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6785A -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6785A
KR20010066785A KR1020000023884A KR20000023884A KR20010066785A KR 20010066785 A KR20010066785 A KR 20010066785A KR 1020000023884 A KR1020000023884 A KR 1020000023884A KR 20000023884 A KR20000023884 A KR 20000023884A KR 20010066785 A KR20010066785 A KR 20010066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late
chain
lift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문학
Original Assignee
남궁문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궁문학 filed Critical 남궁문학
Priority to KR1020000023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6785A/ko
Priority to PCT/KR2000/001448 priority patent/WO2001042124A1/en
Priority to EP00983543A priority patent/EP1206409A1/en
Priority to AU20285/01A priority patent/AU2028501A/en
Priority to US09/913,303 priority patent/US20020136625A1/en
Priority to JP2001543432A priority patent/JP3537803B2/ja
Publication of KR20010066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678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441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and keeping the loading platform parallel to the ground when raising the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with wheels for moving around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 E04H6/24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wheeled parking platform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보디프레임에 견인 대상차량과 파레트화된 적재물을 측면으로 들어올려 운반하도록 구성된 리프팅장치를 설치하여 불법 주정차량의 견인조치를 위해 행해지는 사이드 브레이크 해제작업을 하지 않고도 신속히 견인조치를 할 수 있고, 전,후공간을 확보하지 않고도 견인조치를 할 수 있어 단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적재물의 운반목적을 만족 시켜줄 수 있는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리프팅장치는,견인차량의 보디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보디프레임(10)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대(21)에는 실린더수용홈(22)을 형성하여 내측상부에 제 1 실린더(23)의 걸림돌기(23a)가 걸리도록 걸림턱(22a)을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수용홈(22)에 수용되는 제 1 실린더(23)의 상부일측에는 이송대지지판(27)을 상기 각각의 제 1 실린더(23)와 연결 설치하고, 이 이송대지지판(27)의 상부에는 이송대(50)를 설치하며, 상기 제 1 실린더(23)의 내측에는 제 2 실린더(24)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제 2 실린더(24)의 하부에 결합된 로드(24b)에는 지지발(26)이 결합되어 있고, 이 지지발(26)은 상기 지지대(21)의 일측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21a)에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프레임(30)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브라켓(31)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발(26)이 인출될때 가이드프레임(30)도 함께 하측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 리프팅부(20)와,
상기 지지발(26)과 결합되는 브라켓(31)의 타측으로 안내판(32)이 설치됨과함께 수직가이드홈(33)과, 수평 가이드홈(34)으로 구성되며, 이 수직, 수평 가이드홈(33, 34)의 내측에는 발판부(40)의 승강판(41)의 일측에 설치된 스프로켓(46b)과 연결되는 체인(35)이 설치된 가이드프레임(30)과,
상기 리프팅부(20)의 사이 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승강판(41)과 지지판(42) 사이에는 1쌍의 지지대(43, 44)의 중간부가 힌지(H)에 의해 결합된 승강대(45)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대(45)의 지지대(43, 44)의 일측은 상기 승강판(41)과 지지판(42)의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과 함께 타측에는 롤러(43a, 44a)가 설치되어 이 롤러(43a, 44a)가 각각 상기 승강판(41)과 지지판(42)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43, 44)는 실린더(45a)의 신장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세워져 승강판(41)을 상부로 상승시켜주도록 된 발판부(40)와,
상기 승강판(41)의 일측에 제 1모터(46)가 설치되고, 이 제 1모터(46)의 일측에는 끝단에 스프로켓(46b)이 설치된 연결축(46a)이 풀리 또는 체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프로켓(46b)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의 수직, 수평 가이드홈(32,33)의 내측에 설치된 체인(35)과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제 1모터(46)의 회전에 의해 스프로켓(46b)이 체인(35)을 타고 이동됨과 함께 승강판(41)이 리프팅부(20)의 사이 공간에서 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승강판(41)의 양측에는 체인(47)이 설치되고, 이 체인은(47)은 제 2모터(48)에 풀리나 체인으로 연결된 연결축(48a)과 연결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구성된 것과,
상기 보디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양측에는 체인(51)이 설치되고, 이체인은(51)은 보디프레임(10)에 설치된 제 3모터(52)의 회전에 의해 풀리나 체인으로 연결된 연결축(53)과 연결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구성된 이송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Lifting apparatus for special-purpose vehicle}
본 발명은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견인 대상차량과 파레트화된 적재물을 측면으로 들어올려 운반하기 위한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장차량이란 특수한 기능의 장치가 부여된 차량으로서, 이러한 차량에는 츄레라, 크레인차, 견인차량등이 있다.
