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389A - 협착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협착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389A
KR20220104389A KR1020210006593A KR20210006593A KR20220104389A KR 20220104389 A KR20220104389 A KR 20220104389A KR 1020210006593 A KR1020210006593 A KR 1020210006593A KR 20210006593 A KR20210006593 A KR 20210006593A KR 20220104389 A KR20220104389 A KR 20220104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osis
coupled
heavy equipment
blocking plat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5105B1 (ko
Inventor
장기영
한광수
김희준
정성진
이명성
전우홍
이명호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이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이명호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210006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105B1/ko
Publication of KR20220104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Looms (AREA)
  • Paper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착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에 장착하는 장착부와, 장착부에 결합하고 장착부가 중장비에 장착되면 중장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도록 배치되는 협착 방지부를 포함하고, 협착 방지부는 하측 공간을 가로막도록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단 플레이트와, 차단 플레이트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협착 사고로 인한 장비 파손 또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보조 작업자가 임시 탑승하거나 또는 각종 장비를 임시로 실어 함께 이동하거나 또는 중장비 이동을 가이드하는 작업자가 임시 탑승한 상태로 안전하게 중장비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협착 방지 장치{Compression preve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협착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에 장착되고 중장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아 중장비 작업시 협착 사고를 방지하며, 중장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는 협착 방지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협착 방지부에 작업자가 임시로 탑승하거나 또는 각종 장비를 임시로 실을 수 있는 협착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장비란 토목 공사에 쓰는 중량이 큰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중장비는 비행장의 활주로, 유도로, 일반 도로, 설비 시설 등의 유지 보수 및 건설 공사용으로 설계된 장비로 다양한 건설현장에 투입되어 운용된다.
통상적으로 중장비는 일반 차량에 비해 그 크기가 커서 운전자에게 다수의 사각지대가 발생한다. 이러한 다수의 사각지대는 중장비의 대인 및 대물 사고 발생 확률을 상승시키며 중장비에 의한 사고는 상대적으로 중대한 인명 피해 또는 재물 손괴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일반적으로 중장비는 그 크기로 인해 지면과 차체 사이의 공간이 크게 형성되며 또한, 작업시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어려운 방향으로의 이동(예를 들면 후방 이동)이 잦기 때문에 중장비 작업시 각종 장애물(예를 들면 건설 장비) 또는 다른 작업자가 차체 하단 공간에 협착되는 협착 사고의 발생 빈도가 매우 높아 이로 인한 장비 파손 또는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1989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07741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에 장착되고 중장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아 중장비 작업시 협착 사고를 방지하며, 중장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는 협착 방지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협착 방지부에 작업자가 임시로 탑승하거나 또는 각종 장비를 임시로 실을 수 있는 협착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협착 방지부의 높이 위치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여 중장비의 종류, 장착 위치에 상관없이 협착 방지부를 적정한 높이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는 협착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는 차단 플레이트 양단에 연장 형성되는 윙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차체 폭이 넓은 중장비에 장착되어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충분히 차단하도록 하며, 윙 플레이트의 차단 플레이트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경 가능하여 차체 폭이 좁은 중장비에 장착시 윙 플레이트의 배치 각도 변경을 통해 중장비의 측면 하측 공간을 차단 가능한 협착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 장치는,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에 장착하는 장착부와, 장착부에 결합하고 장착부가 중장비에 장착되면 중장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도록 배치되는 협착 방지부를 포함하고, 협착 방지부는 하측 공간을 가로막도록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단 플레이트와, 차단 플레이트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 플레이트를 구비한다.
