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3080B1 -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 - Google Patents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3080B1
KR102443080B1 KR1020220039253A KR20220039253A KR102443080B1 KR 102443080 B1 KR102443080 B1 KR 102443080B1 KR 1020220039253 A KR1020220039253 A KR 1020220039253A KR 20220039253 A KR20220039253 A KR 20220039253A KR 102443080 B1 KR102443080 B1 KR 102443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excavator
coupled
scraper
connec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9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석
박영근
Original Assignee
최재석
박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석, 박영근 filed Critical 최재석
Priority to KR1020220039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3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now-plough blades tiltable for shock-absorbing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3Arrangements on backhoes for alternate use of different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제설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행중 도로의 돌출 장애물에 의하여 스크레퍼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는 굴착기(A)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00)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z축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프레임(200)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전단에 결합된 멀티회동부재(300)와, 상기 멀티회동부재에 x축 및 y축 중심으로 동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스크래퍼(400)와, 전단은 상기 스크래퍼에 핀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연결프레임에 핀 결합되어 상기 스크래퍼(400)에 대하여 x축을 중심의 회동력을 부여하는 유압실린더(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Snow removal apparatus for mounting a excavator}
본 발명은 굴착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제설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행중 도로의 돌출 장애물에 의하여 스크레퍼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인도에 쌓이는 눈은 차량 또는 사람의 통행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염화칼슘 등의 약제를 뿌리거나 제설장치를 이용하여 제설하게 된다. 염화칼슘을 뿌려 제설하는 경우에는 제설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많은 눈이 쌓이는 경우에는 제설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제설장치의 사용상태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제설장치는 차량(10)의 전방에 장착되어 도로를 주행하면서 전방의 적설을 제거하도록 상,하부가 차량(10)의 전방에 체결된 고정프레임(21)과, 고정프레임(21) 하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리프트프레임(22)과, 상기 리프트프레임(22) 선단에 설치된 스크레퍼(23)와, 상기 리프트프레임(22)에 설치되어 스크레퍼(23)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리프트실린더(24)와 각도조절실린더(25)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설장치는 운전자가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운행 중에 도로 표지병이나 맨홀 뚜껑과 같은 도로상에 돌출된 장애물이 존재할 경우 적설에 가려 육안으로는 식별이 불가능하므로 스프레퍼(23)의 회피 조작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로상의 장애물에 스크레퍼(23)가 충돌하면서 파손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차량 손상 및 운전자의 안전사고로까지 이어지고 있는바,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346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로상의 장애물에 스크레퍼가 충돌하면서 파손되는 사고가 방지되는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는 굴착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z축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전단에 결합된 멀티회동부재와, 상기 멀티회동부재에 x축 및 y축 중심으로 동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스크래퍼와, 전단은 상기 스크레퍼에 핀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연결프레임에 핀 결합되어 상기 스크래퍼에 대하여 x축을 중심의 회동력을 부여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멀티회동부재는 연결프레임의 전단에 부착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x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와, 상기 회전부의 하부를 수용하며 전단에 스크레퍼의 후단에 결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회전체를 y축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y축연결핀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이 y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회전체 사이에는 x축 방향의 상하유격부와, z축방향의 좌우유격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은 고정브라켓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고정브라켓을 z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z축연결봉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은 고정핀을 통해 굴착기의 붐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이 일정각도 이상 하향 회동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봉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는 굴착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에 스크래퍼가 설치된 연결프레임이 z축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됨과 아울러 멀티회동부재를 통해 상기 스크래퍼가 x축과 y축을 중심으로 복합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는 달리, 운전자의 별도 조작없이도 스크레퍼가 자체적으로 유동하면서 도로상의 돌출된 장애물을 부드럽게 통과하게 되므로 스크래퍼의 손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안전하게 제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제설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의 사용상태 후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의 사용상태 평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의 사용상태 후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의 사용상태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굴착기(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00)과, 상기 고정브라켓(100)에 연결된 연결프레임(200)과, 상기 연결프레임(200)에 결합된 멀티회동부재(300)와, 상기 멀티회동부재(300)에 결합된 스크래퍼(400)와, 상기 스크래퍼(400)에 핀 결합된 유압실린더(5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굴착기(A)의 붐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00)은 버킷을 탈거한 상태의 붐대에 고정핀(110)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00)에는 고정핀(110)이 끼워지는 관통공(10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고정브라켓(100)에 z축을 중심으로 상하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고정브라켓(100)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210)와, 상기 고정브라켓(100)을 z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각 지지부(210)에 결합되는 z축연결봉(2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00)에는 z축연결봉(220)이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후단에는 z축연결봉(22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후크부(2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연결프레임(200)은 z축연결봉(22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상기 고정브라켓(100)의 전단에는 상기 연결프레임(200)이 일정각도 이상 하향 회동할 경우에 지지부(210)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하향 회동을 불허하는 지지봉(120)을 구비한다.
