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077B1 -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 - Google Patents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077B1
KR102235077B1 KR1020190140341A KR20190140341A KR102235077B1 KR 102235077 B1 KR102235077 B1 KR 102235077B1 KR 1020190140341 A KR1020190140341 A KR 1020190140341A KR 20190140341 A KR20190140341 A KR 20190140341A KR 102235077 B1 KR102235077 B1 KR 102235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chassis frame
truck
bar
rot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진
Original Assignee
이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진 filed Critical 이명진
Priority to KR1020190140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56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truck collisions, e.g. bumpers; Arrangements on high-riding vehicles, e.g. lorries, for preventing vehicles or objects from running thereu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4Bumper guards
    • B60R19/46Bumper guards spring- or pivotally-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에 관한 것으로, 차대프레임과, 바퀴와, 운전자탑승부와, 화물칸과, 거리감지센서와, 범퍼부재 및 범퍼회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트럭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차대프레임의 후방에 상기 범퍼부재가 설치되어 트럭의 하단으로 높이가 낮은 차량이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범퍼회동모듈이 범퍼부재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어, 상기 트럭이 급경사의 진입로에 오르거나 내려올 때 상기 범퍼부재가 상부방향으로 자동 승강됨으로써 상기 범퍼부재가 바닥면에 닿지 않아 파손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Truck with bumper pivot module}
본 발명은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대프레임의 후방에 범퍼부재가 설치됨으로써, 높이가 높은 트럭의 하단으로 높이가 낮은 차량이 들어감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대프레임을 보호하며, 특히 트럭이 급경사의 진입로에 오르거나 내려올 때 상기 범퍼부재가 상부방향으로 자동 승강되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차대프레임에 윙바디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가 범퍼부재의 간섭없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럭은 화물을 저장할 수 있는 화물칸이 설치되어 화물을 운반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차량이며, 이러한 트럭은 승용 차량보다 중량과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높이도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트럭보다 높이가 낮은 승용 차량이 상기 트럭의 후방에 추돌될 경우, 승용 차량이 트럭의 차대프레임의 하부로 끼이거나 또는 들어가게 되면서 승용 차량의 탑승자들에게 치명상을 입힐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럭 차대프레임의 후방에는 범퍼의 설치가 의무화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경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제19조에 따르면 차량의 총 중량이 3.5톤 이상인 화물자동차 또는 특수자동차는 바닥면에서 550mm 이내에 상기 범퍼의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범퍼에 의해 높이가 낮은 승용 차량이 트럭의 차대프레임의 하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범퍼는 공개특허 제10-2016-0011106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한편, 차대프레임의 길이가 다소 길게 형성된 대형 트럭은, 뒷바퀴로부터 차대프레임의 끝단이 후방으로 많이 돌출되어 있다. 즉 이러한 트럭은 뒷바퀴에서 차대프레임 끝단까지의 거리가 길며, 뒷바퀴가 바닥면에 닿는 위치와 차대프레임의 끝단에 설치되는 범퍼의 하단부를 잇는 선 사이의 각이 작아서 급경사의 진입로를 오르거나 내려올 때 상기 범퍼가 바닥면에 닿게 되면서 파손된다.
즉, 뒷바퀴에서 차대프레임 끝단까지의 거리가 긴 트럭의 경우, 트럭이 급경사의 진입로를 오르거나 내려올 때 상기 범퍼가 바닥면에 부딪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등록번호 제10-0195995호, 공개특허 제10-2018-0063989호, 등록특허 제10-1822982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트럭에 범퍼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급경사의 진입로 또는 턱에 부딪힐 때 상기 범퍼가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범퍼가 회동되지 않거나 높은 방지턱 등과 같은 급작스런 상황 발생시 또는, 상기 범퍼에 지속적인 충격에 따라 상기 범퍼가 파손될 수밖에 없고, 상기 범퍼를 회동시키기 위해 다소 많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범퍼 파손에 의한 교체 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트럭이 특수화물용 트럭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차대프레임의 상부에 윙바디(Wing body)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특수화물용 트럭에는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범퍼와 이의 연결 구조 및 간섭에 의해 상기한 별도의 장치 설치에 어려움이 따른다.
