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209B1 -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 - Google Patents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209B1
KR101262209B1 KR1020100112924A KR20100112924A KR101262209B1 KR 101262209 B1 KR101262209 B1 KR 101262209B1 KR 1020100112924 A KR1020100112924 A KR 1020100112924A KR 20100112924 A KR20100112924 A KR 20100112924A KR 101262209 B1 KR101262209 B1 KR 101262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afety
operation panel
manage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476A (ko
Inventor
남영조
박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
Priority to KR1020100112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209B1/ko
Publication of KR20120051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4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nvertible from one use to a different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2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and additional grou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andcart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차를 후진시키는 과정에서 장애물과 운반차 사이의 관리자가 신체적인 압박을 받아 손상 받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일측에 엔진을 장착하여 마감하는 커버와, 상기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륜과, 상기 엔진이 장착되는 대향 위치의 프레임 상부에 화물을 적재하도록 장착되는 적재함과, 상기 엔진의 전방으로는 주행과 방향전환 등을 위한 다수개의 조작레버를 가지는 조작반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조작반의 하방과 조작반 하측에 위치한 프레임에 운반차가 후진 과정에서 관리자의 신체와 접촉시 운반차의 조작반에 구비되는 운전레버를 정지위치로 전환시켜 운반차를 정지시켜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안전장치는, 조작반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버샤프트의 중앙에 고정되는 상기 레버휠과 연결되어 보행상태의 관리자 신체와 접촉시 운전레버를 정지위치로 전환 시키는 상부안전수단과, 상기 레버휠과 연결되어 넘어진 관리자의 신체와 접촉시 운전레버를 정지위치로 전환 시키는 하부안전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이 ㅌ특징이다.

Description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SAFETY DEVICE HAVING HANDCART}
본 발명은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용도의 화물을 운반하는 데 사용하는 운반차에 적용하여 후진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운전자의 신체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전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차는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공장 내부에서 편리하게 운반하고자 할 경우, 농업현장에서 트랙터와 같은 대형 농기구가 필요없는 소량의 화물을 운반하고자 할 경우, 기타 화물을 단거리 운반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운반차는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작업자의 인력에 의존하는 무동력 운반차와 동력을 장착하여 움직이면서 작업자는 보행하면서 주행 방향과 전,후진 및 속도를 조작반을 통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 운반차로 구분되며, 근자에 들어서는 대부분 작업자의 편의와 더불어 작업의 효율성과 편의를 위하여 동력 운반차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동력 운반차(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의 일측에는 엔진(3)을 장착하여 커버(4)로 마감하고, 상기 엔진(3)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무한궤도 또는 바퀴 타입의 구동륜(5)이 장착된다.
상기 엔진(3)이 장착되는 대향 위치의 프레임(2) 상부에는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6)이 장착되고, 엔진(3)의 전방으로는 주행과 방향전환 등을 위한 다수개의 조작레버(6)를 가지는 조작반(7)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동력 운반차의 경우 작업자가 보행하면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주행속도는 느린 보행에서 빠른 보행 정도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와 같은 느린 속도를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운반차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작업자가 조작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진하는 경우에는 화물의 적재 유,무에 관계없이 전방 시계가 충분하게 확보되기 때문에 조작에도 큰 문제가 없으며, 안전사고의 우려 또한 크게 없으나, 운반차를 후진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운반차와 충,추돌을 일으키는 것은 물론, 운반차에 깔리게 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는, 후진하는 과정에서 미처 조작레버를 정지위치로 전환하지 못할 경우 운반차는 계속하여 후진하게 되고, 후진위치에 길이 계속하여 있지 않고 길이 벽이나 기타 장애물에 의하여 막혀있는 상태 또는 낭떠러지가 있을 경우에는 작업자는 후진하는 운반차에 의하여 밀려 압상(壓傷) 또는 낙상과 같은 중대한 신체적인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은 물론, 심할 경우에는 사망에까지 이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후진하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돌이나 