상기 멀티회동부재(300)는 연결프레임(200)의 전단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프레임(200)에 스크래퍼(400)를 x축과 y축을 중심으로 동시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 경우, 상기 멀티회동부재(300)는 연결프레임(200)의 전단에 부착된 회전판(310)과, 상기 회전판(310)에 x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320)와, 상기 회전체(320)의 하부를 수용하며 전단에 스크래퍼(400)의 후단에 결합된 하우징(330)과, 상기 하우징(330)과 회전체(320)를 y축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y축연결핀(3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30)과 회전체(320)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330)이 y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x축 방향의 상하유격부(350)가 형성되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330)과 회전체(320)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330)이 y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z축방향의 좌우유격부(360)가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회전판(310)의 중앙에는 관통공(31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320)의 상단에는 상기 관통공(101)에 끼워지는 돌기(321)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321)가 회전체(3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돌기(321)의 상단에는 상기 관통공(101)보다 큰 면적을 가진 고정판(360)이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321)가 고정판(360)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321)와 고정판(360)을 용접시켜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고정시킨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유압실린더(500)는 전단이 상기 스크래퍼(400)에 핀 결합되고 후단이 상기 연결프레임(200)에 핀 결합되어 상기 스크래퍼(400)에 대하여 x축을 중심으로 하는 전후회동력을 부여한다.
이 경우, 상기 유압실린더(500)의 전단과 후단은 x축 뿐만 아니라 y축을 중심으로도 동시 회동이 가능하도록 볼 조인트를 구비한 핀을 통해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500)는 스크래퍼(4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단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좌측과 우측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는 고정브라켓(100)의 전방에 연결프레임(200)을 조립한 후에 버킷을 탈거한 굴착기(A)의 붐대에 고정핀(110)을 이용하여 고정브라켓(100)를 결합시키면 설치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굴착기(A)를 운행하게 되면 스크래퍼(400)가 도로상에 쌓인 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유압실린더(500)를 동작시키면 x축을 중심으로 스크래퍼(400)가 전후로 회동하면서 도로변으로 눈을 밀어내게 된다.
한편, 운행 중 도로상에 도로 표지병이나 맨홀 뚜껑과 같은 돌출된 장애물 구간을 통과할 경우, 상기 스크래퍼(400)가 장애물을 타고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복합회동하면서 부드럽게 장애물을 통과하게 된다.
즉, 스크래퍼(400)가 장애물과 접촉하게 되면 z축연결봉(220)을 중심으로 연결프레임(200)이 상향회동하게 되면서 스크래퍼(400)가 상승함과 동시에 장애물의 좌우 위치에 따라 y축연결핀(340)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330)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복합 회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크래퍼(400)는 도로상의 돌출된 장애물과의 충돌 및 이로 인한 손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장애물을 통과한 스크래퍼(400)는 자중에 의해 하강 및 우측 또는 좌측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원위치로 자동 복귀하게 된다.