공개특허 제10-2016-0011106호 등록번호 제10-0195995호 공개특허 제10-2018-0063989호 등록특허 제10-182298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대프레임의 후방에 범퍼부재가 설치됨으로써, 높이가 높은 트럭의 하단으로 높이가 낮은 차량이 들어감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대프레임을 보호하며, 특히 트럭이 급경사의 진입로에 오르거나 내려올 때 상기 범퍼부재가 상부방향으로 자동 승강되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차대프레임에 윙바디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가 범퍼부재의 간섭없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은 차대프레임과; 상기 차대프레임의 하부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차대프레임(10)을 이동시키는 바퀴와; 상기 차대프레임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운전자가 탑승되는 운전자탑승부와; 상기 차대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이 저장 및 운반되는 화물칸과; 상기 차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바닥면과 상기 차대프레임 사이의 높낮이를 측정하는 거리감지센서와; 상기 차대프레임의 일측에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차대프레임을 보호하는 범퍼부재와; 상기 차대프레임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차대프레임과 범퍼부재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범퍼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거리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높낮이에 따라 상기 범퍼부재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범퍼회동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범퍼회동모듈은, 단면이 "ㄱ"자 형상을 가지며,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차대프레임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바와; 상기 회동바의 측면에 상기 차대프레임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차대프레임의 측면에 관통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과 연결되며, 상기 회동축을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회동바의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범퍼부재 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바와;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범퍼부재의 일면에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연결바의 끝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연결바고정몸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바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바의 단부에 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승강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하승강홈의 내부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상하승강홈의 내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바의 끝단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바를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바고정몸체의 내부에는, 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의 타단이 삽입 고정되는 전후안내홈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후안내홈의 내부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전후안내홈의 내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바의 끝단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바고정몸체를 후방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체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부재는, 상기 전후안내홈에 설치되는 제2탄성체에 의해 후방측으로 탄성 지지됨에 따라 상기 범퍼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충격이 완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부재는,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차대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대프레임을 보호하는 범퍼와; 상기 범퍼의 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충격완충공간부가 형성되는 보호범퍼와; 상기 범퍼의 하부면을 따라 설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범퍼의 하부면을 보호하는 보호패드와; 상기 범퍼의 하부면과 보호패드의 결합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패드의 마모시 외부에 노출되는 마모한계표시부;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범퍼의 하부면은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측으로 돌출된 부위에 상기 마모한계표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은 차대프레임의 후방에 범퍼부재가 설치되어 트럭의 하단으로 높이가 낮은 차량이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트럭이 급경사의 진입로에 오르거나 내려올 때 상기 범퍼부재가 상부방향으로 자동 승강됨으로써 상기 범퍼부재가 바닥면에 닿지 않아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은 범퍼부재의 상하,전후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제1,2탄성체에 의해 완충 가능하여, 상기 범퍼부재가 트럭의 차대프레임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된 상태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은 승용 차량이 차대프레임의 후방 추돌시 범퍼부재의 보호범퍼부터 부딪히게 되고, 상기 보호범퍼는 내부가 빈 충격완충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1차적인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은 범퍼의 하부면에 교체 가능하게 보호패드가 설치되어, 상기 보호패드의 마모에 따라 교체 가능하여 범퍼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상기 범퍼의 하부면에 구비된 마모한계표시부에 의해 상기 보호패드의 교환시기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의 범퍼부재와 범퍼회동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의 범퍼회동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범퍼부재가 상부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동작도
도 6은 도 2의 후면도
도 7은 도 2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의 범퍼부재와 범퍼회동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의 범퍼회동모듈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범퍼부재가 상부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동작도이며, 도 6은 도 2의 후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은 크게 차대프레임(10)과 바퀴(20)와 운전자탑승부(30)와 화물칸(40)과 거리감지센서(11)와 범퍼부재(100) 및 범퍼회동모듈(200)를 포함하고, 특히 상기 거리감지센서(11)에 의해 상기 범퍼회동모듈(200)이 상기 범퍼부재(100)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대프레임(10)은 트럭의 골격을 이루는 차체이며,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바퀴(20)는 차대프레임(10)의 하부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트럭의 엔진 구동에 의해 상기 차대프레임(10)을 이동시키는 구성이고, 상기 운전자탐승부(30)는 차대프레임(10)의 전방측에 설치되면서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화물칸(40)은 차대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되면서 다수의 부품이 저장되는 공간이며, 상기 트럭의 활용에 따라 개폐 방식의 윙바디(Wing body)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차대프레임(10)과 바퀴(20)와 운전자탑승부(30) 및 화물칸(40)은 트럭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거리감지센서(11)는 바닥면과 상기 차대프레임(10) 사이의 높낮이를 측정하는 센서로써, 상기 차대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거리감지센서(11)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적외선 센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차대프레임(10)과 바닥면 사이의 높낮이를 측정할 수 있다면 초음파 센서 등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리감지센서(11)에서 측정된 정보는 후술될 구동부재(250)의 작동에 이용된다.