이때, 장착부는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에 결합하는 장착 프레임과, 일측이 장착 프레임과 결합하고 타측이 협착 방지부와 결합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연결 프레임은 결합한 협착 방지부의 높이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프레임은 장착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하는 중공 형상의 제1 수직 프레임과, 제1 수직 프레임에 삽입 결합하는 제2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제2 수직 프레임은 제1 수직 프레임에 삽입 정도가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협착 방지부는 제2 수직 프레임에 결합 배치되어 제2 수직 프레임의 삽입 정도에 따라 높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받침 플레이트는 차단 플레이트와의 배치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받침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받침 플레이트는 차단 플레이트의 하단에서 힌지 결합하며, 상향 회동하여 차단 플레이트와 접하고 하향 회동하여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단 플레이트의 차단면이 하향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받침 플레이트 끝단에는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협착 방지부는 차단 플레이트의 차단면이 양 측단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차단 플레이트 양 측단에 결합하는 윙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윙 플레이트는 차단 플레이트와의 배치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차단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차단 플레이트 또는 받침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단 플레이트와 받침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둘레 일부 구간에는 완충 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에 장착되고 중장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아 중장비 작업시 협착 사고를 방지함으로써, 협착 사고로 인한 장비 파손 또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장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는 협착 방지부에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협착 방지부에 작업자가 임시로 탑승하거나 또는 각종 장비를 임시로 실을 수 있어, 보조 작업자가 임시 탑승하거나 또는 각종 장비를 임시로 실어 함께 이동하거나 또는 중장비 이동을 가이드하는 작업자가 임시 탑승한 상태로 안전하게 중장비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협착 방지부의 높이 위치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여 중장비의 종류, 장착 위치에 상관없이 협착 방지부를 적정한 높이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어 중장비의 종류 또는 장착 위치별로 협착 방지 장치를 개별 제조할 필요 없으므로 생산 단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지면과 수직하게 배치되고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는 차단 플레이트 양단에 연장 형성되는 윙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차체 폭이 넓은 중장비에 장착되어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으며, 윙 플레이트의 차단 플레이트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경 가능하여 차체 폭이 좁은 중장비에 장착시 윙 플레이트의 배치 각도 변경을 통해 중장비의 측면 하측 공간을 차단 가능하므로 중장비의 방향 전환 이동시에 발생 가능한 측면 하단 공간에 의한 협착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 장치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부의 높이 조절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부의 받침 플레이트의 배치 각도 변경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부의 윙 플레이트의 배치 각도 변경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 장치의 장착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에 장착되어 중장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아 중장비 작업시 중장비 전단 또는 하측 공간에 의한 협착 사고를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00) 및 협착 방지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장착부(100)는 협착 방지부(300)와 결합한 상태로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에 장착되며, 장착이 용이하도록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협착 방지부(30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프레임을 구비하는데, 이를 포함한 장착부(100)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협착 방지부(300)는 장착부(100)의 일측에 결합하고 장착부(100)가 중장비에 장착되면 중장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도록 배치되어 중장비 작업시 중장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에 의한 협착 사고를 방지한다. 협착 방지부(300)는 중장비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도록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와 작업자가 임시 탑승하거나 각종 장비를 임시로 실을 수 있도록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플레이트를 구비하는데, 이를 포함한 협착 방지부(300)에 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부의 높이 조절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 장치(10)는 협착 방지부(300)의 높이 위치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여 중장비의 종류, 장착 위치에 상관없이 협착 방지부(300)를 적정한 높이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 길이가 조절되어 협착 방지부(300)의 높이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장착부(100)는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에 결합하는 장착 프레임(110)과, 일측이 장착 프레임(110)과 결합하고 타측이 협착 방지부(300)와 결합하는 연결 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착 프레임(110)은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에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 끝단부가 장착 프레임(110)과 결합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20)은 장착 프레임(110)의 일측 끝단부에 결합하고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 프레임(120)은 결합한 협착 방지부(300)의 높이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 프레임(120)은 장착 프레임(110)의 일측에 상측 끝단부가 결합하는 중공 형상의 제1 수직 프레임(121)과, 제1 수직 프레임(121)의 하단에서 삽입 결합하는 제2 수직 프레임(122), 그리고 제2 수직 프레임(122)의 하단부에서 협착 방지부(300)를 제2 수직 프레임(122)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결합시키는 이격 프레임(1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수직 프레임(122)은 제1 수직 프레임(121)에 삽입 정도가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협착 방지부(300)는 이격 프레임(123)을 통해 제2 수직 프레임(122)의 하단부에 결합 배치되어 제2 수직 프레임(122)의 삽입 정도에 따라 높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 수직 프레임(122)의 상단부에는 와이어가 연결되고 연결된 와이어는 제1 수직 프레임(121)의 내측 상단에 배치되는 풀리(pulley)에 감겨질 수 있다. 