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778B1 -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 Google Patents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778B1
KR102424778B1 KR1020210010615A KR20210010615A KR102424778B1 KR 102424778 B1 KR102424778 B1 KR 102424778B1 KR 1020210010615 A KR1020210010615 A KR 1020210010615A KR 20210010615 A KR20210010615 A KR 20210010615A KR 102424778 B1 KR102424778 B1 KR 102424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lange
tow bar
dali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우종
Original Assignee
(주)우수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수이엔지 filed Critical (주)우수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10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by braking on the running surface, e.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B60D1/4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4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 B60D1/4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being adjust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79Towing by connecting to another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68Trailers with more than two axles or more than fou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8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3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handling fr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12Boxes, C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24Suit-cases, other lugg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가 개시된다. 달리는, 탑재용기가 적재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본체 회전축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는 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 상기 제3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휠의 제동을 위한 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수평 방향에 대해서 상부로 회전시킨 제1 제동 위치와 하부로 회전시킨 제2 제동 위치에서 상기 제동부가 작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우바,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토우바를 상기 본체의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토우바 회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되고 연결 대상 달리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DOLLY FOR TRANSPORTING BAGGAGE AND CARGO}
아래의 실시예는 수하물과 화물의 상하차 및 운반을 위한 작업과 인원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에서 항공화물의 이동을 위한 탑재용기는 팰릿(pallet) 또는 컨테이너를 포함하고, 탑재용기를 운반하기 위한 장치로서 달리 또는 회전판 달리(turntable dolly)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달리는, 탑재용기가 적재되는 본체와, 본체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을 위한 휠과, 본체 전방에 구비되는 토우바와, 본체 후방에 구비되는 다른 달리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토우바는 휠의 구동을 위한 제동부가 구비되고, 토우바를 본체에 대해서 상측으로 회전시키면 제동부가 작동하여 휠이 고정되고, 본체와 수평으로 회전시키면 제동이 해제되어 본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달리에 탑재용기를 싣거나, 달리에서 탑재용기를 내리는 작업은 작업자에 의해서 수작업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달리는 토우바를 상측에 위치시킨 경우에만 제동부가 작동하므로, 탑재용기의 상하차 작업 시 제동이 해제되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하차 작업 중에 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달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달리는, 여러 대의 달리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2명의 작업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인원을 줄일 수 있는 달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원의 개시 내용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
실시예의 목적은, 수하물 및 화물 운반을 위한 달리에 화물을 상하차하는 작업 시 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다른 달리와의 연결 작업 시의 작업인원을 줄일 수 있는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들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는, 탑재용기가 적재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본체 회전축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는 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 상기 제3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휠의 제동을 위한 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수평 방향에 대해서 상부로 회전시킨 제1 제동 위치와 하부로 회전시킨 제2 제동 위치에서 상기 제동부가 작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우바,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토우바를 상기 본체의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토우바 회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되고 연결 대상 달리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토우바는, 상기 제1 제동 위치와 상기 제2 제동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 로드, 상기 제3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로드가 결합되는 제1 힌지축, 상기 제동부를 연결하는 제2 힌지축, 및 상기 제1 힌지축과 상기 제2 힌지축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우바는, 상기 제1 제동 위치는 수평선에 대해서 상부로 45° 회전된 위치이고, 상기 제2 제동 위치는 상기 수평 기준선에 대해서 하부로 10° 회전된 위치이며, 상기 토우바가 상기 본체와 수평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본체의 이동이 가능하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토우바의 회전과 연동되도록 상기 제1 힌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제동 위치 또는 상기 제2 제동 위치에서 상기 토우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동 유지부, 및 상기 제3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동 유지부가 걸림 결합되는 제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핀, 상기 연결핀이 상기 하우징 상부로 노출된 부분에 구비되는 손잡이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핀이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는 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을 형성하는 제1 플랜지,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플랜지, 상기 제2 플랜지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면을 형성하는 제3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 단차가 형성되는 가이드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연결 대상 달리가 삽입 가능하도록 적어도 상기 제2 플랜지와 상기 제3 플랜지 사이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를 관통하고, 하단부가 상기 제3 플랜지에 접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 키홈이 형성되는 칼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키홈에 상기 가이드 플랜지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칼라가 상기 단차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이동하면, 상기 키홈에서 상기 가이드 플랜지가 이탈되도록 회전하여 상기 칼라가 상기 단차에 걸려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1 플랜지에 구비되어서 상기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자석,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연결핀이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는 토우바를 상측 및 하측에 위치시킨 경우에 모두 제동이 가능하므로, 수하물 및 화물의 승하차 작업 시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제동 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작업 중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달리는 복수의 달리를 연결시키는 작업 시 1인의 작업자만으로도 연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달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달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달리에서 회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토우바의 구성 및 좌우 방향의 작동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토우바의 제동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들이다.
