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274B1 - 대차용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용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274B1
KR101648274B1 KR1020140190436A KR20140190436A KR101648274B1 KR 101648274 B1 KR101648274 B1 KR 101648274B1 KR 1020140190436 A KR1020140190436 A KR 1020140190436A KR 20140190436 A KR20140190436 A KR 20140190436A KR 101648274 B1 KR101648274 B1 KR 101648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release
operating
unit
rele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9292A (ko
Inventor
최주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0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274B1/ko
Publication of KR20160079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a braking member or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the wheel rim, a drum,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005Spring act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차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 내부에 장착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와, 제동부의 제동을 강제로 해제하는 해제부와, 해제부에 연결되고 해제부를 차체 외부에서 작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차체 외부에서 차체의 제동을 해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차용 제동장치{BRAK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대차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동상태를 강제로 해제하여 사고 발생시 대차의 이동을 가능케 하는 대차용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대차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송물을 목적지로 운반한다. 대차는 이송물을 적재하는 복수개의 저장대차와, 저장대차를 이동시키는 이동대차를 포함한다. 대차에는 제동장치가 장착되고, 제동장치는 대차가 정해진 위치에서 정차하도록 바퀴에 제동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998-0081703호(1998.11.25 공개, 발명의 명칭 : 기관차용 브레이크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고 발생시 정차해 있는 대차의 제동상태를 작업자가 강제로 해제하여 대차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대차용 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는: 차체 내부에 장착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 상기 제동부의 제동을 강제로 해제하는 해제부; 및 상기 해제부에 연결되고, 상기 해제부를 상기 차체 외부에서 작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동부는: 제동연결부; 상기 제동연결부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동지지부; 상기 제동지지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동지지부간의 간격에 따라 상기 바퀴부에 밀착되는 제동패드부; 및 상기 제동지지부를 연결하고, 자체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해제부에 의해 상기 제동지지부간의 간격을 늘려주는 제동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제부는: 상기 제동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해제몸체부; 상기 해제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해제몸체부의 회전시 상기 제동조절부를 조작하는 해제작동부; 및 상기 해제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와 결합되는 해제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차체의 외부에 장착되는 조작케이스부; 상기 조작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조작회전부; 상기 조작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케이스부에서 노출되는 조작레버부; 및 상기 조작레버부와 상기 해제부를 연결하는 조작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작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제한부는: 상기 조작회전부에 형성되는 제한돌기부; 상기 조작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한돌기부에 맞물려 상기 조작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레버부; 및 상기 제한레버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한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는 비상 상황에서 바퀴부의 제동을 강제로 해제하여 차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는 조작부가 차체 외부에 위치되므로, 작업자가 차체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서 강제 제동 해제가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는 조작제한부가 조작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불필요한 제동 해제를 방지하거나 제동 해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에서 제동부가 바퀴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해제부가 제동부의 제동을 강제 해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에서 제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에서 해제부가 작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에서 조작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에서 조작부가 고정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에서 제동부가 바퀴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해제부가 제동부의 제동을 강제 해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1)는 제동부(10)와, 해제부(20)와, 조작부(30)를 포함한다.
제동부(10)는 차체(100) 내부에 장착되는 바퀴부(110)에 제동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제동부(10)는 차체(100)에 장착되고, 차체(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바퀴부(110)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차체(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해제부(20)는 제동부(10)의 제동을 강제로 해제한다. 일 예로, 해제부(20)는 제동부(10)의 기기 이상 또는 외부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구동되지 않는 경우, 제동부(10)의 제동을 해제하여 차체(100)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조작부(30)는 해제부(20)에 연결된다. 조작부(30)는 차체(100) 외부에 위치되고, 작업자가 조작부(30)를 조작하면 해제부(20)가 작동된다.
따라서, 용강유출과 같은 사고 발생시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여 제동부(10)의 제동이 해제되지 못하는 경우, 작업자는 차체(100) 외부에서 조작부(30)를 조작한다. 이로 인해 해제부(20)는 제동부(10)의 제동을 해제시킨다. 제동부(10)의 제동이 해제되면, 별도의 견인차량에 의해 차체(100)를 이동시켜 추가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에서 제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동부(10)는 제동연결부(11)와, 제동지지부(12)와, 제동패드부(13)와, 제동조절부(14)를 포함한다.
