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531B1 -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531B1
KR101185531B1 KR1020120074632A KR20120074632A KR101185531B1 KR 101185531 B1 KR101185531 B1 KR 101185531B1 KR 1020120074632 A KR1020120074632 A KR 1020120074632A KR 20120074632 A KR20120074632 A KR 20120074632A KR 101185531 B1 KR101185531 B1 KR 101185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ing
train door
emergency
rot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이종기
Original Assignee
흥일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흥일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흥일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4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2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carri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363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railwa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05Y2201/22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복수개의 도어 중에 일부의 고장으로 고장 도어의 폐쇄운행시 고장난 도어의 수동개폐에 따른 차량운행정지 및 안전사고의 유발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발명은 비상시에 열차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도록 열차도어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비상핸들부; 상기 비상핸들부의 후면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열차도어의 회전을 위한 작동선이 외주에 권취되도록 설치되되,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시 상기 열차도어가 수동 개폐되도록 작동되며,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된 회전판돌출부 및 구속부가 구비된 핸들회전판; 수동개방을 위한 상기 비상핸들부의 회전시 상기 핸들회전판에 구비된 회전판돌출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개폐신호를 중앙제어반으로 송신하는 자동복귀접점이 구비된 리미트스위치; 상기 열차도어의 고장시 제어전원이 차단되어 바이패스된 상태인 경우 상기 열차도어의 운행중 수동개폐를 방지하도록, 마스터키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구속부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회전판의 회전을 구속하여 락킹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락킹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되, 락킹시 상기 핸들락킹부의 선택적인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중앙제어반 및 상기 열차도어의 도어제어유닛으로 락킹신호를 송신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emergency handle isolation apparatus of train door}
본 발명은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도어 중에 일부의 고장으로 고장 도어의 폐쇄운행시 고장난 도어의 수동개폐에 따른 차량운행정지 및 안전사고의 유발을 방지하기 위한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을 비롯하여 주로 다수의 사람을 함께 이동시키는 대형 운송수단으로 이용되는 버스, 전철, 기차 등의 차량에는 많은 승객이 신속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출입구가 구비되며, 각 출입구에는 운전자나 승무원이 간단한 조작을 통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자동 개폐되는 열차도어(1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자동 개폐식 상기 열차도어(100)는 슬라이드식이나 회동식 등 다양한 개폐 구조를 가지며, 전동식, 공압식, 그리고 유압식 등 다양한 방식의 구동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여기서, 전철과 같은 열차에는 각 상기 열차도어(100) 별로 설치된 한 쌍의 도어몸체가 모터 구동장치에 의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는 전동식 열차도어(100)가 설치된다. 상기 전동식 열차도어(100)는 통상 롤러에 의해 수평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행거에 각 도어몸체가 거치되고, 모터에 의한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행거가 수평 이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모터의 구동 제어에 따라 도어몸체가 개방 또는 폐쇄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열차의 운행 중에 상기 열차도어(100)가 열릴 경우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게 되므로, 폐쇄 위치에 상기 열차도어(100)를 고정시키는 전기식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개방 조작 없이 상기 열차도어(10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래기술의 열차도어 및 비상핸들부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열차도어(100) 및 비상핸들부(200)를 설명하면,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고장이 생겨 운행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비상 상황으로 인해 승객들이 하차하고자 할 때, 상기 열차도어(100)의 자동 개방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하여 승객들이 직접 수동으로 상기 열차도어(100)을 개방할 수 있도록 비상 개방용 해제장치가 설치된다. 이 비상 개방용 해제장치는 통상 레버나 핸들과 같은 조작기구를 구비하며, 이를 손으로 작동시키면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 동력 및 잠금장치의 고정력이 해제되어 사용자가 비교적 적은 힘을 가해 도어몸체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복수개의 상기 열차도어(100) 중에 일부가 고장이 났을 때 고장난 열차도어(100)에는 임시로 전기적인 신호를 차단하여 폐쇄상태로 둔다. 이때, 승객은 다른 열차도어(100)를 사용하게 되는데, 어떤 승객이 상기 비상핸들부(200)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고장난 열차도어(100)가 수동개폐되어 차량운행에 문제가 되었다.
