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710B1 -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710B1
KR102445710B1 KR1020190082065A KR20190082065A KR102445710B1 KR 102445710 B1 KR102445710 B1 KR 102445710B1 KR 1020190082065 A KR1020190082065 A KR 1020190082065A KR 20190082065 A KR20190082065 A KR 20190082065A KR 102445710 B1 KR102445710 B1 KR 102445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na
blue light
extract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151A (ko
Inventor
곽태일
김광일
김준혁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팜스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팜스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팜스킨
Priority to KR1020190082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710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4Aftersun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센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380~500 nm 파장의 블루라이트의 통과를 현저하게 감소시켜 피부세포를 보호한다. 따라서 블루라이트 차단의 기능 또는 블루라이트로부터 파생되는 피부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 및 각종 질환과 관련된 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하거나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이나 약학적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Description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blue light interception comprising Senna alexandrina extract}
본 발명은 센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우리 몸의 가장 큰 기관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외부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러 외부 자극 중 햇빛에 의한 광 손상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광 손상 방지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제로 광 차단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영역으로서 블루라이트의 차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자외선 차단제로 인해 이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최근에는 TV,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와 LED 조명기기 등에 의한 블루라이트가 피부에 미치는 유해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Liebmann J., et al., J. Invest. Dermatol. 130(1), 259-269 (2010); Nakashima Y., et al., Free Radic. Bio. Med. 108, 300-310(2017)).
블루라이트란 가시광선 영역에서 푸른색 계열의 빛으로 높은 에너지를 갖는 400~500 nm 파장의 빛이다. 한국안광학회지에서는 좀 더 엄밀하게 블루라이트를 자색광(400 nm)과 청색광(460 nm)사이에 있어서 보랏빛이 감도는 부분이라고 한다(J Korean Opthalmic Opt Soc. 23(1), 57-63 (2018)). 블루라이트는 태양의 자외선보다 더 깊은 피부 층에 침투하기 때문에 활성산소(ROS)를 생성하고,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DNA 손상, 세포 기능장애, 세포 노화를 야기한다고 보고 있다(Godley BF. et al., J. Biol. Chem. 280(22), 21061-21066 (2005)).
세포는 직·간접적으로 생성된 자유 라디칼은 피부 세포의 단백질, 지질 등을 산화시키거나 DNA를 파괴시켜 세포사멸 또는 피부암을 유발하게 한다(Kang, S., et al., Am. J. Pathol., 166, 1691-1699(2005); Matsumura, Y., at al., Toxicol. Appl. Pharmacol., 195(3), 298-308(2004)).
일반적으로, 세포 내 항산화 효소들은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서로 상호작용을 형성한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자유 라디칼이 세포 내의 항산화 효소간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초과할 때 형성된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염증 및 광 손상의 병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Simon R. et al., 49, 1603-1616(2010); Afaq F., et al., Experimentla Dematology, 15, 678-684(2006)) 따라서 블루라이트 파장을 흡수파장 및 항산화능을 확인함으로써 피부세포의 손상을 예방효과를 가질 수 있다.
최근, 스피루리나, 황칠나무 부정근 분획물, 빌베리 등의 식물 추출물은 항산화 또는 블루라이트 흡수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블루라이트로부터 손상을 개선한다고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특허등록 10-185162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918939호, Ogawa K., et al., BMC Complement. Altern. Med., 14, 120-131(2014)).