제동연결부(11)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제동지지부(12)는 제동연결부(11)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제동지지부(12)의 하단부가 제동연결부(11)에 결합된다.
제동패드부(13)는 제동지지부(12)에 각각 장착된다. 제동패드부(13) 사이에는 바퀴부(110)가 배치되고, 제동지지부(12)간의 간격이 줄어들면 제동패드부(13)가 바퀴부(110)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동지지부(12)간의 간격이 늘어나면 제동패드부(13)가 바퀴부(110)에서 이격되어 제동이 해제된다.
제동조절부(14)는 제동지지부(12)를 연결하고, 자체 길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제동조절부(14)에 해제부(20)가 가압되면, 제동조절부(14)의 간격이 강제로 늘어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동조절부(14)는 조절실린더부(141)와, 조절스프링부(142)와, 조절판부(143)와, 조절막대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실린더부(141)는 어느 하나의 제동지지부(12) 상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제동지지부(12) 상단부에 타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조절실린더부(141)는 모터 또는 유압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도록 실린더 형상을 하며, 자체 길이가 늘어나면 제동지지부(12)간의 간격이 벌어지고, 자체 길이가 줄어들면 제동지지부(12)간의 간격이 좁혀질 수 있다. 조절스프링부(142)는 조절실린더부(141)를 감싸도록 코일 형상을 하여 제동지지부(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절판부(143)는 해제부(2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조절스프링부(142)에 지지되어 어느 하나의 제동지지부(12)에 밀착될 수 있다. 조절막대부(144)는 조절판부(143)에서 연장되어 다른 하나의 제동지지부(12)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에서 해제부가 작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제부(20)는 해제몸체부(21)와, 해제작동부(22)와, 해제연결부(23)를 포함한다.
해제몸체부(21)는 제동지지부(12) 중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해제작동부(22)는 해제몸체부(21)에서 연장되고, 해제몸체부(21)의 회전시 인접한 제동조절부(14)를 조작한다. 해제연결부(23)는 해제몸체부(21)에 형성되고, 조작부(30)와 결합된다.
일 예로, 해제몸체부(21)의 회전축에서 하방으로 해제작동부(22)가 연장되고, 해제몸체부(21)가 회전되면 해제작동부(22)가 인접한 조절판부(143)를 밀어낸다. 해제작동부(22)에 의해 이동된 조절판부(143)는 조절스프링부(142)를 가압하고 조절판부(143)에 결합된 조절막대부(144)가 맞은편 제동지지부(12)를 밀어낼 수 있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제동지지부(12)간의 간격이 벌어져 바퀴부(110)에 대한 제동이 강제로 해제될 수 있다. 해제연결부(23)는 어느 하나의 제동지지부(12)에서 다른 하나의 제동지지부(12)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해제몸체부(21)의 단부에 형성되고 조작부(3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작부(30)가 해제연결부(23)를 들어올리면, 해제몸체부(21)가 회전되면서 해제조작부(22)가 제동조절부(14)를 조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에서 조작부가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에서 조작부가 고정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도 2,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30)는 조작케이스부(31)와, 조작회전부(32)와, 조작레버부(33)와, 조작와이어부(34)를 포함한다.
조작케이스부(31)는 차체(100)의 외부에 장착되고, 조작회전부(32)는 조작케이스부(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조작케이스부(31)는 박스 형상을 하고, 조작회전부(32)는 조작케이스부(31)에 내장될 수 있다.
조작레버부(33)는 조작회전부(32)에 장착되고, 조작케이스부(31)에서 노출된다. 일 예로, 조작레버부(33)의 일단부는 조작회전부(32)에 결합될 수 있다. 조작레버부(33)는 조작케이스부(31)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므로, 작업자가 조작케이스부(31)에서 노출된 조작레버부(33)를 조작하여 조작회전부(3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조작와이어부(34)는 조작레버부(33)와 해제부(2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조작와이어부(34)는 일단부가 조작레버부(33)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해제연결부(23)에 결합되는 와이어(341)와, 와이어(341)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풀리(3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30)는 조작제한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작제한부(35)는 조작회전부(32)의 회전을 제한하여, 의도치 않은 조작레버부(33)의 조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제한부(35)는 제한돌기부(351)와, 제한레버부(352)와, 제한탄성부(353)를 포함한다.
