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593B1 -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 Google Patents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593B1
KR101471593B1 KR1020140028266A KR20140028266A KR101471593B1 KR 101471593 B1 KR101471593 B1 KR 101471593B1 KR 1020140028266 A KR1020140028266 A KR 1020140028266A KR 20140028266 A KR20140028266 A KR 20140028266A KR 101471593 B1 KR101471593 B1 KR 101471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opening
building opening
wall body
concret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기
금병엽
김윤관
Original Assignee
디에이치산업안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이치산업안전(주) filed Critical 디에이치산업안전(주)
Priority to KR1020140028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losing door or window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있어서, 건축물 개구부에 장착되어 건물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수단인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을 장착하는 수단으로 건축물 개구부의 콘크리트벽체 건물내부 양측면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는 L자 형상의 벽체고정브라겟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벽체고정브라켓은 전체적으로 2개의 측대가 수직으로 연결된 L자 형상이며, 2개의 측대중 하나는 건축물 개구부의 콘크리트벽체 건물내부 측면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 장착되는 부분이고, 측대중 다른 하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차단막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콘크리트벽체 건물내부 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장착되는 상기 차단막을 상기 콘크리트벽체에 대하여 건물내부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안내수단인 슬라이딩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는, 특히 건축물 개구부의 입구 안쪽면에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시 설치작업자의 신체가 원천적으로 개구부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설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설치사용 및 해체에 있어 종래기술에 비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함으로써 효율성 및 경제성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A PROTECTING DEVICE FOR THE OPENING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시공 중 베란다, 창문 등의 용도로 형성되는 개구부를 임시 보호하여 시공 중에 개구부를 통하여 공사 자재, 사람, 소음, 먼지 등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개구부의 넓이에 따라 넓이 조정이 가능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용 빌딩, 아파트, 단독 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을 건축하는 단계에서 건축물의 창문이나, 베란다 등으로 되는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시공 작업 중에 안전 사고의 원인이 되며, 개구부를 통하여 건축 자재가 외부로 낙하하여 행인의 안전을 위협하거나, 건축 요원이 추락하거나, 건축 중에 발생한 오염 물질이나 먼지 등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따라서 건축 단계에서 개구부를 임시로 막아 보호하는 장치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도 1에 게시한 종래 기술에 의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는, 복수의 앵커 볼트(11, 13)를 건축물 벽면에 삽입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와 분리가 까다롭고, 설치와 분리에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개구부(S)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다른 크기의 차단막(20)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호환성이 떨어지고, 사용된 자재들을 재활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1-129780호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 개구부(S)의 양측벽에 밀착 설치되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된 제1세로부재(110a) 및 제2세로부재(110b)로 이루어진 밀착고정부재(110); 상기 제1세로부재(110a) 및 제2세로부재(110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세로부재(110a) 및 제2세로부재(110b)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120); 상기 제1세로부재(110a)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회전지지브래킷(131)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지지브래킷(131)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부재(13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차단막인장부(130); 상기 제1세로부재(110a)와 제2세로부재(110b)의 상단부에 각각 연장 형성되고 절곡되며, 관형의 제1지지부재(171) 및 제2지지부재(17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향으로 연장 형성된 회전지지봉(142)을 갖는 상부지지부(140); 상기 제1세로부재(110a) 및 제2세로부재(110b)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결설치되고, 봉 형상의 가로부재(151)로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가로보호부(150); 상기 제1지지부재(171) 및 제2지지부재(172) 사이에 펼침 설치되고, 양단부에 상기 제1지지부재(171) 및 제2지지부재(172)가 끼워지는 삽입공(181, 183)이 구비된 차단막(18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제안하였으나, 도 2에 게시한 종래 기술에 의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1)도 