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8315B1 -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 Google Patents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8315B1
KR100728315B1 KR1020060043073A KR20060043073A KR100728315B1 KR 100728315 B1 KR100728315 B1 KR 100728315B1 KR 1020060043073 A KR1020060043073 A KR 1020060043073A KR 20060043073 A KR20060043073 A KR 20060043073A KR 100728315 B1 KR100728315 B1 KR 100728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front wheel
cart
rail
aircraft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호
Original Assignee
아틱스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틱스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아틱스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6004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8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8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8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67Service trolleys, e.g. in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용 엔진의 시험시 엔진을 운반할 수 있는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즉, 항공기 엔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엔진지지대; 상기 엔진지지대의 하부에서 전륜프레임 및 후륜프레임과 연결되어 엔진의 하중을 지지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체결구로 체결되어 있으며 레일에 각 끝단에 형성된 홀에 멈춤쇠를 삽입시켜 엔진지지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체; 상기 레일과 체결구를 이용하여 결합고정되는 전륜프레임 및 후륜프레임; 상기 전륜프레임 및 후륜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엔진의 중량을 지지하고 양 끝단에 바퀴가 형성되는 전륜축 및 후륜축; 상기 전륜축에 연결되어 견인차의 견인후크결합부에 결합되는 견인후크를 구비한 핸들바와 전륜축의 양측 끝단에 연결된 바퀴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전륜회전팔과 상기 전륜회전팔과 핸들바를 연결시켜주는 전륜회전팔연결부로 구성되는 엔진카트 조향장치; 및 제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엔진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게 되면 항공기엔진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엔진의 시험 작업 및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항공기 엔진 카트, 시운전용 엔진, 유압 브레이크

Description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Cart for Aircraft Engine Convey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하부 바퀴부분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전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후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레일 상세 조립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전방 견인후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전방 견인후크의 측면 절개도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항공기 엔진 20 : 엔진지지대
25 : 레일 26 : 고정구
30 : 고정체 31 : 멈춤쇠
32 : 멈춤쇠 고정브라켓 33 : 복원스프링
34 : 멈춤링 35 : 레일지지볼트
40 : 전륜프레임 41 : 레일지지프레임
42 : 전륜축 50 : 후륜프레임
51 : 레일지지프레임 52 : 후륜축
60 : 핸들바 61 : 전륜회전팔
62 : 전륜회전팔 연결부 63 : 전륜회전축
70 : 견인후크결합부 80 : 견인후크
81 : 브레이크 장치 82 : 수동브레이크
83 : 슬라이딩 피스톤 84 : 유압 브레이크 레버
85 : 브레이크유 저장공간 86 : 레버 회전축
본 발명은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 엔진은 통상 항공기에 장착되기 전에 미리 엔진의 성능 등에 대해 시 험을 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외관 검사 및 성능 검사 등 여러 가지의 시험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여러 시험을 행하기 위해서는 항공기 엔진을 각 시험을 행하는 장소마다 안전하게 이동을 시켜야 하는 바 항공기 엔진은 엔진의 무게가 자동차 엔진 등 기타 다른 엔진의 무게보다 훨씬 무거울 뿐만 아니라 그 구성 또한 더욱 정교한 것이어서 안전한 이동을 위한 카트는 필수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는 통상 견인차에 연결되어 견인차의 움직임에 따라 카트가 움직이게 되나 견인차의 급격한 속도 변경에 따라 엔진을 견고히 지지해야하는 엔진지지대가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어 엔진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견인차의 속도변경에 따라 엔진지지대가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될 정도는 아니라 하더라도 급격한 감속으로 인해 견인차는 