또한,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리감지센서(11)는 차대프레임(10)의 하부에서 후방측에 설치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차대프레임(10)의 하부 중 어느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범퍼부재(100)는 차대프레임(10)을 보호함과 더불어 상기 차대프레임(10)의 하부에 높이가 낮은 차량이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대프레임(10)의 후방측에 돌출되게 위치된다.
이러한 범퍼부재(100)는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대프레임(10)의 좌우 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후술될 범퍼회동모듈(200)에 의해 상기 차대프레임(10)에 연결 설치된다.
상기 범퍼부재(100)는 철제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범퍼(110)로 구성되며, 상기 범퍼(110)의 후방 측면을 따라 보호범퍼(120)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보호범퍼(120)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 형태로 이루어 지면서 내부가 빈 충격완충공간부(12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범퍼부재(100)의 후방으로 외부 충격이 가해질 때 상기 보호범퍼(120)가 1차적으로 충격이 가해지면서 상기 충격완충공간부(121)에 의해 충격이 흡수된다.
이때, 상기 보호범퍼(120)는 깨지게 되면서 충격이 흡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보호범퍼(120)가 파손된 경우 상기 범퍼(110)에 설치된 보호범퍼(120)를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범퍼(120)의 외부면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도시는 생략됨)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보호범퍼(120)의 형상이 전술한 바와 같이 다각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트럭의 후방측에 위치한 높이가 서로 다른 다양한 차량들이 다양한 각도에서 상기 반사판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범퍼부재(100)의 설치 위치보다 높이가 높은 차량은 상기 보호범퍼(120)의 상부측에 부착된 반사판을 인지할 수 있고, 상기 범퍼부재(100)의 설치 위치보다 높이가 낮은 차량은 상기 보호범퍼(120)의 하부측에 부착된 반사판을 인지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범퍼(110)의 하부면은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측으로 돌출된 부위에는 상기 범퍼(110)의 색상과 구분되는 마모한계표시부(1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범퍼(110)의 하부면을 따라 보호패드(130)가 설치되며, 상기 보호패드(130)의 상면은 상기 범퍼(110)의 하부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보호패드(130)가 범퍼(110)의 하부면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호패드(130)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범퍼(110)가 바닥면에 부딪히는 경우 상기 보호패드(130)가 상기 바닥면에 닿게 되면서 충격을 흡수함과 더불어 상기 범퍼(110)를 보호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패드(130)는 범퍼(110)로부터 교체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범퍼부재(100)가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보호패드(130)만 닳게 되면서 상기 범퍼(110)를 보호할 수 있으며, 많이 닳은 보호패드(130)는 새 보호패드(130)로 교체하여 상기 범퍼(110)를 지속적으로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패드(130)가 너무 많이 닳을 경우 상기 범퍼(110)의 하부면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상기 범퍼(110)가 파손될 수 있지만, 상기 마모한계표시부(111)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보호패드(130)의 교환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범퍼회동모듈(200)은 차대프레임(10)에 범퍼부재(1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상기 범퍼부재(100)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이며, 상기 차대프레임(1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은 범퍼회동모듈(200)은 상기 차대프레임(10)의 측면에 설치되는 회동바(210)와, 상기 범퍼부재(100)의 전방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연결바고정몸체(230)와, 상기 회동바(210) 및 연결바고정몸체(230)를 연결하는 연결바(220)로 구성된다.
