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746B1 -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 상기 유형의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변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 상기 유형의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변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746B1
KR102447746B1 KR1020167012876A KR20167012876A KR102447746B1 KR 102447746 B1 KR102447746 B1 KR 102447746B1 KR 1020167012876 A KR1020167012876 A KR 1020167012876A KR 20167012876 A KR20167012876 A KR 20167012876A KR 102447746 B1 KR102447746 B1 KR 102447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locking
operating element
contour
automatic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4561A (ko
Inventor
루트거 라케
안드레아스 기퍼
자샤 로젠트레터
랄프 하르트람프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렘푀르더 일렉트로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5423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44774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렘푀르더 일렉트로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6007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16H2059/0282Lever handles with lock mechanisms, e.g. for allowing selection of reverse gear or releasing lever from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1Range selector apparatus using knops or discs for rotary range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106)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108)는, 조작 요소(106)와 직접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블록킹 윤곽(200)을 구비한 록킹 콤(110)과; 제1 위치에서는 블록킹 윤곽(200)의 외부에 배열되어 조작 요소(106)의 조정 운동의 허용을 위해 회전 운동하도록 록킹 콤(110)을 릴리즈시키고, 제2 위치에서는 블록킹 윤곽(200) 내에 배열되어 조작 요소(106)의 블록킹을 위해 록킹 콤(110)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블록킹 요소(112)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블록킹 요소(112)의 안내를 위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제어 윤곽(202)을 구비한 작동 링(11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 상기 유형의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변속 장치{DEVICE FOR LOCKING AN OPERATING ELEMENT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VEHICLE, METHOD FOR OPERATING SUCH A DEVICE AND SWITCHING DEVICE FOR SWITCHING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 상기 유형의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분야에서, 예를 들어 "P", "R", "N", "D"와 같은 다안정식(multi-stable) 변속 위치와, 변속 위치 P 및 N 내에 이른바 "시프트-록(Shift-lock)" 기능을 갖는 자동 변속기용 변속 작동부가 공지되어 있으며, 변속 작동부는 부분적으로, 이른바 "AutoP"-기능, 즉, 변속기 측 자동 주차 잠금 기능이 구비된다. 시프트록 기능에서 변속 레버는 블록킹되고, 브레이크가 작동된 후에 다시 릴리즈된다. 통상, 시프트록 기능은 액추에이터, 예를 들어 전자석에 의해 구현된다. AutoP에서, 변속기에 주차 잠금이 입력되는 경우, 즉시, 변속 작동부에도 P-위치가 다시 액추에이터에 의해 입력된다.
DE 10 2006 007 600 A1에는 차량 내의 전기 또는 전자 기기를 위한 로터리 액추에이터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본 발명은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와,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개선된 방법과,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개선된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차량의 자동 변속기 변속 장치에서 제어 윤곽을 갖는 복귀 링의 구성은, 복귀 링의 회전에 대해 바람직하게 배열된 블록킹 요소와 관련하여, 복귀 링과 결합된 또는 결합 가능한 변속 장치의 조작 요소의 블록킹 또는 블록킹 해제를 가능케 한다. 추가의 기능에서, 복귀 링은, 조작 요소의 AutoP-기능으로부터 주차 위치로의 복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시프트록 기능의 블록킹 요소를 위한 제어 윤곽을 통해 AutoP-기능을 위한 복귀 링의 확장에 대해 본원에서 설명되는 구상에 따라, 상기 기능들은 비용 및 포장과 관련되어 최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변속 장치의 록킹 콤의 록킹부의 결합 해제의 추가의 기능도 통합될 수 있다.
특히, 여기서 설명된 기능 구현을 위해서 단지 단일 액추에이터 또는 전기 모터만이 요구된다.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는, 조작 요소와 직접 결합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블록킹 윤곽을 구비한 록킹 콤(locking comb)과; 제1 위치에서는 블록킹 윤곽의 외부에 배열되어 조작 요소의 조정 운동의 허용을 위해 회전 운동하도록 록킹 콤을 릴리즈시키고, 제2 위치에서는 블록킹 윤곽 내에 배열되어 조작 요소의 블록킹을 위해 록킹 콤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블록킹 요소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블록킹 요소의 안내를 위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제어 윤곽을 구비한 작동 링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차량의 기기 또는 기기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차량은 승용차 또는 상용차와 같은 도로용 차량일 수 있다. 조작 요소는, 자동 변속기의 상이한 변속단을 설정하기 위해, 예를 들어 차량 운전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자동 변속기의 링 또는 변속 레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는, 예를 들어 주차를 위한 P, 주행을 위한 D, 후진 주행을 위한 R, 공회전으로의 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N 사이에서 회전 또는 시프팅을 통해 조작 요소를 조정할 수 있다. 록킹 콤은 특히 회전 노브 형태로 조작 요소의 구성 시에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작 요소의 회전 평면에 대해 평행으로 배열될 수 있다. 록킹 콤은, 조작 요소의 작동을 자동 변속기에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며, 조작 요소의 운동이 평행으로 연장되는 록킹 콤의 일정한 운동 또는 회전을 야기하도록, 기계적 연결 요소를 통해 조작 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 록킹 콤은 빗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승부를 특징으로 하며 환형 록킹 윤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환형 록킹 윤곽을 통해 조작 요소의 운동이 최적으로 자동 변속기의 변속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블록킹 윤곽은 록킹 콤의 상승부들 사이에 바람직하게 치수화된 리세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록킹 요소는 록킹 콤의 회전 운동에 대해 위치 고정되어 장치 내에, 예를 들어 하우징 또는 장치의 지지 구조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블록킹 요소는, 예를 들어 입방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블록킹 요소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입방체의 종축을 따라 운동될 수 있도록 장치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블록킹 요소는, 제2 위치에서 보다 제1 위치에서 원형 록킹 콤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록킹 콤의 회전 운동에 대해 위치 고정된 블록킹 요소의 배열은 예를 들어 장치의 하우징의 내측면에 대한 블록킹 요소의 결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작동 링은 중앙 보어를 갖는 디스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작동 링은 록킹 콤에 대해 평행으로 장치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제어 윤곽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블록킹 요소의 운동을 위해, 블록킹 요소를 따라 운동하도록 작동 링과 단일편으로 형성되고 구성될 수 있다. 블록킹 요소가 제2 위치에서 블록킹 윤곽 내로 결합되는 경우, 록킹 콤 및 조작 요소가 회전 운동에 대해 블록킹된다. 이로써, 운전자에 의한 조작을 위한 조작 요소가 블록킹될 수 있다. 블록킹 요소가 제1 위치로 운동함으로써, 록킹 콤 및 조작 요소가 다시 운동될 수 있다. 이로써, 운전자가 자동 변속기를 다시 조작 요소를 통해 조작할 수 있다.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킹 윤곽은 리세스에 의해 록킹 콤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리세스의 윤곽은 블록킹 요소의 윤곽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사각형으로서의 블록킹 요소의 실시예에서, 이에 상응하여 리세스는 직각의 U자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리세스의 크기가 블록킹 요소의 크기보다 약간 큼으로써, 블록킹 요소가 틸팅 없이 리세스 내로 진입 또는 다시 진출 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블록킹 요소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특히 빠르고 거의 틸팅 위험 없이 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윤곽은 작동 링 내에서 연장되는 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홈은, 제1 홈 섹션에서는 작동 링의 내측 윤곽보다 외측 윤곽에 더 가깝게 접근하며, 예를 들어 제2 홈 섹션에서는 작동 링의 내측 윤곽 방향으로 만곡된다. 이 경우에, 제1 홈 섹션은 블록킹 요소가 제1 위치에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홈 섹션은 블록킹 요소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안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홈은 작동 링의 링 형태의 연장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홈은 작동 링을 완전히 관통하거나 또는 단지 만입부 형태로, 블록킹 요소에 대면한 작동 링의 표면으로부터 제거 처리될 수 있다. 홈으로서 형성된 제어 윤곽은 간단하게 제조되고 특히 관리가 용이하다.
