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58258A1 -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58258A1
WO2023158258A1 PCT/KR2023/002319 KR2023002319W WO2023158258A1 WO 2023158258 A1 WO2023158258 A1 WO 2023158258A1 KR 2023002319 W KR2023002319 W KR 2023002319W WO 2023158258 A1 WO2023158258 A1 WO 20231582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ffee
extract
hot water
minutes
roa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231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픽시스
이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픽시스, 이용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픽시스
Publication of WO20231582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582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4Rubiaceae (Madd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suppressing postprandial rise in blood gluco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ion for suppressing postprandial rise in blood glucose comprising a coffe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diabetes is defined as a fasting blood sugar level of 126 mg/dL or more or a blood sugar level of 200 mg/dL 2 hours after a meal.
  • Blood glucose control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management of diabetes, and is known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can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complications of diabetes. Fasting blood glucose, postprandial blood glucose, and glycated hemoglobin should be controlled at the same time.
  • postprandial blood glucose is the main pathological mechanism that causes diabetic vascular complications
  • postprandial blood glucose control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preventing the onset of diabetes or diabetic complications in normal groups with good blood sugar control or in patients with diabetes who do not have long-term diabetes. It is becoming.
  • Postprandial hyperglycemia promotes LDL oxidation process, reduces NO production and utilization in endothelial cells, inhibits FMD, activates endothelial cell-leukocyte interaction, and increases various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in endothelial cells, thereby increasing endothelial reduce cellular function. Since endothelial cell dysfunction is known as the first step in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the earliest marker that can be detected, postprandial hyperglycemia can induce oxidative stress and contribute to endothelial cell dysfunction, resulting in vascular complications.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96985 discloses a GLP-1 secretion promoter and postprandial blood sugar level increase inhibitor characterized by containing ⁇ -casein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ilk-derived casein protein. Disclosed are food-drinks for promoting GLP-1 secretion and food-drinks for suppressing an increase in blood glucose level after meals, characterized in that 60% by mass or more of casein protein is ⁇ -casein.
  • Korean Patent No. 10-0966613 discloses an arginine derivative compound having an effect of suppressing blood sugar rise
  • Korean Patent No. 10-1155079 discloses that postprandial blood sugar rise and obesity are suppressed using catechin calate isolated from green tea extract.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24478 discloses a postprandial hyperglycemia improving agent using cholestimi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nion exchange resin.
  • control of postprandial hyperglycemia is very important in the onset of diabetes or in diabetic patients, and treatment agents that can control postprandial hyperglycemia can be helpful in preventing diabetes or diabetic complications if administered appropriatel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capable of preventing or reducing postprandial blood sugar control or blood sugar control in diabetic patients or vascular complications that can cause diabet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suppressing postprandial blood glucose elevation comprising a coffe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ostprandial blood glucose increase suppression may be, for example, to improve symptoms by suppressing the postprandial blood glucose increase in a diabetic patient.
  • the coffee extra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t water extract of roasted coffee.
  • the coffee extract comprises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roasted at 200 to 250 ° C. for 30 seconds to 2 minutes and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roasted at 200 to 250 ° C. for 3 to 6 minutes characterized b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comprising a coffe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diabetes comprising a coffe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position capable of preventing or reducing postprandial blood sugar control or blood sugar control in diabetic patients or vascular complications that can cause diabetes.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that can be easily and simply prepared using a coffee extract and has excellent efficacy.
  • Figure 2 shows the inhibitory activity of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and quinic acid against Rat Intestinal ⁇ -glucosidase.
  • Figure 3 shows the inhibitory activity of coffee extract on porcine pancreatic ⁇ -amylase.
  • Figure 4 shows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and quinic acid against porcine pancreatic ⁇ -amylase.
  • Figure 5 shows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coffee extract.
  • Figure 6 show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 extract.
  • Figure 7 shows the postprandial blood glucose increase inhibitory effect of the coffee extract by sucrose.
  • Figure 9 shows the postprandial blood sugar rise inhibitory effect of the coffee extract by starch.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suppressing postprandial blood sugar rise comprising a coffe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ffee extra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t water extract of roasted coffee.
  • Coffee beans, roasted beans, etc. may be used, and it is preferable to use roasted beans.
  • the roasted coffee beans may be roasted at 200 to 250° C. for 30 seconds to 18 minutes.
  • the roasted coffee beans are coffee beans roasted at 200 ⁇ 250 °C for 30 seconds to 2 minutes (Mild), coffee beans roasted at 200 ⁇ 250 °C for 3 to 6 minutes (Medium), 7 minutes at 200 ⁇ 250 °C
  • One or more may be used in coffee beans roasted for ⁇ 10 minutes (Med-dark) and coffee beans roasted at 200-250 °C for 12-18 minutes (Dark).
