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959A -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959A
KR20230174959A KR1020220076237A KR20220076237A KR20230174959A KR 20230174959 A KR20230174959 A KR 20230174959A KR 1020220076237 A KR1020220076237 A KR 1020220076237A KR 20220076237 A KR20220076237 A KR 20220076237A KR 20230174959 A KR20230174959 A KR 20230174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ginseng extract
blood sugar
composition
sup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인
조정원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그린생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그린생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그린생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959A/ko
Publication of KR2023017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95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Abstract

본 발명은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당류, 다당류 등에 대한 흡수 저해효과를 가진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함으로써,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식후 혈당상승이나 당뇨병 환자의 혈당상승을 억제하고, 혈관합병증, 비만 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을 사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약효가 우수한 비만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ostprandial anti-hyperglycemia comprising red ginseng extract with high content of Amadori compound}
본 발명은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국당뇨병협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에 따르면, 인체의 공복 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또는 식사 후 2시간이 지난 혈당이 200mg/dL일 때 이를 당뇨병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혈당조절은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이고, 당뇨병의 합병증 유발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혈당은 공복 혈당, 식후 혈당 및 당화혈 색소가 동시에 조절되어야 한다. 특히 식후 혈당은 당뇨병성 혈관 합병증을 유발하는 주된 병리기전이고, 혈당조절이 양호한 정상군이나 당뇨병의 유병기간이 길지 않은 환자에게서 식후 혈당 조절은 당뇨병의 발병이나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식후 고혈당은 LDL 산화과정을 촉진하고, 내피세포에서 NO 생산과 이용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FMD를 억제하며, 내피세포와 백혈구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고 내피세포에서 다양한 염증유발 및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내피세포 기능을 감소시킨다. 내피세포 기능장애는 심혈관 질환 발생의 첫 단계이자, 가장 초기에 발견될 수 있는 표지자로 알려져 있으므로, 식후 고혈당은 산화스트레스 유발 및 내피세포기능장애에 기여하여 혈관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996985호는 κ-카제인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P-1 분비 촉진제 및 식후 혈당값 상승 억제제, 및 젖 유래의 카제인 단백질을 함유하고, 해당 젖 유래의 카제인 단백질의 60질량% 이상이 κ-카제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P-1 분비 촉진용 음식품 및 식후 혈당값 상승 억제용 음식품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66613호는 혈당상승억제 효능을 갖는 아르기닌 유도체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155079호는 녹차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카테킨 칼레이트를 이용한 식후 혈당상승과 비만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0924478호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 교환 수지인 콜레스티미드를 이용한 식후 과혈당 개선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당뇨의 발병 또는 당뇨병 환자에게서 식후 고혈당 조절이 매우 중요하고, 식후 고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약제들이 적절히 투여된다면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96985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6661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5507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24478호
본 발명은 이당류, 다당류 등에 대한 흡수 저해효과를 가진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함으로써,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식후 혈당상승이나 당뇨병 환자의 혈당상승을 억제하고, 혈관합병증, 비만 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홍삼 추출물은 (a) 홍삼 농축액에 효소를 첨가한 후 반응시켜 효소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효소 처리액에 아르기닌을 첨가한 후 반응시켜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홍삼 농축액은 홍삼 열수 농축액 및 홍삼 알코올 농축액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당류, 다당류 등에 대한 흡수 저해효과를 가진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함으로써,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식후 혈당상승이나 당뇨병 환자의 혈당상승을 억제하고, 혈관합병증, 비만 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을 사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약효가 우수한 비만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홍삼 농축액(홍삼 원물) 및 홍삼 추출물(AF 홍삼)의 HPLC-ELSD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글루코스 및 아르기닌의 중량비에 따른 홍삼 추출물(AF 홍삼)의 HPLC-ELSD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글루코스 및 아르기닌의 중량비 및 반응시간에 따른 홍삼 추출물(AF 홍삼)의 AF 함량을 나타낸다.
도 4는 홍삼 추출물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5는 홍삼 추출물의 Sucr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6은 홍삼 추출물의 Malt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7은 홍삼 추출물의 Gluco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8은 Sucrose 및 홍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의 식후 혈당변화를 나타낸다.