상기 특장차량중 불법 주정차량 및 고장차량을 운반 하도록 구성된 견인차량으로 불법 주정차량을 단속하거나 또는 고장으로 인한 견인 대상차량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L)의 가장자리 부분에 일렬로 불법주차되거나 고장으로 인한 견인 대상차량(2)의 앞부분이나 뒷부분을 견인차량(1)의 삼각대와 크레인장치를 이용하여 들어올린후, 견인조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견인조치를 하기 위해서는 바퀴의 고정을 해제하여야 하는데 주차된 견인 대상차량(2)의 사이드 브레이크를 해제하기 위해 견인차량(1) 운전자가 주차된 견인 대상차량(2)의 도어를 개방한후 상기 사이드 브레이크를 해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견인차량(1) 운전자가 임으로 견인 대상차량(2)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행하여지는 방법은 견인 대상차량(2)에 흡집이나 도어록의 파손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도어의 개방이 안되어 사이드 브레이크를 해제하지 못했을 경우 불법주차된 차량을 그래로 방치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견인조치를 하기 위해서는 견인 대상차량(2)의 앞부분이나 뒷부분에 견인조치에 필요간 공간이 확보가 되어야만 하며, 그렇치 아니할 경우 견인 대상차량(2)의 측면에서 견인초치를 해야 하는데 이는 다른 차량의 운행에 방해가 될뿐만 아니라 사고의 위험성도 높은 문제점이 생기게 되었다.
한편, 상기 특장차량중 크레인이 설치된 크레인차량은 적재물을 자기차의 적재함에 적재하기는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크레인이 설치되는 공간 만큼을 뺀 상태이므로 적재함의 적재용량이 그 만큼 줄어들어 다른 동급의 운반차량보다 적은 적재물을 적재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지게차량과 같이 적재보조 목적으로는 적절한 차량이기는하나, 운반 목적차량으로는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등을 해소 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보디프레임에 견인 대상차량과 파레트화된 적재물을 측면으로 들어올려 운반하도록 구성된 리프팅장치를 설치하여 불법 주정차량의 견인조치를 위해 행해지는 사이드 브레이크 해제작업을 하지 않고도 신속히 견인조치를 할 수 있고, 전,후공간을 확보하지 않고도 견인조치를 할 수 있어 단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적재물의 운반목적을 만족 시켜줄 수 있는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특장차량중 견인차량의 견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견인차량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리프팅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발판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리프팅장치를 이용하여 견인 대상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준비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리프팅부의 작동상태의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발판부를 인출하여 견인 대상차량을 리프팅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리프팅부를 이용하여 견인 대상차량을 리프팅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송대를 이용하여 견인 대상차량이 재치된 받침대를 견인차량으로 이송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보디프레임 20 : 리프팅부
21 : 지지대 21a : 이탈방지돌기
22 : 실린더수용홈 23 : 1 실린더
23a : 걸림돌기 24 : 제 2 실린더
24b : 로드 26 : 지지발
30 : 가이드프레임 31 : 브라켓
32 : 안내판 33 : 수직가이드홈
34 : 수평가이드홈 35 : 체인
40 : 발판부 41 : 승강판
42 : 지지판 45 : 승강대
50 : 이송대 51 : 체인
52 : 제 3모터 53 : 연결축
본 발명에 따른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는, 차량의 보디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보디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대에는 실린더수용홈을 형성하여 내측상부에 제 1 실린더의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수용홈에 수용되는 제 1 실린더의 상부일측에는 이송대지지판을 상기 각각의 제 1 실린더와 연결설치하고, 이 이송대지지판의 상부에는 이송대를 설치하며, 상기 제 1 실린더의 내측에는 제 2 실린더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제 2 실린더의 하부에 결합된 로드에는 지지발이 결합되어 있고, 이 지지발은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에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프레임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브라켓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발이 인출될때 가이드프레임도 함께 