예를 들어, 블록킹 요소가 제어 윤곽에 대면한 면에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장부는, 블록킹 요소의 안내를 위해 제어 윤곽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장부는 블록킹 요소와 단일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를 이용하여, 블록킹 요소가 특히 정밀하고 위치 정확하게 적은 에너지 소모로 운동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와 제어 윤곽의 형상 결합식 연결 시에, 블록킹 요소가 제어 윤곽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빠져나오는 것이 간단하게 방지될 수 있다.
록킹 콤이 작동 링과 조작 요소 사이에 배열되며, 블록킹 요소가 록킹 콤 및 작동 링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며, 블록킹 요소가 록킹 콤 및 작동 링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운동하기 위해 형성되도록, 상기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작동 링과 조작 요소 사이에 록킹 콤의 샌드위치 방식의 배열에 의해, 록킹 콤은, 특별히 기능적이고 구성 공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작동 링의 회전을 조작 요소의 블록킹 또는 블록킹 해제로 전환시키는 과제를 충족시킬 수 있다. 록킹 콤에 대한 블록킹 요소의 반경 방향 배열은, 록킹 콤의 고정 또는 릴리즈가 록킹 콤의 회전 운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블록킹 요소를 통해 수행되는 방식으로 특히 기능적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제1 위치에서 록킹 콤의 록킹부, 예를 들어 록킹 윤곽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록킹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록킹 콤의 록킹부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록킹 핀의 협동에 의해 록킹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조작 요소는 록킹 핀의 극복을 통해서만 소정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운동될 수 있다. 록킹 핀이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 록킹 콤은 예를 들어 운전자를 통한 조작 요소의 작동 시에, 단지 록킹 핀을 통해서만 멀리 운동될 수 있다. 또한, 록킹 핀은 제2 위치에서 자유 작동되는 회전 운동을 위해 록킹 콤을 릴리즈하도록, 즉, 록킹 기능을 중단하도록 구성된다. 제2 위치에서, 록킹 핀은 록킹 콤의 록킹 윤곽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록킹 콤은 정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작동 링은 제어 캠 및 노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 캠은, 작동 링의 회전 운동 시에 록킹 핀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노즈는, 작동 링의 회전 운동 시에 정지 요소를 연동시켜서, 록킹 기능성의 우회 하에, 록킹을 극복할 필요 없이 주차 위치로 조작 요소를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위치로의 록킹 핀의 운동은 록킹 핀에 부하를 가하는 스프링 요소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수행된다. 정지 요소는 록킹 콤의 상승부들 사이에 배열될 수 있고 록킹 콤의 회전 평면에 대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정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 링의 제어 캠은 라운딩된 돌기 형태로 작동 링의 외측 윤곽에 형성될 수 있는 반면, 작동 링의 노즈는 작동 링의 내측 윤곽에 형성될 수 있다. 노즈는 특히 정지 요소의 정지면에 대한 정지 및 작동 링과 록킹 콤 사이의 결합점의 형성을 위한 대응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캠 및 노즈는 작동 링과 단일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이른바 AutoP-기능에서 조작 요소의 복귀와, 작동 링의 회전 방향의 단순한 변경을 통한 시프트록 기능의 바람직한 조합을 가능케 한다. 조작 요소의 복귀는 회전 방향으로 작동 링의 회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반면, 시프트록 기능은 회전 방향에 반대로 향한 회전 방향으로 작동 링의 복귀 회전을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특히, 제어 윤곽은 작동 링 내의 제어 캠의 영역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AutoP-기능과 시프트록의 조합이 특히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는 액추에이터와 결합된 결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요소는, 작동 링의 회전 운동의 생성을 위해 액추에이터의 토크를 작동 링 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요소는, 예를 들어 평행한 평면 내에서 작동 링에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고 작동 링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치형 휠로서 구성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전기 모터의 운동이 제1 회전 방향으로 작동 링의 제1 회전 운동으로, 그리고 작동 링의 제2 회전이 제1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로 향한 제2 회전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변속 장치는, 자동 변속기의 주차 위치 또는 공회전 위치와, 자동 변속기의 하나 이상의 주행 위치 사이에서 조정되도록 구성된 조작 요소와, 상기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의 록킹 콤이 조작 요소와 직접 결합된다.