센나(Senna alexandrina Mill)는 콩과의 관목으로 아프리카와 인도가 원산지이다. 높이는 1 m까지 자라는 아관목이다. 줄기는 녹색이며 잎은 깃꼴 ?횬纛막? 둥근 타원형으로 가장자리는 톱니가 없이 밋밋하고, 두꺼운 편이다. 꽃은 3~4월에 황색으로 산방화서로 달린다. 열매는 협과로 초여름에 녹색이나 마르면 갈색이 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21008호는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587443호는 센나 추출물, 티네블린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 바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제2002-255733호 등에서는 일부 센나잎 추출물이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제안하고 있다. 이것은 자외선 영역에 국한되어 일반적으로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는 전혀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센나 추출물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85162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918939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2100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1587443호 일본특허공개 제2002-255733호
1. Liebmann J., et al., J. Invest. Dermatol. 130(1), 259-269 (2010) 2. Nakashima Y., et al., Free Radic. Bio. Med. 108, 300-310(2017) 3. Ogawa K., et al., BMC Complement. Altern. Med., 14, 120-131(2014)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알려진 바 없는 새로운 블루라이트 차단용 소재를 개발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피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소재의 제공을 해결과제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나 추출물을 이용하여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나 추출물을 이용한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나 추출물의 피부적용을 위한 광손상 예방과 치료용 의약적 용도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나로부터 추출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센나(Senna alexandrin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광손상 예방 및 회복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광손상 예방 및 회복을 위한 식음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나추출물을 블루라이트 차단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광손상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센나를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나 추출물로 이루어진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블루라이트 유발에 의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와 활성산소종에 대한 소거능을 갖는다. 따라서 세포사멸을 감소시키고 세포생존율을 회복시킴으로써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센나 추출물은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의 광손상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과 광손상 회복 및 예방용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로 인하여 광손상 예방, 회복 등을 위한 식음료 조성물로서도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나잎 추출물에 대한 불루라이트 차단 효과 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센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센나(Alexandrian Senna, Senna alexandrina)는 센노사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모든 안트라키논 종류는 장관벽을 자극하고 배변을 촉진하지만, 습관성이 되기 쉬우므로 이 허브의 사용은 권하지 않는다. 센나만 사용하면 복통을 일으키므로 일반적으로 생강이나 펜넬, 코리안더, 딜, 오렌지껍질, 감초 등의 방향성 허브나 소화기능을 증진하는 허브와 섞어서 사용한다. 잎과 협과는 하부의 소화기관을 청소하고 자극하므로 단식용으로도 쓰인다.
본 발명에서 원료로 사용되는 센나는 센나잎, 센나꽃, 센나열매, 센나뿌리 중에서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센나 추출물은 센나잎, 센나꽃, 센나열매, 센나뿌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건조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센나잎 또는 센나열매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센나잎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센나를 그대로, 건조하여 또는 분쇄한 후에 극성용매로 추출한 추출물과 센나의 건조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센나 추출물은 전형적으로는 센나의 극성용매 추출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센나 추출물을 블루라이트 차단용의 새로운 용도를 가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센나 추출물의 블루라이트 차단이라고 하는 효과는 블루라이트의 차단 또는 흡수를 통해 실질적으로 통과를 억제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바람직하게도 400 ~ 500 nm 파장의 블루라이트의 통과를 감소시켜 피부세포를 보호한다. 전형적으로는 블루라이트의 흡수 등으로 차단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400 ~ 500 nm 파장 영역은 눈으로 보이는 가시광선 영역으로서 블루라이트가 이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는 일반적인 자외선 파장영역인 270 nm 이하나, 270 ~ 350 nm 파장 영역의 자외선 차단 효과와는 전혀 다른 작용기전을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센나 추출물을 종래와는 달리 400 ~ 500 nm 파장영역의 블루라이트 차단용의 새로운 용도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나 추출물은 블루라이트 차단의 기능 또는 블루라이트로부터 파생되는 피부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과 및 피부 질환과 관련된 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하거나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이나 식음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러한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은 블루라이트 차단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화장료 조성물, 식음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은 다른 성분들과 혼합하여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센나 추출물을 블루라이트 차단의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피부 광손상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나 식음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화장료, 식음료 또는 약학조성물에 사용되는 첨가제나 부형제 또는 다른 효능을 가진 성분과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센나 추출물을 0.1 ~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5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식음료 조성물의 경우 센나 추출물을 0.1 ~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5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경우 센나 추출물을 1 ~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15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은 센나를 극성용매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센나를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센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센나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a) 센나를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추출물에 탄수화물가수분해효소, 펙틴가수분해효소 및 셀룰로오스가수분해요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가하고 진탕·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추가적으로 (c) 상기 (b)단계의 배양물에 분획용 유기용매를 가하여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센나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센나 추출물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센나잎 또는 센나잎 분쇄물을 이용하여 극성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센나잎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a) 센나잎 또는 건조되고 분쇄된 센나잎을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수용액, 메탄올수용액, 이소프로판올수용액, 부탄올수용액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후속 단계인 (b)단계의 효소처리 과정이나 독성을 고려하면 에탄올수용액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코올수용액의 알코올 함량은 약 50 중량% 내지 약 100 중량%가 바람직하며, 약 75 중량% 내지 약 95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a)단계의 추출은 60-9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추출 수율이 떨어지고, 추출 시간이 길어지며, 너무 높은 온도에서 추출할 경우 센나잎 추출물 성분들의 변성이 있을 수 있다.
