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103B1 - 흡수식 냉동장치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103B1
KR100222103B1 KR1019960040869A KR19960040869A KR100222103B1 KR 100222103 B1 KR100222103 B1 KR 100222103B1 KR 1019960040869 A KR1019960040869 A KR 1019960040869A KR 19960040869 A KR19960040869 A KR 19960040869A KR 100222103 B1 KR100222103 B1 KR 100222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osion inhibitor
absorbent liquid
holding
absorp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409A (ko
Inventor
가츠히토 이께다
가츠야 오오시마
가즈미 야마모토
노리오 우에도노
Original Assignee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토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이토 스스무
Publication of KR970016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1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장기간에 걸쳐서 부식억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고체의 부식억제제를 흡수식 냉동장치내에 넣어도, 부식억제제에 의하여 오리피스등이 막히는 등의 순환장해를 초래하지 않도록 한다.
[해결수단]
흡수기 하부의 유출파이프(6) 접속부분은, 하측으로 돌출부(6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63)에 정제형상으로 굳힌 부식억제제(8)를 배치하고, 그 위에 메시를 이용한 유출파이프(6)의 필터(7)를 부착함으로써, 상기 필터(7)는 부식억제제(8)를 돌출부(63)내에 유지시키는 유지부(80)가 된다. 부식억제제(8)가 유지되는 부위는 흡수액과 접촉하지만, 흡수액의 유속이 느리므로 흡수액의 흐름에 의한 부식억제제(8)의 침식을 억제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서 부식억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부식억제제(8)는 유지부(80)에 의하여 항상 돌출부(63)내에 유지되므로, 부식억제제(8)가 흡수액의 순환경로를 막는 등의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흡수식 냉동장치
제1도는 흡수식 냉동장치를 이용한 냉난방장치의 개념도(실시예 1).
제2도는 흡수기 저부의 단면도(실시예 1).
제3도는 흡수기 저부의 사시도(실시예 1).
제4도는 흡수기 저부의 요부사시도(실시예 2).
제5도는 수동밸브의 단면도(실시예 2).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온재생기 2 : 저온재생기
3 : 흡수기 4 : 증발기
5 : 응축기 6 : 유출파이프
7 : 필터 8 : 부식억제제
30 : 증발·흡수 케이스 31 : 냉각코일
41 : 증발코일 80 : 유지부
81 : 메시 84 : 흡수액 투입수단
88 : 필터 100 : 흡수식 냉동장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브롬화리튬등의 수용액을 흡수액으로 이용한 흡수식 냉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흡수식 냉동장치에서는 부식성이 높은 브롬화리튬 수용액을 흡수액으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액에 부식억제제(inhibitor)를 용해시켜서 10년 이상의 부식억제효과를 얻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종래의 흡수식 냉동장치에서는, 분말상의 부식억제제를 흡수액에 섞어서 사용하였다. 부식억제제는 경시적(經時的)으로 소비되므로, 정비없이 장기간에 걸쳐 부식억제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다량의 부식억제제를 혼입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한꺼번에 분말상의 부식억제제를 다량으로 혼입하면, 용해되지 않은 부식억제제가 흡수액유로에 장착된 오리피스 등을 막히게 하여 흡수액의 순환장해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식억제제의 막힘에 의한 흡수액의 순환장해를 방지할 수 있는 흡수식 냉동장치의 제공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수단은, 브롬화리튬 수용액을 흡수액으로 사용하는 흡수식 냉동장치에 있어서, 흡수액과 접촉되는 부분에 부식억제기능을 가진 고체의 부식억제제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부식억제제와 흡수액을 접촉시키는 유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수단은, 상기 고체의 부식억제제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부식억제제와 흡수액을 접촉시키는 유지부는 흡수기 저부의 저농도흡수액 출구근방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수단은, 상기 유지부에 유지된 상기 부식억제제는 정제(錠劑)혹은 분말상이고, 다공성 캡슐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수단은, 상기 유지부는 저농도흡수액의 출구를 덮는 필터와 공통부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수단은, 상기 부식억제제는 분말상임과 아울러, 상기 유지부는 분말상의 상기 부식억제제를 유지하는 메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수단은, 상기 유지부는 흡수식 냉동사이클내에 흡수액을 투입하는 흡수액 투입수단에 접속되고, 상기 흡수액 투입수단으로부터 투입된 분말상의 상기 부식억제제가 상기 유지부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수단은, 상기 유지부는 흡수액이 흐르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부식억제제의 통과를 막는 수단이 상기 부식억제제를 유지하는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작용·효과]
본 흡수식 냉동장치에서는, 유지부에 유지된 부식억제제가 흡수액에 접촉되어 흡수액 중에 용해되어 가므로, 흡수액 중에는 항상 포화한도내의 부식억제제가 용해되어 있다. 또, 부식억제제는 유지부에 의하여 유지되어 흡수식 냉동장치의 사이클내를 순환하지 않으므로, 순환로내의 오리피스등이 부식억제제에 의하여 막힐 우려가 없다.
