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461B1 -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461B1
KR102043461B1 KR1020170177508A KR20170177508A KR102043461B1 KR 102043461 B1 KR102043461 B1 KR 102043461B1 KR 1020170177508 A KR1020170177508 A KR 1020170177508A KR 20170177508 A KR20170177508 A KR 20170177508A KR 102043461 B1 KR102043461 B1 KR 102043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acin
ascorbic acid
composition
inhibitory activity
blood sug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702A (ko
Inventor
권영인
이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테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테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테인웍스
Priority to KR1020170177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4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55Nicotinic acids, e.g. niacin;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iabet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스코르빈산; 니아신; 또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식후 혈당조절이나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또는 혈관합병증을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사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약효가 우수한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ostprandial anti-hyperglycemia comprising ascorbic acid and niacin}
본 발명은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스코르빈산; 니아신; 또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국당뇨병협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에 따르면, 인체의 공복 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또는 식사 후 2시간이 지난 혈당이 200mg/dL일 때 이를 당뇨병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혈당조절은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인자이고, 당뇨병의 합병증 유발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혈당은 공복 혈당, 식후 혈당 및 당화혈 색소가 동시에 조절되어야 한다. 특히 식후 혈당은 당뇨병성 혈관 합병증을 유발하는 주된 병리기전이고, 혈당조절이 양호한 정상군이나 당뇨병의 유병기간이 길지 않은 환자에게서 식후 혈당 조절은 당뇨병의 발병이나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식후 고혈당은 LDL 산화과정을 촉진하고, 내피세포에서 NO 생산과 이용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FMD를 억제하며, 내피세포와 백혈구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고 내피세포에서 다양한 염증유발 및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내피세포 기능을 감소시킨다. 내피세포 기능장애는 심혈관 질환 발생의 첫 단계이자, 가장 초기에 발견될 수 있는 표지자로 알려져 있으므로, 식후 고혈당은 산화스트레스 유발 및 내피세포기능장애에 기여하여 혈관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0996985호는 κ-카제인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P-1 분비 촉진제 및 식후 혈당값 상승 억제제, 및 젖 유래의 카제인 단백질을 함유하고, 해당 젖 유래의 카제인 단백질의 60질량% 이상이 κ-카제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GLP-1 분비 촉진용 음식품 및 식후 혈당값 상승 억제용 음식품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66613호는 혈당상승억제 효능을 갖는 아르기닌 유도체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155079호는 녹차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카테킨 칼레이트를 이용한 식후 혈당상승과 비만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0924478호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 교환 수지인 콜레스티미드를 이용한 식후 과혈당 개선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당뇨의 발병 또는 당뇨병 환자에게서 식후 고혈당 조절이 매우 중요하고, 식후 고혈당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약제들이 적절히 투여된다면 당뇨병 또는 당뇨병성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96985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6661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5507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924478호
본 발명은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식후 혈당조절이나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또는 혈관합병증을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 니아신; 또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중량비는 1:3~3: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 니아신; 또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중량비는 1:3~3: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 니아신; 또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중량비는 1:3~3: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당뇨병을 유발할 수 있는 식후 혈당조절이나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 또는 혈관합병증을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사용하여 쉽고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약효가 우수한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2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3은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Rat Intestinal sucr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4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Rat Intestinal malt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5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Rat Intestinal gluco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나타낸다.
도 6은 sucrose에 의한 아스코르빈산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도 7은 sucrose에 의한 니아신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도 8은 sucrose에 의한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 니아신; 또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로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중량비는 1:3~3:1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2 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아스코르빈산; 니아신; 또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혼합물은 Rat intestinal α-glucosidase, Porcine pancreatic α-amylase, Rat intestinal sucrase, Rat intestinal maltase, Rat intestinal glucoamylase에 대한 in vitro 저해활성을 가지며, sucrose의 분해에 관한 in vivo 저해활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아스코르빈산; 니아신; 또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은 식후 혈당상승억제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 니아신; 또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약학 조성물로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중량비는 1:3~3:1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2 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아스코르빈산; 니아신; 또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혼합물은 항당뇨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식후 혈당조절 특성이 우수하여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텍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롤로즈, 메틸 셀롤로즈, 미정질 셀롤로즈, 폴리비닐 피톨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코르빈산; 니아신; 또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품 조성물로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중량비는 1:3~3:1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2 인 것이 좋다.