도 9는 Starch 및 홍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의 식후 혈당변화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홍삼 추출물은 이당류, 다당류 등에 대한 흡수 저해효과를 가진 아마도리 화합물(Arginyl-fructose(AF) 등)을 고농도로 함유함으로써,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식후 혈당상승이나 당뇨병 환자의 혈당상승을 억제하고, 혈관합병증, 비만 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홍삼 추출물은 (a) 홍삼 농축액에 효소를 첨가한 후 반응시켜 효소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효소 처리액에 아르기닌을 첨가한 후 반응시켜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홍삼 농축액에 효소를 첨가한 후 반응시켜 효소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무농약 인삼으로부터 홍삼을 제조한 후, 제조된 홍삼을 용매로 가열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추출은 홍삼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500~2,000중량부를 가하고 30~150℃에서 1~1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증류수, 에탄올, 메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홍삼 농축액의 농도는 100~1,0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농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식후 혈당상승 억제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홍삼 농축액은 홍삼 열수 농축액 및 홍삼 알코올 농축액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홍삼 농축액으로서 홍삼 열수 농축액 및 홍삼 알코올 농축액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홍삼 열수 농축액 및 홍삼 알코올 농축액의 중량비는 20~40:60~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홍삼 농축액에 당분해효소 0.1~5%를 첨가한 후 진탕 배양기를 사용하여 40~120℃에서 1~20시간 반응시켜 효소 처리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당분해효소로는 글루코아밀레이스, 셀룰레이스, 펙티네이스, 아밀레이스, 말테이스, 수크레이스, 락테이스, 글루코시데이스, 덱스트라네이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분해효소로서 글루코아밀레이스 및 펙티네이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글루코아밀레이스 및 펙티네이스의 중량비는 60~80:20~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효소 처리액에 아르기닌을 첨가한 후 반응시켜 홍삼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홍삼 농축액 및 효소의 반응을 통하여 제조된 효소 처리액은 글루코스(Glucose)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효소 처리액에 포함된 글루코스의 함량을 확인한 후, 아르기닌을 첨가하여 50~120℃에서 1~10시간 반응시킴으로써 Arginyl-fructose(AF)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글루코스 및 아르기닌의 중량비는 1:0.8~1:4.5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1:3.5 인 것이 좋다. 중량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Arginyl-fructose(AF)의 농도 및 식후 혈당상승 억제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홍삼 추출물에 고농도로 포함된 Arginyl-fructose(AF)는 이당류, 다당류 등에 대한 흡수 저해효과가 우수하여,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식후 혈당상승이나 당뇨병 환자의 혈당상승을 억제하고, 혈관합병증, 비만 등을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홍삼 추출물은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모두 제거한 다음 동결건조를 통하여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텍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롤로즈, 메틸 셀롤로즈, 미정질 셀롤로즈, 폴리비닐 피톨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품은 각종 식품류, 캔디,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의 형태일 수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음료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홍삼 추출물의 제조
무농약 인삼으로부터 홍삼을 제조한 후, 제조된 홍삼을 에탄올로 가열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홍삼 농축액(홍삼 원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홍삼 농축액의 농도는 250㎎/㎖로 조절하였다.
상기 홍삼 농축액에 AMG 효소 1%를 첨가한 후 진탕 배양기를 사용하여 60℃에서 12시간 반응시켜 효소 처리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효소 처리액에 포함된 글루코스의 함량을 확인한 후, 아르기닌을 첨가하여 80℃에서 4시간 반응시켜 홍삼 추출물(AF 홍삼)을 제조하였다. 이때 아르기닌의 첨가량을 조절하여 글루코스 및 아르기닌의 중량비를 조절하였다.
HPLC-ELSD를 사용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에 포함된 성분을 분석하였다.
도 1은 홍삼 농축액(홍삼 원물) 및 홍삼 추출물(AF 홍삼)의 HPLC-ELSD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효소 및 아르기닌 처리가 없는 홍삼 농축액(홍삼 원물)의 경우, Arginyl-fructose(AF)가 미미하게 형성되는 반면, 효소 및 아르기닌 처리를 수행한 홍삼 추출물(AF 홍삼)의 경우, Arginyl-fructose(AF)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글루코스 및 아르기닌의 중량비에 따른 홍삼 추출물(AF 홍삼)의 HPLC-ELSD 분석결과를 나타낸다.
