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847B1 -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847B1
KR102476847B1 KR1020210096652A KR20210096652A KR102476847B1 KR 102476847 B1 KR102476847 B1 KR 102476847B1 KR 1020210096652 A KR1020210096652 A KR 1020210096652A KR 20210096652 A KR20210096652 A KR 20210096652A KR 102476847 B1 KR102476847 B1 KR 102476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de protection
protection device
exterior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6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희
김지선
주정현
김강욱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210096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후면의 충격흡수장치에 병행할 수 있는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호 이격된 채로, 각각의 일단이 차량(10)의 메인프레임(40)에 고정되는 제 1, 2 브라켓(110, 120); 제 1, 2 브라켓(110, 120)의 타단에 고정되고, 차량(10)의 길이방향으로 정렬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제 1, 2 외관(130, 140); 일단이 제 1 외관(13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 1 내관(150); 일단이 제 2 외관(14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 2 내관(160); 및 제 1 내관(150)의 타단과 제 2 내관(160)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관(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Side protection device of a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후면의 충격흡수장치에 병행할 수 있는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의 작업차량의 후면에는 차량 추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장치(Truck Mounted Attenuator, TMA)가 부착된다. 도 1은 종래의 충격흡수장치(20)를 설치한 차량(1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충격흡수장치(20)를 설치한 차량(10)의 개략적인 후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차량(10)의 후면(14)에는 범퍼 형상의 충격흡수장치(20)가 설치되고, 후면(14)과 충격흡수장치(25)를 연결하는 탈부착장치(25)가 구비된다.
따라서, 고속도로에서 정차하거나 저속으로 이동 중인 작업차량(10)에 대해 후방충격(30)이 가해지더라도 부분적인 충격흡수가 가능하다. 작업차량(10)의 추돌사고는 연간 20 ~ 30 건이 발생하고 있는데 충격흡수장치(20)의 정면 추돌(차량 진행방향의 추돌)인 경우에는 사망사고가 없는데 반해, 충격흡수장치(20)의 측면 추돌인 경우에는 7명의 사망사고가 있었다.
따라서, 작업차량(10)의 측면추돌로 인한 교통사고 발생시에도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142679호(충격 흡수식 차량 측면 스트립 보강장치),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1998-056910호(차량의 측면 충격흡수구조),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394795호(차량의 측면 충격 흡수용 완충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의 후면을 정면으로 추돌하는 경우에는 내부로 삽입되고, 측면 추돌인 경우에는 충격을 지지하여 사고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볼플런저를 이용하여 제 1, 2 내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고, 볼플런저의 스프링을 통해 제 1, 2 내관의 조정부하를 조정할 수 있는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충격을 지지하면서도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을 만족하는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이격된 채로, 각각의 일단이 차량(10)의 메인프레임(40)에 고정되는 제 1, 2 브라켓(110, 120); 제 1, 2 브라켓(110, 120)의 타단에 고정되고, 차량(10)의 길이방향으로 정렬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제 1, 2 외관(130, 140); 일단이 제 1 외관(13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 1 내관(150); 일단이 제 2 외관(14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 2 내관(160); 및 제 1 내관(150)의 타단과 제 2 내관(160)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관(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제 1, 2 브라켓(110, 120)은 메인프레임(40) 중 차량(10)의 후면(14)에 인접하도록 고정된다.
또한,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는 차량(10)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또한, 제 1 외관(130) 내에서 제 1 내관(150)의 위치를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위치고정수단은, 제 1 내관(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요홈(155); 제 1 외관(130)에 설치되고, 제 1 외관(130)을 통해 요홈(155)에 안착 가능한 볼(220)과 스프링(210)을 갖는 플런저(200); 및 플런저(200)를 제 1 외관(130)에 고정하는 고정너트(230);를 포함한다.
또한, 연결관(170)의 일단은 절곡된 채로 제 1 내관(150)의 타단과 연결되고, 그리고 연결관(170)의 타단은 절곡된 채로 제 2 내관(160)의 타단과 연결된다.
또한, 연결관(170)의 일단과 타단은 메인 프레임(40)을 향해 내측으로 직각으로 절곡된다.
또한, 제 1, 2 브라켓(110, 120)은 메인프레임(40)에서 제 1, 2 외관(130, 140)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이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이다.
또한, 차량(10)의 후면(14)에는 후방충격(30)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장치(20); 및 충격흡수장치(20)를 후면(14)에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탈부착장치(25)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연결관(170)이 충격흡수장치(20)에 닿거나 인접하도록, 제 1, 2 내관(150, 160)이 이동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의 후면을 정면으로 추돌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측면 추돌인 경우에는 충격을 지지하여 사고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볼플런저를 이용하여 제 1, 2 내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고, 볼플런저의 스프링을 통해 제 1, 2 내관의 조정부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차량에 부착 가능하다.