즉, 부식억제제의 막힘에 의한 흡수액의 순환장해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장기간에 걸쳐 부식억제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한 제2수단에 의하면, 부식억제제가 유속이 느린 흡수기 저부의 저농도흡수액 출구근방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부식억제제가 흡수액 흐름에 의하여 급속하게 침식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한 제3수단에 의하면, 부식억제제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한 제4수단에 의하면, 부식억제제의 유지에 필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 부식억제제는 흡수액 유속이 느린 위치에 유지되므로, 부식억제제의 침식방지효과가 크다.
상기한 제5수단에 의하면, 분말상의 부식억제제가 이용되므로 부식억제제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한 제6수단에 의하면, 장치의 제조공정에서 부식억제제를 흡수액 투입수단으로부터 흡수식 냉동사이클내로 투입함으로써 부식억제제가 유지부에 유지되므로, 흡수식 냉동사이클내로의 부식억제제 투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제7수단에 의하면, 부식억제제의 유지에 필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필터 이외에 별도의 부식억제제 유지부를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유지부에서 유출된 고체의 부식억제제를 필터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로 형성된 유지부에서 유출된 부식억제제에 의하여 흡수액의 순환장해가 발생할 문제는 없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실시예 1와 실시예 2 및 변형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제1도는 흡수식 냉동장치(100)를 나타내고, 냉각탑(CT)을 구비함과 아울러 실내기(CU)가 부설되어 냉방·난방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흡수식 냉동장치(100)는 고온재생기(1) 및 저온재생기(2)를 구비하고 있으며, 고온재생기(1)의 하측에는 가열원으로서의 가스버너(B)가 배치되어 있다. 저온재생기(2)의 외측둘레에는 흡수기(3) 및 증발기(4)가 설치되어 있고, 증발기(4)의 상측에는 응축기(5)가 설치되어 있다.
고온재생기(1)는 가스버너(B)에 의하여 가열되고, 내부의 저농도흡수액을 비등시키는 가열탱크(11)와, 이 가열탱크(11)의 상측에서 위쪽으로 연장되어 냉매증기와 이 냉매증기의 증발에 의하여 농화된 중농도흡수액을 분리하는 중농도흡수액 분리통(12)을 가지고 있다. 중농도흡수액 분리통(12)의 외측둘레에는 냉매증기를 회수하는 종형(從型)원통형상의 기밀성(機密性) 냉매회수탱크(10)가 설치되어 있다.
저온재생기(2)는 냉매회수냉크(10)의 외측둘레에 중심이 치우쳐서 설치된 종형원통형상의 저온재생기 케이스(20)를 가지고 있다. 저온재생기 케이스(20)는 천장에 냉매증기출구(21)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측이 중농도흡수액 분리통(12)의 저부(121)와 중농도흡수액 유로(L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저온재생기 케이스(20)내에는 압력차에 의하여 열교환기(H)를 통해 중농도흡수액이 공급되고, 냉매회수탱크(10)의 외측벽을 열원으로 재비등하여 냉매증기와 고농도흡수액으로 분리된다.
저온재생기 케이스(20)의 외측둘레에는 종형원통형상의 기밀성 증발·흡수 케이스(30)가 동심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증발·흡수 케이스(30)의 상측에는 응축기 케이스(50)가 구획·형성되어 있다. 냉매회수탱크(10), 저온재생기 케이스(20), 증발·흡수 케이스(30)는 저판(底板:13)에 일체로 용접되어 냉각기 본체(200)를 형성하고 있다. 저온재생기 케이스(20)의 상부는 기액(氣液)분리부(22)로 되어 있고, 냉매증기 출구(21) 및 틈(5A)을 통하여 응축기 케이스(50)내와 연통되어 있다.