식품은 각종 식품류, 캔디,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의 형태일 수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음료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In-vitro 항당뇨 활성
(가) Rat intestinal α-glucosidase inhibition assay
● 효소: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
● substrate: PNP-glycoside(pNPG, p-Nitrophenyl α-D-glucopyranoside)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 300mg 에 0.1M sodium phosphate buffer(pH 6.9) 9㎖을 첨가하여 30초간 12회 ice water bath에서 초음파처리 후, 13,000rpm, 4℃에서 3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원심분리 후 상층액을 회수하여 Rat intestinal α-glucosidase Inhibition assay에 사용하였다. Rat α-glucosidase solution 100㎕와 Sample solution 50㎕를 넣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50㎕의 5mM pNPG 용액을 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405nm에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분석하였다.
아스코르빈산과 니아신이 나타내는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도 1에 제시된다.
아스코르빈산과 니아신 모두 0.5, 1, 2 mg/㎖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스코르빈산의 50% 저해활성 농도(IC50)는 1.15 mg/㎖ 이고, 니아신의 50% 저해활성 농도(IC50)는 0.96 mg/㎖ 이다.
(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 inhibition assay
● 효소: porcine pancreatic α-amylase
● substrate: 1% starch solution in 0.02M sodium phosphate buffer(pH 6.9)
● coloring reagent: 3,5-dinitrosalicylic acid solution(DNS) in 2M NaOH with 30% sodium potassium tartrate tetrahydrate
0.02M 소듐 포스페이트 버퍼(pH 6.9; 0.006M 소듐 클로라이드 포함)에 녹인 1U 농도의 porcine pancreatic α-amylase 용액 300㎕에 샘플 용액 200㎕을 넣고 25℃에서 10분간 배양시켰다.
이 용액에 25℃에서 10분 동안 예비 배양시킨 1% starch 용액 500㎕를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30% Rochelle 염에 녹인 1% DNS 용액을 1㎖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boiling water bath에서 5분간 처리한 다음 실온으로 식히고 10㎖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α-amylase에 의해서 기질로부터 분해된 당과 DNS 용액과의 반응액을 540nm에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샘플 대신 샘플을 용해시킨 용매를 넣은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아스코르빈산과 니아신이 나타내는 Porcine pancreatic α-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도 2에 제시된다.
아스코르빈산은 1, 2, 5 mg/㎖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활성을 나타내고, 니아신은 0.5, 1, 2.5 mg/㎖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스코르빈산의 50% 저해활성 농도(IC50)는 2.06 mg/㎖ 이고, 니아신의 50% 저해활성 농도(IC50)는 2.39 mg/㎖ 이다.
(다) Rat intestinal glucose oxidase assay(Maltose, Sucrose, Glucoamylase)
● 효소: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
● substrate: 100mM maltose, 200mM sucrose, 1% starch solution
● Oxidase kit: Glucose oxidase/peroxidase reagent(Sigma G3660), O-Dianisidine reagent(Sigma D2679)
효소는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Sigma S9765)을 사용하였고 기질은 maltose, sucrose, starch(Junsei)를 사용하였다.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 100㎎을 3㎖의 0.9% NaCl 용액(Junsei)에 첨가한 후 30초간 12회 iced water bath에서 초음파 조사한 다음 10,000rpm, 4℃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분리된 상층액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96 clear plate에 100㎕의 rat α-glucosidase 용액에 50㎕의 시료를 넣은 다음 37℃ 인큐베이터에서 10분간 정치시켰다.
각각의 실험 방법에 따라 50㎕의 100mM maltose, 또는 200mM sucrose, 1% starch 용액을 가한 다음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30분간 반응 사이에 Glucose oxidase/peroxidase reagent(Sigma G3660)와 O-Dianisidine reagent(Sigma D2679)를 섞은 용액 1㎖을 2㎖ Epp Tube에 넣은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5분간 방치하여 온도를 37℃로 맞춘 후, 앞서 30분 동안 반응한 래트 소장 아세톤 분말과 샘플, 기질 용액 혼합시약 200㎕을 취하여 1㎖ Glucose oxidase/peroxidase reagent와 O-Dianisidine reagent과 반응시킨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각각의 2㎖ Epp tube에 12N 황산 1㎖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96 clear plate에 200㎕씩 넣은 후 540nm에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여 Rat intestinal glucose oxidase(maltose, sucrose, glucoamylase)에 대한 저해활성을 분석하였다.
시료 대신 시료를 용해시킨 용매를 넣은 것을 대조구로 하였다.
아스코르빈산과 니아신이 나타내는 Sucr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도 3에 제시된다.
