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342B1 - 엘리베이터 로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로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342B1
KR101208342B1 KR1020067008551A KR20067008551A KR101208342B1 KR 101208342 B1 KR101208342 B1 KR 101208342B1 KR 1020067008551 A KR1020067008551 A KR 1020067008551A KR 20067008551 A KR20067008551 A KR 20067008551A KR 101208342 B1 KR101208342 B1 KR 101208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ructure
rope
elevator
diverting pulley
ro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8647A (ko
Inventor
요르마 무스탈라티
에스코 아울란코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08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8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2Installing or exchanging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5/00Main component parts of mining-hoist winding devices
    • B66B15/02Rope or cable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7Mining-hoist operation method for modernisation of elev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 전환 풀리, 및 전환 풀리를 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로프를 전환 풀리 상에 장착하는 단계, 및 전환 풀리를 로프와 함께 프레임 구조물 내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Figure 112006031076883-pct00001
엘리베이터, 로프, 전환 풀리, 프레임 구조물, 안내 장치, 샤프트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로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ELEVATOR ROPES}
본 발명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2의 전제부에 정의된 방법, 이 방법에 의해 구성되는 엘리베이터, 청구항 5 및 청구항 6의 전제부에 정의된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그것에 상당하는 장치를 현수하기 위해 청구항 14의 전제부에 따른 프레임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는 전환 풀리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배열법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호이스팅 로프는 한번에 하나씩 따로따로 예컨대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의 엘리베이터 카 상의 정위치에 이미 장착된 전환 풀리로 뻗쳐지거나 전환 풀리 상에 권취되거나 하였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해법과 관련하여서는 심각한 결점이 있다. 예컨대, 수직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긴 거리를, 로프를 뻗쳐 권취하는 것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로프가 떨어져 설치하고 있는 사람을 타격할 수 있기 때문에 중대한 안전상의 위험을 내포할 수도 있다. 종래기술의 해법에 기반한 전환 풀리는 또한 접근하기가 매우 어렵다. 또한, 이미 장착된 전환 풀리에 대해 예컨대 위치결정 및 방향설정과 관련한 조정을 행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결점을 극복하여 완전히 새로운 해법을 성취하는 데 있다. 호이스팅 로프의 설치를 편리하게 하고 설치 작업을 보다 안전하게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비해 보다 간단하면서 보다 안전한 구조를 가진 엘리베이터를 창안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전환 풀리의 정밀한 위치결정을 성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프레임 구조물을 사용함으로써 전환 풀리의 방향설정도 성취된다. 이는 풀리의 보다 신속하고 보다 안전한 설치를 가능하게 해주는 한편, 설치 신뢰성이 설치 공정에 그다지 크게 의존하지 않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엘리베이터 카, 카운터웨이터 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전환 풀리와 같은 여러가지 적용처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장착 방향은 각각의 경우에 독립적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엘리베이터 및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 구조물에 의해 장착되는 전환 풀리의 사용 방법은 청구항 1, 2, 5, 6 및 14의 특징부에 설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나머지 청구항들에 설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본 출원의 상세한 설명에 제공된다. 본원에 설명되는 발명의 내용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되는 것과 다른 방식으로 한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은, 특히 표현이나 하위 과제의 관점에서 또는 성취되는 장점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여러가지 개별적인 발명을 이룰 수도 있다. 이 경우, 첨부된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몇몇의 특징사항은 개별적인 발명 개념의 관점에서 필요 이상으로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물은 구조에 있어 경제적이고, 예컨대 형상 금속, 바람직하게는 형상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레임 구조물은 경량이기도 하다. 