즉, 와이어가 풀리에 감겨진 정도에 따라 제2 수직 프레임(122)의 삽입 정도가 결정될 수 있는데, 와이어의 감긴 정도가 자동 조절되도록 풀리는 구동 모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와이어의 감긴 정도를 작업자가 수동 조절하도록 풀리는 외부에 노출되는 핸들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격 프레임(123)은 일측이 제1 수직 프레임(121)에 결합하고 타측이 협착 방지부(300)에 결합하여 협착 방지부(300)를 제1 수직 프레임(121)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이격 프레임(123)은 협착 방지부(300)가 제1 수직 프레임(121) 및 제2 수직 프레임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하도록 하여 협착 방지부(300)의 높이 위치가 조절되는 과정에서 협착 방지부(300)와 수직 프레임(121, 122)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 장치(10)는 협착 방지부(300)의 높이 위치가 조절 가능하므로, 중장비의 종류, 장착 위치에 상관없이 협착 방지부(300)가 적정 높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 장치(10)는 중장비의 종류와 장착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사이즈로 제작할 필요가 없으며 단일 사이즈로 제작하여도 다양한 중장비와 장착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 장치(10)는 생산 단를 절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부의 받침 플레이트의 배치 각도 변경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부의 윙 플레이트의 배치 각도 변경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협착 방지부(3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협착 방지부(300)는 중장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 차단 플레이트(310)와, 작업자가 임시로 탑승하거나 각종 장비를 임시로 실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받침 플레이트(320)와, 받침 플레이트(320)를 차단 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 힌지(330)와, 차단 플레이트(310)의 차단면을 양 측단 방향으로 연장하는 윙 플레이트(340), 그리고 윙 플레이트(340)를 차단 플레이트(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힌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310)는 장착부(100)가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에 결합한 상태에서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도록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단 플레이트(310)는 이격 프레임(123)을 통해 제1 수직 프레임(121)과 결합하며 결합시 하측 끝단의 높이 위치가 제1 수직 프레임(121)의 하측 끝단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차단 플레이트(310)는 모래 등의 작은 물질은 통과하도록 메쉬 소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다수개의 관통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홀(H)은 차단 플레이트(310)뿐만 아니라 받침 플레이트(320) 및 윙 플레이트(340)에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차단 플레이트(310), 받침 플레이트(320) 및 윙 플레이트(340)의 가장자리 둘레 일부 구간에는 스펀지와 같은 완충 부재(S)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 플레이트(310)는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음으로써 중장비의 협착 사고로 인한 장비 파손 또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차단 플레이트(310)의 하단에는 제1 힌지(330)를 통해 받침 플레이트(320)가 결합 배치될 수 있다. 받침 플레이트(320)는 차단 플레이트(310)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작업자가 임시로 탑승하거나 또는 각종 장비를 임시로 실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받침 플레이트(320)는 차단 플레이트(310)와의 배치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제1 힌지(330)에 의해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즉, 받침 플레이트(320)는 제1 힌지(330)에 의해 차단 플레이트(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받침 플레이트(320)는 상향 회동하여 차단 플레이트(310)와 접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각종 장비를 실지 않은 상태에서는 받침 플레이트(320)를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받침 플레이트(320)의 돌출 배치로 인해 중장비 운행시 발생 가능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받침 플레이트(320)는 상향 회동 가능할 뿐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회동하여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차단 플레이트(310)의 차단면이 하향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받침 플레이트(320)의 하향 회동은 중장비의 차체가 너무 높거나 또는 장착부(100)의 장착 위치가 너무 높게 형성되어 협착 방지부(300)의 위치를 최대한 하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도 협착 방지부(300)와 지면 간의 이격 공간이 넓게 형성될 때, 받침 플레이트(320)를 하향 회동시켜 차단 플레이트(310)의 차단면이 하향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협착 방지부(300)와 지면 간의 이격 공간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받침 플레이트(320) 끝단에는 바퀴가 구비되어 받침 플레이트(320)가 하향 회동한 상태에서 끝단이 지면에 접하더라도 지면과의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 장치(10)는 협착 방지부(300)의 높이 위치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 장치(10)에는 제2 수직 프레임(122)과 지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감지 센서와, 제2 수직 프레임(122)의 제1 수직 프레임(121)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산출하는 돌출 길이 산출부, 그리고 산출된 돌출 길이에 따라 제2 수직 프레임(122)이 돌출되도록 상술한 풀리에 연결된 구동 모터를 구동 제어하는 돌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리 감지 센서는 제2 수직 프레임(122)의 하단에는 지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며, 거리 감지 센서로는 초음파 레벨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돌출 제어부는 거리 감지 센서가 지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기 전에 제2 수직 프레임(122)의 돌출 길이가 최소가 되는 초기 상태가 되도록 구동 모터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돌출 길이 산출부는 초음파 레벨 센서가 감지한 지면까지의 거리에서 기준 거리를 차감한 길이를 돌출 길이로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면까지의 거리가 100cm이고 기준 거리가 10cm인 경우 돌출 길이 산출부는 100cm에서 10cm을 차감한 90cm를 돌출 길이로 산출할 수 있다. 