아스코르빈산은 0.1, 0.2, 0.5 mg/㎖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니아신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아스코르빈산의 50% 저해활성 농도(IC50)는 0.24 mg/㎖ 이다.
아스코르빈산과 니아신이 나타내는 Malt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도 4에 제시된다.
아스코르빈산은 0.2, 0.5, 1 mg/㎖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니아신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아스코르빈산의 50% 저해활성 농도(IC50)는 1.2 mg/㎖ 이다.
아스코르빈산과 니아신이 나타내는 Glucoamyl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도 5에 제시된다.
아스코르빈산은 0.2, 0.5, 1 mg/㎖ 농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니아신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아스코르빈산의 50% 저해활성 농도(IC50)는 0.69 mg/㎖ 이다.
아래 표 1은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Rat intestinal α-glucosidase, Porcine pancreatic α-amylase, Rat intestinal sucrase, Rat intestinal maltase, Rat intestinal glucoamylase에 대한 50% 저해활성 농도(IC50)를 나타내고 있다.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mg/㎖)
아스코르빈산 니아신
Rat intestinal α-glucosidase 1.15 0.96
Porcine pancreatic α-amylase 2.06 2.39
Rat intestinal sucrase 0.24 68.91
Rat intestinal maltase 1.20 23.32
Rat intestinal glucoamylase 0.69 22.64
아스코르빈산은 모든 소화효소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Sucrase에 대한 50% 저해활성 농도(IC50)가 0.24 mg/㎖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아스코르빈산은 소화효소에 대해 0.24~2.06 mg/㎖의 50% 저해활성 농도(IC50)를 나타내었다.
니아신은 Rat intestinal α-glucosidase 및 Porcine pancreatic α-amylase에 대해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나머지 효소에 대해서는 저해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니아신은 Rat intestinal α-glucosidase 및 Porcine pancreatic α-amylase에 대해 0.96~2.39 mg/㎖의 50% 저해활성 농도(IC50)를 나타내었다.
아래 표 2는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Rat intestinal α-glucosidase에 대한 50% 저해활성 농도(IC50)를 나타내고 있다.
아스코르빈산:니아신
(중량비)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mg/㎖)
1:0 1.15
0:1 0.96
1:1 0.65
1:2 0.56
1:3 0.77
2:1 0.76
3:1 0.70
아스코르빈산과 니아신의 중량비가 1:2인 경우, 50% 저해활성 농도(IC50)가 0.56 mg/㎖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아스코르빈산과 니아신의 중량비가 1:3~3:1인 경우, 50% 저해활성 농도(IC50)가 0.56~0.77 mg/㎖로 아스코르빈산만 사용한 경우와 니아신만 사용한 경우에 비해 더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아스코르빈산만 사용한 경우나 니아신만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식후 혈당상승억제,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에 더 유효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중량비는 1:3~3:1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2 인 것이 좋다.
(실시예 2)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In-vivo test에 의한 식후 혈당조절 작용
(가) 실험동물
생후 4주령의 수컷 SD rat을 라온바이오로부터 구입하여 동물 사육실에서 사육 후, 생후 6주령 때 건강한 동물만을 선별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나) Sucrose 섭취에 대한 혈당상승 억제작용 평가
실험동물을 실험 전 20시간 이상 절식시킨 후, 2g/kg body weight의 Sucrose에 아스코르빈산, 나이신, 및 아스코르빈산과 나이신의 혼합물을 0.1g/kg, 0.5g/kg의 농도로 투여하였으며, 시료는 경구 투여용 존대를 이용하여 경구 투여하였다.
투여군은 5군으로 각 군당 6마리씩 사용하였다. 경구 투여 후 0.5, 1, 2 및 3시간에 래트 꼬리 정맥으로부터 채혈하여 정맥혈의 혈당 농도 변화를 혈당계(Caresens Ⅱ)로 측정하였다.
Sucrose에 의한 아스코르빈산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은 도 6에 제시된다.
아스코르빈산의 섭취 후 혈당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아스코르빈산의 섭취 후 0.5시간에 control 군은 247.67±30.69 mg/dl을 나타내고 있으며, 0.5 g/kg-body weight 투여군은 201.92±17.50 mg/dl을 나타내므로, 약 18%의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식후 1시간까지 control 군은 248.38±37.46 mg/dl 이고, 0.5 g/kg-body weight 투여군은 230.20±12.73 mg/dl 으로 약 7%의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스코르빈산은 자당섭취 후 혈당의 흡수를 저해하여, 혈당감소 및 흡수지연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Sucrose에 의한 니아신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은 도 7에 제시된다.