기타 장애물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지 못하고 발에 걸려 넘어질 경우에는 주위에 다른 작업자가 없는 경우에는 후진하는 운반차에 의하여 작업자가 심각한 신체적인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운반차에는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운반차의 작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안전수단이 강구되지 않음으로써 운반차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부주의 또는 의도하지 않은 문제로 인하여 운반차와 관리자가 충,추돌을 일으켜 관리자의 신체를 손상시키는 등 심각한 안전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일손이 부족한 농촌의 경우 노약자가 운반차를 운전하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에는 위급하거나 위험한 상황에 처할 경우 젊은이에 비하여 대처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더욱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일측에 엔진을 장착하여 마감하는 커버와, 상기 엔진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륜과, 상기 엔진이 장착되는 대향 위치의 프레임 상부에 화물을 적재하도록 장착되는 적재함과, 상기 엔진의 전방으로는 주행과 방향전환 등을 위한 다수개의 조작레버를 가지는 조작반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조작반의 하방과 조작반 하측에 위치한 프레임에 운반차가 후진 과정에서 관리자의 신체와 접촉시 운반차의 조작반에 구비되는 운전레버를 정지위치로 전환시켜 운반차를 정지시켜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안전장치는, 조작반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버샤프트의 중앙에 고정되는 상기 레버휠과 연결되어 보행상태의 관리자 신체와 접촉시 운전레버를 정지위치로 전환 시키는 상부안전수단과, 상기 레버휠과 연결되어 넘어진 관리자의 신체와 접촉시 운전레버를 정지위치로 전환 시키는 하부안전수단으로 구성하여, 운반차를 후진시키는 과정에서 장애물과 운반차 사이의 관리자가 신체적인 압박을 받아 손상받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운반차를 후진시키는 과정에서 관리자가 넘어지거나 미처 조작레버를 정지위치로 전환하지 못하더라도 운반차가 관리자의 신체와 접촉하면 조작레버를 정지위치로 전환하여 운반차가 더 이상 후진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관리자의 신체적인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안전하게 운반차를 운용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일반적인 운반차를 도시한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인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를 도시한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의 안전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운반차용 안전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운반차용 안전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의 안전장치 작동상태를 도시한 발췌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인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를 도시한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의 안전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운반차용 안전장치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운반차용 안전장치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의 안전장치 작동상태를 도시한 발췌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동력 운반차(100)는 프레임(101)의 일측에 엔진(102)을 장착하여 커버(103)로 마감하고, 상기 엔진(102)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무한궤도 또는 바퀴 타입의 구동륜(104)이 장착된다.
상기 엔진(102)이 장착되는 대향 위치의 프레임(101) 상부에는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함(105)이 장착되고, 엔진(102)의 전방으로는 주행과 방향전환 등을 위한 다수개의 조작레버(106)를 가지는 조작반(107)을 설치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작반(107)의 하방과 조작반(107) 하측에 위치한 프레임(101)에 안전장치(110)를 더 구비하여 운반차(100)가 후진 과정에서 관리자의 신체와 접촉시 운반차(100)의 조작반(107)에 구비되는 운전레버(111)를 정지위치로 전환시켜 운반차(100)를 정지시켜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장치(110)는, 조작반(107)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버샤프트(112)의 중앙에 고정되는 상기 레버휠(113)과 연결되어 보행상태의 관리자 신체와 접촉시 운전레버(111)를 정지위치로 전환 시키는 상부안전수단(115)과, 상기 레버휠(113)과 연결되어 넘어진 관리자의 신체와 접촉시 운전레버(111)를 정지위치로 전환 시키는 하부안전수단(116)으로 구성한다.
상기 레버휠(113)에는 원호형상의 핀홀(117)을 형성하여 운전레버(111)와 연결핀(118)으로 연결하여 운전레버(111)를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레버휠(113)로 인한 간섭현상이 없도록 한다.
상기 상부안전수단(115)은, 조작반(107)의 양측 하방 전,후측에서 하향 돌출되는 브라켓(120)에 형성되는 가이드공(121)을 관통되게 개략 ⊃형상의 작동가이드(122)를 결합하고, 상기 작동가이드(122)의 내측 끝단에는 이탈방지를 위한 스토퍼 또는 이탈방지핀과 같은 이탈방지수단(123)을 강구한다.
상기 전,후측 브라켓(120) 사이의 작동가이드(122)에는 스프링(124)을 개재하여 작동가이드(120)가 전진한 후 자연스럽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가이드(120)의 중간 위치에는 레버휠(113)과 연결되어 작동가이드(120)의 수축과 신장에 의하여 레버휠(113)을 회전시켜 작동상태의 운전레버(111)를 정지상태로 전환 시키는 상부작동암(125)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가이드(120)의 외부에는 관리자의 신체와 접촉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완충수단을 강구한 상부접촉판(126)을 고정하여 구성한다.
