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899A -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 Google Patents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9899A
KR20150019899A KR20130097338A KR20130097338A KR20150019899A KR 20150019899 A KR20150019899 A KR 20150019899A KR 20130097338 A KR20130097338 A KR 20130097338A KR 20130097338 A KR20130097338 A KR 20130097338A KR 20150019899 A KR20150019899 A KR 20150019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tacle
limit switch
cylinder portion
forklift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9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9899A/ko
Publication of KR20150019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8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9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바퀴와 이격되도록 차체 외부에 설치되어, 장애물 접촉시 발생된 외압에 의해 수축 운동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장애물 감지부의 수축 운동에 따라 제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의한 제동 신호에 따라 지게차를 제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는, 바퀴와 이격되어 설치된 장애물 감지부를 통해 장애물 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 감지부 동작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를 통해 제동 신호를 발생시켜 자동 제동이 가능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는 장애물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지게차의 운행이 계속되어 발생하는 협착 사고와 장비 파손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Forklift having an obstacle recognition system for braking}
본 발명은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지게차는 조선, 토목, 건설 분야 등 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산업용 차량이다. 이러한 지게차는 고중량의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 쌍의 포크를 구비하여, 고중량의 화물을 근거리로 이동하거나 다른 차량에 적재 및 하차하기 적합하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작업장 내에서 반복적으로 이동하며 화물의 적재 및 하차 작업을 실시한다. 지게차의 운행 시, 차체 구조상 후방의 낮은 장애물을 확인하기 어려워 후진 충돌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지게차의 후진 충돌 사고는 협착 사고로 이어져 인명 피해를 유발하거나, 장비 파손을 유발하여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행 시 충돌로 인한 협착 사고 및 장비 파손을 줄일 수 있는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는 바퀴와 이격되도록 차체 외부에 설치되어, 장애물 접촉시 발생된 외압에 의해 수축 운동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장애물 감지부의 수축 운동에 따라 제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의한 제동 신호에 따라 지게차를 제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후방을 향하도록 뒷바퀴의 차축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압 및 복원력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 수축하고 복원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에 결합되어 상기 뒷바퀴를 포함한 후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장애물 접촉시 발생된 외압을 상기 실린더부에 가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퍼가 상기 장애물 접촉시 발생된 외압에 의해 밀림에 따라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턴-온되고, 상기 버퍼가 상기 실린더부의 복원력에 의해 밀림에 따라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턴-오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실린더부 상에 장착되어 상기 버퍼에 접촉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을 케이블 타이로 묶어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차축 케이스에 결합되어 형성된 케이블 고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는, 바퀴와 이격되어 설치된 장애물 감지부를 통해 장애물 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 감지부 동작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를 통해 제동 신호를 발생시켜 자동 제동이 가능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는 장애물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지게차의 운행이 계속되어 발생하는 협착 사고와 장비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애물 감지부 및 리미트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지게차 후면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장애물 감지부에 장애물이 비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장애물 감지부에 장애물이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100)는 운전실 등을 포함하는 차체(101), 차체(101)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포크(103), 차체(101)의 전후좌우에 설치된 바퀴(105), 바퀴(105)와 이격되도록 차체(101) 외부에 설치된 장애물 감지부(110), 장애물 감지부(110)의 동작에 따라 온/오프 제어되는 리미트 스위치(도 2의 115) 및 지게차(100)의 제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21)를 포함한다.
포크(103)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다. 포크(103)는 화물 하부에 끼워져 화물을 적재한 다음 화물을 들어올리고, 다른 장소로 이동 후 화물을 하역할 수 있다.