글루코스 및 아르기닌의 중량비에 따라 Arginyl-fructose(AF)의 함량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글루코스 및 아르기닌의 중량비 및 반응시간에 따른 홍삼 추출물(AF 홍삼)의 AF 함량을 나타낸다.
글루코스 및 아르기닌의 중량비가 1:2 및 1:3 인 경우, Arginyl-fructose(AF)의 함량이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글루코스 및 아르기닌의 중량비 및 반응시간에 따른 홍삼 추출물(AF 홍삼)의 AF 함량을 나타낸다.
AF의 함량(%)
1:0.5 1:1 1:2 1:3 1:4 1:5
1시간 2.06 2.35 3.83 4.14 4.27 3.96
2시간 3.62 4.06 6.66 7.15 5.07 4.70
3시간 4.99 5.40 8.50 8.42 8.31 7.92
4시간 6.81 7.56 10.33 9.29 8.65 8.07
본 발명은 글루코스 및 아르기닌의 중량비가 1:0.8~1:4.5 인 경우, Arginyl-fructose(AF)의 함량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글루코스 및 아르기닌의 중량비가 1:1.5~1:3.5 인 경우, Arginyl-fructose(AF)의 함량이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홍삼 추출물의 In-vitro 항당뇨 활성
(가) Rat intestinal α-glucosidase inhibition assay
● 효소: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
● substrate: PNP-glycoside(pNPG, p-Nitrophenyl α-D-glucopyranoside)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 100mg을 0.9% sodium phosphate buffer(pH 6.9) 3㎖에 첨가하여 30초간 12회 ice water bath에서 초음파처리 후, 10,000rpm, 4℃에서 3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Rat intestinal α-glucosidase Inhibition assay에 사용하였다. Rat α-glucosidase solution 100㎕와 Sample solution 50㎕를 넣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0㎕의 5mM pNPG 용액을 가하여 37℃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405nm에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분석하였다.
도 4는 홍삼 추출물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홍삼 농축액(홍삼 원물), 홍삼 분말 및 홍삼 추출물(AF 홍삼)은 농도 의존적으로 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내며, 홍삼 추출물(AF 홍삼)이 홍삼 농축액(홍삼 원물) 및 홍삼 분말에 비해 우수한 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홍삼 분말은 상기 홍삼 농축액(홍삼 원물)으로부터 제조된 분말을 의미한다.
(나) Rat intestinal glucose oxidase assay(Maltose, Sucrose, Glucoamylase)
● 효소: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
● substrate: 100mM maltose, 200mM sucrose, 1% starch solution
● Oxidase kit: Glucose oxidase/peroxidase reagent(Sigma G3660), O-Dianisidine reagent(Sigma D2679)
효소는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Sigma S9765)을 사용하였고 기질은 maltose, sucrose, starch(Junsei)를 사용하였다.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 100㎎을 3㎖의 0.9% NaCl 용액(Junsei)에 첨가한 후 30초간 12회 iced water bath에서 초음파 조사한 다음 10,000rpm, 4℃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분리된 상층액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96 clear plate에 100㎕의 rat α-glucosidase 용액에 50㎕의 시료를 넣은 다음 37℃ 인큐베이터에서 10분간 정치시켰다.
각각의 실험 방법에 따라 50㎕의 100mM maltose, 또는 200mM sucrose, 1% starch 용액을 가한 다음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30분간 반응 사이에 Glucose oxidase/peroxidase reagent(Sigma G3660)와 O-Dianisidine reagent(Sigma D2679)를 섞은 용액 1㎖을 2㎖ Epp Tube에 넣은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5분간 방치하여 온도를 37℃로 맞춘 후, 앞서 30분 동안 반응한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과 샘플, 기질 용액 혼합시약 200㎕을 취하여 1㎖ Glucose oxidase/peroxidase reagent와 O-Dianisidine reagent과 반응시킨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각각의 2㎖ Epp tube에 12N 황산 1㎖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96 clear plate에 200㎕씩 넣은 후 540nm에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Rat intestinal glucose oxidase(maltose, sucrose, glucoamyl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분석하였다.