센나잎 추출물의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는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또한, (b) 상기 (a)단계의 추출물에 탄수화물가수분해효소, 펙틴가수분해효소 및 셀룰로오스가수분해효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가하고 진탕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양은 40 ~ 7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은 또한 효소를 이용한 (b)단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a)단계와 (b)단계 사이에 (a)단계의 추출물을 농축하고, 농축물을 예컨대 에탄올수용액으로 다시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에탄올수용액은 에탄올의 함량이 (a)단계의 추출 단계보다 낮은 5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약 10 중량% 에탄올수용액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센나잎 추출물의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는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또한 추가적으로 (c) 상기 (b)단계의 배양물에 분획용 유기용매를 가하여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러한 분획용 유기용매로는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트리클로로메탄, 부탄올 등이 단독으로 또는 1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나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도 센나잎 추출물은 물론 센나꽃, 센나열매, 센나줄기, 센나뿌리 등의 추출물에서도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센나잎 추출물로서 상세하게 설명하더라도 본 발명은 센나잎 만을 한정하지 않고 센나의 꽃, 열매, 줄기 및 뿌리의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에서도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센나잎 추출물의 가장 바람직한 제조방법은 (a) 센나잎 또는 분쇄된 센나잎을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추출물에 탄수화물가수분해효소, 펙틴가수분해효소 및 셀룰로오스가수분해요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가하고 진탕·배양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배양물에 분획용 유기용매를 가하여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은 피부 광손상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과 피부 광손상 예방 및 회복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피부연고제, 피부도포용 액제는 물론, 경우용 제제로서 겔, 정제, 캡슐, 과립제, 현탁액, 시럽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나 추출물은 통상의 다양한 식음료용 성분과 혼합하여 식음료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류, 에센스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메이크업 베이스류 등과 같은 기초제품, 색조제품 및 두발제품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에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은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블루라이트 유발에 의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활성산소종에 대한 소거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센나 추출물은 블루라이트 자체의 차단은 물론 세포사멸을 감소시키고 세포생존율을 회복시킴으로써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통해 피부질환의 예방과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센나 추출물은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의 광손상 치료 및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과 광손상 회복 및 예방용 약제 조성물로 유용하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 다양한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실험예 등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또는 실험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에 불과하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본 실시예와 실험예에서는 센나 추출물의 제조를 위해 대표적으로 센나잎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그 이외의 센나의 다른 부분들도 유사한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실시예 : 센나잎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센나잎 50 g을 분쇄한 후, 70% 에탄올 수용액 500 mL을 가하여 60~90℃에서 2시간 동안 가열추출하고 여과하였다. 이 추출과정을 2회 반복하고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을 DMSO (dimethyl sulfoxide)에 100 mg/mL로 용해시켜 스톡 용액을 제조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예 : 센나잎 추출물의 블루라이트 흡수 효과
블루라이트를 추출물이 포함된 큐빅에 조사하여 블루라이트 빛이 투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첨부도면 도 1에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센나잎 추출물이 블루라이트를 차단효과를 보여준 것이다. 도 1의 왼쪽 그림에서 정제수가 들어 있는 큐빅에서는 블루라이트가 통과된다. 반면에, 오른쪽 그림의 센나잎 추출물이 포함된 큐빅은 블루라이트가 흡수되어 통과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실험을 통해 실시예의 센나잎 추출물이 블루라이트 차단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 센나잎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상기 실시예의 센나잎 추출물에 대해 화장료 유효성분 물질로서의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라디칼소거실험(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과 활성산소(superoxide anion)소거활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자유라디칼소거시험은 Kim 등(Kor. J. Pharmacogn., 24 (4), 299~303(199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써, 안정한 자유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Sigma)을 사용하였다.
먼저, 0.2mM DPPH 용액 1㎖에 상기 추출 실시예에 따라 수득된 생약재 추출물 시료를 메탄올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2㎖ 혼합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한편, 상기 자유라디칼소거시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생약재 추출물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SC50은 자유라디칼 소거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대조군)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수학식 1]
Figure 112019069679517-pat00001
실험 시료 자유라디칼소거능
SC50(mg)
실시예의 센나잎 추출물 0.019 ± 1.0
실험예 3 : 센나잎 추출물의 세포독성실험
세포독성은 Moseman의 방법(Moseman T., J. Immuno. Methods, 65, 55(1983)) 및 Skaper 등의 방법(Skaper SD., et al., Cell Culture, 2, 17-33(1990))을 이용한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측정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인간 섬유아세포 HS68를 96 well plate에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센나잎 추출물 처리 12시간 후, MTT 5 mg/mL 용액을 각 well에 처리한 후에 37℃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배지를 제거한 후 DMSO를 넣어 형성된 포마르잔 크리스탈을 녹여서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595 nm에서 측정하였다. 세포에 대한 독성은 각각의 대조구의 평균 흡광도 값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냈다.
