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158B1 -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158B1
KR101552158B1 KR1020150067013A KR20150067013A KR101552158B1 KR 101552158 B1 KR101552158 B1 KR 101552158B1 KR 1020150067013 A KR1020150067013 A KR 1020150067013A KR 20150067013 A KR20150067013 A KR 20150067013A KR 101552158 B1 KR101552158 B1 KR 101552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ting
support frame
sleeve
pie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만
Original Assignee
(주) 뉴티브
최경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뉴티브, 최경만 filed Critical (주) 뉴티브
Priority to KR1020150067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가장자리 또는 도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레이팅의 외연을 한계짓는 외틀과 그레이팅을 하부에서 받쳐주는 지지틀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틀과 지지틀의 외면 각각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에 매립되는 날개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받침틀과, 지지틀과의 피스체결을 위한 체결홈이 구비되는 그레이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홈에 멀티 슬리브가 수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멀티 슬리브에 피스를 삽입함으로써 그레이팅이 지지틀과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Fixing Structure of the Grating}
본 발명은 도로의 가장자리 또는 도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통과에 의한 소음을 방지함과 더불어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레이팅을 고정 설치함에 있어서 그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가장자리 또는 도로를 가로질러 배수로가 설치되는 경우, 또는 지하 환풍구가 설치되는 경에는 격자형상의 그레이팅이 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도로의 노면이나 지하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은 통상적으로 배수로 등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구축시 함께 설치되는 앵글 등의 철재 받침틀 위에 거치되는 것으로서, 차량 등의 수직하중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하고, 차량의 통과시에 덜컹거리는 등의 소음이 발생되지 않아야 하며, 그레이팅이 쉽게 분리되지 아니하여 도난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도 1은 2005. 12. 14. 등록공고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03798호의 그레이팅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틀(1)의 사각모서리부의 바닥에 관통공(101)을 형성하여 바닥면에서 내측으로 고정볼트(4)를 끼워 고정틀(1)의 네 모서리부에 고정볼트(4)가 상향 돌출되게 설치하고, 그레이팅(2)의 네면 모서리부에 관통공(201)을 가진 고정판(3)을 고정볼트(4)의 위치에 그레이팅(2)의 중단부 높이로 용착하여 결합하고 그레이팅(2)을 고정틀(1)에 안착시켜 고정볼트(4)의 단부가 고정판(3)의 관통공(201) 내로 관통하여 돌출되게 한 후 너트(7a)로 나사 결합하여 고정틀(1)에 그레이팅(2)의 네모서리부가 고정 체결되게 함으로써, 소음 및 도난방지와 더불어 중량체나 충격에 의한 그레이팅(2)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또 도 2는 2010. 7. 14. 등록공고된 등록특허공보 10-0968947호의 스틸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서, 배수로 덮개(10)가 거치되는 받침프레임(30)은 사각틀 형상의 받침틀(31)과 받침프레임(30)의 하단에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턱(33)으로 구성되고, 받침프레임(30)의 외측에는 배수로에 설치되기 위한 브라켓(32)이 형성되며, 받침프레임(30)의 내측에는 걸림홈(35)이 구비된 받침턱(34)을 설치하여 볼트(B)로 배수로 덮개(10)를 체결 고정시킨다는 것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그레이팅의 고정구조는, 그레이팅이 받침틀(도 1의 고정틀과 도 2의 받침프레임을 말한다)의 특정한 위치에서만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그레이팅의 고정구조는 사각맨홀과 같이 가로세로의 폭이 제한적인 사각평면의 경우에는 적용이 가능하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배수로에서 그 적용이 용이하지 않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배수로에서는 다수 개의 그레이팅이 연속하여 배치되고, 이들 다수 개의 그레이팅들 사이의 간격이 정밀하게 시공되어야 하는 반면, 배수로의 진행방향에 굴곡이 있고, 좌우 양측에 직선 길이의 차이가 존재하는 등 다양한 현장여건 때문에 받침틀에 구비된 체결수단을 그레이팅에 구비된 체결공에 정확히 일치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배수로 콘크리트에 먼저 받침틀을 설치한 후, 일일이 현장용접을 통해 체결용 브라켓을 기 시공된 받침틀에 부착시켜 이를 통해 그레이팅과의 고정을 도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일단 받침틀이 배수로 등의 콘크리트 구조체에 설치된 후에는 용접부위에 대한 부식의 방지처리에 한계가 있어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배수로 내의 습기나 가스로 인하여 용접부위가 파손되어 배수로 덮개가 받침프레임에 