하측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 리프팅부와, 상기 지지발과 결합되는 브라켓의 타측으로 안내판이 설치됨과 함께 수직가이드홈과, 수평 가이드홈으로 구성되며, 이 수직, 수평 가이드홈의 내측에는 발판부의 승강판의 일측에 설치된 스프로켓과 연결되는 체인이 설치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리프팅부의 사이 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승강판과 지지판 사이에는 1쌍의 지지대의 중간부가 힌지에 의해 결합된 승강대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대의 지지대의 일측은 상기 승강판과 지지판의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과 함께 타측에는 롤러가 설치되어 이 롤러가 각각 상기 승강판과 지지판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는 실린더의 신장에 의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세워져 승강판을 상부로 상승시켜주도록 된 발판부와, 상기 승강판의 일측에 제 1모터가 설치되고, 이 제 1모터의 일측에는 끝단에 스프로켓이 설치된 연결축이 풀리 또는 체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프로켓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수직, 수평 가이드홈의 내측에 설치된 체인과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제 1모터의 회전에 의해 스프로켓이 체인을 타고 이동됨과 함께 승강판이 리프팅부의 사이 공간에서 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승강판의 양측에는 체인이 설치되고, 이 체인은 제 2모터에 풀리나 체인으로 연결된 연결축과 연결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구성된 것과, 상기, 보디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양측에는 체인이 설치되고, 이 체인은 보디프레임에 설치된 제 3모터의 회전에 의해 풀리나 체인으로 연결된 연결축과 연결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구성된 이송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견인차량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리프팅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대한 발판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지시부호 10은 차량의 보디프레임으로서, 이 보디프레임(10)의 양측에는 지지대(21)가 대칭으로 바퀴(11)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끝단이 하측으로 연장되어 실린더수용홈(22)을 형성하며, 상기 실린더수용홈(22)의 내측상부에는 제 1 실린더(23)의 걸림돌기(23a)가 걸리도록 걸림턱(2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수용홈(22)에 수용되는 제 1 실린더(23)의 상부일측에는 이송대지지판(27)을 상기 각각의 제 1 실린더(23)와 연결설치하고, 이 이송대지지판(27)의 상부에는 이송대(50)를 설치하여, 상기 제 1 실린더(23)가 상부로 인출될때 이송대지지판(27)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대(50)도 함께 상승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제 1 실린더(23)의 내측상부에는 제 2 실린더(24)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편(24a)이 핀(25)으로 결합되어 있고, 이 제 2 실린더(24)의 하부에 결합된 로드(24b)에는 지지발(26)이 결합되어 있다.
지지발(26)은 상기 지지대(21)의 일측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21a)에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프레임(30)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브라켓(31)과 결합되어 상기 로드(24b)의 인출로 지지발(26)이 인출될때 가이드프레임(30)도함께 하측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하여 리프팅부(20)를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은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브라켓(31)의 타측으로 발판부(40)의 인출을 지지함과 동시에 이 발판부(40)가 안정되게 인출되도록 받쳐줄수 있는 면적을 갖는 안내판(32)이 설치됨과 함께 수직가이드홈(33)과, 수평 가이드홈(34)으로 구성되며, 이 수직, 수평 가이드홈(33, 34)의 내측에는 발판부(40)의 승강판(41)의 일측에 설치된 스프로켓(46b)과 연결되는 체인(35)이 설치된다.
발판부(40)는 견인대상차량을 승강시킬 수 있는 폭으로 서로 대응지게 한쌍으로 구성되며, 리프팅부(20)의 사이 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므로 도 4 에서와 같이 한쪽만 도시하여 설명하면, 발판부(40)는 승강판(41)과, 지지판(42)및 이송판(49)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판(41)과 지지판(42) 사이에는 1쌍으로 된 지지대(43,44)의 길이방향 중간부가 힌지(H)에 의해 결합된 가위형상의 승강대(45)가 설치된다.