  • coffee beans Mild
  • Coffee beans roasted at 200 ⁇ 250 °C for 30 seconds to 2 minutes, and it is most preferable to use coffee beans roasted for 1 minute at 220 °C.
  • roasted coffee beans coffee beans (Mild) roasted at 200 to 250 ° C. for 30 seconds to 2 minutes and coffee beans roasted at 200 to 250 ° C. for 3 to 6 minutes (Medium) can be used.
  • the weight ratio of Mild and Medium is preferably 60 to 80:20 to 40.
  • the present invention is roasted coffee beans, coffee beans roasted at 200 ⁇ 250 °C for 30 seconds to 2 minutes (Mild), coffee beans roasted at 200 ⁇ 250 °C for 3 to 6 minutes (Medium), and 200 ⁇ 250 Coffee beans (Dark) roasted for 12 to 18 minutes at °C can be used.
  • the weight ratio of Mild, Medium, and Dark is preferably 100:30 to 50:10 to 30.
  • the coffee extract may be extracted by heating roasted coffee beans with a solvent, filtere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and freeze-dried to obtain an extract.
  • the heat extraction is performed by adding 500 to 2,000 parts by weight, 600 to 1600 parts by weight, 700 to 1400 parts by weight, 800 to 1200 parts by weight, 900 to 1100 parts by weight, or 1000 parts by weight of a solv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roasted coffee beans, and 30 ⁇ 150°C, 100 ⁇ 140°C, 110 ⁇ 130°C, 115 ⁇ 125°C, 120 ⁇ 123°C, or 121°C for 10 minutes to 10 hours, 10 minutes to 5 hours, 10 minutes to 1 hour, 10 minutes to 50 It may be extracted by heating for 10 minutes to 40 minutes, 10 minutes to 30 minutes, 10 minutes to 20 minutes, 12 minutes to 18 minutes, or 15 minutes.
  • the hot water extraction may be performed by adding 1 liter of distilled water per 100 g of coffee powder, heating at 121 ° C. for 15 minutes, and then naturally cooling the temperature of the extract to room temperature.
  • the solven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distilled water, ethanol, methanol, hexane,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and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 the coffee extract may be a coffee hot water extract obtained by heating and extracting roasted coffee beans with distilled water and concentrating under reduced pressure.
  • a coffee alcohol extract obtained by heating and extracting the roasted coffee beans with alcohol and concentrating under reduced pressure may be used.
  • a water-soluble coffee extract obtained by water-solubilization with distilled water may be used.
  • the coffee water-soluble extract is easy to process because it is well soluble in water and has low viscosity, and the content of some active ingredients may increase through the water-solubilization process.
  • the coffee water-soluble extract may be used as it is or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remove distilled water.
  • the coffee extract at least one selected from hot water coffee extract, coffee alcohol extract and coffee water soluble extract may be used, and a hot water coffee extract is preferred.
  • a hot water coffee extract and a water soluble coffee extract can be used simultaneously.
  • the weight ratio of the hot water coffee extract and the water soluble coffee extract is preferably 60 to 80:20 to 40.
  •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roasted at 200 to 250° C. for 30 seconds to 18 minutes may be used.
  •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roasted at 200 ⁇ 250 °C for 30 seconds ⁇ 2 minutes
  •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Medium roasted for 3 ⁇ 6 minutes at 200 ⁇ 250 °C, 7 at 200 ⁇ 250 °C
  • One or more of hot water extracts of coffee beans (Med-dark) roasted for ⁇ 10 minutes and hot water extracts of coffee beans (Dark) roasted at 200-250 °C for 12-18 minutes can be used.
  • a coffee hot water extract it is preferable to use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Mild) roasted at 200 to 250 ° C for 30 seconds to 2 minutes, and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roasted at 220 ° C for 1 minute is used. It is most preferable to
  •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Mild) roasted at 200 ⁇ 250 °C for 30 seconds ⁇ 2 minutes as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Medium) roasted at 200 ⁇ 250 °C for 3 ⁇ 6 minutes.
  • the weight ratio of the hot water extract of Mild and the hot water extract of Medium is preferably 60 to 80:20 to 40.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ffee hot water extract,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Mild) roasted at 200 ⁇ 250 °C for 30 seconds to 2 minutes, and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Medium) roasted at 200 ⁇ 250 °C for 3 ⁇ 6 minutes and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Dark) roasted at 200 to 250° C. for 12 to 18 minutes.
  • the weight ratio of the hot water extract of Mild, the hot water extract of Medium, and the hot water extract of Dark is preferably 100:30 to 50:10 to 30.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es comprising a coffe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th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gum,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undecided vaginal cellulose, polyvinyl phyt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 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and used in the form of oral formulation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diabetes comprising a coffe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Food may be in the form of various foods, candy, beverages, gum, tea, vitamin complexes, health functional foods, etc.,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tablets, capsules, beverages, and the like.