도 7a와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다.
도 8a와 도 8b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1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1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달리(10)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달리(10)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2에서 원 A에는 록킹핀(12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도 4는 도 1의 달리(10)에서 회전부(1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토우바(14)의 구성 및 좌우 방향의 작동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의 토우바(14)의 제동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들이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6)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이고, 도 8a 내지 도 8b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16)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이하에서는 "달리"라 한다)(10)는, 본체(11)와, 토우바(14) 및 연결부(16)를 포함하고, 본체(11)를 회전을 위한 회전부(12)와, 본체(11)의 이동을 위한 휠(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달리(10)에서 토우바(14)가 구비되는 쪽을 "전방"이라 하고, 연결부(16)가 구비되는 쪽을 "후방"이라 하고, 전방에서 후방을 따르는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한다.
또한, 탑재용기(Unit Load Device, ULD)(미도시)는 수하물 또는 화물을 포함하는 항공화물을 탑재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컨테이너 또는 팰릿(pallet)을 포함한다.
<본체(11)>
본체(11)는 탑재용기가 적재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면이 평편하게 형성된다. 또한, 본체(11)는 복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적어도 탑재용기가 적재되는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체(11)는 탑재용기가 적재되는 최상층인 제1 프레임(111)과, 제1 프레임(111)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프레임(112) 및 제2 프레임(112) 하부에 구비되며 토우바(14)가 구비되는 제3 프레임(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본체(11)가 대략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체(11)의 형상 및 크기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프레임(111)은 탑재용기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는 복수의 슬라이드 롤러(114)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롤러(114)는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즉, 본체(11)의 전후 방향을 따라 탑재용기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슬라이드 롤러(114)의 구름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며, 복수의 슬라이드 롤러(114)의 축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롤러(114)는 본체(11)의 좌우측에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 슬라이드 롤러(114)를 10개씩 2열로 배치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슬라이드 롤러(114)의 크기와 수는 본체(11)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1)은 탑재용기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가장자리 부분에 가이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는 탑재용기의 크기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12)은 제1 프레임(111)과 대응되는 크기를 갖고, 제1 프레임(111)이 회전 가능하도록 중앙 부분에서 제1 프레임(111)과 본체 회전축(115)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2 프레임(112)은 하부에 휠(13)이 구비되고, 후방에 연결부(16)가 구비된다.