고정되지 못하고 덜렁거리거나 도난을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특허출원 10-2014-0083065호(미공개)의 '소음 및 이탈방지용 배수로등 덮개의 조립식 받침틀'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의 조립식 받침틀은 덮개(그레이팅)가 안착되는 본체가 연결브라켓(140)에 의해 그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체에 가이드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시켜 체결브라켓이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받침틀의 길이조절이 용이하고, 덮개와의 고정시에도 받침틀에 구비된 체결브라켓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현장에서의 용접작업등 보정작업을 별도로 할 필요가 없다는 점등으로 인한 시공의 용이성, 부식발생의 여지 제거로 인한 내구성 향상 등을 효과가 발휘되고 있다.
다만 배수로 등의 구조체를 구축하기 위하여 상기의 조립식 받침틀을 거푸집에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타설작업의 부주의로 인해 체결브라켓이 끼워져 이동되도록 하는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하우징 내부로 콘크리트가 스며들 수가 있는 바, 체결브라켓의 위치조정시 하우징 내부에 스며든 상기 콘크리트를 긁어내거나 콘크리트 타설전에 상기 개구를 임시 테이핑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야기될 우려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조립식 받침틀을 포함하여 피스에 의해 그레이팅이 고정되는 구조에서 차량이 그레이팅을 밝고 지나가는 움직임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력은 상기 피스에 대하여 전단력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전단력은 단면이 변화되는 피스의 머리부 경계점에 집중하게 되어 피스머리가 절단되어 그레이팅이 받침틀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여지가 있게 된다.
이에 반하여 규격품으로 제작판매되는 피스의 규격은 대체로 직경 6mm이하의 것으로서 전단강도가 그다지 크지 않기 때문에 차량이 많이 다니는 곳에서는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상태에 대한 유지관리에 많은 애로가 있다.
KR 20-0403798 Y1 KR 10-0968947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받침틀에 대한 그레이팅의 위치에 관계없이 받침틀에 대한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하여 시공성 및 정밀성이 뛰어나고, 피스의 모든 규격에 대한 보강이 가능하여 구조적인 안정성 및 큰 내구성이 확보되어 유지관리 비용이 대폭 절감되는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배수로 등의 콘크리트 구조체에 설치되는 받침틀에 그레이팅이 고정 설치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받침틀은 그레이팅의 외연을 한계짓는 외틀과 그레이팅을 하부에서 받쳐주는 지지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틀과 지지틀의 외면 각각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에 매립되는 날개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그레이팅에는 지지틀과의 피스체결을 위한 체결홈이 구비되고; 상기 체결홈에 멀티 슬리브가 수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멀티 슬리브에 피스를 삽입함으로써 그레이팅이 지지틀과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체결홈의 외주연에는 하부를 향해 경사져 깔대기 형상을 가지도록 그레이팅의 상면으로부터 절곡된 안착면이 형성되고, 멀티 슬리브는 상기 깔대기 형상의 안착면에 대응하는 깔대기 형상의 슬리브 머리부와 관형상의 슬리브 몸체로 이루어져 슬리브 머리부가 그레이팅에 구비된 안착면에 밀착 고정되고, 피스 머리부는 상기 슬리브 머리부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안착면에는 안착면을 다수의 면으로 분할시키는 슬릿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슬리브 머리부의 외연에는 상기 안착면의 슬릿에 끼워 고정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이와 함께 체결홈에 멀티 슬리브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슬리브 몸체는 그 하단이 지지틀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성시킬 수 있고, 상기 슬리브 몸체의 내면에는 피스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구비되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틀에는 내부가 폐쇄된 공간을 가지는 체결박스가 지지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가 제공되며, 이때 상기 체결박스는 지지틀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틀(120)의 상면에는 피스가 체결되는 위치가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체결안내홈이 지지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거나 요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멀티 슬리브를 매개로 하여 그레이팅과 받침틀을 피스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멀티 슬리브는 피스의 진입이 올바른 방향으로 진입하는 것을 유도하고, 받침틀에는 피스가 체결과정중에 미끄러져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안내홈 또는 요철면이 구비되어 있어 시공의 용이성 및 정밀성을 발휘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멀티 슬리브는 피스의 부족한 전단강성과 압축 및 좌굴강성을 보강하여 그레이팅의 고정상태가 쉽게 파괴되거나 그레이팅에 