  • PNP-glycoside PNP-glycoside (pNPG, p-Nitrophenyl ⁇ -Dglucopyranoside)
  • rat small intestine acetone powder 150 mg was added to 9 ml of 0.1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9; containing 0.9% sodium chloride), sonicated 12 times for 30 seconds in an ice water bath, and then centrifuged at 13,000 rpm and 4 °C for 3 minutes. . After centrifugation,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used for rat intestinal ⁇ -glucosidase Inhibition assay.
  • rat ⁇ -glucosidase solution 100 ⁇ l of rat ⁇ -glucosidase solution and 50 ⁇ l of sample solution were added and reacted at 37° C. for 10 minutes, and then 50 ⁇ l of 5 mM pNPG solution was added and reacted at 37° C. for 30 minutes.
  • Mild is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roasted at 220 ° C for 1 minute
  • Medium is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roasted at 220 ° C for 5 minutes
  • Med-dark is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roasted at 220 ° C for 8 minutes. It is a hot water extract
  • Dark means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roasted at 220 ° C for 15 minutes.
  • the sample solution used in the experiment was prepared as follows.
  • the hot water extract was centrifuged (8000 rpm, 30 min), the supernatant was filtered with a filter paper (90 mm/Whatman TM ), the filtrate was concentrated to 60-150 ml, and lyophilized to prepare an extract powder.
  • a sample solution was prepared by mixing 100 mg of the powder with 1 L of water.
  • Table 1 shows the 50% inhibitory activity concentration (IC 50 ) for rat intestinal ⁇ -glucosidase of coffee hot water extract.
  • IC 50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 Table 2 shows the 50% inhibitory activity concentration (IC 50 ) for rat intestinal ⁇ -glucosidase when the coffee hot water extract was mixed and used.
  • Mild's hot water extract Medium's hot water extract (weight ratio)
  • IC 50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g/mL) 100:0 4.17 90:10 4.15 70:30 3.74 50:50 4.22 0:100 4.11
  •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Mild) roasted at 200 ⁇ 250 °C for 30 seconds ⁇ 2 minutes and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Medium) roasted at 200 ⁇ 250 °C for 3 ⁇ 6 minutes It can be mixed and used, and in this case, the weight ratio of the hot water extract of Mild and the hot water extract of Medium is preferably 60 ⁇ 80:40 ⁇ 20.
  • Table 3 shows the 50% inhibitory activity concentration (IC 50 ) for rat intestinal ⁇ - glucosidase when the coffee hot water extract was mixed and us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ffee hot water extract,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Mild) roasted at 200 ⁇ 250 °C for 30 seconds ⁇ 2 minutes, a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Medium) roasted at 200 ⁇ 250 °C for 3 ⁇ 6 minutes, and It can be used by mixing the hot water extract of coffee beans (Dark) roasted at 200 ⁇ 250°C for 12 ⁇ 18 minutes. : 10 to 30 is preferable.
  • Figure 2 shows the inhibitory activity of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and quinic acid against Rat Intestinal ⁇ -glucosidase.
  • the ⁇ -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and quinic acid increas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it can be seen that chlorogenic acid has the best inhibitory activity.
  • ⁇ coloring reagent 3,5-dinitrosalicylic acid solution(DNS) in 2M NaOH with 30% sodium potassium tartrate tetrahydrate
  • the absorbance of the reaction solution between the sugar degraded from the substrate by ⁇ -amylase and the DNS solution was measured at 540 nm using an ELISA reader.
  • Figure 3 shows the inhibitory activity of coffee extract on porcine pancreatic ⁇ -amylase.
  • the hot-water extract of roasted coffee beans does not show ⁇ -amylase inhibitory activity, and these results include indigestion due to excessive inhibition of amylase, and gas production due to starch fermentation in the large intestine due to inflow of starch that is not decomposed and absorbed in the small intestine. This shows the potential for improvement.
  • Figure 4 shows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and quinic acid against porcine pancreatic ⁇ -amylase.
  • chlorogenic acid and quinic acid have excellent ⁇ -amylase inhibitory activity at a concentration of 25 mM/ml.
  • Figure 5 shows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coffee extract.
  • the polyphenol component is most abundantly contained in the hot water extract of Mild roasted beans.
  • Figure 6 shows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 extract.
  • coffee extract was administered to Sucrose or Starch at a concentration of 2 g/kg body weight at a concentration of 0.5 g/kg, and the sample was orally administered using a zone for oral administration.
  • the administration group was 6 groups, and 6 animals were used in each group. At 30 minutes, 60 minutes, and 120 minutes after oral administration,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rat's tail vein, and changes in blood glucose concentration in venous blood were measured with a blood glucose meter (Caresens II).
  • Figure 7 shows the postprandial blood glucose increase inhibitory effect of the coffee extract by sucrose.