프레임 구조물 내의 기능적 특징부들을 일체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별개의 로프 안내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는 선택적으로 프레임 구조물은 로프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 슬로 또는 그에 상당하는 요소를 사전에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특징에 관해서는, 청구범위를 참조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그에 상당하는 장치를 현수하기 위해 프레임 구조물에 의해 장착되는 전환 풀리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 경우에, 로프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를 사용함으로써 배열된다. 이 해법은 따라서 예컨대 카운터웨이터 또는 모터를 현수하기 위한 것과 같은 다른 적용처에도 이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엘리베이터는 청구항 1, 2, 5, 6 및 14의 특징부에 설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로프는 로프, 전환 풀리, 및 전환 풀리를 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상기 방법은 먼저 로프가 전환 풀리 상에 장착되는 단계 및 그런 다음 전환 풀리가 로프와 함께 프레임 구조물 내에 장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 때, 전환 풀리는 그것 상에 사전에 장착된 샤프트, 또는 상당 요소를 이미 가지고 있다. 또한, 전환 풀리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전환 풀리와 샤프트와 같은 하나의 지지 요소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어, 그것에 의해 쉽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조비용의 절감도 성취될 수 있는 일체형 요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로프가 전환 풀리 상에 미리 정착되어 있기 때문에 호이스팅 로프의 설치가 현저하게 용이해지고,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때로는 어렵고 위험하기까지 한 로프 권취 작업이 필요치 않다. 또한, 로프는 적절하게 그것을 위한 홈 내에 정착되어 그곳에서 로프-점프 가드(rope-jump guard)에 의해 유지된다. 로프-점프 가드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구조물 자체 또는 별개의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변경적인 방법에 의하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 즉 먼저 로프가 프레임 구조물 내에 만들어진 슬롯과 같은 프레임 구조물의 안내 장치를 통해 통과되고, 전환 풀리 및 샤프트와 같은 지지 요소가 프레임 구조물 내에 장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이 방법은 예컨대 로프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주행하지 않고 전환 풀리가 로프들 사이에 예컨대 90도와 같은 각도를 형성할 때 사용된다. 이 경우, 프레임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최초로 로프가 지지되어 정착되는 소위 로프 위치결정 지지부를 형성하고 있고, 전환 풀리는 추후에 샤프트가 삽입 장착되는 별개의 풀리로서 배치되거나 선택적으로 전환 풀리는 사전에 그것 내에 삽입 장착된 샤프트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엘리베이터는 신뢰성 있게, 신속하게 그리고 경제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신축 건물 외에, 본 발명의 방법은 개축 프로젝트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방법은 특정 엘리베이터 유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방법은 카운터웨이터가 없는 엘리베이터 방식과 카운터웨이터가 있는 엘리베이터 방식 양자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필요에 따라 다른 호이스팅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프레임 구조물에 의해 정위치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와 다수의 로프로 이루어지는 한 세트의 로프를 포함하고 있고, 한 세트의 로프의 경로가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를 사용하여 배열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로프는, 먼저 전환 풀리 상에 상기 한 세트의 로프의 로프를 정착시키고, 다음으로 전환 풀리를 로프와 함께 프레임 구조물 내에 장착함으로써, 전환 풀리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변경적인 엘리베이터의 로프는, 먼저 프레임 구조물 내에 만들어진 슬롯과 같은 안내 장치 내에 한 세트의 로프의 로프를 정착시키고, 다음으로 전환 풀리 및 샤프트와 같은 지지 요소를 프레임 구조물 내에 장착함으로써, 전환 풀리 상에 배열된다.
엘리베이터 내에 포함된 프레임 구조물은 연속적인 단일편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일편은 형상 금속, 바람직하게는 형상 알루미늄으로 제작될 수 있고, 이 경우 프레임 구조물의 경제적이고 용이한 제작과 재료에 기인하여 성취되는 경량화의 양자 모두가 유효하다. 또한, 유사한 프레임 구조물이 상이한 엘리베이터 풀리와 함께 사용될 수 있어, 수많은 갖가지 해법 및 어려운 설치와 조정 작업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구성요소의 수의 삭감과 모듈형 형태는 또한 위험성을 감소시키고 현저히 신속한 설치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는 엘리베이터가 보다 신속히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엘리베이터의 최종 사용자에게 유리하며, 예컨대 개축의 경우에 엘리베이터는 조기에 재사용가능하게 된다.
엘리베이터의 프레임 구조물은 예컨대 그것에 부착되어 로프를 안내하고 필요할 때 탈착가능한 별도의 안내 장치(7)를 구비할 수 있다. 안내 장치는 당연히 로프를 소정의 방향으로 및/또는 소정의 장소로 안내하기 위해 프레임 구조물 내에 만들어지는 홈, 슬롯 등으로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물은 바람직하게 대칭형이 될 수 있고, 체결 요소에 의해 경우에 따른 소정의 체결 방향으로 체결되어 질 수 있다. 체결 요소는 당연히 용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나사, 볼트 또는 그 상당 요소와 같이 탈착가능한 것이 될 수 있으며, 또는 리벳 또는 그 상당 요소와 같이 고정 요소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체결 위치 및 방향은 적용처에 따라 변경되며, 장착 방향은 필요에 따라 변경된다.