제3 프레임(113)은 제2 프레임(112)의 일부에만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전방 휠(13)의 구동축(131) 근방의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내지 제3 프레임(111, 112, 113)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 제1 내지 제3 프레임(111, 112, 113)의 구성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휠(13)은 본체(11)의 가장자리를 따라 4개소에 구비된다. 또한, 휠(13)은 본체(1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전방 휠(13a) 사이의 간격과 후방 휠(13b) 사이의 간격이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4개의 휠(13)을 예시하였으나, 본체(11)의 4개소 이상의 위치에 휠(13)이 구비될 수도 있고, 또한, 각 개소마다 설치되는 휠(13)의 수도 1개 이상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전방 휠(13a) 사이의 간격과 후방 휠(13b)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부(turntable)(12)는 제1 프레임(111)이 본체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11)이 360°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회전부(12)는 90° 각도마다 정지 및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부(12)는 제1 프레임(111)이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가이드(121)와 제2 가이드(122)를 포함하고, 제1 프레임(111)을 정지 및 고정시키는 록킹핀(123) 및 사용자가 록킹핀(123)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록킹핀 조작부(124)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121)는 제1 프레임(1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를 갖고, 본체 회전축(115)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제2 가이드(122)는 제2 프레임(112)의 상면에 구비되며 제1 가이드(121)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되어서 제1 가이드(121)의 회전을 안내하는 복수의 롤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가이드(122)는 제1 가이드(121)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며 제1 가이드(121)에 대응되는 원주를 따라 60° 간격으로 배치된 6개의 롤러일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 제1 가이드(121) 및 제2 가이드(122)의 형상 및 위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회전부(12)는 제1 프레임(111)을 회전시킬 수 있는 실질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2 가이드(122)의 롤러의 크기와 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록킹핀(123)은 제2 프레임(112)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록킹핀(123)의 상단이 제2 프레임(112)의 상면보다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1 프레임(111)에는 4개의 고정홀(111a)이 90°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홀(111a)에 록킹핀(123)이 결합되면 제1 프레임(111)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제1 프레임(111)에 고정홀(111a)이 4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고정홀(111a)의 수와 간격을 변경하면 제1 프레임(111)의 고정 위치 역시 변경할 수 있다.
스프링(123a)은 제2 프레임(112) 내부에서 록킹핀(123)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록킹핀(123)이 하부로 이동하였을 때 원래 위치로 복귀하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도록 설치된다.
록킹핀(123)의 하단은 제2 프레임(112) 하부에서 록킹핀 조작부(124)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록킹핀 조작부(124)는 작업자는 발로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의 일 종으로서, 작업자가 록킹핀 조작부(124)를 밟으면 록킹핀(123)이 하부로 이동하여 제1 프레임(111)이 회전하고, 90° 회전 후에는 록킹핀(123)이 고정홀(111a)에 결합되면서 제1 프레임(111)이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록킹핀 조작부(124)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록킹핀(123)이 고정홀(111a)에 삽입되어서 제1 프레임(111)이 정지 및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원 A 내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록킹핀 조작부(124)를 밟아서 조작하면, 록킹핀(123)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고정홀(111a)에서 분리되고, 제1 프레임(111)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제1 프레임(111)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모두 회전 가능하다. 즉, 회전부(12)는 제1 프레임(111)을 360°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또한, 90°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체(11)에 회전부(12)가 구비되므로, 탑재용기의 상하차 작업 시 달리(10)의 자세를 바꾸지 않고도 제1 프레임(111)의 방향을 바꿀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방향을 전환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토우바(14)>
토우바(towbar)(14)는 본체(11)의 전방에 구비되고, 달리(10)를 이송하기 위한 차량(카고로더(cargo loader), 터그카(tug car) 등)에 연결되고, 휠(13)을 제동하여 달리(10)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토우바(14)는 본체(11)에 대해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우바(14)는 본체(11)의 중심선에 대해서 좌우로 40°씩 회전 가능하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에 대해서 상부로 45° 내지 하부로 10°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토우바(14)는 메인 로드(141)와, 휠(13)의 제동을 위한 제동부(145)를 포함하고, 제동부(145)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 힌지축(142), 커넥팅 로드(143) 및 제2 힌지축(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토우바(14)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토우바(14)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동 유지부(147)가 구비된다.
