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4852B1 -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4852B1
KR100864852B1 KR1020070041898A KR20070041898A KR100864852B1 KR 100864852 B1 KR100864852 B1 KR 100864852B1 KR 1020070041898 A KR1020070041898 A KR 1020070041898A KR 20070041898 A KR20070041898 A KR 20070041898A KR 100864852 B1 KR100864852 B1 KR 100864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thanol
upper leaf
mulberry leaf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식
황지환
도연경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4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4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4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4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61K36/605Morus (mulber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Abstract

본 발명은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에탄올에 상엽 및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첨가하여 효소반응을 시키는 단계; (b) 상기 효소반응물에 아세톤을 첨가한 후, 막 여과 또는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가용화된 추출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용 상엽 추출물을 제공함으로써, 소수성 및 정제도가 증가된 상엽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수득할 수 있게 하여 화장료용 조성물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소수성, 상엽 추출물, 에탄올, 베타-글루코시다아제, 아세톤

Description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mulberry leaf extract with improved hydrophobicity}
도 1은 상엽 추출물을 베타-글루코시다아제로 처리한 후 접촉각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엽 추출과 효소 분해를 동시에 수행한 상엽 추출물의 루틴과 퀘르세틴 함량을 대조구와 비교하여 HPLC로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에탄올의 상엽 추출물에 효소 분해를 수행한 상엽 추출물의 루틴과 퀘르세틴 함량을 대조구와 비교하여 HPLC로 나타낸 그래프.
본 발명은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엽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고 여기에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처리하는 공정을 통하여 생리활성 추출물의 소수성 특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용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추출된 상엽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뽕나무(상근백피, 신농본초경)는 오래전부터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혈압강하 및 혈액순환 개선을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는 약재로써, 근래에는 뽕나무 중에 포함되어 있는 생리활성물질들에 대해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효과[N. Asano et al., J. Agric. Food Chem. 2001(); S. H. Lee et al., Biol. Pharm. Bull. 2002; S. Y. Seo et al., J. Agric. Food Chem. 2003(51) 2837-2853] 및 항산화효과[J. Zhishem et al., Food Chemistry 1999; N. Asano et al., J. Agric. Food Chem. 2001; T. Katsube et al., Food Chemistry 2006] 등이 보고되면서 약재 및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써 뿐만 아니라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로써 그 활용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특히, 뽕나무와 같은 다년생 목본식물의 경우, 잎(leaf)은 매년 그 채취가 가능하며,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와 같은 2차 대사 산물들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산업적으로 이용가치가 더욱 높다고 하겠다.
그러나, 상엽 추출물에는 상당히 많은 종류의 배당체들이 생리활성물질로써 함유되어 있지만, 이 물질들은 물에 대한 친화도가 높은 친수성 당(glycoside) 잔기(residue)들을 분자 내에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어서 이들 추출물을 그대로 기능성 화장료의 소재로서 적용할 경우, 소수성인 인체 피부에 대하여 이들 생리활성물질의 경피 투과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소수성인 피부에 대한 물질의 투과효율은 소수성일수록 그리고 저분자일수록 그 투과효율이 증가되고, 그 반대인 경우에는 투과효율이 저감되기 때문이다.
한편, 베타-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는 당(糖) 가수분해효소의 하나 로 공지되어 있으며, 산업적으로는 이소플라본 배당체로부터 당 잔기를 떼어내는 목적으로 어글리콘(aglycone) 이소플라본 제조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361356호의 아글루콘이소플라본이 농후한 식물성 단백질 추출물과 분리물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등록특허 제411647호의 식물성 단백질 이소플라본 결합체의 아글루콘으로의 2단계 전환방법 및 대한민국등록특허 제442205호의 베타-글루코시다제를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및 이를 이용하여 이소플라본을 이소플라본 비배당체로 전환하는 방법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산업적으로 이용한 기술들은 대부분 이소플로본을 비배당체로 전환하는 방법에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엽 추출물의 생리활성성분에 포함되어 있는 당의 잔기를 가수분해하여 분리시키면, 상엽 추출물의 소수성 특성을 증가시켜서 피부 투과율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상엽 추출물에 특정 효소를 반응시켜서 당의 잔기를 분리시켜서 소수성의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착안하였다.