상기 회동바(210)는 철재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을 가지며, 일단(도 3에서 좌측)의 측면에는 상기 차대프레임(10)의 측면에 관통되는 회동축(21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축(211)을 기준으로 상기 회동바(210)가 차대프레임(10)의 측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대프레임(10)의 측면에는 제1스토퍼(201)와 제2스토퍼(202)가 설치되면서, 상기 제1스토퍼(201)에 걸려 상기 회동바(210)의 타단(도 3에서 우측)이 하부로 내려가지 않고, 상기 회동바(210)가 회동 될 때 상기 제2스토퍼(202)에 걸려 상기 회동바(210)가 더이상 회동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회동바(210)의 형상 및 구조는 상기 차대프레임(10)에 회동바(210)가 설치되고 회동될 때 상기 차대프레임(10)의 하부 공간에 다른 구성의 설치에 영향을 미치게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대프레임(10)의 양 측면에 설치된 상기 회동바(210) 중 어느 한 회동바(210)의 회동축(211)에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211)을 정,역 회전 시킬 수 있는 구동부재(250)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동부재(250)는 상기 차대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회동축(211)에만 연결될 수 있지만, 상기 차대프레임(10)의 양 측면에 설치된 상기 각 회동바(210)의 회동축(211)에 두개의 구동부재(25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구동부재(250)가 회동축(211)을 정,역 회전시키면서 상기 회동바(210)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바(210)의 일측(도 4에서 우측 방향) 단부에는 상기 연결바(220)의 일단이 삽입 가능하게 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상하승강홈(212)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바고정몸체(23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면서 일측(도 4에서 우측)이 범퍼부재(100) 중 범퍼(110)의 전면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도 4에서 좌측) 단부에는 상기 연결바(220)의 타단이 삽입 가능하게 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전후안내홈(232)이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바(220)는 상기 회동바(210) 및 연결바고정몸체(23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회동바(210)와 연결바고정몸체(230)를 서로 연결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바(220)의 양측 끝단은 상기 회동바(210)의 상하승강홈(212)과 연결바고정몸체(230)의 전후안내홈(232)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연결바(220)가 상하승강홈(212) 및 전후안내홈(232)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연결바(220)의 양측 끝단부가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턱이 형성된다. 이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상하승강홈(212)의 내부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1탄성체(221)가 구비되고, 상기 전후안내홈(232)의 내부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제2탄성체(222)가 구비되며, 상기 제1,2탄성체(221, 222)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탄성재질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탄성체(221)는 일단(도 4에서 상측)이 상하승강홈(212)의 내부면에 밀착되고 타단(도 4에서 하측)이 상기 상하승강홈(212)에 삽입된 연결바(220)의 끝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탄성체(221)가 연결바(220)를 회동바(210)로부터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탄성체(222)는 일단(도 4에서 우측)이 전후안내홈(232)의 내부면에 밀착되고 타단(도 4에서 좌측)이 상기 전후안내홈(232)에 삽입된 연결바(220)의 끝단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탄성체(222)가 연결바고정몸체(230)를 연결바(220)로부터 후방측으로 탄성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승강홈(212)과 전후안내홈(232)의 내부면에는 상기한 제1,2탄성체(221, 222)가 고정될 수 있도록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의 작동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트럭에 설치된 범퍼부재(100)는 높이가 낮은 차량이 상기 트럭의 차대프레임(10) 하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한 높이가 낮은 차량이 상기 트럭의 후방으로 추돌하는 경우, 상기 범퍼부재(100)의 보호범퍼(120)에 충격이 가해짐과 동시에 상기 보호범퍼(120)가 깨지면서 1차적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진다.
이후, 제2탄성체(222)에 의해 상기 범퍼부재(100)에 가해지는 2차적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진다.