처짐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증대되고,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규격품의 피스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경제성을 도모하게 하고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가지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을 이용하여 받침틀의 규격을 조절할 수 있고, 그레이팅을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틀 상면의 고정위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어, 시공상의 오차 보정을 별도로 할 필요가 없으며 배수로의 규모 등 다양한 조건에 대하여 적용이 가능한 범용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틀의 연결부위는 물론 그레이팅과 받침틀 사이의 고정을 위한 수단에서 용접이 전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연결 및 고정부위에 대한 부식의 우려가 전혀 없어 내구성이 증대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그레이팅 고정구조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한 그레이팅의 고정구조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그레이팅이 받침틀에 고정 설치된 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받침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그레이팅에 구비된 체결홈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멀티 슬리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체결홈에 멀티 슬리브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체결홈의 외주연에 형성된 안착면과 이에 면접하는 멀티 슬리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멀티 슬리브의 몸체 길이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지지틀에 체결박스를 구비시킨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지지틀에 피스 선단의 미끄러짐을 방지시키기 위한 각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받침틀을 연결시켜주기 위한 연결브라켓의 각 실시예에 관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받침틀(100)에 그레이팅(200)이 고정 설치된 형상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받침틀(10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그레이팅(200)에 구비되는 체결홈(210)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의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그레이팅(200)의 고정 설치구조는, 배수로 등의 콘크리트 구조체(500)에 설치되는 받침틀(100)과, 상기 받침틀(100)에 놓여지는 그레이팅(200) 및, 상기 그레이팅(200)을 받침틀(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피스(400) 등의 고정 설치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받침틀(100)은 배수로 등의 콘크리트 구조체(500)에 고정 설치되면서 그레이팅(20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500)의 구축을 위한 거푸집 설치시 거푸집에 설치되고,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체(500)에 일체로 고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받침틀(100)은 수직으로 형성되어 그레이팅(200)이 놓여졌을 때 그 외연을 한계짓는 외틀(110)과, 상기 외틀(110)에 대하여 직각인 수평으로 형성되어 그레이팅(200)을 하부에서 받쳐주는 지지틀(120)로 이루어져 ㄴ자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상기 받침틀(100)은 콘크리트 구조체(500)에 일체로 고정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외틀(110)과 지지틀(120)의 외면 각각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500)에 매립되어 앵커링의 기능을 하는 날개부(130)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이와 같이 날개부(130)가 구비된 받침틀(100)은 일정한 단위 길이로 공장에서 제작되고, 연결브라켓(140)을 이용하여 필요한 만큼 그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사각형의 폐쇄된 맨홀의 형상으로 구성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140)은 각 날개부(130)의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돌부(142)와 이들 연결돌부(142)를 일체화시키는 연결몸체(141)로 이루어진다. 도 12는 이러한 연결브라켓(140)의 각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그레이팅(2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틀(120)과의 피스체결을 위한 체결홈(210)이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멀티 슬리브(3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그레이팅(200)의 체결홈(210)에 상기의 멀티 슬리브(300)를 삽입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레이팅(200)과 지지틀(120)의 결합은 상기의 체결홈(210)을 통한 피스 체결에 의해 이루어지나, 본 발명에서는 피스(400)가 상기 체결홈(210)에 직접 삽입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멀티 슬리브(300)를 매개로 하여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중요한 기술적 특징의 하나로 하고 있다.