제한돌기부(351)는 조작회전부(32)에 형성된다. 일 예로, 제한돌기부(351)는 조작회전부(3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고 기어 형상을 할 수 있다.
제한레버부(352)는 조작케이스부(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한돌기부(351)에 맞물려 조작회전부(32)의 회전을 제한한다. 일 예로, 제한레버부(352)의 일단부는 제한돌기부(351)에 맞물리는 형상을 할 수 있다. 제한레버부(352)는 조작케이스부(31)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므로, 작업자가 조작케이스부(31)에서 노출된 제한레버부(352)를 조작하여 제한돌기부(351)와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제한탄성부(353)는 제한레버부(352)를 탄성 지지한다. 일 예로, 제한탄성부(353)는 일단부가 조작케이스부(31)의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가 제한레버부(352)에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 형상을 할 수 있다. 제한탄성부(353)는 제한레버부(352)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한레버부(352)가 제한돌기부(351)에 맞물리도록, 제한레버부(35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동조절부(14)의 조절실린더부(141) 길이가 줄어들어 한 쌍의 제동지지부(12) 간격이 줄어들면, 제동패드부(13)가 바퀴부(110)에 밀착되어 차체(100)가 정차한다. 차체(100)가 정차하면, 차체(100)에 이송물이 저장된다.
한편, 용강 유출과 같은 설비 사고로 인해 조절실린더부(141)가 파손되어 차체(100)의 제동이 해제되지 못하는 경우, 작업자는 차체(100)의 외부로 노출된 제한레버부(352)를 회전시켜 제한돌기부(351)와 제한레버부(352)간의 맞물림을 해제한다. 제한돌기부(351)와 제한레버부(352)간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제한돌기부(351)가 형성되는 조작회전부(32)의 회전이 가능하다.
작업자는 제한레버부(352)를 회전시킨 후, 차체(100) 외부에 노출된 조작레버부(33)를 회전시킨다. 조작회전부(32)에 결합된 조작레버부(33)가 회전되면, 조작레버부(33)의 단부에 결합된 조작와이어부(34)가 해제연결부(23)를 들어올린다. 이로 인해 해제몸체부(21)가 회전되면서 해제조작부(22)가 조절판부(143)를 밀어내어 제동지지부(12)간의 간격을 벌려준다. 제동지지부(12)간의 간격이 벌어지면, 제동패드부(13)와 바퀴부(110)가 이격되어 바퀴부(110)의 제동이 해제된다.
작업자가 조작회전부(32)를 회전시킨 후, 제한레버부(352)에 대한 외력을 제거하면, 제한탄성부(353)의 복원력에 의해 제한레버부(352)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제한돌기부(351)와 맞물린다. 제한레버부(352)가 제한돌기부(351)에 맞물리면 조작회전부(32)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조작레버부(33)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바퀴부(110)에 대한 제동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한다.
바퀴부(110)에 대한 제동이 해제되면, 별도의 견인차를 이용하여 차체(100)를 이동시켜 추가 설비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1)는 비상 상황에서 작업자가 바퀴부(110)의 제동을 강제로 해제하여 차체(100)를 이동시키므로, 차체(100)의 추가적인 손상 및 이송물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1)는 조작부(30)의 조작레버부(33)가 차체(100) 외부에 위치되므로, 작업자가 차체(100)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서 강제 제동 해제가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용 제동장치(1)는 조작제한부(35)가 조작회전부(32)의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불필요한 조작레버부(33)의 회전에 의한 제동 해제를 방지할 수 있고, 조작레버부(33)가 회전된 후 조작회전부(32)의 회전을 제한하여 제동 해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제동부 11 : 제동연결부
12 : 제동지지부 13 : 제동패드부
14 : 제동조절부 20 : 해제부
21 : 해제몸체부 22 : 해제조작부
23 : 해제연결부 30 : 조작부
31 : 조작케이스부 32 : 조작회전부
33 : 조작레버부 34 : 조작와이어부
35 : 조작제한부 100 : 차체
110 : 바퀴부 141 : 조절실린더부
142 : 조절스프링부 143 : 조절판부
144 : 조절막대부 341 : 와이어
342 : 풀리 351 : 제한돌기부
352 : 제한레버부 353 : 제한탄성부

Claims (6)

  1. 차체 내부에 장착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부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제동부;
    상기 제동부의 제동을 강제로 해제하는 해제부; 및
    상기 해제부에 연결되고, 상기 해제부를 상기 차체 외부에서 작동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부는
    제동연결부;
    상기 제동연결부의 양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동지지부;
    상기 제동지지부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동지지부간의 간격에 따라 상기 바퀴부에 밀착되는 제동패드부; 및
    상기 제동지지부를 연결하고, 자체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해제부에 의해 상기 제동지지부간의 간격을 늘려주는 제동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동조절부는
    상기 제동지지부의 상단부 내측에 양단부가 연결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조절실린더부;
    상기 제동지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실린더부를 감싸도록 코일 형상을 갖는 조절스프링부;
    상기 조절스프링부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동지지부에 밀착되는 조절판부; 및