특히, 주행중인 트럭은 차대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거리감지센서(11)가 상기 차대프레임(10)과 바닥면 사이의 높낮이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트럭이 급경사로에 오르거나 내려올 때, 상기 거리감지센서(11)에 의해 상기 차대프레임(10)과 바닥면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 것을 인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거리감지센서(11)에서 측정된 정보는 구동부재(250)에 전달되고, 상기 구동부재(250)가 범퍼회동모듈(200)을 회동시키면서 범퍼부재(100)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회동되는 상기 범퍼회동모듈(200)은 제2스토퍼(202)에 맞닿게 되면서 더이상 회동되지 않고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범퍼부재(100)가 상승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후, 일정시간 이후 또는, 경사로를 지나고 상기 거리감지센서(11)로 일반 평지구간을 인식했을 경우 상기 범퍼회동모듈(200)은 본래 상태로 역 회동되면서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범퍼부재(100)가 하부로 내려오게 되고, 상기 범퍼회동모듈(200)은 제1스토퍼(201)에 맞닿게 되면서 더이상 내려가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250)은 상기한 거리감지센서(11)에 의한 정보에 의해 동작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운전자의 별도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트럭이 운행중에 발생되는 충격은 제1탄성체(221)에 의해 흡수되면서 상기 범퍼부재(100)는 범퍼회동모듈(200)에 안정적으로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범퍼회동모듈(200)이 회동되지 않는 경우 또는, 상기 범퍼부재(100)가 상부방향으로 회동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범퍼부재(100)가 바닥면에 닿게 될 수 있다. 이때, 범퍼(110)의 하부면에 설치된 보호패드(130)에 의해 상기 범퍼부재(10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본 발명에 의한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은 차대프레임(10)의 후방에 범퍼부재(100)가 설치되어 트럭의 하단으로 높이가 낮은 차량이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트럭이 급경사의 진입로에 오르거나 내려올 때 상기 범퍼부재(100)가 상부방향으로 자동 승강됨으로써 상기 범퍼부재(100)가 바닥면에 닿지 않아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은 상기 범퍼부재(100)의 상하,전후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이 제1,2탄성체(221, 222)에 의해 완충 가능하여, 상기 범퍼부재(100)가 트럭의 차대프레임(10)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된 상태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은 범퍼의 하부면에 교체 가능하게 보호패드(130)가 설치되어, 상기 보호패드(130)의 마모에 따라 교체 가능하여 범퍼(11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상기 범퍼(110)의 하부면에 구비된 마모한계표시부(111)에 의해 상기 보호패드(130)의 교환시기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차대프레임 11. 거리감지센서
20. 바퀴 30. 운전자탑승부
40. 화물칸 100. 범퍼부재
110. 범퍼 111. 마모한게표시부
120. 보호범퍼 121. 충격안충공간부
130. 보호패드 200. 범퍼회동모듈
201. 제1스토퍼 202. 제2스토퍼
210. 회동바 211. 회동축
212. 상하승강홈 220. 연결바
221. 제1탄성체 222. 제2탄성체
230. 연결바고정몸체 232. 전후안내홈
250. 구동부재

Claims (6)

  1. 차대프레임(10)과, 상기 차대프레임(10)의 하부에 다수개가 설치되며 차대프레임(10)을 이동시키는 바퀴(20)와, 상기 차대프레임(10)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운전자가 탑승되는 운전자탑승부(30)와, 상기 차대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되며 다수의 부품이 저장 및 운반되는 화물칸(40)과, 상기 차대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며 바닥면과 상기 차대프레임(10) 사이의 높낮이를 측정하는 거리감지센서(11)와, 상기 차대프레임(10)의 일측에 돌출되게 위치되며 상기 차대프레임(10)을 보호하는 범퍼부재(100)와, 상기 차대프레임(1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차대프레임(10)과 범퍼부재(10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범퍼부재(1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거리감지센서(11)에 의해 측정되는 높낮이에 따라 상기 범퍼부재(100)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범퍼회동모듈(200)을 포함하며;
    상기 범퍼회동모듈(200)은,
    상기 차대프레임(10)의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바(210)와, 상기 회동바(210)의 측면에 상기 차대프레임(10) 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차대프레임(10)의 측면에 관통되는 회동축(211)과, 상기 회동축(211)과 연결되며 상기 회동축(211)을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부재(250)와, 상기 회동바(210)의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범퍼부재(100) 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연결바(220)와, 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범퍼부재(100)의 일면에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연결바(220)의 끝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연결바고정몸체(230)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바(210)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바(210)의 단부에 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220)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하승강홈(212)이 더 구비되며;
    상기 상하승강홈(212)의 내부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상하승강홈(212)의 내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바(220)의 끝단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바(220)를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체(221)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고정몸체(230)의 내부에는,
