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8852A - 진통소염 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통소염 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8852A
KR20050038852A KR1020030074142A KR20030074142A KR20050038852A KR 20050038852 A KR20050038852 A KR 20050038852A KR 1020030074142 A KR1020030074142 A KR 1020030074142A KR 20030074142 A KR20030074142 A KR 20030074142A KR 20050038852 A KR20050038852 A KR 20050038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extract
acid
bokbunja
hydrolyz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준
이경태
최종원
정현주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상지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상지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상지학원
Priority to KR1020030074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8852A/ko
Publication of KR2005003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8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분자(Rubus coreanus)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분자 추출물, 그의 가수분해물인 니가-이치고시드 F1(niga-ichigoside F1) 및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23-hydroxytormentic acid)은 진통소염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증(급성 통증, 만성 통증, 염증성 통증, 신경병적 통증, 수술후 통증, 편두통, 관절통)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진통소염 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Rubus coreanus having a effect of ataralgesia and antiphlogistic}
본 발명은 소염진통효과를 갖는 복분자(Rubus coreanus) 추출물, 그의 가수분해물인 니가-이치고시드 F1(niga-ichigoside F1)과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23-hydroxytormentic acid)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각종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것이다.
염증 반응은 조직(세포)의 손상이나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감염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 중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 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 외적 증상을 나타낸다. 정상인 경우 염증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오히려 점막손상을 촉진하고, 그 결과 일부에서는 암 발생 등의 질환을 이끈다.
현재 식물, 동물 및 해양 동물로부터 신규한 생물학적 활성 분자를 찾으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식물에서 확인된 분자들의 한 가지 다양한 부류는 사포닌(Saponin) 부류이다. 사포닌은 트리테르펜(Triterpene) 또는 스테로이드 아글리콘(Steroid aglycone)에 연결된 당 잔기를 갖는 글리코시드를 포함하는 고분자량 화합물이다. 트리테르펜 사포닌은 특히 그들의 생물학적 특성으로 인하여 큰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상이한 식물 종으로부터 유래한 트리테르펜 사포닌의 살진균, 항바이러스, 항돌연변이, 살정자 또는 피임, 심혈관계 및 소염 활성을 포함한 약물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이 연구되어 왔다. 사포닌은 혈장 지질을 결합시킴으로써 콜레스테롤 대사를 변형시켜, 콜레스테롤과 착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트리테르펜 글리시레틴산 및 그의 특정한 유도체는 항궤양, 소염, 항알레르기, 간염치료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정의 글리시레틴산 유도체는 위궤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화합물로 미국 특허 제 3,070,623호는 카르베녹솔론, 미국 특허 제 3,070,624호는 3' 위치에 치환체를 갖는 글리시레틴산 에스테르 유도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JP-A-44-32798호는 글리시레틴산의 아미노산 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글리시레틴산은 5-리폭시게나제 활성을 포함하여 류코트리엔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이것은 보고된 소염 활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복분자(Rubus coreanus MIQ)는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복분자 딸기의 미성숙한 과실로서 7월경에 과실이 충분히 커지고 아직 익지 않아 청색일 때 따서 줄기와 잎을 제거하고 사용한다. 복분자에는 카본(Carvone), 당류 및 소량의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다. 청량(淸凉) ·지갈(止渴) ·강장약(强壯藥) 등으로 사용되며, 신기허약, 음위, 정력증진, 강장보호, 강정, 당뇨, 조갈 등에 효능이 있으며, 건조품은 정력감퇴, 신경쇠약, 이명 등에 생것은 여성의 피부미용, 시력장애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정 보섭 및 신 민교, 향약대사전, 영림사, pp652-653, 1998). 특히 복분자는 당뇨병과 성기능 감퇴에 사용되는데(Moon, G. S., Constituents and Uses of Medicinal Herbs, Ilweolseogak, Seoul, pp310-311, 1991), 이 생약은 코레아노시드 F1(coreanoside F1), 수아비스시모시드 (suavissimoside), 니가-이치고시드 F1 및 F2와 같은 트리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를 함유하며, 탄닌(tannin), 디테르펜(diterpene), 카테킨(catechin) 성분도 분리되어서 보고된다(Kim S. W. et al., Arch. Pharm. Res., 24, pp412-415, 2001 ; Tanaka T. et al., Chem. Pharm. Bull., 41, pp1214-1220, 1993 ; Gao F. et al., Chem. Pharm. Bull., 33, pp37-40, 1985).