제동부(145)는 휠(13)에 접촉되어서 정지시키는 브레이크(145a)를 포함한다. 또한, 제동부(145)는 양쪽 전방 휠(13)에 각각 접촉하여 휠(13)을 고정시키는 브레이크(145a)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인 로드(141)는 본체(11)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달리(10)의 이동을 위한 차량 또는 다른 달리와 연결된다. 또한, 메인 로드(141)는 제1 힌지축(142)에 의해서 수평 방향에 대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제1 힌지축(142)은 제3 프레임(113)에 구비되며 메인 로드(141)가 연결된다.
제2 힌지축(144)은 양측 제동부(145)를 연결하고, 제1 힌지축(142)과 평행하게 구비된다.
커넥팅 로드(143)는 제1 힌지축(142)과 제2 힌지축(144) 사이를 연결하여서 메인 로드(141)의 위치에 따라 제동부(145)가 작동하도록 힘을 전달한다. 커넥팅 로드(143)는 서로 힌지 결합된 복수의 제1 내지 제3 로드(431, 432, 4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 커넥팅 로드(143)의 형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커넥팅 로드(143)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토우바(14)는 수평 방향(즉, 본체(11)와 수평한 방향)에 위치하면 제동부(145)가 작동하지 않고 본체(11)가 이동 가능하고, 상부로 45° 회전시킨 위치 및 하부로 10° 회전시킨 위치에서는 제동부(145)가 작동하여 본체(11)가 고정된다. 이하에서는, 토우바(14)는 상부로 45° 회전시킨 위치를 제1 제동 위치라 하고, 하부로 10° 회전시킨 위치를 제2 제동 위치라 한다.
토우바(14)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6a를 참조하면, 토우바(14)가 수평 방향(즉, 0°)에 위치하면 제동부(145)는 휠(13a)과 이격되어서 휠(13a)의 회전 및 본체(11)의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도 도 6b를 참조하면, 토우바(14)가 상부로 회전하여 제1 제동 위치(즉, 상부 45°)가 되면 제동부(145)가 휠(13)에 접촉하여 휠(13)을 고정시키고 본체(11)가 정지한다.
다음으로, 도 6c를 참조하면, 토우바(14)가 하부로 회전하여 제2 제동 위치(즉, 하부 10°)가 되어도 제동부(145)가 휠(13)에 접촉하여 휠(13)을 고정시키고 본체(11)가 정지한다.
한편, 제동 유지부(147)는 토우바(14)가 제동 위치에 있을 때 토우바(14)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제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동 유지부(147)는 작업자는 발로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스위치의 일 종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작업자가 제동 유지부(147)를 밟아서 작동시키면 제동 유지부(147)가 제동판(148)에 고정되거나, 고정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동 유지부(147)는 토우바(14)가 제1 제동 위치에 있을 때, 토우바(14)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동 유지부(147)는 제1 힌지축(142)에 제2 커넥팅 로드(146)에 의해서 연결되어서 토우바(14)의 회전과 연동된다. 또한, 제동 유지부(147)는 제3 프레임(113)에 구비되는 제동판(148)을 관통하여 설치되어서 제동판(148)에 의해서 고정된다. 예를 들어, 제동 유지부(147)는 제동판(148)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홈(147a)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148a는 제동 유지부(147)가 설치되는 설치홀(148a)이다.
제동 유지부(147)는, 토우바(14)가 회전하면, 제1 힌지축(142)에 연결된 제2 커넥팅 로드(146)가 회전함에 따라 제동 유지부(147)의 자세가 변경되어서 걸림홈(147a)이 제동판(148)에 걸림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동 유지부(147) 및 토우바(14)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토우바(14)의 위치가 고정되어 제동 위치가 유지된다. 그리고 제동 유지부(147)는 작업자가 조작함에 따라 걸림홈(147a)이 제동판(148)에서 고정이 해제되면서 제동 유지부(147) 및 토우바(14)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제동 유지부(147)는 걸림홈(147a)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걸림홈(147a)을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제2 제동 위치에서 작동하도록 하거나, 제1 제동 위치와 제2 제동 위치 모두에서 작동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토우바(14)는 상부의 제1 제동 위치 및 하부의 제2 제동 위치에서도 제동부(145)가 작동하므로, 작업자는 탑재용기의 상하차 작업 시 편의에 따라 제동 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동 유지부(147)는 제동 위치에서 토우바(14)를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제동을 유지할 수 있다.