상기 하부안전수단(116)은, 프레임(101)과 힌지(130)로 움직임 자유롭게 연결되는 하부축(131)을 구비하고, 상기 하부축(131)의 양단에 고정되어 하향 돌출되고 신체와 접촉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완충수단을 강구한 하부접촉판(132)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축(131)의 중앙에는 프레임(101) 방향으로 작동브라켓(133)을 돌출시키고, 상기 작동브라켓(133)에는 하부작동암(134)을 움직임 자유롭게 레버휠(113)과 연결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하부작동암(134)의 중도에도 프레임(101) 또는 조작반(107)과 스프링(135)으로 연결하여 하부작동암(134)이 작동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운반차용 안전장치(11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반차(100)를 운행할 때에는 조작반(107)에 구비되는 운전레버(111)를 정지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전환 시키고, 조작반(107)에 구비되는 다른 레버를 이용하여 방향전환 또는 속도 가감을 통하여 운반차를 목적한 위치로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이와 같이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는 운전레버(111)를 작동 또는 장지 상태로 전환시키더라도 레버샤프트(112)에 고정된 레버휠(113)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되는 데, 이는 레버휠(113)에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핀홀(117)에 운전레버(111)에 고정되는 연결핀(118)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운전레버(111)가 움직일 때마다 연결핀(118)이 핀홀(117)을 따라 움직이므로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반차(100)를 후진시키는 과정에서 관리자가 장애물과 운반차(100) 사이에 위치하여 운반차(100)에 의하여 압박되거나, 장애물에 걸려 넘어지진 상태에서 운반차(100)가 계속 후진하게 되면 운반차(100)에 더 구비되는 안전장치(110)에 의하여 운전레버(111)가 정지상태로 전환되어 관리자가 신체적인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관리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장애물과 운반차(100)에 압박을 받게 될 경우에는, 조작반(107)보다 더 돌출된 상부안전수단(115)의 작동가이드(122) 외부에 고정된 상부접촉판(126)이 관리자의 신체 중 상부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상부접촉판(126)이 신체와 접촉하더라도 완충수단을 강구하고 있고 신체와 접촉함과 동시에 운반차(100) 방향으로 작동가이드(122)가 진입하게 되므로 신체에 큰 손상을 야기하지는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가이드(122)가 신체와 접촉하면서 운반차(100) 방향으로 진입하면 작동가이드(122)의 중앙에 구비되는 레버샤프트(112)의 중앙에 고정되는 레버휠(113)과 연결된 상부작동암(125)이 레버휠(113)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레어휠(113)과 연결핀(118)으로 연결된 운전레버(111)는 작동 상태에서 정지상태로 전환하게 되므로 운반차(100)의 동작이 정지되게 되므로 관리자가 운반차(100)와 장애물 사이에서 압박받아 신체적으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운반차(100)가 정지되면 관리자 또는 주변인이 운반차(100)를 전진위치로 전환하게 되므로 관리자는 자연스럽게 운반차(100)와 장애물을 안전하게 벗어날 수 있게 된다.
관리자가 넘어진 상태에서 운반차(100)에 의하여 압박을 받게 될 경우에는, 관리자가 넘어지면서 장애물과 운반차(100) 사이에 위치하면 프레임(101)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 된 하부축(131)의 하방으로 돌출된 하부접촉판(132)이 관리자의 신체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하부축(131)의 중앙에 돌출된 작동브라켓(133)과 레버휠(113)을 연결하고 있는 하부작동암(134)이 상승하여 레버휠(113)을 회전시키게 되고, 레버휠(113)의 핀홀(117)에 결합 된 연결핀(118)이 레버휠(113)의 회전으로 작동상태에서 정지상태로 운전에버(111)를 움직이게 되므로 운반차(100)는 바로 정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관리자자 직접 또는 주변인의 도움으로 운반차(100)를 전진시켜 장애물과 운반차(100) 사이를 벗어나면 되는 것이며, 상기 상부작동암(125)과 하부작동암(134)이 레버휠(113)을 작동시킨 후에는 작동가이드(122)에 개재되거나 하부작동암(134)에 연결되는 스프링(124,135)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100; 운반차
107; 조작반
110; 안전장치
112; 레버샤프트
113; 레버휠
115; 상부안전수단
116; 하부안전수단
122; 작동가이드
125; 상부작동암
131; 하부축
134; 하부작동암

Claims (4)

  1. 운반차(100)를 구성하는 조작반(107)의 하방과 조작반(107) 하측에 위치한 프레임(101)에 운반차(100)가 후진 과정에서 관리자의 신체와 접촉시 운반차(100)의 조작반(107)에 구비되는 운전레버(111)를 정지위치로 전환시켜 운반차(100)를 정지시켜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반(107)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레버샤프트(112)의 중앙에 고정되는 레버휠(113)과 연결되어 보행상태의 관리자 신체와 접촉시 운전레버(111)를 정지위치로 전환 시키는 상부안전수단(115)과;