조작 요소는,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예를 들어 회전 노브로서 실시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운전자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에서 상응하는 변속단을 설정하기 위해, 두 개의 반대 회전 방향으로, 주차 위치 "P", 주행 위치 "D", 후진 주행 위치 "R", 공회전 위치 "N" 등으로 조작 요소를 회전할 수 있다. 조작 요소는, 작동 링 또는 작동 링의 위치가 조작 요소의 회전 가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갖도록 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조작 요소가 예를 들어 "P" 위치 또는 "N" 위치에 있을 경우, 특히, 차량의 브레이크의 비활성화 시에,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작동 링을 통해 조작 요소의 블록킹이 구현될 수 있다.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의 활성화에 의해, 작동 링이 조작 요소의 블록킹 해제를 야기하고, 운전자는 조작 요소를 예를 들어 "P" 위치로부터 "D" 위치로 회전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요소는 장치 상에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형상 결합식 또한 압입식 또는 재료 결합식 연결을 통해 록킹 콤 또는 장치의 다른 연결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의 블록킹을 위한 장치의 작동을 위한 방법에서, 상기 장치는, 조작 요소와 직접 결합 가능하거나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블록킹 윤곽을 구비한 록킹 콤과; 제1 위치에서는 블록킹 윤곽의 외부에 배열되어 조작 요소의 조정 운동의 허용을 위해 회전 운동하도록 록킹 콤을 릴리즈시키고, 제2 위치에서는 블록킹 윤곽 내에 배열되어 조작 요소의 블록킹을 위해 록킹 콤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블록킹 요소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블록킹 요소의 안내를 위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제어 윤곽을 구비한 작동 링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조작 요소의 블록킹을 위해 록킹 콤이 고정되도록, 제어 윤곽을 이용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운동하는 방식으로 작동 링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제어 윤곽을 이용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블록킹 요소가 운동시켜서 조작 요소의 조정 운동의 허용을 위해 회전 운동하도록 록킹 콤을 릴리즈시키는 작동 링의 복귀 회전 단계를 포함한다.
회전 및 복귀 회전의 단계는 작동 링의 각각의 회전 운동 시에 서로 반대로 향한 회전 방향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상술된 장치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변속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변속 장치의 사시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 해제된 록킹 핀 및 블록킹 해제된 조작 요소를 갖는 도 2의 변속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된 록킹 핀 및 블로킹 해제된 조작 요소를 갖는 도 2의 변속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된 록킹 핀 및 블록킹된 조작 요소를 갖는 도 2의 변속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해제된 조작 요소를 갖는 도 2의 변속 장치의 사시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킹된 조작 요소를 갖는 도 2의 변속 장치의 사시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의 작동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 설명에서, 여러 도면에 도시되고 유사하게 작용하는 요소들을 위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며, 상기 요소들의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 장치(102)를 갖는 차량(100)을 개략도로 도시한다. 변속 장치(102)는 차량(100)의 자동 변속기(104)의 변속을 위해 구성되며, 조작 요소(106) 및 조작 요소(106)의 블록킹을 위한 장치(108)로부터 조립된다. 장치(108)는 조작 요소(106)와 결합된다.
조작 요소(106)의 작동을 통해, 운전자는 자동 변속기(104)의 원하는 변속 상태, 예를 들어 주차를 위한 P, 주행을 위한 D, 후진 주행을 위한 R 및 변속기(104)의 중립 위치를 위한 N 또는 0을 설정할 수 있다. 장치(108)를 통해, 예를 들어, 운전자가 변속기 위치(P, N)에서 차량(100)의 브레이크를 활성화하지 않았을 경우, 조작 요소(106)가 운전자에 의한 조작을 위해 블록킹될 수 있다.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발로 작동하는 즉시, 장치(108)는 조작 요소(106)를 다시 릴리즈하고 운전자는 원하는 변속단을 설정할 수 있다. 변속 장치(102)는 예를 들어 변속 장치(102)와 결합된 차량(100)의 제어기를 통해 브레이크의 실제 작동 또는 비작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장치(108)는, 조작 요소(106)와 직접 결합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도시되지 않은) 블록킹 윤곽을 구비한 록킹 콤(110)과, 블록킹 요소(112)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블록킹 요소(112)의 안내를 위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제어 윤곽을 구비한 작동 링(114)을 포함한다. 블록킹 요소(112)는, 제1 위치에서 록킹 콤(110)의 외부에 배열되고 제2 위치에서 록킹 콤(110)의 블록킹 윤곽 내에 배열되어, 록킹 콤(110)의 수행되는 고정을 통해 조작 요소(106)를 블록킹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도 1의 변속 장치(102)의 일 실시예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개선된 개관성을 위해 변속 장치(102)가 도 2에서 분해되어 도시된다. 장치(108)와 결합된 조작 요소(106)는, 변속 장치(102)와 결합된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상이한 변속단을 설정하기 위해, 변속 장치(102)가 설치된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변속 장치(102)의 실시예에서, 조작 요소(106)는 회전 노브로서 구성되며 이에 상응하여 원통 형태를 포함한다. 회전 노브로서의 구성에 상응하게, 변속 장치(102)의 변속 과정은 조작 요소(106)의 회전을 통해 실행된다. 이를 위해, 조작 요소(106)의 원통형 벽의 섹션이 개선된 파지를 위해 홈이 형성된 표면을 포함한다.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08)의 목적은, 시프트록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즉, 차량의 변속기가 주차 위치에 있거나 공회전에 있을 경우, 차량 브레이크의 비활성화 시에, 조작 요소(106)를 블록킹하고 차량 브레이크의 활성화에 의해 블록킹을 해제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변속 레버 또는 조작 요소(106)가 제1 변속 위치(P, N) 외의 다른 위치에서 블록킹될 수 있다.
도 2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콤(110)은 조작 요소(106)와 작동 링(114) 사이에 배열된다. 조작 요소(106), 록킹 콤(110) 및 작동 링(144)은 평행한 평면 내에 배열된다. 록킹 콤은(110)은 조작 요소(106)와 직접 결합되며, 원통 형태 또는 링 형태를 포함하며, 조작 요소(106)보다 주연부에서 약간 작다. 록킹 콤(110)은 장치(108)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2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록킹 콤(110)의 록킹 윤곽은 조작 요소(106)에 변속단의 정확한 설정을 가능케 한다.
여기서, 블록킹 요소(112)는 긴 입방체로 구성되며 그의 종축과 관련하여 록킹 콤(110)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며, 회전 노브(106)의 블록킹 윤곽(200) 쪽으로 배향된다. 블록킹 요소(112)는, 제1 위치에서는 블록킹 윤곽(200) 외부에 배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록킹 콤(110)이 방해받지 않고 두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블록킹 요소(112)는, 록킹 콤(110)을 고정시키기 위해, 제2 위치에서는 블록킹 윤곽(200) 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블록킹 요소(200)는 록킹 콤(110)의 회전 운동에 대해 위치 고정되어 장치(108) 내에 배열된다. 즉, 블록킹 요소는 록킹 콤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운동될 수 있으나, 록킹 콤(110)의 주연부를 따라서는 운동될 수 없다. 블록킹 윤곽(200)은 요철 유형의 리세스를 통해 록킹 콤(110) 내에 형성되며, 리세스는 작동 링(114) 및 블록킹 윤곽(112) 쪽으로 배향된다. 이러한 형상에서, 블록킹 윤곽(200)이 입방체형 블록킹 요소(112)의 수용을 위해 최적으로 적합하다. 블록킹 요소(112)는 틸팅 없이 블록킹 윤곽(200) 내로 진입 운동 그리고 다시 블록킹 윤곽으로부터 진출 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킹 윤곽(200)을 형성하는 리세스는 블록킹 요소(112)보다 록킹 콤(110) 내에서 대략 더 크게 치수화된다.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블록킹 요소(200)의 운동은 작동 링(114) 내에 배열된 제어 윤곽(202)에 의해 구현된다. 마찬가지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작동 링(114)은 록킹 콤(110)에 인접하고 록킹 콤(110)의 평면에 대해 평행인 평면 내에 배열된다. 도 2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윤곽(202)은 작동 링 내에서 연장되는 홈에 의해 형성된다. 홈은 록킹 콤(110) 쪽으로 배향된 작동 링(114)의 표면으로부터 제거 처리되고 그 깊이 내에서, 표면에 대향하는 작동 링(114)의 추가의 표면 또는 하부면까지 연장된다. 대안적으로, 홈은 작동 링의 표면 내에 만입부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작동 링(114)의 하부면은 폐쇄 유지된다. 도 2의 도면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윤곽-홈(202)은 제1 홈 섹션(204) 및 제2 홈 섹션(206)으로 이루어진다.