본 발명자는 진통소염효과를 나타내는 트리테르페노이드류 화합물을 찾기 위하여 그 후보 생약으로 복분자를 선정하여 그의 활성분획으로부터 니가-이치고시드 F1(niga-icnigoside F1)을 분리하였다. 이 성분은 이미 복강투여에서 포르말린에 의해 유도된 진통 모델(formalin-induced pain model)에서 진통작용을 가짐을 확인한 바 있다(Niero R., Cechinel Filho V., et al., J. Natl. Prod., 62, pp1145, 1999). 본 발명자는 상기 니로(Niero) 등의 실험과는 달리 천연생약제인 복분자로부터 니가-이치고시드 F1 및 그 비당체인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23-hydroxytormentic acid)을 분리하여 마우스에 경구투여한 결과, 진통효과 뿐만 아니라 소염효과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진통소염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 그의 가수분해물인 니가-이치고시드 F1 과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염증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복분자 추출물 및 그의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염증 관련 질환은 급성 통증, 만성 통증, 신경병적 통증, 수술후 통증, 편두통 및 관절통과 같은 통증; 신경병증, 신경손상, 뇌졸중, 과민성 장증후군, 천식 및 만성폐색성 폐질환에서의 발열; 위-십이지장궤양; 및 염증성 장 질환을 포함한다.
상기 복분자 추출물의 가수분해물은 니가-이치고시드 F1(niga- ichigoside F1) 및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23-hydroxytormentic acid)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은 복분자를 구입하여 음건한 다음 마쇄하여 분말화한 후, 복분자 시료 중량의 약 2 내지 2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을 가하여 20 내지 50℃에서 약 2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후에, 이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한 후, 이를 현탁액이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배 부피의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과 같은 비극성 용매를 가하여 1회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5회 비극성용매 가용층을 추출, 분리하여 수득할 수도 있으며,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6-7, 1998).
바람직한 본 발명의 복분자 유기용매 추출물의 제조방법의 예로는 상기의 메탄올 추출물에 에탄올, 부탄올,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계통적 추출방법에 의하여 수득될 수 있고, 특히 건조한 복분자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얻은 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트리페노이드 글리코시드를 함유하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부탄올 분획으로부터 비당체를 얻기 위하여 알칼리 용액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환류추출한 후, 묽은 염산 및 묽은 황산과 같은 산성용액으로 산성화한 다음 감압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으로부터 알칼리 가수분해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복분자 추출물 및 그의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관련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수득된 복분자 추출물 및 그의 가수분해물의 진통효과와 소염효과에 대한 활성을 검색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과 그 알칼리 가수분해물은 마우스를 이용한 라이팅 테스트(Writhing test), 핫 플레이트 테스트(Hot plate test) 및 테일-플릭 테스트(Tail-flick test)에서 유의성있는 진통작용과 카라기난(carrageenan)으로 유발한 흰쥐에서 현저한 항염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부탄올 분획으로부터 얻은 니가-이치고시드(niga-ichigoside) F1의 알칼리 가수분해 비당체인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은 현저한 진통소염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복분자는 오랫동안 생약 및 식용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들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 및 그의 가수분해물들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macrogol),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복분자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또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화합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분자 메탄올 추출물의 제조
복분자나무(Rubus coreanus)의 미성숙 과실(1998년 7월 원주시 치악산에서 구입, 상지대학교 자원식물학과 윤세영 교수에 의해 동정)을 음건한 다음, 마쇄기로 갈아 미세말한 후, 복분자 미세말 시료 4.0㎏에 메탄올 8ℓ를 가한 후 상온에서 5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진공여과에 의해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상층액을 모은 후, 감압농축하여 복분자 메탄올 추출물 46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용매별 복분자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복분자 메탄올 조추출물 460g을 물 2ℓ에 현탁시킨 후에, 클로로포름(2ℓ×3), 에틸아세테이트(2ℓ×3), 부탄올(2ℓ×3)로 각각 추출하여 각각의 분획을 진공건조하여 클로로포름 분획물(84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48g), 부탄올 분획물(118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니가-이치고시드(Niga-ichigoside) F 1 의 분리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20g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700g, 852cm, Merck, Art 7734, 독일)에서 전개용매로 클로로포름-메탄올-물 혼합용액(CHCl3:MeOH:H2O=7:3:1, lower phase)을 사용하여 전개하였다. 용리액을 80㎖씩 수집하였고 TLC에서 10%-H2SO4로 체크하였으며, Rf 0.31에서 나타나는 반점의 물질(화합물 1)이 머무름 부피(retention volume) 1.40-2.90ℓ에서 나타났다. 이들을 농축하여 재결정하였으며 동정결과 화합물 1이 니가-이치고시드 (nigaichigoside) F1으로 동정되었으며, 보고된 데이터와 일치하였다(Kim, Y. H., Kang, S. S., Arch. Pharm. Res., 16, p109113, 1993).