그리고, 상기 고장난 열차도어(100)는 중앙제어반에서 제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동개방시 신속하고 안전한 운행을 저해할 수 있으며, 특히 제어가 불가능한 열차도어(100)가 개방된 상태로 열차가 이동하게 될 경우 승객의 열차 이탈 등으로 인해 심각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요구되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3166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개의 열차도어 중에 일부의 고장으로 고장 열차도어의 폐쇄운행시 고장난 열차도어의 수동개폐에 따른 차량운행정지 및 안전사고의 유발을 방지하기 위한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상시에 열차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도록 열차도어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비상핸들부; 상기 비상핸들부의 후면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열차도어의 회전을 위한 작동선이 외주에 권취되도록 설치되되,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시 상기 열차도어가 수동 개폐되도록 작동되며,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된 회전판돌출부 및 구속부가 구비된 핸들회전판; 수동개방을 위한 상기 비상핸들부의 회전시 상기 핸들회전판에 구비된 회전판돌출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개폐신호를 중앙제어반으로 송신하는 자동복귀접점이 구비된 리미트스위치; 상기 열차도어의 고장시 제어전원이 차단되어 바이패스된 상태인 경우 상기 열차도어의 운행중 수동개폐를 방지하도록, 마스터키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구속부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회전판의 회전을 구속하여 락킹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락킹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되, 락킹시 상기 핸들락킹부의 선택적인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중앙제어반 및 상기 열차도어의 도어제어유닛으로 락킹신호를 송신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회전판돌출부의 수동개방을 위한 회전방향의 전단부에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락킹부의 락킹몸체부에는 상기 구속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구속돌기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상핸들부의 후면에 상기 핸들회전판이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선이 외주에 권취되며,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시 상기 열차도어가 수동 개폐되도록 작동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상기 핸들락킹부는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회전판의 구속부에 결합되어 락킹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핸들락킹부의 일측에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돌출부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핸들락킹부의 전방측에는 상기 마스터키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핸들락킹부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마스터키 형합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복수개의 상기 열차도어 중에 일부가 고장이 났을 때 고장 열차도어의 전기적 신호 차단 및 폐쇄운행시, 마스터키를 마스터키 형합부에 삽입 및 회전하면 상기 핸들락킹부가 회전되면서 구속돌기 및 구속부를 결합해 상기 비상핸들부는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고, 고장난 상기 열차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해져 차량운행의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락킹몸체부 일측에 형성된 가압돌출부의 선택적인 가압 여부에 따라, 락킹시 가압되지 않으면 열림회로를 구성하고, 락킹해제시 가압되면 닫힘회로를 구성하여, 상기 중앙제어반 및 도어제어유닛으로 락킹 및 락킹해제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즉각적으로 작동상태를 안내해 열차운행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상기 핸들락킹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면에서 락킹정면링 및 락킹후면링을 구비하여, 열차의 떨림으로 인한 회전의 방지, 틈을 통한 누수의 방지, 그리고 마찰로 인한 마모의 방지를 함으로써 상기 핸들락킹부의 작동성 및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종래기술의 열차도어 및 비상핸들 차단장치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핸들 차단장치의 정면 반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A-A"방향에서 본 반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차도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핸들 차단장치의 락킹해제시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핸들 차단장치의 락킹시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B-B"방향에서 본 반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들락킹부가 분해된 비상핸들 차단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 발생시에 비상핸들 차단장치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핸들 