또한, 측면충격을 지지하면서도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9조제3항을 만족한다. 따라서, 불법개조가 아니며, 별도의 시험 평가 없이 즉시 적용 및 운행이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충격흡수장치(20)를 설치한 차량(10)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충격흡수장치(20)를 설치한 차량(10)의 개략적인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100)를 설치한 차량(10)의 개략적인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측면 보호장치(100)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100)를 설치한 차량(10)의 일반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도 5b는 도 5a의 차량에서 후방충격(30)이 가해졌을 때, 압축되어 축소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
도 6은 도 4 중 제 1 외관(130)과 제 1 내관(150) 사이에 설치된 플런저(200)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런저(200)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 보호장치(100)를 설치한 고속도로 작업차량(10)의 후면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100)를 설치한 차량(10)의 개략적인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0)의 메인프레임(40) 중 후단에는 탈부착장치(25)가 설치되고, 탈부착장치(25)에는 충격흡수장치(20)가 설치된다. 충격흡수장치(20)는 범퍼와 같은 완충재가 될 수 있고, 탈부착장치(25)는 프레임, 볼트와 너트, 압축변형에 대비한 스프링과 댐퍼를 포함한다.
측면보호대(100)는 메인프레임(40) 중 차량(10)의 후면(14)에 인접하도록 고정된다. 측면보호대(100)는 차륜(18)과 충격흡수장치(20) 사이에 위치한다. 측면보호대(100)는 한쌍으로 구성되며, 하나는 차량(10)의 좌측에 설치되고, 또 다른 하나는 차량(10)의 우측에 설치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측면 보호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2 브라켓(110, 120)은 상호 이격된 채로, 각각의 일단이 차량(10)의 메인프레임(40)에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이 제 1, 2 외관(130, 140)에 연결된다. 제 1, 2 브라켓(110, 120)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이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이다. 이는 측면충격(50)을 최대한 흡수하고 제 1, 2 외관(130, 140)과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제 1, 2 브라켓(110, 120)의 횡단면은 “ㄷ”자 형상이고, 무게를 줄이기 위한 관통공을 갖는다. 제 1, 2 브라켓(110, 120)은 충분한 변형 강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강재로 제작되며, 메인프레임(40)에는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고, 제 1, 2 외관(130, 140)과는 용접으로 고정된다.
제 1 외관(130)은 중공의 강관이며, 일단은 자유단이고, 타단에는 제 1 내관(150)이 삽입된다. 제 1 외관(130)은 차량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배향되며, 중간영역에는 제 1, 2 브라켓(110, 120)이 용접으로 고정된다. 제 1 외관(130)은 약 1 m의 길이 및 60 ~ 70 mm의 직경을 갖고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약 500 ~ 600 mm 높이에 설치된다.
제 2 외관(140)은 중공의 강관이며, 일단은 자유단이고, 타단에는 제 2 내관(160)이 삽입된다. 제 2 외관(140)은 제 1 외관(130)과 평행하게 이격된 채로 배향되며, 중간영역에는 제 1, 2 브라켓(110, 120)이 용접으로 고정된다. 제 2 외관(140)은 약 1 m의 길이 및 60 ~ 70 mm의 직경을 갖고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약 300 ~ 400 mm 높이에 설치된다.
제 1 내관(150)은 중공의 강관이며, 일단은 제 1 외관(130)의 내부로 삽입되고, 타단은 절곡부(175)와 연결된다. 제 1 내관(150)은 차량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배향된다. 제 1 내관(150)은 약 500 ~ 800 mm의 길이 및 제 1 외관(130)의 내부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예 : 50mm)을 갖고 있다.
제 2 내관(160)은 중공의 강관이며, 일단은 제 2 외관(140)의 내부로 삽입되고, 타단은 절곡부(175)와 연결된다. 제 2 내관(160)은 차량의 길이방향과 평행하도록 배향된다. 제 2 내관(160)은 약 500 ~ 800 mm의 길이 및 제 2 외관(140)의 내부로 끼워맞춤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예 : 50mm)을 갖고 있다.
절곡부(175)는 제 1, 2 내관(150, 160)의 각 타단이 메인프레임(40)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이다.
연결관(170)은 수직으로 배향되며, 상부는 제 1 내관(150)의 절곡부(175)와 용접으로 연결되고, 하부는 제 2 내관(160)의 절곡부(175)와 용접으로 연결된다. 연결관(170)과 절곡부(175)는 충격흡수장치(20)와 배면과 접촉될 수 있다.