니가-이치고시드(nigaichigoside) F1의 물리적 및 분광학적 데이터는 하기에 나타내었다.
니가-이치고시드 F1 : 28-O-[-D-글루코피라노실]에스터, C36H58O11
mp : 231-232℃
[α]D 26 +11.2°(c=1.01, MeOH)
1H-NMR (C5D5N, 500 MHz) 및 13C-NMR (C5D5 N, 125 MHz)
실시예 4.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23-hydroxytormentic acid)의 분리
트리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Triterpenoid glycoside)를 함유하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부탄올 분획으로부터 비당체를 얻기 위하여 이들을 알칼리 용액 중에서 가수분해를 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은 부탄올 분획 20g을 3% 수산화나트륨 용액(NaOH; MeOH-H2O, 2:8) 300㎖에 가하여 5시간 동안 환류한 후, 반응물을 식힌 다음 묽은 염산으로 산성화하였다. 이를 각 300㎖ 에틸아세테이트로 3회 분배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증류수 150㎖로 2회 세척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농축하여 잔류물 8g을 수득하였다. 이 잔류물을 메탄올을 이용하여 재결정하여 백색 침전물(화합물 1a)을 수득하였다. 이 화합물 1a를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Rf=0.35, CHCl3:MeOH:H2O=78:22:10)를 수행하였다. 화합물 1a의 동정결과, 화합물 1a가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으로 동정되었으며 보고된 데이터와도 일치하였다(Kim, Y. H., Kang, S. S., Arch. Pharm. Res., 16, p109113, 1993).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의 물리적 및 분광학적 데이터는 하기에 나타내었다.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 : (2,3,19,23-테트라히드로우라스-28-오인산, C30H48O6
mp : 283-285℃
[α]D 20 +27.9°(c=0.54, MeOH)
1H-NMR (C5D5N, 500 MHz) and 13C-NMR (C5D 5N, 125 MHz)
실험예 1. 실험동물 및 시약
1-1. 실험동물
4주령의 ICR계 웅성 마우스와 스프라그-도울리계 웅성 흰쥐를 대한바이오 링크로부터 구입하여 온도 20±2℃, 습도 40-60%에서 명암주기 12시간 간격으로 적응시켰다. 실험 24시간전부터 절식시켰으며, 물은 자유로이 음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동물은 하루 중 효소활성의 변동을 고려하여 10:00 a.m - 12:00 a.m.에 희생시켰다.
