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052B1 -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 - Google Patents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052B1
KR102446052B1 KR1020220083240A KR20220083240A KR102446052B1 KR 102446052 B1 KR102446052 B1 KR 102446052B1 KR 1020220083240 A KR1020220083240 A KR 1020220083240A KR 20220083240 A KR20220083240 A KR 20220083240A KR 102446052 B1 KR102446052 B1 KR 102446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elevator
jig
bolting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철규
Original Assignee
안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철규 filed Critical 안철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4Installing or removing mining-hoist cars, cages, or skips

Landscapes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는, 승강로 구조물 내측벽에 설치된 카 가이드레일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로서, 상기 카 가이드레일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결착되고, 횡단면상 ㄷ자형 구조를 형성하며 카 가이드레일의 상하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하부에 체결공이 형성된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양측대칭 형태로 소정 두께를 형성하는 두께보강부; 상기 두께보강부의 양측면으로부터 ㄷ자형 구조의 중앙 공간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하 높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는 제1볼팅체결구; 및 상기 지그본체부의 상단에 장착되고, 측방으로 소정 폭만큼 연장되어 소정 넓이를 가지는 상부지지면을 형성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면과 면접촉하는 형태로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구조의 상단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최초 시공하거나 교체 시공할 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시공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Elevator Installation Jig Having Stable Fixing Structur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최초 시공하거나 교체 시공할 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설치는 빌딩 프로젝트에 있어서 중요한 단계이다. 엘리베이터는 건설 기간동안 가능한 빨리 이용될 수 있어야 한다.
엘리베이터는 이 단계에서 완성된 빌딩에서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여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안전 장비가 제대로 작동하여야 한다.
한편, 엘리베이터는 다른 건설작업에 방해되지 않고 가능한 신속히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설치 및 건설 기간에 예정된 특별한 설치는 최소로 되어야 하며, 엘리베이터는 사후 조정 및 트리밍(trimming)할 필요가 없도록 그 최종 형태로 직접 설치되어야 한다.
엘리베이터는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표준 요구사항에 대해 부가적인 특징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설치로 나타나게 되어, 모든 샤프트 장비가 샤프트 공간에 대부분 설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장치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승강공간의 상부 벽면에 서스펜션 요소(16, 17)를 장착한 후 서스펜션 수다(24)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 상부 부분에 고정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장치의 경우, 다수의 서스펜션 요소를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승강공간의 상부 벽면에 장착하기 위해, 벽면에 타공하여 견고하게 매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서스펜션 요소를 설치 한 후 별도로 장착되는 다수의 와이어와 서스펜션 수단을 더 설치한 후 시공을 위한 각종 구조물을 지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를 위한 장치의 경우, 긴 작업 시간이 요구되며, 다수의 부재와 수단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311932호 (등록일자: 2001년09월29일)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최초 시공하거나 교체 시공할 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시공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는, 승강로 구조물 내측벽에 설치된 카 가이드레일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로서, 상기 카 가이드레일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결착되고, 횡단면상 ㄷ자형 구조를 형성하며 카 가이드레일의 상하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하부에 체결공이 형성된 지그본체부; 상기 지그본체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양측대칭 형태로 소정 두께를 형성하는 두께보강부; 상기 두께보강부의 양측면으로부터 ㄷ자형 구조의 중앙 공간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하 높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는 제1볼팅체결구; 및 상기 지그본체부의 상단에 장착되고, 측방으로 소정 폭만큼 연장되어 소정 넓이를 가지는 상부지지면을 형성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면과 면접촉하는 형태로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구조의 상단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는, 상기 제1볼팅체결구에 볼팅 체결되는 볼트구조이고, 볼트머리에 외주면을 따라 제1나사산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볼트; 상기 제1볼팅체결구의 진입구와 인접하여 소정 깊이만큼 만입되어 제1볼트의 볼트머리가 삽입되거나 토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헤드회전공간; 상기 두께보강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고, 제1볼팅체결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헤드회전공간 일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된 제2볼팅체결구; 및 상기 제2볼팅체결구에 볼팅 체결되는 볼트구조이고, 제1볼트의 볼트머리에 형성된 제1나사산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2나사산이 형성된 구조의 제2볼트;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볼트의 볼트머리는, 