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892B1 - 정지 장치 - Google Patents

정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892B1
KR102441892B1 KR1020197028488A KR20197028488A KR102441892B1 KR 102441892 B1 KR102441892 B1 KR 102441892B1 KR 1020197028488 A KR1020197028488 A KR 1020197028488A KR 20197028488 A KR20197028488 A KR 20197028488A KR 102441892 B1 KR102441892 B1 KR 102441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topper
article
stop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857A (ko
Inventor
코이치 나카타니
나오키 아카시
Original Assignee
교와기까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와기까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와기까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8/013687 external-priority patent/WO2018193815A1/ja
Publication of KR20190139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6Cushioned or damping stop devices, e.g. using springs or other mechanical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정지 장치는, 반송체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반송체 상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반송체의 상방에 배치되는 정지 장치로서, 회전 가능한 회전부와, 회전부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탄성 변형한 상태로 반송체와의 사이에 물품을 끼우는 탄성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지 장치
본 발명은, 반송체에 반송되는 물품을 정지시키는 정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물품을 반송하는 구성으로서, 상류로부터 하류로, 복수의 컨베이어를 병렬시키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그리고, 복수의 컨베이어 중, 소정의 컨베이어를 정지시킴으로써, 컨베이어에 반송되는 물품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물품이 밀착된 상태로 반송되고 있을 때에, 이웃하는 두 개의 컨베이어 중, 상류측의 컨베이어를 정지시킴으로써, 물품들 사이에 간격을 둘 수 있다. 그러나, 상류측의 컨베이어를 정지시켰을 때에, 예를 들면, 상류측의 컨베이어의 선두(하류단)에 위치하는 물품의 일부가, 하류측의 컨베이어에 실려 버린 경우에는, 컨베이어 상에서 당해 물품을 확실히 정지시킬 수 없다.
일본 특허공개 2015-196522호 공보
그래서, 과제는, 반송체에 반송되는 물품을 반송체 상에서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는 정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정지 장치는, 반송체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상기 반송체 상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반송체의 상방에 배치되는 정지 장치로서, 회전 가능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탄성 변형한 상태로 상기 반송체와의 사이에 상기 물품을 끼우는 탄성부를 구비한다.
또, 정지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부 및 상기 탄성부를 가지는 정지부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정지부는, 상기 회전부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축 직교 방향으로 병렬된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정지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축 직교 방향에서 인접되는 상기 정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부들은, 상기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된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정지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축 직교 방향에서 인접되는 상기 정지부의 상기 탄성부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당해 간극의 상기 축 직교 방향의 치수보다 작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정지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간극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당해 간극의 상기 축 직교 방향의 치수의 50% 이하라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정지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상기 정지부는, 적어도 상기 축 직교 방향으로 병렬되는 제1, 제2 및 제3 정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정지부는, 상기 축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지부와 상기 제3 정지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3 정지부는, 상기 탄성부를 두 개 구비하고, 상기 제2 정지부는, 상기 탄성부를 한 개 구비하며, 상기 제2 정지부의 상기 탄성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지부의 두 개의 상기 탄성부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일부가 당해 탄성부와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정지부의 상기 탄성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3 정지부의 두 개의 상기 탄성부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일부가 당해 탄성부와 겹치도록 배치된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정지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부는, 상기 물품을 걸기 위해 바깥쪽으로 돌출된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정지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부는, 탄성의 시트재의 중간부가 바깥쪽으로 불룩해지도록 상기 시트재의 양단부가 상기 회전부의 외주부에 고정됨으로써 형성된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정지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부는, 탄성의 시트재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부의 외주부에 고정되고 또한 타단부가 자유임으로써 형성된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정지 장치는, 반송체에 반송되는 물품을 반송체 상에서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를 구비하는 반송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이 실시 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의 전체 정면도이다.
도 3은,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6은,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7은,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8은,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6은,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의 주요부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19는, 이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주요부 정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정지 장치에 있어서의 제1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도 9~도 19도 동일)에 있어서, 도면의 치수비와 실제의 치수비는,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 않으며, 또, 각 도면 사이에서의 치수비도, 반드시 일치하고 있지 않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는, 물품(10)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11)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 장치(11)는, 물품(10)을 소정 방향(이하, 「반송 방향」이라고도 한다)(D1)을 따라 반송하는 반송체(12)를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정지 장치(1)의 각 구성을 설명하는데 앞서, 반송체(1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반송체(12)는, 상부가 반송 방향(D1)을 따르도록 하여 배치되는 환형상의 반송재(13)와, 반송재(13)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14)와, 반송재(13)를 무단 회전시키는 반송 구동원(1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물품(1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알(卵)이 내부에 수용된 용기로 하고 있다. 그리고, 물품(10)의 상면은,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재(13)는, 벨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물품(10)을 상부에 실은 상태로 자신이 무단 회전함으로써, 물품(10)을 반송 방향(D1)으로 반송하고 있다. 또, 지지 기구(14)는, 반송재(13)의 상부를 반송 방향(D1)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재(14a)와, 반송재(13)에 걸쳐진 복수의 롤러(14b~14f)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 구동원(15)은, 모터이며, 소정의 롤러(14b)에 전달 기구(예를 들면, 전달 벨트)(16)에 의해 회전 구동력을 전하고 있다.
