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103A -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103A
KR20120039103A KR1020100100615A KR20100100615A KR20120039103A KR 20120039103 A KR20120039103 A KR 20120039103A KR 1020100100615 A KR1020100100615 A KR 1020100100615A KR 20100100615 A KR20100100615 A KR 20100100615A KR 20120039103 A KR20120039103 A KR 20120039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release
lock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준형
Original Assignee
(주)소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명 filed Critical (주)소명
Priority to KR1020100100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9103A/ko
Publication of KR2012003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1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54Automatic securing or unlocking of bolts triggered by certain vehicle parameters, e.g. exceeding a speed threshol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이동 상태에 따라 출입문을 비상 개방이 가능하거나 불가능하게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이 정지된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출입문의 수동 개방을 위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운행 중 출입문의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는, 차량의 출입구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몸체, 조작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도어몸체를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도어몸체를 폐쇄 상태로 고정하는 잠금수단, 비상시에 상기 잠금수단을 해제하여 출입문을 수동 개방할 수 있게 하는 해제용 조작기구를 구비한 자동 개폐식 출입문에 적용되는 것으로, 차량이 이동 상태인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수단; 및 상기 이동 감지수단에 의해 전달된 신호 입력에 따라 차량이 정지된 상태일 때에는 상기 조작기구의 작동을 인가하여 상기 잠금수단의 해제가 가능하게 하고, 차량이 이동하는 상태일 때에는 상기 조작기구의 작동을 억제하여 상기 잠금수단의 해제를 방지하는 해제 제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CONTROLLER FOR EMERGENCY DOOR OPEN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이동 상태에 따라 출입문을 비상 개방이 가능하거나 불가능하게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시에 출입문을 수동으로 개방하기 위해 구비된 잠금 해제장치가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만 작동될 수 있게 하여 차량의 주행 중에 오조작이나 장난 등으로 인해 출입문이 비상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을 비롯하여 주로 다수의 사람을 함께 이동시키는 대형 운송수단으로 이용되는 버스, 전철, 기차 등의 차량에는 많은 승객이 신속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출입구가 구비되며, 각 출입구에는 운전자나 승무원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자동 개폐되는 출입문이 설치된다.
이러한 자동 개폐식 출입문은 슬라이드식이나 회동식 등 다양한 개폐 구조를 가지며, 전동식이나 유압식 등 다양한 방식의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예를 들어 전철과 같은 철도 차량에는 각 출입구 별로 설치된 한 쌍의 도어몸체가 모터 구동장치에 의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전동식 출입문이 설치된다. 상기한 전동식 출입문은 통상 롤러에 의해 수평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행거에 각 도어몸체가 거치되고, 모터에 의한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행거가 수평 이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모터의 구동 제어에 따라 도어몸체가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운행 중에 출입문이 열릴 경우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게 되므로, 폐쇄 위치에 출입문을 고정시키는 전기식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개방 조작 없이 출입문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고장이 생겨 운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비상 상황으로 인해 승객들이 하차하고자 할 때, 출입문의 자동 개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승객들이 직접 수동으로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도록 비상 개방용 해제장치가 설치된다. 이 비상 개방용 해제장치는 통상 레버나 핸들과 같은 조작기구를 구비하며, 이를 손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 동력 및 잠금장치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사용자가 비교적 적은 힘을 가해 도어몸체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비상 개방용 해제장치는 비상시 승객들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조작 방법도 간단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비상 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장난이나 범죄 등 바람직하지 못한 목적을 가진 사람에 의해 해제장치가 작동되어 불필요하게 출입문이 수동 개방될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비정상적으로 출입문이 개방되면 차량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신속하고 안전한 운행을 저해할 수 있으며, 특히 차량의 운행 중에 출입문이 개방될 경우 승객의 차량 이탈 등으로 인해 심각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이 정지된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출입문의 수동 개방을 위한 잠금 해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운행 중 출입문의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출입구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몸체, 조작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도어몸체를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도어몸체를 