흡수기(3)는 증발·흡수 케이스(30)내의 내측부분에 종형원통형상으로 감아서 형성한 냉각코일(31)을 배치하고, 그 상측에 상기 냉각코일(31)에 고농도흡수액을 살포하기 위한 고농도흡수액 살포구(32)를 장착하여 이루어진다. 냉각코일(31)내에는 냉각탑(CT)에서 냉각된 배열용(排熱用) 냉각수가 흐르고 있다.
저온재생기(2)의 고농도흡수액 받이부(23)는 열교환기(H)를 통과하는 고농도 흡수액 유로(L2)에 의해 고농도흡수액 살포구(32)에 연결되어 있다. 고농도흡수액 살포구(32)에는 고농도흡수액이 압력차에 의하여 유입되고, 유입된 고농도흡수액은 냉각코일(31)의 상단에 살포되고, 냉각코일(31)의 표면에 부착하여 막형상을 이루며 중력의 작용으로 하측으로 흘러간다.
흡수기(3)의 저부(33)와 고온재생기(1)의 저부는 열교환기(H) 및 흡수액 펌프(P1)가 장착된 저농도흡수액 유로(L3)에 의해 연결된다. 증발기(4)의 저부(43)와 중농도흡수액 분리통(12)의 저부(121)는 난방용흡수액 유로(L4)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난방용흡수액 유로(L4)에는 난방용 전자밸브(V4)가 개장되어 있다.
저농도흡수액 유로(L3)의 저판(13)으로의 연결부분은,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농도흡수액 유로(L3)를 구성하는 파이프(6)의 단부(61)가 끼워 넣어진 끼움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움구멍(62)의 둘레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63)로 되어 있다. 이 돌출부(63)의 외측둘레에는 나사(64)가 용접되어 있고, 부착·용접시에 발생한 내부의 먼지가 펌프(P1)에 흡입되어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7)가 부착되어 있다. 이 필터(7)는, 예를 들어 20메시의 금속망이 사용되고, 환형상 누름판(71)과 너트(7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또, 돌출부(63)를 덮으며 부착되는 필터(7)는, 흡수액 중에 혼입되는 먼지 등을 포착하는 필터기능 이외에, 정제형상으로 굳힌 산화안티몬, 아황산나트륨 등 부식억제기능을 가진 부식억제제(8)를 흡수기(3) 저부(33)의 돌출부(63)내에 유지시키는 유지부(80)의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63)에 정제형상으로 굳힌 부식억제제(8)를 배치하고, 그 위에서 메시형상의 필터(7)를 부착하여 부식억제제(8)를 흡수액과 접촉하는 부위에서 유지시킴으로써, 부식억제제(8)와 흡수액을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필터(7)에 의하여 부식억제제(8)가 유지되는 흡수기(3) 저부(33)의 끼움구멍(62) 근방(저농도흡수액의 출구근방에 해당한다)에는, 흡수식 냉동장치(100)의 운전중에는 저농도흡수액이 대류하고 있어서 부식억제제(8)는 포화용해농도가 될 때까지 저농도흡수액에 용해되므로 장기간에 걸쳐서 흡수액 중의 부식억제제 농도를 최대한도로 유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지부(80)가 형성되어 있는 흡수기(3) 저부(33)는 흡수액펌프(P1)의 흡인에 의하여 유속이 비교적 느린 흡수액 흐름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유지부(80)는 출구 주위에 형성된 돌출부(63)에 형성되므로 부식억제제(8)가 흡수액 흐름에 잘 침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 기존의 필터(7)내의 부식억제제(8)를 유지함으로써, 부식억제제(8)에 흡수액을 항상 접촉시킬 수 있고, 또한 별도로 유지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가 있다.