즉 체결홈(210)에 먼저 멀티 슬리브(300)가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멀티 슬리브(300)에 피스(400)를 삽입함으로써 그레이팅(200)이 지지틀(120)과 나사체결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의 멀티 슬리브(300)는 피스(400)가 진입하는 방향을 안내하는 기능과 더불어 피스(400)에 대하여 전단보강의 기능을 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여 그레이팅(200)의 고정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구조적인 강성과 내구성이 이 대폭 증가된 그레이팅(200)의 고정 설치구조를 가지게 한다.
상기 멀티 슬리브(300)의 작용 효과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 슬리브(300)는 피스(400)의 진입방향을 안내하여 피스(400)가 지지틀(120)의 정위치에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그레이팅(200)과 지지틀(120) 사이의 견고한 고정은 이들을 체결시킨 피스(400)의 수직도에 달려있다.
그런데 통상적인 경우처럼 그레이팅(200)에 구비된 체결홈(210)에 곧바로 피스(400)를 삽입시켜 지지틀(120)에 박히도록 드릴 등의 전동공구로 체결작업을 하고자 하면, 피스(400)가 수직으로 지지틀(120) 상면의 정위치에 놓여지도록 하는 것도 그리 쉽지 않을 뿐더러, 설령 피스(400)가 처음에는 정위치에 놓여졌다고 하더라도, 피스(400)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과정중에 그 선단이 지지틀(120)의 상면에서 미끄러지면서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어 그레이팅(200)의 정밀한 고정 설치작업을 곤란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체결홈(210)에 수직으로 먼저 삽입 설치되도록 하는 본 발명에서의 멀티 슬리브(300)는 피스(400)의 진입방향을 올바르게 안내하게 되므로, 숙련작업자가 아닌 비전문가라도 누구나 쉽게 그레이팅(200)의 고정 설치작업을 할 수 있게 한다.
둘째, 멀티 슬리브(300)는 이에 삽입된 피스(400)를 감싸줌으로서 피스(400)의 부족한 전단강성을 보강해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바퀴의 마찰에 의한 수평하중은 그레이팅(200)과 지지틀(120) 사이에서 수직으로 설치된 피스(400)에 대하여 전단력으로 작용하게 되고, 상기 전단력은 요구되는 정도에 비해 전단강성이 그다지 크지 아니한 규격품의 피스(400)를 쉽게 변형시키며, 특히 단면변화가 큰 피스 머리부(410)의 경계점를 절단시켜 그레이팅(200)을 받침틀(100)로부터 분리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의 멀티 슬리브(300)는 피스(400)의 부족한 전단강성을 보강함으로써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규격품의 피스(40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경제성을 도모하게 하게 한다.
셋째, 멀티 슬리브(300)는 상기와 같은 피스(400)의 전단강성 뿐만 아니라, 수직하중에 대한 압축강도 및 좌굴강도에 대하여 피스(400)를 보강함으로써 차량 등의 무거운 상부하중에 의해 그레이팅(200)에 처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멀티 슬리브(300)가 상기와 같은 다양한 작용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멀티 슬리브(300)가 체결홈(210)에 삽입되어 그레이팅(200)과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그레이팅(200)에 구비되는 체결홈(210)의 외주연에는 하부를 향해 경사져 깔대기 형상을 가지도록 그레이팅(200)의 상면으로부터 절곡된 안착면(220)이 형성되고, 멀티 슬리브(300)는 머리부(310)와 몸체(3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리브 머리부(310) 역시 안착면(220)에 대응하는 깔대기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슬리브 머리부(310)가 그레이팅(200)에 구비된 안착면(220)에 밀착 고정되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몸체(320)로 하여금 그레이팅(200)에 대하여 수직인 상태를 가지게 한다.
