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000B1 -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000B1
KR102450000B1 KR1020220021815A KR20220021815A KR102450000B1 KR 102450000 B1 KR102450000 B1 KR 102450000B1 KR 1020220021815 A KR1020220021815 A KR 1020220021815A KR 20220021815 A KR20220021815 A KR 20220021815A KR 102450000 B1 KR102450000 B1 KR 102450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extract
hot water
water extract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권영인
김태양
Original Assignee
이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호 filed Critical 이용호
Priority to KR1020220021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000B1/ko
Priority to TW112105844A priority patent/TW202333763A/zh
Priority to PCT/KR2023/002319 priority patent/WO20231582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08Caffeine, coffee extract

Abstract

본 발명은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식후 혈당조절이나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또는 혈관합병증 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사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약효가 우수한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ostprandial anti-hyperglycemia comprising coffee extract}
본 발명은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국당뇨병협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에 따르면, 인체의 공복 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또는 식사 후 2시간이 지난 혈당이 200mg/dL일 때 이를 당뇨병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혈당조절은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이고, 당뇨병의 합병증 유발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혈당은 공복 혈당, 식후 혈당 및 당화혈 색소가 동시에 조절되어야 한다. 특히 식후 혈당은 당뇨병성 혈관 합병증을 유발하는 주된 병리기전이고, 혈당조절이 양호한 정상군이나 당뇨병의 유병기간이 길지 않은 환자에게서 식후 혈당 조절은 당뇨병의 발병이나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식후 고혈당은 LDL 산화과정을 촉진하고, 내피세포에서 NO 생산과 이용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FMD를 억제하며, 내피세포와 백혈구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고 내피세포에서 다양한 염증유발 및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내피세포 기능을 감소시킨다. 내피세포 기능장애는 심혈관 질환 발생의 첫 단계이자, 가장 초기에 발견될 수 있는 표지자로 알려져 있으므로, 식후 고혈당은 산화스트레스 유발 및 내피세포기능장애에 기여하여 혈관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996985호는 κ-카제인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P-1 분비 촉진제 및 식후 혈당값 상승 억제제, 및 젖 유래의 카제인 단백질을 함유하고, 해당 젖 유래의 카제인 단백질의 60질량% 이상이 κ-카제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P-1 분비 촉진용 음식품 및 식후 혈당값 상승 억제용 음식품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66613호는 혈당상승억제 효능을 갖는 아르기닌 유도체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155079호는 녹차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카테킨 칼레이트를 이용한 식후 혈당상승과 비만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0924478호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 교환 수지인 콜레스티미드를 이용한 식후 과혈당 개선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당뇨의 발병 또는 당뇨병 환자에게서 식후 고혈당 조절이 매우 중요하고, 식후 고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약제들이 적절히 투여된다면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96985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6661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5507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24478호
본 발명은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식후 혈당조절이나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또는 혈관합병증 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물은 로스팅된 커피의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물은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식후 혈당조절이나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또는 혈관합병증 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사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약효가 우수한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커피 추출물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2는 카페산, 클로로겐산 및 퀸산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3은 커피 추출물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4는 카페산, 클로로겐산 및 퀸산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5는 커피 추출물의 폐놀계 화합물의 함량을 나타낸다.