부식억제제(8)는 초벌구이 도자기제등의 다공성 캡슐내에 분말상의 부식억제제를 수용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 메시형상 필터(7)의 촘촘한 정도를 분말지름보다 작게하여 부식억제제(8)를 분말상으로 하여도 된다. 또한, 유지부(80)는 흡수액 유로의 다른 부분에 형성해도 되고, 유지부(8)에 부식억제제(8)를 유지시키는 유지수단은 필터(7) 이외에, 예를 들어 흡수액을 부식억제제(8)에 항상 접촉시키기 위한 통수구멍이 있는 덮개를 사용할 수 있다.
증발기(4)는 증발·흡수 케이스(30)내의 냉각코일(31) 외측둘레에 원통형상의 칸막이벽(40)을 설치하고, 이 칸막이벽(40)의 외측둘레에 내부에 냉열원용 냉온수가 흐르는 종형원통형상의 증발코일(41)을 설치하고, 그 상측에 냉매살포구(42)를 부착하여 이루어진다. 증발코일(41)의 양단은 실내기(CU)에 연결되어 있고, 펌프(P2)에 의하여 실내기(CU)로 냉열원용 냉온수를 순환시킴으로써 공조를 위한 냉열원사이클을 형성하고 있다.
냉매살포구(42)는 냉매액을 증발코일(41) 위에 적하시킨다. 적하된 냉매는 표면장력에 의하여 증발코일(41) 표면을 적시고 막형상을 이루며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하측으로 낙하되면서, 저압상태인 증발·흡수 케이스(30)내에서 증발코일(41)로부터 기화열을 빼앗아 증발하고, 증발코일(41)내를 흐르는 냉열원용 냉온수를 냉각시킨다.
응축기(5)는 응축기 케이스(50)의 내부에, 내부에 배열용 냉각수가 흐르는 응축코일(51)을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응축기 케이스(50)는 냉매유로(L5)에 의하여 냉매회수탱크(10)의 저부에 연통됨과 아울러, 상기 냉매증기출구(21) 및 틈(5A)을 통하여 저온재생기(2)와 연통되어 있고, 모두 압력차에 의하여 냉매가 공급된다. 공급된 냉매는 응축코일(51)에 의하여 냉각되어 액화한다.
응축기(5)의 하부와 증발기(4)의 증발코일(41)의 상측에 설치된 냉매살포구(42)는 냉매유로(L6)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저온재생기(2)의 고농도흡수액 받이부(23)는 열교환기(H)를 통하는 고농도흡수액 유로(L2)에 의하여 고농도흡수액 살포구(32)에 연결되어 있다.
냉각코일(31)은 응축코일(51)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냉각탑(CT)과 냉각수순환로(34)에 접속되어 있으며, 펌프(P2)에 의하여 냉각수가, 냉각탑(CT)냉각코일(31)응축코일(51)냉각탑(CT)의 순으로 순환되고 있다. 흡수액은 고온재생기(1)저온재생기(2)흡수기(3)흡수액펌프(P1)고온재생기(1)의 순으로 순환된다.
[실시예 2]
제4도 및 제5도는 실시예 2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4도는 흡수기 저부의 요부사시도이다.
상기 실시예 1에서는 고체의 부식억제제(8)의 일례로서 정제형상으로 굳힌 부식억제제(8) 및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를 다공성 캡슐내에 수용하여 유지부(80)에 유지시키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실시예 2에서는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를 이용함과 아울러, 유지부(80)로서 그물코가 가는 메시{81;이 메시(81)의 촘촘한 정도는 부식억제제(8)의 분말지름보다 작은, 예를 들면50}를 이용한 유지용기를 이용하고, 이 용기형상의 유지부(80)내에 분말상의 부식억제제를 유지하여 흡수액과 분말상 부식억제제(8)를 메시(81)를 통하여 접촉시키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의 유지부(80)의 구체적인 구성은, 스테인리스제의 메시(81)로 형성된 저부를 가진 용기형상의 부식억제제 포켓(82)과, 이 부식억제제 포켓(82)을 덮어 일체로 부착시킨 상측이 트인 스테인리스제의 부식억제제 커버(83)로 이루어지고, 이 유지부(80)는 나사(80a)에 의하여 저판(13)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 2의 유지부(80)는 실시예 1와 마찬가지로 흡수기(3)의 저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흡수식 냉동장치(100)의 운전중에도 흡수액의 유속은 비교적 느리므로, 부식억제제(8)가 흡수액 흐름에 의하여 잘 침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 본 실시예 2의 유지부(80)는 흡수식 냉동장치(100)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흡수식 냉동사이클내에 흡수액을 투입시키기 위한 흡수액 투입수단(84)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흡수액 투입수단(84)에서 투입된 흡수액이 유지부(80)를 통과할 때, 흡수액과 함께 투입된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가 유지부(80)내에 유지된다.