슬리브 몸체(320)의 수직상태 여부는 그레이팅(200) 상면과 슬리브 머리부(310) 단부면의 수평상태를 비교함으로써 육안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슬리브 몸체(320)는 피스(400)의 몸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멀티 슬리브(300)에 피스(400)가 삽입되면 피스 머리부(410)는 상기 슬리브 머리부(310)에 걸쳐지고 피스 몸체(420)의 하단이 지지틀(120)에 박히면서 그레이팅(200)과 지지틀(120)이 서로 일체로 고정된다.
도 8은 체결홈(21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안착면(220)과 이에 안착되는 슬리브 머리부(310)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슬리브 몸체(320)의 내면에는 피스(40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를 구비시킴으로써 멀티 슬리브(300)와 피스(400) 사이에 보다 강한 일체성을 확보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스(400)와 함께 멀티 슬리브(300)가 회전됨으로써 피스(40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요구되는 바, 그 수단으로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슬리브(300)가 밀착되는 그레이팅(200)의 안착면(220)에는 안착면(220)을 다수의 면으로 분할시키는 슬릿(221)을 상하로 길게 형성시키고, 이에 대응하여 슬리브 머리부(310)의 외연에는 끼움돌기(311)를 형성하여 상기 안착면(220)의 슬릿(221)에 끼워 고정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고정수단으로 용접이 채용될 수도 있다. 즉 몸체(320) 내면에 암나사가 구비된 멀티 슬리브(300)를 그레이팅(200)의 체결홈(210)에 수직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이들을 용접하여 멀티 슬리브(30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그레이팅(200)의 제작과 함께 공장에서 일체로 구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전자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안착면(220)의 슬릿(221)과 슬리브 머리부(310)의 끼움돌기(311)로 이루어지는 고정수단은, 다양한 규격의 피스(400) 및 멀티 슬리브(300)를 적용할 수 있게 하는 범용성을 가지게 하며, 유지관리 측면에서도 피스(400)만을 교체하여 보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관리의 효율성 및 경제적인 효과를 가지게 한다.
피스(400)의 몸체가 삽입되는 슬리브 몸체(320)는 그 길이를 특정할 필요는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체결홈(210)에 멀티 슬리브(300)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슬리브 몸체(3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단이 지지틀(120)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그레이팅(200)으로부터 지지틀(120)에 접하는 길이의 슬리브 몸체(320)로 이루어진 멀티 슬리브(300)는, 피스(400)와 함께 높은 압축강성으로 그레이팅(200)을 지지함으로써 상부의 예기치 못한 하중에 대하여도 쉽게 좌굴되지 아니하여 그레이팅(200)에 처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멀티 슬리브(300)의 구성과 더불어 지지틀(120)에 대하여도 피스 체결작업의 용이성 및 정밀 시공성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을 더 부가시킬 수 있다.
도 10은 피스 체결작업의 용이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지지틀(120)에 체결박스(121)를 구비시킨 예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틀(120)을 관통시킨 피스(400)가 그 하부의 콘트리트를 파고들게 되는 경우, 피스(400)가 콘크리트를 쉽게 진입되지 않게 되면 피스(400)가 헛돌면서 지지틀(120)의 피스 관통공을 확장시키게 되고 이러한 피스 관통공의 확장은 피스(400)에 의한 체결력을 떨어뜨리게 한다.