또한, 상엽 추출물의 생리활성성분을 이루고 있는 배당체들로부터 당의 잔기를 가수분해하여 분리시킴으로써, 상엽 추출물 중의 많은 생리활성물질들이 저분자화되어 그 크기적인 측면에서도 피부투과에 더욱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엽 추출물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의 물리적 특성을 소수성으로 개선하고 물질의 크기를 저분자화할 수 있는 간편한 추출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종래 특정 단일 성분인 아글리콘 이소플라본의 생산방법에만 국한적 으로 사용해 왔던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상엽 추출물에 사용하여 피부투과성을 개선시켜서 이를 화장료용 조성물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엽의 에탄올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다제를 처리하여 생리활성추출물의 소수성 특성을 극대화하면서 저분자화한 화장료용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에탄올에 상엽 및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첨가하여 효소반응을 시키는 단계; (b) 상기 효소반응물에 아세톤을 첨가한 후, 막 여과 또는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가용화된 추출분획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용 상엽 추출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에탄올에 상엽과 베타-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를 첨가하여 상엽의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면서 동시에 효소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소수성 및 정제도가 증가된 상엽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수득할 수 있게 하여 화장료용 조성물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계적으로 에탄올에 상엽을 첨가하여 상엽의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한 다음, 상기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첨가하여 효소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효소 반응의 최적 온도와 용매 추출 온도를 절절하게 맞춰서 용매 추출과 효소 반응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시간적 효율이나 경제적 효율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엽(mulberry leaf)은 살충제 등으로 처리되지 않은 신선한 상엽 또는 이를 건조한 건조 상엽을 사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건조 상엽을 마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건조 및 마쇄의 방법은 열풍건조, 동결건조 등 공지된 여러 방법 중에 선택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는 건조 상엽 분말이 표면적이 넓어서 추출 용매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에 바람직하게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상엽을 추출하는 추출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하는데, 이는 에탄올이 다양한 성질(수용성 및 지용성)의 생리활성물질들을 추출할 수 있으면서 베타-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이 효율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에탄올은 인체에 자극이 없는 의약이나 화장료 용도로 사용하는 등급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추출한 상엽 유래의 생리활성물질 추출물은 피부에 직접 사용할 수 있는 화장료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에탄올은 최종농도가 5∼30%의 에탄올(v/v)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v/v) 내외의 에탄올에서 추출하는 것이 좋다. 이는 5%(v/v) 미만의 에탄올에서 상엽을 추출하면 생리활성 물질의 추출효율이 낮으며, 30%(v/v)를 초과한 에탄올에서 추출하면 상기 추출물에서 효소의 활성이 저해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에탄올에 상엽과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첨가하여 추출과 효소반응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에는 추출 및 효소 반응 온도에 바람직한 25 내지 80℃, 더 바람직하게는 40℃ 전후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한다. 이는 상술한 온도 범위가 용매 추출이 적합하면서 베타-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 온도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에탄올에 상엽을 먼저 추출할 경우에는 추출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에서 추출하는 것이 좋다. 이는 추출온도가 25℃ 미만인 경우에는 생리활성물질의 추출효율이 낮고, 추출온도가 120℃를 초과할 경우에는 열에 의해 생리활성물질이 분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엽 추출물의 소수성(hydrophobic)을 증가시키기 위해 첨가하여 사용하는 베타-글루코시다아제의 첨가량은 바람직하게는 상엽 중량 대비 0.1∼0.5%(w/w)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효소농도가 0.5%(w/w)를 초과하여 사 용할 경우에는 효소반응 시간이 빨리 일어나지만 효소양의 증가로 인해 처리 비용이 증가하며, 효소농도가 0.1%(w/w) 미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효소반응이 느리게 일이나 처리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이때, 베타-글루코시다아제의 효소 활성을 위해 최적 pH를 염을 첨가한 완충 용액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데, pH는 3∼7로 조절하여 효소 반응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효소 활성에 최적인 pH 5에서 효소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술한 pH 범위를 벗어나면 효소의 변형으로 정상적인 효소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에탄올 추출물은 pH가 대략 7.0 전후로 유지되기 때문에 반드시 완충용액으로 pH를 조절하여 효소 반응을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25∼80℃의 온도에서 4∼10 시간 동안 효소반응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베타-글루코시다아제의 활성이 가능한 공지된 온도 범위 내에서 4 시간 미만을 반응시키면 효소 반응에 의해 소수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고 10 시간을 초과하여 반응시키면 초과 시간에 비해 개선 효율이 낮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술한 효소 반응 시간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효소 반응 다음 단계로 아세톤을 이용한 2차 추출을 수행한다. 