카트의 연결부에 충격을 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엔진에도 충격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견인차의 방향 전환에 따라 엔진 운반용 카트가 원활하게 방향전환을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항공기 엔진이 원심력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어 엔진 이동시에 안전상의 문제점 또한 발생하곤 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항공기 엔진의 운반 등에 있어서 견인차의 방향전환과 동시에 엔진카트도 방향전환이 되어 엔진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견인차의 급격한 감속에 따라 엔진카트도 동시에 감속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견인차와 엔진카트의 충돌로 인한 위험성을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엔진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견인차에 연결되어 항공기 엔진을 운반할 수 있는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에 있어서, 항공기 엔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엔진지지대; 상기 엔진지지대의 하부에서 전륜프레임과 후륜프레임과 연결되어 엔진의 하중을 지지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체결구로 체결되어 있으며 레일에 각 끝단에 형성된 홀에 멈춤쇠를 삽입시켜 엔진지지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체; 상기 레일과 체결구를 이용하여 결합고정되는 전륜프레임 및 후륜프레임; 상기 전륜 프레임 및 후륜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엔진의 중량을 지지하고 양 끝단에 바퀴가 형성되는 전륜축 및 후륜축; 상기 전륜축에 연결되어 견인차의 견인후크결합부에 결합되는 견인후크를 구비한 핸들바와 전륜축의 양측 끝단에 연결된 바퀴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전륜회전팔과 상기 전륜회전팔과 핸들바를 연결시켜주는 전륜회전팔연결부로 구성되는 엔진카트 조향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핸들바 끝단에 연결된 견인후크와, 상기 견인후크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유압브레이크 레버의 하단에 연결되는 슬라이딩 피스톤과, 상기 슬라이딩 피스톤에 하단이 연결되고 중단에는 레버회전축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브레이크유 저장공간과 연결되는 연결구를 구비하는 유압 브레이크 레버로 구성된 엔진카트 제동장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견인차의 감속시 견인후크가 슬라이딩피스톤을 밀게 되고 슬라이딩피스톤은 유압브레이크 레버 하단을 밀게 되어 상기 유압브레이크 레버의 작동으로 브레이크유 저장공간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전륜축의 전륜회전팔에 전륜회전팔의 움직임에 따라 전륜이 자연스럽게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 전륜회전팔의 바퀴쪽 내부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륜회전팔의 홈에 바퀴와 연결되는 전륜축 부분을 상기 홈에 결합한 후 용접함으로써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운반용 카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에 대한 전체 구성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측면도를,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하부 바퀴부분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엔진 운반용 카트는 크게, 시운전용 엔진을 하부에서 지지하며 레일(25)과 레일(25)사이를 가로지르는 2개의 엔진지지대(20)와 상기 엔진지지대(20)가 충격 등에 의해서도 레일(25)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레일(25)의 모서리를 고정시키는 고정체(30), 그리고 상기 고정체(30)가 부착되어 있 으며 엔진지지대(20)와 프레임을 연결 및 고정시켜주는 레일(25)과, 레일(25)과 볼트(35)로 고정되며 엔진(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일정한 경사각을 가진 2개의 전륜프레임(40)과 후륜프레임(50), 그리고 상기 경사각을 가진 2개의 프레임을 연결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가로로 연결 및 고정시켜주는 레일지지 프레임(41,51) 및 상기 전륜프레임(40)과 후륜프레임(5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엔진(10)의 하중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고 양 끝단에는 바퀴가 결합되는 전륜축(42) 및 후륜축(52)으로 구성된다.
전륜축(42)은 견인차와 연결되어 카트가 견인차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해 주는 핸들바(60)와 상기 핸들바(60)의 좌우 이동에 따라 바퀴 또한 좌우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륜회전팔(61)과 전륜회전팔 연결부(62), 그리고 상기 핸들바(60)가 연결되는 전륜축(42)의 끝단에 형성된 2개의 바퀴로 구성된다.
후륜축(52)은 2 이상의 엔진카트 연결시 후방의 엔진카트의 핸들바(60)와 결합되어 카트와 카트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견인후크결합부(70), 카트를 수동으로 정지시키거나 핸들바(60)의 작동으로 자동으로 카트를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81) 및 상기 후륜축(52)의 끝단에 상기 카트가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2개의 바퀴로 구성된다.