도 6은 커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도 7은 sucrose에 의한 커피 추출물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도 8은 sucrose에 의한 클로로겐산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도 9는 starch에 의한 커피 추출물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도 10은 starch에 의한 클로로겐산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도 11은 커피 추출물의 HPLC 결과를 나타낸다. (a) Mild, (b) medium, (c) Medium-dark, (d) Dark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커피 추출물은 로스팅된 커피의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피는 원두, 로스팅된 원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로스팅된 원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스팅된 커피 원두는 200~250℃에서 30초~1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스팅된 커피 원두는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 200~250℃에서 7~10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dark) 및 200~250℃에서 12~1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Dark)에서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20℃에서 1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로스팅된 커피 원두로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 및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Mild 및 Medium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로스팅된 커피 원두로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 및 200~250℃에서 12~1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Dark)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Mild, Medium 및 Dark의 중량비는 100:30~50:10~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피 추출물은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용매로 가열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농축액을 동결 건조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추출은 로스팅된 커피 원두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500~2,000중량부를 가하고 30~150℃에서 10분~1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가열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모두 제거한 다음 농축액을 동결 건조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커피 추출물은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증류수로 가열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커피 열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알코올로 가열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커피 알코올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알코올로 가열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알코올을 제거한 후, 증류수로 수용화한 커피 수용성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피 수용성 추출물은 물에 잘 녹고 점도가 낮아 가공이 간편하고, 상기 수용화 과정을 거치면서 일부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커피 수용성 추출물은 그대로 사용하거나 감압 농축하여 증류수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로서 커피 열수 추출물, 커피 알코올 추출물 및 커피 수용성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커피 열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로서 커피 열수 추출물 및 커피 수용성 추출물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커피 열수 추출물 및 커피 수용성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커피 열수 추출물로서, 200~250℃에서 30초~1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의 열수 추출물, 200~250℃에서 7~10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dark)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12~1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Dark)의 열수 추출물에서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피 열수 추출물로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20℃에서 1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열수 추출물로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의 열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Mild의 열수 추출물 및 Medium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열수 추출물로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12~1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Dark)의 열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Mild의 열수 추출물, Medium의 열수 추출물 및 Dark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30~50:10~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텍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롤로즈, 메틸 셀롤로즈, 미정질 셀롤로즈, 폴리비닐 피톨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품은 각종 식품류, 캔디,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의 형태일 수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음료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커피 추출물의 In-vitro 항당뇨 활성
(가) Rat intestinal α-glucosidase inhibition assay
● 효소: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
● substrate: PNP-glycoside(pNPG, p-Nitrophenyl α-D-glucopyranoside)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 150mg을 0.1M sodium phosphate buffer(pH 6.9; 0.9% sodium chloride 포함) 9㎖에 첨가하여 30초간 12회 ice water bath에서 초음파처리 후, 13,000rpm, 4℃에서 3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Rat intestinal α-glucosidase Inhibition assay에 사용하였다.
Rat α-glucosidase solution 100㎕와 Sample solution 50㎕를 넣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0㎕의 5mM pNPG 용액을 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405nm에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분석하였다.
도 1은 커피 추출물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Mild는 220℃에서 1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이고, Medium은 220℃에서 5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이며, Med-dark는 220℃에서 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이며, Dark는 220℃에서 15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을 의미한다.
커피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다.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며, Mild 및 Medium의 열수 추출물의 저해 활성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1은 커피 열수 추출물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50% 저해활성 농도(IC50)를 나타내고 있다.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mg/㎖)
Mild의 열수 추출물 4.17
Medium의 열수 추출물 4.11
Med-dark의 열수 추출물 4.38
Dark의 열수 추출물 4.43
아래 표 2는 커피 열수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50% 저해활성 농도(IC50)를 나타내고 있다.
Mild의 열수 추출물:
Medium의 열수 추출물
(중량비)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mg/㎖)
100:0 4.17
90:10 4.15
70:30 3.74
50:50 4.22
0:100 4.11
Mild의 열수 추출물 및 Medium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가 70:30 인 경우, 50% 저해활성 농도(IC50)가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커피 열수 추출물로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의 열수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Mild의 열수 추출물 및 Medium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표 3은 커피 열수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50% 저해활성 농도(IC50)를 나타내고 있다.
Mild의 열수 추출물:
Medium의 열수 추출물:
Dark의 열수 추출물
(중량비)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mg/㎖)
100:40:5 4.19
100:40:20 3.79
100:40:40 4.26
Mild의 열수 추출물, Medium의 열수 추출물 및 Dark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가 100:40:5 인 경우, 50% 저해활성 농도(IC50)가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커피 열수 추출물로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12~1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Dark)의 열수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Mild의 열수 추출물, Medium의 열수 추출물 및 Dark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30~50:10~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카페산, 클로로겐산 및 퀸산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카페산, 클로로겐산 및 퀸산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며, 클로로겐산의 저해 활성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 inhibition assay
● 효소: porcine pancreatic α-amylase
● substrate: 1% starch solution in 0.02M sodium phosphate buffer(pH 6.9)
● coloring reagent: 3,5-dinitrosalicylic acid solution(DNS) in 2M NaOH with 30% sodium potassium tartrate tetrahydrate
0.02M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pH 6.9; 0.006M 소듐 클로라이드 포함)에 녹인 10U 농도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 용액 300㎕에 샘플 용액 200㎕을 넣고 25℃에서 10분간 배양시켰다.