  • the coffee hot water extract inhibits absorption in the upper small intestine, thereby suppressing postprandial blood sugar rise.
  • chlorogenic acid inhibits absorption in the upper small intestine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reby suppressing postprandial blood glucose rise.
  • the coffee hot water extract inhibits absorption in the upper small intestine, thereby suppressing postprandial blood sugar rise.
  • Mild coffee hot water extract contains chlorogenic acid and caffeic acid, and has the highest content of chlorogenic acid compared to other coffee hot water extracts. Specifically, about 85 mAU of chlorogenic acid and about 3 mAU of caffeic acid were detected in the hot water extract of Mild coffee.
  • Medium coffee hot water extract and Medium-dark coffee hot water extract contain chlorogenic acid, and dark coffee hot water extract contains chlorogenic acid and caffeic acid. Specifically, about 75 mAU of chlorogenic acid was detected in the medium coffee hot water extract, but caffeic acid was not detected. About 59mAU of chlorogenic acid was detected in the Med-Dark coffee hot water extract, but no caffeic acid was detected. About 67mAU of chlorogenic acid and about 3mAU of caffeic acid were detected in the dark coffee hot water ex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iabet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 열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일반적인 커피 추출물보다 α-글루코시데이즈 및 α-아밀라아제 활성을 강하게 억제하여 다당류 및 이당류 등의 분해 및 흡수를 저해함으로써 식후 혈당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본 발명은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국당뇨병협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에 따르면, 인체의 공복 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또는 식사 후 2시간이 지난 혈당이 200mg/dL일때 이를 당뇨병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혈당조절은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이고, 당뇨병의 합병증 유발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혈당은 공복 혈당, 식후 혈당 및 당화혈 색소가 동시에 조절되어야 한다. 특히 식후 혈당은 당뇨병성 혈관 합병증을 유발하는 주된 병리기전이고, 혈당조절이 양호한 정상군이나 당뇨병의 유병기간이 길지 않은 환자에게서 식후 혈당 조절은 당뇨병의 발병이나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기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식후 고혈당은 LDL 산화과정을 촉진하고, 내피세포에서 NO 생산과 이용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FMD를 억제하며, 내피세포와 백혈구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고 내피세포에서 다양한 염증유발 및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내피세포 기능을 감소시킨다. 내피세포 기능장애는 심혈관 질환 발생의 첫 단계이자, 가장 초기에 발견될 수 있는 표지자로 알려져 있으므로, 식후 고혈당은 산화스트레스 유발 및 내피세포기능장애에 기여하여 혈관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996985호는 κ-카제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P-1 분비 촉진제 및 식후 혈당값 상승 억제제, 및 젖 유래의 카제인 단백질을 함유하고, 해당 젖 유래의 카제인 단백질의 60질량% 이상이 κ-카제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P-1 분비 촉진용 음식품 및 식후 혈당값 상승 억제용 음식품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66613호는 혈당상승억제 효능을 갖는 아르기닌 유도체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155079호는 녹차추출물로부터 분리된카테킨 칼레이트를 이용한 식후 혈당상승과 비만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0924478호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 교환 수지인 콜레스티미드를 이용한 식후 과혈당 개선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당뇨의 발병 또는 당뇨병 환자에게서 식후 고혈당 조절이 매우 중요하고, 식후 고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약제들이 적절히 투여된다면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식후 혈당조절이나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또는 혈관합병증 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후 혈당상승억제는 예를 들면 당뇨병 환자의 식후 혈당상승을 억제하여 증상을 개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물은 로스팅된 커피의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물은 200~250℃에서 30초~2분동안 로스팅된 커피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식후 혈당조절이나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또는 혈관합병증 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사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약효가 우수한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커피 추출물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2는 카페산(caffe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및 퀸산(quinic acid)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3은 커피 추출물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4는 카페산, 클로로겐산 및 퀸산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5는 커피 추출물의 폐놀계 화합물의 함량을 나타낸다.