정지 장치(1)는, 반송체(12)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반송체(1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정지 장치(1)는, 반송체(12) 중, 반송 방향(D1)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물품(10)을 정지시킨다는 것은, 물품(10)을 완전하게 정지시키는 경우뿐만이 아니라, 물품(10)의 반송 속도를, 다른 물품(10)의 반송 속도보다 느리게 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 정지 장치(1)는, 소정 방향(이하, 「회전 방향」이라고도 한다)(D2)으로 회전 가능한 정지부(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정지부(7)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D2)의 접선 방향(D2a)은, 반송 방향(D1)과 동일 방향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지 장치(1)의 정지부(7)는, 회전 가능한 회전부(2)와,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탄성을 가지는 탄성부(3)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정지 장치(1)는, 회전부(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회전부(2)의 단부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4, 4)와, 회전부(2)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예를 들면, 모터)(5)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부(2)는, 회전 지지부(4)에 지지되며 또한 구동원(5)으로부터의 구동을 받는 축 부재(2a)와, 축 부재(2a)에 고정되는 한 쌍의 단(端)부재(2b, 2b)와, 한 쌍의 단부재(2b, 2b)의 외주부에 걸쳐 배치되어, 단부재(2b, 2b)에 고정되는 복수의 긴 외주 부재(2c)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외주 부재(2c)는, 회전부(2)의 외주부를 구성하고, 축 부재(2a)와 일체가 되어 회전한다. 또한, 회전부(2)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간단히,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탄성부(3)는, 탄성을 가지는 시트재(3a)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시트재(3a)는, 고무로 형성되어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시트재(3a)는, 고정 기구(6)에 의해, 회전부(2)의 외주부, 구체적으로는, 외주 부재(2c)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고정 기구(6)는, 지지 플레이트(6a)와, 체결 수단(볼트 및 너트)(6b)을 구비하고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시트재(3a)의 양단부는,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재(3a)의 양단부는, 회전부(2)의 외주부의 동일한 위치(구체적으로는, 동일한 외주 부재(2c))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재(3a)의 중간부는, 바깥쪽으로(구체적으로는, 회전부(2)의 경방향으로) 불룩해져 있기 때문에, 탄성부(3)는, 시트재(3a)의 중간부에 의해, 바깥쪽으로(구체적으로는, 회전부(2)의 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트재(3a)의 중간부는, 시트재(3a)의 양단부에 대해, 회전 방향(D2)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탄성부(3)의 돌출부(3b)는, 탄성부(3)가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되는 위치에 대해, 회전 방향(D2)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정지부(7)의 하단부의 위치에 있어서, 탄성부(3)의 돌출부(3b)는, 탄성부(3)가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되는 위치에 대해, 반송 방향(D1)의 상류측(도 4에 있어서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상대로이며,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의 작용에 대해서, 도 5~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지부(7)가 회전하여, 반송재(13)가 무단 회전함으로써, 물품(10)은 반송 방향(D1)으로 반송되고 있다. 그리고, 정지부(7)의 회전이 정지했을 때에,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3)의 돌출부(3b)가 물품(10)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던 경우에는, 탄성부(3)의 돌출부(3b)가 회전부(2)의 경방향(구체적으로는, 상하 방향)으로 찌부러지도록 탄성 변형한다.
이것에 의해, 탄성부(3)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반송체(12)를 향한 힘(구체적으로는, 하방의 힘)을 물품(10)에 부여하기 때문에, 물품(10)은, 탄성부(3)와 반송체(12) 사이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반송재(13)가 무단 회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품(10)은, 반송체(12) 상에서 정지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밀착되어 있던 물품(10, 10)들 사이에 간격을 둘 수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지부(7)가 회전하여, 반송재(13)가 무단 회전함으로써, 물품(10)은 반송 방향(D1)으로 반송되고 있다. 그리고, 정지부(7)의 회전이 정지한 후에, 반송재(13)가 무단 회전함으로써, 정지 장치(1)에 대해 떨어진 위치로부터 정지 장치(1)를 향해 반송된 물품(10)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3)의 돌출부(3b)에 걸린다. 예를 들면, 물품(10)의 하류측(도 8에 있어서의 우측)의 단부가, 탄성부(3)의 돌출부(3b)에 걸린다.