제1 홈 섹션(204)은 제2 홈 섹션(206)보다 더 길고 작동 링(114)의 내측 윤곽(210)보다 외측 윤곽(208)에 더 가깝게 연장되고, 실제로 작동 링(114)의 외측 윤곽(206)에 대해 평행으로 연장된다. 더 짧은 제2 홈 섹션(206)에서 제어 윤곽(202)은 만곡점(212)으로부터 직선으로 내측 윤곽(210) 방향으로 만곡된다. 작동 링(114)의 외측 주변부(208)에서의 특성적인 진행에 상응하여, 제1 홈 섹션(204)은, 작동 링(114)의 회전 또는 회전 운동(214) 시에, 회전 운동(214)에 대해 위치 고정된 블록킹 요소(112)가 제1 위치에, 즉, 블록킹 윤곽(200)의 외부에서 안내되도록 형성된다. 작동 링(114)의 내측 주변부(210) 방향으로의 특성적인 진행에 의해, 제2 홈 섹션(206)은, 작동 링(114)의 회전(214) 시에, 블록킹 요소(112)의 제2 위치가 형성되고 록킹 콤(112)을 고정시키도록, 록킹 콤(110)의 중심 방향으로, 그리고 블록킹 요소(112)에 대향하여 배열된 블록킹 윤곽(200) 내로 블록킹 요소(112)를 진입 안내시키기에 적합하다. 회전 운동(214) 및 회전 방향은 도 2의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다.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블록킹 요소(112)의 바람직하고 확실한 안내를 위해, 블록킹 요소(112)는, 제어 윤곽(202)에 대면한 블록킹 요소(112)의 면을 갖는 작동 링(114)에 배열되는 연장부(216)를 포함한다. 연장부(216)는 블록킹 요소와 단일편으로 형성되고, 제어 윤곽(202)에 의해 예를 들어 형상 결합을 통해 결합되는데 적합하다.
도 2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윤곽(202)은, 라운딩된 돌기로서 형성된 작동 링(114)의 제어 캠(218)을 형성하는 작동 링(114)의 영역 내에 배열된다. 제어 캠(218)의 기능 및 작동 링(114)의 내측 윤곽(210)에 형성된 노즈(220)의 기능은 AutoP-기능과 관련되어 이하의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로 설명된다.
도 2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08)는 그 하부 단부에 결합 요소(222)를 포함하며, 결합 요소는 작동 링(114)의 회전 운동(214)을 생성하기 위해, 액추에이터의 토크를 조작 요소(106)의 운동을 위해 작동 링(114) 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결합 요소(222)는, 주 측면이 작동 링(114)에 고정되어 배열되는 치형 휠로서 구성된다. 상기 주 측면에 대향하는 자유 주 측면에서, 결합 요소(222)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전기 모터의 토크는 결합 요소(222)를 통해 작동 링(114) 상으로 그리고 최종적으로 조작 요소(106) 상으로 전달된다.
이하의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로, 본 발명의 주 특징, 시프트록 기능과 AutoP-기능의 바람직한 기능 통합이 명료하게 설명된다.
Auto-P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록킹 핀(300)은 스프링의 힘에 의해 록킹 콤(1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조작 요소(106)를 회전시키면, 록킹 콤(110)의 윤곽에 걸리면서 P, R, N 또는 D에 따른 위치 설정을 돕는다. Auto-P 기능이 작동할 경우, 작동 링(114)이 회전하면 록킹 핀(300)이 작동 링(114)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나면서, 록킹 핀(300)과 록킹 콤(110)의 결합이 해제되어, 걸리지 않고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Auto-P 기능에 따라 조작 요소(106)가 P위치로 회전된 후, 작동 링(114)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록킹 핀(300)과 록킹 콤(110)이 다시 결합되어, 걸리면서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블록킹 요소(112)는 시프트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요소이며, 작동 링(114)의 회전에 따라 블록킹 요소(112)의 위치가 바뀌며 시프트록 기능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다. P 또는 N 위치에서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경우, 시프트록 기능이 활성화되어 블록킹 요소(112)가 조작 요소(106)의 회전을 막게 된다. P 또는 N 위치에서 브레이크를 밟은 경우에만, 시프트록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조작 요소(106)의 회전이 블록킹 요소(112)에 의해 막히지 않게 된다.
도 3a는 도 2의 변속 장치(102)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변속 장치(102)의 실시예에서 두 개의 기능 AutoP 및 시프트록이 통합된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AutoP에서, 변속 레버가 액추에이터에 의해 위치 D, R 또는 N 등의 하나로부터 간접적으로 위치 P로 복귀 회전되는 방식으로, 차량의 자동 변속기를 위한 변속 노브의 위치가 자동 변속기의 자동 주차 잠금부와 동조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변속 장치(102)에는 이미 설명된 요소들에 부가적으로, 추가로 특히 스프링 부하되는 록킹 핀(300)이 장착된다.
도 3a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부하된 록킹 핀(300)은 록킹 콤(110)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며, 직경에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위치에서 록킹 콤(110)을 관통 결합한다. 록킹 핀(300)은 위치 고정되어 변속 장치(102)의 하우징 내에 배열되며, 록킹 핀은, 록킹 핀을 록킹 윤곽 내에 고정하기 위해, 제1 위치에서 록킹 콤(110)의 록킹 윤곽 내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록킹 콤(110)은 단지 록킹 핀(300)을 통해서만, 즉, 어렵게 운동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록킹 핀(300)은, 유연하고 자유로운 회전 운동을 위해 록킹 콤(110)을 릴리즈하도록, 록킹 윤곽으로부터 진출 운동한다.