도 6은 커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도 7은 sucrose에 의한 커피 추출물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도 8은 sucrose에 의한 클로로겐산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도 9는 starch에 의한 커피 추출물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도 10은 starch에 의한 클로로겐산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도 11은 커피 추출물의 HPLC 결과를 나타낸다. (a) Mild, (b) medium, (c) Mediumdark,(d) Dark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커피 추출물은 로스팅된 커피의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피는 원두, 로스팅된 원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로스팅된 원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스팅된 커피 원두는 200~250℃에서 30초~1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스팅된 커피 원두는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원두(Mild),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 200~250℃에서 7~10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dark) 및 200~250℃에서 12~1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Dark)에서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20℃에서 1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로스팅된 커피 원두로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 및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Mild 및 Medium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로스팅된 커피 원두로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 및 200~250℃에서 12~1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Dark)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Mild, Medium 및 Dark의 중량비는 100:30~50:10~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피 추출물은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용매로 가열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농축한 다음 농축액을 동결 건조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추출은 로스팅된 커피 원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500~2,000 중량부, 600~1600 중량부, 700~1400 중량부, 800~1200 중량부, 900~1100 중량부, 또는 1000 중량부를 가하고 30~150℃, 100~140℃, 110~130℃, 115~125℃, 120~123℃, 또는 121℃에서 10분~10시간, 10분~5시간, 10분~1시간, 10분~50분, 10분~40분, 10분~30분, 10분~20분, 12분~18분, 또는 15분간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열수 추출은 커피 분말 각 100g당 1리터의 증류수를 넣고 121℃에서 15분간 열을 가한 후, 추출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자연냉각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가열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모두 제거한 다음 농축액을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커피 추출물은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증류수로 가열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커피 열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알코올로 가열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수득한 커피 알코올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로스팅된 커피 원두를 알코올로 가열 추출하고 감압 농축하여 알코올을 제거한 후, 증류수로 수용화한 커피 수용성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피 수용성 추출물은 물에 잘 녹고 점도가 낮아 가공이 간편하고, 상기 수용화 과정을 거치면서 일부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커피 수용성 추출물은 그대로 사용하거나 감압 농축하여 증류수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로서 커피 열수 추출물, 커피 알코올 추출물 및 커피 수용성 추출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커피 열수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로서 커피 열수 추출물 및 커피 수용성 추출물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커피 열수 추출물 및 커피 수용성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커피 열수 추출물로서, 200~250℃에서 30초~1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의 열수 추출물, 200~250℃에서 7~10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dark)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12~1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Dark)의 열수 추출물에서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피 열수 추출물로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20℃에서 1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열수 추출물로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 된 커피 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의 열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Mild의 열수 추출물 및 Medium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열수 추출물로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 된 커피 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12~1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Dark)의 열수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Mild의 열수 추출물, Medium의 열수 추출물 및 Dark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30~50:10~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텍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롤로즈, 메틸 셀롤로즈, 미정질 셀롤로즈, 폴리비닐 피톨리돈, 물,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품은 각종 식품류, 캔디,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의 형태일 수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음료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커피 추출물의 In-vitro 항당뇨 활성
(가) Rat intestinal α-glucosidase inhibition assay
● 효소: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
● substrate: PNP-glycoside(pNPG, p-Nitrophenyl α-Dglucopyranoside)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 150mg을 0.1M sodium phosphate buffer(pH 6.9;0.9% sodium chloride 포함) 9㎖에 첨가하여 30초간 12회 ice water bath에서 초음파처리 후, 13,000rpm, 4℃에서 3분 동안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Rat intestinal α-glucosidase Inhibition assay에 사용하였다.
Rat α-glucosidase solution 100㎕와 Sample solution 50㎕를 넣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0㎕의 5mM pNPG 용액을 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405nm에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분석하였다.
도 1은 커피 추출물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Mild는 220℃에서 1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이고, Medium은 220℃에서 5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이며, Med-dark는 220℃에서 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이며, Dark는 220℃에서 15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열수 추출은 커피 분말 각 100g당 1리터의 증류수를 넣고 121℃에서 15분간 열을 가한 후, 추출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자연냉각한 것이다.
실험에 사용된 샘플 용액은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액을 원심분리(8000 rpm, 30min)하고, 상등액을 필터지(90 mm/WhatmanTM)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60~150 ml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분말 100mg을 1L 물과 혼합하여 샘플 용액을 준비하였다.
커피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이 증가하였다.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며, Mild 및 Medium의 열수 추출물의 저해 활성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1은 커피 열수 추출물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50% 저해활성 농도(IC50)를 나타내고 있다.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mg/㎖)
Mild의 열수 추출물 4.17
Medium의 열수 추출물 4.11
Med-dark의 열수 추출물 4.38
Dark의 열수 추출물 4.43
아래 표 2는 커피 열수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Rat intestinal α- glucosidase에 대한 50% 저해활성 농도(IC50)를 나타내고 있다.
Mild의 열수 추출물:
Medium의 열수 추출물
(중량비)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mg/㎖)
100:0 4.17
90:10 4.15
70:30 3.74
50:50 4.22
0:100 4.11
Mild의 열수 추출물 및 Medium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가 70:30 인 경우, 50% 저해활성 농도(IC50)가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커피 열수 추출물로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의 열수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Mild의 열수 추출물 및 Medium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는 60~80:40~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표 3은 커피 열수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Rat intestinal α- glucosidase에 대한 50% 저해활성 농도(IC50)를 나타내고 있다.