이 용액에 25℃에서 10분 동안 예비 배양시킨 1% starch 용액 500㎕를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30% Rochelle 염에 녹인 1% DNS 용액을 1㎖ 첨가하여 boiling water bath에서 5분간 처리한 다음 실온으로 식히고 10㎖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α-amylase에 의해서 기질로부터 분해된 당과 DNS 용액과의 반응액을 540nm에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3은 커피 추출물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은 α-amyl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이러한 결과는 아밀라제의 과다 저해로 인한 소화불량, 소장에서 분해 흡수되지 않은 전분의 대장 유입으로 대장에서의 전분발효에 의한 가스 생성 등이 개선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도 4는 카페산, 클로로겐산 및 퀸산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클로로겐산 및 퀸산은 25mM/㎖의 농도에서 α-amylase 저해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다) 페놀계 화합물의 함량
시험관에 시료액 1㎖, 95% 에탄올 1㎖, 증류수 5㎖ 및 50%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 0.5㎖를 첨가하고 5분간 25℃에서 반응시킨 후, 5% Na2CO3 1㎖를 가하고 암실에서 1시간 보관하였다.
Voltex 후 725nm에서 Spectrophotometer(Shimadzu; UV160A)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5는 커피 추출물의 폐놀계 화합물의 함량을 나타낸다.
페놀계 화합물의 함량은 Mild의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라) 항산화 활성
체내에서 산화를 일으키는 peroxy radical의 생성과 소멸에 의한Fluorescein의 흡광도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과산화 라디칼의 생성을 위하여 2,2’-azobis(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AAPH, 20mM)을 사용하였고, 측정기기는 SpetraMax®i3(MolecularDevices)를 사용하였으며 전자가 485nm에서 흡수되고 538nm에서 방출되게 설정하였다. Fluorescein 값은 최초의 값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나타내었으며, ORAC 값은 1g 당 μM Trolox equivalent로 나타내었다.
도 6은 커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Mild의 열수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커피 추출물의 In-vivo test에 의한 식후 혈당조절 작용
(가) 실험동물
생후 5주령의 수컷 SD rat을 라온바이오로부터 구입하여 동물 사육실에서 사육 후, 생후 6주령 때 건강한 동물만을 선별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나) 혈당상승 억제작용 평가
실험동물을 실험 전 24시간 이상 절식시킨 후, 2g/kg body weight의 Sucrose 또는 Starch에 커피 추출물을 0.5g/kg의 농도로 투여하였으며, 시료는 경구 투여용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군은 6군으로 각 군당 6마리씩 사용하였다. 경구 투여 후 30분, 60분 및 120분에 래트 꼬리 정맥으로부터 채혈하여 정맥혈의 혈당 농도 변화를 혈당계(Caresens Ⅱ)로 측정하였다.
도 7은 sucrose에 의한 커피 추출물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Sucrose만 투여한 control의 경우, 투여 30분 후 172.23±11.03 ㎎/㎗으로 혈당이 상승하였지만, Mild의 경우 148.41±6.55 ㎎/㎗, Medium의 경우 144.66±6.45 ㎎/㎗, Med-dark의 경우 143.91±13.94 ㎎/㎗, Dark의 경우 145.83±6.97 ㎎/㎗으로 식후 혈당 수치는 감소하였다.
30분부터 2시간까지 Control의 경우, 134.16±12.01 ㎎/㎗, 122.5±6.96 ㎎/㎗으로 급격히 혈당이 감소하였고, Mild의 경우 127.25±11.23 ㎎/㎗, 123.41±7.21 ㎎/㎗, Medium의 경우 123.5±8.28, 128.58±20.32 ㎎/㎗, Med-dark의 경우 128.16±8.55 ㎎/㎗, 122.66±8.63 ㎎/㎗, Dark의 경우 131.83±7.43, 131.08±6.14 ㎎/㎗ 로 control 대비 식후 혈당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커피 열수 추출물은 소장상부에서의 흡수를 저해시켜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8은 sucrose에 의한 클로로겐산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Sucrose만 투여한 control의 경우, 투여 30분 후 267.75±22.65 ㎎/㎗으로 혈당이 상승하였지만, 클로로겐산 0.1 g/㎏의 경우 184.93±8.24 ㎎/㎗, 클로로겐산 0.5 g/㎏의 경우 131.29±14.47 ㎎/㎗으로 식후 혈당 수치는 감소하였다.