토우바(14)는 제2 프레임(112)에 대해서 토우바(14)가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토우바 회전부(15)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토우바 회전부(15)는 제2 프레임(112)과 제3 프레임(113) 사이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한 회전 프레임(151, 152)을 포함한다.
제1 회전 프레임(151)은 제2 프레임(112) 하면에 구비되고, 제2 회전프레임(152)은 제3 프레임(113) 상면에서 제1 회전 프레임(152)과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1 회전 프레임(151)과 제2 회전 프레임(152) 사이에는 제1 및 제2 회전 프레임(151, 152)이 회전 가능하도록 베어링(153)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프레임(151)과 제2 회전 프레임(152)은 각각 제2 프레임(112)의 하면과 제3 프레임(113)의 상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원형인 원통형 플랜지 형태를 갖고, 베어링(153)은 제1 회전 프레임(151)과 제2 회전 프레임(152)이 겹쳐지는 측벽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토우바 회전부(15)는 원통형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3 프레임(113) 및 토우바(14)가 좌우로 스윙 회전하며, 토우바(14)가 제2 프레임(112)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까지 회전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회전 프레임(151, 152)이 원통형 플랜지 형태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토우바 회전부(15)는 제3 프레임(113) 및 토우바(14)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우바(14)는 토우바 회전부(15)에 의해서 본체(11)에 대해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므로, 탑재용기의 승하차 작업 시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연결부(16)>
연결부(16)는 연결하고자 하는 다른 달리(이하에서는 "연결 대상 달리"라 함)가 삽입되는 하우징(161)과, 하우징(161) 및 연결 대상 달리(미도시)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연결핀(162) 및 연결핀(162)이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유지부(164)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연결 대상 달리라 함은, 연결시키기 위한 다른 달리의 본체 또는 그 자체를 의미함과 더불어, 연결 대상 달리에 형성된 연결을 위한 부분(즉, 연결 대상 달리의 연결부 또는 토우바)을 의미한다. 그리고 도 7a 및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핀(162)의 하단부가 제3 플랜지(614)와 접촉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하고, 도 7b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핀(162)의 하단부가 제3 플랜지(614)에서 이격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한다. 그리고, 연결부(16)가 열린 상태일 때는 연결부(16)에 연결 대상 달리가 삽입 및 분리될 수 있고, 닫힌 상태일 때는 연결핀(162)이 연결 대상 달리까지 관통하여 고정시키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하우징(161)은 제2 프레임(112)과 연결 대상 달리(미도시)가 결합 가능하도록 도록 형성되며,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E'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61)은 메인 부재(611)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며,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제1 내지 제3 플랜지(612, 613, 614)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서는 하우징(161)의 형상이 대략 'E'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하우징(161)의 형상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61)은 연결 대상 달리가 결합 가능하도록 적어도 제2 플랜지(613)와 제3 플랜지(614) 사이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플랜지(614)에는 연결핀(162)의 하단부가 관통하도록 홀(614a)이 형성되거나, 또는 홀을 생략하고 연결핀(162)의 하단부가 제3 플랜지(614)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연결핀(162)의 하단부가 제3 플랜지(614)에 "접촉"되었다 함은, 연결핀(162)의 하단부가 제3 플랜지(614)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뿐만 아니라 연결핀(162)의 하단부가 제3 플랜지(614)를 관통하여 제3 플랜지(614)의 하부까지 돌출되는 상태를 모두 포함한다 할 수 있다.