이는 아세톤을 첨가함으로써 물보다 비극성인 생리활성물질의 2차 추출을 유도할 수 있으며, 효소를 변성시켜 침전시킴으로써 효소 반응을 중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효소 반응을 종료하는 시점에서 효소 반응물에 아세톤의 농도가 50∼60%(v/v)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아세톤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2차 추출을 수행하고 효소반응을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세톤 첨가량을 한번에 첨가하면 국부적으로 아세톤 농도가 일부분에서 높아져서 침전이 균일하게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50%(v/v) 미만의 아세톤을 사용하면 단백질(효소 포함)을 비롯한 불순물을 충분하게 침전시키지 못하고 60%(v/v)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오히려 고분자의 생리활성물질이 침전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세톤을 첨가하여 추출한 추출물은 원심분리나 막 여과를 통해 가용화된 추출물을 수득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상엽 추출물은 유효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 등의 보조제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된 담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에센스, 팩, 유액, 로션, 연고, 겔, 첩포제, 현탁액, 에멀젼, 스프레이 등의 통상의 화장품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실시 예]
1. 공시 재료
상엽은 경동시장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베타-글루코시다아제는 넨시스(주)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유기용매, 에탄올 및 아세톤은 카를로-에르바 리젠티(Carlo-Erba Reagenti, Italy)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2. 상엽 추출물의 제조
(1) 상엽 추출과 효소 분해를 동시에 수행한 경우
건조된 상엽 2g을 세절하고, 각 5,10,20,40,60 및 80%(v/v)의 에탄올 수용액20ml를 가한 다음,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상엽의 건조 중량 대비 0.1%(w/w)를 첨가하였다. 그리고, 염을 가하여 수용액의 pH를 5로 조정한 후 4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면서 효소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추출 반응액에 최종농도가 50%가 되도록 아세톤을 서서히 첨가한 후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이때, 대조구로 사용된 상엽 추출물의 경우에는 상기 동일한 조건을 통해 추출하되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첨가하지 효소 반응을 수행하지 않는 시료를 사용하였다.
(2) 에탄올의 상엽 추출물에 효소 분해를 수행한 경우
건조된 상엽 2g을 세절하고, 각 5,10,20,40,60 및 80%(v/v)의 에탄올 수용액20ml를 가한 다음, 40℃에서 1시간 동안 용매 추출을 수행하였다.
상기 에타올 상기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상엽의 건조 중량 대비 0.1%(w/w)를 첨가하였다. 그리고, 염을 가하여 수용액의 pH를 5로 조정한 후 4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면서 효소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추출 반응액에 최종농도가 50%가 되도록 아세톤을 서서히 첨가한 후 원심분리기로 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이때, 대조구로 사용된 상엽 추출물의 경우에는 상기 동일한 조건을 통해 추출하되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첨가하지 효소 반응을 수행하지 않는 시료를 사용하였다.
[실험 예 ]
1. 접촉각 변화를 통한 소수성의 증가 확인
상엽 추출물을 First Ten Angstrong사의 FTA-200 모델을 이용하여 각 10㎕씩 sessile drop 방식(Physical chemistry of surfaces, Adamson, Arthur W, J. Wiley 1982 , ISBN 0-471-61019-4)으로 측정하였다.
표준 참조(reference)로 옥탄올(octanol)과 물(water)의 접촉각을 측정하였으며, 각각 130과 84.71로 측정되었다. 이때, 처리 표면은 테프론 필름(teflon film)으로 하였고 각도가 클수록 소수성이 크다고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 효소처리를 하지 한 것과 하지 않은 추출물의 접촉각 변화를 도 1과 같이 나타내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시 예 2-(1)에서 효소 처리를 실시한 상엽 추출물(after)의 경우, 효소 처리를 하지 않은 상엽 추출물(대조구; before)과 비교하여 접촉각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추출시 사용되는 에탄올의 농도가 30%(v/v)를 넘는 경우 효소의 활성이 진행되지 않아 접촉각의 변화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물/ 옥탄올 분액을 통한 소수성( hydrophobicity ) 증가 확인
상기 실시 예 2-(1)에서 10%(v/v)의 에탄올 수용액에 효소 처리하여 추출한 상엽 추출물 10ml을 건조한 후, 상기 건조물에 각 15ml의 물과 옥탄올을 첨가하여 건조된 추출물이 충분히 녹을 수 있도록 섞어주었다. 완전히 혼합된 후 6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를 수행한 후, 분리된 두층에 대해 각각의 폴리페놀 정량을 실시하였다. 추출물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류의 정량은 Goldstein 과 swain의 법 [Judith L. Goldstein and T.Swain, 1963, Phytochemistry, 2(4), 371-383]을 따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먼저, 추출물을 증류수에 50배로 희석한 시료(1/50(v/v)) 100 ㎕에 Folin-Denis reagent 125㎕를 가하여 충분한 혼합하고, 3분 후 250㎕의 포화탄산나트륨(saturated sodium carbonate)를 첨가하여 25℃에서 20분간 방치하였다.