록킹 핀(300)은 도 3a의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장치(108)의 스프링 요소와 연결되며, 스프링 요소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록킹 핀(112)을 제1 위치에 보유하거나 록킹 핀을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미 언급된 제어 캠(218)은 작동 링(114)의 나머지 영역에서 보다 더 큰, 작동 링(114)의 반경 방향 확장부를 통해 형성되며, 제어 캠은, 작동 링(114)의 회전에 반응하여, 록킹 핀(300)을 탄성력에 대항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a에 도시된 기능 상태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작동 링(114)의 회전(302)은 록킹 핀(300) 및 록킹 콤(110)의 결합 해제를 위해 수행된다. 도 3a의 복귀 위치의 상태도는, 제어 캠(218)은 작동 링(114)의 회전 시에 록킹 핀(300)의 연장부를 통해 록킹 핀(300)을 수용하고, 록킹 콤(110)이 회전하도록 릴리즈되는 제2 위치로 제어 캠이 운동한 것을 도시한다.
AutoP-기능에 따르면, 도 3a에 도시된 복귀 위치에서, 제어 캠(218)에 대해 오프셋되어 내측에서 작동 링(114)에 배열된 노즈(도시되지 않음)를 통해서, 록킹 콤(110)의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은) 정지 요소가 회전에 연동된다.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록킹부와 직접 연결된 변속 레버 또는 회전 노브(106)는, AutoP에서, 록킹부(110)를 포함하여, 결합 요소(222)를 통해 작동 링(114)과 연결된 전기 모터에 의해 간접적으로 복귀 회전되고, 이로써 변속기의 주차 잠금과 동조된다.
AutoP-기능에서 작동 링(114)의 회전(302) 시에 록킹 콤(110)이 연동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킹 핀 또는 블록킹 요소(112)는 도 3a에 도시된 기능 상태에서 비활성화되는데, 즉, 블록킹 윤곽(200)의 외부에 놓인다.
이하 도 3b 및 도 3c를 참조로, 변속 장치(102)의 시프트록 기능이 정확히 설명된다.
도 3b에는 다른 사시도를 참조하여, 도 3a의 변속 장치(102)의 중간 위치가 도시된다. 화살표로 표시된 작동 링(114)의 회전(304)의 제1 섹션이 도 3a에 도시된 반대 방향으로 수행된다.
도 3b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캠(218)은, 탄성력에 의해 다시 결합되고 록킹 콤(110)을 고정시키는 록킹 핀(300)을 릴리즈한다. 블록킹 요소(112)는 회전(304)의 제1 섹션에서 제어 윤곽(202)의 제1 홈 섹션(204) 내에서 안내된다. 이에 상응하여, 블록킹 요소(112)는 제1 위치에, 즉, 블록킹 윤곽(200)의 외부에 놓이고 이로써 비활성이다. P 또는 N이 변속 노브(106)에 설정되지 않았거나, 또는 변속 노브(106)가 P 또는 N에 설정된 동안, 차량 브레이크가 활성일 경우, 변속 장치(102)는 도 3b에 도시된 시프트록 기능의 변속 상태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프트록은 비활성이고 운전자는 조작 요소(106)를 작동할 수 있다.
도 3c는 회전(304)의 종료 시에 변속 장치(102)의 시프트록 기능의 블록킹 위치의 상태도를 다른 사시도로 도시한다. 블록킹 요소(112)는 제어 윤곽(202)의 제2 홈 섹션(206)에서 안내된다. 이에 상응하여, 블록킹 요소(112)는 제2 위치에 위치하고 블록킹 윤곽(200) 내로 결합된다. 이로써, 블록킹 요소(112)는 활성화되고 록킹 콤(110)을 고정시킨다. 도 3c에 도시된 변속 장치(102)의 변속 상태에서 시프트록은 활성이다; 조작 요소(106)는 다른 위치로 운동될 수 없는데, 예를 들어, 그 이유는, 변속기가 주차 위치 또는 중립 위치에 있고 차량 브레이크가 비활성이기 때문이다. 록킹 핀(300)은 여전히 결합되어 있다.
운전자가 도 3c에 도시된 변속 장치(102)의 상태로부터 차량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경우, 결합 요소(222)를 통해 작동 링(114)과 연결된 (도시되지 않은) 액추에이터는, 블록킹 요소(112)의 안내가 다시 제1 홈 섹션(204)에 의해 수행될 때까지,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작동 링(114)의 복귀 회전(306)을 유도한다. 따라서, 블록킹 요소(112)는 다시 블록킹 윤곽(200)으로부터 진출 운동을 하고, 회전 운동을 위해 록킹 콤(110)을 릴리즈한다. 운전자는 이제 조작 요소(106)를 조작할 수 있고 원하는 변속단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c를 참조로 도시된 기능 통합은 추가의 액추에이터를 요구할 필요 없이, 시프트록 기능을 갖는 변속 작동을 가능케 한다. 이를 위해, AutoP-기능 내에 이미 존재하는 복귀 링(114)에는 추가의 제어 윤곽(202)이 제공된다. 이러한 제어 윤곽(202)을 통해, 변속 장치(102)의 하우징 내에 위치 고정되어 배열된 블록킹 요소(112)가 운동된다. 이로써, 변속 레버(106)는 위치(P, N) 내에 록킹되거나 록킹 해제된다. 이 경우에, 제공된 액추에이터는 복귀 링(114)의 회전을 수행한다.
요약하여, 다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도시된 P 및 N에서 시프트록 기능의 기능 흐름이 설명된다. AutoP에서, 먼저 록킹 핀(300) 및 록킹부(110)의 결합 해제가 수행된다. 복귀 링(114)의 계속 회전(302) 시에, 록킹부(110)가 결합점에 연동되고 P로 복귀 회전된다. 변속 레버(106)가 P 위치에 도달한 후에, 복귀 링(114)이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304)으로 출발 위치로 복귀된다. 이 경우에, 록킹 핀(300)은 다시 록킹부(110)와 결합된다.
"시프트록 입력"이 요구될 경우, 복귀 링(114)이 AutoP 방향의 반대 회전 방향(304)으로 계속 회전됨으로써, 제어 윤곽(202)을 통해 블록킹 요소(112)가 운동된다. 이로써, 변속 레버 또는 회전 노브(106)가 블록킹된다.
"시프트록 입력 해제"가 요구될 경우, 복귀 링(114)은 회전(306)으로 출발 위치로 복귀 회전된다. 제어 윤곽(202)을 통해 블록킹 요소(112)가 운동하고 변속 레버(106)를 록킹 해제시킨다.