시료 대신 시료를 용해시킨 용매를 넣은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도 5는 홍삼 추출물의 Sucr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캡슐 제형, 분말 제형 및 홍삼 추출물(AF 홍삼)은 농도 의존적으로 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내며, 홍삼 추출물(AF 홍삼)이 캡슐 제형 및 분말 제형에 비해 우수한 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캡슐 제형 및 분말 제형은 상기 홍삼 농축액(홍삼 원물)으로부터 제조된 제형을 의미한다.
도 6은 홍삼 추출물의 Malt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캡슐 제형, 분말 제형 및 홍삼 추출물(AF 홍삼)은 농도 의존적으로 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내며, 홍삼 추출물(AF 홍삼)이 캡슐 제형 및 분말 제형에 비해 우수한 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7은 홍삼 추출물의 Gluco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캡슐 제형, 분말 제형 및 홍삼 추출물(AF 홍삼)은 농도 의존적으로 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내며, 홍삼 추출물(AF 홍삼)이 캡슐 제형 및 분말 제형에 비해 우수한 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아래 표 2는 홍삼 추출물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 Rat intestinal sucrase, Rat intestinal maltase, Rat intestinal glucoamylase에 대한 50% 저해활성 농도(IC50)를 나타내고 있다.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mg/㎖)
홍삼 농축액
(홍삼 원물)
홍삼 추출물
(AF 홍삼)
Tablet 제형 캡슐 제형 분말 제형
α-glucosidase 〉5 4.56 〉5 〉5 〉5
sucrase - 1.86 〉2 〉2 〉2
maltase - 7.09 〉10 〉10 9.19
glucoamylase - 6.57 〉10 〉10 7.29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AF 홍삼)은 가장 낮은 50% 저해활성 농도(IC50)를 나타낸다.
아래 표 3은 글루코스 및 아르기닌의 중량비에 따른 홍삼 추출물(AF 홍삼)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50% 저해활성 농도(IC50)를 나타내고 있다.
글루코스:아르기닌
(중량비)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mg/㎖)
1:0.5 5.27
1:1 4.88
1:2 4.56
1:3 4.69
1:4 4.95
1:5 5.32
글루코스 및 아르기닌의 중량비가 1:0.8~1:4.5 인 경우, 50% 저해활성 농도(IC50)가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특히 글루코스 및 아르기닌의 중량비가 1:1.5~1:3.5 인 경우, 50% 저해활성 농도(IC50)가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홍삼 추출물의 In-vivo test에 의한 식후 혈당조절 작용
(가) 실험동물
생후 4주령의 수컷 SD rat을 오리엔트바이오로부터 구입하여 동물 사육실에서 사육 후, 생후 6주령 때 건강한 동물만을 선별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나) 혈당상승 억제작용 평가
실험동물을 실험 전 20시간 이상 절식시킨 후, 2g/kg body weight의 Sucrose에 홍삼 추출물을 0.1g/kg, 0.5g/kg의 농도로 투여하였으며, 시료는 경구 투여용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군은 5군으로 각 군당 6마리씩 사용하였다. 경구 투여 후 30분, 60분 및 120분에 래트 꼬리 정맥으로부터 채혈하여 정맥혈의 혈당 농도 변화를 혈당계(Caresens Ⅱ)로 측정하였다.
도 8은 Sucrose 및 홍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의 식후 혈당변화를 나타낸다.
Sucrose만 투여한 control의 경우, 30분부터 1시간까지의 식후 혈당은 235.0±22.0 ㎎/dl, 227.6±20.7 ㎎/dl 이고, 홍삼 추출물(AF 홍삼) 0.1g/㎏의 경우 184.9±22.1 ㎎/dl, 200.7±15.2 ㎎/dl 로 혈당이 감소하였으며, 홍삼 추출물(AF 홍삼) 0.5g/㎏의 경우 205.8±12.0 ㎎/dl, 210.5±20.0 ㎎/dl 로 control 대비 식후 혈당 상승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AF 홍삼)은 소장상부에서의 흡수를 저해시켜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9는 Starch 및 홍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의 식후 혈당변화를 나타낸다.