차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A-A"방향에서 본 반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차도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10)는 비상핸들부(20), 핸들회전판(30), 리미트스위치(40), 핸들락킹부(50), 그리고 마이크로 스위치(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열차도어(6)와 인접한 위치에는 비상시에 상기 열차도어(6)를 수동으로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상기 열차도어(6)의 비상핸들 차단장치(10)의 하우징(13)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13)은 정면측의 하우징커버(14)와 후측의 하우징본체(16)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커버(14)의 일측에는 커버중공부(15)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본체(16)에서 상기 커버중공부(15)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본체침강부(17)가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본체침강부(17)에 상기 비상핸들부(2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상핸들부(20)는 상기 하우징본체(16)에 비상핸들축(22)을 연결하여 상기 열차도어(6)를 수동으로 개폐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3)의 외면에는 상기 비상핸들부(20)의 기설정된 회전방향으로 회전시 수동개폐를 작업자에게 안내하도록 회전방향에 대한 안내표식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핸들회전판(30)은 상기 비상핸들축(22)으로 연결되어 상기 비상핸들부(20)의 후면에서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열차도어(6)의 수동개폐를 위한 작동선을 도르래 형태의 외주에 권취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핸들회전판(30)은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선을 권취하고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시 상기 작동선과 그에 연결된 도어구동장치(4)의 결속력을 소실하여 수동개폐되도록 작동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리미트스위치(40)는 자동복귀접점의 가압시 폐회로 및 열린회로를 형성하고, 미가압시 자동복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미트스위치(40)는 상기 핸들회전판(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된 회전판돌출부(33)에 상기 비상핸들부(20)의 회전시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수동개방을 위한 개폐신호를 중앙제어반(2)으로 송신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핸들 차단장치의 락킹해제시 후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핸들 차단장치의 락킹시 후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속부(35)의 결합을 설명하면, 상기 구속부(35)는 상기 핸들회전판(30)은 외주방향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핸들락킹부(50)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회전판(30)의 회전을 구속한다.
여기서, 상기 구속부(35)는 상기 회전판돌출부(33) 및 상기 회전판돌출부(33)의 수동개방방향 전단에 형성된 회전판돌기(34) 사이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돌출부(33) 및 회전판돌기(34)는 상기 핸들회전판(30)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되 정면측 외주 및 후면측 외주에 각각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속부(35)는 다른 일측에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락킹부(50)는 수동개폐를 방지하도록, 상기 마스터키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회전판(30)의 구속부(35)에 결합되어 락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들락킹부(50)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락킹회전축(52), 락킹몸체부(60), 락킹정면링(56), 락킹후면링(58), 그리고 락킹스톱링(67)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락킹회전축(52)은 상기 하우징(1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상기 하우징(13)의 일측의 락킹홀(18)을 관통하고, 후방측에 각진 축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승무원에게 소지되는 상기 마스터키가 전방측에 형성된 마스터키 형합부(53)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핸들락킹부(50)를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터키는 실질적으로 모든 형태의 상기 마스터키 형합부(53)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락킹몸체부(60)는 상기 하우징본체(16)의 후면에 구비되되, 상기 각진 축에 대응되게 상기 락킹몸통홀(61)을 형성하여 체결되고, 상기 락킹회전축(52)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킹몸체부(60)는 일측에 상기 구속부(3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속돌기(63)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3)에 상기 락킹회전축(52) 및 락킹몸체부(60)가 회전되므로, 밀폐 및 마찰을 줄이기 위해 상기 핸들락킹부(50)는 상기 락킹정면링(56), 상기 락킹후면링(58), 상기 락킹스톱링(67), 그리고 돌출외주(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락킹정면링(56)은 상기 락킹회전축(52)의 상기 마스터키 형합부(53) 