바퀴(105)는 차축(미도시)에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으며 차체(101)를 지지한다. 바퀴(105)의 차축은 차축 케이스(131)에 내장될 수 있다. 지게차(100)의 구조상 포크(103)가 전방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큰 하중이 앞바퀴에 집중된다. 이에 따라, 앞바퀴는 구동 기능을 수행하고, 뒷바퀴는 조향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애물 감지부(110)는 지게차(100)의 구조상 장애물을 감지하기 어려운 지게차(100)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장애물 감지부(110)는 협착 사고가 빈번한 뒷바퀴 부분에 설치되어 협착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장애물 감지부(110)는 장애물 접촉시 발생된 외압에 의해 수축될 수 있으며, 복원력에 의해 복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리미트 스위치(도 2의 115)와 함께 장애물 감지부(11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21)는 케이블(141)을 통해 리미트 스위치(도 2의 115)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21)는 리미트 스위치(도 2의 115)에서 발생된 제동 신호에 따라 지게차(100)의 운행을 제어할 수 있다. 지게차(100)의 운행 제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및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에 더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100)는 차축 케이스(131)에 결합되어 형성된 케이블 고정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고정대(117)에 케이블 타이로 케이블(141)을 고정함으로써, 케이블(141)이 바퀴(105)에 휘감기거나, 바닥에 끌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애물 감지부 및 리미트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지게차 후면 일부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애물 감지부(110)는 후방을 향하도록 뒷바퀴(105)의 차축 케이스(131)에 설치되어 축 방향을 따라 수축하거나 복원되는 실린더부(113) 및 실린더부(113)에 결합되어 장애물 접촉시 발생된 외압을 실린더부(113)에 가하는 버퍼(111)를 포함한다.
실린더부(113)는 축 방향이 지게차의 후방을 향하도록 볼트 체결 등의 결합 방식을 통해 차축 케이스(13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부(113)는 차축 케이스 양 단에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부(113)는 외압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 수축 운동할 수 있고, 외압 제거시 복원력에 의해 복원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실린더부(113)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에 결합된 피스톤을 포함하는 스프링 실린더 일 수 있다.
버퍼(111)는 지게차의 후방을 향하는 실린더부(113)의 일면에 볼크 체결 등의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버퍼(111)는 뒷바퀴(105)를 포함한 지게차(100)의 후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뒷바퀴(105) 근처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뒷바퀴(105)에 장애물이 충돌되는 것을 버퍼(111)가 차단하여 뒷바퀴(105)에 장애물이 협착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버퍼(111)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곡선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퍼(111)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버퍼(111)에는 실린더부(113)에 고정되도록 장착된 리미트 스위치(115)의 레버(115L)가 접촉된다. 리미트 스위치(115)의 레버(115L)는 장애물 감지부(110) 중 버퍼(111)의 동작을 감지하여 제동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은 장애물 감지부에 장애물이 비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장애물 감지부에 장애물이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장애물 감지부(110)의 동작을 리미트 스위치(115)를 통해 감지하여 제동되는 지게차(100)의 작동 원리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100)의 후진시 사람, 물체 등의 장애물이 지게차(100)의 후면에 배치된 버퍼(111)에 충돌되지 않는 경우, 버퍼(111)는 리미트 스위치(115)와 실린더부(113)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115)는 접점이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여 오프 상태가 되어 제동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그 결과, 지게차(100)의 후진 운행을 연속하여 진행할 수 있다.
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100)의 후진시 장애물이 지게차(100)의 후면에 배치된 버퍼(111)에 충돌된 경우, 버퍼(111)는 리미트 스위치(115)와 실린더부(113)를 가압하여, 실린더부(113)가 수축되고, 리미트 스위치(115)의 레버(115L)가 밀리게 된다. 리미트 스위치(115)의 레버(115L)가 밀리면 리미트 스위치(115)의 접점이 붙어 턴-온 되어 제동 신호가 발생된다. 리미트 스위치(115)로부터 발생된 제동 신호는 케이블(141)을 통해 제어부(121)에 전송되며, 제어부(121)는 지게차(100)의 후진 동작이 정지되도록 동작한다. 그 결과, 지게차(100)의 후진 운행이 정지되어 장애물이 뒷바퀴에 협착되거나, 장애물에 더 큰 충격이 발생하는 문제가 방지된다.