1-2. 시약준비
아세틸살리실산(Acetylsalicylic acid, Aspirin), N-벤조일아르기닌-p-니트로아닐리드 히드로클로라이드(N-benzoylarginine-p-nitroanilide(BAPNA) hydrochlo ride), 카라기난(Carrageenan) 및 2-티오바르비투린산(2-thiobarbituric acid)과 동물실험에 사용된 모든 시약은 시그마 케미컬사(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트립신(Trypsin)은 카와이암(Kawayam, Japan)으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2. 진통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로부터 얻은 여러 가지 복분자 추출물 및 니가-이치고시드(niga-ichigoside) F1과 그 비당체인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의 진통효과를 라이팅 테스트(Writhing test), 핫 플레이트 테스트(Hot plate test) 및 테일-플릭 테스트(Tail-flick test)로 검정하였다. 실험결과는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1-1. 초산유발 라이팅 테스트(A acetic acid-induced Writhing test)
라이팅 테스트는 휘틀(Whittle)이 기술한 바에 따라 시행하였다(Whittle B.A., Br. J. Pharmacol., 22, 246460, 1949). 즉, 부형제(Vehicle) 및 아스피린 (aspirin) 각 100㎎/㎏과 시료 용액(각 분획 100, 200mg/kg, 각 화합물 1, 1a, 10 - 30mg/kg)을 실험전 30분에 경구투여하였으며, 0.7% 아세트산-살린 0.1㎖/10g을 복강투여한 후 10분간 라이팅 횟수를 기록하였다.
실험결과, 니가-이치고시드 F1(화합물 1) 및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화합물 1a)은 0.7% 초산으로 유발된 스트레칭과 라이팅 수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니가-이치고시드 F1 및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의 감소효과는 각각 17.7 내지 24.4% 및 32.2 내지 51.6%를 나타내었다.
1-2. 초산유발 핫 플레이트 테스트(A acetic acid-induced Hot plate test)
에디(Eddy) 및 레임백(Leimback)에 의해 기재된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핫 플레이트 테스트를 하여 반응 지연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 실험에서 핫 플레이트(Ugo Basile, 모델-DS 37)는 56±1℃로 유지되게 하였으며, 약물투여 전에 발바닥의 리킹(licking)과 점프 움직임을 관찰하여 반응시간(reaction time)을 관찰하였다. 컷-오프 타임(Cut-off time)은 20초였으며, 비교약물로 모르핀 설페이트(morphine sulphate, 구주제약회사) 10.0㎎/㎏을 복강투여하였다(Carvalho J. C., Silva M. F. et al., Planta Med., 62, pp402-404, 1996).
실험결과, 10, 30㎎/㎏의 니가-이치고시드 F1 및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의 투여로 통증역치를 식별하는 동물의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점프반응을 연장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모르핀 10㎎/㎏도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1-3. 초산유발 테일-플릭 테스트(A acetic acid-induced Tail flick test)
초산유발 테일 플릭 테스트에서 진통효과는 복사열 자극(radiating thermal stimulus)에 반응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흰쥐는 열원(heat source)이 꼬리에만 도달하도록 제한되었으며, 자동화된 테일-플릭 분석기(tail-flick analgesymeter, Ugo bassile Italy)를 사용하였고 15초로 세팅되었다. 한 쥐에 대하여 물질 투여전에 3회 반복하여 실험하였다. 테일-플릭 지연반응을 계산하여 %로 나타내었으며, 열적 자극의 강도는 4초와 6초 사이에서 대조 잠복기(control latency)를 얻을 수 있도록 조절하였다(Matsuda H., Samukawa K., Kubo M., Planta. Med., 56, pp19-23, 1990).