하우징(161)에는 제1 플랜지(612)와 제2 플랜지(613) 사이에 수직으로 가이드 플랜지(615)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플랜지(615)는 후술하는 연결핀(162)의 키홈(623)에 끼워진 상태로 연결핀(162)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안내함과 더불어, 연결핀(162)이 소정 높이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차(615a)가 형성된다. 단차(615a)는 연결핀(162)의 단부가 제3 플랜지(614)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는 높이 즉, 연결핀(162)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높이에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플랜지(615)는 연결핀(162)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단부에 유지 단차(615b)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지 단차(615b)는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결핀(162)은 제1 플랜지(612) 및 제2 플랜지(613)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하단부가 제3 플랜지(614)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된다.
연결핀(162)은 대략 원주 형상을 갖는 바디(621)의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높이에 형성되며, 외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는 칼라(622)가 형성된다.
칼라(622)는 연결핀(16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전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칼라(622)는 연결핀(162)의 상하로 이동할 때, 각각 제1 플랜지(612)와 제2 플랜지(613)에 걸려서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 역할을 한다.
칼라(622)의 일측에는 소정 깊이의 키홈(623)이 형성된다. 키홈(623)은 가이드 플랜지(615)가 끼워질 수 있는 깊이와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도면에서는 키홈(623)이 1개소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소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의 키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핀(162)은 상단에 손잡이(163)가 구비된다. 손잡이(163)는 연결핀(162)이 제1 플랜지(612)보다 상부로 노출되는 부분에 구비되며, 제1 플랜지(612) 상부에 구비된다. 손잡이(163)는 작업자가 연결핀(162)을 상부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연결핀(16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손잡이(163)는 제1 플랜지(612)에 걸려서 연결핀(162)이 하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스톱퍼의 역할을 한다.
다만, 도면에서 손잡이(163)가 대략 사각 링 형상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손잡이(163)의 형상 및 크기가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링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지부(164)는 연결부(16)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유지부(164)는 자력 또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연결핀(162)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우선, 자석(641)으로 이루어지는 유지부(164)의 예를 설명한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자석(641)은 제1 플랜지(612)에 구비되어서 연결핀(162)이 닫힌 상태의 위치일 때 손잡이(163)를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자석(641)은 제1 플랜지(612)의 상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자석(641)은 손잡이(163)가 끼워질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손잡이(163)의 두께 이상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자석(641)은 자력에 의해서 손잡이(163)을 고정시킴과 더불어, 자석(641)의 돌출된 부분에 손잡이(163)가 걸려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연결핀(162)이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641)은 손잡이(163) 내측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와 높이를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자석(641)의 위치와 크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손잡이(163)에 자력을 작용시켜서 고정시킬 수 있다면 실질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641)은 제1 플랜지(612)에 매립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자석(641)은 손잡이(163)가 아니라 연결핀(162)에 자력을 작용시켜서 고정시키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스프링(642)으로 이루어지는 유지부(164)의 예를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스프링(642)은 소정 길이를 갖는 코일 스프링이고, 제1 플랜지(612)와 제2 플랜지(613) 사이에 연결핀(162)이 관통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642)은 하단이 칼라(622)에 의해서 지지되어서, 연결핀(162)이 상부로 이동하면 압축되도록 설치된다. 즉, 스프링(642)은 연결핀(162)에 대해서 하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되므로, 연결핀(162)이 상부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되고,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유지부(164)는 자석(641)과 스프링(642)이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2가지 방식이 모두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연결부(16)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작업자는 손잡이(163)를 잡고 연결핀(162)을 들어올려서 상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칼라(622)가 단차(615a)보다 더 상부로 올라갈 때까지 이동시킨 후에는, 작업자가 손잡이(163)를 잡고 연결핀(162)을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키홈(623)이 가이드 플랜지(615)에서 이탈되고 칼라(622)의 하면이 단차(615a)에 걸리면서, 연결부(16)가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술한 동작과 반대로, 작업자가 손잡이(163)를 잡고 연결핀(162)ㅇㄹ 소정 각도 회전시켜서 키홈(623)이 가이드 플랜지(615)에 끼워지도록 하면, 연결핀(162)은 하부로 이동하여 제3 플랜지(614)에 접촉하면서 닫힌 상태가 된다.