이 때, 반송재(13)가 무단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물품(10)은, 시트재(3a)의 중간부의 한쪽측(상류측이며, 도 8에 있어서의 좌측)에 접함으로써 하류측을 향해 밀고 있다. 그에 대항하여, 시트재(3a)의 중간부의 다른쪽측(하류측이며, 도 8에 있어서의 우측)이 한쪽측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시트재(3a)의 중간부가 너무 탄성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반송재(13)가 무단 회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품(10)은, 반송체(12) 상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지 장치(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3)와 반송체(12) 사이에 물품(10)을 끼움으로써,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3)로 물품(10)을 걺으로써,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지부(7)가 어느 위치(타이밍)에서 정지해도,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물품(10)의 단부가 탄성부(3)의 돌출부(3b)에 걸릴뿐만 아니라, 물품(10)의 상면의 오목부가 탄성부(3)의 돌출부(3b)에 걸림으로써, 물품(10)이 반송체(12) 상에서 정지해도 된다.
또, 반송재(13)가 무단 회전하고 있는 상태(반송체(12)가 물품(10)을 반송 가능한 상태, 즉, 가동 상태이다)에서, 정지 장치(1)는,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밀착되어 있던 물품(10, 10)들 사이에 간격을 두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하류측에 공급하는 물품(10)의 수량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반송 장치(11)는, 고속 라인(단위 시간당 하류측에 반송할 수 있는 물품(10)의 수량이 큰 라인)에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정지 장치(1)가 정지하여, 복수의 물품(10)이 정지 장치(1)의 상류측에 체류했을 때에는, 반송재(13)의 무단 회전이 정지되어도 된다.
또, 이와 같이, 물품(10)을 완전하게 정지시키는 경우뿐만이 아니라, 정지부(7)의 회전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정지 장치(1)보다 하류측에 있어서의 물품(10)의 반송 속도를, 정지 장치(1)보다 상류측에 있어서의 물품(10)의 반송 속도보다 느리게 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10)을 완전하게 정지시키지 않고, 밀착되어 있던 물품(10, 10)들 사이에 간격을 둘 수 있다.
또한, 정지부(7)가 회전하고 있을 때도, 탄성부(3)가 물품(10)에 접하기 때문에, 통상 가동 시에 있어서는, 정지부(7)의 회전 속도는, 반송체(12)의 회전 속도와 동기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10)의 반송 속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탄성부(3)가 탄성 변형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정지부(7)(탄성부(3)의 돌출부(3b))의 경방향 외측단의 접선 방향의 속도는, 반송체(12)의 상부의 반송 방향(D1)의 속도보다 빨라져 있다. 이것에 의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찌부러지도록 탄성 변형한 탄성부(3)에 있어서의 경방향 외측단의 속도가, 반송체(12)의 상부의 반송 방향(D1)의 속도와 대략 동일해진다.
상세하게는, 찌부러지도록 탄성 변형한 탄성부(3)가 물품(10)으로부터 떨어질 때에, 당해 탄성부(3)가 물품(10)에 접하고 있던 부분의 접선 방향(도 6에 있어서는, 우측 비스듬한 상방향)의 속도 중, 반송 방향(D1)과 평행한 방향의 속도 성분은, 반송체(12)의 상부의 반송 방향(D1)의 속도와 대략 동일해진다. 이것에 의해, 물품(10)이 탄성부(3)로부터 떨어질 때에, 물품(10)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물품(10)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는, 반송체(12)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물품(10)을 상기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반송체(12)의 상방에 배치되는 정지 장치(1)이며, 회전 가능한 회전부(2)와, 상기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탄성 변형한 상태로 상기 반송체(12)와의 사이에 상기 물품(10)을 끼우는 탄성부(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지 장치(1)가, 반송체(1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탄성부(3)가,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3)가 탄성 변형한 상태로, 물품(10)이 탄성부(3)와 반송체(12)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반송체(12)에 반송되는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부(3)는, 상기 물품(10)을 걸기 위해 바깥쪽으로 돌출된다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탄성부(3)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물품(10)이 탄성부(3)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탄성부(3)와 반송체(12) 사이에 물품(10)을 사이에 끼울 뿐만 아니라, 탄성부(3)로 물품(10)을 걺으로써,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부(3)는, 탄성의 시트재(3a)의 중간부가 바깥쪽으로 불룩해지도록 상기 시트재(3a)의 양단부가 상기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됨으로써 형성된다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탄성의 시트재(3a)의 중간부가 바깥쪽으로 불룩해지도록, 시트재(3a)의 양단부가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재(3a)의 중간부는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재(3a)의 중간부가 탄성 변형한 상태로, 물품(10)이 탄성부(3)와 반송체(12)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물품(10)이 시트재(3a)의 중간부에 걸림으로써,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이 때, 물품(10)이 시트재(3a)의 중간부의 한쪽측에 접하고 있는데 반해, 시트재(3a)의 중간부의 다른쪽측이 한쪽측을 지지하기 때문에, 시트재(3a)의 중간부가 너무 탄성 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정지 장치(1)는,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대해, 이하와 같은 변경이 행해져도 된다.