폐쇄 상태로 고정하는 잠금수단, 비상시에 상기 잠금수단을 해제하여 출입문을 수동 개방할 수 있게 하는 해제용 조작기구를 구비한 자동 개폐식 출입문에 있어서, 차량이 이동 상태인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수단; 및 상기 이동 감지수단에 의해 전달된 신호 입력에 따라 차량이 정지된 상태일 때에는 상기 조작기구의 작동을 인가하여 상기 잠금수단의 해제가 가능하게 하고, 차량이 이동하는 상태일 때에는 상기 조작기구의 작동을 억제하여 상기 잠금수단의 해제를 방지하는 해제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에서, 상기 이동 감지수단은 차량의 차륜, 차축, 모터의 출력축, 모터와 차축 간의 구동축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센서, 상기 이동 감지수단은 차량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변위센서, GPS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GPS수신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해제 제한수단은 상기 조작기구의 작동 경로에 설치되어 이동 또는 회전 위치에 따라 조작기구의 작동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톱퍼와, 상기 이동 감지수단으로 전달된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스톱퍼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고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위치를 유지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모터의 구동에 의한 전동액츄에이터, 유체의 압력에 의한 신축실린더, 자기장에 의한 솔레노이드 및 전자브레이크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운행 상태를 감지하여 차량이 운행 중일 때에는 출입문 잠금장치 해제용 조작기구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하고 차량이 정지 중일 때에만 상기 조작기구에 의한 잠금장치의 해제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시에 기존과 같이 용이하게 출입문을 비상 개방할 수 있으면서도 차량의 운행 중에는 출입문의 수동 개방을 차단하여 비정상적인 출입문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개방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자동 개폐형 차량 출입문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출입문 구조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출입문 구조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잠금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자동 개폐형 차량 출입문은 행거(37)에 부착된 도어몸체(미도시)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도어프레임(38), 이 도어프레임(38)에 장착되어 도어몸체가 닫힐 때 잠금 상태를 감지하는 잠금스위치(33), 상기 도어프레임(38)의 일측에 도어몸체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이송스크류(30), 상기 이송스크류(30)의 중앙부 측에 설치되어 잠금로울러(26)와 연동하여 잠금 또는 해제 기능을 하는 캠뭉치(10), 일측은 상기 이송스크류(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도어몸체에 연결된 슬라이딩유닛(20), 도어몸체가 닫힐 때 잠금 신호가 발생되도록 잠금스위치(33)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누름판(21), 상기 캠뭉치(10)와 연동하여 스위치누름판(21)이 잠금스위치(33)를 작동시키게 하는 잠금로울러(22)를 구비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어프레임(38) 상에 잠금스위치(33), 이송스크류(30), 캠뭉치(10) 및 슬라이딩유닛(20)이 각각 상호 대칭되게 한 조로 마련된다. 이는 도어몸체가 한 조로 마련되어 상호 접근 및 이격되면서 닫히거나 열리는 구조에 적용된 것을 예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적용되는 출입문의 구조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도어프레임(38) 상에 하나의 도어몸체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잠금스위치(33), 이송스크류(30), 캠뭉치(10) 및 슬라이딩유닛(20)은 하나씩만 구비되는 것으로 충분하며, 본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잠금스위치(33)는 도어프레임(38)의 상부에서 도어프레임(38)에 연결된 잠금스위치 연결블록(39)에 결합된다. 잠금스위치(33)는 스위치누름판(21)에 의해 작동되어, 즉 눌려지는 동작에 의해 잠금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스위치로 작용되므로, 잠금스위치 연결블록(3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위치누름판(21)이 잠금스위치(33)를 누르면 잠금스위치(33)가 잠금스위치 연결블록(39) 상에서 일정한 각도로 눌려지면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잠금스위치(33)를 도어프레임(38) 측으로 더욱 근접하게 배치하고, 스위치누름판(21)이 잠금스위치(33)에 근접되었을 때 잠금 신호가 발생되도록 근접 센서를 이용한 구조도 적용 가능하다. 어떠한 감지방식이 적용되더라도 도어몸체가 닫혔을 때 잠금 기능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만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이송스크류(30)는 모터(31)의 출력에 의해 회전되어 도어몸체가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슬라이딩유닛(20)에 이송력을 가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모터(31)에 의한 동일방향의 회전에 의해 양측 도어몸체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30)가 중앙부분을 사이로 두고 양측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 별도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이송스크류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양측 이송스크류는 동일 방향 회전에 의해 반대 방향의 이송력을 가하도록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할 수도 있고, 반대 방향 회전에 의해 동일 방향의 이송력을 가하도록 서로 동일한 방향의 나사산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캠뭉치(10)는 출입문의 잠금 상태 해제를 위한 수단으로 예시된 것으로, 해제와이어(34a)와 연결되어 잠금의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잠금로울러(26)를 밀어주는 해제캠(11), 상기 이송스크류(30)가 열림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송스크류(30)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을 하면서 잠금로울러(26)를 밀어 해제되게 열림캠(12), 상기 이송스크류(30)가 닫힘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송스크류(30)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하고 이송너트(25)가 출입문의 닫힘 방향으로 끝까지 왔을 때 잠금로울러(26)의 일측과 겹침으로서 잠금 동작을 하는 잠금캠(13), 상기 해제캠(11), 열림캠(12) 및 잠금캠(13)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너트(14), 상기 캠들(11, 12, 13)을 고정하는 캠샤프트(15), 상기 해제캠(11)의 회전 각도를 일정 범위로 제한하는 장공(16)이 구비된 캠하우징(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해제캠(11)은 캠뭉치(10)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이송스크류(30)의 회전과는 상관없이 해제와이어(34a)에 의해서만 동작을 한다. 