이 때, 연결부(16)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 7a와 도 7b에 예시한 유지부(164)의 경우에는, 손잡이(163)가 제1 플랜지(612)에 접촉되도록 회전시키면 자석(641)에 의해 손잡이(163)가 고정되고, 연결핀(162)은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도 8a와 도 8b에 예시한 유지부(164)의 경우에는, 스프링(642)이 연결핀(162)에 대해서 하부로 탄성력을 작용시킴으로써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16)는 작업자가 연결핀(162)을 들어올려서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연결부(16)를 열고,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 혼자서도 손쉽게 연결 대상 달리와의 연결 및 분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작업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연결핀(162)을 놓으면 원래 상태로 복귀하여 유지부(164)에 의해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닫힌 상태 및 연결 대상 달리와의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10)는 토우바(14)가 상부의 제1 제동 위치와 하부의 제2 제동 위치에서 모두 제동이 가능하므로, 작업자가 편의에 따라 제동 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안전하게 탑재용기의 상하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달리(10)는 토우바(14)가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탑재용기의 상하차 작업 시 토우바(14)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달리(10)는 연결부(16)의 구조에 의해서 1인의 작업자만으로도 달리들을 연결 및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인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달리
11: 본체
111: 제1 프레임
111a: 고정홀
112: 제2 프레임
113: 제3 프레임
114: 슬라이드 롤러
115: 본체 회전축
12: 회전부(turntable)
121: 제1 가이드
122: 제2 가이드
123: 록킹핀
123a: 록킹핀의 스프링
124: 록킹핀 조작부
13: 휠
13a: 전방 휠
13b: 후방 휠
131: 구동축
14: 토우바
141: 메인 로드
142: 제1 힌지축
143, 431, 432, 433: 커넥팅 로드
144: 제2 힌지축
145: 제동부
145a: 브레이크
146: 제2 커넥팅 로드
147: 제동 유지부
147a: 걸림홈
148: 제동판
148a: 설치홀
15: 토우바 회전부
151, 152: 회전 프레임
153: 베어링
16: 연결부
161: 연결부의 하우징
611: 메인 부재
612: 제1 플랜지
613: 제2 플랜지
614: 제3 플랜지
615: 가이드 플랜지
615a: 단차
615a: 하부 단차
162: 연결핀
621: 바디
622: 칼라
623: 키홈
163: 손잡이
164: 유지부
641: 자석
642: 스프링

Claims (8)

  1. 탑재용기가 적재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며 본체 회전축에 의해서 연결되는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하부에 구비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구비되는 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부;
    상기 제3 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고, 상기 휠의 제동을 위한 제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수평 방향에 대해서 상부로 회전시킨 제1 제동 위치와 하부로 회전시킨 제2 제동 위치에서 상기 제동부가 작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토우바;
    상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3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토우바를 상기 본체의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토우바 회전부;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되고 연결 대상 달리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
    를 포함하는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바는,
    상기 제1 제동 위치와 상기 제2 제동 위치 사이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인 로드;
    상기 제3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로드가 결합되는 제1 힌지축;
    상기 제동부를 연결하는 제2 힌지축; 및
    상기 제1 힌지축과 상기 제2 힌지축 사이를 연결하는 커넥팅 로드;
    를 포함하는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바는,
    상기 제1 제동 위치는 수평선에 대해서 상부로 45° 회전된 위치이고,
    상기 제2 제동 위치는 상기 수평 기준선에 대해서 하부로 10° 회전된 위치이며,
    상기 토우바가 상기 본체와 수평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본체의 이동이 가능한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우바의 회전과 연동되도록 상기 제1 힌지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제동 위치 또는 상기 제2 제동 위치에서 상기 토우바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동 유지부; 및
    상기 제3 프레임에 구비되고, 상기 제동 유지부가 걸림 결합되는 제동판;
    을 더 포함하는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핀;