섬유아세포에서 센나잎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 20, 50 μg/mL 농도의 센나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대조구인 DMSO만을 처리한 것과 비교하여 세포증식의 변화 정도를 계산하여 세포독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Significant results according to students test (p < 0.05)로서, 첨부도면 도 2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에서 보면, 상기 실시예에 따른 센나잎 추출물을 섬유아세포에 처리했을 때 세포독성 유무를 보여준다. 여기서, 센나잎 추출물은 50 μg/mL까지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나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은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우수하고 항산화효과가 우수하며, 독성도 없는 것이므로 천연 바이오 소재로 화장료나 식음료용, 의약용 소재로 널리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뛰어난 천연 바이오 소재 조성물을 제공하기 때문에 생명바이오 식의약 산업상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센나 추출물을 블루라이트 차단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광손상 예방 또는 회복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센나(Senna alexandrina) 추출물은 센나잎, 센나꽃, 센나열매, 센나줄기, 센나뿌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부터 극성용매로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센나 추출물을 블루라이트 차단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불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광손상 예방 및 회복를 위한 식음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센나(Senna alexandrina)를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광손상 예방 또는 회복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센나의 추출 후에 탄수화물가수분해효소, 펙틴가수분해효소 및 셀룰로오스가수분해요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가하고 진탕·배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진탕·배양하는 단계 후에 그 배양물에 분획용 유기용매를 가하여 분획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센나(Senna alexandrina)는 센나잎, 센나꽃, 센나열매, 센나줄기, 센나뿌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90082065A 2019-07-08 2019-07-08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KR102445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065A KR102445710B1 (ko) 2019-07-08 2019-07-08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065A KR102445710B1 (ko) 2019-07-08 2019-07-08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151A KR20210006151A (ko) 2021-01-18
KR102445710B1 true KR102445710B1 (ko) 2022-09-23

Family

ID=7423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065A KR102445710B1 (ko) 2019-07-08 2019-07-08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71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733A (ja) * 2001-02-28 2002-09-11 Alps Yakuhin Kogyo Kk センノサイド抽出残渣を有効成分とする有用素材
JP2005015399A (ja) 2003-06-26 2005-01-20 Alps Yakuhin Kogyo Kk 機能性素材、並びに該機能性素材を含有する化粧料原料、化粧料、機能性食品、及び魚用飼料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5527A (ja) * 1993-12-15 1995-06-27 Shiseido Co Ltd 紫外線吸収性皮膚化粧料
KR101121008B1 (ko) 2009-09-10 2012-03-16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보습 및 진피 강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661203B1 (ko) * 2014-09-11 2016-09-29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말채나무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광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7443B1 (ko) 2015-06-26 2016-01-21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센나 추출물, 티네블린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25355A (ko) * 2015-08-28 2017-03-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851623B1 (ko) 2017-07-25 2018-06-04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8939B1 (ko) 2018-04-25 2018-11-15 (주)더마랩 황칠나무 부정근 분획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733A (ja) * 2001-02-28 2002-09-11 Alps Yakuhin Kogyo Kk センノサイド抽出残渣を有効成分とする有用素材
JP2005015399A (ja) 2003-06-26 2005-01-20 Alps Yakuhin Kogyo Kk 機能性素材、並びに該機能性素材を含有する化粧料原料、化粧料、機能性食品、及び魚用飼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151A (ko) 2021-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21738A1 (en) Bioactive botanical cosmeti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EP1991242A2 (en) Parthenolide free bioactive ingredients from feverfew (tanacetum parthenium)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CN108403495B (zh) 一种山茶花提取物及包含该山茶花提取物的中草药化妆品
KR101332214B1 (ko)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04073B1 (ko) 삼칠 추출물, 첨과 추출물 및 석곡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 종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404B1 (ko)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38984A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7071B1 (ko) 두피 지루 피부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KR20180125757A (ko) 포포나무 유효성분의 추출 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45710B1 (ko)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KR20100121352A (ko) 피부노화 예방 및 미용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그리고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1583595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471694B1 (ko)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38536B1 (ko) 함초가 혼합된 미용팩 제조방법
KR100466379B1 (ko)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889344B1 (ko) 패각 용해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얻어진 오크라, 여주 및 노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4852B1 (ko)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30113474A (ko) 폴리페놀계 포도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품
KR20200062726A (ko) 적과자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주름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07593B1 (ko) 피부 외관 개선용 조성물
KR102670380B1 (ko) 구두치, 님 및 홍화의 효소가수분해 혼합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 및 보습 증진용 조성물
KR101314680B1 (ko) 복분자 파우더를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