및 하우징(13)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13)의 떨림으로 인한 상기 락킹회전축(5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외주(54)는 상기 마스터키 형합부(53) 후측에서 상기 락킹정면링(56)의 내주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킹정면링(56)의 외주는 상기 하우징(13)의 락킹홀(18)보다 크게 형성되어 분리되지 않고 빈틈없이 체결되어 누수방지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후면링(58)은 홀에 상기 락킹회전축(52)을 체결하여 상기 하우징(13) 및 락킹몸체부(60) 사이에서 마찰로 인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락킹스톱링(67)은 상기 핸들락킹부(50)의 장치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홀에 형성된 돌기가 상기 락킹회전축(52) 후단의 스크류 등으로 형성된 나사에 정면방향으로 밀착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70)는 상기 하우징본체(16)의 후면에 자동복귀접점으로 구비되되, 상기 락킹몸체부(60) 일측에 형성된 가압돌출부(65)의 선택적인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중앙제어반(2) 및 도어제어유닛으로 신호를 송신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70)는 락킹시 상기 핸들락킹부(60)에 의해 가압되지 않으면 열림회로를 구성하여 락킹신호를 송신하고, 락킹해제시 가압되면 닫힘회로를 구성하여 락킹해제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열차도어의 비상상황 발생시 조작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비상상황 발생시 커버부재는 사용자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비상핸들부(20)는 상기 하우징(13)에 안내된 비상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회전판(30)은 상기 비상핸들부(20)의 후면에서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선이 외주에 권취되며,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시 상기 열차도어(6)의 작동선과 연결된 상기 도어구동장치(4)의 결속력을 소실시켜 상기 열차도어(6)를 손으로 쉽게 열 수 있게한다.
또한, 상기 리미트스위치(40)는 상기 핸들회전판(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된 상기 회전판돌출부(33)에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수동개방의 개폐신호를 중앙제어반(2)으로 송신하여 승무원에게 수동개폐를 인식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장 발생시에 비상핸들 차단장치의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열차도어(6)의 고장시 비상핸들부(20)에 락킹하여 수동개폐를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열차도어(6) 중 일부가 고장시(s10), 고장난 열차도어(6)는 상기 중앙제어반(2)에 의해 바이패스되고 다른 열차도어(6)는 사용자에게 이용될 수 있다(s13). 상기 바이패스는 상기 고장난 열차도어(6) 및 도어제어유닛의 전기적제어를 차단하여, 상기 고장난 열차도어(6)를 전기적 신호에 동작하지 않고 닫힌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승무원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는 개방된다(s16). 상기 마스터키 형합부(53)는 상기 하우징(13) 일측에서 상기 마스터키를 삽입되게 하여 락킹방향으로 회전됨이 바람직하다(s19).
또한, 상기 핸들락킹부(50)의 락킹몸체부(60)는 상기 마스터키 형합부(53)에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락킹몸체부(60)의 구속돌기(63)를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회전판(30)의 구속부(35)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핸들회전판(30)의 회전을 구속하여 락킹함이 바람직하다(s22).
상세히, 상기 핸들락킹부(50)은 상기 하우징(13)에 상기 락킹회전축(52)을 관통하여 연결하고, 상기 핸들회전판(30)은 상기 비상핸들부(20)에 상기 비상핸들축(22)을 관통하여 연결한다. 각 축으로부터 일정한 길이의 상기 구속돌기(63) 및 구속부(35)의 결합시 상기 구속부(35)를 형성한 상기 핸들회전판(30)의 회전은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핸들락킹부(50)가 상기 핸들회전판(30)의 회전을 제한하면 연동되어 회전하는 상기 비상핸들부(20)의 회전을 제한하고, 고장난 상기 열차도어(6)의 개방을 불가능하게 하여 차량운행의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s25).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70)는 상기 핸들락킹부(50)의 락킹회전시 상기 가압돌출부(65)를 통한 가압력 제거로 인해 열림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중앙제어반(2) 및 도어제어유닛에 락킹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28,s31). 승무원이 즉각적으로 상기 중앙제어반(2)에서 상기 비상핸들부(20)의 락킹됨을 확인할 수 있어 열차운행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제어유닛을 통해 고장안내출력부(미도시)로 상기 고장난 도어의 락킹을 출력함으로써 승객의 다른 열차도어(6) 이용을 안내하여 열차이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열차도어(6)의 고장시 고장도어의 수동개폐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핸들락킹부(50)는 상기 마스터키에 의해 락킹회전되면, 상기 핸들락킹부(50)의 구속돌기(63) 및 상기 핸들회전판(30)의 구속부(35)를 결합한다. 상기 상기 비상핸들부(20)는 상기 핸들회전판(30)에 연동하여 회전되므로 회전이 되지 않는다. 상기 핸들락킹부(50)는 락킹회전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70)의 열림회로 형성으로 상기 중앙제어반(2)에서 인식할 수 있다.