    상기 연결핀이 상기 하우징 상부로 노출된 부분에 구비되는 손잡이;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핀이 닫힌 상태로 유지시키는 유지부;
    를 포함하는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을 형성하는 제1 플랜지;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 플랜지;
    상기 제2 플랜지의 하부에 구비되고 하면을 형성하는 제3 플랜지; 및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서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 단차가 형성되는 가이드 플랜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연결 대상 달리가 삽입 가능하도록 적어도 상기 제2 플랜지와 상기 제3 플랜지 사이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를 관통하고, 하단부가 상기 제3 플랜지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외주면에 키홈이 형성되는 칼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핀은 상기 키홈에 상기 가이드 플랜지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칼라가 상기 단차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이동하면, 상기 키홈에서 상기 가이드 플랜지가 이탈되도록 회전하여 상기 칼라가 상기 단차에 걸려서 위치가 유지되는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제1 플랜지에 구비되어서 상기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자석;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연결핀이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스프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KR1020210010615A 2021-01-26 2021-01-26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KR102424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615A KR102424778B1 (ko) 2021-01-26 2021-01-26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615A KR102424778B1 (ko) 2021-01-26 2021-01-26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778B1 true KR102424778B1 (ko) 2022-07-25

Family

ID=8260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615A KR102424778B1 (ko) 2021-01-26 2021-01-26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7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5500A (ja) * 1996-07-29 1998-02-10 Yamaha Tokyo Kk 手押し台車
KR100728315B1 (ko) * 2006-05-12 2007-06-13 아틱스엔지니어링(주)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KR20200059775A (ko) * 2018-11-21 2020-05-29 김종민 사륜 운반기구의 기계식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5500A (ja) * 1996-07-29 1998-02-10 Yamaha Tokyo Kk 手押し台車
KR100728315B1 (ko) * 2006-05-12 2007-06-13 아틱스엔지니어링(주)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KR20200059775A (ko) * 2018-11-21 2020-05-29 김종민 사륜 운반기구의 기계식 제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2065B2 (en) System for moving loads comprising a locking arrangement that is operable by means of a transport vehicle
US7736113B2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motor vehicle in a parking system
KR20010066785A (ko)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US9238429B2 (en) Sliding platform with dual braking
KR102424778B1 (ko)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KR101873546B1 (ko) 중량물 이송 대차
CN112977262A (zh) 扶梯组件及具有其的运输车
KR101677690B1 (ko) 차량운반용 카 캐리어의 승차장치
US20220178084A1 (en) Rail Conveyor Element
CN211592567U (zh) 定位销、定位装置及运输车
KR101623813B1 (ko) 탑승부가 회전가능한 휠체어용 승강장치
JP2014109101A (ja) 機械式駐車装置
KR102452060B1 (ko) 고정형 트레일러 구속장치
JP6664839B2 (ja) 機械式駐車場
CN205840444U (zh) 一种车库用待机车辆房
TW255941B (en) Positioning means for pallet of vertical circulation type parking device
KR200272620Y1 (ko) 승강기식 입체주차장의 팔레트 고정장치
CN220395325U (zh) 锁定装置和车库
JP4616720B2 (ja) プラットホーム用ステップ装置
CA2755082C (en) Sliding platform with dual braking
JP6228885B2 (ja) キャスタ
JPH0638830Y2 (ja) 巻取紙用トロツコの荷台旋回装置
JPS6321790B2 (ko)
JP4097575B2 (ja) 台車収納部
JP3018370U (ja) 立体式駐車装置のパレット保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