본 발명의 체결박스(121)는 피스(400)가 콘크리트를 파고들지 않도록 함으로써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체결박스(121)는 내부가 폐쇄된 공간을 가짐으로써 배수로 등의 구조체를 구축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시 체결박스(121) 내부의 상기 공간에 콘크리트가 스며들지 않도록 하고, 지지틀(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구비됨으로써 피스(400)가 체결될 수 있는 위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체결박스(121)는 지지틀(120)의 외측, 즉 하면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박스(121)는 날개부(130)와 함께 앵커링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피스 체결작업의 정밀 시공성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을 지지틀(120)에 구비시킨 각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틀(120)에 대한 피스 체결작업을 위하여 드릴 등의 전동공구로 피스(400)를 고속회전시키면 피스(400)의 선단이 지지틀(120)의 매끈한 상면에서 미끄러져 정위치를 벗어날 우려가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피스(4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틀(1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체결안내홈(122)을 더 구비시키거나,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틀(120)의 상면을 요철면으로 구비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틀(120)에 체결박스(121)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의 체결안내홈(122) 또는 요철면(123)을 체결박스(121)의 상면에만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받침틀 110; 외틀
120; 지지틀 121; 체결박스
122; 체결안내홈 123; 요철면
130; 날개부 140; 연결브라켓
141; 연결몸체 142; 연결돌부
200; 그레이팅 210; 체결홈
220; 안착면 221; 슬릿
300; 멀티 슬리브 310; 슬리브 머리부
311; 끼움돌기 320; 슬리브 몸체
400; 피스 410; 피스 머리부
420; 피스 몸체

Claims (8)

  1. 배수로 등의 콘크리트 구조체(500)에 설치되는 받침틀(100)에 그레이팅(200)이 고정 설치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받침틀(100)은, 그레이팅(200)의 외연을 한계짓는 외틀(110)과, 그레이팅(200)을 하부에서 받쳐주는 지지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틀(110)과 지지틀(120)의 외면 각각에는 상기 콘크리트 구조체(500)에 매립되는 날개부(130)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그레이팅(200)에는 지지틀(120)과의 피스체결을 위한 체결홈(210)이 구비되되, 상기 체결홈(210)의 외주연에는 하부를 향해 경사져 깔대기 형상을 가지도록 그레이팅(200)의 상면으로부터 절곡된 안착면(220)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210)에 멀티 슬리브(300)가 수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멀티 슬리브(300)에 피스(400)를 삽입함으로써 그레이팅(200)이 지지틀(120)과 나사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멀티 슬리브(300)는 깔대기 형상의 안착면(220)에 대응하는 깔대기 형상의 슬리브 머리부(310)와 관형상의 슬리브 몸체(320)로 이루어져 슬리브 머리부(310)가 그레이팅(200)에 구비된 안착면(220)에 밀착 고정되고, 피스 머리부(410)는 상기 슬리브 머리부(310)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220)에는 안착면(220)을 다수의 면으로 분할시키는 슬릿(221)이 상하로 길게 형성되고, 슬리브 머리부(310)의 외연에는 상기 안착면(220)의 슬릿(221)에 끼워 고정되는 끼움돌기(3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체결홈(210)에 멀티 슬리브(300)가 삽입된 상태에서의 슬리브 몸체(320)는 그 하단이 지지틀(120)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몸체(320)의 내면에는 피스(40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120)에는 내부가 폐쇄된 공간을 가지는 체결박스(121)가 지지틀(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속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박스(121)는 지지틀(12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120)의 상면에는 피스(400)가 체결되는 위치가 정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체결안내홈(122)이 지지틀(1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KR1020150067013A 2015-05-14 2015-05-14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KR10155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013A KR101552158B1 (ko) 2015-05-14 2015-05-14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013A KR101552158B1 (ko) 2015-05-14 2015-05-14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158B1 true KR101552158B1 (ko) 2015-09-14