(1)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있어서는, 탄성부(3)는, 시트재(3a)의 양단부가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이다. 그러나, 정지 장치(1)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3)는, 시트재(3a)의 일단부 만이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9 및 도 10에 따른 탄성부(3)는, 탄성의 시트재(3a)의 일단부가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되고 또한 타단부가 자유임으로써 형성된다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시트재(3a)의 자유인 다른쪽측이, 반송체(12)와 협동하여, 물품(10)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시트재(3a)의 다른쪽측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재(3a)의 다른쪽측에서 물품(10)(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도시하고 있지 않음)을 걺으로써,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 따른 시트재(3a)의 평면 방향은, 회전부(2)의 경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트재(3a)의 평면 방향은, 회전부(2)의 경방향의 바깥쪽으로 감에 따라 시트재(3a)의 바깥쪽이 회전 방향(D2)의 후방측으로 가도록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정지부(7)의 하단부의 위치에 있어서, 시트재(3a)는, 바깥쪽으로 감에 따라 반송 방향(D1)의 상류측으로 가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한, 시트재(3a)의 평면 방향은, 회전부(2)의 경방향에 대해, 이와 같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도 되고, 또, 평행이어도 된다.
(2) 또,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있어서는, 시트재(3a)의 양단부는, 회전부(2)의 외주부의 동일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는 구성이다. 그러나, 정지 장치(1)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재(3a)의 양단부는, 회전부(2)의 외주부의 상이한 위치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도 11에 따른 시트재(3a)에 있어서는, 시트재(3a)의 양단부는, 상이한 외주 부재(2c)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시트재(3a)의 단부는 인접되는 시트재(3a)의 단부와 겹치도록 하여,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11에 따른 탄성부(3)는, 탄성의 시트재(3a)의 중간부가 바깥쪽으로 불룩해지도록 시트재(3a)의 양단부가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3) 또,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있어서는, 탄성부(3)는, 탄성의 시트재(3a)로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이다. 그러나, 정지 장치(1)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3)는, 스프링재(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3c)를 가짐으로써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이어도 되고, 또, 예를 들면, 도 13 및 도 14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3)는, 탄성재(예를 들면, 고무재나 다공질재)로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3-1) 도 12에 따른 탄성부(3)는, 회전부(2)에 고정되는 베이스부(3d)와, 베이스부(3d)에 대해 회전부(2)의 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동체(3e)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스프링체(3c)는, 베이스부(3d)와 가동체(3e) 사이에 배치되어, 가동체(3e)에 바깥쪽으로의 힘을 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프링재(3c)가 탄성 변형한 상태로, 탄성부(3)가, 반송체(12)(도 12에 있어서 도시하고 있지 않음)와 협동하여, 물품(10)(도 12에 있어서 도시하고 있지 않음)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게다가, 탄성부(3)가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3)로 물품(10)을 걺으로써,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3-2) 도 13 및 도 14에 따른 탄성부(3)는, 전체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 따른 탄성부(3)는, 물품(10)(도 13에 있어서 도시하고 있지 않음)을 걸기 위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b)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3)는, 전체가 탄성 변형한다는 구성이어도 되고, 또, 일부(예를 들면, 도 12의 스프링체(3c))가 탄성 변형한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4) 또,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있어서는, 탄성부(3)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b)를 구비하고 있다는 구성이다. 그러나, 정지 장치(1)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3)는, 돌출부(3b)를 구비하지 않고, 탄성부(3)의 외주 가장자리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정지 장치에 있어서의 제2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5~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5~도 19에 있어서, 도 1~도 14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제1 실시 형태와 대략 동일한 구성 또는 대략 동일한 기능(작용)을 가지는 요소를 나타내며,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는, 회전 가능한 복수의 정지부(7)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정지 장치(1)는, 구동원(5)의 구동을 정지부(7)에 전달하는 전달부(8)와, 회전 지지부(4, 4)를 보강하기 위해, 회전 지지부(4, 4)들을 접속하는 보강재(4a)를 구비하고 있다.
정지부(7)는, 회전 가능한 회전부(2)와,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탄성 변형한 상태로 반송체(12)와의 사이에 물품(10)(도 15에 있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음)을 끼우는 탄성부(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회전부(2)의 축 방향(D3)은, 반송 방향(D1)과 직교하고 있다. 즉, 회전부(2)의 축 방향(D3)과 직교하는 축 직교 방향(D4)은, 반송 방향(D1)과 평행이다.
정지부(7)는, 반송 방향(D1), 즉, 축 직교 방향(D4)으로 병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정지부(7)는, 반송 방향(D1)으로 세 개 병렬되어 있다. 이하, 복수의 정지부(7)를 구별하는 경우에는, 반송 방향(D1)의 상류측으로부터, 제1 정지부(7a), 제2 정지부(7b), 제3 정지부(7c)라고 한다.
각 정지부(7a~7c)는, 각각 회전부(2)를 한 개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정지부(7a) 및 제3 정지부(7c)는, 각각 탄성부(3)를 두 개 구비하고 있으며, 제2 정지부(7b)는, 탄성부(3)를 한 개 구비하고 있다.