Mild의 열수 추출물:
Medium의 열수 추출물:
Dark의 열수 추출물
(중량비)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mg/㎖)
100:40:5 4.19
100:40:20 3.79
100:40:40 4.26
Mild의 열수 추출물, Medium의 열수 추출물 및 Dark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가 100:40:20인 경우, 50% 저해활성 농도(IC50)가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은 커피 열수 추출물로서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원두(Mild)의 열수 추출물, 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Medium)의 열수 추출물 및 200~250℃에서 12~18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 원두(Dark)의 열수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Mild의 열수 추출물, Medium의 열수 추출물 및 Dark의 열수 추출물의 중량비는 100:30~50:10~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카페산(caffeic acid),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및 퀸산(quinic acid)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카페산, 클로로겐산 및 퀸산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며, 클로로겐산의 저해 활성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 inhibition assay
● 효소: porcine pancreatic α-amylase
● substrate: 1% starch solution in 0.02M sodium phosphate buffer(pH 6.9)
● coloring reagent: 3,5-dinitrosalicylic acid solution(DNS) in 2M NaOH with 30% sodium potassium tartrate tetrahydrate
0.02M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pH 6.9; 0.006M 소듐 클로라이드 포함)에 녹인 10U 농도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 용액 300㎕에 샘플 용액 200㎕을 넣고 25℃에서 10분간 배양시켰다.
이 용액에 25℃에서 10분 동안 예비 배양시킨 1% starch 용액 500㎕를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30% Rochelle 염에 녹인 1% DNS 용액을 1㎖ 첨가하여 boiling water bath에서 5분간 처리한 다음 실온으로 식히고 10㎖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α-amylase에 의해서 기질로부터 분해된 당과 DNS 용액과의 반응액을 540nm에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3은 커피 추출물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로스팅된 커피 원두의 열수 추출물은 α-amyl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이러한 결과는 아밀라제의 과다 저해로 인한 소화불량, 소장에서 분해 흡수되지 않은 전분의 대장 유입으로 대장에서의 전분발효에 의한 가스 생성 등이 개선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도 4는 카페산, 클로로겐산 및 퀸산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클로로겐산 및 퀸산은 25mM/㎖의 농도에서 α-amylase 저해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다) 페놀계 화합물의 함량
시험관에 시료액 1㎖, 95% 에탄올 1㎖, 증류수 5㎖ 및 50% Folin-Ciocalteu phenol reagent 0.5㎖를 첨가하고 5분간 25℃에서 반응시킨 후, 5% Na2CO3 1㎖를 가하고 암실에서 1시간 보관하였다.
Voltex 후 725nm에서 Spectrophotometer(Shimadzu; UV160A)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5는 커피 추출물의 폐놀계 화합물의 함량을 나타낸다.
페놀계 화합물의 함량은 Mild의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폴리페놀 성분은 Mild 로스팅 원두의 열수 추출물이 가장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라) 항산화 활성
체내에서 산화를 일으키는 peroxy radical의 생성과 소멸에 의한 Fluorescein의 흡광도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과산화 라디칼의 생성을 위하여 2,2'-azobis(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AAPH, 20mM)을 사용하였고, 측정기기는 SpetraMax®i3(MolecularDevices)를 사용하였으며 전자가 485nm에서 흡수되고 538nm에서 방출되게 설정하였다. Fluorescein 값은 최초의 값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나타내었으며, ORAC 값은 1g 당 μM Trolox equivalent로 나타내었다.
도 6은 커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Mild의 열수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커피 추출물의 In-vivo test에 의한 식후 혈당조절 작용
(가) 실험동물
생후 5주령의 수컷 SD rat을 라온바이오로부터 구입하여 동물 사육실에서 사육 후, 생후 6주령 때 건강한 동물만을 선별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나) 혈당상승 억제작용 평가
실험동물을 실험 전 24시간 이상 절식시킨 후, 2g/kg body weight의 Sucrose 또는 Starch에 커피 추출물을 0.5g/kg의 농도로 투여하였으며, 시료는 경구 투여용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군은 6군으로 각 군당 6마리씩 사용하였다. 경구 투여 후 30분, 60분 및 120분에 래트 꼬리 정맥으로부터 채혈하여 정맥혈의 혈당 농도 변화를 혈당계(Caresens Ⅱ)로 측정하였다.
도 7은 sucrose에 의한 커피 추출물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Sucrose만 투여한 control의 경우, 투여 30분 후 172.23±11.03 ㎎/㎗으로 혈당이 상승하였지만, Mild의 경우 148.41±6.55 ㎎/㎗, Medium의 경우 144.66±6.45㎎/㎗, Med-dark의 경우 143.91±13.94 ㎎/㎗, Dark의 경우 145.83±6.97 ㎎/㎗으로 식후 혈당 수치는 감소하였다.