Family

ID=5424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013A KR101552158B1 (ko) 2015-05-14 2015-05-14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1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569A (ko) * 2020-02-12 2021-08-20 전나래 다양한 규격의 그레이팅을 하나의 프레스 금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레이팅
KR20220008647A (ko) * 2020-07-14 2022-01-21 최혁수 관통 슬리브유닛
KR20230066813A (ko) 2021-11-08 2023-05-16 주식회사 금강스틸산업 고정형 그레이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247U (ja) 1995-03-28 1995-10-24 洋二 佐々木 高さ調整金具および高さ調整金具付コンクリート部材
JP2000153301A (ja) 1998-11-17 2000-06-06 Toyo Kogyo Kk 熱間圧延山形鋼
KR100287630B1 (ko) 1997-06-27 2001-05-02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미리 조립된 매니폴드 고정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247U (ja) 1995-03-28 1995-10-24 洋二 佐々木 高さ調整金具および高さ調整金具付コンクリート部材
KR100287630B1 (ko) 1997-06-27 2001-05-02 토마스 더블유. 버크맨 미리 조립된 매니폴드 고정장치 및 그 방법
JP2000153301A (ja) 1998-11-17 2000-06-06 Toyo Kogyo Kk 熱間圧延山形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569A (ko) * 2020-02-12 2021-08-20 전나래 다양한 규격의 그레이팅을 하나의 프레스 금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레이팅
KR102349396B1 (ko) * 2020-02-12 2022-01-07 전나래 다양한 규격의 그레이팅을 하나의 프레스 금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레이팅
KR20220008647A (ko) * 2020-07-14 2022-01-21 최혁수 관통 슬리브유닛
KR102417492B1 (ko) * 2020-07-14 2022-07-06 최혁수 관통 슬리브유닛
KR20230066813A (ko) 2021-11-08 2023-05-16 주식회사 금강스틸산업 고정형 그레이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158B1 (ko) 소음방지용 그레이팅의 고정 설치구조
CN111719846B (zh) 用于将物体保持在模板面板上的保持器
EP3604709A1 (de) Verwendung einer durchführung zum eingiessen in ein bodenelement
JP6441836B2 (ja) コンクリート壁高欄の取付け構造
JP4448066B2 (ja) 可撓止水継手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4298714B2 (ja) ブロックの高さ調整具及びブロック積重方法
KR101522184B1 (ko) 소음 및 이탈 방지용 배수로등 덮개의 조립식 받침틀
KR101661034B1 (ko) 벽체시공용 수도관 지지장치
AU2016256678A2 (en) Creation of Surface-Mounted Sills or Hobs on Cast-in-situ Concrete Building Slabs
KR20160106014A (ko) 지하주차장에 시공된 노후화된 트렌치의 보수용 받침 앵글 및 그 보수용 받침 앵글을 이용한 보수 시공방법
EP3337926B1 (de) Einrichtung zum abdecken mindestens eines bauteils eines schienen-befestigungssystems für einen befestigungspunkt sowie befestigungssystem
JP5947105B2 (ja) PCa型枠の固定構造
DE102018005720A1 (de) Verwendung einer Durchführung zum Eingießen in eine Bodenplatte
JP5455389B2 (ja) グレーチングの取付構造
KR101554321B1 (ko) 맨홀 유지보수 장치
KR101426497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101079991B1 (ko) 차수막, 벽체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벽체마감 장치 및 설치방법
JP5116242B2 (ja) 門柱改装方法及び門柱改装構造
JP5411626B2 (ja) 防音パネルのコーナー構造
KR20160003162U (ko) 도난방지 구조를 갖는 그레이팅
SG182871A1 (en) Flood protection device for building
DE102018005718A1 (de) Verwendung einer Durchführung zum Eingießen in eine Bodenplatte
KR101471593B1 (ko) 건축물 개구부 보호기구
KR100856888B1 (ko) 맨홀 체결장치
JP4832120B2 (ja) 門柱改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