도 2,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락킹 안내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열차도어(6)의 비상핸들 차단장치(10)는 락킹을 안내하는 락킹안내부(80), 락킹표시부(85), 그리고 상기 고장안내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안내부(80)는 상기 하우징(13) 상에 상기 마스터키의 회전에 따라 락킹 및 락킹해제를 안내하도록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킹안내부(80)는 상기 핸들락킹부(50)의 회전으로 상기 구속돌기(63) 및 구속부(35)를 결합하는 방향으로 락킹 안내를 상기 하우징(13)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킹표시부(85)는 상기 마스터키 형합부(53) 상에 형성되며, 락킹 및 락킹해제시 상기 락킹안내부(80)의 안내 방향을 향하여, 상기 핸들락킹부(50)의 회전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락킹표시부(85)는 승무원 및 승객이 인식할 수 있게 안내표식 및 색상으로 락킹을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차도어(6)의 일측에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70)가 열림회로를 구성하면 락킹신호를 수신하여 고장안내를 출력하는 상기 고장안내출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장안내출력부(미도시)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70)의 열림회로 형성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70) 내부에 형성된 접점이 닫힘회로를 형성하여, 상기 열차도어(6)의 고장으로 인한 락킹시 고장안내를 출력함으로써, 승객이 다른 열차도어(6)를 이용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 중앙제어반 4: 도어구동장치
6,100: 열차도어 10: 비상핸들 차단장치
13: 하우징 14: 하우징커버
15: 커버중공부 16: 하우징본체
17: 본체침강부 18: 락킹홀
20,200: 비상핸들부 22: 비상핸들축
30: 핸들회전판 33: 회전판돌출부
34: 회전판돌기 35: 구속부
40: 리미트스위치 50: 핸들락킹부
52: 락킹회전축 53: 마스터키 형합부
54: 돌출외주 56: 락킹정면링
58: 락킹후면링 60: 락킹몸체부
61: 락킹몸통홀 63: 구속돌기
65: 가압돌출부 67: 락킹스톱링
70: 마이크로 스위치 80: 락킹안내부
85: 락킹표시부

Claims (5)

  1. 비상시에 열차도어를 수동으로 개폐하도록 열차도어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비상핸들부;
    상기 비상핸들부의 후면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열차도어의 회전을 위한 작동선이 외주에 권취되도록 설치되되,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시 상기 열차도어가 수동 개폐되도록 작동되며, 일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된 회전판돌출부 및 구속부가 구비된 핸들회전판;
    수동개방을 위한 상기 비상핸들부의 회전시 상기 핸들회전판에 구비된 회전판돌출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개폐신호를 중앙제어반으로 송신하는 자동복귀접점이 구비된 리미트스위치;
    상기 열차도어의 고장시 제어전원이 차단되어 바이패스된 상태인 경우 상기 열차도어의 운행중 수동개폐를 방지하도록, 마스터키 조작에 의해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구속부에 결합되어 상기 핸들회전판의 회전을 구속하여 락킹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핸들락킹부;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되, 락킹시 상기 핸들락킹부의 선택적인 가압 여부에 따라 상기 중앙제어반 및 상기 열차도어의 도어제어유닛으로 락킹신호를 송신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는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회전판돌출부의 수동개방을 위한 회전방향의 전단부에 홈으로 형성되며, 상기 핸들락킹부의 락킹몸체부에는 상기 구속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구속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핸들부의 후면에 상기 핸들회전판이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작동선이 외주에 권취되며, 기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시 상기 열차도어가 수동 개폐되도록 작동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상기 핸들락킹부는 회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회전판의 구속부에 결합되어 락킹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락킹부의 일측에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돌출부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락킹부의 전방측에는 상기 마스터키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핸들락킹부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마스터키 형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