"시프트록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는,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경우에 해당하며, 블록킹 요소(112)는 작동 링(114)의 제어 윤곽(202)의 제2 홈 섹션(206)에 의해 제2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시프트록 입력 해제"가 요구되는 경우는, 브레이크를 밟은 경우에 해당하며, 블록킹 요소(112)는 작동 링(114)의 제어 윤곽(202)의 제1 홈 섹션(204)에 의해 제1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결합 해제된 록킹부(110) 및 블록킹 요소(112)를 이용하는 시프트록 기능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변속기(102)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며, 록킹 해제된 조작 요소(106)를 갖는 변속 장치(102)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변속 상태에서, 위치 고정된 블록킹 요소(112)가 제어 윤곽(202)의 제1 홈 섹션(204)에서 안내된다. 제1 홈 섹션(204)은 작동 링(114)의 외측 윤곽(208)에 가깝게 연장되며 블록킹 요소(112)를 록킹 콤(110)으로부터의 간격으로 유지한다. 이로써, 블록킹 요소(112)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록킹 콤(110)의 블록킹 윤곽(200) 내로 결합되지 않는다. 조작 요소(106)는 록킹 해제되고 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며, 록킹된 조작 요소(106)를 갖는 변속 장치(102)를 다른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변속 상태에서, 위치 고정된 블록킹 요소(112)가 제어 윤곽(202)의 제2 홈 섹션(206)에서 안내된다. 제2 홈 섹션(206)은 작동 링(114)의 내측 윤곽(210) 방향으로 만곡점(212)에서 제어 윤곽(202)의 만곡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윤곽의 진행에 상응하여, 제2 홈 섹션(206)은 블록킹 요소(112)를 원형의 록킹 콤(110)의 중심 방향으로 당긴다. 도 5에 도시된 변속 장치(102)의 시프트록 기능의 기능 상태에서, 블록킹 요소(112)는 제2 위치 내에 위치하고, 록킹 콤(110)의 블록킹 윤곽(200) 내로 결합하여 블록킹 윤곽을 고정시킨다. 조작 요소(106)는 록킹되어 조정될 수 없다.
도 6은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의 작동을 위한 방법(600)의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방법(600)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장치는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장치일 수 있으며, 이 장치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와 결합되거나 결합 가능하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블록킹 윤곽을 구비한 록킹 콤과, 조작 요소의 록킹 또는 록킹 해제를 위한 블록킹 요소와, 블록킹 요소의 안내를 위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제어 윤곽을 구비한 작동 링으로부터 조립된다.
방법은 장치와 결합된 차량의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단계(602)에서, 제어 윤곽을 이용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블록킹 요소를 운동시키며, 록킹 콤을 고정시키며, 조작 요소를 록킹시키기 위해, 작동 링은 장치와 결합된 액추에이터를 통해 사전 결정된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조작 요소는 조작자에 의해 더 이상 운동될 수 없다. 단계(604)에서, 제어 윤곽을 이용하여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블록킹 요소를 운동시키며, 록킹 콤과 결합된 조작 요소의 회전 운동을 위해 록킹 콤을 릴리즈하기 위해, 작동 링은 제1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써, 조작 요소는 블록킹 해제되고 조작자에 의해 운동될 수 있다.
단계(602, 604)를 통해, "시프트록 입력" 및 "시프트록 입력 해제"에 대한 할당이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602, 604) 이전에 실행될 수 있는 다른 선택적인 단계에서, AutoP-기능성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록킹 콤의 록킹이 극복될 필요 없이, 록킹 콤 내로의 록킹 핀의 결합을 블록킹하고, 이어서, 록킹 콤을 블록킹하기 위해, 먼저 작동 링이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조작 요소가 주차 위치에 도달하도록 회전된다. 이어서, 록킹 핀이 다시 록킹 콤과 결합되도록, 작동 링이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운전자는 조작 요소를 다시, 록킹 콤의 록킹을 통해 작동할 수 있다. 시프트록의 입력을 위해, 단계(602)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 조작 요소가 이미 조작 요소의 블록킹을 위한 장치와 결합되어 도시되는 경우, 조작 요소의 블록킹을 위한 장치가 조작 요소 없이 제공될 수 있다. 조작 요소는 예를 들어 후속되는 시점에서 장치에 조립될 수 있다.
기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술된 요소가 구성될 경우, 요소는 상기 기능이 가능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배열된다.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으로 선택되었다. 상이한 실시예가 완전히 또는 각각의 특징들과 관련되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추가의 실시예의 특징을 통해 보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단계는 반복되고, 설명된 순서와는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가 제1 특징과 제2 특징 사이에 "및/또는"의 접속어를 포함할 경우, 이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 형태가 제1 특징 뿐만 아니라 제2 특징도, 그리고 다른 일 실시에에 따른 실시 형태가 단지 제1 특징만을 또는 단지 제2 특징만을 포함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0: 차량
102: 변속 장치
104: 자동 변속기
106: 조작 요소
108: 조작 요소의 블록킹을 위한 장치
110: 록킹 콤
112: 블록킹 요소
114: 작동 링
200: 블록킹 윤곽
202: 제어 윤곽
204: 제1 홈 섹션
206: 제2 홈 섹션
208: 작동 링의 외측 윤곽
210: 작동 링의 내측 윤곽
212: 만곡점
214: 회전 운동
216: 연장부
218: 제어 캠
220: 노즈
222: 결합 요소
300: 록킹 핀
302: 록킹 핀의 결합 해제를 위한 회전
304: 조작 요소의 블록킹을 위한 작동 링의 회전
306: 조작 요소의 블록킹 해제를 위한 작동 링의 복귀 회전
600: 조작 요소의 블록킹을 위한 장치의 작동 방법
602: 작동 링의 회전 단계
604: 작동 링의 복귀 회전 단계

Claims (11)

  1. 차량(100)의 자동 변속기(104)의 조작 요소(106)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108)이며, 상기 장치는,
    조작 요소(106)와 직접 결합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블록킹 윤곽(200) 및 빗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승부를 갖춘 환형 록킹 윤곽을 구비한 록킹 콤(110)과,
    제1 위치에서는 블록킹 윤곽(200)의 외부에 배열되어 조작 요소(106)의 조정 운동의 허용을 위해 회전 운동하도록 록킹 콤(110)을 릴리즈시키고, 제2 위치에서는 블록킹 윤곽(200) 내에 배열되어 조작 요소(106)의 블록킹을 위해 록킹 콤(110)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블록킹 요소(112)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블록킹 요소(112)의 안내를 위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제어 윤곽(202)을 구비한 작동 링(1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108).
