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694B1 -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694B1
KR102471694B1 KR1020190166094A KR20190166094A KR102471694B1 KR 102471694 B1 KR102471694 B1 KR 102471694B1 KR 1020190166094 A KR1020190166094 A KR 1020190166094A KR 20190166094 A KR20190166094 A KR 20190166094A KR 102471694 B1 KR102471694 B1 KR 10247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 light
present
extract
turmeric extrac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6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927A (ko
Inventor
곽태일
김광일
김준혁
박현철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팜스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팜스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팜스킨
Priority to KR1020190166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694B1/ko
Priority to US17/085,315 priority patent/US20210177735A1/en
Publication of KR2021007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6Curcuma, e.g. common turmeric, East Indian arrowroot or mango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여러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블루라이트로부터 피부나 사물의 광 손상을 사전에 차단하고 예방할 수 있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황 추출물은 380~500 nm 파장의 블루라이트의 흡수시켜 피부나 사물 등에 대하여 블루라이트를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피부세포를 보호하므로 광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바이오 소재 등으로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Blue light blocking composition comprising curcuma aromatica salisb extract}
본 발명은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여러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블루라이트로부터 피부나 사물의 광 손상을 사전에 차단하고 예방할 수 있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우리 몸의 가장 큰 기관으로써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외부 자극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러 외부 자극 중 햇빛에 의한 광 손상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TV,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와 LED 조명기기 등에 의한 블루라이트가 피부에 미치는 유해성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Liebmann J., et al., J. Invest. Dermatol. 130(1), 259-269 (2010); Nakashima Y., et al., Free Radic. Bio. Med. 108, 300-310(2017)).
특히, 피부의 광 손상의 원인이 되는 블루라이트란 가시광선 영역에서 푸른색 계열의 빛으로 높은 에너지를 갖는 380~500 nm 파장의 빛이다. 블루라이트는 태양의 자외선보다 더 깊은 피부 층에 침투하기 때문에 활성산소(ROS)를 생성하고,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DNA 손상, 세포 기능장애, 세포 노화를 야기한다고 보고되고 있다(Godley BF. et al., J. Biol. Chem. 280(22), 21061-21066 (2005)).
세포는 직·간접적으로 생성된 자유 라디칼은 피부 세포의 단백질, 지질 등을 산화시키거나 DNA를 파괴시켜 세포사멸 또는 피부암을 유발하게 한다(Kang, S., et al., Am. J. Pathol., 166, 1691-1699(2005); Matsumura, Y., at al., Toxicol. Appl. Pharmacol., 195(3), 298-308(2004)).
일반적으로, 세포 내 항산화 효소들은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서로 상호작용을 형성한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자유 라디칼이 세포 내의 항산화 효소간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초과할 때 형성된다. 산화적 스트레스는 염증 및 광손상의 병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Simon R. et al., 49, 1603-1616(2010); Afaq F., et al., Experimentla Dematology, 15, 678-684(2006)). 따라서 블루라이트 파장을 흡수파장 및 항산화능을 확인함으로써 피부세포의 손상을 예방효과를 가질 수 있다.
최근, 스피루리나, 황칠나무 부정근 분획물, 빌베리 등의 식물 추출물은 항산화 또는 블루라이트 흡수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블루라이트로부터 손상을 개선한다고 알려져 있다(한국특허등록 제10-1851623호, 한국특허등록 제10-1918939호, Ogawa K., et al., BMC Complement. Altern. Med., 14, 120-131(2014)).
강황(Curcuma aromatica Salisb)는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식품으로 인도가 원산지이고 식품에 노란색을 부여하는 천연향신료로 알려져 있다. 주요성분은 탄수화물 약 70%와 Curcuminoids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폴리페놀 성분인 Curcumin이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Anandakumar S et a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4), 612-617(2014)).