니아신의 섭취 후 혈당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니아신의 섭취 후 0.5시간에 control 군은 247.67±30.69 mg/dl 이고, 0.5 g/kg-body weight 투여군은 211.50±17.74 mg/dl 이어서 약 14%의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식후 1시간까지 control 군은 248.38±37.46 mg/dl 이고, 0.5 g/kg-body weight 투여군은 225.67±21.12 mg/dl 이어서, 약 9%의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니아신은 자당섭취 후 혈당의 흡수를 저해하여, 혈당감소 및 흡수지연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Sucrose에 의한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중량비는 1:2)의 식후 혈당상승 저해작용은 도 8에 제시된다.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섭취 후 혈당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섭취 후 1시간에 control 군은 248.75±25.14 mg/dl 이고, 0.5 g/kg-body weight 투여군은 194.33±23.96 mg/dl 이어서, 약 21%의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식후 2시간까지 control 군은 197.08±38.62 mg/dl 이고, 0.5 g/kg-body weight 투여군은 156.75±15.81 mg/dl 이어서, 약 20%의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혼합하여 섭취하는 경우 자당섭취 후 혈당의 흡수를 저해하여, 혈당감소 및 흡수지연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특정 혼합비로 혼합하여 섭취하는 경우, 각각을 단독으로 섭취하는 경우에 비해 혈당상승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중량비는 1:3~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2. 삭제
  3.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중량비는 1:3~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삭제
  5.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의 중량비는 1:3~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삭제
KR1020170177508A 2017-12-21 2017-12-21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KR102043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508A KR102043461B1 (ko) 2017-12-21 2017-12-21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508A KR102043461B1 (ko) 2017-12-21 2017-12-21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702A KR20190075702A (ko) 2019-07-01
KR102043461B1 true KR102043461B1 (ko) 2019-11-11

Family

ID=6725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508A KR102043461B1 (ko) 2017-12-21 2017-12-21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46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24519B (en) 2001-07-30 2010-05-11 Mitsubishi Tanabe Pharma Corp Drugs for ameliorating postcibal hyperglycemia
US20090131316A1 (en) 2005-09-30 2009-05-21 Morinaga Milk Industry Co., Ltd. Glucagon-like peptide-1 secretagogue, glucagon-like peptide-1 secretagogue food or drink, inhibitor of postprandial rise in blood glucose, and inhibitory food or drink of postprandial rise in blood glucose
KR100966613B1 (ko) 2009-12-21 2010-06-29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당상승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아르기닌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155079B1 (ko) 2011-02-09 2012-06-11 (주) 엔유씨생활과건강 폴리감마글루탐산과 카테킨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혈당상승 억제 및 비만억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세운 저, ‘수용성 비타민의 혈당상승억제 및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2015, 한남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0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702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2644B2 (ja) 血糖増加を制御する組成物
WO200611903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glucose uptake
US9399043B2 (en) Composition having lipolysis-promoting effect
WO2017159679A1 (ja) 多糖消化阻害剤
KR101672274B1 (ko) 자화지정 추출물 또는 자화지정, 도인, 계지, 및 감초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및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5998838B (zh) 一种具有降血糖协同增效作用的组合物及其应用
US20110300246A1 (en) Herbal Extracts for Treatment of Diabetic Complications and Oxidative Stress
KR102043461B1 (ko) 아스코르빈산 및 니아신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KR20130104132A (ko) 양파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제 조성물 및 양파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
JP2007217366A (ja) 尿酸値降下用組成物
JP2016531566A (ja) 米のキャラクタリゼーション
JP5848428B2 (ja) 経口用医薬組成物および機能性食品
US20220218726A1 (en) Composition comprising cyp4a-inhibiting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metabolic diseases
KR101121954B1 (ko) 1,2,3-Benzentricarboxylic acid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57134A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KR101881144B1 (ko)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00880A (ko)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조성물
KR20150125339A (ko) 검정옥수수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식품,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8230931A2 (ko)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6243B1 (ko) 아마도리 전위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188743B1 (ko) 신규한 아마도리 화합물 및 그 용도
KR20230174959A (ko) 아마도리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후 혈당상승억제용 조성물
CN103355665B (zh) 一种用于辅助降血糖的组合物
EP3235510A1 (en) Nutritional compositions for the management of glucose metabolism
KR101319552B1 (ko) 조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