돌출 길이가 산출되면 돌출 제어부는 산출된 돌출 길이만큼 제2 수직 프레임(122)이 돌출되도록 구동 모터를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거리를 차감하는 이유는 제2 수직 프레임(122) 또는 협착 방지부(300)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 돌출 길이 산출부는 초음파 레벨 센서가 감지한 지면까지의 거리가 제2 수직 프레임(122)의 최대로 돌출되는 길이와 기준 거리를 합산한 거리를 초과하면, 감지한 지면까지의 거리에서 기준 거리와 받침 플레이트(320)의 길이를 차감한 길이를 돌출 길이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한 지면까지의 거리가 제2 수직 프레임(122)의 최대로 돌출되는 길이와 기준 거리를 합산한 거리를 초과한다는 것은 중장비의 차체가 너무 높거나 또는 장착부(100)의 장착 위치가 너무 높게 형성되어 협착 방지부(300)의 위치를 최대한 하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도 협착 방지부(300)와 지면 간의 이격 공간이 넓게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돌출 길이 산출부는 이와 같은 경우에 받침 플레이트(320)의 길이를 추가로 차감하여 받침 플레이트(320)가 하향 회동하여 협착 방지부(300)의 수직 면적이 확장되었을 때를 고려한 돌출 길이를 산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지면까지의 거리가 150cm이고 제2 수직 프레임(122)의 최대로 돌출되는 길이는 100cm이며 기준 거리가 10cm이고 받침 플레이트(320)의 길이가 50cm인 경우 돌출 길이 산출부는 지면까지의 거리 150cm가 100cm와 10cm를 합산한 110cm를 초과하므로 150cm에서 받침 플레이트(320)의 길이 50cm와 기준 거리 10cm를 차감한 90cm를 돌출 길이로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받침 플레이트(320)이 길이는 받침 플레이트(320)의 제2 힌지(350)와 결합하는 일단으로부터 반대측 타단까지의 길이이다.
한편,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차단 플레이트(310)의 양 측단에는 차단 플레이트(310)의 차단면이 양 측단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윙 플레이트(340)가 결합될 수 있다. 윙 플레이트(340)는 차단 플레이트(310)의 차단면을 양 측단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협착 방지 장치(10)가 차폭이 넓은 중장비에 설치시에도 차폭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광범위하게 형성되는 하측공간을 충분하게 가로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윙 플레이트(340)는 차단 플레이트(310)와의 배치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제2 힌지(350)에 의해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즉, 윙 플레이트(340)는 제2 힌지(350)에 의해 차단 플레이트(3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윙 플레이트(340)는 중장비 외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받침 플레이트(320)의 양 측부의 상측 공간을 차단할 수 있다. 이는 받침 플레이트(320)에 작업자가 임시 탑승하였을 때 탑승한 작업자의 낙상 사고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윙 플레이트(340)는 중장비 측 방향으로 회동할 수 이있다. 이는 협착 방지 장치(10)가 차단 플레이트(310)보다 폭이 좁은 중장비에 설치되었을 때, 윙 플레이트(340)가 중장비 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중장비 측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협착 방지 장치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중장비에 설치되는 경우 중장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뿐만 아니라 중장비 측단의 하측 공간에 의한 협착 사고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협착 방지 장치
100: 장착부
110: 장착 프레임
120: 연결 프레임
121: 제1 수직 프레임
122: 제2 수직 프레임
123: 이격 프레임
300: 협착 방지부
310: 차단 플레이트
320: 받침 플레이트
330: 제1 힌지
340: 윙 플레이트
350: 제2 힌지

Claims (10)

  1.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에 장착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결합하고 상기 장착부가 상기 중장비에 장착되면 상기 중장비 전단 또는 후단의 하측 공간을 가로막도록 배치되는 협착 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착 방지부는 상기 하측 공간을 가로막도록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차단 플레이트 하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지면과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중장비의 전단 또는 후단에 결합하는 장착 프레임; 및
    일측이 상기 장착 프레임과 결합하고 타측이 상기 협착 방지부와 결합하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결합한 상기 협착 방지부의 높이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 방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장착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하는 중공 형상의 제1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에 삽입 결합하는 제2 수직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은 상기 제1 수직 프레임에 삽입 정도가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협착 방지부는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에 결합 배치되어 상기 제2 수직 프레임의 삽입 정도에 따라 높이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 방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의 배치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 방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하단에서 힌지 결합하며, 상향 회동하여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 접하고 하향 회동하여 지면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차단면이 하향 확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 방지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 끝단에는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 방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착 방지부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의 차단면이 양 측단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차단 플레이트 양 측단에 결합하는 윙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 방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윙 플레이트는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의 배치 각도가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차단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 방지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 또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 방지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플레이트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둘레 일부 구간에는 완충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착 방지 장치.