흡수액 투입수단(84)은,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발·흡수 케이스(30)를 관통하는 관통파이프(85)와, 흡수액 및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를 투입하는 투입구멍(86)과, 관통파이프(85)의 상단트인구멍(85a)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하단에 상단트인구멍(85a)을 개폐시키는 밸브체(87a)를 구비한 수동밸브(87)로 구성되어 있고, 관통파이프(85)의 내단은 유지부(80)내에서 트여있다.
흡수식 냉동장치(100)의 조립시, 흡수식 냉동사이클내를 진공으로 한 상태에서, 깔대기형상으로 형성된 흡수액 공급수단(도시 생략)을 투입구멍(86)에 접속하여 수동밸브(87)를 개방함으로써, 흡수액 공급수단을 통하여 들어간 흡수액 및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를 흡수식 냉동사이클내에 들어가게 한다. 그리고, 흡수액 공급수단을 통하여 들어간 흡수액 및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가 규정량 흡수식 냉동사이클내에 들어가면, 수동밸브(87)를 폐쇄시킴과 아울러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투입구(86)에 블랭크캡(86a)을 설비함으로써 흡수식 냉동사이클 내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킨다.
관통파이프(85)를 통하여 흡수식 냉동사이클내에 공급된 흡수액은 메시(81)를 통하여 유지부(80)의 외부로 유출된다. 한편, 흡수액과 함께 흡수식 냉동사이클내로 공급된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는 메시(81)에서 유출되지 않고 유지부(80)내에 유지된다.
한편, 저판(13)에 있어서 유출파이프(6)의 접속부분(흡수액이 흐르는 유로)에는 흡수액 중에 혼입되는 먼지 등을 포착함과 아울러, 녹아서 작아진 메시(81)를 통화하는 분말상 부식억제제(8)의 통과를 저지함으로써,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를 유지하는 제2유지부로서도 기능하는 필터(8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88)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필터(88)는 저판(13)의 하부에 부착된 필터 케이스(89)의 내측에 배치되어 유출파이프(6)에 접속되고, 스테인리스메시{90;이 메시(90)의 촘촘한 정도는 부식억제제(8)의 분말지름 보다 작은, 예를 들어60}를 구비한 원통형상 필터(91)로 구성되어 있고, 원통형상 필터(91)의 상단은 흡수기(3)내에 있어서 흡수액의 액면보다 상측에서 트여있다.
필터(88)를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유지부(80)에서 유출된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를 필터 케이스(89)와 원통형상 필터(91) 사이의 공간에 유지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필터 케이스(89)와 원통형상 필터(91) 사이의 공간이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와 먼지 등으로 막히더라도 저판(13) 상측의 원통형상 필터(91)를 통하여 흡수액이 유출파이프(6)로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는, 부식억제제(8)를 정제형상으로 형성한 경우나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를 다공성 캡슐내에 봉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를 섞은 흡수액을 흡수식 냉동사이클내에 투입함으로써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가 유지부(80)내에 유지되므로, 흡수식 냉동사이클내로 부식억제제(8)의 투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유지부(80) 이외에 제2유지부로서 기능하는 필터(88)를 형성하여 유지부(80)에서 유출된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를 필터(88)에 의하여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부(80)에서 유출된 부식억제제에 의한 흡수액의 순환장해를 초래하지 않는다.
[변형예]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유지부(80) 이외의 제2유지부로서 기능하는 필터(88)를 흡수기(3) 저부에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제2유지부로서 기능하는 필터(88)를 흡수기(3) 저부에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반대로, 유지부(80)를 폐지하고, 흡수기(3) 저부에 형성한 필터(88;유지부)만으로 분말상의 부식억제제를 유지시켜도 된다. 이 경우에는 필터 케이스(89)와 원통형상 필터(91) 사이의 공간에 분말상의 부식억제제(8)가 유지된다.