탄닌산(Tannic acid)을 표준으로 하여 농도별 흡광도를 UV spectrometer (JASCO, Model V-570, Japan)에서 760nm의 파장으로 측정하였다. 그리고, 추출물도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탄닌산의 정량곡선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또 한, 비교 예로 효소처리를 거치지 않고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한 상엽 추출물을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페놀을 정량하였다.
정량된 폴리페놀의 양은 하기 표 1과 같다.
Figure 112007032435738-pat00001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효소 처리 전의 물층의 폴리페놀이 감소하고 효소처리 후의 옥탄올 층의 폴리페놀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효소처리를 통해 배당체 형태였던 폴리페놀류의 당이 제거되어 소수성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옥탄올에 녹아 들어간 폴리페놀량이 증가하게 된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결과, 본 발명에 따라 효소 처리한 상엽 추출물은 소수성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HPLC 를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의 농도 변화
상엽 내의 존재하는 대표적인 폴리페놀은 루틴과 퀘르세틴이고, 이중 퀘르세틴은 소수성이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실험 예에서는 상기 실시 예 2-(1) 과 2-(2)에서 제조한 상엽 추출물에 함유된 루틴과 퀘르세틴의 함량을 측정하여, 상엽 추출물의 소수성 증가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두 물질(효소로 처리한 상엽 추출물과 효소로 처리하지 않은 상엽 추출물)은 이동상을 메탄올:4% 포름산(formic acid) 수용액=6:4로 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이의 결과를 도 2 및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2는 실시 예 2-(1)에서 상엽 추출과 효소 분해를 동시에 수행한 상엽 추출물의 루틴과 퀘르세틴 함량을 대조구와 비교하여 HPLC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실시 예 2-(2)에서 에탄올의 상엽 추출물에 효소 분해를 수행한 상엽 추출물의 루틴과 퀘르세틴 함량을 대조구와 비교하여 HPLC로 나타낸 것이다. 이때, 붉은 점선은 효소로 처리하지 않은 상엽 추출물(대조구; before)을 나타낸 것이고, 검은색 실선은 효소로 처리한 상엽 추출물(after)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이동상 조건으로 효소처리 전, 후의 상엽 추출물을 비교한 결과, 모두 효소로 처리한 상엽 추출물에서 소수성(hydrophobic)인 퀘르세틴(quercetin)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 예에서는 대표적인 예로 루틴과 퀘르세틴을 들었으나, 상술한 결과 다른 배당체의 경우도 동일하게 당이 제거되고 소수성이 증가되었음을 예상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상엽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
통상의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가. 밀크 로션(단위: 중량%)
상엽 추출물[실시예 2-(1)] .............. 10.0
글리세린................................ 5.0
유동파라핀.............................. 5.0
트리에탄올아민.......................... 1.0
스쿠알렌................................ 3.5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2.0
폴리솔베이트 60......................... 2.0
카르복실메틸셀룰로즈(CMC)............... 2.0
프로필렌글리콜.......................... 4.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향료.................................... 미량(0.05 미만)
방부제.................................. 미량(0.0
5 미만)
정제수.................................. 잔량
나. 화장수
상엽 추출물[실시예 2-(1)] .............. 10.0
에탄올(95%)...............................8.0
폴리피로리돈................................0.05
올레일 알코올...............................0.5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이트..................0.5
글리세린..................................5.0
향료........................................0.1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스테르................0.1
색소........................................미량(0.05 미만)
정제수......................................잔량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엽의 에탄올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를 사용함으로써, 소수성 및 정제도가 증가된 상엽 추출물을 효율적으로 수득할 수 있게 하여 화장료용 조성물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6)

  1. (a) 에탄올에 상엽 및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첨가하여 효소반응을 시키는 단계;
    (b) 상기 효소반응물에 아세톤을 첨가한 후, 막 여과 또는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가용화된 추출분획을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에탄올은 5∼30%(v/v)의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베타-글루코시다아제는 상엽 중량 기준으로 0.1% 내지 0.5%(w/w)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아세톤은 최종 농도가 50∼60%(v/v)가 되도록 단계적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에탄올에 상엽을 첨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에 베타-글루코시다아제를 첨가하여 효소반응을 시키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070041898A 2007-04-30 2007-04-30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864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898A KR100864852B1 (ko) 2007-04-30 2007-04-30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898A KR100864852B1 (ko) 2007-04-30 2007-04-30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4852B1 true KR100864852B1 (ko) 2008-10-23