두께보강부의 양측면을 기준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 연장된 구조이고, 제1볼트의 볼팅체결 깊이에 따라 볼트머리가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그본체부는, 상기 지그본체부의 일측면에 결착센싱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결착확인점등부; 및 상기 두께보강부의 하부면 양측 단부에 장착되고, 수직 상방으로 초음파 또는 레이저를 발생하여 제1볼트의 볼트머리가 제1볼팅체결구로부터 기설정 높이만큼 돌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결착센싱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착확인점등부는, 결착센싱부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볼트의 삽입된 깊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진입할 경우 녹색 빛을 점등하고, 제1볼트의 삽입된 깊이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삽입될 경우 주황색 빛을 점등하며, 제1볼트의 삽입된 깊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미달될 경우 적색 빛을 점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지부는, 상기 지그본체부의 상단에 볼팅체결되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볼팅체결구는, 상기 지그본체부의 ㄷ자형 중앙 공간의 수직방향 라인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지그본체부, 두께보강부, 제1볼팅체결구 및 상단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최초 시공하거나 교체 시공할 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시공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볼팅체결구, 제1볼트, 헤드회전공간, 제2볼팅체결구 및 제2볼트를 구비함으로써, 제1볼트의 볼트머리와 제2볼트의 결속관계를 웜기어 구조로 구성할 수 있어, 카 가이드레일에 지그본체부를 고정시키는 제1볼트가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풀리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상하 높이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제1볼트에 제2볼트를 이용하여 동일한 토크를 인가하여 제1볼트를 볼팅 체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카 가이드레일 상에 안정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결착확인점등부 및 결착센싱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볼트의 볼팅체결 깊이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 설치 작업의 작업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볼트의 볼팅체결 상태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하여 안정 상태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상단지지부를 지그본체부의 상단에 볼팅체결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크기, 사양 및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면적과 형상을 가지는 상단지지부를 맞춤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설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볼팅체결구의 형성방향을 경사진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제1볼팅체결구에 볼팅 체결되는 제1볼트가 카 가이드레일의 양측면과 경사진 형태로 결착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어, 제1볼트의 일단부와 카 가이드레일의 양측면 사이의 마찰력을 극대화 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결착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의 제1볼트와 제2볼트의 결속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의 제2볼트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1볼트의 위치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의 제2볼트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1볼트의 위치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100)는, 승강로 구조물 내측벽에 설치된 카 가이드레일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그로서, 특정 구조의 지그본체부(110), 두께보강부(120), 제1볼팅체결구(130) 및 상단지지부(140)를 구비함으로써, 건물에 엘리베이터를 최초 시공하거나 교체 시공할 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를 시공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100)의 지그본체부(110)는, 카 가이드레일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결착되는 구성으로서, 횡단면상 ㄷ자형 구조를 형성하며 카 가이드레일의 상하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하부에 체결공(111)이 형성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다른 두께보강부(120)는, 지그본체부(110)의 양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양측대칭 형태로 소정 두께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볼팅체결구(130)는, 두께보강부(120)의 양측면으로부터 ㄷ자형 구조의 중앙 공간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하 높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된다.
이때, 제1볼팅체결구(130)의 나사산에는 나사산 구조를 보강하는 소재로 구성된 헬리코일이 결속될 수 있다. 헬리코일은 고강도 스테인리스 금속소재로 구성되며, 제1볼팅체결구(130)의 내주면에 장착되며, 제1볼팅체결구(130)에 볼팅 체결되는 제1볼트(150)의 나사산 구조와 대응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단지지부(140)는, 지그본체부(110)의 상단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측방으로 소정 폭만큼 연장되어 소정 넓이를 가지는 상부지지면을 형성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면과 면접촉하는 형태로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경우에 따라서, 상단지지부(140)는, 지그본체부(110)의 상단에 볼팅체결되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제1볼트(150)의 일단부에는 날카로운 단면구조의 진입결속돌기(155)가 형성되어, 제1볼팅체결구(130)에 볼팅 체결될 시 카 가이드레일(10)의 측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소정 깊이만큼 파고 들어가 고정됨으로써, 더욱 안정적인 결속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구조의 상단지지부(140)를 지그본체부(110)의 상단에 볼팅체결 방식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크기, 사양 및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다양한 면적과 형상을 가지는 상단지지부(140)를 맞춤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설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의 제1볼트와 제2볼트의 결속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내지 도 8에는 도 5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의 제2볼트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1볼트의 위치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100)는, 특정 구조의 제1볼트(150), 헤드회전공간(131), 제2볼팅체결구(132) 및 제2볼트(15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볼트(150)는, 제1볼팅체결구(130)에 볼팅 체결되는 볼트구조이고, 볼트머리(151)에 외주면을 따라 제1나사산(152)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제1볼팅체결구(130)의 진입구와 인접하여 소정 깊이만큼 만입되어 헤드회전공간(131)이 형성될 수 있다. 