개구부 입구측면에 설치되는 관계로 설치시 설치작업자의 신체가 개구부 밖으로 일부 노출될 수가 있어 여전히 위험한 면이 있었으며, 또한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설치사용에 있어 불편한 점들이 있어 효율성 내지 경제성에 있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개구부 입구 안쪽면에 설치되는 구조로 설치시 설치작업자의 신체가 원천적으로 개구부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설치 위험성을 줄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구조적으로 설치사용에 있어 간단하고 편리하게 함으로써 효율성 및 경제성이 있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있어서, 건축물 개구부에 장착되어 건물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수단인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을 장착하는 수단으로 건축물 개구부의 콘크리트벽체 건물내부 양측면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는 L자 형상의 벽체고정브라겟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벽체고정브라켓은 전체적으로 2개의 측대가 수직으로 연결된 L자 형상이며, 2개의 측대중 하나는 건축물 개구부의 콘크리트벽체 건물내부 측면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 장착되는 부분이고, 측대중 다른 하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차단막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콘크리트벽체 건물내부 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장착되는 상기 차단막을 상기 콘크리트벽체에 대하여 건물내부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안내수단인 슬라이딩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는, 건축물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긴밀하게 막을 수가 있어 추락방지와 함께 비산먼지 확산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도심 공사에 적합하도록 공사 작업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건축물 개구부의 입구 안쪽면에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시 설치작업자의 신체가 원천적으로 개구부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설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설치사용 및 해체에 있어 종래기술에 비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함으로써 효율성 및 경제성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참고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벽체고정브라켓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벽체고정브라켓의 일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활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시제품 참고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는 건축물 개구부에 장착되어 건물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수단인 차단막(210)과 상기 차단막을 장착하는 수단으로 건축물 개구부의 콘크리트벽체 건물내부 양측면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는 L자 형상의 벽체고정브라겟(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벽체고정브라켓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벽체고정브라켓의 일측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벽체고정브라켓(220)은, 차단막(210)을 장착하는 수단으로 건축물 개구부의 콘크리트벽체 건물내부 양측면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2개의 측대가 수직으로 연결된 L자 형상이며, 2개의 측대중 하나(221)는 건축물 개구부의 콘크리트벽체 건물내부 측면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 장착되는 부분이고, 측대중 다른 하나(222)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차단막(21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콘크리트벽체 건물내부 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벽체고정브라켓(220)의 측대중 다른 하나(222)는, 장착되는 상기 차단막(210)을 상기 콘크리트벽체에 대하여 건물내부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안내수단인 슬라이딩홀(h)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참고로 상기 슬라이딩홀(h)의 길이는 설치 및 작업성 측면에서 110mm 내지 1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벽체고정브라켓(220)은 L자 형상으로 수직으로 연결되는 2개 측대의 연결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대(223)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건축물 개구부에 장착한 상태를 장착한 건축물의 외부에서 바라볼 때의 도면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는 건축물 개구부에 장착되어 건물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수단인 차단막(210)과 상기 차단막을 장착하는 수단으로 건축물 개구부의 콘크리트벽체 건물내부 양측면에 고정설치되는 벽체고정브라겟(220)을 포함함으로써, 건축물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긴밀하게 막을 수가 있어 추락방지와 함께 비산먼지 확산방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도심 공사에 적합하도록 공사 작업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건축물 개구부의 입구 안쪽면에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시 설치작업자의 신체가 원천적으로 개구부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설치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설치사용 및 해체에 있어 종래기술에 비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함으로써 효율성 및 경제성이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활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는, 장착되는 차단막(210)을 콘크리트벽체에 대하여 건물내부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벽체고정브라겟(220)을 구비함으로써, 문틀이나 섀시(chassis) 등의 설치시 건물내부 쪽으로 개구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고 원활하게 설치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시제품 참고사진이다. 참고로,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시제품 사진으로, 철골구조로 만든 가상의 콘크리트벽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를 장착한 상태를 찍은 사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200 :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210 : 차단막