강황의 화장료 적용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한국특허공개 제10-2018-0137151호는 강황 잎 및 황촉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특허등록 제10-143587호는 강황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한국특허공개 제10-2016-0094690호에서는 강환을 자외선 차단제로 적용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기술들은 화학적 작용에 의한 피부 광 손상이나 피부 개선을 시도하고 있어서 피부를 근본적인 광 손상으로부터 차단하거나 보호하여 광 손상을 근본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하지 못하여 피부나 사물을 광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최근 환경오염이 심각하고 오존층 파괴 등으로 햇빛에 의한 직사광선이나 각종 조명이나 전자기기의 광선 등에 의해 노출되는 피부나 사물을 광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안 마련이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특허등록 제10-1851623호 한국특허등록 제10-1918939호 한국특허공개 제10-2018-0137151호 한국특허등록 제10-143587호
1. Ogawa K., et al., BMC Complement. Altern. Med., 14, 120-131(2014).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화장료 조성물과는 달리 햇빛에 의한 직사광선이나 각종 조명이나 전자기기의 광선 등에 의해 노출되는 피부나 사물을 광 손상으로부터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바이오 소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해 장기간 부단하게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강황 추출물이 블루라이트 파장 등에 대한 특수한 광 흡수성을 가지면서 광 차단 효과가 우수하고 이를 이용하면 피부나 사물을 블루라이트 광 손상으로부터 근본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놀라운 사실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황 추출물을 이용하여 피부를 블루라이트 광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를 광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의 광 손상을 예방하는 블루라이트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루라이트에 의한 광 손상 차단을 통해 다양한 사물의 광 손상 예방을 위하여 의약 화장품 등의 첨단 바이오의약 분야, 광민감 소재분야에서 새로운 바이오 첨가제로 사용 가능한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광 손상 예방용 바이오 소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과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 손상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광 손상 억제 및 완화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을 피부나 사물의 광 손상 예방을 위한 첨가제로 포함하는 광 손상 예방용 바이오 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강황 추출물은 강황을 물이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은 자연광이나 조명 또는 전자기기로부터 방출되는 블루라이트를 완벽하게 흡수하여 차단함으로서 광 손상을 근본적으로 차단 예방하여 피부나 사물을 광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라이트 보호용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강황 추출물이 블루라이트의 차단을 통해 피부에 발생된 문제의 개선이 아니라 피부에 광 손상 자체가 일어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는 점에서 그 근본적인 작용 기전이 전혀 다르고, 피부뿐만이 아니라 다른 사물의 블루라이트에 의한 광 손상도 사전에 차단 예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는 달리 광 손상으로부터의 보호와 광 손상 예방 효과가 월등하게 우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블루라이트 등 광 차단 효과에 의한 피부의 광 손상을 일으키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과 광 손상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로 매우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강황 추출물 함유 조성물은 블루라이트에 의한 광 손상 자체에 대한 영향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이나 의약품, 바이오제품, 첨장 광 민감 소재 등의 첨가제나 작용제, 코팅제, 필름 등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바이오 소재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황 추출물에 대한 흡수 스펙트럼 실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황 추출물이 블루라이트 파장범위에서 블루라이트가 투과하지 못하는 것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황 추출물의 활성산소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황 추출물의 블로라이트에 대한 섬유아세포 보호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EMT의 블루라이트에 대한 섬유아세포 보호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황 추출물이 블루라이트 조사로 유발된 세포내 ROS생성 억제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하나의 구현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또한 실시예, 실험예 등의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현예나 실시예 또는 실험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강환 추출물을 단순한 화장료로 활용하여 노화방지나 피부의 손상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광 흡수를 통해 피부나 각종 사물을 광으로부터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강황 추출물의 단일 추출물에 의해 피부나 사물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특히, 블루라이트는 자외선 등 다른 유해성 광선과는 다른 특정 파장영역을 가진 광선이며, 이러한 블루라이트도 피부, 바이오 물질 등에 대하여 매우 심각한 유해성 요인으로 작용되므로 이러한 블루라이트의 차단 효과를 가지는 물질을 새롭게 규명하여 찾아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블루라이트는 380~500 nm의 파장영역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강황 추출물이 380~50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500nm의 블루라이트 파장을 흡수하여 투과시키지 않으며, 자유 라디칼 형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은 기존에 특별한 차단제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블루라이트에 대해 천연 소재인 강황 추출물이 흡수 등의 작용으로 차단 효과가 있음을 발명한 결과이다.