전달부(8)는, 구동원(5)의 구동을 받는 구동축(8a)과, 구동축(8a)에 고정되는 구동 톱니바퀴(8b)와, 각각의 회전부(2)의 단부에 고정되는 종동 톱니바퀴(8c, 8c, 8c)를 구비하고 있다. 또, 구동 톱니바퀴(8b)의 구동을 종동 톱니바퀴(8c)에 전달시키기 위해, 구동 톱니바퀴(8b) 및 종동 톱니바퀴(8c)에 감겨지는 타이밍 벨트(8d)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정지부(7a~7c)의 회전(개시 및 정지)은 동기하고 있으며, 그 회전 속도는 동일하다. 또, 각각의 정지부(7a~7c)의 회전 방향(D2)도 동일하다. 또한, 전달부(8)는, 타이밍 벨트(8d)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타이밍 벨트(8d)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장력 풀리(8e, 8e)를 구비하고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지부(7)는, 탄성부(3)를 회전부(2)에 고정시키는 고정 기구(9)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기구(9)는, 회전부(2)와 탄성부(3)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탄성부(3)에 고정되어 있는 통형상체(9a)와, 통형상체(9a)의 단부(탄성부(3)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분)와 회전부(2)를 고정하는 고정재(9b)(예를 들면, 나사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부(3)의 단면 형상은, 외주가 원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탄성부(3)는, 고무로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10도~30도의 고무 경도의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무 경도는, JISK6253의 듀로미터 경도 시험기(타입 A)에 의해 23℃에서 측정한 고무 경도이다.
제1 정지부(7a)의 한 쌍의 탄성부(3, 3)는, 축 방향(D3)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제3 정지부(7c)의 한 쌍의 탄성부(3, 3)는, 축 방향(D3)으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정지부(7b)의 탄성부(3)는, 축 방향(D3)에 있어서, 제1 정지부(7a)의 한 쌍의 탄성부(3, 3)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축 방향(D3)에 있어서, 제3 정지부(7c)의 한 쌍의 탄성부(3, 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정지부(7b)의 탄성부(3)는, 축 방향(D3)에 있어서, 제1 정지부(7a) 및 제3 정지부(7c)의 탄성부(3)와 각각 떨어져 있다.
제1 정지부(7a)의 탄성부(3, 3)와 제2 정지부(7b)의 탄성부(3)는,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2 정지부(7b)의 탄성부(3)와 제3 정지부(7c)의 탄성부(3, 3)는,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축 직교 방향(D4)에서 인접되는 정지부(7a, 7b(7b, 7c))에 있어서는, 탄성부(3, 3)들은,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탄성부(3)의 하부가, 물품(10)과 접촉하는 접촉부(1a)를 구성하고 있는 것에 대해,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그 접촉부(1a)에 형성되는, 상하 방향의 요철은 작아진다. 즉,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축 직교 방향(D4)에서 인접되는 정지부(7a, 7b(7b, 7c))의 탄성부(3, 3)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b)이 작아진다.
예를 들면,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당해 간극(1b)의 상하 방향의 치수(W1)는, 당해 간극(1b)의 축 직교 방향(D4)의 치수(W2)보다 작다. 또, 예를 들면, 당해 간극(1b)의 상하 방향의 치수(W1)는, 바람직하게는, 당해 간극(1b)의 축 직교 방향(D4)의 치수(W2)의 50% 이하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당해 간극(1b)의 축 직교 방향(D4)의 치수(W2)의 25% 이하이다.
또한, 당해 간극(1b)의 상하 방향의 치수(W1)는, 상하 방향의 최대 치수이며, 당해 간극(1b)의 축 직교 방향(D4)의 치수(W2)는, 축 직교 방향(D4)의 최대 치수이다. 또, 도 17에 있어서는, 당해 간극(1b)의 경계는,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정지부(7a~7c)의 탄성부(3)는,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3 정지부(7a, 7c)의 각각이 두 개의 탄성부(3)를 구비하고 또한 제2 정지부(7b)가 하나의 탄성부(3)를 구비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제2 정지부(7b)가 두 개의 탄성부(3)를 구비하고 또한 제1 및 제3 정지부(7a, 7c)의 각각이 하나의 탄성부(3)를 구비하는 구성에 비해, 탄성부(3)의 개수를 많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10)에 접하는 탄성부(3)의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의 구성은 이상대로이며,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탄성부(3)와 반송체(12) 사이의 공간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물품(10)의 상하 방향의 치수보다 작아져 있다. 따라서, 반송재(13)가 회전하고, 또한, 정지부(7)가 회전하여, 물품(10)이 반송 방향(D1)으로 반송되고 있을 때에도,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3)는, 상하 방향으로 찌부러지도록 탄성 변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회전부(2) 및 탄성부(3)의 회전이 정지하면, 탄성부(3)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반송체(12)를 향한 힘(구체적으로는, 하방의 힘)을 물품(10)에 부여하기 때문에, 물품(10)은, 탄성부(3)와 반송체(12) 사이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반송재(13)가 무단 회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품(10)은, 반송체(12) 상에서 정지한다. 게다가, 물품(10)은, 복수의 정지부(7a, 7b)의 탄성부(3)와 반송체(12) 사이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반송체(12) 상에서 정지한다.