승강대(45)의 지지대(43, 44)는 서로 겹쳤을때 겹침을 방해 받지 않는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대(45)의 지지대(43, 44)에 있어서 지지대 43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지지판(4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지대 44의 길이방향 일단부는 승강판(4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지지대 43의 타단부와 지지대 44의 타단부에는 각각 롤러(43a, 44a)가 설치되어 이들 롤러(43a, 44a)가 각각 상기 승강판(41)과 지지판(42)의 길이방향에 형성된 가이드홈(41a, 42a)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승강판(41)과, 지지판(42)의 가이드홈(41a, 42a)은 상기 롤러(43a, 44a)가 이탈되지 않도록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42)의 길이방향 일측 선단부 가까이에는 실린더(45a)의 길이방향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함께 실린더(45a)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지지대(44)의 중간부 가까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지지판(42)에는 상기 실린더(45a)의 작동을 보조하기 위한 복동의 보조실린더(45b)가 수직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보조실린더(45b)의 상부에는 캡 형상의 지지캡(45c)이 결합되어 있으며 지지캡(45c)의 하단부 외주에는 걸림돌기(45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캡(45c)은 승강판(41)과 이송판(49)에 형성된 개방구멍(41b, 49a))에 입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걸림돌기(45d)는 개방구멍(41b)의 하측에 위치되어 보조실린더(45b)의 상승 동작시 상기 걸림돌기(45d)가 개방구멍(41b) 선단측의 승간판(41) 저면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실린더(45a)와 보조실린더(45b)를 신장시키면 작동 초기에는 보조실린더(45b)에 의해 승강판(41)이 이송판(49)과 함께 상승하게 되며 이후 실린더(45a)가 경사상태로 되면 실린더(45a)의 작동에 의해 상기 지지대(43, 44)가 힌지(H)를 중심으로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세워져 승강판(41)과 이송대(49)를 상승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동작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3, 44)에 설치된 각 롤러(43a,44a)는 상기 승강판(41)과 지지판(42)의 각가이드홈(41a, 42a)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승강판(41)의 일측에는 발판부(40)를 리프팅부(20)의 사이 공간에서 인출시켜주는 동력원인 제 1모터(46)가 설치되고, 이 제 1모터(46)의 일측에는 끝단에 스프로켓(46b)이 설치된 연결축(46a)이 풀리 또는 체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축(46a)의 끝단에 설치된 스프로켓(46b)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의 수직, 수평 가이드홈(33,34)의 내측에 설치된 체인(35)과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제 1모터(46)의 회전에 의해 스프로켓(46b)이 체인(35)을 타고 이동됨과 함께 승강판(41)이 리프팅부(20)의 사이 공간에서 인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의 수직, 수평 가이드홈(33, 34)의 내측에 설치된 체인(35)과 맞물리도록 설치된 스프로켓(46b)은 발판부(40)가 리프팅부(20)의 사이 공간에서 인출되도록 구성한 것임으로 렉크와 피니언등으로 구동되는 동력장치로 변경 설치하여도 무방하며, 동력장치가 아닌 피스톤등의 유압장치로도 변경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승강판(41)의 양측에는 견인차량의 보디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대(50)로 이송판(49)를 이송시켜주기 위한 체인(47)이 설치되고, 이 체인은(47)은 제 2모터(48)에 풀리나 체인으로 연결된 연결축(48a)과 연결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송대(50)는 보디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양측에 체인(51)이 설치되고, 이 체인은(51)은 보디프레임(10)에 설치된 제 3모터(52)의 회전에 의해 풀리나 체인으로 연결된 연결축(53)과 연결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이송대(50)의 폭은 상기 이송판(49)이 이송대(50)로 이송될때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송되도록 상기 발판부(40)의 폭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프팅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리프팅장치를 이용하여 견인 대상차량을 견인하기 위한 준비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리프팅부의 작동상태의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발판부를 인출하여 견인 대상차량을 리프팅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리프팅부를 이용하여 견인 대상차량을 리프팅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송대를 이용하여 견인 대상차량이 재치된 받침대를 견인차량으로 이송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견인차량의 보디프레임(10)에 설치된 리프팅장치를 이용하여 불법 주정차량이나 고장으로 인한 견인 대상차량의 견인 또는 파레트와된 적재물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도 5에서와 같이 견인 대상차량(2)의 측면에다 차량을 정차 시킨후,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도 6에서와 같이 리프팅부(20)의 지지대(21)의 실린더수용홈(22)에 수용되어 있는 제 2 실린더(24)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 2 실린더(24)의 하부에 결합된 로드(24b)와 상부에 결합된 제 1 실린더(23)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면서 제 1 실린더(23)는 상부로 인출되고, 로드(24b)는 지면으로 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실린더(23)의 상부일측에 설치된 이송대지지판(27)에 설치된 이송대(50)도 함께 상승하게되어 뒤에서 설명하는 견인 대상차량(2)이나 파레트화된 적재물을 적재할 때 다른 장치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은 제 1실린더(23)의 걸림돌기(23a)가 상기 실린더수용홈(22)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22a)에 걸리고, 로드(24b)에 결합된 지지발(26)이 지면과 접촉할때까지만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발(26)이 로드(24b)에 의해 인출되면, 이 지지발(26)과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브라켓(31)과 결합된 가이드프레임(30)도 함께 하측으로 슬라이딩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프레임(30)이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지면에 접촉하게 되면, 다시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발판부(40)의 승강판(41)의 일측에 설치된 제 1모터(46)를 구동시켜 연결축(46a)을 회전 시키면 이 연결축(46a)의 끝단에 설치된 스프로켓(46b)이 회전되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의 수직, 수평 가이드홈(33, 34)의 내측에 설치된 체인(35)을 타고 이동됨에 따라 발판부(40)가 리프팅부(20)의 사이 공간에서 인출되어 견인 대상차량(2)의 측면으로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판부(40)는 가이드프레임(30)에 설치된 안내판(32)의 안내를 받으면서 안정되게 인출되는 것이다.