본 발명의 프레임 구조물은 그 자체만 또는 전환 풀리와 함께 탈착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새로운 로프의 보다 용이한 설치를 가능하게 해주며, 따라서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어려운 로프 권취 작업이 회피된다.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로프가 한 세트의 로프를 형성하고, 상기 한 세트의 로프는 바람직하게는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이다. 이 경우, 프레임 구조물이 미리 일체화되어 있는 사전 설치된 전환 풀리와, 전체 세트의 로프가 전환 풀리 및 프레임 구조물과 함께 완전한 하나의 유닛으로서 설치 장소에 이송되어진다는 완전한 해법으로부터 장점이 유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해법을 포함하고 있는 엘리베이터는 예컨대 카운터웨이터를 가진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 카를 가진 엘리베이터 및/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내에서 전환 풀리를 이용하는 엘리베이터로 사용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또는 그것에 상당하는 장치를 현수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하여 장착되는 전환 풀리가 사용된다. 이 경우, 로프의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를 이용하여 배열되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설치 방법을 도시하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한가지 모듈식 전환 풀리 해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한가지 모듈식 전환 풀리 해법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체결법을 도시한 도면.
도 1은 이 경우에서는 샤프트인 것이 바람직한 지지 요소(2)에 의해 프레임 구조물(3) 내에 장착되어 있는 전환 풀리(1)를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 구조물은 바람직하게, 전환 풀리가 프레임 구조물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프레임 구조물은 전환 풀리의 샤프트를 제자리에 잘 유지시키도록 형성된 쇼 울더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도시된 전환 풀리는 별개의 샤프트를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과 같은 해법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환 풀리가 제조시에 이미 그것과 일체화된 지지 요소를 가지도록 하는 해법도 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다. 프레임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이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로프가 전환 풀리(1)의 홈(5) 내에 쉽게 정착할 수 있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보조 구조물(4)을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전환 풀리(1)를 프레임 구조물(3)과 함께 측면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이 해법에서는, 지지 요소(2)는 프레임 구조물(3)을 관통하고 있다. 또한, 로프(6)를 안내하기 위해 안내 요소(7)가 구비되어 있고, 안내 요소(7)는 이 해법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구조물 내에 만들어진 홈으로 되어 있다. 이 홈은 로프를 안내하면서 동시에 로프를 적정 위치에 유지시킨다. 도면에서 프레임 구조물은 또한 예컨대 도면에서와 같이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는 사전 제작된 체결 포인트(8)를 가지고 있다. 이 구멍들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시스템이 어느 경로 둘레에도 체결될 수 있고 또한 어느 방향으로도 방향설정될 수 있도록 프레임 구조물 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체결법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2에서와 같이 전환 풀리(1)는 이 경우에서는 샤프트인 것이 바람직한 지지 요소(2) 상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구조물(3)은 전환 풀리(1) 및 지지 요소(2)와 함께 이 경우에서는 볼트가 바람직한 체결 요소(9)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해법은 당연히 다른 형태의 체결 요소의 사용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기본틀 내에서 상기 설명과는 다른 해법들을 생각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로프는 로프 밴드로 이루어지거나 로프와 로프 밴드의 조합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당연히 샤프트 대신에 핀 또는 핀에 상당하는 요소를 채용하는 임의의 지지 요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가 가능하는 것을 당업자는 잘 알 것이다.

