 다방향으로 분산시켜 각 에너지흡수체에 충격을 전달함과 동시에 변형에 의하여 운동에너지를 감소시킨다.
연결밴드부(50)는 강성이 있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연결밴드부(50)는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20)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1플레이트(51)와, 제 1플레이트(51)에서 꺽어지게 형성되어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4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플레이트(53)와, 제 2플레이트(53)에서 꺽어지게 형성되어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40)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3플레이트(55)와, 제 3플레이트(55)에서 꺽어지게 형성되어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30)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플레이트(57)와, 제 4플레이트(57)에서 꺽어지게 형성되어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30)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5플레이트(59)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3플레이트(55)는 제 2 플레이트(53) 및 제 4플레이트(57)에서 적재대(3)의 모서리 방향으로 꺽어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 3플레이트(55)와 가드부(70)는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 3플레이트(55)와 가드부(70) 사이에 음푹 패인 장착공간부(60)가 마련된다.
장착공간부(60)에는 탄성블록(80)이 설치된다. 탄성블록(80)은 고무와 같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된다. 탄성블록(80)은 적재대(3)의 모서리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일차로 흡수한다. 따라서 탄성블록(80)은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40)의 완충력을 보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드부(70)는 연결밴드부(50)의 일면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연결밴드부(50)로 전달함과 동시에 충격을 감소시킨다. 또한, 가드부(70)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충돌시 적재대(3)와 충돌하는 충돌체를 보호한다. 가드부(70)는 고무와 같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된다.
가드부(70)를 연결밴드부(50)에 결합시키기 위해 연결밴드부(50)의 바깥면에는 다수의 결합돌기(9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90)는 돌출바(91)와, 돌출바(91)의 단부에 형성되며 돌출바(91)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헤드(95)로 이루어진다. 가드부(70)에는 결합돌기(90)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홀(71)이 형성된다. 결합홀(71)의 직경은 돌출바(91)의 직경보다 더 크고, 헤드(95)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된다. 결합돌기의 헤드(95)가 결합홀(71)에 강제로 진입하게 되면 플렉시블한 가드부(70)의 결합홀(71)은 탄성적으로 확장되면서 헤드(95)가 삽입된다.
한편, 본 발명은 충돌시 트랜스퍼카를 정지시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센서부의 출력신호에 의해 트랜스퍼카의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는 연결밴드부(50)와 탄성블록(80)에 설치되어 충돌을 감지한다. 센서부로 3개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제 1센서(101)는 연결밴드부의 제 1플레이트(51)에 장착되어 적재대(3)의 전면 또는 후면방향의 충돌을 감지하고, 제 2센서(103)는 연결밴드부의 제 5플레이트(59)에 장착되어 적재대(3)의 측면방향의 충돌을 감지하고, 제 3센서(105)는 탄성블록(80)에 장착되어 적재대(3)의 모서리 방향의 충돌을 감지한다. 제 1 내지 제 3센서로 통상적인 충돌감지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센서들을 장착하기 위해 연결밴드(50)와 탄성블록(80)에 설치홈이 마련된다. 제 1센서(101)는 연결밴드부의 제 1플레이트(51)에 형성된 설치홈(52)에 장착되고, 제 2센서(103)는 연결밴드부의 제 5플레이트(59)에 형성된 설치홈(58)에 장착되고, 제 3센서(105)는 탄성블록(80)에 형성된 설치홈(85)에 장착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 설치홈에 장착된 센서들은 트랜스퍼카에 설치된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은 물론이다.
각 센서들은 가드부(70)에 형성된 노출홈을 통해 외부로 단부가 노출된다. 즉, 제 1센서(101)는 가드부(70)의 일측에 형성된 노출홈(73)을 통해 노출되고, 제 2센서(103)는 가드부(700의 타측에 형성된 노출홈(77)을 통해 노출되고, 제 3센서(105)는 가드부(70)의 중앙에 형성된 노출홈(75)을 통해 노출된다.
제어부(110)는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충돌감지신호에 의해 트랜스퍼카에 장착된 제동부(120)를 제어하여 구동바퀴를 제동시킬 수 있다. 제어부(110)로 트랜스퍼카에 설치된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작업자가 휴대하고 있는 원격리모컨(7)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센서부에 의해 충돌감지시 제어부(110)가 트랜스퍼카를 제동하고 있음을 알려주기 위해 무선송수신부(130)를 통해 원격리모컨(7)으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방향완충부에 적용될 수 있는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의 모습을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150)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아코디언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관체(15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중공관체(151)는 충돌시 변형이 용이하도록 변형촉진수단이 마련된다.
변형촉진수단의 일 예로 다수의 절개홈(155)이 구비된다. 절개홈(155)은 중공관체의 주름진 마디(153) 마다 형성된다. 각 마디(153)에 형성된 절개홈(155)은 연결밴드에서 적재대 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순차적으로 작아진다.
이러한 절개홈(155)의 구조에 의해 중공관체(151)는 연결밴드 부위와 가까운 측의 변형이 상대적으로 심하고, 연결밴드와 멀어지는 측의 변형은 덜한다. 따라서 충격이 연결밴드를 통해 가해지면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150)는 충격 에너지를 점진적으로 줄여줌으로써 트랜스퍼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및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 역시 도시된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와 동일하게 중공관체의 마디마다 절개홈을 다른 크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트랜스퍼카 3: 적재대
20: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 30: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
40: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 50: 연결밴드
70: 가드부 80: 탄성블럭
101: 제 1센서 103: 제 2센서
105: 제 3센서