도 6은 도 4 중 제 1 외관(130)과 제 1 내관(150) 사이에 설치된 플런저(200)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런저(200)의 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수단은 제 1 외관(130) 내에서 제 1 내관(150)의 위치를 조정한 뒤 고정하기 위한 기계부품이나 구조물이다. 본 발명의 위치고정수단은 일예로 플런저(200)를 도시하고 설명한다. 플런저(200)는 제 1 외관(130)의 타단 근처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플런저(200)는 제 2 외관(140)의 타단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제 1, 2 외관(130, 140)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플런저(200)는 고정너트(230)와 용접을 이용하여 제 1 외관(130)에 설치된다. 플런저(200)의 외면에는 숫나사가 형성되며, 제 1 외관(130)에 나사결합된다. 플런저(200)의 볼(220)은 제 1 내관(150)에 닿으며, 제 1 내관(150)의 요홈(155)에 안착된다. 플런저(200)의 내부에는 볼(220) 및 볼(22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210)이 내장되어 있다.
제 1 내관(150)의 외면에는 복수(예 : 3개 ~ 5개)의 요홈(155)이 관통되거나 함몰되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요홈(155)은 등간격(예: 30mm ~ 50mm)을 형성하며 일렬로 배열된다.
실시예의 동작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100)를 설치한 차량(10)의 일반적인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흡수장치(20)는 L1의 거리만큼 차량(1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작업자는 연결관(170)을 잡아 당겨서 충격흡수장치(20)의 배면에 닿거나 인접하도록 배치한다. 이때 플런저(200)의 볼(220)이 요홈(155)에 안착됨으로써 제 1, 2 내관(150, 160)은 위치가 고정된다.
도 5b는 도 5a의 차량에서 후방충격(30)이 가해졌을 때, 압축되어 축소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충격(30)이 있는 경우, 탈부착장치(25)와 충격흡수장치(20)가 동시에 변형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이 때, 도 5a에 도시된 충격이 없는 일반적인 상태에서의 거리(L1)은 충격으로 압축되어 축소된 거리(L2)로 단축된다. 그리고, 연결관(170), 제 1, 2 내관(150, 160)은 충격흡수장치(20)에 밀려서 제 1, 2 외관(130, 140)의 내부로 진입한다.
충돌 후, 충격흡수장치(20)와 탈부착장치(25)가 다시 원위치로 복원되었을 때, 작업자는 연결관(170)을 다시 잡아 당겨서 충격흡수장치(20)의 배면에 닿거나 인접하도록 배치한다. 이로써, 정면추돌의 경우 측면보호대(100)는 충격 흡수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며, 망가지는 것을 방지하여 수리비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3과 같이 측면 충격(50)이 가해졌을 경우, 제 1, 2 외관(130, 140)과 제 1, 2 내관(150, 160)이 임팩트 바(Impact bar)처럼 충격을 분산하여 지지하게 된다. 제 1, 2 외관(130, 140)과 제 1, 2 내관(150, 160)이 변형되면서 전달되는 충격력은 제 1, 2 브라켓(110, 120)을 통해 메임프레임(40)에 전달된다. 그리고, 제 1, 2 외관(130, 140)과 제 1, 2 내관(150, 160)은 측면 충돌한 차량(가해 차량)이 작업차량(10)의 하부로 진입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도 한다. 이를 통해 가해 차량의 운전자가 입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 보호장치(100)를 설치한 고속도로 2.5톤 작업차량(10)의 후면 사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추돌 뿐만 아니라 측면 추돌에 대해서도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차량,
12 : 전면,
14 : 후면,
16 : 적재함,
18 : 차륜,
20 : 충격흡수장치,
25 : 탈부착장치,
30 : 후방충격,
40 : 메인프레임,
50 : 측면 충격,
100 : 측면보호장치,
110 : 제 1 브라켓,
120 : 제 2 브라켓,
130 : 제 1 외관,
140 : 제 2 외관,
150 : 제 1 내관,
155 : 요홈,
160 : 제 2 내관,
170 : 연결관,
175 : 절곡부,
200 : 플런저,
210 : 스프링,
220 : 볼,
230 : 고정너트,
L1 : 충격이 없는 일반적인 상태에서의 거리,
L2 : 충격으로 압축되어 축소된 거리.