그 후, 도 8에서와 같이 실린더(45a)와 보조실린더(45b)를 작동시키면, 승강대(45)의 지지대(43, 44)가 힌지(H)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지지대(43, 44)에 설치된 각 롤러(43a, 44a)가 상기 승강판(41)과 지지판(42)의 가이드홈(41a, 42a)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되면서 승강판(41)을 상부로 상승시켜주는것에 의해 발판부(40)에 견인대상차량(2)이 재치되면서 상부로 승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대(43, 44)의 롤러(43a, 44a)는 가이드홈(41a, 42a)의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승강판(41)과 지지판(42)의 가이드홈(41a, 42a)에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된다.
상기와 같이 견인대상차량(2)이 상부로 승강되면 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판(41)에 설치된 제 2모터(48)를 구동시켜 상기 승강판(41)의 양측에 설치된 체인(47)을 회전 시키면, 이 체인(47)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판(41)의 상부에 재치된 이송판(49)이 견인차량의 보디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대(50)로 이동된다.
그 후, 상기 보디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대(50)의 체인(51)을 제 3모터(52)의 구동으로 회전시켜주어 이송대(50)로 이동된 이송판(49)을 이송대(50)로 이동 시켜준다.
이때 상기 이송판(49)의 상부에는 견인대상차량(2)이 재치돼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견인대상차량(2)은 발판부(40)에서 이송판(49)의 이동으로 이송대(50)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견인대상차량(2)을 발판부(40)에서 이송대(50)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발판부(40)는 지금까지 작동된 것의 역순으로 작동되어 리프팅부(20)의 사이 공간에서 인입되어 견인작업이 완료된다.
상기 설명은 견인대상차량(2)에 한정지어 설명한 것이고, 파레트화된 적재물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적재하여 운반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에 견인 대상차량이나 파레트화된 적재물을 측면으로 들어올려 견인할 수 있는 리프팅장치를 설치하여 고장차량등을 견인과, 불법 주정차량의 견인조치를 위해 행해지는 사이드 브레이크 해제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신속한 견인조치를 할 수 있고, 전, 후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도 견인조치를 할 수 있으므로 단속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적재물의 운반목적을 만족 시켜줄 수 있어 차량의 사용목적에 따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견인 및 운반의 목적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데 큰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견인차량의 보디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보디프레임(10)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대(21)에는 실린더수용홈(22)을 형성하여 내측상부에 제 1 실린더(23)의 걸림돌기(23a)가 걸리도록 걸림턱(22a)을 형성하고, 상기 실린더수용홈(22)에 수용되는 제 1 실린더(23)의 상부일측에는 이송대지지판(27)을 상기 각각의 제 1 실린더(23)와 연결 설치하고, 이 이송대지지판(27)의 상부에는 이송대(50)를 설치하며, 상기 제 1 실린더(23)의 내측에는 제 2 실린더(24)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제 2 실린더(24)의 하부에 결합된 로드(24b)에는 지지발(26)이 결합되어 있고, 이 지지발(26)은 상기 지지대(21)의 일측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21a)에 상, 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프레임(30)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된 브라켓(31)과 결합되어 상기 지지발(26)이 인출될때 가이드프레임(30)도 함께 하측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된 리프팅부(20)와,
    상기 지지발(26)과 결합되는 브라켓(31)의 타측으로 안내판(32)이 설치됨과 함께 수직가이드홈(33)과, 수평 가이드홈(34)으로 구성되며, 이 수직, 수평 가이드홈(33, 34)의 내측에는 발판부(40)의 승강판(41)의 일측에 설치된 스프로켓(46b)과 연결되는 체인(35)이 설치된 가이드프레임(30)과,
    상기 리프팅부(20)의 사이 공간에 수용되도록 설치되며, 승강판(41)과 지지판(42) 사이에는 1쌍의 지지대(43, 44)의 중간부가 힌지(H)에 의해 결합된 승강대(45)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대(45)의 지지대(43, 44)의 일측은 상기승강판(41)과 지지판(42)의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고정됨과 함께 타측에는 롤러(43a, 44a)가 설치되어 이 롤러(43a, 44a)가 각각 상기 승강판(41)과 지지판(42)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43, 44)는 실린더(45a)의 신장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세워져 승강판(41)을 상부로 상승시켜주도록 된 발판부(40)와,