30분부터 2시간까지 Control의 경우, 198.18±20.36 ㎎/㎗, 148.56±11.62 ㎎/㎗으로 급격히 혈당이 감소하였고, 클로로겐산 0.1 g/㎏의 경우 174.00±16.67 ㎎/㎗, 147.38±10.86 ㎎/㎗, 클로로겐산 0.5 g/㎏의 경우 130.64±10.90, 120.69±13.77 ㎎/㎗ 로 control 대비 식후 혈당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클로로겐산은 농도 의존적으로 소장상부에서의 흡수를 저해시켜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9는 starch에 의한 커피 추출물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Starch만 투여한 control의 경우, 투여 30분 후 174.35±21.24 ㎎/㎗으로 혈당이 상승하였지만, Mild의 경우 154.71±11.98 ㎎/㎗, Medium의 경우 144.5±13.89 ㎎/㎗, Med-dark의 경우 160.92±15.60 ㎎/㎗, Dark의 경우 156.5±13.05 ㎎/㎗으로 식후 혈당 수치는 감소하였다.
30분부터 2시간까지 Control의 경우, 147.92±17.80 ㎎/㎗, 127.21±10.40 ㎎/㎗으로 천천히 혈당이 감소하였고, Mild의 경우 121.92±15.40 ㎎/㎗, 115±6.75 ㎎/㎗, Medium의 경우 122.5±14.39, 117.35±8.99 ㎎/㎗, Med-dark의 경우 126.64±15.48 ㎎/㎗, 118.64±13.53 ㎎/㎗, Dark의 경우 132±12.96, 117.55±11.47 ㎎/㎗로 control 대비 식후 혈당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커피 열수 추출물은 소장상부에서의 흡수를 저해시켜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10은 starch에 의한 클로로겐산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Starch만 투여한 control의 경우, 투여 30분 후 255.58±51.1 ㎎/㎗으로 혈당이 상승하였지만, 클로로겐산 0.1 g/㎏의 경우 239.00±25.86 ㎎/㎗, 클로로겐산 0.5 g/㎏의 경우 225.17±18.34 ㎎/㎗로 control과 유사하였다.
30분부터 2시간까지 Control의 경우, 156.08±12.92 ㎎/㎗, 135.58±7.79 ㎎/㎗으로 급격히 혈당이 감소하였고, 클로로겐산 0.1 g/㎏의 경우 137.33±10.46 ㎎/㎗, 126.08±10.75 ㎎/㎗, 클로로겐산 0.5 g/㎏의 경우 137.23±9.58, 126.46±12.1 ㎎/㎗ 로 control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3) 커피 추출물의 HPLC 측정
도 11은 커피 추출물의 HPLC 결과를 나타낸다.
Mild 커피 추출물은 클로로겐산 및 카페산을 포함하며, 다른 커피 추출물에 비하여 클로로겐산의 함량이 가장 높다.
Medium 커피 추출물 및 Medium-dark 커피 추출물은 클로로겐산을 포함하고, Dark 커피 추출물은 클로로겐산 및 카페산을 포함한다.