30분부터 2시간까지 Control의 경우, 134.16±12.01 ㎎/㎗, 122.5±6.96 ㎎/㎗으로 급격히 혈당이 감소하였고, Mild의 경우 127.25±11.23 ㎎/㎗, 123.41±7.21㎎/㎗, Medium의 경우 123.5±8.28, 128.58±20.32 ㎎/㎗, Med-dark의 경우 128.16±8.55 ㎎/㎗, 122.66±8.63 ㎎/㎗, Dark의 경우 131.83±7.43, 131.08±6.14㎎/㎗ 로 control 대비 식후 혈당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커피 열수 추출물은 소장상부에서의 흡수를 저해시켜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8은 클로로겐산이 Sucrose 섭취 후 혈당 상승을 억제함을 확인한 것이다.
Sucrose만 투여한 control의 경우, 투여 30분 후 267.75±22.65 ㎎/㎗으로 혈당이 상승하였지만, 클로로겐산 0.1 g/㎏의 경우 184.93±8.24 ㎎/㎗, 클로로겐산 0.5g/㎏의 경우 131.29±14.47 ㎎/㎗으로 식후 혈당 수치는 감소하였다.
30분부터 2시간까지 Control의 경우, 198.18±20.36 ㎎/㎗, 148.56±11.62 ㎎/㎗으로 급격히 혈당이 감소하였고, 클로로겐산 0.1 g/㎏의 경우 174.00±16.67 ㎎/㎗, 147.38±10.86 ㎎/㎗, 클로로겐산 0.5 g/㎏의 경우 130.64±10.90, 120.69±13.77 ㎎/㎗ 로 control 대비 식후 혈당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클로로겐산은 농도 의존적으로 소장상부에서의 흡수를 저해시켜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9는 커피 열수 추출물이 starch 섭취 후 혈당 상승을 억제함을 확인한 것이다.
Starch만 투여한 control의 경우, 투여 30분 후 174.35±21.24 ㎎/㎗으로 혈당이 상승하였지만, Mild의 경우 154.71±11.98 ㎎/㎗, Medium의 경우 144.5±13.89 ㎎/㎗, Med-dark의 경우 160.92±15.60 ㎎/㎗, Dark의 경우 156.5±13.05 ㎎/㎗으로 식후 혈당 수치는 감소하였다.
30분부터 2시간까지 Control의 경우, 147.92±17.80 ㎎/㎗, 127.21±10.40 ㎎/㎗으로 천천히 혈당이 감소하였고, Mild의 경우 121.92±15.40 ㎎/㎗, 115±6.75 ㎎/㎗, Medium의 경우 122.5±14.39, 117.35±8.99 ㎎/㎗, Med-dark의 경우 126.64±15.48㎎/㎗, 118.64±13.53 ㎎/㎗, Dark의 경우 132±12.96, 117.55±11.47 ㎎/㎗로 control 대비 식후 혈당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커피 열수 추출물은 소장상부에서의 흡수를 저해시켜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도 10은 클로로겐산이 starch 섭취 후 혈당상승을 억제함을 확인한 것이다.
Starch만 투여한 control의 경우, 투여 30분 후 255.58±51.1 ㎎/㎗으로 혈당이 상승하였지만, 클로로겐산 0.1 g/㎏의 경우 239.00±25.86 ㎎/㎗, 클로로겐산 0.5 g/㎏의 경우 225.17±18.34 ㎎/㎗로 control과 유사하였다.
30분부터 2시간까지 Control의 경우, 156.08±12.92 ㎎/㎗, 135.58±7.79 ㎎/㎗으로 급격히 혈당이 감소하였고, 클로로겐산 0.1 g/㎏의 경우 137.33±10.46 ㎎/㎗, 126.08±10.75 ㎎/㎗, 클로로겐산 0.5 g/㎏의 경우 137.23±9.58, 126.46±12.1 ㎎/㎗로 control과 유사하였다.
(실시예 3) 커피 열수 추출물의 HPLC 측정
도 11은 커피 추출물의 HPLC 결과를 나타낸다.
커피박 열수 추출물에서는 클로로겐산이 약 26mAU로 소량 검출되었고, 카페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HPLC 결과는 생략)
반면 Mild 커피 열수 추출물은 클로로겐산 및 카페산을 포함하며, 다른 커피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클로로겐산의 함량이 가장 높다. 구체적으로 Mild 커피 열수 추출물은 클로로겐산 약 85mAU, 카페산 약 3mAU가 검출되었다.
Medium 커피 열수 추출물 및 Medium-dark 커피 열수 추출물은 클로로겐산을 포함하고, Dark 커피 열수 추출물은 클로로겐산 및 카페산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Medium 커피 열수 추출물은 클로로겐산 약 75mAU가 검출되었고, 카페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Med-Dark 커피 열수 추출물은 클로로겐산 약 59mAU가 검출되었고, 카페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Dark 커피 열수 추출물은 클로로겐산 약 67mAU, 카페산 약 3mAU가 검출되었다.