그런데, 축 방향(D3)(도 18에 있어서는, 종이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인접되는 탄성부(3, 3)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b)이 큰 경우에는, 물품(10)은, 당해 간극(1b)에 들어가려고 하여, 탄성부(3, 3) 사이에 끼워지거나 걸려, 원활하게 반송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인접되는 탄성부(3, 3)들이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겹침으로써, 당해 간극(1b)이 작아져 있기 때문에, 물품(10)은, 탄성부(3, 3) 사이에 끼워지거나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반송된다.
또, 정지부(7)의 회전이 정지한 후에, 반송재(13)가 무단 회전함으로써, 물품(10)이 정지 장치(1)에 대해 떨어진 위치로부터 정지 장치(1)를 향해 반송된 경우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10)은, 제1 정지부(7a)의 탄성부(3)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반송재(13)가 무단 회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품(10)은, 반송체(12) 상에서 정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지 장치(1)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3)와 반송체(12) 사이에 물품(10)을 끼움으로써,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3)로 물품(10)을 걺으로써,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지부(7)의 회전이 정지하는 타이밍에 상관 없이,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는, 반송체(12)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물품(10)을 상기 반송체(12) 상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반송체(12)의 상방에 배치되는 정지 장치(1)이며, 회전 가능한 회전부(2)와, 상기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탄성 변형한 상태로 상기 반송체(12)와의 사이에 상기 물품(10)을 끼우는 탄성부(3)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지 장치(1)가, 반송체(1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탄성부(3)가, 회전부(2)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3)가 탄성 변형한 상태로, 물품(10)이 탄성부(3)와 반송체(12)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반송체(12)에 반송되는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는, 상기 회전부(2) 및 상기 탄성부(3)를 가지는 정지부(7)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정지부(7)는, 상기 회전부(2)의 축 방향(D3)과 직교하는 축 직교 방향(D4)으로 병렬된다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지부(7)는, 각각 회전부(2) 및 탄성부(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정지부(7)는, 회전부(2)의 축 방향(D3)과 직교하는 축 직교 방향(D4)으로 복수 병렬되어 있기 때문에, 물품(10)이 반송되는 방향(D1)으로 복수 병렬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물품(10)이 복수의 정지부(7)의 탄성부(3)와 반송체(12)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반송체(12)에 반송되는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더 확실히 정지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축 직교 방향(D4)에서 인접되는 상기 정지부(7a, 7b(7b, 7c))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부(3, 3)들은, 상기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된다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축 직교 방향(D4)에서 인접되는 정지부(7a, 7b(7b, 7c))에 있어서, 탄성부(3, 3)들은,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탄성부(3)의 하부가, 물품(10)과 접촉하는 부분(1a)을 구성하는 것에 대해, 당해 부분(1a)의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요철은 작아진다. 따라서, 반송체(12)에 반송되는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확실히 정지시킬 뿐만 아니라, 물품(10)을 원활하게 반송할 수도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있어서는, 상기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축 직교 방향(D4)에서 인접되는 상기 정지부(7a, 7b(7b, 7c))의 상기 탄성부(3, 3)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b)의 상하 방향의 치수(W1)는, 당해 간극(1b)의 상기 축 직교 방향(D4)의 치수(W2)보다 작다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간극(1b)의 상하 방향의 치수(W1)는, 당해 간극(1b)의 상기 축 직교 방향(D4)의 치수(W2)의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축 직교 방향(D4)에서 인접되는 정지부(7a, 7b(7b, 7c))의 탄성부(3, 3)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b)의 상하 방향의 치수(W1)가, 당해 간극(1b)의 축 직교 방향(D4)의 치수(W2)보다 작아져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10)과 접촉하는 부분(1a)의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요철은 더 작아진다. 따라서, 반송체(12)에 반송되는 물품(10)을 반송체(12) 상에서 확실히 정지시킬 뿐만 아니라, 물품(10)을 더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있어서는, 복수의 상기 정지부(7)는 적어도, 상기 축 직교 방향(D4)으로 병렬되는 제1, 제2 및 제3 정지부(7a~7c)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정지부(7b)는, 상기 축 직교 방향(D4)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지부(7a)와 상기 제3 정지부(7c)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3 정지부(7a, 7c)는, 상기 탄성부(3)를 두 개 구비하고, 상기 제2 정지부(7b)는, 상기 탄성부(3)를 한 개 구비하고, 상기 제2 정지부(7b)의 상기 탄성부(4)는, 상기 축 방향(D3)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지부(7a)의 두 개의 상기 탄성부(3)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일부가 당해 탄성부(3)와 겹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정지부(7b)의 상기 탄성부(3)는, 상기 축 방향(D3)에 있어서 상기 제3 정지부(7c)의 두 개의 상기 탄성부(3)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일부가 당해 탄성부(3)와 겹치도록 배치된다는 구성이다.