실험결과, 10, 30㎎/㎏의 니가-이치고시드 F1 및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은 유의성 있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중추적 진통작용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투여량(㎎/㎏) 스트레칭 에피소드(횟수/20분) 저해율(%) 반응 지연 시간(초) 증가율(%) 무통증(%)
대조구 62±4.9a - 8.4±1.6f - -
메탄올추출 100 50±3.8cd 19.4 10.1±1.2def 20.2 8.4±1.6efg
200 42±4.2efg 32.3 11.5±1.2def 36.9 10.6±2.0cdef
클로로포름 분획 100 58±5.5ab 6.5 8.6±2.3f 12.2 -
200 55±4.6abc 11.3 9.0±2.0ef 7.1 5.6±2.8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100 45±3.8def 27.4 12.7±1.6bcd 51.1 10.0±3.0cdef
200 33±4.0hi 47.7 12.9±1.8bcd 53.6 12.9±1.8bc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가수분해물 100 41±3.8efg 33.9 13.0±1.4bcd 54.7 11.4±2.0bcdef
200 29±4.1i 53.2 13.5±1.9bc 60.7 13.7±2.2bc
부탄올분획 100 51±3.9bcd 17.7 11.2±2.8bcdef 33.3 9.5±1.8defg
200 38±2.7fgh 38.7 12.6±2.3bcd 50.0 11.1±1.9cdef
부탄올 분획 가수분해물 100 47±4.5de 24.2 11.6±2.0bcdef 38.1 10.8±2.1cdef
200 35±4.0ghi 43.5 13.2±2.1bcd 57.1 12.3±1.5bcde
아스피린(Aspirin) 100 19±3.0j 69.4 NT - NT
모르핀(Morphine) 10 NT - 20.6±2.6a 145.2 30.1±3.9a
투여량(㎎/㎏) 종창 부피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대조구 1.4±0.08b,c 2.2±0.09a 2.9±0.03b 2.4±0.07a,b
메탄올추출 100 1.3±0.07c,d 1.9±0.08b 2.5±0.07c 2.3±0.06b,c
200 1.3±0.06c,d 1.7±0.09c,d 2.3±0.05d,c 2.2±0.05c,d
클로로포름 분획 100 1.5±0.03a,b 2.3±0.07a 3.1±0.12a 2.3±0.07b,c
200 1.6±0.05a 2.2±0.09a 2.9±0.11b 2.5±0.05a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100 1.0±0.08f,g 1.6±0.04d,e 2.3±0.03d,c 2.1±0.07d,r
200 1.0±0.05f,g 1.4±0.03f,g 2.0±0.04g,h 2.0±0.06e,f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가수분해물 100 0.8±0.04h 1.5±0.08e,f 2.1±0.09f,g 1.8±0.05g,h
200 0.9±0.07g,h 1.2±0.06h 1.8±0.08i,j 1.6±0.08i
부탄올분획 100 1.2±0.08d,e 1.6±0.07d,e 2.4±0.05c,d 2.1±0.07d,e
200 1.1±0.09e,f 1.5±0.06e,f 2.1±0.06f,g 2.0±0.08e,f
부탄올 분획 가수분해물 100 1.1±0.07e,f 1.8±0.07b,c 2.2±0.07e,f 1.9±0.10f,g
200 1.0±0.10f,g 1.4±0.05f,g 1.9±0.09h,i 1.8±0.09g,h
이부프로펜(Ibuprofen) 100 0.6±0.08i 0.9±0.09i 1.1±0.05k 0.8±0.07k
투여량(㎎/㎏) 스트레칭에피소드(횟수/20분) 저해율(%) 반응 지연 시간(%) 증가율(%) 무통증(%)
대조구 62±4.9a - 8.4±1.6f - -
니가-이치고시드 F1 10 51±4.6bcd 17.7 10.6±1.5cdef 23.8 8.0±2.5fg
30 45±5.9def 27.4 12.1±2.7bcde 44.0 9.5±2.8defg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 10 42±5.0efg 32.2 11.2±2.1bcdef 33.3 11.8±3.0bcdef
30 30±4.7i 51.6 14.3±1.7b 70.2 15.3±2.5b
아스피린(Aspirin) 100 19±3.0j 69.4 NT - NT
모르핀(Morphine) 10 NT 20.6±2.6a 145.2 30.1±3.9a
실험예 3. 흰쥐의 카라기난-유도 부종에 대한 효과측정
스프라그-도울리계 흰쥐의 초기 발바닥의 부피를 측정한 후, 경구적으로 시료를 투여한 다음 1시간 후에 식염수에 용해된 1% 카라기난(carrageenan) 용액을 마리당 0.1㎖로 오른쪽 뒷발바닥에 피하주사하였다.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한 시료를 먼저 10% 트윈 80으로 용해하고 식염수로 희석하였다. 정상군에는 같은 양의 용매만을 투여하였으며, 카라기난 주사 전 시료 용액(각 분획 100, 200mg/kg, 화합물 1, 1a: 10, 30mg/kg)을 경구로 7일간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부형제만을 같은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발바닥 부종은 60분 간격으로 5시간까지 측정하였으며, 부종의 부피는 부종 측정기(plethysmometer)로 측정하였으며(Matsuda H., Samukawa K., Kubo M., Planta. Med., 56, pp19-23, 1990), 항염제 이부프로펜(ibuprofen)을 비교약물로 사용하였다(Li D. W., Lee E. B. et al., Chem. Pharm. Bull., 50, pp900-903, 2002).