Claims (6)

  1. 중량물을 적재하여 지면을 이동하는 차량에 설치되어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돌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와, 상기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측면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와, 상기 차량의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모서리 방향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를 포함하는 다방향완충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를 바깥 방향에서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를 상호 연결하여 충격을 다방향으로 분산시키는 연결밴드부와;
    상기 연결밴드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충격을 상기 연결밴드부에 전달시키고 충돌체를 보호하기 위한 플렉시블한 소재의 가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밴드부는 상기 제 1방향에너지흡수체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1플레이트와, 상기 제 1플레이트에서 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플레이트와, 상기 제 2플레이트에서 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3플레이트와, 상기 제 3플레이트에서 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4플레이트와, 상기 제 4플레이트에서 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5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방향에너지흡수체는 내부가 비어 있고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아코디언 모양으로 이루어져 충격시 변형을 일으키는 중공관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방향에너지흡수체는 내부가 비어 있고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아코디언 모양으로 이루어져 충격시 변형을 일으키는 중공관체와, 상기 중공관체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에 결합되는 제 1결합부와, 상기 중공관체의 단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제 1결합부와 벌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측면에 결합되는 제 2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플레이트는 상기 제 2 및 제 4플레이트에서 상기 차량의 모서리 방향으로 꺽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 3플레이트와 상기 가드부 사이에 장착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차량의 모서리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일차로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공간부에 탄성블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부에 설치되어 충돌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출력되는 충돌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차량의 구동바퀴를 제동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KR1020160033649A 2016-03-21 2016-03-21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KR101651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649A KR101651566B1 (ko) 2016-03-21 2016-03-21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649A KR101651566B1 (ko) 2016-03-21 2016-03-21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566B1 true KR101651566B1 (ko) 2016-08-26

Family

ID=5688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649A KR101651566B1 (ko) 2016-03-21 2016-03-21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5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4605A1 (de) * 2017-08-14 2019-02-21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Stossfäng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3748U (ja) * 1991-04-23 1992-11-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ンパー構造
JPH06185661A (ja) * 1992-12-16 1994-07-08 Tlv Co Ltd フロ―ト弁
KR100222103B1 (ko) * 1995-09-22 1999-10-01 나이토 스스무 흡수식 냉동장치
KR200179175Y1 (ko) * 1999-11-08 2000-04-15 주식회사용원이엔씨 레듀샤 설치용 고정브라켓
KR100845225B1 (ko) 2008-03-11 2008-07-09 라인호(주) 레일 트랜스포터용 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3748U (ja) * 1991-04-23 1992-11-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ンパー構造
JPH06185661A (ja) * 1992-12-16 1994-07-08 Tlv Co Ltd フロ―ト弁
KR100222103B1 (ko) * 1995-09-22 1999-10-01 나이토 스스무 흡수식 냉동장치
KR200179175Y1 (ko) * 1999-11-08 2000-04-15 주식회사용원이엔씨 레듀샤 설치용 고정브라켓
KR100845225B1 (ko) 2008-03-11 2008-07-09 라인호(주) 레일 트랜스포터용 완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4605A1 (de) * 2017-08-14 2019-02-21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Stossfänger
US11292409B2 (en) 2017-08-14 2022-04-05 Kirchhoff Automotive Deutschland Gmbh Bump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02773B (zh) 具有前防撞梁侧向载荷传递构件的车辆
US7954884B2 (en) Structure of vehicle end section
US20170210316A1 (en) Bumper unit for a motor vehicle
CN104724180A (zh) 机动车辆后部
KR101712518B1 (ko) 지게차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KR102557313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691110B1 (ko)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
WO2013002010A1 (ja) 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US7604267B2 (en) Modular dock bumper
US10850773B2 (en) Chassis for a motor vehicle
US10137933B2 (en) Load management assembly
KR101651566B1 (ko)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RU24165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гашения удара
KR20150019899A (ko)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EP2300273B1 (en) Vehicle bumper assembly
JP2006341714A (ja) 衝撃緩衝車両
JP4539320B2 (ja) 車両用牽引フックの取付構造
EP2915765A1 (en) Bumper device for industrial vehicles and/or loading/unloading bays
KR102235077B1 (ko)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
JP2008207673A (ja) 車両の前部構造
JPH0543538B2 (ko)
KR102476847B1 (ko)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JP4656471B2 (ja) 追突衝撃緩和装置
CN214990052U (zh) 自动叉车的安全停止装置
CN218465441U (zh) 一种用于搬运叉车的避障装置以及搬运叉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