강황은 기능성이 우수한 식품으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강황에는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성분, 특히 커큐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겨울철감기 및 각종 질병을 예방,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피부 노화 예방, 항염증 효능, 생리불순 완화, 혈액순환 증진, 혈관 질환 예방, 치매예방, 세포 활성, 간 기능 개선, 숙취 해소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강황은 항산화작용으로 인해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서 일부에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되고 있으나, 특정 파장영역의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는 전혀 제안된 바 없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강황 추출물은 통상적인 분말 등 다양한 형태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강황추출물은 예컨대 물이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알코올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저급알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강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일 예로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어 (a)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추출물에 탄수화물가수분해효소, 펙틴가수분해효소 및 셀룰로오스가수분해요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가하고 진탕·배양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배양물에 분획용 유기용매를 가하여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강황 추출물의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황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강화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제조방법은 (a) 강황을 에탄올수용액, 메탄올수용액, 이소프로판올수용액, 부탄올수용액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알코올수용액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속 단계인 (b)단계의 효소처리 과정이나 독성을 고려하면 에탄올수용액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코올수용액의 경우 알코올 함량은 약 50 중량% 내지 약 100 중량%가 바람직하며, 약 75 중량% 내지 약 95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a)단계의 추출은 예컨대 60-90℃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추출 수율이 떨어지고, 추출 시간이 길어지며, 너무 높은 온도에서 추출할 경우 강황 추출물 성분들의 변성이 있을 수 있다.
강황 추출물의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는 상기 제조방법은 또한 (b) 상기 (a)단계의 추출물에 탄수화물가수분해효소, 펙틴가수분해효소 및 셀룰로오스가수분해효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가하고 진탕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양은 40-7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은 또한 효소를 이용한 (b)단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a)단계와 (b)단계 사이에 (a)단계의 추출물을 농축하고, 농축물을 에탄올수용액으로 다시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에탄올수용액은 에탄올의 함량이 (a)단계의 추출 단계보다 낮은 5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약 10 중량% 에탄올수용액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강황 추출물의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를 증대시키는 제조방법은 또한 (c) 상기 (b)단계의 배양물에 분획용 유기용매를 가하여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획용 유기용매로는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트리클로로메탄, 부탄올 등이 단독으로 또는 하나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외용제, 피부연고제, 경구제 등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피부 광 손상 억제 및 완화용 건강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연고제, 겔, 정제, 캡슐, 과립제, 현탁액, 시럽, 패취제, 테이프형태, 필름형태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형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류, 에센스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메이크업베이스류 등과 같은 기초제품, 색조제품, 자외선차단제 및 두발제품 등과 같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고체상 등 다양한 성상으로 적용이 가능하며, 통상적인 화장료 제조법에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황 추출물을 적용한 바이오 소재로서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겔제, 분말, 액상 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화장료, 약학적 조성물은 물론 광민감 바이오 제품, 광민감 첨단 부품소재 등에도 첨가제로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서의 바이오 소재는 다른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코팅, 분무, 필름형태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와 실험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 강황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강황 50 g을 분쇄한 후, 95% 에탄올 수용액 500 mL을 가하여 60~90℃에서 2시간 동안 가열추출하고 여과하였다. 이 추출과정을 2회 반복하고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추출물을 DMSO (dimethyl sulfoxide)에 100 mg/mL로 용해시켜 스톡 용액을 제조하여 이용하였다.
실험예 1 : 강황 추출물의 블루라이트 흡수 및 투과도
추출물의 블루라이트 흡광 및 투과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블루라이트 파장인 380nm~50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첨부도면 도 1과 도 2에 각각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황 추출물이 블루라이트 범위인 380~500nm의 파장을 흡수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의 그래프를 보면 흡수 스펙트럼을 실시하였을 때 430nm일 때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황 추출물이 블루라이트 범위 중에서도 380~460nm의 파장을 거의 모두 흡수하여 블루라이트가 투과하지 못하는 것을 보여준다.