KR1020120074632A 2012-07-09 2012-07-09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 KR101185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32A KR101185531B1 (ko) 2012-07-09 2012-07-09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32A KR101185531B1 (ko) 2012-07-09 2012-07-09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5531B1 true KR101185531B1 (ko) 2012-09-24

Family

ID=47114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632A KR101185531B1 (ko) 2012-07-09 2012-07-09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5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974B1 (ko) 2019-12-30 2021-03-17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전동차 비상핸들 차단장치
CN113294058A (zh) * 2021-05-18 2021-08-24 安徽盛世高科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电动车组电动端门控制机构及其控制系统
CN114267556A (zh) * 2021-12-06 2022-04-01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车门电钥匙开关装置及车门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568A (ja) 2001-12-12 2003-08-27 Fuji Electric Co Ltd 電車用側引戸装置
KR100831660B1 (ko) 2006-11-29 2008-05-23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 출입문 비상핸들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7568A (ja) 2001-12-12 2003-08-27 Fuji Electric Co Ltd 電車用側引戸装置
KR100831660B1 (ko) 2006-11-29 2008-05-23 현대로템 주식회사 전동차 출입문 비상핸들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974B1 (ko) 2019-12-30 2021-03-17 인터콘시스템스 주식회사 전동차 비상핸들 차단장치
CN113294058A (zh) * 2021-05-18 2021-08-24 安徽盛世高科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电动车组电动端门控制机构及其控制系统
CN113294058B (zh) * 2021-05-18 2022-08-16 安徽盛世高科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电动车组电动端门控制机构及其控制系统
CN114267556A (zh) * 2021-12-06 2022-04-01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车门电钥匙开关装置及车门控制方法
CN114267556B (zh) * 2021-12-06 2023-12-08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车门电钥匙开关装置及车门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353B1 (ko) 자동차 도어용 잠금 장치
US9551172B2 (en) Motor-vehicle door lock
US20150284977A1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101185531B1 (ko) 열차도어의 비상핸들 차단장치
CN103670065B (zh) 车辆用门锁系统
CN102383676A (zh) 闭锁系统
KR20160025919A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CN109798034A (zh) 一种带报警和二次保险功能的驾驶区防护隔离设施围门锁
KR101262148B1 (ko)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EP3342743B1 (en) Elevator landing door unlocking system
JP4478311B2 (ja) 飛行機のドア装置
US5808252A (en) Padlockable emergency stop button
CN102858565A (zh) 车门锁闩
JP2012087552A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622727B1 (ko) 자동차용 트렁크리드 래치어셈블리
KR101300910B1 (ko) 차량 출입문의 비상 완해 조절장치
US10472868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KR101801494B1 (ko) 차량 시트용 잠금 표시기, 차량 시트, 자동차, 그리고 차량 시트 잠금 고정 방법
US20210293057A1 (en) Locking System and Method of Actuating a Locking System
AU2015217685A1 (en) Device for unlocking a vehicle door
KR102228974B1 (ko) 전동차 비상핸들 차단장치
KR101464471B1 (ko) 열차 비상용 도어 개폐장치
CN209990286U (zh) 一种带报警和二次保险功能的驾驶区防护隔离设施围门锁
WO2019073536A1 (ja) 鉄道車両用錠装置
JP6194142B2 (ja) 建設機械の前窓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