    상기 조절판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동지지부를 지지하는 조절막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부는
    상기 제동지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해제몸체부;
    상기 해제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해제몸체부의 회전시 상기 조절판부를 조작하는 해제작동부; 및
    상기 해제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와 결합되는 해제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제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차체의 외부에 장착되는 조작케이스부;
    상기 조작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조작회전부;
    상기 조작회전부에 장착되고, 상기 조작케이스부에서 노출되는 조작레버부; 및
    상기 조작레버부와 상기 해제부를 연결하는 조작와이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제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작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제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제한부는
    상기 조작회전부에 형성되는 제한돌기부;
    상기 조작케이스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제한돌기부에 맞물려 상기 조작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레버부; 및
    상기 제한레버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한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제동장치.
KR1020140190436A 2014-12-26 2014-12-26 대차용 제동장치 KR101648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436A KR101648274B1 (ko) 2014-12-26 2014-12-26 대차용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436A KR101648274B1 (ko) 2014-12-26 2014-12-26 대차용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292A KR20160079292A (ko) 2016-07-06
KR101648274B1 true KR101648274B1 (ko) 2016-08-12

Family

ID=5650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436A KR101648274B1 (ko) 2014-12-26 2014-12-26 대차용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2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326Y1 (ko) 2003-12-11 2004-03-16 주식회사 스마코 용선운반대차 휠의 브레이크 장치
KR100535879B1 (ko) 2003-05-20 2005-1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경사조절장치
KR100779649B1 (ko) 2001-11-12 2007-11-26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기 주행부의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649B1 (ko) 2001-11-12 2007-11-26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기 주행부의 제동장치
KR100535879B1 (ko) 2003-05-20 2005-1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컬럼의 경사조절장치
KR200345326Y1 (ko) 2003-12-11 2004-03-16 주식회사 스마코 용선운반대차 휠의 브레이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292A (ko)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76948B2 (ja) 軌道用の台車
US9511782B2 (en) Braking systems for railway cars
KR101648274B1 (ko) 대차용 제동장치
RU2715326C2 (ru) Тормозные системы для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вагонов
US11667496B2 (en) Roller system, roller braking device and elevator system
US9068609B2 (en) Aisle emergency brake for rail-guided vehicle
US9238429B2 (en) Sliding platform with dual braking
KR101931517B1 (ko) 자력식 레일 스토퍼
EP2431261B1 (en) Safety device for a spare-wheel pick-up system
JP6238638B2 (ja) 軌道用台車のブレーキ装置
JP6351560B2 (ja) 運搬台車
JP5764166B2 (ja) 保守用トロッコ
CN204198305U (zh) 工程车辆
JP5590470B2 (ja) 搬送用走行体のロック装置
FI127897B (en) Platform unit system with brake system
JP5800791B2 (ja) 保守用トロッコ
CA2755082C (en) Sliding platform with dual braking
KR200229911Y1 (ko) 화차용 수용제동기의 조작장치
KR101178191B1 (ko) 카 덤퍼용 화차 지지 장치
CN102701074A (zh) Lsd-i型收轨工作装置移动梁组成
JP5764165B2 (ja) 保守用トロッコ
KR101443092B1 (ko) 보기 회전방지장치
KR101298712B1 (ko) 트리퍼 카 제동장치
KR20120039103A (ko)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US2017032713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o maintain minimum clearance between train and railway infra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