    상기 레버휠(113)과 연결되어 넘어진 관리자의 신체와 접촉시 운전레버(111)를 정지위치로 전환 시키는 하부안전수단(116)으로 구성되는 안전장치(11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안전수단(115)은, 조작반(107)의 양측 하방 전,후측에서 하향 돌출되는 브라켓(120)에 형성되는 가이드공(121)을 관통하는 작동가이드(122)와;
    상기 작동가이드(122)의 내측 끝단에 작동가이드(122)가 가이드공(121)을 벗어나지 않도록 강구하는 이탈방지수단(123)과;
    상기 전,후측 브라켓(120) 사이의 작동가이드(122)에 개재하여 작동가이드(120)가 전진한 후 자연스럽게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하는 스프링(124)과;
    상기 작동가이드(120)의 중간 위치에 레버휠(113)과 연결되어 작동가이드(120)의 수축과 신장에 의하여 레버휠(113)을 회전시켜 작동상태의 운전레버(111)를 정지상태로 전환 시키는 상부작동암(125)과;
    상기 작동가이드(120)의 외부에 관리자의 신체와 접촉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완충수단을 강구하여 고정되는 상부접촉판(12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안전수단(116)은, 프레임(101)과 움직인 자유롭게 힌지(130)로 연결되는 하부축(131)과;
    상기 하부축(131)의 양단에 신체와 접촉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완충수단을 강구하여 하향 돌출되게 고정하는 하부접촉판(132)과;
    상기 하부축(131)의 중앙에 프레임(101)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작동브라켓(133)과;
    상기 작동브라켓(133)과 레버휠(113)을 연결하여 하부접촉판(132)의 움직임에 따라 레버휠(113)을 움직여 운전레버(111)를 정지상태로 전환시키는 하부작동암(134)과;
    상기 하부작동암(134)의 중도에 프레임(101) 또는 조작반(107)과 연결하여 하부작동암(134)이 작동한 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하는 스프링(1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휠(113)에는 원호형상의 핀홀(117)을 형성하여 운전레버(111)와 연결핀(118)으로 연결하여 운전레버(111)를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과정에서 레버휠(113)로 인한 간섭현상이 없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
KR1020100112924A 2010-11-12 2010-11-12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 KR101262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924A KR101262209B1 (ko) 2010-11-12 2010-11-12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924A KR101262209B1 (ko) 2010-11-12 2010-11-12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476A KR20120051476A (ko) 2012-05-22
KR101262209B1 true KR101262209B1 (ko) 2013-05-15

Family

ID=4626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924A KR101262209B1 (ko) 2010-11-12 2010-11-12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72U (ko) 2020-06-16 2021-12-23 강기수 재배시설 운반차용 과실 및 가지 손상방지 커버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872U (ko) 2020-06-16 2021-12-23 강기수 재배시설 운반차용 과실 및 가지 손상방지 커버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476A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2484C (en) Improved chock system
CN103241204B (zh) 用于机动车辆的惯性锁定反应式保险杠
US7370753B2 (en) Extendable conveyor with boom brake
US5653568A (en) Safety guard for lift gates
JP6666760B2 (ja) 電動式軌道台車
US20150210315A1 (en) Safety device on a vehicle, and associated vehicle
JP4461330B2 (ja) 車両強制停止装置と該装置を使用した車両強制停止方法
KR100784618B1 (ko) 기중기 주행 레일의 스토퍼 장치
KR101262209B1 (ko) 안전장치를 가지는 운반차
JP4405904B2 (ja) 車両の衝突転倒防止装置
US20010026751A1 (en) Device for blocking a vehicle
KR20150019899A (ko)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KR20180013229A (ko) 전동작업차
JP3616391B1 (ja) 車輪の支持構造
KR101221392B1 (ko) 카세트이송대차
JP4391907B2 (ja) 車両の衝突転倒防止装置
JP4213661B2 (ja) 自動運転車両の逸脱防止システム
KR20210089580A (ko) 가변 경사 트랙에서 승객을 수송하기 위한 충격 흡수식 차량 및 차량을 포함하는 설비
KR20180007741A (ko) 지게차 안전장치
JP2682970B2 (ja) 搬送台車のバンパ装置
KR200216612Y1 (ko) 스키드 스티어 로더의 파킹브레이크의 안전장치
JP2007176465A (ja) 運搬車両
JP2007176433A (ja) 運搬車両
CN210048446U (zh) 防撞保护装置及具有其的搬运机器人
JP2576008Y2 (ja) 救出ロボットの救出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