통상 항공기용 엔진은 비행기에 장착 전에 수회 내지 수십회의 검사를 행하게 되므로 항공기 엔진의 거치가 안전하게 되어야 하고 운반시에 충격이 없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엔진지지대(20)는 항공기 엔진(10)이 거치 되는 장소로 엔 진(10)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레일(25)과 레일(25)사이를 가로지르는 2개의 금속재 재질이 사용되며 엔진과 접촉되는 엔진 하부에는 지지구를 갖추되, 바람직하게는 엔진의 전단부에 2점 지지와 후단부에 1점 지지의 방법으로 지지구를 갖춘다.
또한, 엔진지지대(20)는 레일(25)에 고정될 수 있도록 엔진지지대(20)의 양끝단에 자체의 클램프 형상의 고정구(26)를 구비하며, 엔진이 레일(25)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25)의 각 끝단에는 견인차의 속도변화에도 엔진지지대(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고정체(30)가 형성된다.
고정체(30)는 상기 카트와 엔진지지대(20)에 거치된 엔진이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켜주는 것으로서 멈춤쇠 고정브라켓(32)과 볼트를 이용하여 레일(25)에 고정된다. 이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레일(25)의 하부에는 레일(25)과 볼트(35)로 고정되어 엔진(10)의 하중을 지지하는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는 일정한 경사각을 가진 2개의 전륜프레임(40)과 후륜프레임(50)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이 하방으로 폭이 좁아지게 구성되는 이유는 바퀴의 움직임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엔진(10)의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금속재의 재질이 사용된다.
2개의 전륜프레임(40)은 일정한 경사각을 가지므로 엔진(10)의 하중을 지지하는데 수직의 구조보다는 덜 견고할 수 있으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2개의 전륜프레임을 연결시켜주는 레일지지프레임(41)이 양 프레임간 가로질러 결합되며 이는 후륜프레임(50) 또한 마찬가지이다.
전륜프레임(40)은 전륜축(42)에 결합되며 상기 전륜축(42)에는 상기 카트가 견인차에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바(6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핸들바(60)는 견인차의 방향전환에 따라 능동적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는 2개의 전륜회전팔(61)과 2개의 전륜회전팔연결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견인차에 연결된 핸들바(60)가 견인차의 좌측으로의 방향전환으로 인해 핸들바(60) 또한 좌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핸들바(60)에 연결된 전륜회전팔연결부(62) 또한 좌측으로 힘을 받게 되고 전륜회전팔연결부(62)의 타측에 연결된 전륜회전팔(61)을 좌측으로 밀게 되어 전륜의 방향을 좌측으로 바꾸어 주어 전체적으로 카트가 좌측으로 움직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는 견인차가 우측으로 방향전환을 하는 경우 또한 마찬가지이다.
후륜프레임(50)은 후륜축(52)에 결합되며 상기 후륜축(52)에는 견인후크결합부(70)와 수동브레이크(82)가 형성되는데, 견인후크결합부(70)는 견인차에 연결되는 엔진카트가 복수개인 경우 엔진카트의 핸들바(60) 조립체를 견인차가 아닌 앞의 엔진카트의 후륜축(52)에 형성된 견인후크결합부(70)에 결합함으로써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엔진카트는 견인차의 이동에 의해 종속적인 이동이 있을 뿐이어서 견인차의 속도변경에 따라 엔진카트의 속도도 변경될 뿐이나, 필요에 의해 엔진카트의 이동을 늦추게 하거나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수동브레이크(82)의 작동에 의해 감속이나 정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동브레이크(82)를 후방으로 작동시킬 경우 수동브레이크(82)의 작동으로 유압브레이크 레버(84)를 작동시키게 되고 유압의 작용으로 인해 브레이크가 작동되어 후륜의 움직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 작동은 수동브레이크(82)의 작동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견인차에 연결되는 핸들바(60)의 작동에 의해서도 가능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의 설명에서 상세히 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전륜 상세도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륜축(42)에는 핸들바(60)의 좌우 이동에 따라 바퀴 또한 좌우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륜회전팔(61)과 전륜회전팔연결부(62)와 상기 핸들바(60) 조립체가 연결되는 전륜축의 끝단에 2개의 바퀴로 구성된다. 상기 전륜회전팔(61)과 전륜회전팔연결부(62)는 좌우 바퀴에 각각 설치되어 구성되며 핸들바(60)의 움직임에 따라 바퀴 또한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준다.