실험예 2 : 강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 물질의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실험(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est)을 실시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시험은 Kim 등(Kor. J. Pharmacogn., 24 (4), 299~303(1993))의 방법을 변형한 것으로써, 안정한 자유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igma)을 사용하였다.
먼저, 0.2mM DPPH 용액 1㎖에 상기 추출 실시예에 따라 수득된 강황 추출물 시료를 메탄올에 적당한 농도로 희석하여 2㎖ 혼합하고, 실온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한편, 상기 자유라디칼 소거시험에서의 대조군은 시료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며, DPPH 용액 대신 메탄올을 넣어 강황 추출물 시료와 대조군에 대한 각각의 색 보정값을 얻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수치로 계산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SC50은 자유라디칼 소거율 50%를 달성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료의 농도로서 다른 성분물질과 상대적으로 비교할 때 사용하는 수치로서 값이 작을수록 소거율이 높음을 나타낸다.
[수학식 1]
Figure 112019128758386-pat00001
추출시료 자유라디칼소거능
SC50(ug/mL)
강황 추출물 43.6 ± 1.3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황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활성산소에 대한 효과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해, 강황 추출물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산소가 감소함을 확인 하였다.
실험예 3 : 강황 추출물의 블루라이트 세포보호 효과
블루라이트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는 Moseman의 방법(Moseman T., J. Immuno. Methods, 65, 55(1983)) 및 Skaper 등의 방법(Skaper SD., et al., Cell Culture, 2, 17-33(1990))을 이용한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tet-
razolium bromide) 측정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인간 섬유아세포 HS68를 96 well plate에 배양하였다. 강황 추출물을 처리하고 블루라이트의 파장을 2시간 조사하였다. 그 후, MTT 5 mg/mL 용액을 각 well에 처리한 후에 37℃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배지를 제거한 후 DMSO를 넣어 형성된 포마르잔 크리스탈을 녹여서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595 nm에서 측정하였다. 세포에 대한 보호효과는 각각의 대조구의 평균 흡광도 값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냈다.
섬유아세포에서 강황 추출물의 블루라이트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1, 25 μg/mL 농도의 강황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대조구인 DMSO만을 처리한 것과 비교하여 세포생존의 변화 정도를 계산하여 세포보호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첨부 도면의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섬유아세포에 강황 추출물을 처리하고 블루라이트를 조사했을 때 세포보호 유무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해, 강황 추출물에 대하여 1 μg/mL, 25 μg/mL에서 블루라이트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 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차단제가 블루라이트에 대한 보호효과를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UVB에서 UVA까지 폭넓게 커버하는 자외선 흡수제인 bis-ethylhexyloxyphenol methoxyphenyl triazine (BEMT)을 수용화시켜 놓은 원료를 사용하여 섬유아세포에서 세포독성이 없는 농도를 선정하여 블루라이트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했다.