비상시 해제와이어(34a)가 당겨지면 해제와이어(34a)와 연결된 해제캠(11)의 일측이 상기 장공(16)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이동을 하면서 해제캠(11)을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한다. 이때 해제캠(11)의 돌출된 부분이 잠금로울러(26)를 눌러주어 잠금로울러(26)는 잠금캠(13)과 체결되어있던 잠금 위치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상기 잠금캠(13)은 이송스크류(30)가 회전할 때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을 하게 되며, 슬라이딩유닛(20)의 진행방향과 수직이 되게 잠금로울러(26)와 상호 작용을 하여 잠금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잠금로울러(26)와 잠금캠(13)은 도어몸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수직으로 체결되어 있으므로, 도어몸체를 임의로 수동 개방하려고 할 때 잠김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열림캠(12)은 잠금캠(13)과 같이 이송스크류(30)가 회전할 때 동일한 각도만큼 회전을 하게 되며, 도어몸체가 열림의 동작을 시작할 시 잠금로울러(26)를 눌러주어 잠금로울러(26)가 잠금캠(13)과 체결되어있던 잠금의 위치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해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슬라이딩유닛(20)은 상기 이송스크류(30)에 나사 결합되어 이송스크류(30)의 회전에 따라 종방향 이동되는 이송너트(25), 이 이송너트(25)를 부분적으로 감싸 지지하는 너트하우징(24), 상기 이송너트(25)가 너트하우징(24) 내에서 일정 길이만큼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7), 이 스프링(27)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지지대(28), 상기 캠뭉치(10)와 상호 작용하여 잠금의 기능을 하는 잠금로울러(26), 일측은 상기 너트하우징(24)과 연결되고 타측은 스위치누름판(21)과 연결된 잠금로울러홀더(23), 상기 잠금로울러홀더(23)의 일측에 연결되어 잠금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누름판(21), 슬라이딩유닛(20)을 도어몸체와 연결시키는 링크(36), 힌지(35) 및 행거(37)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너트(25)와 너트하우징(24) 사이에는 이송너트(25)가 너트하우징(24)에 대해 도어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 유동공간에는 스프링(27)과 스프링지지대(28)가 구비되어 열림 동작이 시작될 때 이송스크류(30)가 회전하여 캠뭉치(10)가 초기에 어느 정도 이동하더라도 잠금로울러(26)와 너트하우징(24)이 도어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을 하지 않게 함으로써, 잠금로울러(26)와 잠금캠(13) 간의 잠금이 원활하게 해제될 수 있게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도어몸체에는 도어몸체가 닫힐 때 도어몸체의 닫힘 상태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닫힘 스위치(32)가 구비된다. 이 닫힘 스위치(32)는 도어몸체가 닫혔다는 상태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잠금스위치(33)에 의한 잠금 신호가 발생되기 전에 출입문의 닫힘을 알리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출입문 잠금장치의 구조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중 일례를 예시한 것으로, 전술한 캠 방식 구조 외에 다양한 방식의 잠금 및 해제 구조를 갖는 출입문 잠금장치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 개폐식 출입문에 있어서, 본 발명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는 상기 잠금장치의 해제가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이 이동 상태인지 정지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수단, 차량이 이동 상태일 경우 해제가 불가능하도록 잠금장치의 해제를 제한하는 해제 제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 감지수단은 차축이나 차륜, 또는 주행 모터의 출력축이나 이 출력축과 연결된 구동축 등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차량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변위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센서 방식 외에 GPS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이동 감지수단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차량의 운행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기존에 구비된 수단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해제 제한수단은 비상시에 상기한 바와 같은 출입문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비상레버나 비상핸들 등과 같은 조작기구의 작동을 강제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해제 제한수단은 상기 조작기구의 작동 경로에 설치되어 이동 또는 회전 위치에 따라 조작기구의 작동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톱퍼, 상기 이동 감지수단으로 전달된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스톱퍼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고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위치를 유지시키는 액츄에이터 등을 구비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모터의 구동에 의한 전동액츄에이터, 유체의 압력에 의한 신축실린더, 자기장에 의한 솔레노이드나 전자브레이크 등 소정의 작동력 및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 감지수단에 의해 차량이 운행 중인 것이 감지될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스톱퍼가 조작기구를 고정시키는 잠금위치를 유지하게 되므로, 조작기구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불온한 의도를 갖는 승객 등에 의해 임의적으로 출입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 감지수단에 의해 차량이 정지 상태인 것이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스톱퍼가 해제 위치로 이동 또는 회전되어 조작기구의 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비상 상황 발생시 통상의 경우와 동일하게 조작기구를 이용하여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하고 수동으로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상상황 시에 추가적인 조작 없이도 기존과 동일하게 출입문을 비상 개방하여 하차가 가능하면서도 차량의 운행 중에는 출입문이 수동 개방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출입문 개방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캠뭉치 11 : 해제캠