전륜회전팔(61)에는 전륜회전축(63)이 전륜축(42)을 세로로 가로질러 형성되며 전륜회전팔(61)의 좌우로의 움직임이 있을 경우 상기 전륜회전축(63)을 중심으 로 전륜이 움직이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견인차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전륜이 움직이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 굵은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륜회전팔(61)의 움직임에 따라 전륜이 자연스럽게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 전륜회전팔(61)의 바퀴쪽 내부에 바퀴에 연결된 전륜축(42)의 일측이 결합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바퀴쪽 전륜축(42)을 상기 홈에 결합한 후 용접함으로써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시 전륜회전팔(61)의 움직임에 따라 전륜축(42)을 구동시킬 때 받는 힘을 유효하게 전달할 수 있어 견인차의 방향전환에 따라 전륜의 회전이 부드러워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후륜 상세도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륜축(52)에는 후방에서 결합되는 카트의 핸들바(60)와 결합되어 카트와 카트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견인후크결합부(70)와 카트를 수동으로 정지시키거나, 핸들바(60)의 작동으로 자동으로 카트를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장치(81)와 상기 후륜축의 끝단에 상기 카트가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레일 상세 조립도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일(25)에는 고정체(30)가 부착되어 있으며 엔진지지대(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각 모서리 부분마다 네 개의 고정체(3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체(30)는 멈춤쇠(31), 멈춤쇠 고정 브라켓(32), 복원 스프링(33), 평와셔 및 멈춤링(34)으로 구성되는데 멈춤쇠(31)는 멈춤쇠 고정브라켓(32)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여 레일(25) 위쪽까지 연결될 수 있는 작은 원기둥 형태의 금속재질이 사용된다. 또한, 멈춤쇠 고정브라켓(32)은 복원스프링(33)을 지지할 수 있도록 레일(25)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된다.
레일지지볼트(35)는 레일(25)의 하단부의 홀과 레일지지프레임의 상단부에 형성된 홀을 연결시키는 체결구로서 상기 레일지지볼트(35)의 체결에 의해 레일(25)과 레일지지프레임(41,51)이 견고하게 부착되게 된다. 또한, 상기 홀들을 복수개 형성하여 레일(25)을 앞으로 또는 뒤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결합이 가능하므로 엔진의 크기나 용량에 따라 적절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전방 견인후크(80)의 사시도를,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전방 견인후크(80)의 측면 절개도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핸들바(60) 끝단에 견인후크(80), 견인후크(80)와 연결된 슬라이딩 피스톤(83), 슬라이딩 피스톤(83)과 연결되는 유압브레이크 레버(84), 유압브레이크 레버(84)와 연결되는 브레이크유 저장공간(85)으로 구성된다.
핸들바(60)는 엔진카트의 전륜축(42)에 부착되어 견인차의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일정각도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연결부재이다.
견인후크(80)는 견인차의 견인후크결합부(70)에 결합되며 견인차의 견인후크결합부(70)의 모양은 엔진카트 후륜축(52)에 부착된 견인후크결합부(70)의 모양과 같다. 상기 견인후크결합부(70)는 견인후크(8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클램프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부가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상부 개방 후 견인후크(80)를 견인후크결합부(70)에 위치시킨 뒤 상부를 폐쇄시켜 견인후크(80)를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견인후크(80)와 상기 결합부(70)가 연결될 때 견인후크(80)의 홀의 크기를 결합부(70)의 클램프 모양의 결합부위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하여 엔진카트를 이동시킴에 있어 약간의 여유를 주도록 한다.
견인후크(80)에는 슬라이딩 피스톤(83)이 연결되는데, 상기 슬라이딩 피스톤(83)의 일단은 견인후크(80)에, 타단은 유압브레이크 레버(84)의 하단과 연결된다. 즉 견인차가 일정한 속도로 운행하다가 감속을 할 때에는 견인후크(80)의 전단부가 견인차의 결합부(70)의 전단부로 힘을 받게 되고 상기와 같은 힘은 슬라이딩 피스톤(83)에 전해지며 또한 유압브레이크 레버(84)에까지 전해지게 된다.