실험결과, 니가-이치고시드 F1 및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의 항염할성은 카라기난 주사 후 1시간에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최대 부종억제효과는 부종 유발 후 3시간후에 관찰되었다. 특히 30㎎/㎏ 용량으로 경구투여한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은 3시간에 41%의 부종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부프로펜 100㎎/㎏을 경구투여했을 때 62% 부종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마우스의 초산 유발 혈과 투과성 측정
휘틀(Whittle)의 방법(Whittle B.A., Br. J. Pharmacol., 22, pp246-460, 1949)에 따라 혈관투과성 실험을 하였다. 초산-생리식염수 용액의 주사전에 시료를 0.2% CMC(carboxymethyl cellulose) 용액에 현탁시킨 것을 경구로 마우스에 투여하였다. 0.7% 초산-생리식염수 0.1㎖/10g을 주사한 후 30분에 4% 포타민 스카이 블루(pontamine sky blue) 10㎎/㎏을 꼬리 정맥에 주사하였다. 20분 후 마우스를 희생시키고 복강으로 삼출된 색소를 증류수 10㎖로 세척하였다. 세적액을 원심분리하고(3000rpm, 10min) 상등액의 흡광도를 580nm 파장에서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기(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복강으로 삼출된 혈관 투과성 효과는 염색양/30g b.w./mouse로 나타내었으며, 아스피린이 비교약물로 사용되었다(Reanmongkol W., Matsumoto K., Watanabe H. et al., Biol. Pharm. Bull., 17, pp1345-1450, 1994).
실험결과, 부형제 대조구는 복강에 삼출된 전 색소의 양이 99.3±6.17㎍/30g 체중이었으며, 10, 30㎎/㎏의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은 현저히 색소의 삼출을 억제한 반면, 니가-이치고시드 F1은 30㎎/㎏에서만 유의성 있는 효과를 보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5. 트립신 활성 측정
비쓰(Bieth)와 프리츠(Fritz) 등의 방법(Bieth J., Metais P., Warter J., Clin. Chimica. Acta., 20, pp69-80, 1969 ; Fritz H., Trautschold I., Werle E., Physiol., Chem., 342, pp253-263, 1965)에 준하여 기질로써 BAPNA(N Benzoylarginine-p-nitroanilide)가 트립신에 의하여 N-벤조일아르기닌(N-Benzoylarginine)과 p-니트로아닐린(p-Nitroaniline)계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BAPNA의 흡광도를 405nm에서 측정하였다. 즉, 트립신 용액(50mU/㎖) 및 트리에탄올아민 완충용액(0.2M triethanolamine; pH 7.8 20mM CaCl2)을 저해법(inhibitor assay:I)과 트립신 참고법(trypsin reference assay:Tr) 시험관에 넣고 저해법 시험관에 혈청 0.1㎖를 첨가하여 5분간 37℃에서 전배양시킨 후, 각각의 시험관에 0.77mM 상당의 기질 BAPNA를 첨가하여 5분 동안 반응하는 속도를 1분 단위로 405nm에서 측정하여 아래의 공식에 준하여 효소활성(inhibitor unit, IU) 산정하였으며, 효소활성의 단위는 ㎖ 당 IU로써 표시하였다. 효소활성은 하기와 같은 수학식 1로 계산되었다.
효소활성 (IU)=(ΔTr/분-ΔI/분)/3.32
(A : 흡광도, 효소활성 단위 : IU/㎖)
투여량(㎎/㎏) P.S.B 양(㎍/30g b.wt) 저해율(%) 트립신 저해율(%) 증가율(%)
정상 - 99.3±6.17k 100 0.133±0.015h 100
대조구 - 263.5±18.8ab - 0.367±0.026a -
니가-이치고시드 F1 10 234.5±20.5bc 17.6 0.310±0.019cd 24.4
30 210.7±24.0cdef 32.1 0.296±0.021cdef 30.3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 10 186.3±17.2efgh 46.8 0.273±0.025efg 40.2
30 140.5±19.5ij 74.7 0.250±0.013g 50.0
아스피린(Aspirin) 100 108.7±13.4j 94.0 - -
이부프로펜(Ibuprofen) 100 - - 0.160±0.017h 88.5
실험예 6. 항염증효과 측정
니가-이치고시드 F1 및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화합물이 카라기난에 의해 유발되는 지질과산화, 히드록시 라디칼 및 SOD 활성수준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니가-이치고시드 F1,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 및 비교약물인 이부프로펜(ibuprofen)의 전처리는 카라기난으로 처리한 흰쥐의 혈청 지질 과산화물, 히드록시 라디칼 및 SOD 활성의 수준 감소를 나타내었다(표 5).