Claims (5)

  1.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물은 로스팅된 커피의 열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추출물은 200~250℃에서 30초~2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의 열수 추출물 및200~250℃에서 3~6분 동안 로스팅된 커피의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4.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커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PCT/KR2023/002319 2022-02-20 2023-02-17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WO202315825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815A KR102450000B1 (ko) 2022-02-20 2022-02-20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KR10-2022-0021815 2022-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58258A1 true WO2023158258A1 (ko) 2023-08-24

Family

ID=8345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2319 WO2023158258A1 (ko) 2022-02-20 2023-02-17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0000B1 (ko)
WO (1) WO2023158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0000B1 (ko) * 2022-02-20 2022-09-30 이용호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2890A (ja) * 2004-09-30 2006-10-05 Tama Tlo Kk コーヒー様サプリメント及び補助食品
KR20090049222A (ko) * 2007-11-13 2009-05-18 (주)아모레퍼시픽 커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JP4771882B2 (ja) * 2006-07-21 2011-09-14 味の素ゼネラルフーヅ株式会社 糖尿病または糖尿病性合併症の治療、予防、また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料
WO2020193752A1 (en) * 2019-03-27 2020-10-0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Use of green coffee based compositions for improving insulin profile
KR102450000B1 (ko) * 2022-02-20 2022-09-30 이용호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0724C (zh) 2001-07-30 2006-08-23 三菱制药株式会社 餐后高血糖改善剂
EP1941899A4 (en) 2005-09-30 2009-11-11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MEANS OF PROMOTING THE SECRETION OF GLUCAGONE-ARTICLE PEPTIDE 1, FOOD OR DRINKING TO PROMOTE THE SECRETION OF GLUCAGONE-ARTICLE PEPTIDE 1, TO REPRESENT THE POSTPRANDIAL INCREASE IN THE BLOOD SUGAR MIRROR AND FOOD OR BEVERAGE FOR THE SUPPRESSION OF THE POSTPRANDIAL RISE IN THE BLOOD SUGAR MIRROR
KR100966613B1 (ko) 2009-12-21 2010-06-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당상승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아르기닌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55079B1 (ko) 2011-02-09 2012-06-11 (주) 엔유씨생활과건강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카테킨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혈당상승 억제 및 비만억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2890A (ja) * 2004-09-30 2006-10-05 Tama Tlo Kk コーヒー様サプリメント及び補助食品
JP4771882B2 (ja) * 2006-07-21 2011-09-14 味の素ゼネラルフーヅ株式会社 糖尿病または糖尿病性合併症の治療、予防、または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飲料
KR20090049222A (ko) * 2007-11-13 2009-05-18 (주)아모레퍼시픽 커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WO2020193752A1 (en) * 2019-03-27 2020-10-0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Use of green coffee based compositions for improving insulin profile
KR102450000B1 (ko) * 2022-02-20 2022-09-30 이용호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IN TAIYUE, YOUN JIYOUNG, KIM AN NA, KANG MOONIL, KIM KYUNGA, SUNG JOOHON, LEE JUNG EUN: "Interactions of Habitual Coffee Consumption by Genetic Polymorphisms with the Risk of Prediabetes and Type 2 Diabetes Combined", NUTRIENTS, vol. 12, no. 8, 26 July 2020 (2020-07-26), pages 2228, XP093085481, DOI: 10.3390/nu1208222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33763A (zh) 2023-09-01
KR102450000B1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104309A9 (ko)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2134126A2 (en) Use of compounds isolated from morus bark
WO2023158258A1 (ko) 커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WO2011149301A2 (en)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hort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WO2020242113A1 (ko)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과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및/또는 당뇨를 동반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치료용 조성물
WO2011099812A2 (ko)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13952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gastritis or peptic ulcer comprising extract of cinnamomum cassia, fraction of said extract, isolate of said fraction or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WO2019125058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 horse chestnut extract
WO2018043852A1 (ko) 우엉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WO2021091164A1 (ko)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010791A1 (ko) 단삼 생물전환 추출물 및 홍삼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심혈관계 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25415A1 (ko) 디하이드로-6-진저디온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1080388A1 (ko)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복합체를 포함하는 돼지 유행성 설사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10790A1 (ko) 단삼 생물전환 추출물 및 홍삼 생물전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WO2017069506A1 (ko) 울금 및 감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1019153A2 (ko) 오미자, 황금 및 해동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68458A1 (en) Use of compounds isolated from morus bark
WO2023085820A2 (ko)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2265281A1 (ko) 증숙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1-데하이드로-6-진저다이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관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50356A1 (ko)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2216107A1 (ko) 담팔수 추출물 또는 이의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WO2013022178A1 (ko) 발효 또는 미발효된 금은화 및 진피 혼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21210851A1 (ko) 태반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WO2022182199A1 (ko) 블랙커런트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65983A2 (ko) 돌외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566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