그 결과를 첨부 도면의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섬유아세포에 BEMT를 처리하고 블루라이트를 조사했을 때 세포보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예 4 : 세포내 Reactive Oxygen Species ( ROS ) 생성 측정
블루라이트가 조사된 피부세포 내에서의 ROS를 측정하기 위해서 강황 추출물을 처리 후 블루라이트 조사한 다음 10 μM DCF-DA가 첨가된 DMEM 배지를 가하고 30분 후 DCF를 측정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10 μM DCFH-DA이 첨가된 DMEM 배지에서 37℃, 5% CO2 배양기에서 30분간 배양한 후 HBSS로 DCFH-DA를 3회 씻어낸 후 fluorescence microplate reader (Bio-Tek instrument, USA)를 이용하여 excitation 485 nm, emission 530 nm에서 형광을 측정하였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황 추출물이 블루라이트 조사로 유발된 세포내 ROS생성 억제효과를 보여준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포내 ROS가 강황 추출물의 처리에 의하여 1, 25 μg/mL에서 유의성 있게 억제시켰다. 따라서 블루라이트에 의해 발생된 ROS를 제거함으로써 강황 추출물은 피부의 블루라이트에 대한 예방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블루라이트 차단 효과가 뛰어난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는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바이오 소재 등의 천연소재 조성물을 제공하기 때문에 생명바이오 식의약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삭제
  2. 강황을 에탄올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60~90℃에서 추출한 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66094A 2019-12-12 2019-12-12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KR102471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094A KR102471694B1 (ko) 2019-12-12 2019-12-12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US17/085,315 US20210177735A1 (en) 2019-12-12 2020-10-30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curcuma aromatica salisb extract and elaeocarpus sylvestris var. ellipticus extract for blocking blue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6094A KR102471694B1 (ko) 2019-12-12 2019-12-12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927A KR20210074927A (ko) 2021-06-22
KR102471694B1 true KR102471694B1 (ko) 2022-11-29

Family

ID=76316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6094A KR102471694B1 (ko) 2019-12-12 2019-12-12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177735A1 (ko)
KR (1) KR1024716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5323A (ko)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팜스킨 강황 초음파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2047A (ja) * 2012-07-09 2015-08-03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光保護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587B1 (ko) 1995-04-15 1998-09-15 김경학 침대
CA2654303C (en) * 2006-06-08 2016-07-26 The Iams Company Use of at least one polyphenol for promoting eye health
KR101661203B1 (ko) * 2014-09-11 2016-09-29 주식회사 사임당화장품 말채나무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광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8095B1 (ko) * 2015-11-26 2018-05-15 우수정 커큐민을 포함하는 강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 형성 억제, 및 소양증 완화용 화장품 조성물
KR20180002248A (ko) * 2016-06-29 2018-01-0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오브알부민 나노복합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9034B1 (ko) * 2016-12-07 2019-06-1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주인디 쪽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7151A (ko)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 세바바이오텍 강황잎 및 황촉규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광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1623B1 (ko) 2017-07-25 2018-06-04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7582981A (zh) * 2017-10-20 2018-01-16 广东轻工职业技术学院 一种兼具紫外光和蓝光防护功效的中药组合物及应用
KR101918939B1 (ko) 2018-04-25 2018-11-15 (주)더마랩 황칠나무 부정근 분획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22047A (ja) * 2012-07-09 2015-08-03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光保護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927A (ko) 2021-06-22
US20210177735A1 (en)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hlhardt-Floehr et al. Prooxidant and antioxidant behaviour of usnic acid from lichens under UVB-light irradiation–Studies on human cells
Patro et al.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evaluation and estimation of total phenolic, flavonoidal content of Mimosa pudica L
Susanti et al. Bioactive constituents from the leaves of Melastoma malabathricum L.
Mehrabani et al. Screening of sun protective activity of the ethyl acetate extracts of some medicinal plants
KR101824770B1 (ko) 적하수오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661203B1 (ko) 말채나무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광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Ropke et al. In vitro and in vivo inhibition of skin matrix metalloproteinases by Pothomorphe umbellata root extract
KR102471694B1 (ko) 강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CN108815085B (zh) 一种防晒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504320B2 (en) Use of naturally glycosylated polyphenols as protective agents against the effects of ultraviolet irradiation
KR101904215B1 (ko) 대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을 위한 조성물
KR100898307B1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1467A (ko) 끈끈이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광노화 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190000175A (ko) 미역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5710B1 (ko) 센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조성물
KR101413643B1 (ko) 유리코마 롱기폴리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98392B1 (ko) 가막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0379984B1 (ko) 초피나무 씨앗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100820010B1 (ko) 라벤더,베르가못,후리지아,페퍼민트,카모마일 및 로즈마리를 함유하는 피부 및 두피 보호용 항산화 허브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78570B1 (ko) 항노화 조성물
KR20210158661A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개선 또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3974A (ko) 항산화 활성이 있는 나문재 추출물
JP5425413B2 (ja) エラスターゼ阻害剤
KR102481576B1 (ko) 강황 추출물과 담팔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3474A (ko) 폴리페놀계 포도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