6-1. 지질 과산화(Lipid peroxide) 함량 측정
혈청 중 지질 과산화(lipid peroxide) 함량은 야기(Yagi) 등의 방법(Yagi K. Chem. Phys. Lipids., 45, pp337-351, 1987)에 따라 혈청에 1/12N H2SO4와 10% PTA(phosphotungstic acid)를 가하여 25℃ 에서 5분간 전배양한 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인 혈청단백질만 취해서 다시 1/12N H2SO4와 10% PTA를 가하여 원심 분리한 후 침전물만을 취하여 증류수 1㎖ 와 0.67% TBA(thiobarbituric acid) 및 50% 아세트산를 가하여 95℃ 에서 50 분간 반응시켜 실온에서 냉각 후, n-BuOH을 5㎖를 첨가하여 10 분간 원심 분리하여 생성된 홍색의 n-BuOH층을 취하여 형광분광기 (spectrofluorometer)를 사용하여(Ex: 515㎚, Em: 553㎚)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곡선에서 그 함량을 혈청 1㎖당 말론알데히드(malondialdehyde) nM로 표시하였다.
6-2. 히드록시 라디칼 함량의 측정
히드록시 라디칼(Hydroxyl radical)의 측정은 타테이쉬(Tateish) 등의 방법(Tateishi T. et al., Exp. Gerontol., 22, 103111, 1987)에 따라 혈청 34.8㎕ 에 0.54M NaCl, 0.1M 인산완충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4), 10mM NaN3, 7mM 디옥시리보스(deoxyribose), 5mM 황산제일철암모늄(ferrous ammonium sulfate) 및 증류수로서 333.3㎕ 가 되도록 첨가하여 교반하여 잘 혼합하고, 37℃ 에서 15 분간 정치한다. 혈청 67㎕ 를 취하고 여기에 8.1% SDS(sodium dodecyl sulfate) 75㎕, 20% 아세트산 500㎕ 및 재증류수 25㎕ 를 넣어 혼합한 다음, 여기에 다시 1.2% TBA 333㎕ 를 가하여 수욕조(100℃)에서 30 분간 가열한 후 실온에서 냉각한 다음 700×g에서 5 분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파장 532㎚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 검량선에 의하여 히드록시 라디칼(nM /㎎ 단백질)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6-3. SOD(Superoxide dismutase) 활성의 측정
혈중 SOD 활성의 측정은 오야나가이(Oyanagui)의 방법(yanagui Y., Ana.l Biochem., 42, pp290-296, 1984)에 따라 정량하였다. 혈청을 인산완충용액 (potassium phosphate buffer)으로 100배 희석하여 그 중의 100㎕를 시험관에 넣고 여기에 증류수 500㎕, 시약 A(3mM hydroxylamine / 3mM hypoxanthine) 200㎕ 및 시약 B(7.5mU/ml xanthine oxidase(XOD) with 0.1mM EDTA-2Na) 200㎕를 넣고 교반하여 잘 혼합한 다음, 37℃ 수욕조에서 40 분간 정치한다. 반응액에 시약 C(300㎎ of sulfanilic acid/5.0㎎ N-1-naphthyl- ethylenediamine in 500ml of 16.7% acetic acid) 2.0㎖ 를 넣어 잘 혼합하여 실온에서 20분 동안 정치한 다음 5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 검량선에 준하여 혈청 중의 SOD 활성을 측정하였다.