Family

ID=4017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898A KR100864852B1 (ko) 2007-04-30 2007-04-30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48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2502A1 (en) 2009-09-16 2011-03-24 Botanic Century (Beijing) Co. Ltd. Plant extract, compositons containing same, method of extraction and uses thereof
CN107006837A (zh) * 2017-03-27 2017-08-04 湖北文理学院 一种桑叶环糊精抗氧化添加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587B1 (ko) * 1987-06-12 1992-10-21 엘 붸 엠 아시 르쉐르쉬 뽕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60059233A (ko) * 2006-05-01 2006-06-01 광덕신약 주식회사 상엽, 상백피 또는 오디로 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샴프 또는 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23886A (ko) * 2005-05-30 2006-12-05 한불화장품주식회사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된 마가목추출물의 제조방법과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9587B1 (ko) * 1987-06-12 1992-10-21 엘 붸 엠 아시 르쉐르쉬 뽕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060123886A (ko) * 2005-05-30 2006-12-05 한불화장품주식회사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된 마가목추출물의 제조방법과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60059233A (ko) * 2006-05-01 2006-06-01 광덕신약 주식회사 상엽, 상백피 또는 오디로 부터 추출한 추출물을 포함하는샴프 또는 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32502A1 (en) 2009-09-16 2011-03-24 Botanic Century (Beijing) Co. Ltd. Plant extract, compositons containing same, method of extraction and uses thereof
CN102695521A (zh) * 2009-09-16 2012-09-26 博仲盛景医药技术(北京)有限公司 植物提取物,含所述提取物的组合物,其提取方法及其用途
AU2010294983B2 (en) * 2009-09-16 2016-04-14 Botanic Century (Beijing) Co. Ltd. Plant extract,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method of extraction and uses thereof
CN102695521B (zh) * 2009-09-16 2016-06-08 博仲盛景医药技术(北京)有限公司 植物提取物,含所述提取物的组合物,其提取方法及其用途
EA027471B1 (ru) * 2009-09-16 2017-07-31 Ботэник Сентчери (Бейджин) Ко. Лтд.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экстракта шелковицы, экстракт, полученный данным способом,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CN107006837A (zh) * 2017-03-27 2017-08-04 湖北文理学院 一种桑叶环糊精抗氧化添加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1232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EP2033528A2 (en) Lingonberry extract, the preparing method and use thereof
KR20100010132A (ko) 녹차다당체의 제조방법
KR20190060511A (ko)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US8445039B2 (en)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processed peony, polygonati rhizoma or lily
KR20170124976A (ko) 피부보습 및 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다당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87285B1 (ko)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851489B1 (ko) 틸리아닌( tilianin) 또는아카세틴(acac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110075742A (ko) 하수오 추출물, 대추 추출물 및 황촉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9935B1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0864852B1 (ko)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109568A (ko) 맥주 효모를 이용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496926B1 (ko) 황금, 황련, 황백, 작약 및 루이보스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 예방 및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5757A (ko) 포포나무 유효성분의 추출 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09084169A (ja) コラーゲン産生作用を呈するキサントン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05721A (ko) 구기자나무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억제 화장료 조성물
KR101571517B1 (ko) 제주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주름개선 효능 및 항산화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6856A (ko) 알러지 성분이 제거된 분리정제봉독을 이용한 기능성 봉독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US9700506B2 (en) Antioxidant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processed Chrysanthemum indicum or Citrus unshiu peel
KR102249711B1 (ko) 콩과 식물 배양근의 효소 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101695372B1 (ko) 까치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CN104983650B (zh) 一种功能性马齿苋组合物及其在日用化学品中的应用
KR101695781B1 (ko) 층꽃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