또한, 정지 장치(1)는, 상기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대해, 이하와 같은 변경이 행해져도 된다.
(1)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있어서는, 축 직교 방향(D4)에서 인접되는 정지부(7a, 7b(7b, 7c))에 있어서의 탄성부(3, 3)들은,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구성이다. 그러나, 정지 장치(1)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축 직교 방향(D4)에서 인접되는 정지부(7a, 7b(7b, 7c))에 있어서의 탄성부(3, 3)들은,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떨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2) 또,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있어서는, 축 방향(D3)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축 직교 방향(D4)에서 인접되는 정지부(7a, 7b(7b, 7c))의 탄성부(3, 3)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1b)의 상하 방향의 치수(W1)는, 당해 간극(1b)의 축 직교 방향(D4)의 치수(W2)보다 작다는 구성이다. 그러나, 정지 장치(1)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당해 간극(1b)의 상하 방향의 치수(W1)는, 당해 간극(1b)의 축 직교 방향(D4)의 치수(W2) 이상이라는 구성이어도 된다.
(3) 또,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있어서는, 탄성부(3)의 단면형상은, 외주가 원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구성이다. 그러나, 정지 장치(1)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탄성부(3)의 단면형상은, 외주에 요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 13의 탄성부(3)와 같이, 돌출부(3b)를 구비하고 있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4) 또, 상기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에 있어서는, 각각의 정지부(7a~7c)의 탄성부(3)의 직경은 동일하다는 구성이다. 그러나, 정지 장치(1)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각각의 정지부(7a~7c)의 탄성부(3)의 직경은 상이하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정지 장치(1)는, 상기한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 상기한 작용 효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정지 장치(1)는,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더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한 복수의 실시 형태의 각 구성이나 각 방법 등을 임의로 채용하여 조합해도 되고(1개의 실시 형태에 따른 각 구성이나 각 방법 등을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구성이나 방법 등에 적용해도 되고), 또한, 하기하는 각종의 변경예에 따른 구성이나 방법 등을 임의로 하나 또는 복수 선택하여, 상기한 실시 형태에 따른 구성이나 방법 등에 채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1) 상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부(7)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D2)의 접선 방향(D2a)은, 반송 방향(D1)과 동일 방향이라는 구성이다. 그러나, 정지 장치(1)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지부(7)의 하단부에 있어서의 회전 방향(D2)의 접선 방향(D2a)은, 반송 방향(D1)과 반대 방향이라는 구성이어도 된다.
(2)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정지 장치(1)는, 반송체(12) 중, 반송 방향(D1)의 중간부에 배치되어 있다는 구성이다. 그러나, 정지 장치(1)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지 장치(1)는, 반송체(12) 중, 반송 방향(D1)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는 구성이어도 된다.
(3)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반송 장치(11)에 있어서는, 반송체(12)는, 벨트형상의 반송재(13)가 무단 회전함으로써, 물품(10)을 반송 방향(D1)으로 반송하는, 소위, 벨트 컨베이어라는 구성이다. 그러나, 반송 장치(11)는,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반송체(12)는, 복수의 롤러가 반송 방향(D1)으로 병렬되어, 각 롤러가 회전함으로써, 물품(10)을 반송 방향(D1)으로 반송하는, 소위, 롤러 컨베이어라는 구성이어도 된다.
1 정지 장치 1a 접촉부
1b 간극 2 회전부
2a 축 부재 2b 단부재
2c 외주 부재 3 탄성부
3a 시트재 3b 돌출부
3c 스프링재 3d 베이스부
3e 가동체 4 회전 지지부
4a 보강재 5 구동원
6 고정 기구 6a 지지 플레이트
6b 체결 수단 7 정지부
7a 제1 정지부 7b 제2 정지부
7c 제3 정지부 8 전달부
8a 구동축 8b 구동 톱니바퀴
8c 종동 톱니바퀴 8d 타이밍 벨트
8e 장력 풀리 9 고정 기구
9a 통형상체 9b 고정재
10 물품 11 반송 장치
12 반송체 13 반송재
14 지지 기구 14a 안내재
14b~14f 롤러 15 반송 구동원
16 전달 기구 D1 반송 방향
D2 회전 방향 D2a 접선 방향
D3 축 방향 D4 축 직교 방향
W1 간극의 상하 방향의 치수
W2 간극의 축 직교 방향의 치수

Claims (9)

  1. 반송체에 의해 반송되는 물품을 상기 반송체 상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반송체의 상방에 배치되는 정지 장치로서,
    회전 가능한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외주부에 고정되어, 탄성 변형한 상태로 상기 반송체와의 사이에 상기 물품을 끼우는 탄성부를 가지는, 복수의 정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정지부는, 상기 회전부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축 직교 방향으로 병렬되고,