220 : 벽체고정브라겟 221, 222 : 측대
h : 슬라이딩홀 223 : 보강대

Claims (3)

  1.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에 있어서,
    건축물 개구부에 장착되어 건물내부와 외부를 차단하는 수단인 차단막(210);상기 차단막을 장착하는 수단으로 건축물 개구부의 콘크리트벽체 건물내부 양측면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설치되는 L자 형상의 벽체고정브라겟(210)을 포함하며,
    상기 벽체고정브라켓(220)은 전체적으로 2개의 측대가 수직으로 연결된 L자 형상이며,
    상기 2개의 측대중 하나(221)는 건축물 개구부의 콘크리트벽체 건물내부 측면에 볼트에 의하여 고정 장착되는 부분이고,
    측대중 다른 하나(222)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의 차단막(210)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콘크리트벽체 건물내부 측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장착되는 상기 차단막(210)을 상기 콘크리트벽체에 대하여 건물내부 수직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안내수단인 슬라이딩홀(h)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고정브라켓(220)은 L자 형상으로 수직으로 연결되는 2개 측대의 연결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대(22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1020140028266A 2014-03-11 2014-03-11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101471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266A KR101471593B1 (ko) 2014-03-11 2014-03-11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266A KR101471593B1 (ko) 2014-03-11 2014-03-11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593B1 true KR101471593B1 (ko) 2014-12-11

Family

ID=52678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266A KR101471593B1 (ko) 2014-03-11 2014-03-11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5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6953A (zh) * 2016-04-20 2016-09-07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用于预制构件吊装的临时加固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8260A (ko) * 2010-04-23 2011-10-31 이충원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20120001878U (ko) * 2010-09-03 2012-03-13 (주) 협동세이프티 분진망 및 안전 네트의 장력조절장치
KR20130025275A (ko) * 2011-09-01 2013-03-11 김진곤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KR20140001283U (ko) * 2012-08-23 2014-03-05 김진곤 수직형 추락방망 설치용 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8260A (ko) * 2010-04-23 2011-10-31 이충원 창틀 고정용 브래킷
KR20120001878U (ko) * 2010-09-03 2012-03-13 (주) 협동세이프티 분진망 및 안전 네트의 장력조절장치
KR20130025275A (ko) * 2011-09-01 2013-03-11 김진곤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KR20140001283U (ko) * 2012-08-23 2014-03-05 김진곤 수직형 추락방망 설치용 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6953A (zh) * 2016-04-20 2016-09-07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用于预制构件吊装的临时加固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596Y1 (ko) 건축용 갱폼의 개방부 차폐장치
KR101717735B1 (ko) 단열 및 방음구조를 구비한 갱폼
US7908803B2 (en) Portable hurricane and security window barrier
JP6510860B2 (ja) 開口部の防水装置
CN111719846A (zh) 用于将栏杆部件保持在天花板模板面板上的保持器
KR20190028205A (ko) 광고판 기능이 겸비된 주차용 차단기
JP4774313B2 (ja) 防水装置
KR101471593B1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US5373916A (en) Closure member for an elevator shaft
JP4040993B2 (ja) 開閉装置構造
JP2017014733A (ja) 開閉体のガイドレール構造
KR20200126688A (ko) 층간 슬라브용 개구부 차폐틀
KR20190022287A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KR101879679B1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KR101552158B1 (ko)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KR101808505B1 (ko) 추락방지망 고정구
ES2757059T3 (es) Sistema de ascensor
KR101657671B1 (ko) 유지 보수가 용이한 덮개를 갖는 터널 공동구
JP5388459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装置の設置方法
JP2021110469A (ja) 換気扇用取付枠
JP6545204B2 (ja) エレベーターの仮囲い、及びエレベーターの仮囲いの取付方法
KR101260384B1 (ko) 초고층 엘리베이터 피트용 피트차단 구조
KR20130025275A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구
GB1604679A (en) Anti-vandal door screens
US20050170771A1 (en) Mounting assembly for an air barri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