12 : 열림캠 13 : 잠금캠
14 : 풀림방지너트 15 : 캠샤프트
16 : 장공 17 : 캠하우징
20 : 슬라이딩유닛 21 : 잠금스위치누름판
22 : 잠금스위치누름판로울러 23 : 잠금로울러홀더
24 : 너트하우징 25 : 스크류너트
26 : 잠금로울러 27 : 스프링
30 : 이송스크류 31 : 모터
32 : 닫힘스위치 33 : 잠금스위치
34a : 해제와이어 36 : 링크
37 : 행거 38 : 도어프레임

Claims (6)

  1. 차량의 출입구에 회전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몸체, 조작 명령 입력에 따라 상기 도어몸체를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상기 도어몸체를 폐쇄 상태로 고정하는 잠금수단, 비상시에 상기 잠금수단을 해제하여 출입문을 수동 개방할 수 있게 하는 해제용 조작기구를 구비한 자동 개폐식 출입문에 있어서,
    차량이 이동 상태인지 정지 상태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동 감지수단; 및
    상기 이동 감지수단에 의해 전달된 신호 입력에 따라 차량이 정지된 상태일 때에는 상기 조작기구의 작동을 인가하여 상기 잠금수단의 해제가 가능하게 하고, 차량이 이동하는 상태일 때에는 상기 조작기구의 작동을 억제하여 상기 잠금수단의 해제를 방지하는 해제 제한수단을 포함하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수단은 차량의 차륜, 차축, 모터의 출력축, 모터와 차축 간의 구동축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수단은 차량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변위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감지수단은 GPS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GPS수신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제한수단은 상기 조작기구의 작동 경로에 설치되어 이동 또는 회전 위치에 따라 조작기구의 작동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스톱퍼와, 상기 이동 감지수단으로 전달된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스톱퍼를 이동 또는 회전시키고 고정력을 제공하도록 위치를 유지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모터의 구동에 의한 전동액츄에이터, 유체의 압력에 의한 신축실린더, 자기장에 의한 솔레노이드 및 전자브레이크 중 하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KR1020100100615A 2010-10-15 2010-10-15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KR201200391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615A KR20120039103A (ko) 2010-10-15 2010-10-15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615A KR20120039103A (ko) 2010-10-15 2010-10-15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103A true KR20120039103A (ko) 2012-04-25

Family

ID=46139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615A KR20120039103A (ko) 2010-10-15 2010-10-15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910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910B1 (ko) * 2011-11-14 2013-08-27 한국산업은행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CN112786320A (zh) * 2019-11-11 2021-05-11 沈阳博得交通设备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电动车门行程开关的触发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910B1 (ko) * 2011-11-14 2013-08-27 한국산업은행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CN112786320A (zh) * 2019-11-11 2021-05-11 沈阳博得交通设备有限公司 一种轨道车辆电动车门行程开关的触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590B1 (ko) 캠을 이용한 전기식 도어 잠금 시스템
KR100617353B1 (ko) 자동차 도어용 잠금 장치
EP2119613B1 (en) Open/close control system for inspection lid
US8661733B2 (en) Electrical door-locking device
KR101262148B1 (ko)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KR101383459B1 (ko) 철도차량 객실 통로문 시스템
EP3421700B1 (en) Door operator system, emergency release device and door isolation lock for a transit vehicle door
KR20120039103A (ko) 차량 출입문의 비상 개방 제어장치
US6729072B1 (en) Integral latch and drive system for a powered sliding door
KR101121753B1 (ko)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및 그를 포함한 전기식 도어
JP2008285248A (ja) 安全装置付き自動開閉扉
KR101300910B1 (ko)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KR101464471B1 (ko) 열차 비상용 도어 개폐장치
AU2015217685B2 (en) Device for unlocking a vehicle door
KR20130053032A (ko) 전기식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및 그에 적용되는 잠금장치
KR101185531B1 (ko)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
JP2017106276A (ja) ドア開閉制御装置
KR101436675B1 (ko)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장치
JP6061565B2 (ja) 建設機器のゲートレバー装置
WO2019073536A1 (ja) 鉄道車両用錠装置
JP2004232252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200398549Y1 (ko)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KR20130024522A (ko)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KR20120124267A (ko) 전동차 도어 자동 개폐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63324A (ko) 도어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