  2. 제1항에 있어서, 블록킹 윤곽(200)은 록킹 콤(110) 내의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며, 리세스의 윤곽은 블록킹 요소(112)의 윤곽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108).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어 윤곽(202)은 작동 링(114) 내에서 연장되는 홈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홈은, 제1 홈 섹션(204)에서는 작동 링(114)의 내측 윤곽(210)보다 외측 윤곽(208)에 더 가깝게 연장되며, 제2 홈 섹션(206)에서는 작동 링(114)의 내측 윤곽(210)에 접근하며, 제1 홈 섹션(204)은 블록킹 요소(112)가 제1 위치에서 안내되도록 구성되며, 제2 홈 섹션(206)은 블록킹 요소(112)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안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108).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블록킹 요소(112)는 제어 윤곽(202)에 대면한 면에 연장부(216)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블록킹 요소(112)의 안내를 위해 제어 윤곽(202)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108).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록킹 콤(110)은 작동 링(114)과 조작 요소(106) 사이에 배열되며, 블록킹 요소(112)는 록킹 콤(110) 및 작동 링(114)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배열되며, 블록킹 요소는 록킹 콤(110) 및 작동 링(114)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108).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장치는(108), 제1 위치에서 록킹 콤(110)의 록킹 윤곽 내로 결합되고 제2 위치에서 회전 운동하도록 록킹 콤(110)을 릴리즈하기 위해 구성된 록킹 핀(300)을 더 포함하며, 록킹 콤(110)은 정지 요소를 더 포함하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작동 링(114)은 제어 캠(218) 및 노즈(220)를 더 포함하며, 제어 캠(218)은, 작동 링(114)의 회전 운동 시에 록킹 핀(300)을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운동시키도록 구성되며, 노즈(220)는, 작동 링(114)의 회전 운동 시에 정지 요소를 연동시켜서 조작 요소(106)의 조정을 위해 록킹 콤(110)을 주차 위치 내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108).
  7. 제6항에 있어서, 제어 윤곽(202)은 작동 링(114) 내의 제어 캠(218)의 영역 내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108).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장치(108)는 작동 링(114)을 액추에이터와 결합시키는 결합 요소(222)를 더 포함하며, 결합 요소는, 작동 링(114)의 회전 운동을 생성하기 위해, 액추에이터의 토크를 작동 링(114) 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108).
  9. 차량(100)의 자동 변속기(104)의 변속을 위한 변속 장치(102)이며, 상기 변속 장치(102)는,
    자동 변속기(104)의 주차 위치 또는 공회전 위치와 자동 변속기(104)의 하나 이상의 주행 위치 사이에서 조정되도록 구성된 조작 요소(106)와,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작 요소(106)의 블록킹을 위한 장치(108)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108)의 록킹 콤(110)은 조작 요소(106)와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변속 장치(102).
  10. 차량(100)의 자동 변속기(104)의 조작 요소(106)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108)의 작동 방법(600)이며, 상기 장치(108)는, 조작 요소(106)와 직접 결합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블록킹 윤곽(200) 및 빗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상승부를 갖춘 환형 록킹 윤곽을 구비한 록킹 콤(110)과; 제1 위치에서는 블록킹 윤곽(200)의 외부에 배열되어 조작 요소(106)의 조정 운동의 허용을 위해 회전 운동하도록 록킹 콤(110)을 릴리즈시키고, 제2 위치에서는 블록킹 윤곽(200) 내에 배열되어 조작 요소(106)의 블록킹을 위해 록킹 콤(110)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블록킹 요소(112)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블록킹 요소(112)의 안내를 위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제어 윤곽(202)을 구비한 작동 링(114)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600)은,
    조작 요소(106)의 블록킹을 위해 록킹 콤(110)이 고정되도록, 제어 윤곽(202)을 이용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운동하는 방식으로 작동 링(114)을 회전시키는 단계(602)를 포함하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의 작동 방법(600).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600)은, 제어 윤곽(202)을 이용하여 블로킹 요소(112)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운동시켜서, 조작 요소(106)의 조정 운동의 허용을 위해 회전 운동하도록 록킹 콤(110)을 릴리즈시키는, 작동 링(114)의 복귀 회전 단계(604)를 포함하는,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의 작동 방법(600).
KR1020167012876A 2013-10-17 2014-09-17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 상기 유형의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변속 장치 KR102447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310221039 DE102013221039A1 (de) 2013-10-17 2013-10-17 Vorrichtung zum Sperren eines Bedienelements eines Automatikgetriebes eines Fahrzeugs,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und Schaltvorrichtung zum Schalten eines Automatikgetriebes eines Fahrzeugs
DE102013221039.6 2013-10-17
PCT/EP2014/069762 WO2015055369A1 (de) 2013-10-17 2014-09-17 Vorrichtung zum sperren eines bedienelements eines automatikgetriebes eines fahrzeugs,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und schaltvorrichtung zum schalten eines automatikgetriebes eines 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561A KR20160074561A (ko) 2016-06-28
KR102447746B1 true KR102447746B1 (ko) 2022-09-28

Family

ID=51542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876A KR102447746B1 (ko) 2013-10-17 2014-09-17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 상기 유형의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변속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53878B2 (ko)
EP (1) EP3058247B1 (ko)
JP (1) JP6461123B2 (ko)
KR (1) KR102447746B1 (ko)
CN (1) CN105637263B (ko)
DE (1) DE102013221039A1 (ko)
ES (1) ES2638402T3 (ko)
WO (1) WO20150553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21041A1 (de) * 2013-10-17 2015-04-23 Lemförder Electronic GmbH 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s Bedienelements eines Automatikgetriebes eines Fahrzeugs in eine Parkposition,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und Schaltvorrichtung zum Schalten eines Automatikgetriebes eines Fahrzeugs
JP6379014B2 (ja) 2014-11-13 2018-08-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JP2017114169A (ja) * 2015-12-21 2017-06-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EP3225884A1 (en) * 2016-03-31 2017-10-04 Fico Triad, S.A. Rotary shifter device
JP6735227B2 (ja) * 2016-12-26 2020-08-0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JP6689739B2 (ja) 2016-12-26 2020-04-2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KR102019644B1 (ko) * 2016-12-29 2019-09-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기 제어 장치
KR20190119125A (ko) * 2017-03-10 2019-10-21 쿠스터 노스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자동 주차 복귀 회전 및 레버식 시프터
DE102017204178A1 (de) * 2017-03-14 2018-09-2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sicherung der Funktionsfähigkeit eines Bedienelements einer Parkbremse
DE102017105461A1 (de) * 2017-03-15 2018-09-20 Leopold Kostal Gmbh & Co. Kg Manuell betätigbares Bedienelement