Claims (5)

  1.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물은 커피 열수 추출물 및 커피 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커피 열수 추출물 및 커피 수용성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이며,
    상기 커피 열수 추출물은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Mild의 열수 추출물 및 Medium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물은 커피 열수 추출물 및 커피 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커피 열수 추출물 및 커피 수용성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이며,
    상기 커피 열수 추출물은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Mild의 열수 추출물 및 Medium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물은 커피 열수 추출물 및 커피 수용성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커피 열수 추출물 및 커피 수용성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이며,
    상기 커피 열수 추출물은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Mild의 열수 추출물 및 Medium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20021815A 2022-02-20 2022-02-20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KR10245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815A KR102450000B1 (ko) 2022-02-20 2022-02-20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TW112105844A TW202333763A (zh) 2022-02-20 2023-02-17 包括咖啡萃取物之餐後抗高血糖組成物
PCT/KR2023/002319 WO2023158258A1 (ko) 2022-02-20 2023-02-17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815A KR102450000B1 (ko) 2022-02-20 2022-02-20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000B1 true KR102450000B1 (ko) 2022-09-30

Family

ID=8345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815A KR102450000B1 (ko) 2022-02-20 2022-02-20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50000B1 (ko)
TW (1) TW202333763A (ko)
WO (1) WO20231582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258A1 (ko) * 2022-02-20 2023-08-24 주식회사 픽시스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2890A (ja) * 2004-09-30 2006-10-05 Tama Tlo Kk コーヒー様サプリメント及び補助食品
KR100924478B1 (ko) 2001-07-30 2009-11-03 미쓰비시 타나베 파마 코퍼레이션 식후 과혈당 개선제
KR100966613B1 (ko) 2009-12-21 2010-06-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당상승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아르기닌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96985B1 (ko) 2005-09-30 2010-11-26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글루카곤양 펩티드-1 분비 촉진제, 글루카곤양 펩티드-1분비 촉진용 음식품, 식후 혈당값 상승 억제제 및 식후혈당값 상승 억제용 음식품
KR101155079B1 (ko) 2011-02-09 2012-06-11 (주) 엔유씨생활과건강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카테킨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혈당상승 억제 및 비만억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1882B2 (ja) * 2006-07-21 2011-09-14 味の素ゼネラルフーヅ株式会社 糖尿病または糖尿病性合併症の治療、予防、また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料
KR20090049222A (ko) * 2007-11-13 2009-05-18 (주)아모레퍼시픽 커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US20220175864A1 (en) * 2019-03-27 2022-06-09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Use of green coffee based compositions for improving insulin profile
KR102450000B1 (ko) * 2022-02-20 2022-09-30 이용호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478B1 (ko) 2001-07-30 2009-11-03 미쓰비시 타나베 파마 코퍼레이션 식후 과혈당 개선제
JP2006262890A (ja) * 2004-09-30 2006-10-05 Tama Tlo Kk コーヒー様サプリメント及び補助食品
KR100996985B1 (ko) 2005-09-30 2010-11-26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글루카곤양 펩티드-1 분비 촉진제, 글루카곤양 펩티드-1분비 촉진용 음식품, 식후 혈당값 상승 억제제 및 식후혈당값 상승 억제용 음식품
KR100966613B1 (ko) 2009-12-21 2010-06-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당상승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아르기닌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55079B1 (ko) 2011-02-09 2012-06-11 (주) 엔유씨생활과건강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카테킨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혈당상승 억제 및 비만억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utrients, 12(8):2228(202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58258A1 (ko) * 2022-02-20 2023-08-24 주식회사 픽시스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258A1 (ko) 2023-08-24
TW202333763A (zh)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000B1 (ko)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WO2008124105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obesity, diabetes and metabolic syndrome control and management
KR102519649B1 (ko) 캠퍼롤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0780B1 (ko) 백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81653B1 (ko) 혈행 개선 팥 껍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행 개선 조성물
JP2007520431A (ja) 血糖降下用組成物
KR20140114950A (ko) 백두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2062773B1 (ko) 오르모사닌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10043036A (ja) 糖代謝促進剤
KR20230057134A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KR102043461B1 (ko)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KR20230174959A (ko)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KR100643191B1 (ko) 대황, 황금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재협착 억제 및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00008425A (ko) 플라보노이드 8-o-글루쿠로니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및 항산화용 조성물
JPWO2019131274A1 (ja) 緑茶抽出物由来の発酵物の製造方法及び緑茶抽出物由来の麹発酵物
KR102214014B1 (ko) 구골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또는 항암용 조성물
JP2955679B2 (ja) エタノール代謝促進剤
KR101695166B1 (ko) 돌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11887B1 (ko)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10082B1 (ko) AMPK을 활성화시키는 HM-chromano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WO2021154016A1 (ko) 2s-2`메톡시쿠라리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질환 치료보조용 약학 조성물
KR100605286B1 (ko) 마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19552B1 (ko) 조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038852A (ko) 진통소염 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70087951A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