Claims (10)

  1. 브롬화리튬 수용액을 흡수액으로 사용하는 흡수식 냉동장치에 있어서, 흡수액과 접촉되는 부위에, 부식억제기능을 가진 고체의 부식억제제(8)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부식억제제(8)와 흡수액을 접촉시키는 유지부(8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의 부식억제제(8)를 유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부식억제제(8)와 흡수액을 접촉시키는 유지부(80)는 흡수기(3) 저부의 저농도흡수액 출구근방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80)에 유지된 상기 부식억제제(8)는 정제(錠劑) 혹은 분말상이고, 다공성 캡슐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80)는 저농도흡수액의 출구를 덮는 필터(7,88)와 공통부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식억제제(8)는 분말상임과 아울러, 상기 유지부(80)는 분말상의 상기 부식억제제(8)를 유지하는 메시(8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80)는 흡수식 냉동사이클내에 흡수액을 투입하는 흡수액 투입수단(84)에 접속되고, 상기 흡수액 투입수단(84)으로부터 투입된 분말상의 상기 부식억제제(8)가 상기 유지부(80)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80)는 저농도흡수액의 출구를 덮는 필터(7,88)와 공통부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장치.
  8. 제1항, 제2항, 제6항,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80)는 흡수액이 흐르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부식억제제(8)의 통과를 막는 수단이 상기 부식억제제(8)를 유지하는 필터(7,8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80)는 흡수액이 흐르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부식억제제(8)의 통과를 막는 수단이 상기 부식억제제(8)를 유지하는 필터(7,8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80)는 흡수액이 흐르는 부위에 형성되고, 상기 부식억제제(8)의 통과를 막는 수단이 상기 부식억제제(8)를 유지하는 필터(7,8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동장치.
KR1019960040869A 1995-09-22 1996-09-19 흡수식 냉동장치 KR100222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430995 1995-09-22
JP95-244309 1995-09-22
JP96-226934 1996-08-28
JP8226934A JPH09145205A (ja) 1995-09-22 1996-08-28 吸収式冷凍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409A KR970016409A (ko) 1997-04-28
KR100222103B1 true KR100222103B1 (ko) 1999-10-01

Family

ID=2652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869A KR100222103B1 (ko) 1995-09-22 1996-09-19 흡수식 냉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9145205A (ko)
KR (1) KR1002221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566B1 (ko) * 2016-03-21 2016-08-26 디에스중공업(주)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566B1 (ko) * 2016-03-21 2016-08-26 디에스중공업(주)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409A (ko) 1997-04-28
JPH09145205A (ja) 199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1919B1 (en) Refrigeration system with purge using enrivonmentally-suitable chiller refrigerant
US4007601A (en) Tubular sublimator/evaporator heat sink
CN101194133A (zh) 满液式蒸发器
JPS60259877A (ja) 冷媒吸引アキユミユレータ
KR100222103B1 (ko) 흡수식 냉동장치
JP6055097B2 (ja) 吸収式冷凍機
US3257817A (en) Refriger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40079372A (ko) 흡수 냉각기
KR101334892B1 (ko) 수액기 및 이를 이용한 폐수 열 회수시스템
KR100599991B1 (ko) 흡수식 냉동기
JP4132655B2 (ja) 吸収式冷凍装置
US3279211A (en) Refrigerant evaporation
JP4139067B2 (ja) 吸収式冷凍装置
JPH0548033Y2 (ko)
JPH0238023Y2 (ko)
JP3435614B2 (ja) 吸収式冷凍機のガス抽気装置
KR100199251B1 (ko) 흡수식 냉동장치
JPH02217770A (ja) 直接接触式製氷蓄熱槽
US3490249A (en) Liquid carbonating apparatus
JP3077977B1 (ja) 吸収冷凍機
JP3348144B2 (ja) 吸収式冷凍装置
JP2568802B2 (ja) 吸収式冷凍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44356B2 (ja) 二重効用吸収式冷凍機
JPH07190553A (ja) 吸収式冷凍装置
JPH08159608A (ja) 吸収冷凍機における蒸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