투여량(㎎/㎏) 지질 과산화 히드록시라디칼 SOD
정상 - 27.5±3.19h 2.48±0.30e 4.30±0.31a
대조구 - 68.2±5.43a 6.40±0.67ab 1.97±0.08g
니가-이치고시드 F1 10 57.2±1.98b 5.93±0.60abcd 2.97±0.13e
30 54.3±1.47bc 5.54±0.47abcd 3.24±0.16cde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 10 48.5±2.43de 5.61±0.52abcd 3.10±0.14e
30 39.0±3.21g 4.97±0.50d 3.50±0.12bc
이부프로펜(Ibuprofen) 100 30.6±1.72h 2.86±0.39e 3.75±0.17b
실험예 7. 통계처리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으며, 유의성 검정은 던칸(Duncan)의 다중 검정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 및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4의 건조분말 3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4의 건조분말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4의 건조분말 5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4의 건조분말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실시예 4의 건조분말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4의 건조분말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4의 건조분말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분자 추출물 및 그의 가수분해물은 탁월한 진통소염효과를 나타내므로, 통증 및 각종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복분자로부터 분리한 니가-이치고시드 F1(niga-ichigoside F1, R=Glc) 및 그의 비당체인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23-hydroxytormentic acid, R=H)의 화학 구조식을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카라기난으로 유도된 랫트의 발 부종에 대한 니가-이치고시드 F1 및 그의 비당체인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의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6)

  1. 복분자 추출물 및 그의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관련 질환이 급성 통증, 만성 통증, 신경병적 통증, 수술후 통증, 편두통 및 관절통과 같은 통증; 신경병증, 신경손상, 뇌졸중, 과민성 장증후군, 천식 및 만성폐색성 폐질환에서의 발열; 위-십이지장궤양; 또는 염증성 장 질환인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가수분해물은 니가-이치고시드 F1(niga-ichigoside F1) 또는 23-히드록시토르멘틴산(23-hydroxytormentic acid)인 약학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등의 극성용매 또는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
  5. 염증 관련 질환의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복분자 추출물 및 그의 가수분해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6. 제 5항에 있어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음료 형태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30074142A 2003-10-23 2003-10-23 진통소염 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50038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142A KR20050038852A (ko) 2003-10-23 2003-10-23 진통소염 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142A KR20050038852A (ko) 2003-10-23 2003-10-23 진통소염 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852A true KR20050038852A (ko) 2005-04-29

Family

ID=3724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142A KR20050038852A (ko) 2003-10-23 2003-10-23 진통소염 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885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333B1 (ko) * 2005-01-19 2007-03-26 김원용 복분자 또는 산딸기의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0798639B1 (ko) * 2005-09-15 2008-01-28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복분자, 석곡 또는 고련피의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스트레스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859950B1 (ko) * 2006-12-18 2008-09-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KR101011274B1 (ko) * 2008-01-28 2011-01-27 (주)네추럴에프앤피 복분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333B1 (ko) * 2005-01-19 2007-03-26 김원용 복분자 또는 산딸기의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0798639B1 (ko) * 2005-09-15 2008-01-28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복분자, 석곡 또는 고련피의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스트레스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859950B1 (ko) * 2006-12-18 2008-09-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신경전달물질 배출을 조절하는 천연물 추출물
KR101011274B1 (ko) * 2008-01-28 2011-01-27 (주)네추럴에프앤피 복분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610B1 (ko) 유효 진세노사이드의 손실이 없는 흑삼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KR20090084439A (ko) 고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프레닐레이티드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한 당뇨성 합병증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657562B1 (ko) 캠페롤 유도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552813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7335B1 (ko) 맥아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2331317B1 (ko) 구절초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2080410B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322503B1 (ko) 맥문동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27109B1 (ko)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426921B1 (ko) 페오포바이드 a와 같은 포피린계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제재와,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038852A (ko) 진통소염 효과를 갖는 복분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527105B1 (ko) 부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통풍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167790B1 (ko) 항암성분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338172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29624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복분자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070056172A (ko) 연수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들을 함유하는당뇨병성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23462B1 (ko) 노루오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스틸빅산 및펠토보이키놀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알러지조성물
KR100697632B1 (ko) 혼합 생약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90142672A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694569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우묵사스레피 추출물 및 이로 부터분리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1357674B1 (ko) 작약 종자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50043092A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