Claims (10)

  1. 상호 이격된 채로, 각각의 일단이 차량(10)의 메인프레임(40)에 고정되는 제 1, 2 브라켓(110, 120);
    상기 제 1, 2 브라켓(110, 120)의 타단에 고정되고, 상기 차량(10)의 길이방향으로 정렬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제 1, 2 외관(130, 140);
    일단이 상기 제 1 외관(13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 1 내관(150);
    일단이 상기 제 2 외관(140)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제 2 내관(160);
    상기 제 1 내관(150)의 타단과 상기 제 2 내관(160)의 타단을 연결하는 연결관(170);
    상기 차량(10)의 후면(14)에는 후방충격(30)을 흡수하기 위한 충격흡수장치(20); 및
    상기 충격흡수장치(20)를 상기 후면(14)에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탈부착장치(25)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170)이 상기 충격흡수장치(20)에 닿거나 인접하도록, 상기 제 1, 2 내관(150, 160)이 이동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브라켓(110, 120)은 상기 메인프레임(40) 중 상기 차량(10)의 후면(14)에 인접하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관(130) 내에서 상기 제 1 내관(150)의 위치를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제 1 내관(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요홈(155);
    상기 제 1 외관(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외관(130)을 통해 상기 요홈(155)에 안착 가능한 볼(220)과 스프링(210)을 갖는 플런저(200); 및
    상기 플런저(200)를 상기 제 1 외관(130)에 고정하는 고정너트(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70)의 일단은 절곡된 채로 상기 제 1 내관(150)의 타단과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연결관(170)의 타단은 절곡된 채로 상기 제 2 내관(160)의 타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70)의 일단과 타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40)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브라켓(110, 120)은 상기 메인프레임(40)에서 상기 제 1, 2 외관(130, 140)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이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96652A 2021-07-22 2021-07-22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KR102476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652A KR102476847B1 (ko) 2021-07-22 2021-07-22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6652A KR102476847B1 (ko) 2021-07-22 2021-07-22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6847B1 true KR102476847B1 (ko) 2022-12-12

Family

ID=8439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6652A KR102476847B1 (ko) 2021-07-22 2021-07-22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68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910A (ko)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구조
KR100394795B1 (ko) 2001-03-22 2003-08-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측면 충격 흡수용 완충 장치
KR20050118129A (ko) * 2005-11-04 2005-12-15 주식회사 세정실업 차량의 측면 보호용 가드
JP2013103623A (ja) * 2011-11-14 2013-05-30 Nippon Fruehauf Co Ltd セミトレーラのサイドバンパ
KR20200142679A (ko) 2019-06-13 2020-12-23 신민철 주머니가 달린 양말
KR102262817B1 (ko) * 2020-02-17 2021-06-09 합자회사 대광씨엠에스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6910A (ko) 1996-12-30 1998-09-25 김영귀 차량의 측면 충격흡수구조
KR100394795B1 (ko) 2001-03-22 2003-08-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측면 충격 흡수용 완충 장치
KR20050118129A (ko) * 2005-11-04 2005-12-15 주식회사 세정실업 차량의 측면 보호용 가드
JP2013103623A (ja) * 2011-11-14 2013-05-30 Nippon Fruehauf Co Ltd セミトレーラのサイドバンパ
KR20200142679A (ko) 2019-06-13 2020-12-23 신민철 주머니가 달린 양말
KR102262817B1 (ko) * 2020-02-17 2021-06-09 합자회사 대광씨엠에스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0737B2 (ja) 車体バンパー構造
CN103802773A (zh) 具有前防撞梁侧向载荷传递构件的车辆
KR101691110B1 (ko) 분산된 충격흡수구조를 갖는 프런트 범퍼 시스템
CN105398411A (zh) 一种汽车保险杠
CN104442648A (zh) 吸能式保险杠
JPH08188174A (ja) 車両の衝突緩衝装置
CN210437125U (zh) 一种新型货车尾部两级式防护栏
KR102082861B1 (ko) 칸막이 지지대의 후퇴 저항수단이 구비된 차량 충격흡수장치
CN105270474A (zh) 一种汽车的前防撞梁总成
RU24165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гашения удара
KR102476847B1 (ko)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KR20100046560A (ko) 차량의 범퍼 충격흡수장치
KR101546292B1 (ko) 차량용 범퍼빔의 충격흡수장치
CN206031267U (zh) 一种汽车撞击缓冲安全装置
CN110549972B (zh) 用于汽车的碰撞吸能装置及汽车
KR100978216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0579875B1 (ko) 범퍼 스테이 및 이를 적용한 자동차용 범퍼 어셈블리
US7484780B2 (en) Bumper beam for automobile
KR101547279B1 (ko) 차량용 범퍼빔 유닛
KR101345168B1 (ko) 차량용 범퍼 빔 유닛
CN218287657U (zh) 一种汽车后防撞梁总成
CN216184974U (zh) 一种车辆后部防护装置
CN220114577U (zh) 一种汽车前保险杠横梁结构
KR101523851B1 (ko) 충격흡수 및 회피 구조를 갖는 사이드멤버
KR101167270B1 (ko) 자동차용 범퍼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