    육면체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220)의 타단이 삽입 고정되는 전후안내홈(23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후안내홈(232)의 내부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전후안내홈(232)의 내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바(220)의 끝단에 밀착되어 상기 연결바고정몸체(230)를 후방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탄성체(222)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부재(100)는,
    상기 전후안내홈(232)에 설치되는 제2탄성체(222)에 의해 후방측으로 탄성 지지됨에 따라 상기 범퍼부재(1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충격이 완충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부재(100)는,
    철재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차대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대프레임(10)을 보호하는 범퍼(110)와;
    상기 범퍼(110)의 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충격완충공간부(121)가 형성되는 보호범퍼(120)와;
    상기 범퍼(110)의 하부면을 따라 설치되며,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범퍼(110)의 하부면을 보호하는 보호패드(130)와;
    상기 범퍼(110)의 하부면과 보호패드(130)의 결합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보호패드(130)의 마모시 외부에 노출되는 마모한계표시부(111);를 포함하는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110)의 하부면은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측으로 돌출된 부위에 상기 마모한계표시부(11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
KR1020190140341A 2019-11-05 2019-11-05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 KR102235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341A KR102235077B1 (ko) 2019-11-05 2019-11-05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341A KR102235077B1 (ko) 2019-11-05 2019-11-05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077B1 true KR102235077B1 (ko) 2021-03-31

Family

ID=75237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341A KR102235077B1 (ko) 2019-11-05 2019-11-05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0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84660A1 (en) * 2021-09-15 2023-03-16 Hyundai Motor Company Rear Bumper Structure of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995B1 (ko) 1996-06-29 1999-06-15 류정열 상용차의 충격 흡수용 리어 범퍼
KR20070048314A (ko) * 2005-11-04 2007-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리어 프로텍터
KR20160011106A (ko) 2014-07-21 2016-01-29 윤영준 화물차량 후방에 형성되는 범퍼 구조
KR101822982B1 (ko) 2017-03-23 2018-01-30 (주)이큐브시스템 후부안전판 구조 시스템
KR20180063989A (ko) 2016-12-04 2018-06-14 황현민 화물 자동차의 후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5995B1 (ko) 1996-06-29 1999-06-15 류정열 상용차의 충격 흡수용 리어 범퍼
KR20070048314A (ko) * 2005-11-04 2007-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리어 프로텍터
KR20160011106A (ko) 2014-07-21 2016-01-29 윤영준 화물차량 후방에 형성되는 범퍼 구조
KR20180063989A (ko) 2016-12-04 2018-06-14 황현민 화물 자동차의 후방 안전장치
KR101822982B1 (ko) 2017-03-23 2018-01-30 (주)이큐브시스템 후부안전판 구조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84660A1 (en) * 2021-09-15 2023-03-16 Hyundai Motor Company Rear Bumper Structure of Vehicle
US11654848B2 (en) * 2021-09-15 2023-05-23 Hyundai Motor Company Rear bumper structure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09675A (en) Hinged member for a rear impact guard
KR101822982B1 (ko) 후부안전판 구조 시스템
US4979770A (en) Bumper having pivotal bumper bar for heavy mechanized vehicles
KR20190020673A (ko) 접음 판을 갖는 측벽
GB2327645A (en) A vehicle under-run guard
KR102235077B1 (ko) 범퍼회동모듈을 가지는 트럭
KR101614601B1 (ko) 차량 충격흡수장치
JP4244048B2 (ja) 車両のアンダランプロテクタ
JP2010006091A (ja) 大型貨物自動車のリヤバンパー
KR101959816B1 (ko) 후부안전판 구조 시스템
KR102476753B1 (ko) 트럭의 화물쏠림방지 윙바디
CN209981467U (zh) 雷达天线安装座组件及隧道衬砌检测车辆
CN116104353A (zh) 一种新型防撞缓冲栏
JP3241008U (ja) トラック
EP2915765A1 (en) Bumper device for industrial vehicles and/or loading/unloading bays
KR102318636B1 (ko) 전진 주행 간섭을 방지하는 화물자동차의 후방범퍼장치
CN207860120U (zh) 一种道路施工车辆防撞缓冲车
JP7043154B1 (ja) トラック
JP2010202160A (ja) 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ー対応可能リヤバンパー
JP2008207673A (ja) 車両の前部構造
JP6114772B2 (ja) 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ー対応可能リヤバンパー
WO2007026549A1 (ja) 車両のアンダランプロテクタ
KR20120007652U (ko) 지게차용 안전 보호울
JP6317665B2 (ja) ドックシェルター
KR200166593Y1 (ko) 안전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