유압브레이크 레버(84)의 중간부에는 레버회전축(86)을 형성하는 고정나사가 구비되어 유압브레이크의 하단부가 핸들바(60) 방향으로 꺾여질 때 회전축(86)을 중심으로 유압브레이크 레버(84)의 상단부가 견인후크(80)방향 즉, 핸들바(60)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브레이크유 저장공간(85)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유 저장공간(85)에서는 유압배관을 엔진카트의 후륜축(52)에까지 연결시킬 수 있고, 브레이크유 저장공간(85)의 브레이크유가 밀려들어가게 되면 유압이 발생되어 카트의 후륜에 브레이크가 작동하게 된다.
즉, 견인차의 속도를 감속할 경우 기계적으로 엔진카트의 속도가 감속이 되는 것이 아니라, 유압브레이크가 작동되어 견인차와 같이 감속되어 엔진의 이동에 안정성을 기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할 때, 항공기 엔진의 운반 등에 있어서 견인차의 방향전환과 동시에 엔진카트도 방향전환이 되어 엔진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견인차의 급격한 감속에 따라 엔진카트도 동시에 감속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견인차와 엔진카트의 충돌로 인한 위험성을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엔진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견인차에 연결되어 항공기 엔진을 운반할 수 있는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에 있어서,
    항공기 엔진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엔진지지대;
    상기 엔진지지대의 하부에서 전륜프레임과 후륜프레임과 연결되어 엔진의 하중을 지지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체결구로 체결되어 있으며 레일에 각 끝단에 형성된 홀에 멈춤쇠를 삽입시켜 엔진지지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체;
    상기 레일과 체결구를 이용하여 결합고정되는 전륜프레임 및 후륜프레임;
    상기 전륜 프레임 및 후륜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서 엔진의 중량을 지지하고 양 끝단에 바퀴가 형성되는 전륜축 및 후륜축;
    상기 전륜축에 연결되어 견인차의 견인후크결합부에 결합되는 견인후크를 구비한 핸들바와 전륜축의 양측 끝단에 연결된 바퀴의 움직임을 유도하는 전륜회전팔과 상기 전륜회전팔과 핸들바를 연결시켜주는 전륜회전팔연결부로 구성되는 엔진카트 조향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핸들바 끝단에 연결된 견인후크와, 상기 견인후크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유압브레이크 레버의 하단에 연결되는 슬라이딩 피스톤과, 상기 슬라이딩 피스톤에 하단이 연결되고 중단에는 레버회전축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브레이크유 저장공간과 연결되는 연결구를 구비하는 유압 브레이크 레버로 구성된 엔진카트 제동장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는 견인차의 감속시 견인후크가 슬라이딩피스톤을 밀게 되고 슬라이딩피스톤은 유압브레이크 레버 하단을 밀게 되어 상기 유압브레이크 레버의 작동으로 브레이크유 저장공간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브레이크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축의 전륜회전팔에 전륜회전팔의 움직임에 따라 전륜이 자연스럽게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서 전륜회전팔의 바퀴쪽 내부에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륜회전팔의 홈에 바퀴와 연결되는 전륜축 부분을 상기 홈에 결합한 후 용접함으로써 일체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축에는 수동브레이크 레버의 조작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레버를 구비하는 수동 브레이크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축은 2 이상의 엔진카트 연결시 후방의 엔진카트의 견인후크와 결합되어 카트와 카트를 서로 연결하여 주는 견인후크 결합부와, 카트를 수동으로 정지시키거나 핸들바의 작동으로 자동으로 카트를 정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후크 결합부는 그 모양이 견인후크가 결합될 수 있도록 클램프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부가 개방 및 폐쇄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KR1020060043073A 2006-05-12 2006-05-12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KR100728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073A KR100728315B1 (ko) 2006-05-12 2006-05-12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073A KR100728315B1 (ko) 2006-05-12 2006-05-12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8315B1 true KR100728315B1 (ko) 2007-06-13

Family