KR1020210006593A 2021-01-18 2021-01-18 협착 방지 장치 KR102525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93A KR102525105B1 (ko) 2021-01-18 2021-01-18 협착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93A KR102525105B1 (ko) 2021-01-18 2021-01-18 협착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389A true KR20220104389A (ko) 2022-07-26
KR102525105B1 KR102525105B1 (ko) 2023-04-26

Family

ID=8260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593A KR102525105B1 (ko) 2021-01-18 2021-01-18 협착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510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2782A (ja) * 1994-11-25 1996-06-04 Otec Japan:Kk 車両後部巻き込み防止装置
JP2005075222A (ja) * 2003-09-02 2005-03-24 Kitagawa Hutec Co Ltd 建設・産業車輌の安全防護装置
CN202320177U (zh) * 2011-11-21 2012-07-11 陕西重型汽车有限公司 一种车用防撞护栅总成
JP2014168992A (ja) * 2013-03-01 2014-09-18 Isuzu Motors Ltd 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構造
KR20150019899A (ko) 2013-08-16 2015-02-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CN106347272A (zh) * 2016-11-23 2017-01-2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后防护
KR20180007741A (ko) 2016-07-14 2018-01-24 이신구 지게차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2782A (ja) * 1994-11-25 1996-06-04 Otec Japan:Kk 車両後部巻き込み防止装置
JP2005075222A (ja) * 2003-09-02 2005-03-24 Kitagawa Hutec Co Ltd 建設・産業車輌の安全防護装置
CN202320177U (zh) * 2011-11-21 2012-07-11 陕西重型汽车有限公司 一种车用防撞护栅总成
JP2014168992A (ja) * 2013-03-01 2014-09-18 Isuzu Motors Ltd 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構造
KR20150019899A (ko) 2013-08-16 2015-02-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장애물 인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지게차
KR20180007741A (ko) 2016-07-14 2018-01-24 이신구 지게차 안전장치
CN106347272A (zh) * 2016-11-23 2017-01-2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辆后防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5105B1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5195B1 (en) Machine safety guard
KR102084951B1 (ko) 특수차량용 싱크홀 측정 레이다 지지 장치
US6296318B1 (en) Device for milling off ground surfaces especially roadways
CA2861338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illing of railroad track
US9096107B2 (en) Regulating device, railway wheel device, working machine as well as a method for driving of a rubber wheeled working machine along a railway track
US6481923B1 (en) Concrete paving machine
KR101667569B1 (ko) 사고 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및 상기 고소작업장치의 동작방법
US10875456B2 (en) Cab guard with adjustable railing system for aerial device
KR20220104389A (ko) 협착 방지 장치
KR101473434B1 (ko)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JP4713038B2 (ja) 削岩装置用ブーム装置
CN112224744A (zh) 传输辊道
KR101694141B1 (ko) 이동식 방호 울타리
CN111498693A (zh) 一种用于起重机的防护装置
CN110127397A (zh) 一种物流搬运设备
KR101280360B1 (ko) 석재절단장치의 물튐방지커버
US9884656B2 (en) Mud flap lifter
JP3090566B2 (ja) 道路工事用建設機械におけるキャブ装置
CA2412693C (en) Pipe scarifier
JP6317665B2 (ja) ドックシェルター
JP7120432B1 (ja) シート掛け補助システムおよびシートハンガー移動装置
KR101471593B1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102181644B1 (ko) 건설현장의 이동형 비산먼지 방지 덮개
KR102570947B1 (ko) 에스컬레이터 철거장치
US20220379366A1 (en) Bend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Workpiece By Means Of A B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