만일, 스크래퍼(400)가 움푹 패인 도로를 지나게 되면 스크래퍼(400)가 도로면으로부터 들뜨게 되는데, 이때 스크래퍼(400)의 자중에 의하여 연결프레임(200)이 하향 회동하게 되고 스크래퍼(400)는 움푹패인 도로면에 밀착되면서 안정적인 제설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200)이 지나치게 하향 회동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연결프레임(200)의 지지부(210)이 하방에 위치한 지지봉(120)에 지지되면서 더 이상의 하향 회동이 불허되므로 자칫 상기 연결프레임(200)이 지나치게 하향 회동하여 z축연결봉(220)으로부터 탈락되거나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0...고정브라켓 120...지지봉
200...연결프레임 210...지지부
220...z축연결봉 300...멀티회동부재
310...회전판 320...회전체
330...하우징 340...y축연결핀
350...상하유격부 360...좌우유격부
400...스크래퍼 500...유압실린더
A...굴착기

Claims (4)

  1. 굴착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에 z축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전단에 결합된 멀티회동부재;
    상기 멀티회동부재에 x축 및 y축 중심으로 동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스크래퍼; 및
    전단은 상기 스크래퍼에 핀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연결프레임에 핀 결합되어 상기 스크래퍼에 대하여 x축을 중심의 회동력을 부여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회동부재는
    연결프레임의 전단에 부착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x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하부를 수용하며 전단에 스크래퍼의 후단에 결합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과 회전체를 y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y축연결핀을 구비한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y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회전체 사이에는 x축 방향의 상하유격부와, z축방향의 좌우유격부가 형성된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고정브라켓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고정브라켓을 z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z축연결봉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브라켓은 고정핀을 통해 굴착기의 붐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이 일정각도 이상 하향 회동하지 않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봉을 구비한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
KR1020220039253A 2022-03-30 2022-03-30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 KR102443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253A KR102443080B1 (ko) 2022-03-30 2022-03-30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9253A KR102443080B1 (ko) 2022-03-30 2022-03-30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3080B1 true KR102443080B1 (ko) 2022-09-14

Family

ID=83279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9253A KR102443080B1 (ko) 2022-03-30 2022-03-30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30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467Y1 (ko) 2001-05-23 2001-10-29 이두식 인도용 제설차
KR20130083629A (ko) * 2012-01-13 2013-07-23 임형석 승강 이동 및 좌우 롤링 가능한 블레이드를 갖는 제설기
KR20140076186A (ko) * 2012-12-12 2014-06-20 (주)송현 제설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3467Y1 (ko) 2001-05-23 2001-10-29 이두식 인도용 제설차
KR20130083629A (ko) * 2012-01-13 2013-07-23 임형석 승강 이동 및 좌우 롤링 가능한 블레이드를 갖는 제설기
KR20140076186A (ko) * 2012-12-12 2014-06-20 (주)송현 제설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63404B2 (ja) 建設機械の排土装置
KR20170065341A (ko) 전복 방지 기능을 가지는 굴삭기 및 굴삭기의 전복 방지 방법
KR102443080B1 (ko) 굴착기 장착용 제설장치
JP2003056009A (ja) 車両のスイングアウト式カウンタウエイト構造
CN107288167B (zh) 工程机械
JP2000248752A (ja) 建設機械のアームへのクランプ式バケットの取付け装置
JP3648469B2 (ja) 掘削作業機
JP5274542B2 (ja) 建設機械のトラックフレーム
JPH0718701A (ja) 掘削作業機
KR100406854B1 (ko) 유압 굴착기
JP4178015B2 (ja) 作業車のカウンタウェイト装置
JP2019051795A (ja) ホイール式建設機械
WO2024038808A1 (ja) 作業機械
JP2004218277A (ja) 建設機械のキャブハンドレール
JP3765496B2 (ja) 薬剤散布アタッチメント
JP3016531U (ja) トンネル側壁洗浄用作業車
JP2004131987A (ja) 作業車への路面清掃装置の取付構造
KR20030062927A (ko) 트랙터 후면 탈부착용 제설기의 설치장치
JP2002088819A (ja) 旋回式建設機械
JP3989141B2 (ja) 掘削作業車
JPH0732170Y2 (ja) 軌道用作業機
JPH0213566Y2 (ko)
JPH0447256Y2 (ko)
KR101005061B1 (ko) 레벨링 시스템을 구비한 건설중장비 및 산림장비용스텝장치
JPH05287772A (ja) フロントローダ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