ID=3835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073A KR100728315B1 (ko) 2006-05-12 2006-05-12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831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2655A (zh) * 2012-09-07 2015-07-29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用于焊接系统的模块化运输的系统和方法
KR102193735B1 (ko) * 2019-07-31 2020-12-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보강형 스마트 유모차
KR102424778B1 (ko) * 2021-01-26 2022-07-25 (주)우수이엔지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KR102450116B1 (ko) * 2022-05-27 2022-10-04 허효원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운반장치
CN115196265A (zh) * 2022-07-15 2022-10-18 北京金晟达生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塔种植盘双驱动装置及使用方法
CN117622276A (zh) * 2023-12-06 2024-03-01 添康科技有限公司 节能电动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021U (ko) 1976-02-18 1977-08-22
US4887836A (en) 1988-08-31 1989-12-19 Command Automation, Inc. Cart with foldable side panels
US5249823A (en) 1992-10-09 1993-10-05 E.B.S. Equipment Services, Inc. Size variable cart
US5449224A (en) 1993-08-09 1995-09-12 Johnson; Kent H. Levered gravity-assisted side dump cart
JPH10203401A (ja) 1997-01-21 1998-08-04 Kimura Unity- Kk 操舵切換え台車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0021U (ko) 1976-02-18 1977-08-22
US4887836A (en) 1988-08-31 1989-12-19 Command Automation, Inc. Cart with foldable side panels
US5249823A (en) 1992-10-09 1993-10-05 E.B.S. Equipment Services, Inc. Size variable cart
US5449224A (en) 1993-08-09 1995-09-12 Johnson; Kent H. Levered gravity-assisted side dump cart
JPH10203401A (ja) 1997-01-21 1998-08-04 Kimura Unity- Kk 操舵切換え台車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2655A (zh) * 2012-09-07 2015-07-29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用于焊接系统的模块化运输的系统和方法
KR102193735B1 (ko) * 2019-07-31 2020-12-2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보강형 스마트 유모차
KR102424778B1 (ko) * 2021-01-26 2022-07-25 (주)우수이엔지 수하물 및 화물 운반용 달리
KR102450116B1 (ko) * 2022-05-27 2022-10-04 허효원 케이블 또는 와이어 권취용 보빈 운반장치
CN115196265A (zh) * 2022-07-15 2022-10-18 北京金晟达生物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塔种植盘双驱动装置及使用方法
CN117622276A (zh) * 2023-12-06 2024-03-01 添康科技有限公司 节能电动车
CN117622276B (zh) * 2023-12-06 2024-05-07 添康科技有限公司 节能电动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8315B1 (ko) 항공기 엔진 운반용 카트
US6659491B2 (en) Trailer system
CN102264575B (zh) 用于运输货物集装箱的拖车及其使用方法
KR101310137B1 (ko) 반송차 및 연결기구
EP2173581B1 (fr) Vehicule modulaire de transport lourd, notamment portuaire
US20040191037A1 (en) Pivoting RAMP device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a motorcycle
CN109760729B (zh) 一种工件转运车
EP1227967B1 (fr) Vehicule, notamment de tourisme, a structure d'encaissement de choc anti-chevauchement
JP5483022B2 (ja) 牽引車利用の台車式搬送装置
US3387726A (en) High lift straddle carrier
CN101282866A (zh) 行李推车
JPH0390469A (ja) 鉄道システム,及び鉄道システム用ボギー台車,後部ワゴン,車体フレーム,軸受部材及びトレーラ
JP2008012956A (ja) 自転車による牽引台車
CN210212449U (zh) 一种滚筒式样台车
JPH0662086B2 (ja) 四輪運搬車
CN206749626U (zh) 一种自卸式货运挂车
JP6607642B2 (ja) リアバンパ装置
CN210437414U (zh) 一种带有刹车功能的行李传送车拖把
RU231346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груза на тележках
JP3083666U (ja) 小型機器等の車輪の車止め装置
JPH0453741B2 (ko)
CN2182099Y (zh) 翻斗自卸运输三轮车
JP4874019B2 (ja) 軌条式運搬車
CN201176139Y (zh) 安装在汽车上的物料提升装置
FI115513B (fi) Työkoneen kuormatilan pinta-alan muuttami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