Claims (14)

  1. 삭제
  2. 로프, 전환 풀리, 및 전환 풀리를 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물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에 엘리베이터의 로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 프레임 구조물 내에 만들어진 슬롯과 같은 프레임 구조물의 안내 장치를 통해 로프를 통과시키는 단계,
    - 전환 풀리 및 샤프트와 같은 지지 요소를 프레임 구조물 내에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전환 풀리는 하나의 전환 풀리와 샤프트와 같은 하나의 지지 요소의 조합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프레임 구조물(3)에 의해 정위치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1)와 다수의 로프(6)으로 이루어지는 한 세트의 로프를 포함하고 있고, 한 세트의 로프의 경로가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1)를 사용하여 배열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로프(6)는, 먼저 프레임 구조물 내에 만들어진 슬롯과 같은 프레임 구조물의 안내 장치(7) 내에 상기 한 세트의 로프의 로프(6)를 정착시키고, 다음으로 전환 풀리(1) 및 샤프트와 같은 지지 요소(2)를 프레임 구조물(3) 내에 장착함으로써, 전환 풀리(1) 상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7. 제 6 항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물(3)은 연속적인 단일편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8. 제 6 항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물(3)은 형상 금속 또는 형상 알루미늄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9. 제 6 항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물(3)은 로프(6)를 안내하기 위해 그것에 부가된 안내 장치(7)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0. 제 6 항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물(3)은 로프(6)를 안내하기 위해 그것 내부에 만들어진 홈 또는 슬롯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1. 제 6 항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물(3)은 체결 요소(9)에 의해 정해진 체결 방향으로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2. 제 6 항에 있어서, 프레임 구조물(3)은 예컨대 새로운 로프(6)가 설치되어져야 할 때 탈착가능하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세트의 로프는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4. 삭제
KR1020067008551A 2003-11-24 2006-05-02 엘리베이터 로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208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1706A FI116787B (fi) 2003-11-24 2003-11-24 Hissin taittopyörä
FI20031706 2003-11-24
PCT/FI2004/000703 WO2005058740A1 (en) 2003-11-24 2004-11-22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elevator rop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8647A KR20060108647A (ko) 2006-10-18
KR101208342B1 true KR101208342B1 (ko) 2012-12-05

Family

ID=29558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551A KR101208342B1 (ko) 2003-11-24 2006-05-02 엘리베이터 로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602174B2 (ko)
EP (1) EP1687229A1 (ko)
JP (1) JP2007512202A (ko)
KR (1) KR101208342B1 (ko)
CN (1) CN1886322A (ko)
EA (1) EA008315B1 (ko)
FI (1) FI116787B (ko)
WO (1) WO2005058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0091B (fi) * 2006-11-10 2009-06-30 Kone Corp Vastapainoton vetopyörähissi
US8205720B2 (en) * 2008-12-30 2012-06-26 Kone Corporation Method for installing the hoisting roping of an elevator
FI20090093A (fi) * 2009-03-12 2010-09-13 Kone Corp Taittopyöräjärjestely, hissi ja menetelmä
EP2749519B1 (en) 2012-12-27 2020-07-22 KONE Corporation Elevator with a non-metallic fibers belt-like ropes.
EP2878564A1 (en) * 2013-11-27 2015-06-03 Kone Corporation Method for installing ropes of an elevator and a pulley arrangement of an elevator
ES2688530T3 (es) * 2014-06-02 2018-11-05 Grupo Antolin-Ingenieria, S.A. Conjunto de fijación de una polea de un elevalunas
JP6811161B2 (ja) * 2017-11-17 2021-01-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用ロープの据付治工具
US10941020B2 (en) 2018-01-30 2021-03-09 Otis Elevator Company Deflector sheave bracket for offset bedpl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6144A (ja) * 1998-03-02 1999-09-1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りかご吊り構造およびそのロープ掛け方法
JP2003128359A (ja) * 2001-10-24 2003-05-0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掛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568A (en) * 1879-06-17 Improvement in dumb-waiters
US2654571A (en) * 1952-09-29 1953-10-06 Jr Edward G Albright Universal sheave block
JPS5333816B2 (ko) * 1973-05-28 1978-09-16
JPS59176860U (ja) * 1983-05-16 1984-11-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用ロ−プの外れ止め装置
EP0360911B1 (de) * 1988-09-30 1992-12-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stellantrieb, insbesondere Kraftfahrzeug-Fensterheberantrieb
FR2640949B1 (ko) * 1988-12-22 1991-03-15 Otis Elevator Co
US4936370A (en) * 1989-01-31 1990-06-26 Chiang Por-Chu Vertical blind assembly with an adjustable width
JP2619995B2 (ja) * 1991-07-19 1997-06-11 株式会社テック 電動昇降装置
JPH0859132A (ja) * 1994-08-26 1996-03-05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揚重方法
FI100516B (fi) * 1994-09-27 1997-12-31 Kone Oy Järjestelyt hissiköyden kiinnittämiseksi ja johteen käyttämiseksi hiss in kannatuselimenä
ES2122872B1 (es) * 1995-05-23 1999-08-16 Irausa Ing Sa Eje-soporte clipsable para rueda o banda de rodadura.