    상기 승강판(41)의 일측에 제 1모터(46)가 설치되고, 이 제 1모터(46)의 일측에는 끝단에 스프로켓(46b)이 설치된 연결축(46a)이 풀리 또는 체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스프로켓(46b)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의 수직, 수평 가이드홈(32,33)의 내측에 설치된 체인(35)과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제 1모터(46)의 회전에 의해 스프로켓(46b)이 체인(35)을 타고 이동됨과 함께 승강판(41)이 리프팅부(20)의 사이 공간에서 인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승강판(41)의 양측에는 체인(47)이 설치되고, 이 체인은(47)은 제 2모터(48)에 풀리나 체인으로 연결된 연결축(48a)과 연결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구성된 것과,
    상기 보디프레임(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양측에는 체인(51)이 설치되고, 이 체인은(51)은 보디프레임(10)에 설치된 제 3모터(52)의 회전에 의해 풀리나 체인으로 연결된 연결축(53)과 연결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도록 구성된 이송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30)의 수직, 수평 가이드홈(32, 33)의내측에 설치된 체인(35)과 맞물리도록 설치된 스프로켓(46b)을 동력장치가 아닌 피스톤등의 유압장치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승강판(41)과 지지판(42) 사이에는 보조실린더(45b)를 설치하여 이 보조실린더(45b)에 의해 승강판(41)에 최초의 상승력을 부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KR1020000023884A 1999-12-13 2000-05-04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KR20010066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884A KR20010066785A (ko) 1999-12-13 2000-05-04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PCT/KR2000/001448 WO2001042124A1 (en) 1999-12-13 2000-12-13 Lifting apparatus for special-purpose vehicle
EP00983543A EP1206409A1 (en) 1999-12-13 2000-12-13 Lifting apparatus for special-purpose vehicle
AU20285/01A AU2028501A (en) 1999-12-13 2000-12-13 Lifting apparatus for special-purpose vehicle
US09/913,303 US20020136625A1 (en) 1999-12-13 2000-12-13 Lifting apparatus for special-purpose vehicle
JP2001543432A JP3537803B2 (ja) 1999-12-13 2000-12-13 特装車両のリフト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7063 1999-12-13
KR19990057063 1999-12-13
KR1020000023884A KR20010066785A (ko) 1999-12-13 2000-05-04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6785A true KR20010066785A (ko) 2001-07-11

Family

ID=2663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884A KR20010066785A (ko) 1999-12-13 2000-05-04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136625A1 (ko)
EP (1) EP1206409A1 (ko)
JP (1) JP3537803B2 (ko)
KR (1) KR20010066785A (ko)
AU (1) AU2028501A (ko)
WO (1) WO20010421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50B1 (ko) * 2001-08-08 2008-01-02 김기충 불법주차차량 강제이동 차
CN111056487A (zh) * 2020-01-13 2020-04-24 刘兆喜 一种可升降的物流推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5143B4 (de) * 2007-07-25 2014-02-27 Gerhard Volkner Fahrzeug
CN101418644B (zh) * 2008-12-05 2010-12-01 陈友荣 移位升降的二层车库
JP5566206B2 (ja) * 2010-06-30 2014-08-06 株式会社浜名ワークス サイドフォークリフト車及び自動車の積込み方法
US9815527B2 (en) * 2012-06-22 2017-11-14 Robertson & Caine (Pty), Ltd. Marine lift for multi-hull vessels
CN102767298B (zh) * 2012-08-07 2014-07-02 浙江大学 一种简易移库小车