장애물이 지게차(100)의 후면에서 제거되면, 버퍼(111)에 외압을 가하는 요인이 제거되므로 실린더부(113)가 탄성력 등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버퍼(111)가 원위치로 돌아가 도 3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또한, 리미트 스위치(115)는 도 3에 도시된 원위치로 복원되어 턴-오프 상태가 되므로 제동 신호가 차단되어 후진 운행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바퀴(105)와 이격되어 설치된 장애물 감지부(110)를 통해 장애물 접촉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 감지부(110) 동작에 따라 리미트 스위치(115)를 통해 제동 신호를 발생시켜 자동 제동이 가능하다. 이로써, 본 실시예는 장애물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지게차의 운행이 계속되어 발생하는 협착 사고와 장비 파손을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1: 차체 103: 포크
105: 바퀴 110: 장애물 감지부
111: 버퍼 121: 제어부
131: 차축 케이스 141: 케이블
113: 실린더부 115: 리미트 스위치
117: 케이블 고정대 115L: 리미트 스위치의 레버

Claims (5)

  1. 바퀴와 이격되도록 차체 외부에 설치되어, 장애물 접촉시 발생된 외압에 의해 수축 운동하는 장애물 감지부;
    상기 장애물 감지부의 수축 운동에 따라 제동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미트 스위치;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의한 제동 신호에 따라 지게차를 제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감지부는
    후방을 향하도록 뒷바퀴의 차축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압 및 복원력에 의해 축 방향을 따라 수축하고 복원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에 결합되어 상기 뒷바퀴를 포함한 후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장애물 접촉시 발생된 외압을 상기 실린더부에 가하는 버퍼를 포함하는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가 상기 장애물 접촉시 발생된 외압에 의해 밀림에 따라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턴-온되고,
    상기 버퍼가 상기 실린더부의 복원력에 의해 밀림에 따라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턴-오프되는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상기 실린더부 상에 장착되어 상기 버퍼에 접촉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연결된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을 케이블 타이로 묶어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차축 케이스에 결합되어 형성된 케이블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KR20130097338A 2013-08-16 2013-08-16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KR201500198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338A KR20150019899A (ko) 2013-08-16 2013-08-16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7338A KR20150019899A (ko) 2013-08-16 2013-08-16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899A true KR20150019899A (ko) 2015-02-25

Family

ID=52578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7338A KR20150019899A (ko) 2013-08-16 2013-08-16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989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474A (ko) * 2020-06-16 2021-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KR20220087001A (ko) * 2020-12-17 2022-06-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지게차
KR20220104389A (ko) 2021-01-18 2022-07-26 한국도로공사 협착 방지 장치
KR102461814B1 (ko) * 2022-07-14 2022-11-01 에이치씨엠 주식회사 전동 핸드 팔레트 트럭 장착형 안전보호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474A (ko) * 2020-06-16 2021-12-23 현대제철 주식회사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KR20220087001A (ko) * 2020-12-17 2022-06-24 현대제철 주식회사 지게차
KR20220104389A (ko) 2021-01-18 2022-07-26 한국도로공사 협착 방지 장치
KR102461814B1 (ko) * 2022-07-14 2022-11-01 에이치씨엠 주식회사 전동 핸드 팔레트 트럭 장착형 안전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0756B2 (en) Collision mitigation system
KR20150019899A (ko)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US963712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elf-propelled mobile platform
DK179819B1 (en) System for preventing semitrailer collisions with a loading ramp
US10308489B2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means for suppressing and reducing vibrations
KR20120084868A (ko) 감지센서를 구비한 지게차
CN105399014A (zh) 一种防护式叉车控制系统
US20200391709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celerating a vehicle having a front-loading device
CN105399013A (zh) 一种防护式叉车属具
JP5699471B2 (ja) 移載装置およびフォーク用アタッチメント
KR101712518B1 (ko) 지게차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JP2007290817A (ja) 荷崩れ防止装置
KR102360395B1 (ko)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US10611615B2 (en) Floor conveyor
US3942603A (en) Automatic vehicle-stopping structure
KR101651566B1 (ko) 중량물 이동용 차량의 모서리 부위 충돌완화장치
JPS5927314A (ja) 無人荷役作業車両における障害物検出時の運転制御方法
KR101262209B1 (ko)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
JP2012101733A (ja) 衝突被害軽減装置
KR20130138049A (ko) 작업자 보호 시스템
KR20170028966A (ko) 모터 차량 콤비네이션의 의도치 않은 움직임을 방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219906882U (zh) 一种叉货车辆
KR102443502B1 (ko) 파렛트 트럭
KR20120038753A (ko) 차량의 밀림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825446B2 (ja) 自動車事故用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