JPH11189378A (ja) * 1997-12-25 1999-07-13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2:1ローピング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装着治具
US5937757A (en) 1998-01-07 1999-08-17 Goss Graphic Systems, Inc. Gap adjusting device with pressure relief for a second fold roller
US6227993B1 (en) * 1998-12-21 2001-05-08 Kuster & Co. Gmbh Cable reversing system for an automatic window lift
JP3630596B2 (ja) * 1999-10-22 2005-03-16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のロープ掛け方法
US6364062B1 (en) * 1999-11-08 2002-04-02 Otis Elevator Company Linear tracking mechanism for elevator rope
JP4422289B2 (ja) * 2000-04-06 2010-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主索吊設装置
KR100407677B1 (ko) * 2003-04-04 2003-12-03 대성에레베이터 주식회사 엘리베이터의 로프 설치구조
FI117172B (fi) * 2005-01-28 2006-07-14 Kone Corp Menetelmä ja laite köyden asentamiseksi köysipyörälle
US8205720B2 (en) * 2008-12-30 2012-06-26 Kone Corporation Method for installing the hoisting roping of an elevator
FI20090093A (fi) * 2009-03-12 2010-09-13 Kone Corp Taittopyöräjärjestely, hissi ja menetelm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6144A (ja) * 1998-03-02 1999-09-14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乗りかご吊り構造およびそのロープ掛け方法
JP2003128359A (ja) * 2001-10-24 2003-05-08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ロープ掛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0601039A1 (ru) 2006-10-27
JP2007512202A (ja) 2007-05-17
EP1687229A1 (en) 2006-08-09
EA008315B1 (ru) 2007-04-27
CN1886322A (zh) 2006-12-27
FI20031706A (fi) 2005-05-25
US8602174B2 (en) 2013-12-10
FI20031706A0 (fi) 2003-11-24
WO2005058740A1 (en) 2005-06-30
US20060231346A1 (en) 2006-10-19
FI116787B (fi) 2006-02-28
KR20060108647A (ko) 200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342B1 (ko) 엘리베이터 로프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U737295B2 (en) Procedure and apparatus for the installation of an elevator
FI118534B (fi) Menetelmä hissin nostoköysistön vaihtamiseksi ja vaihtamisessa käytettävä vetolaitejärjestely
US2013010525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on during ascent
ES2335898T5 (es) Método y aparato para cambiar el cable de un ascensor con polea de tracción
JP2007099515A (ja) エレベータケージの支持手段をエレベータケージおよびエレベータ昇降路に取り付ける方法
US7165656B2 (en) Elevator and guide fixing bracket for an elevator
KR20220149959A (ko) 추락방지를 위한 와이어로프 안전장치
US9388018B2 (en) Supply of rope to an elevator speed limiter
KR20060117941A (ko) 엘리베이터 및 장치
JP6704612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レール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エレベータ
KR10208203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및 그 개수 방법
ES2347654T3 (es) Un metodo para modernizar un ascensor.
FI117336B (fi) Hissin koneistoalusta
JP4619031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掛け装置
JP2007512202A5 (ko)
JP492755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0446001Y1 (ko) 무대장치용 도르래
EP1675798B1 (en) Method for mounting an elevator and its guide rails
KR102219660B1 (ko) 사장교 주탑부 케이블 설치를 위한 승강 작업대 및 이를 이용한 사장교 주탑부의 케이블 시공방법
KR200480875Y1 (ko) 로프 작업용 견인대
FI128102B (fi) Putoamissuojajärjestelmä ja menetelmä
JP7105723B2 (ja) エレベーター及びコンペンロープ支持機構
KR101724111B1 (ko) 엘리베이터
JP5271193B2 (ja) 乗客コンベアの作業用安全具の支持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