Starch만 투여한 control의 경우, 1시간부터 2시간까지의 식후 혈당은 237.5±13.0 ㎎/dl, 173.5±9.1 ㎎/dl 이고, 홍삼 추출물(AF 홍삼) 0.1g/㎏의 경우 217.1±25.2 ㎎/dl, 159.1±10.2 ㎎/dl 로 혈당이 감소하였으며, 홍삼 추출물(AF 홍삼) 0.5g/㎏의 경우 203.4±8.8 ㎎/dl, 148.1±21.0 ㎎/dl 로 control 대비 식후 혈당 상승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홍삼 추출물(AF 홍삼)은 소장상부에서의 흡수를 저해시켜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7)

  1.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추출물은
    (a) 홍삼 농축액에 효소를 첨가한 후 반응시켜 효소 처리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효소 처리액에 아르기닌을 첨가한 후 반응시켜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농축액은
    홍삼 열수 농축액 및 홍삼 알코올 농축액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4. 제2항의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2항의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제2항의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2항의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20076237A 2022-06-22 2022-06-22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KR20230174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237A KR20230174959A (ko) 2022-06-22 2022-06-22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237A KR20230174959A (ko) 2022-06-22 2022-06-22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959A true KR20230174959A (ko) 2023-12-29

Family

ID=8933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237A KR20230174959A (ko) 2022-06-22 2022-06-22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495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478B1 (ko) 2001-07-30 2009-11-03 미쓰비시 타나베 파마 코퍼레이션 식후 과혈당 개선제
KR100966613B1 (ko) 2009-12-21 2010-06-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당상승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아르기닌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96985B1 (ko) 2005-09-30 2010-11-26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글루카곤양 펩티드-1 분비 촉진제, 글루카곤양 펩티드-1분비 촉진용 음식품, 식후 혈당값 상승 억제제 및 식후혈당값 상승 억제용 음식품
KR101155079B1 (ko) 2011-02-09 2012-06-11 (주) 엔유씨생활과건강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카테킨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혈당상승 억제 및 비만억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478B1 (ko) 2001-07-30 2009-11-03 미쓰비시 타나베 파마 코퍼레이션 식후 과혈당 개선제
KR100996985B1 (ko) 2005-09-30 2010-11-26 모리나가 뉴교 가부시키가이샤 글루카곤양 펩티드-1 분비 촉진제, 글루카곤양 펩티드-1분비 촉진용 음식품, 식후 혈당값 상승 억제제 및 식후혈당값 상승 억제용 음식품
KR100966613B1 (ko) 2009-12-21 2010-06-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당상승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아르기닌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55079B1 (ko) 2011-02-09 2012-06-11 (주) 엔유씨생활과건강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카테킨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혈당상승 억제 및 비만억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9956B2 (en) Method for treating diabetic complications
KR101949153B1 (ko) 비스코자임 처리한 뽕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TW202333763A (zh) 包括咖啡萃取物之餐後抗高血糖組成物
KR101908772B1 (ko) 상지 열수추출물과 oxyresveratro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기능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88794A (ko) 새송이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 2형 당뇨병에 의한 지질대사 장애 및 당뇨합병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79459B1 (ko) 근육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키는 데이츄 추출물과이로부터 분리한 4h-크로멘-4-온 유도체
CN114007631A (zh) 含有印度醋栗提取物和大麦芽提取物的复合物(ib复合物)作为活性成分的用于预防、减轻或治疗伴有肥胖症和/或糖尿病的代谢综合征的组合物
KR101710780B1 (ko) 백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10966996B2 (en) Glechoma longitube extract, preparation method for same, and use thereof in sugar reduction, weight loss, and lipid reduction
KR20230174959A (ko)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KR100473530B1 (ko)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80085358A (ko) 측백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85472B1 (ko) 식초 가공 인삼제제를 이용한 제2형 당뇨병과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473531B1 (ko) 변방 소풍순기원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230057134A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KR20050003665A (ko) 식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101695166B1 (ko) 돌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I610681B (zh) 一種黑蒜頭之抗血色素糖化及降血糖萃取物之製作方法
KR102095371B1 (ko) 짚신나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473529B1 (ko) 순기산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67370B1 (ko) 고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5-메틸소포라플라바논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합병증 또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00083598A (ko) 인삼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19552B1 (ko) 조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54038A (ko) 동물 체중을 감소하기 위한 약 제조에서 뽕 추출물의 사용
KR100478150B1 (ko)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용 건강보조식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