헤드회전공간(131)은, 제1볼트(150)의 볼트머리(151)가 삽입되거나 토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볼팅체결구(132)는, 두께보강부(12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제1볼팅체결구(13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헤드회전공간(131) 일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제2볼트(153)는, 제2볼팅체결구(132)에 볼팅 체결되는 볼트구조로서, 제1볼트(150)의 볼트머리(151)에 형성된 제1나사산(152)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2나사산(154)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1볼팅체결구(130), 제1볼트(150), 헤드회전공간(131), 제2볼팅체결구(132) 및 제2볼트(153)를 구비함으로써, 제1볼트(150)의 볼트머리(151)와 제2볼트(153)의 결속관계를 웜기어 구조로 구성할 수 있어, 카 가이드레일에 지그본체부(110)를 고정시키는 제1볼트(150)가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풀리게 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상하 높이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제1볼트(150)에 제2볼트(153)를 이용하여 동일한 토크를 인가하여 제1볼트(150)를 볼팅 체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카 가이드레일 상에 안정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볼트(150)의 볼트머리(151)는, 두께보강부(120)의 양측면을 기준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 연장된 구조로서, 제1볼트(150)의 볼팅체결 깊이에 따라 볼트머리(151)가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달라지는 구조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본체부(110)의 일측면에는 결착확인점등부(161)가 더 장착될 수 있다. 결착확인점등부(161)는, 지그본체부(110)의 일측면에 장착된 결착센싱부(162)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색상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위 언급한 결착센싱부(162)는, 두께보강부(120)의 하부면 양측 단부에 장착되고, 수직 상방으로 초음파 또는 레이저를 발생하여 제1볼트(150)의 볼트머리(151)가 제1볼팅체결구(130)로부터 기설정 높이만큼 돌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결착확인점등부(161)는, 결착센싱부(162)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볼트(150)의 삽입된 깊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진입할 경우 녹색 빛을 점등하고, 제1볼트(150)의 삽입된 깊이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삽입될 경우 주황색 빛을 점등하며, 제1볼트(150)의 삽입된 깊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미달될 경우 적색 빛을 점등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점등 색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결착센싱부(162)가 검출할 수 있는 제1볼트(150)의 볼트머리(151) 노출 길이 역시 변경하여 다양한 볼팅 체결 환경에 맞춤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결착확인점등부(161) 및 결착센싱부(162)를 구비함으로써, 제1볼트(150)의 볼팅체결 깊이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 설치 작업의 작업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1볼트(150)의 볼팅체결 상태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하여 안정 상태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도 5와 비교하여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볼팅체결구(130)는, 지그본체부(110)의 ㄷ자형 중앙 공간의 수직방향 라인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특정 구조의 제1볼팅체결구(130)의 형성방향을 경사진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제1볼팅체결구(130)에 볼팅 체결되는 제1볼트(150)가 카 가이드레일의 양측면과 경사진 형태로 결착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어, 제1볼트(150)의 일단부와 카 가이드레일의 양측면 사이의 마찰력을 극대화 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인 결착구조를 구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카 가이드레일
100: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
110: 지그본체부
111: 체결공
120: 두께보강부
130: 제1볼팅체결구
131: 헤드회전공간
132: 제2볼팅체결구
133: 나사산보강코일
140: 상단지지부
150: 제1볼트
151: 볼트머리
152: 제1나사산
153: 제2볼트
154: 제2나사산
155: 진입결속돌기
161: 결착확인점등부
162: 결착센싱부

Claims (5)

  1. 승강로 구조물 내측벽에 설치된 카 가이드레일(10)에 장착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로서,
    상기 카 가이드레일의 외주면을 감싸는 구조로 결착되고, 횡단면상 ㄷ자형 구조를 형성하며 카 가이드레일의 상하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하부에 체결공(111)이 형성된 지그본체부(110);
    상기 지그본체부(110)의 양측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양측대칭 형태로 소정 두께를 형성하는 두께보강부(120);
    상기 두께보강부(120)의 양측면으로부터 ㄷ자형 구조의 중앙 공간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하 높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는 제1볼팅체결구(130); 및
    상기 지그본체부(110)의 상단에 장착되고, 측방으로 소정 폭만큼 연장되어 소정 넓이를 가지는 상부지지면을 형성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면과 면접촉하는 형태로 엘리베이터 카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구조의 상단지지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는,