KR101445456B1 (ko) * 2012-12-11 2014-09-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 이송장치
CN103628722B (zh) * 2013-12-12 2016-02-03 上海海事大学 一种停车辅助装置
CN103938901B (zh) * 2014-04-23 2017-08-15 何儒清 机、架组合存车法和实现该法的设备系统
CA2977568C (en) * 2015-03-10 2023-09-12 Presby Patent Trust Loading/unloading device for a delivery vehicle
CN106274599B (zh) * 2016-08-27 2018-09-28 国网山东省电力公司蓬莱市供电公司 一种电力吊装装置
CN108675205A (zh) * 2018-05-25 2018-10-19 合肥航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举升臂横向移动方法和实现该方法的举升机
CN108843072B (zh) * 2018-07-11 2020-04-07 盐城工学院 一种z形无避让立体车库
CN109368203A (zh) * 2018-12-03 2019-02-22 江苏盟星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滚筒自动称重上料机构
US11364834B2 (en) 2020-11-10 2022-06-21 David William PRESBY Loading/unloading device for a delivery vehicle
CN113068082A (zh) * 2021-03-11 2021-07-02 安徽超清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5g基站安装设备
DE102021202745A1 (de) * 2021-03-22 2022-09-22 Hyundai Motor Company Fahrzeugplattform,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aufladen und abladen einer oberen karosseriestruktur auf eine und von einer fahrzeugplattform eines kraftfahrzeugs
CN115321415B (zh) * 2022-09-09 2023-06-09 济南中舟技术有限公司 一种自装卸设备传动机构的传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8111A (ja) * 1992-03-06 1993-09-24 San Sekkei Jimusho:Kk 2段式立体駐車装置
KR950008102B1 (ko) * 1992-03-27 1995-07-25 이종윤 로변 주차장치
EP0864023A1 (en) * 1995-11-27 1998-09-16 Moon Hak Nam Gung Double-pallet parking garage
KR0164683B1 (ko) * 1995-11-27 1999-02-18 남궁문학 2단 주차장치
JPH10280719A (ja) * 1997-04-04 1998-10-20 Nabco Ltd ピット型駐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50B1 (ko) * 2001-08-08 2008-01-02 김기충 불법주차차량 강제이동 차
CN111056487A (zh) * 2020-01-13 2020-04-24 刘兆喜 一种可升降的物流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8501A (en) 2001-06-18
WO2001042124A1 (en) 2001-06-14
JP2003516274A (ja) 2003-05-13
JP3537803B2 (ja) 2004-06-14
US20020136625A1 (en) 2002-09-26
EP1206409A1 (en) 200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66785A (ko)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US7736113B2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 motor vehicle in a parking system
US6413033B1 (en) Cargo carrier for vehicle
AU2013405692B2 (en) Conveyance system for object to be conveyed and conveyance method
US4087007A (en) Cargo platform system
KR100568463B1 (ko) 피킹 및 상승 연속동작이 가능한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
JP2008221963A (ja) ウイング形トラックの積荷の積卸し装置
US7222688B2 (en) Cab sliding device of industrial machine
JPH0738092U (ja) 荷役搬送用昇降機
KR102115230B1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KR20200120314A (ko) 화물 분리가 용이한 농업용 지게차
JPH04121394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ベア
KR100679464B1 (ko) 특장차량의 리프팅장치
JPH0744685Y2 (ja) 駐車装置
JP2588189Y2 (ja) 駐車場設備における車輪止め装置
SU1493608A1 (ru) Погрузчик
JP2001240212A (ja) 台車用自動倉庫
JPH10238154A (ja) 物品格納装置
JP3030014B2 (ja) 重機運搬車両
KR200386324Y1 (ko) 피킹 및 상승 연속동작이 가능한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
JP3868328B2 (ja) 地下式駐車装置
JP2900728B2 (ja) キャブ付き出し入れ装置
JPH11192874A (ja) 重機運搬車両
RU2092429C1 (ru) Погрузчик для загрузки и выгрузки вагонов
JPS63143105A (ja) 回転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