JP7241031B2 (ja) * 2017-05-24 2023-03-16 ジーエイチエスピ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オートリターンおよびカムロック機構を備えたロータリーシフター
JP2019006139A (ja) * 2017-06-20 2019-01-1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JP7088481B2 (ja) * 2017-06-20 2022-06-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JP6795477B2 (ja) 2017-09-04 2020-12-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KR102448612B1 (ko) 2017-11-03 2022-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자동변속 시스템
US10948056B2 (en) * 2017-12-23 2021-03-1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Elevation mechanism for a central input selector knob
US20190211921A1 (en) * 2018-01-05 2019-07-11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Shift device
JP2019119352A (ja) 2018-01-05 2019-07-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US20190323600A1 (en) * 2018-04-23 2019-10-24 Dura Operating, Llc Rotary shifter with selective locking and position reset
CN108443483A (zh) * 2018-04-27 2018-08-24 瑞安市豪王汽车零部件有限公司 旋钮式汽车换挡开关
CN108662135B (zh) * 2018-07-23 2019-11-05 江西江铃集团新能源汽车有限公司 汽车换挡开关
CN108933056B (zh) * 2018-08-31 2019-11-05 江西江铃集团新能源汽车有限公司 汽车换挡开关
WO2021000150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车载旋钮
DE102019213557A1 (de) * 2019-09-06 2021-03-11 Zf Friedrichshafen Ag Wählhebelanordnung zum Anwählen und Schalten von verschiedenen Fahrmodi bei einem Fahrzeuggetriebe
CN113124143B (zh) * 2021-04-27 2022-04-08 重庆睿格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换挡无死点的电子旋钮换挡机构总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9383A1 (de) * 2000-11-30 2002-06-13 Schlos Und Metallwarenfabrik B Anordnung zum Sperren einer Automatik-Wähl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Entsperren eines derartigen Wählhebel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7077A (en) * 1992-09-28 1994-01-11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oration Modular vehicle shif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295887B1 (en) * 1999-01-11 2001-10-02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ision Of Jsj Corporation Miniaturized transmission shifter
US20030159534A1 (en) * 2002-02-22 2003-08-28 American Electronic Components Transmission shift position sensor
JP3948369B2 (ja) * 2002-08-20 2007-07-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US7393304B2 (en) * 2003-05-15 2008-07-01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Shifter with gear position indicator
GB0425115D0 (en) * 2004-11-13 2004-12-15 Ford Global Tech Llc Rotatable selector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transmission
DE102004041087A1 (de) * 2004-08-24 2006-03-16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DE102005002086B3 (de) * 2005-01-14 2006-09-14 Zf Friedrichshafen Ag Betätigungseinrichtung mit Drehschalter
DE102006007600B4 (de) * 2006-02-18 2016-12-15 Leopold Kostal Gmbh & Co. Kg Drehsteller für elektrische oder elektronische Gräte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07042113A1 (de) 2007-09-05 2009-03-2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rehsteller
US7832302B2 (en) * 2008-02-29 2010-11-16 Dura Global Technologies, Llc Shift-by-wire shifter with default to park
DE102010007913B4 (de) * 2010-02-13 2014-04-03 Audi Ag Drehsteller
JP5756628B2 (ja) * 2010-12-27 2015-07-29 株式会社アツミテック 自動変速機用変速操作装置
CN104321713B (zh) * 2012-02-16 2016-08-24 美国科什塔尔 旋转式选择器开关以及相关系统及方法
DE102014225114A1 (de) * 2013-12-09 2015-06-11 Kostal Of America Drehschalter mit programmierbaren Endanschlägen und variabler taktiler Rückmeldung
US9334949B2 (en) * 2013-12-13 2016-05-10 Ghsp, Inc. Rotary shifting device with motorized knob
US20160017983A1 (en) * 2014-07-18 2016-01-21 Dura Operating Llc Rotary gear shif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9383A1 (de) * 2000-11-30 2002-06-13 Schlos Und Metallwarenfabrik B Anordnung zum Sperren einer Automatik-Wähleinrichtung sowie Verfahren zum Entsperren eines derartigen Wählheb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61123B2 (ja) 2019-01-30
CN105637263A (zh) 2016-06-01
ES2638402T3 (es) 2017-10-20
CN105637263B (zh) 2017-11-03
EP3058247A1 (de) 2016-08-24
WO2015055369A1 (de) 2015-04-23
DE102013221039A1 (de) 2015-04-23
US10253878B2 (en) 2019-04-09
KR20160074561A (ko) 2016-06-28
JP2016539836A (ja) 2016-12-22
US20160238128A1 (en) 2016-08-18
EP3058247B1 (de)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7746B1 (ko)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조작 요소를 블록킹하기 위한 장치, 상기 유형의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 및 차량의 자동 변속기의 변속을 위한 변속 장치
JP6371382B2 (ja) 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操作要素をパーキングポジションへ変位させるための装置、このような装置を運転するための方法及び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シフトするためのシフト装置
KR102368852B1 (ko) 자동차용 파킹 록 장치
JP4361927B2 (ja) シフトバイワイヤシステム
JP4389985B2 (ja) 状態切替要素の作動装置、自動変速機のレンジ切替装置、ならびにパーキング装置
US10591058B2 (en) Auto return to park rotary and lever style shifter
JP2017114169A (ja) シフト装置
US10371252B2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 movement of an operating element for a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and shifting device for shifting a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JP4642419B2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ロック装置
EP3317150B1 (en) Manual park release device for vehicle
JP6584404B2 (ja) 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ための操作要素の移動の設定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並びに車両のオー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をシフトするためのシフト装置
JP4746633B2 (ja) 車両変速機に用いられるシフト装置
JP2010241256A (ja) パーキング装置
US8789676B2 (en) Emergency release mechanis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JP6448312B2 (ja) シフトレバーユニット
JP5958265B2 (ja) 車両用パーキング装置
JP2023527752A (ja) 車両用変速機の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及び車両用変速機
JP2010223330A (ja) ロック機構付きの油圧ピストン装置
JP2020085144A (ja) パーキング機構
EP3091256B1 (en) Shift by wire shifting device
JP2011064320A (ja) 車輌用パーキング装置
JP2017133631A (ja) シフト切替装置
JP6953638B2 (ja) 自動車の変速機を制御するためのシフタ組立体
JP2019006139A (ja) シフト装置
KR101976286B1 (ko) 자동차의 주차 잠금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