    상기 제1볼팅체결구(130)에 볼팅 체결되는 볼트구조이고, 볼트머리(151)에 외주면을 따라 제1나사산(152)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볼트(150);
    상기 제1볼팅체결구(130)의 진입구와 인접하여 소정 깊이만큼 만입되어 제1볼트(150)의 볼트머리(151)가 삽입되거나 토출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헤드회전공간(131);
    상기 두께보강부(12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까지 관통되어 형성되고, 제1볼팅체결구(13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헤드회전공간(131) 일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된 제2볼팅체결구(132); 및
    상기 제2볼팅체결구(132)에 볼팅 체결되는 볼트구조이고, 제1볼트(150)의 볼트머리(151)에 형성된 제1나사산(152)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2나사산(154)이 형성된 구조의 제2볼트(15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트(150)의 볼트머리(151)는,
    두께보강부(120)의 양측면을 기준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 연장된 구조이고, 제1볼트(150)의 볼팅체결 깊이에 따라 볼트머리(151)가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달라지며,
    상기 지그본체부(110)는,
    상기 지그본체부(110)의 일측면에 결착센싱부(162)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결착확인점등부(161); 및
    상기 두께보강부(120)의 하부면 양측 단부에 장착되고, 수직 상방으로 초음파 또는 레이저를 발생하여 제1볼트(150)의 볼트머리(151)가 제1볼팅체결구(130)로부터 기설정 높이만큼 돌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결착센싱부(162);
    를 포함하고,
    상기 결착확인점등부(161)는, 결착센싱부(162)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1볼트(150)의 삽입된 깊이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진입할 경우 녹색 빛을 점등하고, 제1볼트(150)의 삽입된 깊이가 기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삽입될 경우 주황색 빛을 점등하며, 제1볼트(150)의 삽입된 깊이가 기 설정된 범위에 미달될 경우 적색 빛을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지지부(140)는,
    상기 지그본체부(110)의 상단에 볼팅체결되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볼팅체결구(130)는,
    상기 지그본체부(110)의 ㄷ자형 중앙 공간의 수직방향 라인과 소정 크기의 예각을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
KR1020220083240A 2022-06-02 2022-07-06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 KR102446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7668 2022-06-02
KR20220067668 2022-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6052B1 true KR102446052B1 (ko) 2022-09-23

Family

ID=8344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240A KR102446052B1 (ko) 2022-06-02 2022-07-06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60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78A (ja) * 1996-07-05 1998-01-27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上開きドアの支持装置
KR100311932B1 (ko) 1997-03-07 2001-12-17 살로메키 유하 엘리베이터의설치를위한방법및장치
CN206069157U (zh) * 2016-08-26 2017-04-05 西子电梯集团有限公司 一种电梯轿架的井道拼搭工装
JP6886648B1 (ja) * 2021-02-05 2021-06-1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かご組立サポート治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78A (ja) * 1996-07-05 1998-01-27 Hitachi Building Syst Co Ltd エレベータ上開きドアの支持装置
KR100311932B1 (ko) 1997-03-07 2001-12-17 살로메키 유하 엘리베이터의설치를위한방법및장치
CN206069157U (zh) * 2016-08-26 2017-04-05 西子电梯集团有限公司 一种电梯轿架的井道拼搭工装
JP6886648B1 (ja) * 2021-02-05 2021-06-1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かご組立サポート治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7995A (ko) 승강실 및 승강로에 승강실의 지지 수단을 설치하는 방법
US9217256B2 (en) Concrete lifting anchors
EP1422185B1 (en) Cage and elevator
KR102446052B1 (ko) 안정적인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지그
CN111719846A (zh) 用于将栏杆部件保持在天花板模板面板上的保持器
JP2019018928A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の固定装置及び固定方法
KR890002051B1 (ko) 엘리베이터의 권상장치
EP0904246B1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the overspeed governor of an elevator
CN209957183U (zh) 电梯用导轨的固定装置
EP2409942A1 (en) Clip device for elevator and support device for elevator
JP5336958B2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とレール取付部材の穴あけに用いられる穴あけ用治具
KR20060108647A (ko) 엘리베이터 로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92755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965371B2 (ja) エレベーター用作業台及びエレベーター
KR20100038939A (ko) 엘리베이터 구조물 설치용 가설 작업대
JP2019108175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6044843A (ja) 昇降路用作業台足場
JP7205589B1 (ja) エレベーターのガイドレール固定用ブラケット
JP6565942B2 (ja) エレベーター機器用取付具及びエレベーター機器の取付方法
JPH05229764A (ja) 昇降路のアンカー穴位置決め装置
KR200321373Y1 (ko) 층간 자재운반용 플랫폼 설비
KR10063147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WO2022091402A1 (ja) エレベーターの施工方法
JP2018118842A (ja) エレベーターの釣合おもり用耐震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釣合おもり用耐震装置の取付方法
US20220195715A1 (en) Joist receiving metal fitting, floor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floor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