    상기 축 직교 방향에서 인접되는 상기 정지부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부들은, 상기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되는, 정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외주 가장자리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기 축 직교 방향에서 인접되는 상기 정지부의 상기 탄성부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당해 간극의 상기 축 직교 방향의 치수보다 작은, 정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간극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당해 간극의 상기 축 직교 방향의 치수의 50% 이하인, 정지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정지부는, 적어도 상기 축 직교 방향으로 병렬되는 제1, 제2 및 제3 정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정지부는, 상기 축 직교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지부와 상기 제3 정지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3 정지부는, 상기 탄성부를 두 개 구비하고, 상기 제2 정지부는, 상기 탄성부를 한 개 구비하고,
    상기 제2 정지부의 상기 탄성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지부의 두 개의 상기 탄성부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일부가 당해 탄성부와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정지부의 상기 탄성부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3 정지부의 두 개의 상기 탄성부 사이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일부가 당해 탄성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정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물품을 걸기 위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정지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탄성의 시트재의 중간부가 바깥쪽으로 불룩해지도록 상기 시트재의 양단부가 상기 회전부의 외주부에 고정됨으로써 형성되는, 정지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탄성의 시트재의 일단부가 상기 회전부의 외주부에 고정되고, 또한 타단부가 자유임으로써 형성되는, 정지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97028488A 2017-04-17 2018-03-30 정지 장치 KR102441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81279 2017-04-17
JPJP-P-2017-081279 2017-04-17
JPJP-P-2017-163914 2017-08-29
JP2017163914A JP6426807B2 (ja) 2017-04-17 2017-08-29 停止装置
PCT/JP2018/013687 WO2018193815A1 (ja) 2017-04-17 2018-03-30 停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857A KR20190139857A (ko) 2019-12-18
KR102441892B1 true KR102441892B1 (ko) 2022-09-08

Family

ID=6428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488A KR102441892B1 (ko) 2017-04-17 2018-03-30 정지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26807B2 (ko)
KR (1) KR102441892B1 (ko)
CN (1) CN110267892B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4891U (ko) * 1976-06-08 1977-12-14
JPS5978008A (ja) * 1982-10-28 1984-05-04 Toyo Seikan Kaisha Ltd 缶整列装置
JPH02110020A (ja) * 1988-10-19 1990-04-23 Juki Corp 半導体チップ部品搬送装置
JP2574518B2 (ja) * 1990-05-31 1997-01-22 ジューキ株式会社 部品供給方法及び装置
JPH04133936A (ja) * 1990-09-26 1992-05-07 Noge Denki Kogyo:Kk 板材の押出装置および乾燥設備
US5890579A (en) * 1997-08-14 1999-04-06 Young; Robert H.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dealing individual boards from an uninterrupted mat of boards to a conveyor
DE10358976B4 (de) * 2003-12-16 2011-07-07 Borgwaldt Technik GmbH, 22525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Zigaretten
JP2010132397A (ja) * 2008-12-04 2010-06-17 Dainippon Printing Co Ltd 位置決め装置
CN203767608U (zh) * 2014-03-26 2014-08-13 龙岩烟草工业有限责任公司 用于烟草机械的通道阻挡装置及烟包输送装置
JP5802932B1 (ja) 2014-03-31 2015-11-04 株式会社ナベル 容器充填方法
CN205932165U (zh) * 2016-08-04 2017-02-08 朱美娥 一种简易医用棉签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26807B2 (ja) 2018-11-21
KR20190139857A (ko) 2019-12-18
CN110267892B (zh) 2020-08-11
JP2018177524A (ja) 2018-11-15
CN110267892A (zh) 201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80734B2 (ja) ベルトジャンクションコンベヤ
JP5941155B2 (ja) 搬送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2441892B1 (ko) 정지 장치
JP2008529925A (ja) オーバードライブ装置を有しない螺旋型のコンベア
WO2018193815A1 (ja) 停止装置
JP7281292B2 (ja) 搬送装置
WO2021157404A1 (ja) ローラコンベヤ装置
JP6584163B2 (ja) 分岐装置
JP4761889B2 (ja) ワーク搬送装置
JP6126320B1 (ja) 分岐装置
JP2016041615A (ja) ベルトカーブコンベヤ装置
JP3045297B1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ヤ
JP5647857B2 (ja) 振り分け搬送コンベア装置
CN210126844U (zh) 传输系统
JPH02265807A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およびベルトコンベヤ用ローラ装置
JP6718321B2 (ja) 容器の整列搬送装置
JP3252134B2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ヤ
JPH079823U (ja) チェーンコンベヤの駆動装置
JP2508148Y2 (ja) アキュ―ムレ―トロ―ラコンベヤ
JP2522491Y2 (ja) 方向転換機構を備えたローラコンベヤ
JP3252135B2 (ja) カーブベルトコンベヤ
JP6258711B2 (ja) 搬送装置
JPH04365708A (ja) 駆動ローラコンベア
JPH11278622A (ja) ローラコンベア
JPH06135523A (ja) 動力伝達装置及びローラコンベ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